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970A -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970A
KR20230011970A KR1020227042874A KR20227042874A KR20230011970A KR 20230011970 A KR20230011970 A KR 20230011970A KR 1020227042874 A KR1020227042874 A KR 1020227042874A KR 20227042874 A KR20227042874 A KR 20227042874A KR 20230011970 A KR20230011970 A KR 20230011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edge
elongated
corn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프 케어 힌더스랜드
다그 알네스
Original Assignee
앨럭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앨럭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앨럭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11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86Corner fill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E04F13/06Edge-protecting bo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at vertical intersection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 E04F19/06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between similar elements in co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2001/619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slabs being connected at an angle, e.g. forming a cor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E04F13/04Bases for plaster
    • E04F13/06Edge-protecting borders
    • E04F2013/063Edge-protecting borders for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제1 패널(91)과 제2 패널(92) 및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의 내부 코너 조립체(1000)로서, -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와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 및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음부(13)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고; - 제1 패널(91)은 전방 측면(910)과 후방 측면(919), 제1 에지(911) 및 대향하는 제2 에지(912)를 형성하고; - 제2 패널(92)은 전방 측면(920)과 후방 측면(929), 제1 에지(921) 및 대향하는 제2 에지(922)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11)는 제1 패널(91)의 후방 측면(919)과 맞닿고, 제2 플랜지(12)는 제2 패널(92)의 후방 측면(929)과 맞닿는 내부 코너 조립체.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제1 패널(91)의 제1 에지(911) 및 제2 패널(92)의 제2 에지(922)와 고정식으로 맞닿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본 발명은 방 내부 코너에 벽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내부 코너에 벽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될 패널 및 코너 프로파일 또는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내부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너 프로파일은 장력부여 수단(tensioning means)을 포함하고, 코너 프로파일 및 장력부여 수단은 동일한 재료 부재로 제조된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는 각도 부재를 포함하고, 장력부여 수단은 2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력부여 수단이 패널의 측면 에지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패널을 제 위치에 로킹하는 패널에 대한 측방력을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에는 패널을 제 위치에 로킹하는데 일조하기 위해 패널의 측면 에지 쪽으로 가압되는 종방향 리지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수직 패널 또는 벽 패널은 시각적인 외장(sheathing) 또는 클래딩(cladding)을 형성하기 위해 벽에 나란히 장착된다. 패널은 벽 스터드에 고정될 수 있다. 패널은 측면 에지에서 그루브 및 설형 연결부(tongue connection)에 의해 측면끼리 결합될 수 있다. 대안예로서, 측면 에지에는 로킹 시스템을 형성하는 상보적인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패널은 하나의 패널을 피장착 패널에 소정의 각도로 연결한 후 당해 패널을 피장착 패널과 동일한 평면에 이르기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서로 순차적으로 장착된다. 연결이 매우 타이트하게 이루어져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패널은 발수성 표면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고, 욕실과 같이 수분에 노출되는 방의 클래딩으로서 적합하다.
그루브 및 설형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는지 또는 소위 클릭-연결(click-connection)로 결합되는지와 상관없이, 이러한 패널의 하나의 단점으로는 내부 코너에의 적합한 장착을 이루는 것에 있다. 여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코너에 면할 에지를 따라 정확하게 패널을 절단하는 것이다. 이는 패널이 고정된 폭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폭은 하나의 벽을 따라 코너에 가장 가까운 패널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공간과 거의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다. 따라서, 코너 연결부를 코너 비드 뒤에 두어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코너 비드는 코너에 있는 스터드에 패널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못이나 나사를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스토퍼가 코너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코너 비드 또는 스토퍼는 건조한 방에서는 제 역할을 하겠지만, 습한 방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내부 코너 프로파일이 제조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코너 프로파일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가 90°를 이루는 각도 부재로 제조된다.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스터드와 대면할 것이다. 각도 부재는 제3 플랜지와 제4 플랜지 및 이들 플랜지 사이의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로써 제1 플랜지와 제3 플랜지 사이에 제1 채널이 형성되고, 제2 플랜지와 제4 플랜지 사이에 제2 채널이 형성된다.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의 폭은 패널의 두께에 대응한다. 각도 부재는 압출 성형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다. 각도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패널의 장착은 한쪽 코너에서, 제1 패널을 적합한 폭으로 절단하고, 코너에 면하게 되는 에지 상에서 내부 코너 프로파일을 활주시키고, 패널과 내부 코너 프로파일을 코너에 끼워 맞추는 것으로 개시된다. 구속되지 않은 제1 또는 제2 플랜지를 따라 내부 코너 프로파일이 스터드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1 패널이 코너에 체결된다. 또한, 제1 패널은 천장을 따라서 상부 에지를 따라 체결된다. 연결부의 방수를 위해 채널을 밀폐제로 충전한다. 그 후, 다음 패널이 적합한 폭으로 절단되고, 코너 프로파일의 구속되지 않은 채널 내로 활주된다. 즉, 패널이 인접하는 벽 상에 장착된다. 이제 이 방향,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방 둘레로 나머지 패널을 계속해서 장착해야 한다.
패널 장착이 완료된 후에 제3 플랜지 및 제4 플랜지는 가시화된다. 가시적인 플랜지는 각각의 코너를 둥근 모양으로 보이게 한다. 이는 에지가 예리한, 즉 90°인 가구가 정확하게 코너 안에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불리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개선 또는 감소시키거나, 적어도 종래 기술에 대한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아래의 설명 및 후속하는 청구범위에 명시되는 특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패널을 벽에 체결하기 위한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이 먼저 내부 코너에 체결될 수 있다. 그 후, 패널이 적합한 폭으로 절단된 후 프로파일 내로 끼워진다. 패널은 양측에서 프로파일 내로 끼워질 수 있다. 코너 프로파일에는 패널을 코너 프로파일에 체결하는 로킹 수단이 제공된다. 패널이 양호하게 절단되면, 내부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는 예리한 내부 코너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밀폐제 또는 스토퍼가 코너에 있는 2개의 인접한 패널 사이의 좁은 슬릿 내에 충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은 동일한 내부 코너로부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패널은 같은 방의 2개 이상의 내부 코너로부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는 공지된 내부 코너 프로파일보다 본 발명이 작업을 구성하는데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여러 작업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일을 할 수 있어 같은 방에서 서로 다른 벽에 패널을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규정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과 제2 패널 및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의 내부 코너 조립체로서,
- 상기 코너 프로파일은 제1 플랜지와 제1 플랜지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 및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의 이음부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를 포함하고;
- 제1 패널은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 제1 에지 및 대향하는 제2 에지를 형성하고;
- 제2 패널은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 제1 에지 및 대향하는 제2 에지를 형성하고;
제1 플랜지는 제1 패널의 제1 에지를 따라 제1 패널의 후방 측면과 맞닿고, 제2 플랜지는 제2 패널의 제2 에지를 따라 제2 패널의 후방 측면과 맞닿는 내부 코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코너 조립체는 제1 패널의 제1 에지 및 제2 패널의 제2 에지와 고정식으로 맞닿는 장력부여 수단을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은 패널을 코너 프로파일 내 영구적인 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킹 수단 역할을 한다.
장력부여 수단 및 코너 프로파일은 동일한 재료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 및 코너 프로파일은 압출 성형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 및 코너 프로파일은 캐스팅 또는 다른 적합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 및 코너 프로파일은 플라스틱, 복합 재료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플랜지 및 지지 플랜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이음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맞닿음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은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프링은 지지 플랜지, 탄성 회전 부분 및 자유 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자유 단부 부분은 맞닿음 면을 형성한다. 지지 플랜지는 베이스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 각각에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플랜지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도는 40° 내지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 각도는 44° 내지 46°이다. 각도는 45°이거나 45°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지지 플랜지의 베이스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 플랜지의 대향 에지는 제1 플랜지를 향하는 제1 장력부여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향하는 제2 장력부여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제1 장력부여 플랜지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 에지 또는 제2 에지에 맞닿는 맞닿음 면에 장력부여 플랜지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될 수 있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도는 40° 내지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 각도는 44° 내지 46°이다. 각도는 45°이거나 45°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수용 본체의 베이스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본체는 세장형 제1 립 및 세장형 제2 립을 포함할 수 있다. 립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립 및 제2 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유 단부 부분에 세장형 접촉 부분이 제공될 수 있고, 접촉 부분에는 립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세장형 리지는 제1 에지 또는 제2 에지를 면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내부 코너 조립체는 세장형 슬롯에 장착될 수 있는 세장형 압박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레일은 제1 면과 제2 면, 선행 레일 에지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일 수 있다. 후행 레일 에지는 선행 레일 에지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내부 코너 조립체는 압박 레일의 대안예로서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Y-형상 압박 부재는 압박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후행 레일 에지는 푸시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압박 부재는 푸시 에지에 기반한 제1 로킹 윙 및 푸시 에지에 기반한 제2 로킹 윙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로킹 윙은 제1 로킹 윙에 직교하여 배향될 수 있다.
내부 코너 조립체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에는 제2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플랜지에는 제1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 설형부와 제2 지지 설형부 사이에 세장형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제1 세장형 요홈부 및 제2 세장형 요홈부에 의해 분리되는 선행 부분 및 정지 캠으로 형상화될 수 있는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이 입구 내에 배치될 때, 제1 요홈부는 제1 지지 설형부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제2 요홈부는 제2 지지 설형부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선행 부분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에, 푸시 부분으로부터 제1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제1 세장형 시일 부재 및 푸시 부분으로부터 제2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제2 세장형 시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일 부재는 제1 에지와 맞닿도록 조정될 수 있고, 제2 시일 부재는 제2 에지와 맞닿도록 조정될 수 있다.
내부 코너 조립체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에는 제2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될 수 있고, 제2 플랜지에는 제1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 설형부와 제2 지지 설형부 사이에 세장형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 나사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대향 면, 반전 면, 제1 경사측 에지 및 제1 경사측 에지에 직교하는 제2 경사측 에지를 형성할 수 있는 세장형 바; 및
- 나사 관통 구멍에 맞춰 조정되는 다수의 나사
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사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와 맞닿도록, 그리고 바를 이음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1 경사측 에지는 제1 에지와 맞닿도록 조정될 수 있고, 제2 경사측 에지는 제2 에지와 맞닿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내부 프로파일은 제1 플랜지와 제1 플랜지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 및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의 이음부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를 포함한다. 코너 프로파일은 장력부여 수단을 포함하고, 장력부여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플랜지 및 지지 플랜지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이음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맞닿음 면을 포함한다.
코너 프로파일은 제1 스프링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프링은 지지 플랜지, 탄성 회전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자유 단부 부분은 맞닿음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장력부여 수단(2)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2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점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될 수 있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도는 40° 내지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 각도는 44° 내지 46°이다. 각도는 45°이거나 45°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장력부여 수단은 지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플랜지의 베이스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 플랜지의 대향 에지는 제1 플랜지를 향하는 제1 장력부여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향하는 제2 장력부여 플랜지를 탄성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며, 제1 장력부여 플랜지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 각각은 맞닿음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장력부여 플랜지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맞닿음 면에 장력부여 플랜지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 및 제1 플랜지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를 포함하는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는 장력부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각도는 40° 내지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 각도는 44° 내지 46°이다. 각도는 45°이거나 45°에서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수용 본체의 베이스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에 배치되고, 수용 본체는 제1 세장형 립 및 제2 세장형 립을 포함하고, 상기 립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이 형성되고,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는 세장형 슬롯에 장착되는 세장형 압박 레일을 포함하고, 압박 레일은 제1 면과 제2 면, 선행 레일 에지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를 형성하고,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이다.
제1 세장형 립 및 제2 세장형 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유 단부 부분에 외향 접촉 부분이 제공될 수 있고, 접촉 부분에는 립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후행 레일 에지는 선행 레일 에지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본 양태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압박 레일은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의 일부일 수 있다. 후행 레일 에지는 푸시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압박 부재는 푸시 에지에 기반한 제1 로킹 윙 및 푸시 에지에 기반한 제2 로킹 윙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로킹 윙은 제1 로킹 윙에 직교하여 배향될 수 있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 및 제1 플랜지에 직교하여 배향되는 제2 플랜지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를 포함하는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1 플랜지에는 제2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되고, 제2 플랜지에는 제1 플랜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된다. 제1 지지 설형부와 제2 지지 설형부 사이에 세장형 입구가 형성된다. 프로파일 조립체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장력부여 수단을 포함하고, 장력부여 수단은 제1 세장형 요홈부 및 제2 세장형 요홈부에 의해 분리되는 선행 부분 및 정지 캠으로 형상화되는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를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이 입구 내에 배치될 때, 제1 요홈부는 제1 지지 설형부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제2 요홈부는 제2 지지 설형부를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은 선행 부분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에, 제1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세장형 시일 부재 및 제2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세장형 시일 부재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를 포함하는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2 플랜지는 제1 플랜지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제1 플랜지에는 제2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되고, 제2 플랜지에는 제1 플랜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가 제공된다. 제1 지지 설형부와 제2 지지 설형부 사이에 세장형 입구가 형성된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는,
- 나사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대향 면, 반전 면, 제1 경사측 에지 및 제1 경사측 에지에 직교하는 제2 경사측 에지를 형성하는 세장형 바; 및
- 나사 관통 구멍에 맞춰 조정되는 다수의 나사
로 이루어지는 장력부여 수단을 포함하고,
나사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 이음부와 맞닿도록, 그리고 바를 이음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된다.
본 양태에서, 이음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바의 변위는 제1 경사측 에지가 제1 에지에 맞닿고, 제2 경사측 에지가 제2 에지에 맞닿을 때까지, 제1 경사측 에지를 제1 에지를 향해 이동시키고, 제2 경사측 에지를 제2 에지를 향해 이동시킨다. 바의 추가적인 변위는 바로부터 제1 및 제2 에지를 향하는 압력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예가 설명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부품의 단계별 조립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코너 조립체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3은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5는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6은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7은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8은 대안적인 실시예의 코너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9a 내지 도 9c는 부품의 단계별 조립을 도시하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코너 프로파일 및 내부 코너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명료화를 위해, 일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요소는 참조 번호가 부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면은 단지 주요 도면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개별 요소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이 왜곡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1)는 코너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100)는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1000)는 내부 코너 조립체를 나타낸다.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을 포함한다.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포함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는 서로 직교하여 배향된다.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제1 패널(91) 및 제2 패널(92)을 포함한다. 제1 패널(91)은 전방 측면(910)과 후방 측면(919), 세장형 제1 에지(911) 및 대향하는 세장형 제2 에지(912)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패널(91)은 상부 에지 및 바닥 에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제2 패널(92)은 전방 측면(920), 후방 측면(929), 세장형 제1 에지(921) 및 대향하는 세장형 제2 에지(922)를 형성한다. 또한, 제2 패널(92)은 상부 에지 및 바닥 에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2)은 도 1c, 도 1d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91)이 후방 측면(919) 상에서 제1 플랜지(11)와 맞닿을 때, 그리고 제2 패널(92)이 후방 측면(929) 상에서 제2 플랜지(12)와 맞닿을 때,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상에 측방력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패널(91, 92)을 코너 프로파일(1)에 고정식으로 로킹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3)를 포함한다. 지지 플랜지(3)의 베이스(30)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된다. 지지 플랜지(3)의 대향 에지(39)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제1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제2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2)를 지탱한다. 제1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1)의 에지(36)는 제1 플랜지(11)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2)의 에지(36)는 제1 플랜지(12)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맞닿음 면(33)이 제공된다. 맞닿음 면(33)은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맞닿음 면(33)에는 장력부여 플랜지(31, 3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35)가 제공된다. 리지(35)는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내로 어느 정도 밀고 들어갈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2개의 세장형 스프링(20)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21)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제1 플랜지(11)로부터 돌출된다. 제2 스프링(2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제2 플랜지(12)로부터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21)은 제1 플랜지(11)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되고, 제2 스프링(22)은 제2 플랜지(12)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된다. 제1 스프링(21)은 베이스(29)에서 제1 플랜지(11)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1)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스프링(22)은 베이스(29)에서 제2 플랜지(12)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제2 플랜지(12)와 맞닿지 않고서 제2 플랜지(1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장력부여 수단(2)에 어떠한 압력도 인가되지 않을 때, 제1 스프링(21)의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2 스프링(22)의 탄성 회전 부분(2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자유 단부 부분(25)은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측에 맞닿음 면(27)을 형성한다. 맞닿음 면(27)은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4)를 포함한다. 수용 본체(4)의 베이스(40)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된다. 수용 본체(4)는 세장형 제1 립(41) 및 세장형 제2 립(42)을 포함한다. 립(41, 42)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43)이 형성된다. 립(41, 42)에는 이들 립의 자유 단부 부분(44)에 세장형 접촉 부분(46)이 제공된다. 접촉 부분(46)에는 립(41, 4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45)가 제공된다. 세장형 접촉 부분(44)은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중 하나에 면한다. 리지(45)는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와 맞닿으며, 리지(45)는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내로 어느 정도 밀고 들어갈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립(41 및 4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된다. 립(41 및 42)의 슬롯(43)에 면하는 측면들은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립(41 및 4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된다. 립(41 및 42)의 슬롯(43)에 면하는 측면들은 슬롯(43)으로의 입구(48)가 슬롯(43)의 가장 좁은 부분을 형성하도록 서로를 향해 편향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세장형 압박 레일(5)도 포함한다. 압박 레일(5)은 세장형 슬롯(43)에 장착된다. 압박 레일(5)은 제1 면(51)과 제2 면(52), 선행 레일 에지(50)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59)를 형성한다. 제1 면(51) 및 제2 면(52)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이다. 톱니 모양은 슬롯(43) 내에서 압박 레일(5)이 베이스(40)를 향해서는 변위되지만,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압박 레일(5)이 변위되지 않도록, 톱니형 슬롯(43)과 상호작용한다. 후행 레일 에지(59)는 선행 레일 에지(50)보다 더 넓다. 이에 의해, 도 1c 및 도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박 레일(5)이 슬롯(43) 내로 가압될 때, 후행 레일 에지(59)는 제1 립(41)을 제1 에지(911)를 향해 가압하고, 제2 립(42)을 제2 에지(922)를 향해 가압한다. 도 1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박 레일(5)을 슬롯(43) 내로 변위시키기 위해 슬림 펀칭 팁(49)이 제공되는 펀칭 공구(48)가 사용된다. 펀칭 팁(49)은 패널(91, 92)이 패널의 후방 측면(919, 929)이 플랜지(11, 12)와 맞닿고, 에지(911, 922)가 리지(45)와 맞닿게 위치된 때, 제1 패널(91)과 제2 패널(92) 사이를 통과한다. 도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박 레일(5)이 슬롯(43) 내로 가압된 때, 제1 패널(91)과 제2 패널(92) 사이 슬릿을 충전하도록 밀폐제(49)가 추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코너 프로파일(1), 수용 본체(4) 및 압박 레일(5)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6)를 포함한다. Y-형상 압박 부재(6)는 압박 레일(5)을 포함한다. 후행 레일 에지(59)는 푸시 에지(69)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부재(6)는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1 로킹 윙(61) 및 제1 로킹 윙(61)에 직교하고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2 로킹 윙(6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압박 부재(6)는 제1 패널(91) 및 제2 패널(92)이 각도 부재(10)에 위치된 후에 슬롯(43)에 설치된다. 압박 부재(6)의 압박 레일(5)은 제1 로킹 윙(61) 및 제2 로킹 윙(62)이 각각 제1 패널(91)의 전방 측면(910) 및 제2 패널(92)의 전방 측면(920)과 맞닿을 때까지 슬롯(43) 내로 가압된다. 압박 레일(5)은 리지(45)를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내로 가압된다.
압박 부재(6)는 제1 패널(91)과 제2 패널(92) 사이의 슬릿을 충전한다. 선택적으로, 밀폐제가 로킹 윙(61, 62)과 전방 측면(910, 920)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코너 프로파일(1), 수용 본체(4) 및 압박 부재(6)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제1 플랜지(11)에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는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을 포함한다. 지지 설형부(111)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플랜지(12)에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된다. 제2 지지 설형부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장력부여 수단(2)은 선행 부분(70) 및 정지 캠(73)으로 형상화되는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7)를 포함한다. 정지 캠(73)은 제1 세장형 요홈부(71) 및 제2 세장형 요홈부(72)에 의해 선행 부분(70)으로부터 분리된다. 장력부여 수단(2)이 입구(14) 내에 배치될 때, 제1 요홈부(71)는 제1 지지 설형부(111)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제2 요홈부(72)는 제2 지지 설형부(122)를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선행 부분(70)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79)을 포함한다. 제1 세장형 시일 부재(791)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푸시 부분(79)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세장형 시일 부재(792)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푸시 부분(79)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시일 부재(791)는 제1 에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제2 시일 부재(792)는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코너 프로파일(1) 및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7)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제1 플랜지(11)에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는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을 포함한다. 지지 설형부(111)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플랜지(12)에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된다. 제2 지지 설형부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세장형 바(8) 및 나사(85)로 이루어진다. 바(8)는 대향 면(80), 반전 면(89), 제1 경사측 에지(81) 및 제2 경사측 에지(82)를 형성한다. 제2 경사측 에지(82)는 제1 경사측 에지(8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바(8)에는 대향 면(80)으로부터 반전 면(89)까지 나사 관통 구멍(83)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83)은 바람직하게는 바(8)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나사(85)는 나사 관통 구멍(83)에 맞춰 조정된다. 각각의 나사(85)는 관통 구멍(83)에서 회전될 때,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나사(85)를 더 돌리면, 바(8)가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 경사측 에지(81)는 제1 에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되고, 제2 경사측 에지(82)는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코너 프로파일(1) 및 세장형 바(8)를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플랜지(11)에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로부터 일정 거리에 제1 스프링(21)이 제공된다. 제2 스프링(22)은 이음부(13)에서 일정 거리만큼 제2 플랜지(12)로부터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21)은 제1 플랜지(11)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스프링(22)은 제2 플랜지(12)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1)은 베이스(29)에서 제1 플랜지(11)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1)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스프링(22)은 베이스(29)에서 제2 플랜지(12)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제2 플랜지(12)와 맞닿지 않고서 제2 플랜지(1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장력부여 수단(2)에 어떠한 압력도 인가되지 않을 때, 제1 스프링(21)의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2 스프링(22)의 탄성 회전 부분(2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자유 단부 부분(25)은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측에 맞닿음 면(27)을 형성한다. 맞닿음 면(27)은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제1 패널(91)이 후방 측면(919) 상에서 제1 플랜지(11)와 맞닿을 때, 그리고 제2 패널(92)이 후방 측면(929) 상에서 제2 플랜지(12)와 맞닿을 때,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 상에 측방력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패널(91, 92)을 코너 프로파일(1)에 고정식으로 로킹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2 패널(92)이 제1 패널(91)에 앞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반대 순서도 가능하다. 패널(91, 92) 둘 모두가 배치되어 장력부여 수단(2)에 의해 고정된 후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전방 측면(910)과 제2 전방 측면(920) 사이 작은 간극이 밀폐제로 충전될 수 있다.
스프링(20)은 베이스(29)에서 탄성적이다. 도 9a와 도 9b를 비교함으로써, 지지 플랜지(23)가 패널(91, 92)에 의해 대향 플랜지(11, 12)를 향해 가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전 부분(24)은 탄성적이고, 도 9a와 도 9c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의 회전 부분(24)이 맞닿을 때, 패널(91, 92)이 자유 단부 부분(25)을 지지 플랜지(23)를 향해 가압한다. 따라서, 스프링(20)은 2개의 탄성 부분을 갖는다. 이는 장력부여 수단(2)의 에지(911, 921)를 향한 강한 압력(tight pressure)을 확보한다. 또한, 코너가 완전히 수직이 아니거나 패널 (91, 92) 이 직선 에지(911, 921)로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지(911, 921)의 전체 길이를 향한 장력을 확보한다.
패널(91, 92)이 하나의 벽을 따라 있는 최종 패널인 경우, 이웃하는 패널이 최종 패널(91, 92)을 측방으로 지지하고, 최종 패널(91, 92)이 코너 프로파일(1)에서 제 위치로 끼워 맞춰져 스프링(20)이 패널(91, 92)을 고정하도록 적절하게 장력을 가한다. 패널(91, 92)이 벽을 따라 있는 제1 패널인 경우, 패널(91, 92)은 대향하는 세장형 제2 에지(912, 922)에서 벽에 먼저 고정된다. 그 후, 패널(91, 92)은 코너 프로파일(1)에서 제 위치로 끼워 맞춰져 스프링(20)이 패널(91, 92)을 고정하도록 적절하게 장력을 가한다.
내부 코너용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이 도 2에 도시된다.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2)는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되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은 지지 플랜지(3)를 포함한다. 지지 플랜지(3)의 베이스(30)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된다. 지지 플랜지(3)의 대향 에지(39)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제1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제2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2)를 지탱한다. 제1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1)의 에지(36)는 제1 플랜지(11)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탄성 장력부여 플랜지(32)의 에지(36)는 제1 플랜지(12)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맞닿음 면(33)이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음 면(33)에는 장력부여 플랜지(31, 3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35)가 제공된다. 코너 프로파일(1) 및 장력부여 수단(2)은 동일한 재료 부재로 제조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내부 코너용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이 도 8에 도시된다.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2)는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코너 프로파일(1)은 2개의 세장형 스프링(20)을 포함하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21)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음부(13)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제1 플랜지(11)로부터 돌출된다. 제2 스프링(2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제2 플랜지(12)로부터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21)은 제1 플랜지(11)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스프링(22)은 제2 플랜지(12)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1)은 베이스(29)에서 제1 플랜지(11)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1)와 맞닿지 않고서 제1 플랜지(11)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스프링(22)은 베이스(29)에서 제2 플랜지(12)에 고정되는 세장형 지지 플랜지(23), 베이스(29)에 대향하는 탄성 회전 부분(24) 및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 부분(25)의 에지(26)는 제2 플랜지(12)와 맞닿지 않고서 제2 플랜지(12)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장력부여 수단(2)에 어떠한 압력도 인가되지 않을 때, 제1 스프링(21)의 탄성 회전 부분(24) 및 제2 스프링(22)의 탄성 회전 부분(2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자유 단부 부분(25)은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측에 맞닿음 면(27)을 형성한다. 맞닿음 면(27)은 도 9a 내지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에지(911) 및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코너 프로파일(1) 및 장력부여 수단(2)은 동일한 재료 부재로 제조된다.
제1 실시예의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는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장력부여 수단(2) 및 압박 레일(5)을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4)를 포함한다. 수용 본체(4)의 베이스(40)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된다. 수용 본체(4)는 제1 세장형 립(41) 및 제2 세장형 립(42)을 포함한다. 립(41, 42)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43)이 형성된다. 립(41 및 42)의 슬롯(43)에 면하는 측면은 평행하게 배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립(41 및 42)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45° 각도로 돌출된다. 립(41 및 42)의 슬롯(43)에 면하는 측면은 슬롯(43)으로의 입구(48)가 슬롯(43)의 가장 좁은 부분을 형성하도록 서로를 향해 편향된다. 압박 레일(5)이 세장형 슬롯(43)에 장착된다. 압박 레일(5)은 제1 면(51)과 제2 면(52), 선행 레일 에지(50)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59)를 형성한다.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51) 및 제2 면(52)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이다.
제1 세장형 립(41) 및 제2 세장형 립(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유 단부 부분(44)에 외향 접촉 부분(46)이 제공된다. 접촉 부분(46)에는 립(41, 42)의 종방향으로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45)가 제공된다. 후행 레일 에지(59)는 선행 레일 에지(50)보다 더 넓다.
제2 실시예의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가 도 3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박 레일(5)은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6)의 일부이다. 후행 레일 에지(59)는 푸시 에지(69)를 형성한다. 압박 부재(6)는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1 로킹 윙(61) 및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2 로킹 윙(62)을 형성한다. 제2 로킹 윙(62)은 제1 로킹 윙(6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제3 실시예의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가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2)는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제1 플랜지(11)에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된다. 제2 플랜지(12)에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된다.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된다.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7)를 포함한다. 보유지지 본체(7)는 선행 부분(70) 및 정지 캠(73)으로 형상화된다. 정지 캠(73)은 제1 세장형 요홈부(71) 및 제2 세장형 요홈부(72)에 의해 분리되며, 장력부여 수단(2)이 입구(14) 내에 배치될 때, 제1 요홈부(71)는 제1 지지 설형부(111)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제2 요홈부(72)는 제2 지지 설형부(122)를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장력부여 수단(2)은 선행 부분(70)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79)을 포함한다. 제1 세장형 시일 부재(791)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푸시 부분(79)으로부터 돌출된다. 제2 세장형 시일 부재(792)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푸시 부분(79)으로부터 돌출된다. 제1 시일 부재(791)는 제1 에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제2 시일 부재(792)는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제4 실시예의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가 도 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제1 플랜지(11) 및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2)는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제1 플랜지(11)에는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된다. 제2 플랜지(12)에는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된다.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부여 수단(2)은 세장형 바(8) 및 나사(85)로 이루어진다. 바(8)는 대향 면(80), 반전 면(89), 제1 경사측 에지(81) 및 제2 경사측 에지(82)를 형성한다. 제2 경사측 에지(82)는 제1 경사측 에지(81)에 직교하여 배향된다. 바(8)에는 대향 면(80)으로부터 반전 면(89)까지 나사 관통 구멍(83)이 제공된다. 관통 구멍(83)은 바람직하게는 바(8)의 종방향 축선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나사(85)는 나사 관통 구멍(83)에 맞춰 조정된다. 각각의 나사(85)는 관통 구멍(83)에서 회전될 때,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나사(85)를 더 돌리면, 바(8)가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1 경사측 에지(81)는 제1 플랜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되고, 제2 경사측 에지(82)는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하고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를 고안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에 있는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동사 "포함하다"의 사용 및 그 활용은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요소 또는 단계 외의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요소에 대한 단수 형태의 표시는 복수의 이러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종속 청구항에 인용된다는 사실만으로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Claims (23)

  1. 제1 패널(91)과 제2 패널(92) 및 세장형 코너 프로파일(1)의 내부 코너 조립체(1000)로서,
    -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플랜지(11)와 상기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 및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음부(13)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고;
    - 상기 제1 패널(91)은 전방 측면(910)과 후방 측면(919), 제1 에지(911) 및 대향하는 제2 에지(912)를 형성하고;
    - 상기 제2 패널(92)은 전방 측면(920)과 후방 측면(929), 제1 에지(921) 및 대향하는 제2 에지(922)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플랜지(11)는 상기 제1 패널(91)의 제1 에지(911)를 따라 상기 제1 패널(91)의 후방 측면(919)과 맞닿고, 상기 제2 플랜지(12)는 상기 제2 패널(92)의 제2 에지(922)를 따라 상기 제2 패널(92)의 후방 측면(929)과 맞닿는 내부 코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상기 제1 패널(91)의 제1 에지(911) 및 상기 제2 패널(92)의 제2 에지(922)와 고정식으로 맞닿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 수단(2) 및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동일한 재료 부재로 제조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플랜지(3; 23) 및 상기 지지 플랜지(3; 23)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맞닿음 면(27; 33)을 포함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프링(21, 22)은 상기 지지 플랜지(23), 탄성 회전 부분(24) 및 자유 단부 부분(25)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 단부 부분(25)은 상기 맞닿음 면(27)을 형성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3)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3)의 베이스(30)는 상기 이음부(13)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3)의 대향 에지(39)는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를 탄성적으로 지탱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에지(911) 또는 제2 에지(922)와 맞닿는 맞닿음 표면(33)에 상기 장력부여 플랜지(31, 3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35)가 제공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4)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본체(4)의 베이스(40)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본체(4)는 세장형 제1 립(41) 및 세장형 제2 립(42)을 포함하고, 상기 립(41, 42)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43)이 형성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립(41) 및 제2 립(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유 단부 부분(44)에 세장형 접촉 부분(46)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부분(46)에는 상기 립(41, 4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45)가 제공되고, 상기 세장형 리지(45)는 상기 제1 에지(911) 또는 제2 에지(922)를 향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세장형 슬롯(43)에 장착되는 세장형 압박 레일(5)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레일(5)은 제1 면(51)과 제2 면(52), 선행 레일 에지(50)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59)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면(51) 및 제2 면(52)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인 내부 코너 조립체(10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 레일 에지(59)는 상기 선행 레일 에지(50)보다 더 넓은 내부 코너 조립체(1000).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너 조립체(1000)는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6)를 포함하고, 상기 Y-형상 압박 부재(6)는 상기 압박 레일(5)을 포함하고, 상기 후행 레일 에지(59)는 푸시 에지(69)를 형성하고; 상기 압박 부재(6)는 상기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1 로킹 윙(61) 및 상기 제1 로킹 윙(61)에 직교하고 상기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2 로킹 윙(62)을 형성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에는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랜지(12)에는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제1 세장형 요홈부(71) 및 제2 세장형 요홈부(72)에 의해 분리되는 선행 부분(70) 및 정지 캠(73)으로 형상화되는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7)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이 상기 입구(14)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요홈부(71)는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2 요홈부(72)는 상기 제2 지지 설형부(122)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은 상기 선행 부분(70)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79)에, 상기 푸시 부분(79)으로부터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세장형 시일 부재(791) 및 상기 푸시 부분(79)으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세장형 시일 부재(79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일 부재(791)는 상기 제1 에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2 시일 부재(792)는 상기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에는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랜지(12)에는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 나사 관통 구멍(83)이 제공되고, 대향 면(80), 반전 면(89), 제1 경사측 에지(81) 및 상기 제1 경사측 에지(81)에 직교하는 제2 경사측 에지(82)를 형성하는 세장형 바(8); 및
    - 상기 나사 관통 구멍(83)에 맞춰 조정되는 다수의 나사(85)
    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85)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와 맞닿도록, 그리고 상기 바(8)를 상기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경사측 에지(81)는 상기 제1 에지(911)와 맞닿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2 경사측 에지(82)는 상기 제2 에지(922)와 맞닿도록 조정되는 내부 코너 조립체(1000).
  14.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1)로서,
    제1 플랜지(11)와 상기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 및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의 이음부(13)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는 상기 코너 프로파일(1)에 있어서,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플랜지(3; 23) 및 상기 지지 플랜지(3; 23)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맞닿음 면(27; 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프로파일(1)은 제1 스프링(21) 및 제2 스프링(22)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프링(21, 22)은 상기 지지 플랜지(23), 탄성 회전 부분(24)을 포함하고, 자유 단부 부분은 상기 맞닿음 면(27)을 형성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1).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랜지(3)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3)의 베이스(30)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랜지(3)의 대향 에지(39)는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를 탄성적으로 지탱하고, 상기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 각각은 상기 맞닿음 면(33)을 형성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1).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부여 플랜지(31) 및 제2 장력부여 플랜지(3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맞닿음 면(33)에 상기 장력부여 플랜지(31, 3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35)가 제공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1).
  18.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로서,
    제1 플랜지(11) 및 상기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는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에서 30° 내지 60°의 각도로 돌출되는 세장형 탄성 수용 본체(4)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본체(4)의 베이스(40)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 본체(4)는 제1 세장형 립(41) 및 제2 세장형 립(42)을 포함하고, 상기 립(41, 42) 사이에 세장 톱니형 슬롯(43)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세장형 슬롯(43)에 장착되는 세장형 압박 레일(5)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 레일(5)은 제1 면(51)과 제2 면(52), 선행 레일 에지(50) 및 대향하는 후행 레일 에지(59)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면(51) 및 제2 면(52) 중 적어도 하나는 톱니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립(41) 및 제2 세장형 립(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유 단부 부분(44)에 외향 접촉 부분(46)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부분(46)에는 상기 립(41, 42)의 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지(45)가 제공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 레일 에지(59)는 상기 선행 레일 에지(50)보다 더 넓은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레일(5)은 세장형 Y-형상 압박 부재(6)의 일부이고, 상기 후행 레일 에지(59)는 푸시 에지(69)를 형성하고; 상기 압박 부재(6)는 상기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1 로킹 윙(61) 및 상기 제1 로킹 윙(61)에 직교하고 상기 푸시 에지(69)에 기반한 제2 로킹 윙(62)을 형성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22.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로서,
    제1 플랜지(11) 및 상기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는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에는 상기 제2 플랜지(1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랜지(12)에는 상기 제1 플랜지(1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제1 세장형 요홈부(71) 및 제2 세장형 요홈부(72)에 의해 분리되는 선행 부분(70) 및 정지 캠(73)으로 형상화되는 세장형 보유지지 본체(7)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이 상기 입구(14)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요홈부(71)는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2 요홈부(72)는 상기 제2 지지 설형부(122)를 수용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장력부여 수단(2)은 상기 선행 부분(70)에 대향하는 푸시 부분(79)에,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세장형 시일 부재(791) 및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세장형 시일 부재(9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23.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로서,
    제1 플랜지(11) 및 상기 제1 플랜지(11)에 직교하는 제2 플랜지(12)를 형성하는 각도 부재(10)를 포함하는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11)에는 상기 제2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지지 설형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플랜지(12)에는 상기 제1 플랜지(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지지 설형부(12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 설형부(111)와 제2 지지 설형부(122) 사이에 세장형 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는,
    - 나사 관통 구멍(83)이 제공되고, 대향 면(80), 반전 면(89), 제1 경사측 에지(81) 및 상기 제1 경사측 에지(81)에 직교하는 제2 경사측 에지(82)를 형성하는 세장형 바(8); 및
    - 상기 나사 관통 구멍(83)에 맞춰 조정되는 다수의 나사(85)
    로 이루어지는 장력부여 수단(2)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85)는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2) 사이 이음부(13)와 맞닿도록, 그리고 상기 바(8)를 상기 이음부(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코너용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100).
KR1020227042874A 2020-05-19 2021-05-19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KR20230011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200590 2020-05-19
NO20200590 2020-05-19
PCT/NO2021/050122 WO2021235942A1 (en) 2020-05-19 2021-05-19 Corner profile and corner profile assembly for locking vertical panels in an internal co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970A true KR20230011970A (ko) 2023-01-25

Family

ID=7662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874A KR20230011970A (ko) 2020-05-19 2021-05-19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53824A1 (ko)
KR (1) KR20230011970A (ko)
NO (1) NO347336B1 (ko)
WO (1) WO20212359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3888A (en) * 1960-12-06 1962-12-28 Luxan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anel beading and the like
US4477201A (en) * 1981-03-23 1984-10-16 Takara Company, New York, Inc. Corner member for furniture assembly
GB2214595A (en) * 1988-02-01 1989-09-06 Courtney Pope A corner assembly device for connecting panels
GB2253222B (en) * 1991-02-27 1995-03-22 Austin Charles Murphy Tile trim
EP1081393A1 (de) * 1999-09-06 2001-03-07 Inventio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Pla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47336B1 (en) 2023-09-18
EP4153824A1 (en) 2023-03-29
NO20210623A1 (ko) 2021-11-22
WO2021235942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6849B1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3654734A (en) Adjustable door or window frame
US3016993A (en) Building framing unit
US8833015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US6148584A (en) Trim attachment system
US3303626A (en) Connecting means for framed panels
US9328517B2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supporting structure
US9359770B1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US2742117A (en) Adjustable door jamb
US4614068A (en) Extruded door frame assembly
US4086739A (en) Wall construction having panel attachment means
US3932974A (en) Glazing system
US5150983A (en) Corner lock
IE42200B1 (en) Door frame and members for the production of a door frame
US7340866B1 (en) Wall adapter
US4016690A (en) Structural members for panel wall and glazing systems
CN107299810B (zh) 门系统
CA2996753A1 (en) Self-tightening splice
KR20230011970A (ko) 내부 코너에 수직 패널을 로킹하기 위한 코너 프로파일 및 코너 프로파일 조립체
CN111492119B (zh) 斜接角框架夹具
US20090266020A1 (en) Moulded panel joint caulking means
WO1998012408A1 (en) Frames for doors and windows
JPH0748849Y2 (ja) 外装板の取付構造
AU2020103981A4 (en) Fixing system for architectural mouldings
CA2533057A1 (en) Trim system for doors and windows with corner block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