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902A - 누액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액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902A
KR20230012902A KR1020210093738A KR20210093738A KR20230012902A KR 20230012902 A KR20230012902 A KR 20230012902A KR 1020210093738 A KR1020210093738 A KR 1020210093738A KR 20210093738 A KR20210093738 A KR 20210093738A KR 20230012902 A KR20230012902 A KR 2023001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evice
main body
leak detection
camera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240B1 (ko
Inventor
임종혁
한기민
전해영
임창규
Original Assignee
임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규 filed Critical 임창규
Priority to KR102021009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2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therm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누액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누액 감지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에 결합된 액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액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leakage}
누액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립형 휴대용 무선 누액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위험물 또는 유해화학물질을 생산, 취급 및 유통하는 과정에서 누수 취약 지점에 센서를 설치하여 재해방지를 하고 있는데, 현재 센서 설치 과정은 누수 감지부,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경보를 전파하는 콘트롤 박스가 서로 구조적으로 연동되게 설치되어 설치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긴급 운영 설비 이동조건(화물차 탱크로리)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설치된 센서가 부식되어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장치를 꺼놓아 실제 누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자립형 휴대용 무선 누액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에 결합된 액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오뚝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바닥부가 반구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무게 중심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기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태양광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 감지 장치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액 감지 장치는 자립형이어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용이어서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며, 무선으로 작동하는 방식이어서 이동,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액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액 감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반구형"이란 완전한 반구형뿐만 아니라 반구형과 유사한 형상을 모두 지칭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액 감지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누액 감지 장치(10)는 본체(11), 배터리(12), 액체 감지 센서(13), 기체 감지 센서(14), 카메라 구동부(15), 카메라(16) 및/또는 송수신부(17)를 포함한다.
본체(11)는 이를 제외한 누액 감지 장치(10)의 모든 구성요소를 수용, 지지 및/또는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체(11)는 바닥부(11a)가 반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외측 부분이 PVC, PE, PTFE와 같이 각종 부식성 물질에 견딜 수 있는 안전한 제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2)는 액체 감지 센서(13), 기체 감지 센서(14), 카메라 구동부(15), 카메라(16) 및/또는 송수신부(17)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터리(12)는 본체(11)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는 그 무게 중심이 본체(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1)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는 리튬 이차전지와 같은 각종 이차전지일 수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배터리(12)와 함께 외부전원 입력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통해 배터리(12)가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액 감지 장치(10)가 배터리(12)로 작동되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서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설비를 관리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누액 취약부를 정기적으로 관리 및 감독하여 재해 예후를 사전에 발견하여 보수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오뚝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바닥부를 반구형으로 구성하고, 배터리(12)를 그 무게 중심이 본체(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1)에 내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액 감지 장치(10)가 오뚝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동식 탱크로리 또는 차량 상하차시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원하는 위치에 놓거나 던져도 곧바로 서게 되어 누액 감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뚝이 구조는 누액 감지 장치(10)의 설치 및 유지시, 그리고 비상상황시 넘어지지 않고 기능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종래의 누액 감지기의 설치가 어려운 험지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긴급한 필요 요청에도 신속한 설치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해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누액 감지 장치(10)는 휴대와 설치가 간편하여 유동적인 설비, 즉 차량 탱크로리 상하차시 또는 누액 감지 장치 설치가 요구되는 야외 한시적인 생산설비 등에도 간편하게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액체 감지 센서(13)는 액체와 접촉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송수신부(17) 및/또는 경보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액체 감지 센서(13)는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보장치는 경고음 발생기, 경광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감지 센서(13)는 다른 물체에 부딪히더라도 부러지지 않도록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 감지 센서(13)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 저항방식(리니어 방식) 및 임피던스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감지 센서(13)는 본체(1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예를 들어, 6~12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누액 감지 장치(10)는 2개 이상의 액체 감지 센서(13)가 누액을 감지했을 때 송수신부(17)를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송수신부(17)가 경보장치를 통해 경보음을 발하거나 미리 입력된 연락처로 알람 문자를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체 감지 센서(14)는 누출 사고나 화재시 발생하는 가스나 연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호를 송수신부(17) 및/또는 경보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기준온도(예를 들어, 60~70℃)를 초과하는 온도를 감지한 경우에는 카메라 구동부(15), 카메라(16) 및/또는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15)는, 액체 감지 센서(13)가 누액을 감지했을 때, 누액 감지 위치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카메라(16)로 하여금 누액 현장을 촬영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카메라 구동부(15)는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16)는 누액 현장을 촬영하여 송수신부(17)를 통해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화상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를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누출 상황을 원격으로 확인하여 방제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수신부(17)는 액체 감지 센서(13), 기체 감지 센서(14), 카메라(16), 경보장치(미도시) 및/또는 외부 단말(미도시)과 신호를 주고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7)는 액체 감지 센서(13)로부터 액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장치(미도시) 및/또는 외부 단말(미도시)에 전달하거나, 기체 감지 센서(14)로부터 기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장치(미도시) 및/또는 외부 단말(미도시)에 전달하거나, 및/또는 카메라(16)로부터 화상 이미지를 수신하여 외부 단말(미도시)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 단말은 휴대폰, 컴퓨터, 서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7)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누액 감지 장치(10)는 태양광 충전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충전 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 후, 그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12)에 공급하여 배터리(12)의 소비 전기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태양광 충전 모듈은 본체(11) 및/또는 카메라 구동부(15)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광 충전 모듈은 송수신부(17)와 일체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누액 감지 장치 11: 본체
11a: 바닥부 12: 배터리부
13: 액체 감지 센서 14: 기체 감지 센서
15: 카메라 구동부 16: 카메라
17: 송수신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에 결합된 액체 감지 센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뚝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누액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닥부가 반구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무게 중심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액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장착된 누액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 충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전원 입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온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누액 감지 장치.
KR1020210093738A 2021-07-16 2021-07-16 누액 감지 장치 KR102630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38A KR102630240B1 (ko) 2021-07-16 2021-07-16 누액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38A KR102630240B1 (ko) 2021-07-16 2021-07-16 누액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02A true KR20230012902A (ko) 2023-01-26
KR102630240B1 KR102630240B1 (ko) 2024-01-29

Family

ID=8511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38A KR102630240B1 (ko) 2021-07-16 2021-07-16 누액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15B1 (ko) * 2015-03-30 2016-01-25 송창영 인체 유해현장용 탐색 장치
KR20170039399A (ko) *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누출 지점 탐지 장치 및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15B1 (ko) * 2015-03-30 2016-01-25 송창영 인체 유해현장용 탐색 장치
KR20170039399A (ko) * 2015-10-01 2017-04-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누출 지점 탐지 장치 및 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240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9129B2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US8614745B1 (en) Fire hydrant monitoring system
EP3352316B1 (en) Explosion-proof device
US20190129428A1 (en) Movable smart fire extinguishing device
US20220111238A1 (en) Containment system for hazardous products
CN105712140A (zh) 一种监控预警装置及方法
JP2020521151A (ja) 設備制御ユニットを備えた地震事象応答警報及び設備制御システム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0794730B1 (ko) 산불 자동음성문자 무인 감지장치 및 그 무인 감지 시스템
CN109819676A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CN107689130A (zh) 一种森林火灾检测报警方法
US11876234B2 (en) Explosion-proof apparatus
KR20230012902A (ko) 누액 감지 장치
JP2015152977A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JP2006277384A (ja) 災害伝達装置
JP2016051479A (ja) 爆発物警戒システム,爆発物警戒装置,爆発物検知センサ,不審物の収容容器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JP6041357B2 (ja) 空気圧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圧監視装置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02257891U (zh) 一种无线监控识别检测布控系统
CN215340347U (zh) 核辐射监测系统
CA2900585A1 (e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device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CN206609472U (zh) 智慧物联信息柱
KR101750933B1 (ko) 공동주택의 소방감지와 소방서 자동신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