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799A -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799A
KR20230012799A KR1020210093521A KR20210093521A KR20230012799A KR 20230012799 A KR20230012799 A KR 20230012799A KR 1020210093521 A KR1020210093521 A KR 1020210093521A KR 20210093521 A KR20210093521 A KR 20210093521A KR 20230012799 A KR20230012799 A KR 2023001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ation
data
terminal
nft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찬
Original Assignee
이건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찬 filed Critical 이건찬
Priority to KR102021009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799A/ko
Publication of KR2023001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1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using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game devices and game servers, e.g. by encrypting game data or authenticating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력된 데이터 세트를 조합하여 추출되는 데이터를 거래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은 설계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고, 추출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조합부(100) 및
상기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200)를 포함를 포함하여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다양한 아이템을 생성하고 선택된 조합의 데이터 거래시에 NFT를 발행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trading probabilistic combination results based on NFT}
본 발명은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데이터 세트를 조합하여 추출되는 데이터를 거래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릭터 카드는 두꺼운 종이로 된 작은 카드에서 캐릭터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가 그려진 작은 카드로, 트레이딩 카드의 일종이다. 이러한 캐릭터 카드의 형식은 캐릭터의 이미지가 사진이 앞에 있고, 뒷면에 그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적혀있다. 또한, 크기는 일반적으로 2.5 인치 내지 3.5 인치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현재에도 다양한 브랜드의 카드가 발매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집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 특정 행사를 기념하기 위핸 다양한 기념 카드가 발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2 월드컵4강, 베이징올림픽 야구 우승, WBC 준우승, 세계피겨선수권대회에서 총점 207.71점으로 여자 싱글 사상 첫 200점 돌파를 해낸 김연아 선수 기념 카드가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기념 카드는 팬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고자하는 출판사, 영화사, 음원 제작사, 가수 등의 뮤지션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접속 URL이 포함되어 있는 스타 캐릭터 카드를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스타 캐릭터 카드는 팬들에게 좋은 선물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장 가치가 있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카드를 디지털화시켜 판매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디지털화된 카드가 위조나 복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소장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번번히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각각의 다른 특징을 가진 카드마다 디자이너가 직접 디자인해야하므로, 그 개수가 유한하거나 그 수를 늘리기 위해 노동력을 추가적으로 투입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0-0006341호(2020.01.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다양한 아이템을 생성하여 선택된 조합의 데이터 거래시에 NFT(Non-Fungible Token)를 발행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한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은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며,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조합부(100) 및 상기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조합부(100)는 상기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모듈(110) 및 상기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상기 조합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 조합을 각 데이터 간의 결합을 통한 특정 데이터의 세트 조합에 대한 종속시행의 확률로 조합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자 단말(2)로 전송하는 조합 확률모듈(120)을 포함한다.
거래중개부(200)는 상기 추출자 단말(2)을 통해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소유권을 등록하는 거래요청모듈(210) 및 소비자 단말(3)로부터 상기 거래요청모듈에 등록된 추출자 단말(2)의 보유 데이터에 대한 거래 희망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단말의 데이터 거래로 인한 거래체결 데이터를 각 거래 단말로 전송하여 소유권을 이전거래하는 거래체결모듈(220)을 포함한다.
조합부(100)는 특정 데이터 세트에 대해 무작위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하는 이미지 생성기, 비디오 조합기, 오디오 조합기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을 이용한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은 (a) 조합부(100)가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단계, (b) 상기 조합부(100)가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상기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거래중개부(200)가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다양한 아이템을 생성하고 선택된 조합의 데이터 거래시에 NFT를 발행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2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와 설계자 단말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거래 중개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의 조합 생성단계를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의 거래 중개단계를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은 설계자 단말(1), 추출자 단말(2), 소비자 단말(3), 조합부(100), 거래 중개부(200)를 포함한다.
조합부(100)는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며,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조합부는 조합서버로서, 설계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세트에 대해 무작위 조합하여 조합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계자 단말(1)은 설계자(디자이너 등 데이터 세트 입력자)가 다루는 단말로서, 데이터 세트를 입력하면 조합부에서 조합생성 후 데이터 가지수 만큼의 데이터를 조합부에서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설계자 단말(1)은 데이터 세트를 조합부에 입력하는 역할이며, 설계자 단말은 이로부터 조합을 추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자 단말(2)은 조합부로 조합을 요청하여 조합부가 종속시행의 확률로 조합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NFT모듈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3)은 추출자 단말(2)로부터 해당 조합과 NFT소유권(토큰에 대한)을 이전받고자 하며 이를 거래중개부(200)인 거래중개서버를 통해 추출자 단말로부터 서버를 통해 받도록 되어있다. 이 과정에서 조합부인 조합서버와 거래중개부인 거래중개서버는 논리적으로 구분가능하나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일 수 있다.
거래 중개부(200)는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구성이다. 이때, 소비자 단말(3)은 거래 중개부를 통해 소비자-추출자 단말 간 거래를 중개하고 이 과정에서 NFT 소유권을 이전하게 된다.
참고로,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가상자산을 말한다. 이는 자산 소유권을 명확히 함으로써 게임ㅇ예술품ㅇ부동산 등의 기존 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하는 수단이다.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소유권과 판매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 위조 등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동일하지만 NFT가 적용될 경우 하나의 코인은 다른 코인과 대체 불가능한 별도의 인식 값을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합부는 조합 생성모듈(110), 조합 확률모듈(120)을 포함한다.
조합 생성모듈(110)은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조합 확률모듈(120)은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조합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데이터 조합을 각 데이터 간의 결합을 통한 특정 데이터의 세트 조합에 대한 종속시행의 확률로 조합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자 단말(2)로 전송하여 추출자 단말로 하여금 추출한 조합 데이터를 NFT화하도록 한다.
이때, 추출자 단말(2)은 조합부(100)로 조합을 요청하여 조합부가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한 조합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NFT모듈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추출자 단말은 조합요청 후, 조합 확률모듈에서 종속시행 조합을 추출하여 추출자 단말로 전송 후, 추출자 단말에서 NFT모듈을 가동하여 NFT토큰과 조합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 중개부(200)는 거래요청모듈(210), 거래체결모듈(220)을 포함한다.
거래요청모듈(210)은 추출자 단말(2)을 통해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소유권을 등록하는 구성이다.
거래체결모듈(220)은 소비자 단말(3)로부터 거래요청모듈에 등록된 추출자 단말(2)의 보유 데이터에 대한 거래 희망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단말의 데이터 거래로 인한 거래체결 데이터를 각 거래 단말로 전송하여 소유권을 이전거래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는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다수의 조합을 생성하고, 이를 추출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하여 추출자 단말(2)로 전송한다. 이러한 조합부는 시스템 운영자인 설계자 단말에서 만들고자 하는 조합 형태를 구성하는 데이터 종류에 대한 가지수의 데이터 세트를 입력하면 자동조합하여 다수의 조합을 생성하고, 추출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이를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함으로써, 확률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최종 조합의 형태를 입력 데이터의 가지 수에 따라 유한하지 않고 무한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되어 노동력을 적게 투입하고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러한 조합부(100)는 특정 데이터 세트에 대해 무작위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하는 이미지 생성기, 비디오 조합기, 오디오 조합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생성기를 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기본 캐릭터에 대한 무작위 캐릭터 생성 후 종속 시행의 확률을 통해 특정 캐릭터 조합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데이터는 도 3의 마리오와 루이지처럼, 특정한 캐릭터가 있다고 했을 때 기본 캐릭터를 두고, 다양한 색상의 모자나 다양한 색상 또는 디자인의 신발 이미지 데이터를 넣어두면 조합부가 이를 조합하여 데이터로 저장한다. 추출자 단말의 조합추출버튼을 클릭시, 조합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 조합을 각 데이터 간의 결합을 통한 특정 데이터의 세트 조합에 대한 종속시행의 확률로 조합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때 조합 확률모듈의 특정 조합을 추출자 단말로 전달해주어 특정 모자와 특정 신발을 신은 캐릭터가 추출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를 다수 고용하여 수 백가지의 디자인을 할 필요없이 몇가지 데이터만 입력해두면 이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NFT를 더하면 소비자 입장에서 추출된 유일한 데이터(특정 데이터 세트의 조합에 대한 종속 시행)에 대한 소유권을 얻게 되어 거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 세트는 입력된 데이터 세트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이러한 입력된 데이터 세트는 종류가 구분되어야 하고, 종류별로 최소 하나 이상의 가지수를 갖는다. 각 종류의 가지수는 예를 들어, P종류(1~10), Q종류(1~9), D종류(1~8), E종류(1~7)이 있다고 했을 때 그들간의 조합 10*9*8*7=5,040가지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이때 해당 데이터는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오디오, 비디오 등 어떠한 종류에 상관없이 값을 갖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또한 해당 조합데이터는 단순한 데이터의 나열조합이 아닌 데이터간 조합에 의한 사용 가능한 형태의 최종 생성물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캐릭터였다고 하였을 때, 각 종류는 해당 캐릭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머리, 몸통, 팔, 다리)여야하고 조합에 의하여 완성된 캐릭터의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 조합(5,040가지) 중 한 가지를 종속시행의 형태로 추출하여 전송한다(이후 그 다음 요청에서는 5,039가지 중 한가지를 추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조합부와 추출자 단말(2)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부(100)는 추출자 단말(2)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조합 데이터를 요청하면, 종속시행의 확률 조합 데이터를 추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추출자 단말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의 거래 중개부(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자 단말은 조합부(100)로부터 수신한 조합에 대한 특정 데이터에 NFT를 발행하기 위해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 생성,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파일 생성, NFT(Non-Fungible Token) 컨트랙트 실행, NFT 토큰 발행의 과정을 거쳐 NFT화된 조합 데이터를 거래 중개부를 통해 소비자 단말로 거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러한 거래 중개부는 추출자 단말(2)을 통해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소유권을 거래요청모듈에 등록하는 거래요청을 수행하고, 거래요청모듈에 등록된 추출자 단말(2)의 보유 데이터에 대해 소비자 단말(3)로부터 거래 희망 데이터를 수신하고, 추출자 단말과 소비자 단말의 각 단말 데이터 거래로 인한 거래체결 데이터를 각 거래 단말로 전송하여 소유권을 이전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은 (a) 조합부(100)가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단계, (b) 조합부(100)가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상기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거래중개부(200)가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의 조합부 동작을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조합부는 (a-1)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단계와, (a-2)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의 거래 중개단계를 나타낸 세부 흐름도이다. (c)단계는 (c-1)추출자 단말(2)을 통해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소유권을 거래요청모듈에 등록하는 거래요청단계, (c-2)소비자 단말(3)로부터 거래요청모듈에 등록된 추출자 단말(2)의 보유 데이터에 대한 거래 희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c-3)각 단말의 데이터 거래로 인한 거래체결 데이터를 각 거래 단말로 전송하여 소유권을 이전거래하는 거래체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은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여 종속시행 조합 데이터를 추출하는 조합부 및 추출된 조합에 대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를 포함하여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다양한 아이템을 생성하고 선택된 조합의 데이터 거래시에 NFT를 발행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조합을 생성하며,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조합부(100) 및
    상기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100)는
    상기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하여 무작위 조합하여 그 가지수 만큼의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모듈(110) 및
    상기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상기 조합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 조합을 각 데이터 간의 결합을 통한 특정 데이터의 세트 조합에 대한 종속시행의 확률로 조합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자 단말(2)로 전송하는 조합 확률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중개부(200)는
    상기 추출자 단말(2)을 통해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에 소유권을 등록하는 거래요청모듈(210) 및
    소비자 단말(3)로부터 상기 거래요청모듈에 등록된 추출자 단말(2)의 보유 데이터에 대한 거래 희망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단말의 데이터 거래로 인한 거래체결 데이터를 각 거래 단말로 전송하여 소유권을 이전거래하는 거래체결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100)는
    특정 데이터 세트에 대해 무작위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종속시행의 확률로 추출하는 이미지 생성기, 비디오 조합기, 오디오 조합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5. (a) 조합부(100)가 설계자 단말(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세트에 대한 데이터 가지수와 종류 수의 곱을 총 개수로 가지는 데이터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단계,
    (b) 상기 조합부(100)가 추출자 단말(2)의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종속시행 확률의 조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확률조합 데이터를 상기 추출자 단말로 전송하여 NFT화된 조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c) 거래중개부(200)가 추출자 단말(2)의 NFT화된 조합데이터의 소유권을 소비자 단말(3)과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방법.
KR1020210093521A 2021-07-16 2021-07-16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21A KR20230012799A (ko) 2021-07-16 2021-07-16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521A KR20230012799A (ko) 2021-07-16 2021-07-16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799A true KR20230012799A (ko) 2023-01-26

Family

ID=8511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521A KR20230012799A (ko) 2021-07-16 2021-07-16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27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41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확률형 아이템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41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확률형 아이템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6441B1 (en) Digital asset exchange
CN109886677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商品购置方法和装置
US20220164791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collectables ownership based on blockchain networks and online transaction server using the same
CN109564660A (zh) 分布式交易共识网络的数字财产管理
KR1020932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화콘텐츠 관리 시스템
Raman et al. The world of NFTs (non-fungible tokens): the future of blockchain and asset ownership
Murray NFTs and the art world-What's real, and what's not
KR20200046260A (ko)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콜렉터블 카드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775967B2 (en) Transaction delegation method, transaction deleg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Brown Sr et al. Will nfts be the best digital asset for the Metaverse?
TW202338686A (zh) 資訊處理系統、方法及程式
Hrytsai Classification of elements of the latest digital financial technology
Goncharov et al. Digital tokens in the tools of modern foreign trade activities by economic entities of the brics jurisdictions
Elefant Beyond the Bots: Ticked-Off Over Ticket Prices or the Eternal Scamnation?
JP2020144941A (ja) サーバ、真贋判定システム、及びデータ構造
KR20230012799A (ko) Nft기반의 확률성 조합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7375B1 (ko)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19239086A1 (en) Token generation
Barbon et al. Non-fungible tokens
Fernandez-Vazquez et al. The forgotten cryptocurrencies: Beyond bitcoin
CN103854216A (zh) 线上应用虚拟资源的发布方法及装置
Fairfield Making Virtual Things
Dowdy Speech markets & Web3: refreshing the first amendment for non-fungible tokens (NFTs)
WO2022039192A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349689B1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