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153A -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 Google Patents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153A
KR20230012153A KR1020210092586A KR20210092586A KR20230012153A KR 20230012153 A KR20230012153 A KR 20230012153A KR 1020210092586 A KR1020210092586 A KR 1020210092586A KR 20210092586 A KR20210092586 A KR 20210092586A KR 20230012153 A KR20230012153 A KR 20230012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dule
user
captured
platform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249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21009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처리하는 변환모듈과, 상기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가 포함된 유언 영상 구간을 저장하는 편집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고 복수의 상기 유언 영상 구간만 취합된 유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는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Platform Server for Producing Life Video based Will}
본 발명은 사용자의 라이프 영상 자료를 기반으로 일종의 유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 생활을 촬영한 영상 속 사용자의 발언에서 사용자의 유언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의사표현을 리스트화하여 유언으로 기록하고,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사용자의 발언에서 포착된 특이점들에 기초하여 해당 특이점들에 미리 매칭된 유도 질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앨범을 촬영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언에 관련된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화지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소개됨에 따라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자료 즉, 사진, 동영상 등의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앨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유언은 사망으로 인하여 효력을 발생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여 행하는 단독의 의사 표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8650호는 인터넷을 이용한 유언장을 기록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언장은 변호사 등 전문인력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이 전문인력을 이용한 유언의 경우 유언을 하는데 있어 과다한 비용 지출 및 그 범위 또한 재산 상속이라는 물질적인 것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언장은 사용자가 미리 유언 내용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유언장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경우 유언장에 작성할 내용을 생각하는데 부담이 되어 유언장의 작성을 꺼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유언장을 생전에 작성해 놓지 않을 경우 사고를 당해 사망하거나, 의사 결정이 불가능한 상황에 처할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미흡하여 곤란한 지경에 이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용할 경우 유언을 하는데 있어 과다한 비용 지출 및 그 범위 또한 재산 상속이라는 물질적인 것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자신이 사고를 당해 사망하거나, 의사 결정이 불가능한 상황에 처할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미흡하여 곤란한 지경에 이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08650호(등록일 2008.02.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일상 생활을 촬영한 영상 속에서 사용자의 발언에서 사용자의 유언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의사표현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처리하는 변환모듈과, 상기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가 포함된 유언 영상 구간을 저장하는 편집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고 복수의 상기 유언 영상 구간만 취합된 유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는 생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언 영상 앨범에 포함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처리하여 유언 내용을 목록화하는 리스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모듈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유언 영상 앨범과 이전에 생성된 다른 유언 영상 앨범을 비교하고, 상호 상반되는 유언 내용이 포착되면 알림할 수 있다.
상기 변환모듈에서 처리된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탐색모듈과 및 검색된 상기 유도 질문을 촬영중인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 또는 화면 자막으로 출력하는 질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사전에 텍스트로 입력받고, 상기 탐색모듈은 상기 신상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유도 질문에 대응하는 후속 질문이 등급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탐색모듈은, 상기 질문모듈에서 제공된 상기 유도 질문에 대한 음성 답변에서 먼저 포착된 상기 유언 유사 단어와 유사한 단어가 다시 포착되면, 포착된 단어의 개수에 따라 상기 후속 유도 질문 중 높은 등급의 상기 후속 유도 질문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을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일상 생활을 촬영한 영상 속 사용자의 발언에서 사용자의 유언으로 인지될 수 있는 의사표현을 리스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유언장을 작성한다는 부담 없이 사용자가 평소에 은연중에 생각하고 있는 내용으로 유언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를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제작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100)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100)는 일상 속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라이프 영상을 촬영하면, 제작 플랫폼 서버(100)가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유언으로 사용될만한 영상을 편집하며, 유언으로 사용될만한 영상만 편집한 유언 영상 앨범 및 전체 영상이 촬영된 디지털 영상 앨범을 각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을 촬영한 영상 속 사용자의 발언에서 사용자의 유언으로 인지될 수 있는 부분을 별도로 편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유언장을 작성한다는 부담 없이 평소 또는 은연중에 생각하고 있는 내용으로 유언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제작 플랫폼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100)는 입력모듈(110), 변환모듈(120), 편집모듈(130), 생성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작 플랫폼 서버(100)는 리스트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및 e-북(e-Book)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입력모듈(11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다. 입력모듈(110)에서 회원가입 때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생성된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유언 영상 앨범과 매칭시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입력모듈(110)은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다. 입력모듈(110)에 입력된 동영상은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유언 영상 앨범을 작성하기 위한 영상이다. 예컨대, 입력모듈(110)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함은 촬영 완료된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 아니고, 촬영 중인 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변환모듈(120)은 입력모듈(110)에 입력된 영상에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 파일로 처리하여 저장한다. 변환모듈(120)에서 저장된 텍스트 파일은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에서 사용자의 유언으로 사용할 만한 발언이 있는지 포착하는데 사용된다.
편집모듈(130)은 변환모듈(120)에서 저장된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있는지 탐색하고, 텍스트에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해당 유언 유사 단어가 포함된 영상의 구간을 유언 영상 구간으로 색인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구간은 유언 유사 단어 이전 1분 또는 2분 및 이후의 1분 또는 2분과 같이 유언 유사 단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구간일 수 있다. 또는, 구간은 유언 유사 단어를 기준으로 연속된 발언이 시작되는 구간부터 발언이 종료되는 구간까지일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유언 유사 단어는 눈물, 후회, 유언, 아쉬움, 불효, 효도, 근조, 유산, 재산, 상속, 증여, 유품, 형제, 희생, 자녀, 지역, 성장, 행복, 반성, 소통, 화합, 효자, 가족 등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언 유사 단어는 상기에서 나열한 단어들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편집모듈(130)은 상기에서 나열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된 영상의 구간을 유언 영상 구간으로 초기 저장하고, 초기 저장된 유언 영상 구간에서 상기에서 나열한 유언 유사 단어의 조합 또는 횟수를 다시 포착하며, 유언 유사 단어의 조합 또는 횟수에 따라 유언 영상 구간을 재보정할 수 있다.
생성모듈(140)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전체 영상을 보정 및 편집하여 디지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한다. 생성모듈(140)은 편집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영상을 보정 및 편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능 즉, 영상 필터, 영상 크기, 배경음악 등을 적용시켜 영상을 보정 및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생성모듈(140)은 사용자가 직접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영상 편집 툴(TOOL)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생성모듈(140)은 디지털 영상 앨범 외에도 유언 영상 구간만 취합된 유언 영상 앨범을 생성한다
생성모듈(140)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유언 영상 앨범과 이전에 생성된 다른 유언 영상 앨범을 비교하고, 상호 상반되는 유언 내용이 포착되면 사용자 단말로 알림한다.
예컨대, 생성모듈(140)은 변환모듈(120)에 의해 처리된 현재(또는 가장 최근) 유언 영상에 대한 텍스트 파일과, 이전 유언 영상에서 처리된 텍스트 파일을 비교하여 상호 상반되는 유언 내용이 포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100)는 리스트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모듈(150)은 유언 영상 앨범에 포함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파일 처리하여 유언 내용을 텍스트로 목록화한다. 또는, 리스트모듈(150)은 변환모듈(120)에 의해 처리된 텍스트 파일 및 편집모듈(130)에서 포착된 유언 유사 단어를 이용하여 유언 내용을 목록화한다.
그리고 리스트모듈(150)은 목록화된 유언 내용을 별도로 저장하여 사용자가 유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생성모듈(140)은 현재(또는 가장 최근) 유언 영상에서 리스트모듈(150)에 의해 목록화된 유언 내용의 텍스트와 이전 유언 영상에서 리스트모듈(150)에 의해 목록화된 유언 내용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상호 상반되는 유언 내용을 포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을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생성모듈은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이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의 링크를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촬영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언 중 특이점을 포착하고, 특이점에 대응하는 유도 질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앨범을 촬영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언에 관련된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200)는 입력모듈(210), 변환모듈(220), 편집모듈(230), 생성모듈(240), 탐색모듈(250) 및 질문모듈(26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입력모듈(110), 변환모듈(120), 편집모듈(130), 생성모듈(140)은 제1 실시예의 입력모듈(110), 변환모듈(120), 편집모듈(130), 생성모듈(14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제작 플랫폼 서버(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실시예의 리스트모듈(도 2의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모듈(210)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회원가입 과정 또는 회원가입 후 별도의 양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사전에 입력받는다.
입력모듈(210)에서 입력받는 신상정보는 사용자에게 유언에 관련된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하기 위해 수집하는 정보다.
본 실시예에서 신상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국적, 가족 관계,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하는 신상정보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탐색모듈(250)은 신상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검색한다.
또한, 탐색모듈(250)은 변환모듈(220)에서 처리된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본 실시에에서 유언 유사 단어는 눈물, 후회, 유언, 아쉬움, 불효, 효도, 근조, 유산, 재산, 증여, 유품, 형제, 희생, 자녀, 지역, 성장, 행복, 반성, 소통, 화합, 효자, 가족 등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언 유사 단어는 상기에서 나열한 단어들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질문모듈(260)은 탐색모듈(250)에서 검색된 유도 질문을 사용자 단말의 화면 자막으로 출력한다. 또한, 질문모듈(260)은 유도 질문을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질문모듈(260)의 출력되는 시점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을 진행하고 있는 도중이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도중에 질문모듈(260)에서 제공된 유도 질문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에는 유도 질문에 대응하는 후속 질문들이 등급화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탐색모듈(250)은 질문모듈(260)에서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유도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답변에서도 먼저 포착된 유언 유사 단어와 유사한 단어가 다시 포착되면, 포착된 단어의 개수에 따라 후속 유도 질문 중 높은 등급의 후속 유도 질문을 검색한다.
그리고 질문모듈(260)은 탐색모듈(250)에서 검색된 높은 등급의 후속 유도 질문을 사용자 단말에 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신상정보에 기초하여 질문모듈(260)이 사용자 단말로 “형제에게 재산을 증여할 계획이 있으신가요?”라는 유도 질문을 출력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사용자가 “나의 친형에게 재산을 증여해주고 싶다”라고 음성 답변한 경우, 탐색모듈(250)은 사용자의 음성 답변 중 ‘형제’ ‘재산’ ‘증여’ 즉, 유언 유사 단어를 3개로 포착한다.
그리고 탐색모듈(250)은 먼저 제공된 유도 질문에서 좀 더 구체적인 후속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유도 질문의 구체적인 정도는 유도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답변에서 포착된 유언 유사 단어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탐색모듈(250)에 의해 검색되는 후속 유도 질문은 “친형의 이름을 말해주세요”, “친형의 이름과, 친형에게 증여하려 하는 재산의 금액을 말씀해주세요”, “친형의 이름과, 친형에게 증여하려 하는 재산의 금액 및 유품의 종류를 말씀해주세요”가 될 수 있다.
한편, 생성모듈(240)은 유언 영상 앨범을 생성할 때 질문모듈(260)에서 제공된 유도 질문의 자막이 제거된 상태로 생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생성모듈(240)은 생성된 상기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을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생성모듈(240)은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이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의 링크를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작 플랫폼 서버
110: 입력모듈
120: 변환모듈
130: 편집모듈
140: 생성모듈
150: 리스트모듈

Claims (7)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 처리하는 변환모듈;
    상기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가 포함된 유언 영상 구간을 저장하는 편집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고 복수의 상기 유언 영상 구간만 취합된 유언 영상 앨범으로 작성하는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언 영상 앨범에 포함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 처리하여 유언 내용을 목록화하는 리스트모듈
    을 더 포함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모듈은,
    동일한 사용자에의해 생성된 상기 유언 영상 앨범과 이전에 생성된 다른 유언 영상 앨범을 비교하고, 상호 상반되는 유언 내용이 포착되면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모듈에서 처리된 텍스트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탐색모듈; 및
    검색된 상기 유도 질문을 촬영중인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 또는 화면 자막으로 출력하는 질문모듈
    을 더 포함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사전에 텍스트로 입력받고,
    상기 탐색모듈은 상기 신상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유언 유사 단어가 포착되면 상기 유언 유사 단어에 연계된 유도 질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유도 질문에 대응하는 후속 질문이 등급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탐색모듈은,
    상기 질문모듈에서 제공된 상기 유도 질문에 대한 음성 답변에서 먼저 포착된 상기 유언 유사 단어와 유사한 단어가 다시 포착되면, 포착된 단어의 개수에 따라 상기 후속 유도 질문 중 높은 등급의 상기 후속 유도 질문을 검색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디지털 영상 앨범 및 상기 유언 영상 앨범을 블록체인화 하여 저장하는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KR1020210092586A 2021-07-15 2021-07-15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KR10261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86A KR102619249B1 (ko) 2021-07-15 2021-07-15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86A KR102619249B1 (ko) 2021-07-15 2021-07-15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53A true KR20230012153A (ko) 2023-01-26
KR102619249B1 KR102619249B1 (ko) 2023-12-28

Family

ID=8511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86A KR102619249B1 (ko) 2021-07-15 2021-07-15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50B1 (ko) 2006-10-31 2008-02-29 갤럭시게이트(주) 인터넷을 이용한 유언장 기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9494A (ko) * 2010-03-02 2011-09-08 도대욱 증거 영상 처리장치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50B1 (ko) 2006-10-31 2008-02-29 갤럭시게이트(주) 인터넷을 이용한 유언장 기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9494A (ko) * 2010-03-02 2011-09-08 도대욱 증거 영상 처리장치
KR20200057316A (ko) * 2018-11-16 2020-05-26 김재호 유언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249B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439B2 (en) Conversational enterprise document editing
Cordell Machine learning and libraries: a report on the state of the field
US20200293616A1 (en) Generating a meeting review document that includes links to the one or more documents reviewed
US11263384B2 (en) Generating document edit requests for electronic documents managed by a third-party document management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00293607A1 (en) Updating existing content suggestion to include suggestions from recorded medi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Gambier Challenges in research on audiovisual translation
US7574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arch and retrieval operations to be performed for data items and records using data obtained from associated voice files
US11392754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review of physical documents
US9569428B2 (en) Providing an electronic summary of source content
US2020029360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review of electronic documents
US20210089571A1 (en) Machine learning image search
DE202010018551U1 (de) Automatische Bereitstellung von Inhalten, die mit erfassten Informationen, wie etwa in Echtzeit erfassten Informationen, verknüpft sind
CN112929746B (zh) 视频生成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40161423A1 (en) Message composition of media portions in association with image content
CN115481679A (zh) 一种多模态情感分析方法及其系统
CN116484808A (zh) 一种公文用可控文本生成方法及装置
KR101618084B1 (ko) 회의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12153A (ko) 라이프 영상 기반 유언장 제작 플랫폼 서버
US20140297678A1 (en) Method for searching and sorting digital data
CN112905838A (zh) 信息检索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240163388A1 (en) Personalized semantic based image editing
Smyth et al.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Thomson’s fourth paradigm transformation—The case for a multimodal approach to digital oral history?
JP61684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452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video summary based on video relevancy
Lee PRESTIGE: MOBILIZING AN ORALLY ANNOTATED LANGUAGE DOCUMENTATION CORP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