KR20230013538A -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538A
KR20230013538A KR1020210094409A KR20210094409A KR20230013538A KR 20230013538 A KR20230013538 A KR 20230013538A KR 1020210094409 A KR1020210094409 A KR 1020210094409A KR 20210094409 A KR20210094409 A KR 20210094409A KR 20230013538 A KR20230013538 A KR 20230013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attery
unit
charg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현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비스 filed Critical (주)아비스
Priority to KR102021009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538A/ko
Publication of KR2023001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19Charger status, e.g. volt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SMARTPHONE THERMAL CONTROL EQUIPMENT AND BA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장시간 사용 시 단말의 CPU와 배터리에서 발열이 발생한다. 스마트폰의 발열은 스마트폰의 정상적인 기능을 제한하고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의 전원이 차단되어 종료된다.
한편,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여 진행하는 무선통신서비스 품질측정은 이용자들의 체감품질을 측정하여, 단말 또는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찾아내어 개선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스마트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가동해야만 정확한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용자 환경에서 진행하는 무선통신서비스 품질측정을 위해 휴대가 간편한 가방형의 발열 제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0345호 (2009년07월24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877호 (2015년09월14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3246호 (2015년10월29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측정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팬, 및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냉각제어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가 포함되고, 상기 냉각제어부는,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팬제어봉, 상기 냉각팬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팬푸시버튼, 및 상기 냉각판제어봉 및 상기 냉각팬푸시버튼을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냉각팬컨트롤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을 위한 전원소켓, 상기 충전포트로 상기 배터리 전원의 인가를 온오프하는 전원충전푸시버튼, 및 상기 전원소켓 및 전원충전푸시버튼을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충전제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볼트메타(voltmeter), 및 상기 볼트메타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볼트메타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메타는, 상기 볼트메타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볼트메타푸시버튼, 및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게이지램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은,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내부에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되고, 상기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가방의 상부면은, 개폐 가능한 상부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림막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림막 내부의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냉각제어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가 위치하여, 상기 가방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충전부의 제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따르면, 복수개의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따르면,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측정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발열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에 하단커버패널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된 가방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된 가방의 전면가림막이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된 가방의 상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및 관리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스마트폰의 디버그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환시간이 포함된 메시지의 전송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스마트폰이 5G 망에 접속할 경우 네트워크와 주고받는 메시지 절차 및 4G 망으로 접속할 경우 주고받는 메시지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측정부가 전환시간을 측정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하단커버패널이 제거된 모습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103)을 포함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하우징(101)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110)를 포함하고, 하우징(101)의 상면은, 스마트폰(10)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120),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스마트폰(10)을 냉각하는 냉각부(130) 및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스마트폰(10)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1)은, 측면프레임(103)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하우징(101)은 결합된 측면프레임(103)의 내부에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하우징(101)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부(110), 스마트폰거치부(120),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가 포함된다. 하우징(101)의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된다. 하우징(101)의 측면은 측면프레임(103)에 의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10)가 결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배터리부(110)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14.4V 40A 18650 4S 배터리팩일 수 있다. 배터리부(110)는 하우징(101)의 저면에 탈착가능하다. 배터리부(110)는 제거된 후 외부에서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부(110)는 하우징(101)의 저면에 구비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추가의 배터리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추가 배터리 공간(111)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배터리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에 세 개가 구비되고, 각 배터리부(110)는 후술하게 될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각 배터리부(110)와 연결된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는 하나의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배터리부(11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세 개가 구비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세 개의 모듈이 종합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배터리부(110)의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는 배터리케이블홀(1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배터리부(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放熱)하기 위한 하단커버패널(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커버패널(107)은 하우징(101)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우징(101)의 상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거치부(120),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가 포함된다. 냉각부(130)는 한 쌍의 냉각팬(131) 및 흡기구(133)를 포함한다. 스마트폰거치부(120),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배터리부(110)에 따른 모듈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1)의 상면은 각 모듈을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모듈에 스마트폰거치부(120) 4개, 냉각부(130) 4개, 충전부(140) 2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충전부(140)는 각각 두 개의 충전포트(141, 14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총 12개의 스마트폰(10)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거치부(120)는 클램프의 방식으로 스마트폰(10)을 거치한다. 스마트폰(10)이 거치될 때, 스마트폰(10)의 일측상단과 타측하단은 각각 냉각팬(131)과 흡기구(1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거치될 수 있다. 냉각부(130)는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공랙식의 냉각방식을 따른다. 냉각부(13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공기를 순환시켜 발열상태의 스마트폰(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부(130)는, 최소 0 RPM ~ 최대 6,000RPM 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식 쿨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30)는 14.4V 시스템의 파워뱅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130)는 냉각팬(131) 및 흡기구(133)를 포함한다.
냉각팬(131)은 배터리로부터 전달받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냉각팬(1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흡기구(133)는 냉각팬(131)과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하나의 냉각팬(131)과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팬(131)이 회전하면, 흡기구(133)를 통해 공기가 들어온다. 흡기구(133)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냉각팬(131)의 회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흡기구(133)의 하단공간과 냉각팬(131)의 하단공간은 서로 중공(中空)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냉각팬(131)은 가드용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냉각팬(131) 및 흡기구(133)는, 스마트폰거치부(120)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거치부(120)에 스마트폰(10)이 거치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냉각팬(131)과 흡기구(133)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열된 스마트폰(10)을 냉각할 수 있다.
하우징(101)의 상면에는 충전부(140)가 더 포함된다. 충전부(14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스마트폰거치부(120)에 거치된 스마트폰(10)으로 전원을 전달하여 스마트폰(10)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40)는 복수개의 충전포트(141, 143)를 더 포함한다. 충전포트(141, 143)와 스마트폰(10)은 각각 USB 방식의 충전용 케이블(145, 도 7)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용 케이블(145)은 공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부(140)는 12V to 5V 2Way USB 충전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40)는 두 개의 충전포트(141, 143)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충전포트(141, 143) 각각은 5V 2.4A, 5V 1A를 지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1)의 측면에는, 도 5를 참조하면, 냉각제어부(150), 충전제어부(160) 및 전압표시부(170)가 포함된다.
먼저 냉각제어부(150)는, 전술한 냉각부(130)를 제어한다. 냉각제어부(150)는, 상세하게는 냉각팬(131)을 제어한다. 냉각제어부(150)는, 냉각팬제어봉(151), 냉각팬컨트롤패널(155)을 포함한다.
냉각팬제어봉(151)은, 냉각팬(1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팬(131)은 회전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쿨러일 수 있다. 냉각팬제어봉(151)은 가변형 냉각팬(131) 회전수 제어 로터리일 수 있다. 사용자는 냉각팬제어봉(151)을 회전시키는 등 조작하여 냉각팬(1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냉각팬푸시버튼(153)은 냉각팬(131)의 동작을 on/off 할 수 있다. 냉각팬푸시버튼(153)은 배터리 및 냉각팬(131)과 연결된다. 냉각팬푸시버튼(153)은 동작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냉각팬(131)으로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냉각팬컨트롤패널(155)은 냉각팬제어봉(151)과 냉각팬푸시버튼(153)을 하우징(101)의 측면에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제어부(160)는, 충전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충전제어부(160)는 전원소켓(161), 전원충전푸시버튼(163) 및 충전제어패널(165)을 포함한다.
전원소켓(161)은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소켓(161)은 5.5x2.1mm DC 전원 소켓일 수 있다.
전원충전푸시버튼(163)은 충전부(140)의 동작을 on/off 할 수 있다. 충전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포트(141, 143)를 포함하며, 충전포트(141, 143)는 별도의 충전용 케이블(145, 도 7)을 통해 스마트폰(10)을 충전할 수 있다. 전원충전푸시버튼(163)은 배터리에서 충전포트(141, 143)로의 전원 인가를 온오프한다. 전원충전푸시버튼(163)은, 배터리 및 충전부(140)와 연결된다. 전원충전푸시버튼(163)은 배터리에서 충전부(140)로 전원의 전달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충전제어패널(165)은, 전원소켓(161) 및 전원충전푸시버튼(163)을 하우징(101)의 측면에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전압표시부(170)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및/또는 잔량 등을 표시한다. 전압표시부(170)는, 볼트메타(171, voltmeter, 전압계, 電壓計) 및 볼트메타고정패널(177)을 포함한다.
볼트메타(171)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및/또는 잔량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메타(171)는, 볼트메타 4S 게이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볼트메타(171)는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의 볼트메타(171)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볼트메타(171)는, 볼트메타푸시버튼(173) 및 게이지램프(175)를 포함한다.
볼트메타푸시버튼(173)은 볼트메타(171)의 동작을 on/off 할 수 있다. 볼트메타푸시버튼(173)은, 배터리 및 볼트메타(171)와 연결된다. 볼트메타푸시버튼(173)은 배터리에서 볼트메타(171)로 전원의 전달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게이지램프(175)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및/또는 잔량을 표시한다.
볼트메타고정패널(177)은 볼트메타(171)를 하우징(101)의 측면에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고성능 스마트폰(10)의 장시간 구동 시 발생하는 스마트폰(10)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라 총 12개의 스마트폰(10)의 발열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12개의 스마트폰(10)을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 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를 통해 총 12대의 스마트폰(10)을 이용하여 통신망 또는 단말의 품질시험 등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망 품질측정에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는 전파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도체 사용의 최소화 및 FORMEX(압축발포 PVC)를 다수의 레이어 형태로 설계, 부착하여 장치기준 9Kg 대의 경량화와 내충격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메쉬 타입의 백팩형 가방(200)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되는 가방(200)은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를 수납함과 동시에 수납한 채로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의 조작이 간편하고 스마트폰(10)의 냉각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200)(이하, ‘가방’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가방(200)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가방(200)의 전면가림막(220)이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가방(200)의 상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200)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200)은, 도 6을 참조하면,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다. 가방(200)의 전면은 통기성이 용이한 메쉬 재질의 전면가림막(220)을 포함한다. 전면가림막(220)은 가방(200)의 전면에서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전면지퍼(221)로 결합된다. 따라서 전면지퍼(221)를 동작하여 전면가림막(220)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내부에서 전면가림막(220)을 향해 냉각팬(131)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가방(200)에 수납된다. 가방(200)은 소품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좌측 및 우측에 사이드포켓(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방(200)에 수납된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는, 도 7을 참조하면, 가방(200)의 내부에서 고정스트랩(2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가방(200)의 상부면에는, 도 8을 참조하면, 개폐 가능한 상부가림막(210)이 포함된다. 상부가림막(210)은 통기성이 용이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부가림막(210)은 양방향 이동이 가능한 상부지퍼(211)로 가방(2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부지퍼(211)의 동작에 따라 상부가림막(210)의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가방(200)의 내부에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경우, 상부가림막(210)의 내부에는, 하우징(101)의 일측면이 위치한다. 상부가림막(210) 내부에 위치한 하우징(101)의 일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냉각제어부(150), 충전제어부(160) 및 전압표시부(170)가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가방(200)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 즉, 냉각부(130) 및 충전부(140)의 제어가 용이하고, 전압표시부(170)에 의해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200)의 후면은,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어깨끈(250)을 포함하며, 한 쌍의 어깨끈(250) 간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슴스트랩(251) 및 복부스트랩(253)이 포함된다. 또한 가방(200)의 후면 하단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메쉬재질의 허리쿠션(25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허리쿠션(255)은 외피 포함 최종10Kg대의 무게를 안전하게 지탱하며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방(200)은, 스마트폰(10)이 스마트폰거치부(120)에 거치된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방(200)을 착용한 후 이동 중 스마트폰(10)의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 측정을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10)의 무선 통신망이 5G에서 4G로, 또는 4G에서 5G로 전환될 때의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 측정이 가능하다. 이때의 품질 측정은, 예를 들어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 시 소요되는 전환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 측정을 위해 내부에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가방(200)에 수납되고, 사용자가 그 가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5G 통신망의 커버리지에서 벗어나 4G 통신망에 접속 또는 4G 통신망에서 5G 통신망의 커버리지에 진입할 때 통신망의 전환 시 소요되는 전환시간을 측정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 품질 측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은,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 시 소요되는 전환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은 측정한 전환시간을 메시지에 포함시켜 관리서버(30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는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여 전환시간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환시간을 가공한 통계 등의 정보를 다시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대중화와 더불어 모바일 사물인터넷 및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무선데이터 트래픽의 폭증을 초고속/대용량/고품질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수요니즈가 발생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는 휴대전화 네트워크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안된 4세대 무선 기술(이하, ‘4G’)이다. 4G는 100Mbps의 하향링크 최고속도, 50Mbps 상향링크 최고속도, 10ms 이하의 RAN(Radio Access Network) round-trip time을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단말기, 자율주행 자동차, IoT 등 새로운 기기의 데이터 이용량이 늘어나면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충족하기 위해 4G 보다 1,000배 빠른 사용자당 1Gbps급, 기지국 당 100Gbps의 초고속 전송률과 1ms의 빠른 접속 속도, 최대 500km/h의 이동성 보장하는 기술인 new RAT, NR(New Radio) 또는 5G 통신기술이라 불리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 및 통신사들은 4G 망을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의 객관적인 통신 서비스 품질 및 5G 상용화 이후 사용자단말기의 통신 서비스 품질의 측정을 통해 사용자가 일상에서 실제로 체감하는 품질을 측정하여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4G 망 및 5G 망의 자체적인 서비스 커버리지 및 서비스 품질측정은 각각의 서비스 망에 대한 측정만을 제공하고 있다. 5G 통신기술의 특성상 현재 서비스 중인 3.5GHz 대역은 망이 불안정하고 3.5Hz 저주파 대역은 통신사별 대역폭이 0.1GHz 정도에 불과하여 4G 망과 5G 망이 주파수를 공유하는 상태(Non-Standalone, 비단독모드)로 사용자단말기는 5G 망 이용 시 주파수 자원이 부족해지면 4G 망으로 전환된다.
한편 5G 망에서 4G 망으로의 전환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통신의 끊김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서비스 품질이 떨어진다. 따라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5G 망에서 4G(Long Term Evolution) 망으로 전환되는 정확한 전환시간 측정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망은, 4G 망 접속을 제공하는 eNB(evolved Node B, eNodeB), 5G망 접속을 제공하는 En-gNB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eNB는, LTE Radio 기술과 EPC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고, gNB(next generation Node B)는 New Radio 기술과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새로운 기지국일 수 있고, en-gNB는 New Radio 기술과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LTE 시스템의 코어인 EPC와 기지국인 eNodeB와 연동되는 새로운 기지국일 수 있다. 그리고 New Radio(NR)는 5G 망에서 스마트폰(10)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접속(Radio Access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폰(10)은 4G 망 및 5G 망에 모두 접속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망은 Rel-15 NSA 표준에 의해, 4G 망 인프라(EPC, eNB 등)에 5G 망 인프라(gNB)가 도입되어, eNB를 master node로 하고 gNB를 secondary node로 하여 스마트폰(10)이 4G 망과 5G NR 망에 모두 접속할 수 있는 dual connectivity 구조를 갖는다. 스마트폰(10)의 통신은 5G 망의 커버리지가 제한적일 때 전국 커버리지를 갖는 4G 망에 의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이 5G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중에 5G 망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4G 망에 접속되고, 4G 망에 접속되어 통신하는 중 5G 망 커버리지 내 진입하면 다시 5G 망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전환 시간 측정 시스템(1000)이 포함하는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전환 시간 측정 시스템(1000)은,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UE, User Equipment)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본 발명의 사용자 또는 측정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가 수납된 가방(200)을 착용한 상태에서 5G 통신망의 커버리지에서 5G 통신망 커버리지를 벗어난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 내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통신망의 전환시간을 측정하며, 스마트폰(10)은 측정한 전환시간을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스마트폰(10)은 충전부(140)로부터 충전되며, 통신망 전환시간의 측정에 따라 발생한 스마트폰(10)의 열은 냉각부(130)에 의해 가방(200)의 전면가림막(220)을 통해 배출되어 스마트폰(10)의 발열이 제어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통신망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통신망은 5G 망 또는 4G 망을 포함한다. 스마트폰(10)은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공지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측정부(20)에 의해 현재 접속한 통신망이 5G 망인지 또는 4G 망인지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5G 망 커버리지를 벗어나 4G 망에 접속되어 통신망이 전환되거나 4G 망에 접속된 후 5G 망에 접속되어 통신망이 전환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접속한 통신망이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될 때, 전환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전환시간은, 예를 들어,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된 경우 최초 4G 망에 접속한 시각에서 최종 5G 망에 접속한 시각의 차일 수 있고,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된 경우 최초 5G 망에 접속한 시각에서 최종 4G 망에 접속한 시각의 차일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측정한 전환시간이 포함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관리서버(300)는, 전환시간이 포함된 메시지를 가공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전환시간을 기반으로 전환시간의 조회, 검색 및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회, 검색 및 통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접속한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가 제공하는 정보는 스마트폰(10)의 종류, 스마트폰(10)의 위치, 통신망에 접속한 스마트폰(10)의 개수 등에 따른 전환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스마트폰(10)의 디버그모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스마트폰(10)은, 도 11을 참조하면, 측정부(20)를 더 포함한다. 측정부(20)는, 후술하게 될 각 모듈들에 의해,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이 5G 망인지 또는 4G 망인지 판단한다. 측정부(20)는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의 접속 상태를 검출한다. 측정부(20)는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이 전환된 경우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부(20)는, 디버그모듈(21), 데이터수집모듈(22),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 통신망전환정보모듈(24), 위치시각모듈(25), 측정모듈(26) 및 데이터전송모듈(27)을 포함한다. 측정부(20)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되어 각 모듈을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버그모듈(21)은, 스마트폰(10)의 5G 망 또는 4G 망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스마트폰(10)의 디버그모드에 접속한다. 디버그모드에서는,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데이터수집모듈(22)은, 디버그모드에서 스마트폰(10)의 5G 망 또는 4G 망의 접속 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망접속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수집모듈(22)은 디버그모듈(21)을 통해 접속한 디버그모드에서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망접속데이터를 생성한다.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수집모듈(22)이 생성한 통신망접속데이터는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이 5G 망인지 또는 4G 망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데이터수집모듈(22)이 생성한 통신망접속데이터를 분석하여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을 판단한다.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스마트폰(10)이 접속한 통신망을 판단하기 위해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10)의 접속 상태를 검출한다.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에서 SCG(Secondary Cell Group) 상태를 포함하는 NR Information 및 RRC(Radio Resource Control) 상태를 검출 및 분석한다.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NR Information(A)에 포함된 SCG(B) 상태가 Add이고, RRC 상태(C)가 CONNECCTED일 때에는, 스마트폰(10)이 5G 망에 접속한 것으로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 만일, NR Information(D)에 포함된 SCG(E) 상태가 Release이고, RRC 상태(F)가 IDLE일 때에는,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스마트폰(10)이 4G 망에 접속한 것으로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 데이터분석검출모듈(23)은, 스마트폰(10)이 5G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또는 4G 망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통신망전환정보모듈(24)은, 스마트폰(10)의 통신망 접속 상태가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될 때, 통신망전환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신망전환데이터는 그 통신망이 전환된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망전환정보모듈(24)은 통신망전환데이터를 생성할 때, 스마트폰(10)의 통신망 접속 상태가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로우망정보 및/또는 상기 접속 상태가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된 정보를 포함하는 하이망정보를 통신망전환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즉, 통신망전환데이터는 로우망정보 및/또는 하이망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시각모듈(25)은, 스마트폰(10)의 위치 및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시각모듈(25)은 GNSS를 기반으로 스마트폰(10)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시각모듈(25)은 통신망으로부터 시각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10)의 시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시각모듈(25)은, 데이터수집모듈(22)에 의해 생성된 통신망접속데이터가 생성될 때, 그 통신망접속데이터가 생성된 스마트폰(10)의 위치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통신망접속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즉, 위치시각모듈(25)은, 데이터수집모듈(22)이 스마트폰(10)의 디버그모드에서 System/Debug Screen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할 때의 스마트폰(10)의 위치 및 시각을 통신망접속데이터에 포함시킨다.
또한 위치시각모듈(25)은, 통신망전환정보모듈(24)에 의해 생성된 통신망전환데이터가 생성될 때, 그 통신망전환데이터가 생성된 스마트폰(10)의 위치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통신망전환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위치시각모듈(25)은, 스마트폰(10)의 통신망 접속 상태가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될 때의 스마트폰(10)의 위치 및 시각을 통신망전환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전환데이터는 로우망정보 및/또는 하이망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시각모듈(25)은 로우망정보에 최종 5G 망 접속 시각 및 최초 4G 망 접속 시각을 포함시키고, 하이망정보에 최종 4G 망 접속 시각 및 최초 5G 망 접속 시각을 포함시킨다. 또한 위치시각모듈(25)은 각 로우망정보 및 하이망정보에 포함된 접속 통신망이 변할 때의 위치도 시각과 함께 통신망전환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측정모듈(26)은, 통신망전환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기반으로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 또는 4G 망에서 5G 망으로 전환 시 발생하는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모듈(26)은, 통신망전환데이터에 로우망정보가 포함된 경우, 최종 5G 망 접속 시각 및 최초 4G 망 접속 시각을 기반으로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즉, 스마트폰(10)이 5G 망에서 4G 망으로 접속 상태가 전환될 때에는 최초 4G 망 접속 시각과 최종 5G 망 접속 시각의 차를 통해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측정모듈(26)은, 통신망전환데이터에 하이망정보가 포함된 경우, 최종 4G 망 접속 시각 및 최초 5G 망 접속 시각을 기반으로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즉, 스마트폰(10)이 4G 망에서 5G 망으로 접속 상태가 전환될 때에는 최초 5G 망 접속 시각과 최종 4G 망 접속 시각의 차를 통해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도 13은 전환시간이 포함된 메시지의 전송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데이터전송모듈(27)은 측정모듈(26)이 측정한 전환시간을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데이터전송모듈(27)은 전환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데이터전송모듈(27)은 생성한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데이터전송모듈(27)이 포함하는 메시지는, 도 13을 참조하면, 시작프레그, 어드레스 필드, 정보 필드 및 CRC를 포함한다. 정보 필드는, ID, Time, 측정 위치 및 측정결과를 포함한다. ID는 스마트폰(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Time은 위치시각모듈(25)이 생성한 시각데이터를 포함하고, 측정 위치는 위치시각모듈(25)이 생성한 위치데이터를 포함한다. 측정결과는 측정모듈(26)이 측정한 전환시간 값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관리서버(300)는, 데이터수신모듈(301), 데이터분석모듈(302), 데이터저장모듈(303), 통계모듈(304) 및 프리젠테이션모듈(305)을 포함한다.
데이터수신모듈(301)은, 데이터전송모듈(27)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데이터분석모듈(302)은,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한다. 데이터분석모듈(302)은 메시지에서 정보 필드에서, ID, Time, 측정 위치 및 측정결과를 분석한다.
데이터저장모듈(303)은, 데이터분석모듈(302)이 분석한 메시지의 각 정보를 저장한다.
통계모듈(304)은, 저장된 메시지의 각 정보를 기반으로 조회, 검색 및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통계모듈(304)은, 스마트폰(10)의 종류, 스마트폰(10)의 위치, 측정된 시각 등으로 분류된 전환시간의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모듈(305)은,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통계모듈(304)이 생성한 통계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송신한다. 이때 프리젠테이션모듈(305)이 송신하는 통계 정보는 웹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운영자, 사업자 등은 프리젠테이션모듈(305)이 제공하는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전환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스마트폰(10)이 5G 망에 접속할 경우 네트워크와 주고받는 메시지 절차 및 4G 망으로 접속할 경우 주고받는 메시지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10)으로 SgNB Addition Request Acknowledge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면 5G 망으로 접속 완료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NR RRC Release 메시지가 발생하면 5G 망 접속이 해제 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접속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4G 망으로 접속하기 위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수신되고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발생하여 4G 망으로 접속 한다.
도 16은 측정부(20)가 전환시간을 측정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현재 접속한 통신망이 5G 망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전환 시간 측정 방법은, 도 16을 참조하면, 측정부(20)가 구동되면 전환시간 측정을 위해 스마트폰(10)의 디버그모드로 접속하는 단계(S110); 측정부(20)가 System/Debug Screen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S120); 측정부(20)가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S130); 측정부(20)에 의해 스마트폰(10)의 통신망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S140); 측정부(20)가 스마트폰(10)의 통신망 접속이 5G 망에서 4G 망으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전환되었을 경우 전환시간 측정하는 단계(S150); 전환시간 측정 결과 값을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결과 전송 단계(S16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은 복수개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마트폰(10)은 각각 스마트폰거치부(120)에 거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거치부(120)에 각각 거치된 복수개의 스마트폰(10)은 충전부(140)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마트폰(10)은 동일 시각에 즉, 동시에 전환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열은 냉각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복수개의 전환시간은 메시지에 포함되어 관리서버(300)로 송신된다. 관리서버(300)로 수신된 복수개의 전환시간은 통계모듈(304)에 의해 통계화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스마트폰(10)에서 동시에 측정된 전환시간은 주변 간섭, 다중경로, 장애물 등으로 인한 이상치 발생으로 오차가 발생하고, 오차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상치를 제거하는 보정을 수행하는 전환시간 측정 기법을 제안하며, 통계모듈(304)은 수신한 복수개의 전환시간을 통계화할 때 수신한 전환시간 데이터에서 이상치를 제거하는 보정을 수행한다.
제안기법은 하나의 스마트폰(10)에서 측정된 전환시간 값의 이상치를 보정함으로써, 전환시간 측정 오차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기법은 먼저 미리 정의된 Measurement Period (MP) 동안 스마트폰(10)으로부터 전환시간 값을 수집한다. 그 다음, 1) 상·하위 전환시간 값 제거, 2) 전환시간 값 이상치 대체, 3) 평균 연산, 4) 최종 전환시간 계산의 4단계를 통해 전환시간을 측정한다.
먼저, 상·하위 전환시간 값 제거 단계에서는, MP 동안 수집된 전환시간 값 중 일정 비율의 상·하위 전환시간 값을 제거한다. 전환시간 값 이상치 대체 단계에서는, MP 동안 수집된 전환시간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상위 임계값과 하위 임계값을 결정하고, 상위 임계값 이상과 하위 임계값 이하의 전환시간 값을 각각 상위 임계값과 하위 임계값으로 대체한다. 평균 연산 단계에서는, MP 동안 수집된 전환시간 값에서 일정 크기의 부분집합들을 생성하고, 부분집합들의 연속된 평균값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전환시간 계산 단계에서는, 보정된 전환시간 값을 통해 최종 전환시간을 계산하여 이상치 보정을 적용하지 않은 전환시간 값보다, 제안기법이 더 낮은 오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300)는, 관리서버(300)가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 또는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 정보 등을 가상으로 생성하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관리서버(300)에 입력받은 특정 상황을 기반으로 상황별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복수개의 가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스마트폰(10) 종류, 측정 위치, 측정 시각 등에 따른 입력값을 기준으로 가상 정보(또는 가상 데이터, 이하 같다)를 생성한다. 생성한 각 정보는 데이터화되며 스마트폰(10)으로부터 직접 각 정보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관리서버(300)에 입력받은 특정 상황을 기반으로 상황별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생성한 복수개의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상세정보, 가상의 위치정보 및 가상의 전환시간을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가상의 정보를 생성할 때에는, 특정 범위로 출력되도록 지정된 난수가 자동발생하는 방식으로 가상의 정보를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이 가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난수 발생 방식에는, 공지된 방식인, 중앙 제곱법, 합동식 방법, 메르센 트위스터, XOR 시프트 등의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30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측정되어 수신한 정보 대신, 가상데이터생성모듈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통계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100)에 거치된 스마트폰(10) 또는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다른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스마트폰(10)으로의 제공은 각 스마트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시보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수신 또는 생성된 가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컨텐츠를 구성하며, 그 정보는 모니터링 정보로 하여 각 단말기로 제공된다.
관리서버(300)는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을 더 포함하며,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정보의 송수신이 지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화면컨텐츠로 재구성된 모니터링 정보로 하여 각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절히 동작하는 지 가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GNSS 란,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범지구적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의미하며, 위성을 이용한 범지구적 측위 및 항법 시스템의 일반 명칭으로 지상 물체의 위치, 고도,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주요 GNSS의 예로서 미국의 GPS, 유럽의 Galileo, 러시아의 GLONASS, 중국의 BeiDou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 국방성에 의해 개발된 위성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은 궤도상에 떠 있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한 시간과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측량을 통해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0)의 구성은, 휴대가 가능하고, 무선통신이 가능한 등가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10)(smart phone) 외에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적어도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대체된 구성은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 정보 및 선택 정보의 입력과, 검색된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디지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0)과 관리서버(300)는 각각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DBMS는 IMS, CODASYL DB, DB2, ORACLE, INFORMIX, SYBASE, INGRES, MS-SQL, Objectivity, O2, Versanat, Ontos, Gemstone, Unisql, Object Store, Starburst, Postgres, Tibero, MySQL 또는 MS-acce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특정 명령어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측정부, 디버그모듈, 데이터수집모듈, 데이터분석검출모듈, 통신망전환정보모듈, 위치시각모듈, 측정모듈, 데이터전송모듈, 관리서버, 데이터수신모듈, 데이터분석모듈, 데이터저장모듈, 통계모듈, 프리젠테이션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 전환 시간 측정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 스마트폰 20 : 측정부
21 : 디버그모듈 22 : 데이터수집모듈
23 : 데이터분석검출모듈 24 : 통신망전환정보모듈
25 : 위치시각모듈 26 : 측정모듈
27 : 데이터전송모듈
100 :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101 : 하우징
103 : 측면프레임 105 : 고정프레임
107 : 하단커버패널 110 : 배터리부
111 : 추가 배터리 공간 113 : 배터리케이블홀
120 : 스마트폰거치부 130 : 냉각부
131 : 냉각팬 133 : 흡기구
140 : 충전부 141 : 제1 충전포트
143 : 제2 충전포트 145 : 충전용케이블
150 : 냉각제어부 151 : 냉각팬제어봉
153 : 냉각팬푸시버튼 155 : 냉각팬컨트롤패널
160 : 충전제어부 161 : 전원소켓
163 : 전원충전푸시버튼 165 : 충전제어패널
170 : 전압표시부 171 : 볼트메타
173 : 볼트메타푸시버튼 175 : 게이지램프
177 : 볼트메타고정패널
200 :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
210 : 상부가림막 211 : 상부지퍼
220 : 전면가림막 221 : 전면지퍼
230 : 고정스트랩 240 : 사이드포켓
250 : 어깨끈 251 : 가슴스트랩
253 : 복부스트랩 255 : 허리쿠션
300 : 관리서버 301 : 데이터수신모듈
302 : 데이터분석모듈 303 : 데이터저장모듈
304 : 통계모듈 305 : 프리젠테이션모듈
1000 : 통신망 전환 시간 측정 시스템

Claims (5)

  1.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팬; 및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냉각제어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
    가 포함되고,
    상기 냉각제어부는,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팬제어봉;
    상기 냉각팬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냉각팬푸시버튼; 및
    상기 냉각판제어봉 및 상기 냉각팬푸시버튼을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냉각팬컨트롤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로 출력을 위한 전원소켓;
    상기 충전포트로 상기 배터리 전원의 인가를 온오프하는 전원충전푸시버튼; 및
    상기 전원소켓 및 전원충전푸시버튼을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충전제어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표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볼트메타(voltmeter); 및
    상기 볼트메타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고정하는 볼트메타고정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메타는,
    상기 볼트메타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볼트메타푸시버튼; 및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게이지램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4.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내부에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되고,
    상기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저면 및 상면은 오픈되고, 측면은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탈착이 가능하며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은,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스마트폰거치부;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스마트폰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팬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상부면은,
    개폐 가능한 상부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림막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이 위치하며,
    상기 상부가림막 내부의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냉각제어부;
    상기 충전부를 제어하는 충전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표시하는 전압표시부가 위치하여,
    상기 가방의 내부에 상기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충전부의 제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가방.
KR1020210094409A 2021-07-19 2021-07-19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KR20230013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09A KR20230013538A (ko) 2021-07-19 2021-07-19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09A KR20230013538A (ko) 2021-07-19 2021-07-19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38A true KR20230013538A (ko) 2023-01-26

Family

ID=8511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09A KR20230013538A (ko) 2021-07-19 2021-07-19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35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40B1 (ko) * 2023-10-31 2024-02-19 주식회사 에스비트 와이파이 품질 측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345A (ko) 2008-01-21 2009-07-24 표성용 다기능 노트북 방열 가방
KR20150103877A (ko) 2014-03-04 2015-09-14 안은정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가방
KR101563246B1 (ko) 2015-04-30 2015-10-29 김재경 냉각기능을 갖는 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345A (ko) 2008-01-21 2009-07-24 표성용 다기능 노트북 방열 가방
KR20150103877A (ko) 2014-03-04 2015-09-14 안은정 휴대용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가방
KR101563246B1 (ko) 2015-04-30 2015-10-29 김재경 냉각기능을 갖는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40B1 (ko) * 2023-10-31 2024-02-19 주식회사 에스비트 와이파이 품질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590B2 (ja) ワイヤレス信号源の位置決め
US20150351017A1 (en) Verifying stored location data for WLAN access points
JP5236684B2 (ja) 携帯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交換局装置並びに移動通信方法
US20100020776A1 (en) Wireless network-based location approximation
US10663602B2 (en) Method in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A2955179A1 (en) Wireless-spectrum monitoring and analysis
EP2953391B1 (en) Heterogeneous network using terminals as access points
US9462839B2 (en) Sensor module for sensing forces to the head of an individua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for analysis, tracking and/or reporting the sensed forces
JP2020198642A (ja) ロケーションによるプロファイル・スイッチング
US20160192370A1 (en) Idle mode load balancing
US20160183108A1 (en) Measurement hous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WO2009134174A1 (en) Radio fingerprinting using e-utran measurements
JP2009543074A (ja) Wlan測位装置の位置を推定するためにwlan対応アクセス・ポイントから情報を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3028513B1 (en) Assigning location information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points
RU2012126537A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минимизации теста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mdt) для конкретной област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150100743A1 (en) Supporting storage of data
US11035884B2 (en) Multiple network probing
CN107896380A (zh) 网络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06304099A (zh) 用于无线通信的装置、频谱管理装置和用户设备
KR20230013538A (ko) 스마트폰 발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US20150050954A1 (en) Terminal device, mobile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1071599A (ja) 位置探索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9137775B2 (en) Method for enhancing positioning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15915338A (zh) 应用和服务上下文感知小区选择
CN107949026A (zh) 网络切换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