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183A - Mask apparatus - Google Patents

Mask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183A
KR20240018183A KR1020220096138A KR20220096138A KR20240018183A KR 20240018183 A KR20240018183 A KR 20240018183A KR 1020220096138 A KR1020220096138 A KR 1020220096138A KR 20220096138 A KR20220096138 A KR 20220096138A KR 20240018183 A KR20240018183 A KR 20240018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ask
filter
guide
r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영철
안동권
안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183A/en
Publication of KR2024001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1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프런트 바디와, 상기 프런트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수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배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배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필터; 및 상기 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덮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바디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스트랩이 걸리는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는 스트랩 홈; 상기 스트랩 홈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 상기 스트랩 홈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 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스트랩 바; 및 상기 스트랩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방수 슬리브에 끼워지는 실링캡을 더 포함한다.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body, a rear body coup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and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protruding forward, and a mask body each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med on the back. ; A fan module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a flow guide mounted on the back of the fan module; a filter detachably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a filter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and covering the filter, wherein a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 parts for holding strap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rear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 parts is, a strap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body; a strap hole formed in the strap groove; a strap ba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ap groove and spaced rearward from the strap hole; and a waterproof sleeve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rear body along an edge of the strap hole, and the mask body further includes a sealing cap fit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Description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Mask apparatus {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device.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병균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배출되는 바이러스 또는 구취가 주위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생 용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A mask covers the user's nose and mouth to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germs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when the user breathes in, and prevents viruses or bad breath released when the user exhales from spreading to people around them. It can be defined as a sanitary product that can minimize

최근에는, 확산성과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가 창궐함에 따라 전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개인은 안전을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Recently, as highly spreadable and contagious viruses are rampant, individuals are being recommended to wear masks when going out for safety reasons in order to minimize contagion.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마스크가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마스크 착용자의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터 모듈이 장착된 마스크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Currently, various types and types of masks are being released on the market, and in particular, many masks equipped with filter modules are being sold to minimiz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rom directly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mask wearer.

또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마스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팬이 장착된 마스크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 Additionally, many masks equipped with fans are sold to facilitat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mask when the user inhales or exhales.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마스크를 비롯한 종래의 마스크는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걸러진 다음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도록 한다.Conventional masks, including the mask disclosed in the prior art below, are equipped with a filter to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then allow them to flow into the user's respiratory tract.

또한,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형성되는 호흡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수단과, 상기 압력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팬 모듈이 마스크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상태로 호흡하도록 도와준다. In addition, the mask is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ing means that detects the pressure of the breathing space formed between the mask and the user's face, and a fan module whose rotation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pressu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ing means,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ask. It helps you breathe comfortably even while wearing it.

그러나,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공개되어 있는 마스크의 대부분은 마스크의 전면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마스크의 배면,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가까운 지점에 해당하는 마스크의 배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마스크의 전면이라 함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마스크의 배면이라 함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However, most of the masks currently on the market and disclosed have an air intake port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sk, and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back of the mask, specifically at a point close to the user's mouth or nose. It forms a structure. Here, the front of the mask refers to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ack of the mask refers to the part tha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상세히, 마스크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는 마스크의 중앙에 가까운 전면 또는 양 측단에 가까운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마스크의 양 측단에 가까운 전면에 형성된다.In detail, the air intake port formed in the mask is gener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close to the center of the mask or on the front side close to both side ends, and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close to both side ends of the mask.

이와 같이 공기 흡입구는 마스크의 전면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마스크의 배면에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외부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고 팬과 필터를 통과한 뒤 공기 토출구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로 토출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공기의 유동 전환이 과도하게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structure, where the air intake por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sk and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ask, when outside air flows into the mask, passes through the fan and filter, and is then discharged into the user's respiratory tract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cessive air flow conversion occurs in the process up to this point.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전환 횟수가 많아질 수록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팬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팬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팬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the number of flow transitions of the inhaled air increases, the flow resistance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load on the fan increases. Additionally, as the load on the fan increases, a problem occurs in which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fan increases.

뿐만 아니라,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전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유동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flow transitions of the inhaled air increases, the problem of increased flow noise occurs.

또한, 공기 흡입구가 마스크의 전면에 배치되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마스크를 벗어서 공기 흡입구가 위를 향하거나 앞을 향하는 상태로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users who wear masks with the air intake port located on the front of the mask often take off the mask and leave the air intake port facing upward or forward, so the possibility of dust enter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is relatively high. There are high disadvantages.

또한, 공기 흡입구가 마스크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착용 시 외관이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air intake port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mask, its appearance may give an unfavorable impression when worn.

또한,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거나 뛸 때, 사용자의 전방에 떠 있는 이물질 또는 날파리가 흡입구로 바로 유입되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짧아져서 필터의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alks or runs while wearing a mask devi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or flies floating in front of the user will flow directly into the intake port, so the lifespan of the filter is shortened,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shortening the filter replacement cycle. there is.

또한, 공기 흡입구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구 커버가 장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나 충격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 커버가 마스크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an inlet cover may be installed to prevent the air inle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let cover may be separated from the mask or damaged due to external force or impact.

또한,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에 형성되지 않고,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구조, 예컨대, 마스크 바디의 측면에 분리 또는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에어 클리닝 모듈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구조의 경우, 에어 클리닝 모듈로 흡입된 공기가 마스크 바디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까지 도달하는 동안 유동 저항이 현저히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is not formed in the mask body, but is formed in another par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is formed in a separate air cleaning module that is separably or fold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mask body, the air cleaning modu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low resistance increases significantly while the sucked air reaches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sk body.

EP3398657A(2021년04월21일)EP3398657A (April 21, 20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disadvanta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프런트 바디와, 상기 프런트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수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배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배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필터; 및 상기 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덮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바디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스트랩이 걸리는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는 스트랩 홈; 상기 스트랩 홈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 상기 스트랩 홈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 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스트랩 바; 및 상기 스트랩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방수 슬리브에 끼워지는 실링캡을 더 포함한다.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ront body, a rear body coup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and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protruding forward, and an intake port on the back. a mask body in which a and discharge ports are formed respectively; A fan module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a flow guide mounted on the back of the fan module; a filter detachably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a filter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and covering the filter, wherein a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 parts for holding strap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rear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 parts is, a strap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body; a strap hole formed in the strap groove; a strap ba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ap groove and spaced rearward from the strap hole; and a waterproof sleeve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rear body along an edge of the strap hole, and the mask body further includes a sealing cap fit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상기 실링캡은, 상기 방수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슬리브의 단부에 걸리는 캡 커버를 포함한다.The sealing cap includes a cap body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and a cap cover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cap body and hooked to an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상기 방수 슬리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실링캡의 삽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opper protrusion that sets an insertion limit of the sealing cap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proof sleeve.

상기 방수 슬리브는, 상기 실링캡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proof slee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a form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the sealing cap is inserted.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상기 프런트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방수 슬리브의 단부는 상기 프런트 바디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front body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ody, the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ont body.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상기 흡입구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홀들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holes of different sizes.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ask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모두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전면 또는 마스크 바디 이외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First, since bot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mask device are formed on the back of the mask body that covers the user's face, the flow resistance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inlet of the mask device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sk body or other parts other than the mask body. It has a reducing effect.

둘째,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흡입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흡입구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별도의 커버 부재가 마스크 장치의 전면에 장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외력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Second, since the inle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mask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ver member to cover the inlet. Furthermore,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ver member to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sk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cover member from being damaged or separated due to external force.

셋째,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바디의 전면이 전방 또는 위를 향하도록 마스크 장치를 벗어놓으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흡입구를 통하여 마스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inle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ask body, if you take off the mask device with the front of the mask body facing forward or upward, you can minimize the phenomenon of dust or othe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mask device through the inlet. There is.

넷째,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전면이 깔끔하게 처리되어, 구매자자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Fourth, since the inle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mask body, the front of the mask device is neatly processed, which has the additional effect of increasing buyers' desire to purchase.

다섯째, 필터 하우징의 일단을 분리한 뒤 다시 결합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힘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의 단부에 돌출된 후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Fifth, when reconnecting one end of the filter housing after separating i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hook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filter housing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s hand.

여섯째, 스트랩 연결부를 구성하는 스트랩홀의 가장자리에서 방수 슬리브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방수 슬리브의 내측에 실링 캡이 장착됨으로써, 스트랩 홀을 통하여 흘러 들어가는 땀이나 수분이 마스크 바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a waterproof sleeve extends forward from the edge of the strap hole constituting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and a sealing cap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waterproof sleeve, thereby preventing sweat or moisture flowing through the strap hole from flowing into the mask body. There is an advantage.

일곱째, 배기 유로 가이드의 단부에 실링 커버가 장착됨으로써, 배기 유로 가이드와 프런트 바디의 배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Seventh, by installing a sealing cover on the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exhaust flow path guide and the back of the front body.

여덟째, 인디케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에 휨 방지벽이 형성됨으로써, 전원 버튼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하여 인디케이터 바디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Eighth, by forming a bending prevention wall on the indicator body constituting the indicator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dicator body from being bent du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ower button.

아홉째, 유동 가이드의 마운트 플레이트에 휨방지 보스가 돌출됨으로써, 팬 블레이드돠 마운트 플레이트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 또는 팬 모듈의 피시비 파손 가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Ninth, the bending-prevention boss protrudes from the mount plate of the flow guide,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ossibility of noise or damage to the PCB of the fan modul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fan blade and the mount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마스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
도 5는 마스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실링캡이 장착된 방수 슬리브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유로 가이드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실링 커버의 전면 사시도.
도 9는 상기 실링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원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의 전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저면도.
도 13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14는 필터 하우징과 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리어 바디의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5는 유동 가이드가 제거된 상태의 리어 바디의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16은 유동 가이드의 전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닫음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닫음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device showing air flow within the mask device.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device showing air flow within the mask device.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ar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proof sleeve structure equipped with a sealing cap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cover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flow guide.
Figure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cover.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module and the indicator module of the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body constituting an indica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the indicator body.
Figur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body.
Figure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ar body with the filter housing and filter removed.
Figure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ar body with the flow guide removed.
Figure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guide.
1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2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8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마스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마스크 장치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sk device, and Figure 4 is an air flow inside the mask devic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device, an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device showing the air flow inside the mask devic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는, 마스크 바디(11)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이스 가드(14)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내부에 장착되는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포함한다. 1 to 5, the mask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1 and a face guard 14 fixedly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sk body 11. ) and an air cleaning module 30 mounted inside the mask body 11.

상세히, 상기 마스크 바디(11)는, 전면 외형을 이루는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결합되어 배면 외형을 이루는 리어 바디(13)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은 사용자(또는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한다.In detail, the mask body 11 includes a front body 12 forming a front appearance, and a rear body 13 that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12 to form a rear appearance. The front of the front body 12 forms the front of the mask device 10, and the rear of the rear body 13 faces the user's (or wearer's) face.

또한,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는 호흡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코와 입이 상기 호흡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게 되고, 사용자가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도 상기 호흡 공간으로 배출된다. Additionally, the face guard 14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rear body 13 and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and may be molded from an elastic silicone or rubber material. A breath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face guard 14, and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device 10, the user's nose and mouth are accommodated in the breathing space. Accordingly, the outside air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odule 30 is guided to the breathing space and is inhaled by the user, and the air generated when the user exhales is also discharged into the breathing space.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리어 바디(1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각종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종 전장 부품은 상기 프런트 바디(12)에 의하여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13,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dditionally, th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shielded by the front body 12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형성된 수용부(133 : 도 6 참조)에 놓이는 팬 모듈(31)과,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33)를 포함한다. 상기 팬 모듈(31)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ir cleaning module 30 includes a fan module 31 plac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3 (see FIG. 6) formed in the rear body 13, and a filter 33 placed behind the fan module 31. ) includes. The fan module 31 include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필터(33)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 하우징(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4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3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른 다수의 홀들의 집합일 수 있다. The air cleaning module 30 further includes a filter housing 34 placed behind the filter 33, and an intake port 343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34. The filter housing 3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13, and the intake port 343 may be a set of a plurality of holes with different diameters, as shown.

그리고, 상기 흡입구(343)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토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팬 모듈(3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 또는 흡입 그릴(343)을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와 상기 팬 모듈(31)을 차례로 통과한 뒤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된다. Additionally, an outlet 101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343 toward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or intake grill 343 by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31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lter 33 and the fan module 3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 It is discharged into the breathing space.

상기 흡입구, 즉 흡입 그릴(343)은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343)은 상기 호흡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호흡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사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The suction port, that is, the suction grill 343,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ace guard 14, 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ace guard 14. That is, the suction grill 343 is located outside the breathing space, and the discharge port 101 is located inside the breathing space, so that the external air inhaled and the air exhaled by the user do not mix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동 가이드(32)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air cleaning module 30 further includes a flow guide 32 disposed behind the fan module 31.

또한, 상기 마스크 장치(10)는, 메인 제어 모듈(15)과, 전원 모듈(16)과, 인디케이터 모듈(18)과, 무선 통신 모듈(17)과, 스피커 모듈(19)과, 배터리(20), 및 배기 밸브(2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sk device 10 includes a main control module 15, a power module 16, an indicator module 18,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a speaker module 19, and a battery 20. ), and at least one of the exhaust valve 21.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팬 모듈(31)과 상기 스피커 모듈(19)을 비롯하여 압력 센서(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main control module 15 is a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module 31 and the speaker module 19, as well as a pressure sensor (not shown) and a microphone (not shown). The main control module 15 may be placed at the top of the front center of the rear body 13.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다.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module 16 is a contro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The power module 16 may be plac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상기 전원 모듈(16)에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연결부와, 마스크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을 통하여 확산 및 가이드되어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된다. The power module 16 may be equipped with a terminal connector into which a cable terminal for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is inserted, and an LED module used to inform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sk device 10.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is diffused and guided through the indicator module 18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블루투스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와 교차하는 방향, 일례로 수평하게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수평한 상태로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양 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지지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any one of various types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including Bluetoo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placed at the bottom left front of the rear body 13.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rear body 13, for example, horizont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can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in a horizontal state by a pair of substrate insertion ribs 1315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Both side end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are supported by the pair of substrate insertion ribs 1315.

상기 스피커 모듈(19)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peaker module 19 may be placed at the lower front left sid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하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21)는 휘어짐이 가능하고 납작한 플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battery 2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rear body 13, and the exhaust valve 21 may be disposed to block an exhaust port formed below the front center of the rear body 13. That is, when the user exhales, the exhaust valve 21 opens the exhaust port, and when the user breathes in, the exhaust valve 21 may shield the exhaust port. The exhaust valve 21 is flexible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flap.

여기서,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면, 후면,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됨을 밝혀둔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11 are defin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is wearing the mask device 10.

한편,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서 상기 팬 모듈(31)을 작동시키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배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343)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to operate the fan module 31, external air is blown through the intake ports 343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of the mask device 10. flows into the mask device 10.

상기 흡입구(343)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모듈(31)의 축 방향으로 흡입된 후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External air flowing in through the intake port 343 is pur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33. The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33 is sucked i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31 and then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팬 모듈(31)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측면과 상기 수용부(133)의 에어 가이드면(1334:도6 참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덕트102)를 통하여 상기 토출구(101)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토출구(101)를 통과하여 상기 페이스 가드(14) 내측에 정의되는 호흡 공간으로 공급된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module 31 is an air duct 102 formed by the side of the flow guide 32 and the air guide surface 1334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see FIG. 6). It is guided to the discharge port 101 through . T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1 and is supplied to the breathing space defined inside the face guard 14.

한편, 사용자가 내쉴 때 사용자의 입과 코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인 공기는 하강하여 전면 배기구(1361) 및 하면 배기구(136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배기 밸브(20)가 전방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가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상기 배기 밸브(20)가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를 차폐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user exhale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ser's mouth and nose is collected in the breathing space. Then, the air collected in the breathing space descend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exhaust port 1361 and the bottom exhaust port 1362. Here, the exhaust valve 20 is bent forward by the air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exhales, thereby opening the front exhaust port 1361. And, when the user inhales, the pressure inside the breathing space become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exhaust valve 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shield the front exhaust port 1361.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스트랩 연결부(137)가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또는 밴드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 상부와 하부, 우측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Strap connection portions 137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In detail, the strap connection part 137 is a part where the end of a strap or band that hangs on the user's ear or surrounds the back of the user's head is connected. The strap connection portion 137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left ends and upper and lower right ends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우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걸리도록 할 수 있다. Both ends of one of the pair of straps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trap connection portions 137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left sides, and both ends of the other strap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trap connection portions 137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right sides. there is. Then, the pair of straps can be hung on both ears of the user.

다른 방법으로서,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후두부에 둘러질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both ends of one of the pair of strap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trap connection parts 137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sides, and both ends of the other strap are connected to the strap connection parts 137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lower right sides ( 137), respectively. Then, the pair of straps can be wrapped around the back of the user's head.

상기 네 개의 스트랩 연결부(137)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함몰되되, 가로 방향(리어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홈(1373)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1374)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스트랩 바(1372)와, 상기 스트랩 홀(1374)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방수 슬리브(1371 :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트랩의 후크가 상기 스트랩 바(1372)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게 된다. Each of the four strap connection portions 137 includes a strap groove 1373 that is recessed i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rear body), and any of the strap grooves 1373 A strap hole 1374 formed at a point, a strap bar 1372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ap groove 137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strap hole 1374. It includes a barrel-shaped waterproof sleeve (1371: see FIG. 6) extending from. Then, the hook of the strap is rotatably caught on the strap bar 137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ar body constituting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13)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안면 커버부(131)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융착부(132)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부(1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rear body 13 constituting the mask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ce cover part 131 that covers the user's face, and an edge of the face cover part 131. It includes a fusion portion 132 that is bent forward, and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133 that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and accommodate the air cleaning module 30.

상세히, 상기 융착부(132)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상면 가장자리, 양 측면 가장자리, 및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면 커버부(13)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전후 방향 폭이 가장 크다. In detail, the fusion portion 132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top edge, both side edges, and bottom edge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Additionally, the fusion portion 132, which is bent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ortion 13 and extends forward, has the largest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융착부(132) 중,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부분은 특별히 연장턱(13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장턱(1320)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양 측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을 이룬다. Among the fused portions 132, a port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may be specifically defined as an extension protrusion 1320. The extension jaw 1320 has a convex, rounded shape whose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creases from both side ends of the rear body 13 toward the center.

연장턱으로 정의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중앙에는 상기 하면 배기구(1362)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 배기구(1362)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버튼홀(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홀(1321)에는 전원 버튼이 삽입된다. 상기 버튼홀(13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는 직경이 작은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이 각각 형성된다. The lower surface exhaust port 136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usion portion 132, which is defined as an extension jaw, and a button hole 1321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exhaust port 1362 toward the side end of the rear body 13. This can be formed. A power button is inserted into the button hole 1321. A pair of small-diameter indication holes 1322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button hole 1321, respectively.

상기 전원 모듈(16)에 실장된 발광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발광 수단은 LED 모듈을 포함한다.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mounted on the power module 16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n LED module.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빛이 방출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원이 온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색깔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 When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of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it may mean that the mask device 10 is turned on. Additionall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20 can be predict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emitt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상기 버튼홀(1321)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더 이격되는 지점에는 단자 삽입구(1323)가 형성된다.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상기 단자 삽입구(1323)를 관통하여 상기 전원 모듈(16)에 형성된 단자 연결부(terminal connector)(162 : 도 9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충전되고,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버전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A terminal insertion hole 1323 is formed at a point further away from the button hole 1321 toward the side end of the rear body 13. A USB (Universal Serial Bus) cable may pass through the terminal insertion hole 1323 and be inserted into a terminal connector 162 (see FIG. 9) formed on the power module 16. The battery 20 is charged through the USB cable, and the version or function of the mask device 10 can be updated or upgraded by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able.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The pair of receiving portions 133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respectively,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상기 수용부(133) 각각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 구체적으로 상기 팬 모듈(31)이 안착되는 안착면(1331)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측단부에서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체결면(1335)과, 상기 안착면(133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에어 덕트(101)의 전면을 형성한다.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s 133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thereby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ir cleaning module 30. The receiving portion 133 includes a seating surface 1331 on which the air cleaning module 30, specifically the fan module 31, is seated, and a seating surface 1331 at a side end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 includes a fastening surface 1335 connecting the outer edge of the seat surface 1331, and an air guide surface 1334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at the inn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duct 101.

또한,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상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상면(1332)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3 has an upper surface 1332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with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It further includes.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하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하면(1333)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3 has a lower surface 1333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with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It further includes.

상기 체결면(1335)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수단, 일례로 체결 후크(1338,1339 : 도 17 참조)가 형성된다.One or more fastening means, for example, fastening hooks 1338 and 1339 (see FIG. 17) are formed on the fastening surface 1335.

상기 안착면(1331)에는 팬 장착홀(1336)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1332)과 상기 하면(1334)은 수평하게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A fan mounting hole 1336 is formed in the seating surface 1331, and the upper surface 1332 and the lower surface 1334 extend horizontally and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체결면(133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되, 상기 안면 커버부(131)로부터 상기 안착면(1331)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surface 1335 may be convexly roun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ear body 13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eating surface 1331 from the face cover portion 131.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안착면(1331)으로부터 상기 안면 커버부(131)를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팬 모듈(3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을 따라 상기 토출구(101) 쪽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air guide surface 1334 extends convexly and roundly from the seating surface 1331 toward the face cover part 131, so that the air sucked in by the fan module 31 flows through the air guide surface 1334. ) can be designed to be gently guid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01.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수용부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된다. The accommodating part 133 includes a left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lef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and a right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the righ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rear body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ttery 20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left accommodating part and the right accommodating part.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일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A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One end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extends from either the left air guide surface 1334 or the right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other end extends from the left air guide surface 1334 or the right air guide surface 1334.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1334.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는 n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배터리(20)의 전면과 양 측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is formed in an n-shape and supports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attery 20. Therefore, the battery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body 13 by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중심부는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크기가 다른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한다. Additionally, the center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protrudes further forward to enable selective installation of batteries of different sizes.

한편,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땀을 흘리면, 스트랩을 따라 상기 스트랩 홀(1374)로 땀이 흘러들어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지 않을 때에도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상기 스트랩 홀(1374)로 유입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user sweats while wearing the mask device 10, the sweat may flow into the strap hole 1374 along the strap. In addition, dust or other foreign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strap hole 1374 even when the mask device 10 is not worn.

그리고, 상기 스트랩 홀(1374)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된 전장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고, 유입되는 먼지로 인하여 전장 부품 주위에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In addition, moisture flowing in through the strap hole 1374 may corrode the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nd there is a risk that sparks may occur around the electrical components due to the incoming dust. .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방수 슬리브(1371)가 형성된다. 상기 방수 슬리브(1371)는 상기 스트랩 홀(1374)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 waterproof sleeve 1371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The waterproof sleeve 137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long the edge of the strap hole 1374.

그리고,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내측에는 실링캡((100)이 삽입되어, 상기 스트랩 홀(1374)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이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리어 바디(13)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슬리브(1371)와 실링캡(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dditionally, a sealing cap (100) is inserted inside the waterproof sleeve (1371) to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 through the strap hole (1374) from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13). The structure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and the sealing cap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배기 유로 가이드(136)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에는 실링 커버(60)가 장착되며, 상기 실링 커버(6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an exhaust flow path guide 136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Additionally, a sealing cover 6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and the sealing cover 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세히,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장착된 배터리(20)의 하단부가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detail,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20 mounted on the battery mounting part 138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do.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the battery 20 falling downward due to gravity while inserted into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138 can be prevented.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대략 터널 형태의 종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에는 전면 배기구(136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may have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a tunnel shape, and a front exhaust port 1361 may be formed in the face cover portion 131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상기 전면 배기구(1361) 및 상기 하면 배기구(1362)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그릴 또는 구획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작은 배기구로 분할되는 배기 그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배기구(1361)는 상기 배기 밸브(2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At least one of the front exhaust port 1361 and the bottom exhaust port 1362 may be in the form of an exhaust grill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exhaust ports by a plurality of grills or partition ribs. And, the front exhaust port 136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exhaust valve 2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실링캡이 장착된 방수 슬리브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proof sleeve equipped with a sealing cap of a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 슬리브(1371)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waterproof sleeve 1371 extends to a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상세히, 상기 방수 슬리브(1371)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닿는 길이로 연장되도록 하여, 수분 및 이물질이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리어 바디(13)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리어 바디(13)와 프런트 바디(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 공차로 인하여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단부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In det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betwe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13 by allowing the waterproof sleeve 1371 to extend to a length that touches the back of the front body 12. However, when the rear body 13 and the front body 12 are combi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is not completely adher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12 due to assembly tolerance. This is high.

또는,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단부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열융착되도록 할 수 있으나, 열융착 과정에서 방수 슬리브(1371)가 녹아내리거나,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형상이 변형될 위험이 존재한다. 나아가,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단부가 열융착된 부분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에 드러나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may be heat-sea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12. However, during the heat-sealing process, the waterproof sleeve 1371 may melt or the shape of the front body 12 may change.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Furthermore, the heat-sealed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may be exposed on the front of the mask device 10, which may cause an aesthetic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구조를 가지고, 상기 방수 슬리브(137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상기 실링캡(100)이 상기 방수 슬리브(1371) 내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ealing cap 100, which has the same cross-sectional structur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waterproof sleeve 1371, is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1371.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상기 실링 캡(10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예컨대 실리콘 소재 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캡(100)은, 상기 방수 슬리브(1371) 내부에 삽입되는 캡바디(1001)와, 상기 캡 바디(1001)의 상단에 형성되는 캡 커버(1002)를 포함한다. 상기 캡 커버(1002)의 너비는 상기 캡 바디(1001)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캡 커버(1002)가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단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링 캡(100)의 삽입 한도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aling cap 100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a silicone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The sealing cap 100 includes a cap body 1001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1371, and a cap cover 1002 formed on the top of the cap body 1001. The width of the cap cover 100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ap body 1001, so that the cap cover 1002 is caught on the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so that the sealing cap 100 can be inserted. The limit can be determined.

다른 방법으로, 상기 실링 캡(100)은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내주면에 스토퍼 돌기(137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1375)에 의하여 상기 실링 캡(100)의 삽입 한도가 결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aling cap 100 may have the same inner shape as the waterproof sleeve 1371, and a stopper protrusion 137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The insertion limit of the sealing cap 100 may be determined by the stopper protrusion 1375.

그리고, 상기 실링캡(100)의 횡단면 크기를 상기 방수 슬리브(1371)의 횡단면 크기보다 약간 큰 사이즈로 제조하여, 상기 방수 슬리브(1371)에 밀어 넣으면, 상기 실링캡(100)의 표면과 상비 방수 슬리브(1371)의 내주면이 강하게 밀착되어, 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n, whe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aling cap 100 is manufactur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waterproof sleeve 1371 and push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1371, the surface of the sealing cap 100 and th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eeve 1371 is tightly adhered, thereby maximizing the sealing effect.

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방수 슬리브(1371)는 상기 스트랩 홀(1374)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실링 캡(100)을 상기 방수 슬리브(1372)에 삽입할 때, 상기 실링 캡(100)의 삽입 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실링캡(100)의 압축량이 증가하면서 상기 실링캡(100)의 삽입 한계가 결정될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the waterproof sleeve 1371 may extend forward from the edge of the strap hole 1374 and obliquely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hen, when inserting the sealing cap 100 into the waterproof sleeve 1372, as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aling cap 100 becomes deeper, the amount of compression of the sealing cap 100 increases and the sealing cap 100 The insertion limit of can be determined.

도 8은 유로 가이드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실링 커버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실링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cover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flow guide, and Figure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aling cover.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프런트 바디(12)가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되면,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설계된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when the front body 12 is coupled to the rear body 13,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is design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그러나, 조립 공차 또는 사출 후 수축에 의한 공차 등에 의하여,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우천 시 마스크 장치(10)를 쓰고 이동하거나 거친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수분이나 침이 상기 틈새를 통하여 프런트 바디(12)와 리어 바디(3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due to assembly tolerances or tolerances due to shrinkage after injection,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12, resulting in a gap.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moving or engaging in rough exercise while wearing the mask device 10 in rainy weather, moisture or saliva may flow between the front body 12 and the rear body 30 through the gap.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 슬리브(1371)와 같이,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를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열융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방수 슬리브(1371)가 열융착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o prevent this phenomenon,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like the waterproof sleeve 1371, can be heat-sea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12. Then, the sam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waterproof sleeve 1371 is heat-sealed may occur.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에 실링 커버(60)가 장착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sealing cover 6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상세히, 상기 실링 커버(60)는, 상기 실링 캡(100)과 마찬가지로,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detail, the sealing cover 60, like the sealing cap 1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상기 실링 커버(60)는,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n자 형태의 커버 프레임(601)과, 상기 커버 프레임(60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리브(604)와, 상기 커버 프레임(60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리브(603), 및 상기 커버 프레임(601)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602)를 포함한다.The sealing cover 60 includes an approximately n-shaped cover frame 601 extending along the front end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and an inner rib extending rear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cover frame 601. 604), an outer rib 603 extending rear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cover frame 601, and a connecting rib 602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cover frame 601.

상기 내측 리브(604)와 외측 리브(603) 사이에는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의 폭을 가지는 끼움홈(605)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605)에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전단부가 삽입된다. A fitting groove 605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exhaust flow path guide 136 is formed between the inner rib 604 and the outer rib 603, and the exhaust flow path is provided in the fitting groove 605. The front end of the guide 136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 리브(60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 프레임(601)의 양 단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connecting rib 60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h ends of the cover frame 601 from spreading.

그리고, 상기 실링 커버(60)의 양측 하단부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기 연장턱(1320)에 닿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프런트 바디(12)가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될 때, 상기 실링 커버(60)의 하단부와 상기 연장턱(13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In addition, lower ends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cover 60 are formed in a length that touches the extension protrusion 1320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face cover part 131. Then, when the front body 12 is coupled to the rear body 13, no gap is crea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eiling cover 60 and the extension ledge 132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전원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module and the indicator module of the mas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원 모듈(16)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우측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상기 전원 모듈(16)의 기판 상에 조립되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power module 16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is disposed at the bottom right of the front of the rear body 13, and the indicator module 18 is located on the board of the power module 16. It is assembled and joined together.

상세히, 상기 전원 모듈(16)은, 전원 기판(161)과, 상기 전원 기판(161)의 전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은, 단자 연결부(162)와, 커넥터(163)와, 전원 스위치(164) 및 엘이디(165,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power module 16 includes a power board 161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power board 161.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include at least one of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62, a connector 163, a power switch 164, and LEDs 165 and 166.

상기 단자 연결부(162)는, 외부로부터 USB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200)가 충전되거나,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버전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62 is used to charge the battery 200 by inserting a USB cable from the outside, or to update or upgrade the version or function of the mask device 10 by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USB cable. It functions as an interface.

상기 커넥터(163)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피시비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로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The connector 163 functions to provide power to the main control module 15 by connecting the PCB of the main control module 15.

상기 전원 스위치(164)는, 상기 버튼 홀(1321)에 장착되는 전원 버튼(183)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164)는 상기 전원 기판(161)의 좌측 하단에 실장될 수 있다. The power switch 164 is turned on or off by the power button 183 mounted in the button hole 1321. The power switch 164 may be mount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power board 161.

상기 전원 스위치(164)가 상기 전원 버튼(183)의 조작에 의해 온 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전원 버튼(183)의 조작에 의해 오프 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When the power switch 164 is turned on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183,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and when the power switch 164 is turned off by manipulating the power button 183. , power supply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mask device 10 is cut off.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외부로 빛을 방출한다.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을 통하여 확산 및 가이드되어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결합되면,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에 의해 차폐되거나,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LEDs 165 and 166 emit light to the outside to inform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sk device 1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is diffused and guided through the indicator module 18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When the indicator module 18 is coupled to the power board 161, the LEDs 165 and 166 are shielded by the indicator module 18 or are accommodated inside the indicator module 18.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 1 엘이디(165)와,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 2 엘이디(166)를 포함한다.The LEDs 165 and 166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power switch 164. The LEDs 165 and 166 include a first LED 165 spaced to the right of the power switch 164 and a second LED 166 spaced to the left.

또한, 상기 전원 기판(161)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67,168)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의 일부분이 후크 방식으로 걸림 결합되는 부분이다.Additionally, mounting holes 167 and 168 for mounting the indicator module 18 are formed in the power board 161.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are parts of the indicator module 18 that are hooked together.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장착홀(167,168)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우측으로 이격되는 제 1 장착홀(167)과, 좌측으로 이격되는 제 2 장착홀(16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장착홀(167)은 상기 제 1 엘이디(165)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장착홀(168)은 상기 제 2 엘이디(166)의 상측으로 이격된다.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power switch 164.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include a first mounting hole 167 spaced to the right of the power switch 164 and a second mounting hole 168 spaced to the left. The first mounting hole 167 is spaced above the first LED 165,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168 is spaced above the second LED 166.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상기 전원 기판(161)에 장착되며, 상기 엘이디(165,166)의 빛을 집광시켜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확산 및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The indicator module 18 is mounted on the power board 161 and functions to condense the light of the LEDs 165 and 166 and spread and guide it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은, 인디케이터 바디(181)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의 저면 내측에 삽입되는 버튼 실링부(182)와,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내측에 삽입되는 전원 버튼(183)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광부(184)를 포함한다. The indicator module 18 includes an indicator body 181, a button sealing portion 182 inserted inside the bottom of the indicator body 181, and a power button inserted inside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 183) and a light guide portion 184 inserted into the indicator body 18.

상기 버튼 실링부(182)는, 내측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실링부 바디(1821)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내측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 장착홈(1813:도 11 참조)장착된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includes a sealing portion body 1821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side which the power button 183 is inserted. The sealing unit body 1821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see FIG. 1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with the power button 183 inserted inside. The sealing body 1821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The sealing unit body 1821 may be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삽입 공간은,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실링부(182)가 상기 버튼 장착홈(1813)에 삽입되면,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저면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과 단차없이 매끄럽게 단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sertion space of the sealing unit body 1821 may be formed by recess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aling unit body 1821. When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is inserted into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the bottom of the sealing portion body 1821 can form a single smooth surface without any level difference with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전원 버튼(183)과 상기 리어 바디(13)의 버튼 홀(132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상기 전원 기판(16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부 바디(1821)는 상기 버튼 홀(132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버튼 홀(1321)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기판(161)에 실장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방수 처리되고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sealing body 1821 prevents moisture or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power button 183 and the button hole 1321 of the rear body 13 from flowing into the power board 161. It functions. To this end, the sealing body 1821 is arranged to face the button hole 1321 and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button hole 1321. Accordingly, multiple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power board 161 can be waterproofed and protect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의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 보스(182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보스(1822)는, 내부에 상기 전원 버튼(183)이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 바디(1821)의 상면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through boss 1822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power button 183 pass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1821. The through boss 1822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power button 183 passes,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body 1821.

상기 관통 보스(1822)는 상기 전원 스위치(164)와 마주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버튼(183)이 가압되면, 상기 전원 버튼(183)의 일부분이 상기 관통 보스(1822)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164)는 택트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through boss 1822 is disposed to face the power switch 164. Accordingly, when the power button 183 is pressed, a portion of the power button 183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boss 1822 and contact the power switch 164. The power switch 164 includes a tact switch.

상기 전원 버튼(183)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홀(1321)을 통과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power button 183 can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that operates the power switch 164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The power button 18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through the button hole 132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버튼(183)과 상기 버튼 실링부(18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button 183 may be installed flexibly between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and the rear body 13 to be able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an elastic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wer button 183 and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spring.

상기 전원 버튼(183)은, 상기 버튼 실링부(182)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버튼 바디(1831)와, 상기 버튼 바디(183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접촉하는 버튼 돌기(18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button 183 includes a button body 1831 that is mounted on the button sealing portion 182 and is pressed by the user, and a button body 1831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body 1831 and contacts the power switch 164. It may include a button protrusion (1832).

상기 버튼 돌기(1832)는, 상기 버튼 바디(1831)의 상면 중심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돌기(1832)는 상기 관통 보스(1822)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 바디(1831)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버튼 돌기(1832)가 상기 관통 보스(1822)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가압하게 된다. The button protrusion 183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button body 1831. The button protrusion 183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through boss 1822. Accordingly, when the button body 1831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button protrusion 1832 passes through the through boss 1822 and presses the power switch 164.

상기 도광부(184)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방출되는 광이 퍼지지 않고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을 향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도광부(184)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리플렉터(1815)의 내측에 각각 수용된다. 상기 도광부(184)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장착되고 일부분이 상기 도광부 홀(1814)에 삽입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portion 184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dicator body 181 and functions to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toward the indication hole 1322 without spreading. The light guide portions 184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side a pair of reflectors 1815. The light guide portion 184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a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light guide hole 1814.

상세히, 상기 도광부(184)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에 삽입되는 관부(1841)와, 상기 관부(1841)의 상단에서 확관되어 연장되는 연장관(1842)과, 상기 연장관(184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843)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light guide part 184 includes a tube part 1841 formed in a tub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indication hole 1322, an extension tube 1842 expanded and extended from the top of the tube part 1841, and the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1843 form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tube 1842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상기 관부(1841)의 중심은,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1842)은, 상기 도광부 홀(1814)의 내경과 대응하는 면적의 외경을 가지며, 상기 도광부 홀(1814)에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843)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165,16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843)에는 상기 연장관(1842)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다.The center of the pipe portion 1841 may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indication hole 1322. The extension tube 1842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ight guide hole 1814,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ight guide hole 1814 at the top. The fixing part 1843 may be arranged to face the LEDs 165 and 166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t this time,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extension tube 1842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1843.

따라서,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1815)에 의해 집광되어 상기 도광부(184)의 내부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부(184)를 통과한 광은 상기 인디케이션 홀(1322)을 통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확산되어 방출된다.Accordingly,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is collected by the reflector 1815 and guided into the light guide portion 184.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guide part 184 is diffused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device 10 through the indication hole 132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저면도이며, 도 13은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Figure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 body constituting an indica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the indicator body, and Figur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body.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18)를 구성하는 인디케이터 바디(181)는,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는, 베이스(1811)와, 상기 베이스(18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버튼 장착부(1812)와,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플렉터(1815), 및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를 연결하는 휨 방지벽(181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바디(181)는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1816,18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11 to 13, the indicator body 181 constituting the indicator module 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811 and the base 1811. A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1811, a pair of reflectors 1815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a bending prevention device connecting the pair of reflectors 1815. Includes the Wall (1819). Additionally, the indicator body 181 may further include engaging portions 1816 and 1817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reflectors 1815, respectively.

상기 베이스(181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811)의 중심은, 상기 전원 스위치(164)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이 통과하는 버튼 통과홀(1818)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 버튼(183)이 가압되면, 상기 전원 버튼(183)이 상기 버튼 통과홀(1818)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가압하게 된다.The base 1811 is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enter of the base 1811 may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power switch 164.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 button passage hole 1818 through which the power button 183 passes is formed. When the power button 183 is pressed, the power button 183 passes through the button passage hole 1818 and presses the power switch 164.

상기 버튼 장착부(1812)는, 상기 베이스(1811)의 저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중심은, 상기 베이스(1811)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중심에는, 상기 전원 버튼(183)이 삽입되는 버튼 장착홈(1813)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은 상기 버튼 통과홀(1818)과 연결된다.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bottom of the base 1811.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may b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base 1811. At th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a button mounting groove 1813 into which the power button 183 is inserted is formed.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may be formed by recess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is connected to the button passing hole 1818.

또한,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는, 상기 도광부(184)가 삽입되기 위한 도광부 홀(1814)이 형성된다.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부(1812)의 저면에서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까지 관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ight guide hole 1814 into which the light guide part 184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art 1812. The light guide hole 1814 may be formed to penetrat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At this time, the light guide hole 1814 may penetrate from the bottom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1812 to the top of the base 1811.

상기 도광부 홀(1814)은, 상기 버튼 장착홈(1813)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도광부 홀(1814)은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과 각각 마주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holes 181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utton mounting groove 1813. A pair of light guide holes 1814 may face each other and be connected to a pair of indication holes 1322.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엘이디(165,166)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엘이디(165,166)에서 방출하는 빛을 집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에서 상기 버튼 통과홀(1818)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reflector 1815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Ds 165 and 166, and functions to conden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165 and 166. The reflectors 181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button passage hole 1818.

상기 리플렉터(1815)는,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 양측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고, 전면과 양측면 및 상면은 폐쇄되고 배면은 개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결합되면, 상기 전원 기판(161)에 실장된 상기 엘이디(165,166)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리플렉터(1815)의 수용공간은, 상기 도광부 홀(1814)과 연결된다.The reflector 1815 extends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closed on the front, both sides, and top, and open on the back. And when the indicator module 18 is coupled to the power board 161, the LEDs 165 and 166 mounted on the power board 161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lector 1815.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flector 1815 is connected to the light guide hole 1814.

상기 걸림부(1816,1817)는, 상기 리플렉터(1815)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167,168)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1816,1817)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816)와, 상기 연장부(1816)의 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1817)를 포함한다.The locking portions 1816 and 1817 are parts formed on the reflector 1815 and coupled to the mounting holes 167 and 168. The catching portions 1816 and 1817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1816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1815 and a hook portion 1817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816.

상기 연장부(1816)는, 상기 리플렉터(1815)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후크부(1817)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부(1817)는, 한 쌍의 장착홀(167,168)에 각각 후크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전원 기판(161)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1816 extends rear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or 1815, and the hook portion 1817 may be provided at its end. The pair of hook parts 1817 are respectively hooked to the pair of mounting holes 167 and 168, so that the indicator module 18 can be stably fixed to the power board 161 without shaking.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이 상기 마스크 장치에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기 전원 버튼(183)을 상기 전원 스위치(164)를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전원 버튼(183)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811)의 중심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811)가 휘어짐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휘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164)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When the indicator module 18 is assembled to the mask device and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183 toward the power switch 164, the base is activated by the force pressing the power button 183. The center of (1811) can be curved to be round and convex upward. And, as the base 1811 is bent, the pair of reflectors 1815 are spread or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Due to this phenomenon, exc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ower switch 164, causing damag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가 상기 휨 방지벽(1819)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휨 방지벽(1819)은 상기 한 쌍의 리플렉터(1815)의 전면 내측 가장자리들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휨 방지벽(1819)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1811)의 상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단차부(1819a)가 형성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pair of reflectors 1815 are connected by the bending prevention wall 1819. The bending prevention wall 1819 connects the front inner edges of the pair of reflectors 1815. Additionally, a step portion 1819a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prevention wall 1819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811 meet.

상기 휨 방지벽(1819) 및 상기 단차부(1819a)에 의하여, 상기 전원 버튼(183)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베이스(1811)가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전원 기판(161)에 실장된 부품이 파손되거나, 상기 도광부(184)와 상기 인디케이션 홀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bending prevention wall 1819 and the step portion 1819a, even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ower button 183, the base 1811 does not bend, so the power board 16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ed components from being damaged or the alignment of the light guide part 184 and the indication hole being disturbed.

도 14는 필터 하우징과 필터가 제거된 상태의 리어 바디의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유동 가이드가 제거된 상태의 리어 바디의 배면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16은 유동 가이드의 전면 사시도이다. Figure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ar body with the filter housing and filter removed, Figure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ar body with the flow guide removed, and Figure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guide. am.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 구체적으로 상기 팬 모듈(31)이 안착되는 안착면(1331)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측단부에서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체결면(1335)과, 상기 안착면(133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에어 덕트(101)의 전면을 형성한다. 14 to 16, as described above, the accommodating portion 133 in which the air cleaning module 30 is accommodated is where the air cleaning module 30, specifically the fan module 31, is seated. a seating surface 1331, a fastening surface 1335 connecting the out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at the side end of the face cover portion 131, and a fastening surface 1335 connecting the out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o the inner edge of the seating surface 1331. It includes an air guide surface 1334 connecting the front of the cover part 1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duct 101.

상기 체결면(1335)에는 유동 가이드 후크(1339 : 도 18 참조)와 필터 후크(1338)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 후크(1338)보다 상기 유동 가이드 후크(1339)가 상기 안착면(1331)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On the fastening surface 1335, a flow guide hook 1339 (see FIG. 18) and a filter hook 1338 are formed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The flow guide hook 1339 is located closer to the seating surface 1331 than the filter hook 1338.

그리고, 상기 필터 후크(1338)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 측단에는 파지홈(1337)이 형성된다.Additionally, a grip groove 1337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body 13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filter hook 1338.

또한,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상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상면(1332)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3 has an upper surface 1332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with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It further includes.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하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하면(1333)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part 133 has a lower surface 1333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seating surface 1331, the air guide surface 1334, and the fastening surface 1335 with the front of the face cover part 131. It further includes.

상세히, 상기 수용부(133)의 상면(1332)과 하면(1333) 각각에는 장착 가이드(1332a)와, 고정 가이드(1332b) 및 힌지홀(1332c)이 형성된다. In detail, a mounting guide 1332a, a fixing guide 1332b, and a hinge hole 1332c ar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1332 and the lower surface 1333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상기 장착 가이드(1332a)는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리브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1332b)는 상기 장착 가이드(1332a)로부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제공된다. The mounting guide 1332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b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ack of the mask body 11 toward the front. The fixing guide 1332b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at protrudes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guide 1332a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mask body 11.

또한, 상기 힌지홀(1332c)은 상기 장착 가이드(1332a)로부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측단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장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힌지홀(1332c)은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힌지(346 : 도 17 참조)가 삽입되는 홀로서, 비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타원 형상의 장홀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hinge hole 1332c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guide 1332a toward the side end of the mask body 11. The hinge hole 1332c is a hole into which the hinge 346 of the filter housing 34 (see FIG. 17) is inserted, and may have a non-circular shape, for example, may be an oval-shaped long hole.

또한, 상기 힌지홀(1332c)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측단부로 갈수록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즉, 타원형의 상기 힌지홀(1332c)이 설계될 때,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중심에 가까운 상기 힌지홀(1332c)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이르는 거리는,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측단부에 가까운 상기 힌지홀(1332c)의 타 단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이르는 거리보다 길게 설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inge hole 1332c may extend obliquely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end of the mask body 11 and closer to the back of the mask body 11. That is, when the oval-shaped hinge hole 1332c is designed,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hinge hole 1332c close to the center of the mask body 11 to the back of the mask body 11 is the mask body 11. It may be design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hole 1332c, which is close to the side end of (11), to the back of the mask body 11.

상기 힌지홀(1332c)이 장홀 형태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이유는, 상기 필터(33)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단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필터 하우징(34)이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리어 플랜지(325)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hinge hole 1332c extends obliquely in the form of a long hole is that when the end of the filter housing 34 is rotated to separate the filter 33, the filter housing 34 moves the flow guide ( This i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ear flange 325 of 32).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체결 후크(344 : 도 17 참조)가 상기 체결면(1335)에 돌출된 필터 후크(1338)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회전 시킬 때,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측단부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회전시킨다. 그리면,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힌지(346)가 상기 장홀 형태의 힌지홀(1332c)의 일 단부에서 타 타단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된다. In detail, when the filter housing 34 is rotated while the fastening hook 344 of the filter housing 34 (see FIG. 17)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hook 1338 protruding on the fastening surface 1335, The filter housing 34 is pulled and rotated toward the side end of the mask body 11. Then, the hinge 346 of the filter housing 34 rotates while moving from one end of the long hole-shaped hinge hole 1332c toward the other end, resulting in a state as shown in FIG. 18.

이러한 본 발명의 힌지홀(1332c)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34)이 상기 리어 플랜지(325)와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힌지홀(1332c)이 원형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회전량(또는 개방각)이 더 커지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상기 필터(33)의 장착과 분리가 훨씬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inge hole (1332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housing (3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ar flange (325), an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hinge hole (1332c) is circular, the filter housing (3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tion amount (or opening angle) becomes larger.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ilter 33 can be performed much more easily.

한편, 상기 팬 모듈(31)은, 팬 하우징(311)과 팬(3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311)은, 상기 수용부(133)의 안착면(1331)에 안착되는 베이스(3111)와, 상기 베이스(3111)의 가장자리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쉬라우드(3112)를 포함한다. 상기 쉬라우드(3112)는 상기 베이스(3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지되, 중간 부분은 상기 팬(312)의 외곽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장된다. Meanwhile, the fan module 31 includes a fan housing 311 and a fan 312. In addition, the fan housing 311 includes a base 3111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1331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and a shroud 3112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dge of the base 3111. Includes. The shroud 3112 surrounds the edge of the base 311, and the middle portion extends roundl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an 312.

상기 베이스에는 팬 모터 구동을 위한 피시비(F)가 배치된다. 상기 피시비는 휘어짐이 가능한 연성 피시비(Flexible PCB)를 포함한다. A PCB (F) for driving the fan motor is disposed on the base. The PCB includes a flexible PCB that can be bent.

상기 쉬라우드(3112)는 상기 베이스(3111)의 일단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다가, 어느 지점에서 상기 팬(313)의 외곽을 따라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다음, 상기 베이스(3111)의 일단부의 타측 가장자리까지 직선으로 연장된다. The shroud 3112 extends in a straight line from one edge of one end of the base 3111, and at a certain point extends roundly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an 313, and then extends in a round shape at a certain point along the outer edge of the fan 313. It extends in a straight line to the other edge of one end.

상기 쉬라우드(3112)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는 가이드 돌기(3113)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3113)와 상기 팬(312) 사이의 공간에서부터 공기가 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3113)와 마주보는 상기 쉬라우드(3112)의 측단부 쪽으로 토출된다.A guide protrusion 3113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hroud 3112, and ai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an from the spac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3113 and the fan 312 to form the guide protrusion ( It is discharged toward the side end of the shroud 3112 facing the shroud 3113).

상기 가이드 돌기(3113)가 형성되는 부분, 즉 공기의 회전이 시작되는 부분을 입구(a)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쉬라우드(3112)의 형상을 따라 회전하는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을 출구(b)로 정의할 수 있다. The part where the guide protrusion 3113 is formed, that is, the part where air rotation begins, can be defined as the inlet (a), and the part through which air rotating along the shape of the shroud 3112 exits can be defined as the outlet (a). It can be defined as b).

상기 출구(b)로 빠져나가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사용자의 안면으로 공급된다. The air escaping through the outlet (b) is supplied to the user's face through the outlet (101).

한편, 상기 팬 모듈(31)이 상기 수용부(1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팬 모듈(31)의 배면에 놓인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쉬라우드(3112)의 후단에 놓인다. Meanwhile, when the fan module 31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33, the flow guide 32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fan module 31. That is, the flow guide 32 is placed at the rear end of the shroud 3112.

상기 유동 가이드(32)는, 상기 팬 하우징(311)의 개방된 후면을 덮는 마운트 플레이트(321)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1)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덕트 플랜지(324)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 및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어퍼 플랜지(322)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 및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하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로어 플랜지(323), 및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단부에서 상기 덕트 플랜지(324)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플랜지(325)를 포함한다.The flow guide 32 includes a mount plate 321 covering the open rear of the fan housing 311, a duct flange 324 bent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mount plate 31, and the mount plate ( 321) and an upper flange 322 bent and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duct flange 324, a lower flange 323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unt plate 321 and the duct flange 324, and the duct It includes a rear flange 325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lange 324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uct flange 324.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타단은 상기 수용부(133)의 체결면(1335)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에는 연통홀(3211)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3211)은 상기 팬 모듈(31)의 흡입구로 기능한다. The other end of the mount plate 3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surface 1335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Additionally, a communication hole 3211 is formed in the mount plate 321, and the communication hole 3211 functions as an intake port of the fan module 31.

상기 어퍼 플랜지(322)는, 마운트 어퍼 플랜지(3221)와 덕트 어퍼 플랜지(3222), 및 가이드 숄더(3223)를 포함한다.The upper flange 322 includes a mount upper flange 3221, a duct upper flange 3222, and a guide shoulder 3223.

상기 마운트 어퍼 플랜지(3221)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된다. 상기 덕트 어퍼 플랜지(3222)는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된다. 상기 마운트 어퍼 플랜지(3221)와 상기 덕트 어퍼 플랜지(3222)는 한 몸으로 이루어져서 L자형 형상을 이룬다. The mount upper flange 3221 is bent vertically at the top of the mount plate 321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e duct upper flange 3222 is bent vertically at the top of the duct flange 324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e mount upper flange 3221 and the duct upper flange 3222 are formed as one body to form an L-shaped shape.

상기 로어 플랜지(323)는, 마운트 로어 플랜지(3231)와 덕트 로어 플랜지(3232), 및 가이드 숄더(3233)를 포함한다.The lower flange 323 includes a mount lower flange 3231, a duct lower flange 3232, and a guide shoulder 3233.

상기 마운트 로어 플랜지(3231)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된다. 상기 덕트 로어 플랜지(3232)는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된다. The mount lower flange 3231 is vertically bent at the bottom of the mount plate 321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e duct lower flange 3232 is vertically bent at the bottom of the duct flange 324 and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어퍼 플랜지(322)와 상기 로어 플랜지(323)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를 상하로 이등분하는 선 또는 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flange 322 and the lower flange 323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ine or plane bisecting the mount plate 321 upward and downward.

상기 가이드 숄더(3223,3233)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어퍼 플랜지(322)는 상기 수용부(133)의 상면(1332)에 밀착되고, 상기 로어 플랜지(323)는 상기 수용부(133)의 하면(1333)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수용부(133)에 안착되면,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덕트 플랜지(324)는 상기 에어 덕트(102)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133)의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에어 덕트(102)의 전면을 형성한다. The upper flange 3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332 of the receiving part 133, and the lower flange 3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333 of the receiving part 133. And, when the flow guide 32 is seated in the receiving part 133, as shown in FIG. 4, the duct flange 324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air duct 102, and the receiving part 133 ) The air guide surface 1334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duct 102.

상기 리어 플랜지(325)는.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수용부(133)에 장착되면,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플랜지(325)의 일 측단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리어 플랜지(325)의 타 측단부는 상기 토출구(101)의 측단부를 형성한다. The rear flange 325 is. When the flow guide 32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33, it forms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body 11. Also, one side end of the rear flange 325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lter housing 34, and the other side end of the rear flange 325 forms a side end of the discharge port 101.

상세히, 상기 에어 덕트(102)의 출구단으로 정의되는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의 단부와, 상기 리어 플랜지(325)의 타 측단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charge port 101, defined as the outlet end of the air duct 102, includes the end of the air guide surface 133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3 and the other side end of the rear flange 325. It can be understood as defined by .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와, 상기 덕트 플랜지(324)와, 상기 어퍼 플랜지(322)와, 상기 로어 플랜지(323) 및 상기 리어 플랜지(325)의 일부분에 의하여 상기 필터(33)가 수용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In addition, the filter 33 is accommodated by portions of the mount plate 321, the duct flange 324, the upper flange 322, the lower flange 323, and the rear flange 325. The space that becomes

상기 어퍼 플랜지(322)와 상기 로어 플랜지(323)는 상기 필터(33)의 네 측면들 중 상부 측면 일부와 하부 측면 일부를 각각 지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차단한다.The upper flange 322 and the lower flange 323 respectively support part of the upper side and part of the lowe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filter 33,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mask device 10 while wearing the mask device 10. Blocks the filter from shak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또한, 상기 덕트 플랜지(324)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측단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필터(33)의 측면 일부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면(3241)과, 상기 필터 지지면(3241)의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절곡면(3242), 및 상기 절곡면(3242)의 단부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에어 가이드면(324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ct flange 324 includes a filter support surface 3241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side end of the mount plate 321 to suppor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filter 33, and a filter support surface 3241 of the filter support surface 3241. It includes a bent surface 3242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and an air guide surface 3243 that is round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end of the bent surface 3242.

상기 덕트 플랜지(324)의 에어 가이드면(3243)은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에어 가이드면(3243,1334)에 의하여 상기 에어 덕트(102)의 전면과 후면이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air guide surface 3243 of the duct flange 324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air guide surface 133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3, an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air guide surface 1334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133, and is formed by the two air guide surfaces 3243 and 133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air duct 102 are defined.

상기 에어 가이드면(3243)의 라운드지는 형상에 의하여, 상기 에어 덕트(102)는 상기 팬 모듈(31)의 토출구와 연통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101)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Due to the round shape of the air guide surface 3243, the air duct 102 has a cross-sectional area that increases from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fan module 31 to the outlet 101. .

한편, 상기 어퍼 플랜지(322)의 덕트 어퍼 플랜지(3222)와, 상기 로어 플랜지(323)의 덕트 로어 플랜지(3232) 각각에는, 가이드 홈(3201)과 고정홈(3202)이 형성된다.Meanwhile, a guide groove 3201 and a fixing groove 3202 are formed in each of the duct upper flange 3222 of the upper flange 322 and the duct lower flange 3232 of the lower flange 323.

상기 가이드 홈(3201)은, 상기 절곡면(3242)으로부터 상기 리어 플랜지(325)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어느 지점까지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수용부(133)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홈(3201)에는 상기 장착 가이드(1332a)가 슬라이딩 삽입된다. The guide groove 3201 is formed from the bent surface 3242 to a point spaced downward from the rear flange 325. When the flow guide 32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33, the mounting guide 1332a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01.

여기서, 상기 장착 가이드(1332a)가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덕트 어퍼 플랜지(322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201)이 상기 수용부(133)의 상면(1332)과 하면(1333)에 각각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Here, the mounting guide 1332a is formed on the duct upper flange 3222 of the flow guide 32, and the guide groove 320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332 and the lower surface 1333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It is okay to form them separately.

상기 장착 가이드(1332a)가 상기 가이드 홈(3201)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팬 모듈(31)로부터 상기 에어 덕트(102)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덕트(102)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133)의 상면(1332)과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어퍼 플랜지(322)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수용부(133)의 하면(1333)과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로어 플랜지(323)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By inserting the mounting guide 1332a into the guide groove 3201, leakage of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31 to the air duct 102 can be prevented.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uct 102 is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1332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and the upper flange 322 of the flow guide 32, and the receiving portion ( Leakag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1333 of 133 and the lower flange 323 of the flow guide 32 is prevented.

또한, 상기 고정 가이드(1332b)는 상기 고정홈(3202)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수용부(133)에 흔들림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가이드(1332b)와 상기 고정홈(3202)의 위치 또한 상기 장착 가이드(1332a)와 상기 가이드 홈(3201)와 마찬가지로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Additionally, the fixing guide 1332b is press-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3202, so that the flow guide 32 ca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33 without shaking. 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fixing guide 1332b and the fixing groove 3202 may also be changed like the mounting guide 1332a and the guide groove 3201.

한편,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즉 상기 팬 하우징(311)의 개방된 면을 덮는 면에는 팬 지지 리브(3212)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fan support rib 3212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mount plate 321, that is, on the surface covering the open side of the fan housing 311.

상세히, 상기 팬 지지 리브(3212)는 상기 팬 하우징(311)을 구성하는 상기 쉬라우드(3112)의 형상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쉬라우드(3112)의 바깥 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팬 하우징(3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211)은 상기 팬 지지 리브(3212)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 In detail, the fan support rib 3212 protrudes along the shape of the shroud 3112 constituting the fan housing 311 and extend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hroud 3112, forming the fan housing ( 311) can be stably supported. The communication hole 3211 is formed in the inner area of the fan support rib 3212.

또한, 상기 팬 지지 리브(3212)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팬 고정 보스(327)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팬 고정 보스(327)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바깥쪽 측단부의 상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팬 고정 보스와, 하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2 팬 고정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바깥쪽 측단부는 상기 수용부(133)의 체결면(1335)에 밀착되는 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an fixing boss 327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dge of the mount plate 321 corresponding to the outer area of the fan support rib 3212. The fan fixing boss 327 may include a first fan fixing bos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outer side end of the mount plate 321 and a second fan fixing boss formed at a lower edge. The outer side end of the mount plate 321 may be understood to mean an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surface 1335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또한, 상기 팬 고정 보스(327)로부터 이격되는 어느 지점에는 체결 보스(328)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 보스(328)는 상기 유동 가이드(32)를 상기 수용부(133)의 안착면(133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astening boss 328 protrudes at a certain point away from the fan fixing boss 327. The fastening boss 328 may be understood as a means for fixing the flow guide 32 to the seating surface 1331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상기 체결 보스(328)는, 상기 제 1 팬 고정 보스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1 체결 보스와, 상기 제 2 팬 고정 보스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체결 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328)와 팬 고정 보스(327)의 개수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The fastening boss 328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bos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n fixing boss, and a second fastening bos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an fixing bos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fastening bosses 328 and fan fixing bosses 327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의 외측 가장자리, 즉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바깥쪽 측단부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체결 후크(32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후크(329)는 상기 수용부(133)의 체결면(1335)에 돌출된 유동 가이드 후크(1339)에 걸려서,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탈거를 방지한다. Additionally, a fastening hook 329 may be protruding from the outer edge of the front of the mount plate 321, that is, an area adjacent to the outer side end of the mount plate 321. The fastening hook 329 is caught on the flow guide hook 1339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surface 1335 of the receiving portion 133, thereby preventing the flow guide 32 from being removed.

여기서, 상기 체결 후크(329), 체결 보스(328), 및 팬 고정 보스(327)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를 상하로 이등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astening hook 329, the fastening boss 328, and the fan fixing boss 327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line bisecting the mount plate 321 vertically.

한편, 상기 베이스(3111)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3111)의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마운트 플레이트(321)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팬 모듈(31)의 피시비(F)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와 간섭되어 파손되거나, 상기 팬(312)의 블레이드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에 닿아서 소음을 발생시킨다.Meanwhile, if the base 3111 is ben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se 3111 or pressure is applied to the mount plate 321 of the flow guide 32, the PC ratio (F) of the fan module 31 ) interferes with the mount plate 321 and is damaged, or the blades of the fan 312 touch the mount plate 321 and generate nois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일측에는 휨방지 보스(326)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휨 방지 보스(326)는 상기 덕트 플랜지(324)에 인접하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To prevent this phenomenon, a bending prevention boss 326 may protrude from one front side of the mount plate 321. Specifically, the bending prevention boss 326 protrudes from the front edge of the mount plate 321 adjacent to the duct flange 324.

또한, 상기 팬 모듈(3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상기 휨방지 보스(326)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가장자리 중 상기 팬 모듈(31)의 입구(a) 측에 대응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fan module 31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bending prevention boss 326, the inlet (a) of the fan module 31 is located at the front edge of the mount plate 321. ) It is better to form it on 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side.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32)가 상기 팬 모듈(31)의 쉬라우드(3112)에 안착되면, 상기 휨방지 보스(326)의 단부는 상기 입구(a)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의 면에 닿게 된다(도 15에 도시된 점선 원 참조). Therefore, when the flow guide 32 is seated on the shroud 3112 of the fan module 31, the end of the bending-prevention boss 326 touches the surface of the base corresponding to the inlet (a) area. (see dotted circle shown in Figure 15).

상기 휨방지 보스(326)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3111)의 휨 또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피시비(F)가 간섭되거나 팬(312)의 블레이드가 마운트 플레이트(321)에 닿아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ue to the bending-prevention boss 326, the PC ratio F is interfered with by bending of the base 3111 or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ount plate 321, or the blade of the fan 312 is prevented from hitting the mount plate 321. No noise is generated due to contact.

여기서, 상기 휨방지 보스(326)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21)의 전면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즉, 두 개의 휨방지 보스(326)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입구(a) 영역 및 상기 출구(b) 영역에 닿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Here, it is not excluded that the bending-prevention boss 326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ount plate 321, respectively. That is, it is possible for the two bending-prevention bosses 326 to protrude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ouch the inlet (a) area and the outlet (b) area.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1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34)의 전면은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배면에 안착되는 필터(33)의 배면과 마주보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배면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 일부를 형성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배면은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한다. Referring to FIG. 17, the front of the filter housing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ces the back of the filter 33 seated on the back of the flow guide 32, and the back of the filter housing 34 forms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sk body 11. 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mask device 10, the back of the filter housing 34 faces the user's face.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필터(33)의 세 측면을 감싸는 필터 프레임(341)과, 상기 필터 프레임(341)의 배면에 형성되는 필터 커버(34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filter housing 34 includes a filter frame 341 surrounding three sides of the filter 33 and a filter cover 342 formed on the back of the filter frame 341.

상기 필터 커버(342)는, 상기 흡입구(343)가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필터 프레임(341)이 연장되는 커버 본체(342a)와, 상기 커버 본체(342a)의 일 측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342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The filter cover 342 includes a cover body 342a on which the inlet 343 is formed and the filter frame 341 extends from the front,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end of the cover body 342a. It can be explained as consisting of (342b).

상기 연장부(342b)는,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 윤곽에 맞게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42b)의 단부에는 상기 파지홈(3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342)를 닫으면 상기 파지홈(3421)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에 형성된 파지홈(1337:도 14 참조)에 맞닿는다. The extension portion 342b may be formed to be smoothly rounded to fit the back contour of the mask body 11. The gripping groove 3421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42b. When the filter cover 342 is closed, the gripping groove 34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ipping groove 1337 (see FIG. 14) formed on the side end of the rear body 13.

또한, 상기 연장부(342b)의 전면 중앙에는 체결 후크(344)가 돌출된다. 상기 필터 커버(342)를 닫으면, 상기 체결 후크(344)는 상기 필터 후크(1338)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필터 커버(342)가 상기 리어 바디(13)에 고정 결합된다(도 22 참조). Additionally, a fastening hook 344 protrudes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extension portion 342b. When the filter cover 342 is closed, the fastening hook 344 is caught on the filter hook 1338, and the filter cover 342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body 13 (see FIG. 22).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내측 단부, 즉 상기 연장부(342b)의 반대측 단부의 양 측면에는 힌지(346)가 돌출된다. 상기 힌지(346)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힌지홀(1332c)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힌지홀(1332c)의 일단에서 타단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Hinges 346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inner end of the filter housing 34, that is, the end opposite to the extension portion 342b. The hinge 346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332c,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nd moves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inge hole 1332c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filter housing 34.

상세히, 상기 필터 프레임(341)은, 상기 커버 본체(342a)의 일 측단부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3411)과, 상기 커버 본체(342a)의 상단부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면 프레임(3412)과, 상기 상면 프레임(3412)의 맞은 편에 형성되는 하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33)의 세 측면만 상기 필터 프레임(341)에 의하여 둘러진다.In detail, the filter frame 341 includes a side frame 3411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one side end of the cover body 342a, and a top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cover body 342a ( 3412) and a lower frame formed opposite the upper frame 3412. Accordingly, only three sides of the filter 33 are surrounded by the filter frame 341.

상기 상면 프레임(3412)과 하면 프레임에는 가이드 홈(34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414)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가이드 숄더(3223,3233)가 수용된다. 상기 필터를 삽입 후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을 때, 상기 가이드 홈(3414)과 상기 가이드 숄더(3223,3233)의 맞물림 과정에 의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체결 후크(344)가 상기 필터 후크(1338)에 부드럽게 걸리게 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guide groove 3414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3412 and the lower frame, and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of the flow guide 32 ar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414. When closing the filter housing 34 after inserting the filter, the fastening hook 344 of the filter housing 34 is engaged by the engaging process of the guide groove 3414 and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It is gently caught on the filter hook (1338).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3411)은 상기 필터 커버(342)를 상기 커버 본체(342a)와 상기 연장부(342b)로 구분하는 경계면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side frame 3411 may be described as an interface dividing the filter cover 342 into the cover body 342a and the extension portion 342b.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닫음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8 to 22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힌지(346)는 비스듬히 연장되는 장홀 형태의 힌지홀(1332c)에 삽입된다. 18 to 22,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346 of the filter housing 34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332c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obliquely.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체결 후크(344)가 상기 필터 후크(1338)에서 분리되도록, 사용자는 상기 연장부(342b)의 끝을 잡고 들어 올린다. 상기 체결 후크(344)가 상기 필터 후크(1338)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연장부(342b)의 끝을 잡고 마스크 바디(11)의 측단부 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위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힌지(346)가 상기 힌지홀(1332c)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개방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필터 하우징(34)이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리어 플랜지(325)와 간섭되지 않고 개방된다. In detail, the user holds and lifts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42b so that the fastening hook 344 of the filter housing 34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hook 1338. When the fastening hook 344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hook 1338, the user holds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42b and lifts it upward while pulling it toward the side end of the mask body 11. Then, as the hinge 346 mov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hole 1332c, the opening angle of the filter housing 34 increases. As a result, the filter housing 34 is open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ear flange 325 of the flow guide 32.

도 18은 상기 필터 하우징(34)이 최대한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상기 힌지(346)가 상기 힌지홀(1332c)의 타단에 위치한 상태이다.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ter housing 34 fully opened, with the hinge 346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hole 1332c.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346)가 상기 힌지홀(1332c)의 일단에 닿을 때까지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밀어넣은 다음 닫지 않으면, 상기 체결 후크(344)의 걸림부(3442)가 상기 필터 후크(1338)의 바깥쪽 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후크 결합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을 경우 상기 체결 후크(344)가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if the filter housing 34 is pushed in until the hinge 346 touches one end of the hinge hole 1332c and then is not closed, the locking portion 3442 of the fastening hook 344 will lock the filter housing 34. As the hook 1338 slides along the outer surface,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hook is not coupled. Furthermore, if the user closes the filter housing 34 with excessive force, the fastening hook 344 may be broken.

본 발명은, 사용자가 힌지(346)를 힌지홀(1332c)의 일단에 닿도록 밀어넣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는 동작을 하더라도, 체결 후크(344)가 필터 후크(1338)에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closes the filter housing 34 without pushing the hinge 346 to reach one end of the hinge hole 1332c, the fastening hook 344 is attached to the filter hook 1338. A structure is provided to allow accurate assembly.

일례로서, 상기 유동 가이드(32)에 가이드 숄더(3223,3233)가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측면에 가이드 홈(3414)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으면 상기 가이드 홈(3414)이 상기 가이드 숄더(3223,3233)의 라운드진 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기 가이드 숄더(3223,3233)가 상기 가이드 홈(3414)에 정확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r 후크(344)의 걸림부(3442)가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안쪽 면에 걸리게 된다. As an exampl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are rounded and protrude from the flow guide 32, and a guide groove 34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lter housing 34. Then, when the filter housing 34 is closed, the guide groove 3414 slides along the rounded surfaces of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and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are in the guide groove 3414. When accurately coupled, the catching portion 3442 of the first hook 344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hook 1338.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개방각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3414)은 상기 가이드 숄더(3223,3233)에 결합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힌지(346)는 상기 힌지홀(1332c)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18 to 22, as the opening angle of the filter housing 34 gradually decreases, the guide groove 3414 moves to a position where it is coupled to the guide shoulders 3223 and 3233. At the same time, the hinge 346 moves from the other end to one end of the hinge hole 1332c.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절개 사시도이다. Figure 2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 하우징(34)의 상면프레임(3412)과 하면 프레임(3413)에 가이드 홈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유동 가이드(32)에도 가이드 숄더가 형성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3, guide grooves are not separately formed in the upper frame 3412 and lower frame 3413 of the connector housing 3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uide shoulder is also provided in the flow guide 32. is not formed.

다만, 상기 체결 후크(344)의 단부 형상이 개선되어, 필터 하우징(34)을 닫을 때 체결 후크(344)와 필터 후크(3818)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However, the end shape of the fastening hook 344 has been improved so that the fastening hook 344 and the filter hook 3818 are stably fastened when the filter housing 34 is closed.

상세히, 상기 체결 후크(344)는, 상기 필터 커버(34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41)와, 상기 연장부(3441)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344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fastening hook 344 includes an extension part 3441 extending from the filter cover 342 and a locking part 3442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3441.

상기 걸림부(3442)는,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외측 가장자리 쪽으로 경사지는 걸림면(3442a)과, 상기 걸림면(3442a)의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미끄럼면(3442b)과, 상기 미끄럼면(3442b)의 단부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접촉면(3442c)을 포함한다. The engaging portion 3442 includes a engaging surface 3442a inclined toward the outer edge of the filter housing 34, a sliding surface 3442b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an end of the engaging surface 3442a, and the sliding surface 3442b. At the end of the surface 3442b, it includes a contact surface 3442c that is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접촉면(3442c)은,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으면 상기 필터 후크(1338)에 가장 먼저 닿는 면이다. The contact surface 3442c is the surface that first touches the filter hook 1338 when the filter housing 34 is closed.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의 닫음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4 to 28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a filter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필터 하우징(34)이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346)는 상기 힌지홀(1332c)의 타단에 걸린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S. 24 to 28, when the filter housing 34 is open, the hinge 346 is hook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hole 1332c.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힌지(346) 쪽 필터 하우징(34)의 단부를 밀어넣지 않고 회전하는 경우, 즉 도 24의 화살표 방향으로 필터 하우징(34)을 밀어서 닫는 경우, 도 2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첨단은 상기 접촉면(3442c)에 닿는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end of the filter housing 34 toward the hinge 346 without pushing it, that is, when the user closes the filter housing 34 by pushing 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4, as shown in FIG. 26, The tip of the filter hook 1338 touches the contact surface 3442c.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첨단이 상기 접촉면(3442c)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배면을 더 누르면, 도 2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첨단은 상기 접촉면(344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미끄럼면(3442b)에 도달한다.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첨단이 상기 접촉면(3442c)과 미끄럼면(3442b)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힌지(346)는 상기 힌지홀(1332c)의 일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If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34 is further pressed while the tip of the filter hook 1338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3442c, as shown in FIG. 27, the tip of the filter hook 1338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surface 3442c. ) and reaches the sliding surface (3442b). When the tip of the filter hook 1338 moves along the contact surface 3442c and the sliding surface 3442b, the hinge 346 moves toward one end of the hinge hole 1332c.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34)의 배면을 완전히 닫으면, "딸깍" 소리와 함께 상기 필터 후크(1338)의 안쪽 면이 상기 걸림면(3442a)에 닿으면서, 상기 걸림부(3442)가 상기 필터 후크(1338)에 걸리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back of the filter housing 34 is completely closed,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hook 1338 touches the locking surface 3442a with a “click” sound, and the locking portion 3442 moves the filter. It gets caught on the hook (1338).

상기 체결 후크(344)의 걸림부(3442)의 형상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필터 하우징(34)을 닫는 경우에 상기 체결 후크(344)의 단부가 상기 필터 후크(1338)의 바깥 쪽 면을 따라 미끄러지지면서 상기 체결 후크(344)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Due to the shape of the catching portion 3442 of the fastening hook 344, when the user closes the filter housing 34, the end of the fastening hook 344 follows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hook 1338. The fastening hook 344 is not damaged while slipping.

Claims (7)

프런트 바디와, 상기 프런트 바디의 배면에 결합되고, 한 쌍의 수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하고, 배면에 흡입구와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는 팬 모듈;
상기 팬 모듈의 배면에 안착되는 유동 가이드;
상기 유동 가이드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놓이는 필터; 및
상기 리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덮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바디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스트랩이 걸리는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트랩 연결부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는 스트랩 홈;
상기 스트랩 홈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
상기 스트랩 홈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고, 상기 스트랩 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스트랩 바; 및
상기 스트랩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방수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바디는,
상기 방수 슬리브에 끼워지는 실링캡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 mask body including a front body and a rear body coupled to the back of the front body and having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protruding forward, and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respectively formed on the back of the body;
A fan module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a flow guide mounted on the back of the fan module;
a filter detachably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guide; and
A filter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body and covering the filter,
A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 portions for attaching strap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rear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 connections,
a strap groove formed on the back of the rear body;
a strap hole formed in the strap groove;
a strap ba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trap groove and spaced rearward from the strap hole; and
a waterproof sleeve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rear body along an edge of the strap hole,
The mask body is,
A mask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cap fit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방수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는 캡 바디와,
상기 캡 바디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슬리브의 단부에 걸리는 캡 커버를 포함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cap is,
A cap body inserted into the waterproof sleeve,
A mask device including a cap cover formed on the top of the cap body and caught on an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슬리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실링캡의 삽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protrusion that sets an insertion limit of the sealing cap protrude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proof sleev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슬리브는,
상기 실링캡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waterproof sleeve is,
A mas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a form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aling c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상기 프런트 바디가 결합되면, 상기 방수 슬리브의 단부는 상기 프런트 바디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ront body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body, the end of the waterproof sleeve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of the fron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sk device, wherein the suction port is formed in the filter hou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홀들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mask device, wherein the inlet is a collection of a plurality of holes of different sizes.
KR1020220096138A 2022-08-02 2022-08-02 Mask apparatus KR202400181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138A KR20240018183A (en) 2022-08-02 2022-08-02 Mas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138A KR20240018183A (en) 2022-08-02 2022-08-02 Mask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183A true KR20240018183A (en) 2024-02-13

Family

ID=8989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138A KR20240018183A (en) 2022-08-02 2022-08-02 Mask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818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8657A1 (en) 2015-12-29 2018-11-07 Han, Ga Hyun Harmful-substance-blocking health mask using air curt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8657A1 (en) 2015-12-29 2018-11-07 Han, Ga Hyun Harmful-substance-blocking health mask using air curt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285B1 (en) Mask apparatus
CN115634383B (en) Mask device
KR102653008B1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3A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78A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0A (en) Mask apparatus
KR20240018185A (en) Mask apparatus
KR102611200B1 (en) Mask apparatus
KR102600006B1 (en) Mask apparatus
KR102497331B1 (en) Mask apparatus
CN115634385B (en) Mask device
KR102493267B1 (en) Mask apparatus
KR102497328B1 (en) Mask apparatus
CN115634388B (en) Mask device
CN115634387B (en) Mask device
KR102621067B1 (en) Mask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