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346A - Mask apparatus - Google Patents

Mask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346A
KR20230013346A KR1020210093991A KR20210093991A KR20230013346A KR 20230013346 A KR20230013346 A KR 20230013346A KR 1020210093991 A KR1020210093991 A KR 1020210093991A KR 20210093991 A KR20210093991 A KR 20210093991A KR 20230013346 A KR20230013346 A KR 2023001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le
mask device
power
r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0006B1 (en
Inventor
김호중
백상균
안동권
문영철
최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06B1/en
Publication of KR2023001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device comprises: a mask body including a rear body and a front bod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thereon; a mask body including a rear body and a front bod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thereon; an air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rear body to purify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inlet and supply the air to the breathing space; a power boar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and on which an LED is mounted; and an indicator module installed on the power board and covering the LED. The indicator module comprises: an indicator body forming a reflector in which the LED is accommodated; a light guide unit inserted inside the indicator body and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and a power button coupled to the indicato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body. Accordingly, flow resistanc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dust or othe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mask device through the inlet is minimized.

Description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Mask apparatus {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device.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병균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배출되는 바이러스 또는 구취가 주위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생 용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mask covers the user's nose and mouth, so tha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germs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user breathes in are filtered out, and viruses or bad breath emitted when the user breathes out are transmitted to nearby people. It can be defined as a sanitary product that can minimize

최근에는, 확산성과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가 창궐함에 따라 전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개인은 안전을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in order to minimize contagion according to the spread of highly contagious and spreadable viruses, it is recommended that individuals wear masks and go out for safety.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마스크가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마스크 착용자의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터 모듈이 장착된 마스크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Currently, various types and types of masks are being released on the market, and in particular, in order to minimize direct inflow of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to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mask wearer, many masks equipped with a filter module are sold.

또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마스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팬이 장착된 마스크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mask when the user breathes in or out, masks equipped with a fan are also being sold in large numbers.

선행문헌 유럽특허 EP3398657A(2021년04월21일)에는 에어커튼을 이용하는 건강 마스크가 개시된다.Prior Document European Patent EP3398657A (April 21, 2021) discloses a health mask using an air curtain.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마스크에는, 필터와 팬이 구비된 마스크 바디가 포함되며, 상기 마스크 바디의 안쪽에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되고, 상기 마스크 바디와 사람의 귀를 연결해주는 귀걸이부에는 음성 출력부가 구비된다.The mask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mask body equipped with a filter and a fan, a microphone is provided inside the mask body, and an audio output unit is provided in an earring portion connecting the mask body and a human ear.

특히, 상기 마스크 바디의 안쪽에는 배터리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는 사용자가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In particular, a battery is disposed inside the mask body. The battery has a structu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user can easily separate it.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어 배터리가 오염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since the batter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moisture or foreign matter penetrates from the outside to contaminate the battery or cause a failure.

또한, 배터리 또는 전원 제어 부품이 마스크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 또는 전원 제어 부품이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or power control component has a structure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or power control component is separated or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or impact.

EP3398657A(2021년04월21일)EP3398657A (04/21/20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호흡 공간이 형성되는 페이스 가드;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 클리닝 모듈;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설치되며, 엘이디가 실장되는 전원 기판; 및 상기 전원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를 커버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한다.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body, a mask body including a front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face guar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nd having a breathing space formed therein; an air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rear body to purify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and supply it to the breathing space; a power boar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on which LEDs are mounted; and an indicator module installed on the power board and covering the LED.

특히,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리플렉터를 형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하는 광이 통과하는 도광부;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indicator module may include an indicator body forming a reflector accommodating the LED, and a light guiding portion inserted inside the indicator body and pass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and a power button coupled to the indicato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body.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는,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원 버튼이 장착되는 버튼 장착홀이 형성된 버튼 장착부를 포함한다.The indicator body includes a base supporting the reflector, and a button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button mounting hole in which the power button is mounted.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버튼 장착홀에 삽입되는 버튼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은, 상기 버튼 실링부의 내측에 삽입된다. 상기 전원 버튼은, 상기 버튼 실링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버튼 홀에 끼워질 수 있다.The indicat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sea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button mounting hole. The power button is inserted inside the button sealing part. The power button may be inserted into a button hole formed in the rear bod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utton sealing part.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버튼 장착홀과 연결되는 버튼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버튼의 일부는, 상기 버튼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 기판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와 접촉할 수 있다.A button passage hole connected to the button mounting hol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portion of the power button may pass through the button passage hole and contact a power switch installed on the power board.

상기 리플렉터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버튼 장착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다.The reflector is formed in multiple piec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hole.

상기 버튼 장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리플렉터의 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광부가 삽입되는 도광부 홀이 형성된다.A light guiding part hol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flector and into which the light guiding part is inserted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art.

상기 도광부 홀은,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 장착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다. 상기 도광부 홀은,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인디케이션 홀과 마주한다.The light guiding hole is formed in plurality and i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hole. The light guide hole faces an indication hole formed in the rear body.

상기 도광부는, 상기 인디케이션 홀에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서 확관하여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한다.The light guiding part includes a pipe part inserted into the indication hole and an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ipe part.

상기 도광부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guid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ipe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기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 기판에는, 상기 걸림부가 후크 체결되는 장착홀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은, 상기 엘이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dicator module further includes a hooking portion formed on the reflecto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board.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holding part is hooked is formed in the power board. The mounting hole may be disposed at a point spaced upward from the L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as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모두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전면 또는 마스크 바디 이외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both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mask device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body covering the user's face, the flow resistance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let of the mask device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sk body or on a part other than the mask body. has a reducing effect.

둘째,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흡입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흡입구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별도의 커버 부재가 마스크 장치의 전면에 장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외력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inle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mask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not requiring a separate cover member to cover the inlet. Furthermore, since a separate cover member does not need to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ver member is not damaged or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셋째,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바디의 전면이 전방 또는 위를 향하도록 마스크 장치를 벗어놓으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흡입구를 통하여 마스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since the inle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body, if the mask device is removed so that the front of the mask body faces forward or upward, the phenomenon of dust or other foreign substances entering the inside of the mask device through the inlet can be minimized. there is

넷째, 마스크 장치의 엘이디에서 방출되는 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집광되고 도광부에 의해 확산이 가이드 되므로, 엘이디 광이 마스크 장치의 외부로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light emitted from the LED of the mask device is condensed by the reflector and diffusion is guided by the light guide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ED light can be stably diffus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다섯째, 전원 버튼이 장착되는 버튼 홀의 내측에는 방수를 위한 버튼 실링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전원 버튼과 버튼 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전원 기판 측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Fifth, a button sealing portion for waterproofing is provided inside the button hole where the power button is moun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oisture or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ower button and the button hole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toward the power board.

여섯째, 엘이디 광의 확산을 가이드하고 전원 버튼이 구비된 인디케이터 모듈이 전원 기판에 손쉽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Sixth, since the indicator module guiding the diffusion of LED light and equipped with a power button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ower board,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product is easy.

일곱째, 전원 버튼이 노출되는 버튼 홀과, 엘이디 광이 확산하는 인디케이션 홀이 마스크 장치의 하단에 숨겨져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 버튼과 엘이디 광이 마스크 전면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이 깔끔해지고 엘이디 광이 은은하게 확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venth, the button hole where the power button is exposed and the ind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D light diffuses are hidden an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ask device, so that the power button and LED light are not exposed to the front of the mask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mask device. do.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is neat and the LED light can be diffused sof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프런트 바디가 분리된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
도 9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이 설치된 전원 모듈이 리어 바디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상기 전원 모듈에서 분리된 인디케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의 전면 사시도.
도 13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rom which the front body is separated.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ar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body;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sk device;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sk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module with an indicator modul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ar body;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module separated from the power module;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body constituting the indicator modul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body;
1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dicator module;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dicator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런트 바디가 분리된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and FIG. 4 is a front surface of the mask device from which the front body is separated.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는, 마스크 바디(11)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이스 가드(14)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내부에 장착되는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포함한다. 1 to 4, the mask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1 and a face guard 14 fixedl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body 11. ) and an air cleaning module 30 mounted inside the mask body 11.

상세히, 상기 마스크 바디(11)는, 전면 외형을 이루는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결합되어 배면 외형을 이루는 리어 바디(13)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은 사용자(또는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한다.In detail, the mask body 11 includes a front body 12 forming a front outer shape and a rear body 1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to form a rear outer shape.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mask device 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faces the user's (or wearer's) face.

또한,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는 호흡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코와 입이 상기 호흡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게 되고, 사용자가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도 상기 호흡 공간으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face guard 14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to closely adhere to the user's face, and may be formed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breath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face guard 14, and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device 10, the user's nose and mouth are accommodated in the breathing space. Therefore, the external ai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odule 30 is guided to the breathing space, and the user inhales, and the air generated when the user exhales is also discharged into the breathing space.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리어 바디(1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각종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종 전장 부품은 상기 프런트 바디(12)에 의하여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13, and as shown in FIG. 4, various electric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In addition, the various electric components are shielded by the front body 12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형성된 수용부(133 : 도 6 참조)에 놓이는 팬 모듈(31)과,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33)를 포함한다. 상기 팬 모듈(31)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ir cleaning module 30 includes a fan module 31 placed in an accommodating part 133 (see FIG. 6) formed in the rear body 13, and a filter 33 placed behind the fan module 31. ). The fan module 31 include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in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필터(33)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 하우징(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43)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air cleaning module 30 further includes a filter housing 34 disposed behind the filter 33, and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34. The filter housing 3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13, and the intake po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intake grill 343 as shown.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필터(33)의 세 측면을 감싸는 필터 프레임(341)과, 상기 필터 프레임(341)의 배면에 형성되는 필터 커버(34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커버(342)에는 상기 흡입 그릴(343)이 포함된다.In detail, the filter housing 34 includes a filter frame 341 surrounding three side surfaces of the filter 33 and a filter cover 342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frame 341 . The filter cover 342 includes the suction grill 343 .

상기 흡입 그릴(343)은 다수의 흡입 슬릿(3431)과, 인접하는 흡입 슬릿들(343)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획 리브(3432)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43)은, 하나의 커다란 흡입구가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들(3432)에 의하여 다수의 폭이 좁고 긴 흡입 슬릿들(3431)로 분할되는 구조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폭이 좁고 긴 흡입 슬릿들(3431)은 보강 리브(3422)에 의하여 상부 슬릿과 하부 슬릿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흡입 그릴(343)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흡입구와 상기 흡입 그릴(343)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The suction grill 343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ction slits 3431 and a plurality of partitioning ribs 3432 disposed between adjacent suction slits 343 . The suction grill 343 may be understood as a structure in which one large suction po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narrow and long suction slits 3431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ribs 3432 . Also, the plurality of narrow and long suction slits 3431 may be partitioned into an upper slit and a lower slit by a reinforcing rib 3422 . Hereinafter, the intake po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device 10 for intake of external air is defined as including various types of holes including the intake grill 343, and the intake port of the mask body 11 and the suction grill 343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ame meaning.

그리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토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팬 모듈(3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 또는 흡입 그릴(343)을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와 상기 팬 모듈(31)을 차례로 통과한 뒤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된다. In addition, a discharge port 101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intake port toward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 The external air sucked in through the inlet or the intake grill 343 by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31 passes through the filter 33 and the fan module 31 in order, and then passes through the outlet 101 to the outside air. discharged into the breathing space.

상기 흡입구, 즉 흡입 그릴(343)은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343)은 상기 호흡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호흡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사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The suction port, that is, the suction grill 343 is disposed outside the face guard 14, 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disposed inside the face guard 14. That is, the suction grill 343 is located outside the breathing space, 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located inside the breathing space, so that the external air sucked in and the air exhaled by the user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동 가이드(32)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air cleaning module 30 further includes a flow guide 32 disposed behind the fan module 31 .

또한, 상기 마스크 장치(10)는, 메인 제어 모듈(15)과, 전원 모듈(16)과, 인디케이터 모듈(18)과, 무선 통신 모듈(17)과, 스피커 모듈(19)과, 배터리(20), 및 배기 밸브(2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sk device 10 includes a main control module 15, a power module 16, an indicator module 18,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a speaker module 19, and a battery 20 ), and at least one of the exhaust valve 21.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팬 모듈(31)과 상기 스피커 모듈(19) 및 후술하게 될 압력 센서와 마이크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main control module 15 is a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31, the speaker module 19, a pressure sensor and a microphone to be described later. The main control module 15 may be disposed above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다.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module 16 is a contro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 The power module 16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상기 전원 모듈(16)에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마스크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을 통하여 확산 및 가이드되어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된다. The power module 16 may be equipped with a cable connector into which a terminal of a cable for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is inserted, and an LED module used to inform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sk device 10. T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module is diffused and guided through the indicator module 18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블루투스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와 교차하는 방향, 일례로 수평하게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수평한 상태로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양 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지지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any one of various types of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Blueto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in a direction crossing the rear body 13, for example, horizont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in a horizontal state by a pair of board insertion ribs 1315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Both side end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substrate insertion ribs 1315.

상기 스피커 모듈(19)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peaker module 19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lef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하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21)는 휘어짐이 가능하고 납작한 플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battery 2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nd the exhaust valve 21 may be disposed to shield an exhaust port formed below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That is, when the user breathes out, the exhaust valve 21 opens the exhaust port, and when the user breathes in, the exhaust valve 21 may close the exhaust port. The exhaust valve 21 can be bent and provided in a flat flap shape.

여기서,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면, 후면,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됨을 밝혀둔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11 are defin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mask device 1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ront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12)는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front body 12 constituting the mask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mask device 10 .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는 별도의 부품이 장착되지 않고 매끈하게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좌측과 우측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벗어서 상기 흡입구가 위를 향하도록 놓으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마스크 장치(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The front of the front body 12 has an advantage in that it looks clean in appearance because it is made of a single body smoothly without being mounted on a separate part. When suction hol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body 12, if the mask device 10 is taken off and the suction holes face upward, foreign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mask device 10 through the suction holes. There is a downside to this high.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를 차폐하여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 사이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갭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별도의 커버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 결합되어야 하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separate cover is mounted to shield the inlet to minimiz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 gap needs to be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cov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to allow inflow of outside air. there is. That is,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separate cover must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그 결과, 상기 별도의 커버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상기 프런트 바디(12)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상기 프런트 바디(12)에는 가능하면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 별도의 부품이 추가로 장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외관상 유리할 뿐 아니라, 내구성 확보를 위해서도 유리하다. As a resul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eparate cover is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or separated from the front body 12 by being caught on a surrounding obstacle. For this reason,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appearance to design the front body 12 so that, if possible, no inlet for external air intake is formed so that a separate part is additional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ont body 12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durability.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는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커버를 포함하는 추가 부품이 전혀 장착되지 않아, 전면이 매끄럽고 연속된 단일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만, 사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일측에 스피커 홀(123)이 형성된다. In consideration of this aspect, not only is an inlet for external air intake no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no additional parts including a cover are mounted, so the front surface is smooth and It is designed to form a continuous single face. However, in order to output the user's voice to the outside, a speaker hole 1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한편,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다수의 돌기 구조가 형성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protrusion structure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상세히,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 중앙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판 고정 리브(125)가 돌출된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기판 고정 리브(125)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가장자리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면, 상기 리어 바디(13)에 장착되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detail, one or a plurality of substrate fixing ribs 125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The one or more substrate fixing ribs 125, when the edge of the front body 12 is coupled to the front edge of the rear body 13, the main control module 15 mounted on the rear body 13 ) to prevent the main control module 15 from swinging.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밸브 지지 리브(121)가 수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밸브 지지 리브(121)는, 상기 프런트 바디(12)가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될 때, 배기 밸브(21)의 상단이 위치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 밸브(21)의 전면 상단을 가압한다. 일례로, 상기 밸브 지지 리브(121)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A valve support rib 121 protrudes horizontal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The valve support rib 121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valve 21 is located when the front body 12 is coupled to the rear body 13,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exhaust valve 21 press the top For example, the valve support rib 12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extend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oint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는 상기 페이스 가드(14)가 장착되며,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전면에 마그넷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도 상기 마그넷과 인력을 작용하는 마그넷이 장착된다. 그 결과,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마그넷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In addition, a pair of magnet pressure ribs 126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In detail, the face guard 14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guard 14, and the magnet and the attraction ac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 magnet is installed to As a result, the face guard 14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이때,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상기 마그넷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 :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는 상기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에 장착되는 한 쌍의 마그넷을 각각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At this time, a pair of lower magnet mounting parts 135 (see FIG. 6) for mounting the magnet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lso, the pair of magnet pressing ribs 126 function to press the pair of magnets mounted on the pair of lower magnet mounting parts 135, respectively.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기판 가압 리브(127)가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리어 바디(13)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기판 가압 리브(127)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이 요동하거나 상기 기판 삽입 리브(1315)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In addition, a substrate pressing rib 127 that contacts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In detail, wh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13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ubstrate pressing rib 127 presses the front end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17) is not shaken or removed from the substrate insertion rib 1315.

또한, 상기 스피커홀(123)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스피커 모듈(19)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 리브(1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122)는 상기 스피커 모듈(19)의 전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둘러질 수 있다. In addition, a support rib 122 surrounding and supporting the front edge of the speaker module 19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peaker hole 123 . The support rib 122 may be surrounded b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peaker module 19 .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전원 모듈(16)의 전면을 가압하는 기판 고정 리브(124)가 돌출된다. 상기 기판 고정 리브(124)는, 상기 전원 모듈(16)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원 모듈(16)이 요동하거나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In addition, a substrate fixing rib 124 pr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ower module 16 protrude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The substrate fixing rib 124 presses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power module 16 to prevent the power module 16 from swinging or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body 13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ar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bod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13)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안면 커버부(131)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융착부(132)를 포함한다.6 and 7, the rear body 13 constituting the mask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e cover part 131 covering the user's face, and the face cover part 131 ) It includes a fused portion 132 that is bent forward at the edge of.

상세히, 상기 융착부(132)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상면 가장자리, 양 측면 가장자리, 및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면 커버부(13)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전후 방향 폭이 가장 크다. In detail, the fused portion 132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edge, both side edge edges, and lower surface edge of the face cover part 131 .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ront-and-back direction of the fused portion 132 bent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 and extending forward is the largest.

상기 융착부(132) 중,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부분은 특별히 연장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장턱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양 측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을 이룬다. Among the fused parts 132, a part formed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may be specially defined as an extended jaw. The extension jaws form a convexly rounded shape in which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creases from both side ends of the rear body 13 toward the center.

연장턱으로 정의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중앙에는 하면 배기구(1362)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 배기구(1362)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버튼홀(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홀(1321)에는 전원 버튼이 삽입된다. 상기 버튼홀(13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는 인디케이션 홀(1322)이 각각 형성된다. A bottom exhaust outlet 136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used portion 132 defined as an extended jaw, and a button hole 1321 is formed at a point spaced from the bottom exhaust outlet 1362 toward the side end of the rear body 13 can be formed A power button is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1321. Indication holes 1322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ints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utton hole 1321 .

상기 전원 모듈(16)에 실장된 발광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발광 수단은 LED 모듈을 포함한다.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mounted on the power module 16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 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n LED module.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빛이 방출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원이 온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색깔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 When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of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it may mean that the power of the mask device 10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20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

상기 버튼홀(1321)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더 이격되는 지점에는 단자 삽입구(1323)가 형성된다.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상기 단자 삽입구(1323)를 관통하여 상기 전원 모듈(16)에 형성된 단자 연결부(terminal connector)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충전되고,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버전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A terminal insertion hole 1323 is formed at a point further away from the button hole 1321 toward the side end of the rear body 13 . A USB (Universal Serial Bus) cable may pass through the terminal insertion hole 1323 and be inserted into a terminal connector formed in the power module 16 . The battery 20 is charged through the USB cable, and the version or function of the mask device 10 can be updated or upgraded by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able.

상기 리어 바디(13)에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An accommodating part 133 for accommodating the air cleaning module 30 is formed in the rear body 13 . The accommodating parts 133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accommodating parts 133 are symmetrical based o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 구체적으로 상기 팬 모듈(31)이 안착되는 안착면(1331)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측단부에서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체결면(1335)과, 상기 안착면(133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을 포함한다. The accommodating part 133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to form a space accommodating the air cleaning module 30 . The accommodating portion 133 includes a seating surface 1331 on which the air cleaning module 30, specifically, the fan module 31 is seated, and the seating surface 1331 at the side end of the face cover 131. ) and an air guide surface 1334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at the inn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또한,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상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상면(133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하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하면(1333)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133 has an upper surface 1332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air guide surface 1334, and fastening surface 1335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more includes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3 is a lower surface 1333 connecting low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more includes

상기 체결면(1335)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수단, 일례로 체결 후크가 형성된다.One or more fastening means, for example fastening hooks, are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1335 .

상기 안착면(1331)에는 팬 장착홀(1336)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1332)과 상기 하면(1334)은 수평하게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A fan mounting hole 1336 is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1331, and the upper surface 1332 and the lower surface 1334 may extend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체결면(133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되, 상기 안면 커버부(131)로부터 상기 안착면(1331)으로 갈수록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surface 1335 is convexly roun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ear body 13, and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from the face cover part 131 to the seating surface 1331. can be formed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안착면(1331)으로부터 상기 안면 커버부(131)를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팬 모듈(3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을 따라 상기 토출구(101) 쪽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air guide surface 1334 extends convexly and roundly from the seating surface 1331 toward the face cover part 131, so that the air sucked by the fan module 31 passes through the air guide surface 1334. ) may be designed to be gently guid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01.

다른 예로서,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안착면(1331)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를 평평하되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ir guide surface 1334 connects a round part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inn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and the face cover part 131 at the end of the round part flat but inclined It may consist of an inclined part.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수용부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된다. The accommodating part 133 includes a left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lef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and a right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are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attery 20 is mounted in a space between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는,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와, 배터리 지지 리브(1382)를 포함한다. A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In detail,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includes a pair of battery seating ribs 1381 and a battery supporting rib 1382 .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또는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는 상기 배터리(20)의 배면을 지지한다. The pair of battery seating ribs 1381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or from the edge of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extend in parallel in a vertical direction. The pair of battery seating ribs 1381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20 .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의 일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extends from either side of the left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right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other end extends from the left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right air guide surface 1334.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urface 1334.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는 n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배터리(20)의 전면과 양 측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has an n-shape and supports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attery 20 . Accordingly, a phenomenon in which the battery 20 is separated from the rear body 13 by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의 중심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크기가 다른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protrudes forward so that batteries of different sizes can be selectively mounted.

상세히,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는,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면(1334)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includes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forward from the pair of air guide surfaces 1334 and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connect the pair of extensions. can be explained as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가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와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배터리를 지지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두께가 두꺼운 배터리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described tha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forward so that the battery support rib 1382 includes a first battery support portion 1382a and a second battery support portion 1382b. In detail, the first battery support portion 1382a may be used to support a battery that is relatively wide and thin, and the second battery support portion 1382b may be used to support a battery that is relatively narrow and thick.

상기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는, 상기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n자 형상의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의 전면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n자 형상의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second battery support portion 1382b may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constituting the first battery support portion 1382a forward multiple times. Alternatively, it may be described that the relatively small n-shaped second battery support 1382b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latively large n-shaped first battery support 1382a.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배기 유로 가이드(136)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장착된 배터리(20)의 하단부가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An exhaust passage guide 136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 In detail, the exhaust passage guide 136 is formed below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and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20 mounted in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passage guide 136. do.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20 from falling downward due to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2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대략 터널 형태의 종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에는 전면 배기구(136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passage guide 136 may form a substantially tunnel-shaped longitudinal section, and a front exhaust port 1361 may be formed in the face cover part 131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of the exhaust passage guide 136.

상기 전면 배기구(1361) 및 상기 하면 배기구(1362)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그릴 또는 구획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작은 배기구로 분할되는 배기 그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배기구(1361)는 상기 배기 밸브(2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At least one of the front exhaust port 1361 and the bottom exhaust port 136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xhaust gril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exhaust ports by a plurality of grills or partition ribs. Also, the front exhaust port 136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exhaust valve 21 .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중앙 상단에는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하단에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가 형성된다.An upper magnet mounting part 134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and a pair of lower magnet mounting parts 135 ar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상세히,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는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에 장착되는 마그넷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 : 도 5 참조)에 의하여 가압된다. In detail, the lower magnet mounting part 135 is formed on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exhaust passage guide 136, respectively. And, the magnet mounted on the lower magnet mounting part 135 is pressed by the pair of magnet pressing ribs 126 (see FIG. 5)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스트랩 연결부(137)가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또는 밴드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 상부와 하부, 우측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Strap connection parts 137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In detail, the strap connection part 137 is a part to which the end of a strap or band that is caught on the user's ear or surrounds the user's back of the head is connected. The strap connection part 137 is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eft end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ight end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우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걸리도록 할 수 있다. Both ends of one of the pair of straps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strap connection parts 137 provided at upper and lower left ends, and both ends of the other strap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strap connection parts 137 provided at upper and lower right sides. there is. Then, the pair of straps can be hung on both ears of the user.

다른 방법으로서,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후두부에 둘러질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both ends of either one of the pair of straps are connected to the strap connecting parts 137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ends,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other strap are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lower right strap connecting parts ( 137) can be connected to each. Then, the pair of straps can be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user's head.

상기 네 개의 스트랩 연결부(137)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함몰되되, 가로 방향(리어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홈(1373)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1374)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스트랩 바(1372)와, 상기 스트랩 홀(1374)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방수 리브(1371)를 포함한다. Each of the four strap connection parts 137 is recess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rear body), and one of the strap grooves 1373 A strap hole 1374 formed at a point, a strap bar 1372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ap groove 137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trap hole 1374 It includes a tubular waterproof rib 1371 extending from.

한편,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가 형성된다.Meanwhile, a main control module mounting portion 139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고정 후크(1391)와, 상기 메인 제어 모듈(13)의 배면을 지지하는 기판 안착 리브(1393) 및 기판 지지 리브(139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main control module mounting part 139 includes a substrate fixing hook 139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and a substrate seating rib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control module 13 ( 1393) and substrate support ribs 1392.

상세히, 상기 기판 고정 후크(1391)는, 상기 수용부(133)의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와,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고정 후크(1391b)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substrate fixing hook 1391 is located between a pair of first substrate fixing hooks 1391a positioned above the accommodating portion 133 and the pair of accommodating portions 133 facing each other. A pair of second fixing hooks 1391b may be included.

상기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는, 좌측 수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과, 우측 수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좌측 및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The pair of first substrate fixing hooks 1391a may be disposed at a point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The pair of first substrate fixing hooks 1391a serve to fix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의 내측 상단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중 어느 하나는, 우측 수용부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중 다른 하나는, 좌측 수용부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substrate fixing hooks 1391b may be locat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inner upper ends of the pair of accommodating parts 133 . In detail, one of the pair of second substrate fixing hooks 1391b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an upper edge of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meet. Als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second substrate fixing hooks 1391b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an upper edge of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meet.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The pair of second board fixing hooks 1391b serve to fix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board constituting the main control module 15 .

그리고, 상기 기판 안착 리브(1392)는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의 하단부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strate seating rib 1392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art 131 between the pair of second substrate fixing hooks 1391b, and controls constituting the main control module 15.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supported.

또한,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상단부 배면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전단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와 기판 안착 리브(1393)에 의하여 상기 안면 커버부(13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놓이고, 상기 기판 고정 후크(1391)에 의하여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may be supported by the front end of the upper magnet mounting part 134 . The main control module 15 is plac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ace cover part 131 by the upper magnet mounting part 134 and the substrate mounting rib 1393, and is shaken by the substrate fixing hook 1391. There is an effect of being s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13 without

한편,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상부 중앙에는 압력 센서 장착부(또는 호흡 센서 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후술함)는 상기 페이스 가드(14) 내측에 정의되는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즉,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숨을 들이쉬는 중인지 내쉬는 중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호흡 센서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용어는 다르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a pressure sensor mounting portion (or respiration sensor mount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the front upper center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 A pressure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mounted on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senses the pressure inside the breathing space defined inside the face guard 14 .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inhaling or exhal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pressure inside the breathing space. The pressure sensor may also be defined as a respiration sensor,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sensor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even though the terms are different.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제공되되,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에 장착되면,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배면에 실장된 압력 센서(또는 호흡 센서)가 위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에 장착되면,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전단부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제어 기판 배면에 밀착된다.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nd when the main control module 15 is mounted on the main control module mounting part 139,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It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pressure sensor (or respiration sensor) mounted on is located. Therefore, when the main control module 15 is mounted on the main control module mounting part 139, the pressure sensor is accommodated in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Also, the front end of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

또한,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바닥을 정의하는 부분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하면에는 통공(130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301)에 의하여,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상기 페이스 가드(14)에 의하여 정의되는 호흡 공간과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통공(1301)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에 수용된 상기 압력 센서에서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된 압력값은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마이콤(후술함)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호흡 상태가 판단된다. In addition, a portion defining the bottom of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ortion 130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body 13, and a through hole 130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ward protruding por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1301, the breathing space defin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and the face guard 14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a part of the air generated when the user exhales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1 .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mmodated in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ortion 130 senses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ortion 130 . And, the sensed pressur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and the user's breathing state is determined.

한편,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는 마그넷 장착홈(1314)이 각각 형성된다.Meanwhil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magnet mounting part 13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pair of lower magnet mounting parts 135, Magnet mounting grooves 1314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1 마그넷 장착홈(1311)과,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2 마그넷 장착홈(1312) 및 제 3 마그넷 장착홈(1313)을 포함한다. The magnet mounting groove 1314 includes a first magnet mounting groove 1311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magnet mounting part 134 and a second magnet mounting groov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magnet mounting part 134. 1312 and a third magnet mounting groove 1313.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그넷 장착홈(1311 ~ 1313)에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에 장착된 세 개의 마그넷이 각각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자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잡아당기면,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다. The three magnets mounted on the face guard 14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to third magnet mounting grooves 1311 to 1313 by magnetic force. 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face guard 14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the face guard 1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ar body 13 .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안착면(1331)에는 팬 장착홀(13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장착홀(1336)로부터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동 가이드 체결홀(1331a)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32)는 상기 유동 가이드 체결홀(133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133)에 고정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fan mounting hole 1336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1331 constituting the accommodating part 133 . In addition, one or more flow guide fastening holes 1331a are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fan mounting hole 1336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 The flow guide 32 is fixed to the accommodating part 133 by a fastening member penetrating the flow guide fastening hole 1331a.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체결면(1335)에는 유동 가이드 후크(1339)와 필터 후크(1338)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 후크(1338)보다 상기 유동 가이드 후크(1339)가 상기 안착면(1331)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flow guide hook 1339 and the filter hook 133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astening surface 1335 constituting the accommodating part 133. The flow guide hook 1339 is located closer to the seating surface 1331 than the filter hook 1338 .

그리고, 상기 필터 후크(1338)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 측단에는 파지홈(1337)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융착부(132)와, 상기 체결면(1335)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파지홈(1337)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In addition, a gripping groove 1337 is formed at the side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filter hook 1338. In detail,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gripping groove 1337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fused portion 132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mee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devic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서 상기 팬 모듈(31)을 작동시키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배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흡입 그릴(343)(또는 흡입구)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8 and 9,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to operate the fan module 31,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grill 343 (or suction port)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device 10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sk device 10 .

상기 흡입 그릴(343)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모듈(31)의 축 방향으로 흡입된 후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grill 343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33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3 is sucked i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31 and then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팬 모듈(31)의 전면은,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면(1331)에 안착되고, 상기 팬 모듈(31)의 배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기 팬 모듈(31)의 배면은 상기 유동 가이드(32)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32)에는 상기 팬모듈(31)의 흡입구로 기능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팬 내부로 유입된다.As shown in FIG. 8 ,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module 31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33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an module 31 is open. Also, the open rear surface of the fan module 31 is shielded by the flow guide 32, and a communication hole functioning as a suction port of the fan module 31 is formed in the flow guide 3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33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introduced into the fan.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측면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 사이에 에어 덕트(102)가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덕트(102)의 입구는 상기 팬 모듈(31)의 출구(또는 토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에어 덕트(102)의 출구는 상기 토출구(101)와 연통한다. In addition, an air duct 102 is defin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low guide 32 and the air guide surface 1334. Also, the inlet of the air duct 10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or outlet) of the fan module 31 , and the outlet of the air duct 10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101 .

그리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호흡 공간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팬 모듈(31)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흡입 가능하게 한다.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located in the breathing space defin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face guard 14 and the rear body 13 . Therefore, the outside air sucked in by the fan module 31 is discharged to the breathing space, allowing the user to inhale.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면(1334)은 상기 팬 모듈(31)의 출구로부터 상기 토출구(101)를 향하여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팬 모듈(31)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101)를 향하여 흐르는 과정에서 유동 방향의 급격한 전환이 없다.Also, the air guide surface 1334 is formed to be gently rounded from the outlet of the fan module 31 toward the discharge port 101, so that the air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31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 ), there is no abrupt change in flow direction during the flow.

상세히, 원심팬의 경우,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은 원추형(cone) 또는 절단된 원추형(truncated cone) 허브의 형상에서 기인한다. 즉,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허브의 라운드진 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 방향이 90도로 전환된다. In detail, in the case of a centrifugal fan, the intak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in the radial direction result from the shape of the hub, which is a cone or a truncated cone. That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sucked i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is smoothly changed at 90 degrees along the rounded surface of the hub.

여기서, 상기 팬 모듈(31)을 구성하는 허브의 라운드지는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라운드지는 방향이 같기 때문에, 팬 모듈(31)로 흡입되는 공기는 한 방향으로만 부드럽게 유동 전환을 하게 된다. Here, since the rounding direction of the hub constituting the fan module 31 and the rounding direction of the air guide surface 1334 are the same, the air sucked into the fan module 31 is smoothly switched in only one direction. will do

만일, 상기 흡입 그릴(343)이 상기 프런트 바디(12)에 형성된다면, 상기 팬 모듈(31)의 흡입구는 상기 프런트 바디(12)를 향하게 되고, 그 결과, 팬 모듈을 구성하는 허브의 라운드지는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라운드지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그 결과, 상기 팬 모듈(3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102)의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시작 부분에 부딪혀서 유동 저항 및 유동 소음을 발생시킨다. If the suction grill 343 is formed on the front body 12, the suction port of the fan module 31 faces the front body 12, and as a result, the roundness of the hub constituting the fan module The direction and the rounding direction of the air guide surface 1334 are opposite. As a resul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31 collides with the beginning of the air guide surface 1334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air duct 102 to generate flow resistance and flow noise.

즉, 상기 팬 모듈(31)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S 자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게 되어, C 자 또는 n 자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는 본 발명 구조에 비하여 유동 손실이 크게 된다. That is, the air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31 substantially forms an S-shaped flow, resulting in a greater flow loss tha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rms a C- or n-shaped flow.

한편, 사용자가 내쉴 때 사용자의 입과 코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인 공기의 미세한 일부는 상기 통공(1301)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부로 유입된다. Meanwhile, when the user exhales, air discharged through the user's mouth and nose is collected in the breathing space. Also, a minute portion of the air collected in the breathing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sensor mounting part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301 .

그리고,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인 공기의 대부분은 하강하여 상기 전면 배기구(1361) 및 상기 하면 배기구(136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배기 밸브(20)가 전방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가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상기 배기 밸브(20)가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를 차폐하게 된다.And, most of the air collected in the breathing space descend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exhaust port 1361 and the bottom exhaust port 1362. Here, the front exhaust port 1361 is opened as the exhaust valve 20 is bent forward by air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exhales. Also, when the user breathes in, the pressure inside the breathing space becomes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exhaust valve 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shielding the front exhaust port 136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이 설치된 전원 모듈이 리어 바디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전원 모듈에서 분리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ask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wer module with an indicator module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rear body,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module separated from the power module.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body constituting the indicator module,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body, FIG. 1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indicator module, and FIG. 15 is a combination of the indicator module. A partial cross-section showing the structure.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우측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상기 전원 모듈(16)의 기판 상에 조립되어 결합된다.10 to 15, the power module 16 is dispos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nd the indicator module 18 is assembled on the board of the power module 16 and coupled do.

상세히, 상기 전원 모듈(16)은, 전원 기판(161)과, 상기 전원 기판(161)의 전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은, 단자 연결부(162)와, 커넥터(163)와, 전원 스위치(164) 및 엘이디(165,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power module 16 includes a power board 161 and 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wer board 161 . The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include at least one of a terminal connection part 162, a connector 163, a power switch 164, and LEDs 165 and 166.

상기 단자 연결부(162)는, 외부로부터 USB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200)가 충전되거나,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버전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The terminal connection part 162 is for charging the battery 200 by inserting a USB cable from the outside or updating or upgrading the version or function of the mask device 10 by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able. function as an interface.

상기 커넥터(163)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피시비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nector 163 connects the PCB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to supply power to the main control module 15 .

상기 전원 스위치(164)는, 상기 버튼 홀(1321)에 장착되는 전원 버튼(183)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164)는 상기 전원 기판(161)의 좌측 하단에 실장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164 is turned on or off by a power button 183 mounted in the button hole 1321 . The power switch 164 may be mounted on a lower left side of the power board 161 .

상기 전원 스위치(164)가 상기 전원 버튼(183)의 조작에 의해 온 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원 버튼(183)의 조작에 의해 오프 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When the power switch 164 is turned on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183, power is supplied to electric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and when it is turned off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183 ,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is cut off.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외부로 빛을 방출한다.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을 통하여 확산 및 가이드되어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결합되면,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에 의해 차폐되거나,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LEDs 165 and 166 emit light to the outside to inform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sk device 10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is diffused and guided through the indicator module 18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 When the indicator module 18 is coupled to the power board 161, the LEDs 165 and 166 are shielded by the indicator module 18 or accommodated inside the indicator module 18.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 1 엘이디(165)와,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 2 엘이디(166)를 포함한다.The LEDs 165 and 16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wer switch 164 . The LEDs 165 and 166 include a first LED 165 spaced to the right of the power switch 164 and a second LED 166 spaced to the left.

또한, 상기 전원 기판(161)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67,16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의 일부분이 후크 방식으로 걸림 결합되는 부분이다.In addition, mounting holes 167 and 168 for mounting the indicator module 18 are formed in the power board 161 .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are portions to which a portion of the indicator module 18 is engaged in a hook manner.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 1 장착홀(167)과,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 2 장착홀(16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장착홀(167)은 상기 제 1 엘이디(165)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장착홀(168)은 상기 제 2 엘이디(166)의 상측으로 이격된다.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wer switch 164 .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include a first mounting hole 167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of the power switch 164 and a second mounting hole 168 spaced apart from the left side of the power switch 164 . The first mounting hole 167 is spaced above the first LED 165 ,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168 is spaced above the second LED 166 .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상기 전원 기판(161)에 장착되며 상기 엘이디(165,166)의 빛을 집광시켜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확산 및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The indicator module 18 is mounted on the power board 161 and serves to diffuse and guide the light from the LEDs 165 and 166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인디케이터 바디(181)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의 저면 내측에 삽입되는 버튼 실링부(182)와,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내측에 삽입되는 전원 버튼(183)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광부(184)를 포함한다.The indicator module 18 includes an indicator body 181, a button sealing portion 182 insert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icator body 181, and a power button inserted inside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 183) and a light guide part 184 inserted into the indicator body 18.

상세히,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는, 베이스(1811)와, 상기 베이스(18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버튼 장착부(1812)와,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플렉터(18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는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1816,18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indicator body 181 includes a base 1811, a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one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respectively. It includes a pair of reflectors 1815. In addition, the indicator body 181 may further include hooking parts 1816 and 1817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reflectors 1815 .

상기 베이스(181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811)의 중심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이 통과하는 버튼 통과홀(1818)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 버튼(183)이 가압되면, 상기 전원 버튼(183)이 상기 버튼 통과홀(1818)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할 수 있다.The base 1811 is formed in a shap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enter of the base 1811 may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power switch 164 .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 button passage hole 1818 through which the power button 183 passes is formed. When the power button 183 is pressed, the power button 183 may pass through the button passage hole 1818 and contact the power switch 164 .

상기 버튼 장착부(1812)는, 상기 베이스(1811)의 저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중심은, 상기 베이스(1811)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중심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되는 버튼 장착홈(1813)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은 상기 버튼 통과홀(1818)과 연결된다.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811. In this case, th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may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base 1811. At th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a button mounting groove 1813 into which the power button 183 is inserted is formed.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is connected to the button passage hole 1818.

또한,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는, 상기 도광부(184)가 삽입되기 위한 도광부 홀(1814)이 형성된다.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까지 관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ight guiding part hole 1814 into which the light guiding part 184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art 1812 . The light guide portion hole 1814 may be formed to penetrat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 In this case, the light guide hole 1814 may penetrat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art 1812 to the top surface of the base 1811 .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도광부 홀(1814)은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과 각각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hole 1814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respectively. The pair of light guide holes 1814 may face and be connected to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엘이디(165,166)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방출하는 빛을 집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서 상기 버튼 통과홀(1818)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reflector 1815 functions to condens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by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Ds 165 and 166 . The reflectors 1815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based on the button passage hole 1818 .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고, 전면과 양측면 및 상면은 폐쇄되고 배면은 개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결합되면,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1815)의 수용공간은, 상기 도광부 홀(1814)과 연결된다.The reflector 1815 may extend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ront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the upper surface are closed and the rear surface is open. Also, when the indicator module 18 is coupled to the power board 161, the LEDs 165 and 166 may be disposed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reflector 1815.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flector 1815 is connected to the light guiding part hole 1814 .

상기 걸림부(1816,1817)는, 상기 리플렉터(1815)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167,168)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1816,1817)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816)와, 상기 연장부(1816)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1817)를 포함한다.The hooking parts 1816 and 1817 are formed on the reflector 1815 and coupled to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 The hooking parts 1816 and 1817 include an extension part 1816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1815 and a hook part 1817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1816.

상기 연장부(1816)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후크부(1817)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부(1817)는, 한 쌍의 장착홀(167,168)에 각각 후크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1816 may extend back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1815, and the hook part 1817 may be provided at an end thereof. The pair of hook parts 1817 are hooked to the pair of mounting holes 167 and 168, respectively, so that the indicator module 18 can be stably fixed to the power board 161 without shaking.

한편, 상기 버튼 실링부(182)는, 내측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 바디(1821)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내측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버튼 장착홈(1813)에 장착된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tton sealing part 182 includes a sealing part body 1821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ower button 183 is inserted. The sealing part body 1821 is mounted in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of the button mounting part 1812 in a state where the power button 183 is inserted therein. The sealing part body 1821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The sealing body 1821 may be formed of rubber or silicon.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삽입 공간은,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실링부(182)가 상기 버튼 장착홈(1813)에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저면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과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The insertion space of the sealing body 1821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body 1821 . When the button sealing part 182 is inserted into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art body 1821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art 1812 without a step.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전원 버튼(183)과 상기 리어 바디(13)의 버튼 홀(132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상기 전원 기판(1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버튼 홀(132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버튼 홀(1321)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기판(161)에 실장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방수 처리되고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sealing body 1821 prevents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ower button 183 and the button hole 1321 of the rear body 13 from flowing into the power board 161 side. function. To this end, the sealing body 1821 is disposed to face the button hole 1321 and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button hole 1321 . Therefore,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power board 161 can be waterproofed and protect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 보스(182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보스(1822)는, 내부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상면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rough boss 1822 through which a part of the power button 183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1821 . The penetrating boss 1822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ower button 183 passes,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1821 .

상기 관통 보스(1822)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버튼(183)이 가압되면, 상기 전원 버튼(183)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 보스(1822)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할 수 있다.The through boss 1822 is disposed facing the power switch 164 . Accordingly, when the power button 183 is pressed, a portion of the power button 183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boss 1822 and contact the power switch 164 .

상기 전원 버튼(183)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홀(1321)을 통과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power button 183 may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that operates the power switch 164 by being pressed by a user. The power button 183 may pass through the button hole 1321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while being inserted inside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버튼(183)과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button 183 may be installed elastically between the button sealing part 182 and the rear body 13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an elastic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wer button 183 and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spring.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 바디(1831)와, 상기 버튼 바디(183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하는 버튼 돌기(18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button 183 includes a button body 1831 mounted on the button sealing part 182 and pressed by a user, and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tton body 1831 to contact the power switch 164. A button protrusion 1832 may be included.

상기 버튼 돌기(1832)는, 상기 버튼 바디(1831)의 상면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돌기(1832)는 상기 관통 보스(1822)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 바디(1831)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버튼 돌기(1832)가 상기 관통 보스(1822)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할 수 있다. The button protrusion 183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body 1831 . The button protrusion 1832 may face the through boss 1822 . Accordingly, when the button body 1831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button protrusion 1832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boss 1822 and contact the power switch 164 .

상기 도광부(184)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방출되는 광이 퍼지지 않고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도광부(184)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리플렉터(1815)의 내측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도광부(184)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장착되고 일부분이 상기 도광부 홀(1814)에 삽입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art 184 is inserted into the indicator body 181 and serve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toward the indication hole 1322 without spreading. The light guiding parts 184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accommodated inside the pair of reflectors 1815, respectively. The light guiding part 18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a part thereof may be inserted into the light guiding part hole 1814 .

상세히, 상기 도광부(184)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에 삽입되는 관부(1841)와, 상기 관부(1841)의 상단에서 확관되어 연장되는 연장관(1842)과, 상기 연장관(184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843)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light guide part 184 includes a pipe part 1841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serted into the indication hole 1322, an extension pipe 1842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pipe part 1841, and the A fixing part 1843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tube 1842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may be included.

상기 관부(1841)의 중심은,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1842)은, 상기 도광부 홀(1814)의 내경과 대응하는 면적의 외경을 가지며, 상기 도광부 홀(1814)에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843)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165,16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843)에는 상기 연장관(1842)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다.A center of the pipe part 1841 may coincide with a center of the indication hole 1322 . The extension pipe 1842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light guide hole 1814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light guide hole 1814 at an upper end. The fixing part 184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EDs 165 and 166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 At this time,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xtension pipe 1842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1843 .

따라서,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1815)에 의해 집광되어 상기 도광부(184)의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부(184)를 통과한 광은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을 통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확산되어 방출된다.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is condensed by the reflector 1815 and guided into the light guide part 184 .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art 184 is diffus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through the indication hole 1322 and emitted.

Claims (15)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호흡 공간이 형성되는 페이스 가드;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 클리닝 모듈;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설치되며, 엘이디가 실장되는 전원 기판; 및
상기 전원 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를 커버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엘이디가 수용되는 리플렉터를 형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방출하는 광이 통과하는 도광부;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프런트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버튼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 mask body including a rear body and a front bod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face guar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nd having a breathing space formed therein;
an air cleaning module mounted on the rear body to purify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and supply it to the breathing space;
a power board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on which LEDs are mounted; and
An indicator module installed on the power board and covering the LED,
The indicator module,
An indicator body forming a reflector in which the LED is accommodated;
a light guiding unit inserted inside the indicator body and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sses; and
A mask device comprising a power button coupled to the indicato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는,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전원 버튼이 장착되는 버튼 장착홀이 형성된 버튼 장착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body,
a base supporting the reflector;
A mask device comprising a button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button mounting hole in which the power button is moun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버튼 장착홀에 삽입되는 버튼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dicator module,
Mask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utton sea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button mounting ho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버튼은, 상기 버튼 실링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button is a mask device inserted inside the button seal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버튼은, 상기 버튼 실링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버튼 홀에 끼워지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power button is inserted into a button hole formed in the rear bod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utton seal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버튼 장착홀과 연결되는 버튼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 버튼의 일부는, 상기 버튼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 기판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와 접촉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button passage hole connected to the button mounting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 portion of the power button passes through the button passage hole and contacts a power switch installed on the power 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버튼 장착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reflector is formed in pluralit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hole,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장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리플렉터의 내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광부가 삽입되는 도광부 홀이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mask device having a light guiding part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eflector, and into which the light guiding part is inser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 홀은, 다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버튼 장착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light guide hole is formed in plurality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 홀은,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인디케이션 홀과 마주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light guiding part hole faces the indication hole formed in the rear bod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인디케이션 홀에 삽입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단부에서 확관하여 연장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light guide part,
A pipe part inserted into the indication hole;
A mask device comprising an extension pip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pipe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light guiding part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ipe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리플렉터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기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module further comprises a hooking portion formed on the reflecto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substr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기판에는, 상기 걸림부가 후크 체결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A mask device in which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engaging portion is hooked is formed in the power boar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엘이디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되는 마스크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unting hole is a mask device disposed at a point spaced upward from the LED.
KR1020210093991A 2021-07-19 2021-07-19 Mask apparatus KR102600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91A KR102600006B1 (en) 2021-07-19 2021-07-19 Mas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91A KR102600006B1 (en) 2021-07-19 2021-07-19 Mask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346A true KR20230013346A (en) 2023-01-26
KR102600006B1 KR102600006B1 (en) 2023-11-09

Family

ID=8511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991A KR102600006B1 (en) 2021-07-19 2021-07-19 Mask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0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579A (en) * 2009-06-19 2010-12-29 한라공조주식회사 Side light lamp used push-lock switch
EP3398657A1 (en) 2015-12-29 2018-11-07 Han, Ga Hyun Harmful-substance-blocking health mask using air curtain
KR20200080111A (en)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CN212593564U (en) * 2020-07-01 2021-02-26 上海靖盛防护用品有限公司 Clamp including HUD head-up display system and respirator mask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6579A (en) * 2009-06-19 2010-12-29 한라공조주식회사 Side light lamp used push-lock switch
EP3398657A1 (en) 2015-12-29 2018-11-07 Han, Ga Hyun Harmful-substance-blocking health mask using air curtain
KR20200080111A (en)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ask apparatus
CN212593564U (en) * 2020-07-01 2021-02-26 上海靖盛防护用品有限公司 Clamp including HUD head-up display system and respirator mas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006B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354B1 (en) Mask apparatus
CN115634383B (en) Mask device
KR102600006B1 (en) Mask apparatus
KR102494130B1 (en) Mask apparatus
KR102498506B1 (en) Mask apparatus
KR102475624B1 (en) Mask apparatus
KR102531989B1 (en) Mask apparatus
KR102498505B1 (en) Mask apparatus
KR20230013352A (en) Mask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21067B1 (en) Mask apparatus
KR102653008B1 (en) Mask apparatus
KR102631285B1 (en) Mask apparatus
KR102611200B1 (en) Mask apparatus
US20240042250A1 (en) Mask apparatus
KR102497328B1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0A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3A (en) Mask apparatus
KR20230013491A (en) Mask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65390B1 (en) Mask apparatus
KR102497331B1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5A (en) Mask apparatus
KR20230013364A (en) Mask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013320A (en) Mas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