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962A -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962A
KR20230011962A KR1020227041886A KR20227041886A KR20230011962A KR 20230011962 A KR20230011962 A KR 20230011962A KR 1020227041886 A KR1020227041886 A KR 1020227041886A KR 20227041886 A KR20227041886 A KR 20227041886A KR 20230011962 A KR20230011962 A KR 2023001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ction
crimped
filler materia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스젝 시코라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토바코 머쉬너리 폴란드 에스피. 제트 오.오.
Publication of KR2023001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8Other treatment of leaves, e.g. puffing, crimplin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29Filter rod form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29Filter rod forming processes
    • A24D3/0245Filter rod forming processes by winding, e.g. spiral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5Final operations, i.e. after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 A24D3/0266Rolling mean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본 출원의 목적은 상기 충전재의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4)과, 상기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5)을 포함하여,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닛(4)과 상기 크림핑 유닛(5) 사이에, 상기 충전재(20)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섹션(22)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닛(23)이 있고, 상기 크림핑 유닛(5)은 상기 재료 섹션(2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충전재의 절단 섹션(22)을 크림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성형 유닛(16, 46, 51, 61)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막대의 형태로 상기 충전재의 상기 절단된 크림핑된 섹션(22)으로부터 롤(22X, 22Y)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목적은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Description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다.
담배 산업에서, 담배 재료와 필터 재료로 충전된 다양한 흡연 용품이 제조된다. 단일 종류의 필터 재료 또는 여러 종류의 재료로 채워진 마우스피스는 스트립 또는 시트에서 잘라낸 섹션으로 만든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섹션은 적절히 크림핑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재료의 종류에 따른 크림핑(crimping)은 예를 들어 포장지를 빽빽하게 채우고 흐르는 연기를 효과적으로 여과하기에 충분한 부피를 주기 위하여 재료의 흡수 및 지지 표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는 크림핑된 충전재료에는, 공기를 흐르도록 하는 유로의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나아가, 충전재로써 담배 자체를 크림핑하면 흐르는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을 증가시키게 되어, 방향성 물질이 흐르는 공기로 배출되도록 자극한다.
담배 산업의 막대형 용품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크림핑된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보 US2001709에는 종방향으로 크림핑된 필터 재료가 충전된 연속 막대를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크림핑은 연속 막대를 형성하는 포장재에 충전재의 배열을 용이하게 하는 종방향의 크림프 배열을 형성하는 크림핑 롤러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종방향으로 압착된 롤 제조의 다른 예가 공보 US2164702A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는 담배 산업의 막대형 용품의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며, 여기서 개별적인 막대로 더 절단되기에 적합한 연속 막대가 형성된다. 상기 공보는 연속 막대를 형성하는 방향에 대한 종방향으로 가압을 이용하여 연속 막대를 형성하기 위한 연속된 공정을 개시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해법에는, 충전재의 연속 가닥을 종방향으로 크림핑하는 것이 이용되고, 그 결과 n개의 크림프가 동시에 수행되어, 크림핑 공정의 제어와 크림핑된 재료로부터 후속 롤 형성이 어렵다. 본 발명은 크림핑된 재료를 포장지로 포장할 준비가 된 원통형 막대로 크림핑하여 형성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해법을 찾을 필요성에 대해 다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충전재의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과, 상기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을 포함하여,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공급 유닛과 상기 크림핑 유닛 사이에,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섹션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닛이 있고, 상기 크림핑 유닛은 상기 재료 섹션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충전재의 절단 섹션을 크림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막대의 형태로 상기 충전재의 상기 절단된 크림핑된 섹션으로부터 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성형 유닛이 복수의 성형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성형 포켓에 상기 성형 포켓의 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실린더 섹터인 스윙 구성요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가 장치는 상기 성형 포켓이 드럼 컨베이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성형 포켓이 이동가능한 바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성형 유닛이 상기 드럼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성형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컨베이어와 동축으로 위치하는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 포켓이 상기 드럼 컨베이어와 상기 링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충전재의 섹션을 상기 성형 포켓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과 상기 포장재의 상기 섹션으로부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포켓에 포장재의 섹션을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포장재 섹션이 진공에 의해 상기 포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을 상기 포장재의 상기 성형된 섹션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상기 절단 장치에 회전 칼과 지지 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의 이어지는 가닥이 충전재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충전재는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섹션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닛에 의해 섹션으로 절단되고, 이후 상기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은 크림핑 유닛에 의해 크림핑된다.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막대의 형태인 롤이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포장재의 섹션은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성형 유닛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상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막대형 용품이 상기 포장재 섹션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막대형 용품이 미리 형성된 포장재 섹션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막대형 용품의 충전재의 개별 롤을 크림핑하여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대안이다. 또한, 이어지는 막대를 형성하는 공정의 제거는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데, 여기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드럼 컨베이어 측면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드럼 컨베이어 측면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제4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제5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을 나타낸다.
도 1의 제1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는 제1드럼 컨베이어(2)와, 포장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3)과,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4)과, 충전재를 크림핑(crimping)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5)과, 충전재의 롤(roll)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유닛(6)과, 포장재와 함께 충전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푸싱 유닛(7)과, 및 완성된 막대형 용품을 이송하기 위한 제2드럼 컨베이어(8)를 포함한다. 가닥(10) 형태의 포장재는 포장재의 롤(11)로부터 풀려, 회전 칼(14)들이 마련된 절단 장치(13)와 측면이 칼(14)에 대한 지지면을 구성하는 드럼(15)에 의해 섹션(12)들로 절단된다. 포장재의 가닥(10)과 섹션들(12)은 진공에 의해 회전 드럼(15) 상에 고정된다. 절단 이후 포장재의 직사각형 섹션(12)은 제1드럼 컨베이어(2)로 공급되어, 섹션(12)은 부분적으로는 이러한 컨베이어의 홈(16)에 놓이고 부분적으로는 홈(16)에 인접한 면에 놓이게 된다. 포장재의 섹션(12)은 진공에 의해 드럼 컨베이어 상에 고정된다. 가닥(20) 형태의 충전재는 충전재의 롤(21)로부터 풀려, 회전 칼(24)들이 마련된 절단 장치(23)와 지지 롤러(25)에 의해 섹션(22)들로 절단된다. 절단 이후 충전재의 직사각형 섹션(22)은 2개의 홈이 있는 크림핑 롤러들(26, 27)이 마련된 크림핑 유닛(5)으로 공급된다. 롤러들(26, 27)은 충전재의 섹션(2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충전재를 크림핑하기에 적합하다. 충전재의 크림핑된 직사각형 섹션(22)은 홈(16)에 부분적으로 놓여있는 포장재의 섹션(12)의 오목부에 롤(22X)의 형태로 배치되고, 홈(16)은 성형 유닛이 된다. 드럼 컨베이어(2)가 회전함에 따라, 미리 형성된 충전재, 즉, 롤(22X)은 드럼 컨베이어(2)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 성형 롤러(28)가 마련된 성형 유닛(6)의 동작 영역을 통과하여, 종방향 홈(29)이 충전재를 포장재(12) 내로 가압하며 홈(16)의 바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드럼 컨베이어(2)의 측면(2A)을 향하는 압축공기 노즐(30)은 포장재 섹션(12)의 가장자리(12A)를 들어올려 구부리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드럼 컨베이어(2)와 동축으로, 드럼 컨베이어(2)와 같은 수의 홈(32)이 마련된 드럼 컨베이어(8)가(도 1에서 드럼 컨베이어(2)의 뒤에) 위치하고, 한편 드럼 컨베이어(8)는 컨베이어(2)와 통합될 수 있다. 도 2의 컨베이어들 측면들(2A, 8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6)은 홈(32)와 동축이다. 홈(16)의 바로 맞은편에, 액추에이터(34)에 의해 구동되는 푸셔(33)가 위치한다. 푸셔(33)의 일은 홈(16)을 따라 포장재의 섹션(2)과 함께 롤(22X)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2는 중간 생산품(35)이라 통칭되는, 포장재의 섹션들(12)에 포장된 드럼 컨베이어(2)의 연속되는 홈들(16) 내의 여러 롤(22X)들을 도시한다. 홈(16)을 따라 움직이는 중간 생산품(35)은 가장자리(12A)가 포장되고, 제2 가장자리(12B)의 포장이 시작되며, 여기서 중간 생산품(35')은 홈(16)을 따라 더 움직인다. 중간 생산품(35')의 가장자리(12B)를 포장하는 공정은 프로파일 구성요소(36)가 보조한다. 포장재로 완전히 포장된 막대형 용품(37)은 홈(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막대형 용품(37)은 추가의 처리를 위해 이송되거나 저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의 제2 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T)는 제1드럼 컨베이어(38)와,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4)과,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5)과, 충전재의 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유닛(6)과, 충전재의 롤을 이동시키는 푸싱 유닛(7)과, 완성된 막대형 용품을 이송하기 위한 제2 드럼 컨베이어(40)를 포함한다. 가닥(20) 형태의 충전재는 충전재의 롤(21)로부터 풀려, 회전 칼(24)들이 마련된 절단 장치(23)와 지지 롤러(25)에 의해 섹션(22)들로 절단된다. 절단 이후 충전재의 직사각형 섹션(22)은 2개의 홈이 있는 롤러들(26, 27)이 마련된 크림핑 유닛(5)으로 슬롯형 안내 유닛(50)을 통해 공급된다. 크림핑 이후 충전재의 직사각형 섹션(22)은 홈(39)에서 롤(22X)의 형태로 배치된다. 드럼 컨베이어(38)가 회전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충전재, 즉,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22X)은 드럼 컨베이어(2)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 성형 롤러(28)가 마련된 성형 유닛(6)의 동작 영역을 통과하여, 성형 롤러(28)의 종방향 홈(29)이 충전재를 홈(39)의 바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드럼 컨베이어(38)와 동축으로, 드럼 컨베이어(38)와 같은 수의 홈(41)이 마련된 드럼 컨베이어(40)가(도 3에서 드럼 컨베이어(38)의 뒤에) 위치하고, 한편 드럼 컨베이어(40)는 컨베이어(38)와 통합될 수 있다. 도 4의 컨베이어들 측면들(38A, 40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9)은 홈(41)과 동축이다. 홈(39)의 바로 맞은편에, 액추에이터(34)에 의해 구동되는 푸셔(33)가 위치한다. 푸셔(33)의 일은 홈(39)을 따라 롤(22X)을 이동시키고 나아가 얇은 벽의 종이 또는 마분지 튜브(42)안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얇은 벽의 튜브(42)들은 도시하지 않은 용기로부터 홈(41)으로 공급되며, 여기서 진공으로 고정된다. 도 4는 롤(22X)을 얇은 벽의 튜브(42)로 이동시키는 연속적인 단계에서 드럼 컨베이어(38)의 연속적인 홈(39)들에 있는 여러 롤(22X)들을 도시한다. 홈(4T)은 튜브(42)와 그 안에 삽입된 충전재의 롤(22X)을 포함하는 완성된 막대형 용품(43)을 고정한다. 막대형 용품(43)은 추가의 처리를 위해 이송되거나 저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의 제3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는 드럼 컨베이어(45)와,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4)과,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5)과, 충전재의 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유닛(46)과, 충전재의 롤(22X)을 이동시키기 위한 푸싱 유닛(7)과, 완성된 막대형 용품을 이송하기 위한 제2 드럼 컨베이어(40)를 포함한다. 충전재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되어 크림핑된다. 롤러들(26, 27)은 충전재의 크림핑된 섹션을 성형 유닛(46)의 포켓(47)으로 직접 공급한다. 성형 유닛(46)은 드럼 컨베이어(45)의 측면(45A) 상에 복수의 포켓(47)을 포함한다. 크림핑된 충전재의 직사각형 섹션(22)는 크림핑 유닛(5) 아래에 위치한 슬롯형 안내 유닛(50)에 의해 공급되어, 포켓(47)에서 롤(22X)의 형태로 배치된다. 드럼 컨베이어(45) 상의 성형 포켓(47)에는 드럼 컨베이어(45)의 회전 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실린더 섹터인 셀프-정렬 구성요소(48, 49)가 마련된다.
도 6의 제4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T")는 드럼 컨베이어(53)와, 충전재를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유닛(4) 및 2 공급 유닛(4')과,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제1 크림핑 유닛(5) 및 제2 크림핑 유닛(5')과, 인서트(59)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닛(57)과, 충전재의 롤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 유닛(51)과, 충전재 및 인서트 섹션의 롤 묶음(60)을 이동시키기 위한 푸싱 유닛(7)과, 완성된 막대형 용품을 이송하기 위한 제2 드럼 컨베이어(40)를 포함한다. 충전재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되고 크림핑된다. 제1 크림핑 유닛(5)의 롤러들(26, 27)은 충전재의 크림핑된 섹션(22)을 성형 유닛(51)의 포켓(52)으로 직접 공급한다. 성형 유닛(51)은 드럼 컨베이어(53)의 측면(53A) 상에 복수의 포켓(52)을 포함한다. 포켓(52)은 홈(54)의 측벽과 홈(54)에서 이동하는 이동가능한 바닥(56, 이 구성의 구동은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되고, 제3실시예서와 같이 스윙 구성요소(48, 49)에 의해 형성된다. 크림핑 이후 충전재의 직사각형 섹션(22)은 크림핑 유닛(5) 아래에 위치한 슬롯형 안내 유닛(50)에 의해 공급되고, 포켓(52)에서 롤(22X)의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공급 유닛(57)은 바닥(56)에 배치된 롤(22X)에 위치한 단일 종방향 인서트를 공급한다. 추가의 단계에서, 충전재의 크림핑된 섹션(22)이 롤(22Y)의 형태로 제2 크림핑 유닛(5')에 의해 공급된다. 롤(22Y)은 롤(22X)과 인서트(59) 상에 배치된다. 롤(22Y, 22X)과 인서트(59)는 함께 인접한 드럼 컨베이어 상으로 이동될 묶음(60)을 형성한다.
도 7의 제5실시예에 도시된 막대형 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에는 드럼 컨베이어(62)와 동축으로 장착된 링(63)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성형 포켓(64)이 위치하는 성형 유닛(61)이 마련된다. 드럼 컨베이어(62)의 측면(62A)에는 성형 포켓(64)의 하부가 있고, 링(63)에는 성형 포켓(64)의 상부가 있다. 성형 포켓(64)은 슬롯형 입구(65)가 마련된다. 충전재 롤(22X)은 슬롯형 안내 유닛(50)과 슬롯형 입구(65)를 통해 크림핑 유닛(5)으로부터 성형 포켓으로 공급된다.
도 7은 충전재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4')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공급 장치(4)와 유사하게, 공급장치(4')는 절단 장치(23)의 칼(24)들에 의해 롤(21)로부터 충전재, 예를 들어, 담배 재료를 풀기에 적합하다. 충전재의 절단 섹션(22)은 회전 장치(44)에 의해 22'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한다. 이후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크림핑 장치(5)의 크림핑이 이어진다.

Claims (14)

  1.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4)과,
    상기 충전재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유닛(5)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유닛(4)과 상기 크림핑 유닛(5) 사이에, 상기 충전재(20)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섹션(22)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닛(23)이 있고,
    상기 크림핑 유닛(5)은 상기 재료 섹션(2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충전재의 절단 섹션(22)을 크림핑하도록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막대의 형태로 상기 충전재의 상기 절단된 크림핑된 섹션(22)으로부터 롤(22X, 22Y)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유닛(16, 46, 51, 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46, 51, 61)은 복수의 성형 포켓(47, 52, 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포켓(47, 52)은 상기 성형 포켓(47, 52)의 축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실린더 섹터인 스윙 구성요소(48, 49)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포켓(47, 52, 64)은 드럼 컨베이어(45, 53, 6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포켓(52)은 이동가능한 바닥(5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유닛(61)은 상기 드럼 컨베이어(62) 상에 복수의 성형 포켓(64)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 컨베이어(62)와 동축으로 위치하는 링(6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 포켓(64)은 상기 드럼 컨베이어(62)와 상기 링(6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섹션(22)을 상기 성형 포켓(16, 47, 52, 64)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22)과 상기 포장재의 상기 섹션(12)으로부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포켓(16)에 포장재의 섹션(12)을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유닛(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섹션(12)은 진공에 의해 상기 포켓(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22)을 상기 포장재의 상기 성형된 섹션(12)으로 배치하도록 구성된 안내 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23)에는 회전 칼(24)과 지지 롤러(2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이어지는 가닥이 충전재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충전재의 상기 이어지는 가닥을 섹션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유닛에 의해 섹션으로 절단되고,
    상기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은 크림핑 유닛에 의해 크림핑되고,
    실질적으로 원통형 막대의 형태인 롤이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포장재의 섹션은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성형 유닛에 배치되고,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상기 막대형 용품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막대형 용품이 포장재 섹션으로 포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크림핑된 충전재의 상기 절단 섹션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막대형 용품은 미리 형성된 포장재 섹션에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41886A 2020-05-19 2021-05-19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11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433995A PL433995A1 (pl) 2020-05-19 2020-05-19 Urządzenie i sposób do wytwarzania zwoju marszczonego materiału wypełniającego artykuły prętopodobne
PL433995 2020-05-19
PCT/IB2021/054298 WO2021234587A1 (en) 2020-05-19 2021-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ll of crimped filling material for rod-like art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962A true KR20230011962A (ko) 2023-01-25

Family

ID=7692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886A KR20230011962A (ko) 2020-05-19 2021-05-19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0820A1 (ko)
EP (1) EP4152968A1 (ko)
JP (1) JP2023526103A (ko)
KR (1) KR20230011962A (ko)
PL (1) PL433995A1 (ko)
WO (1) WO2021234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27125A (en) * 1933-11-09 1935-04-16 Rowland Frank May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filter tips for cigarettes
DE663612C (de) * 1937-01-28 1938-08-10 Muller J C & Co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ilterpfrop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0820A1 (en) 2023-06-15
JP2023526103A (ja) 2023-06-20
PL433995A1 (pl) 2021-11-22
EP4152968A1 (en) 2023-03-29
WO2021234587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635B2 (en) Method, mechanism and apparatus for momentary compression of filter material
CN104754963B (zh) 用于生产香烟的装配机以及相关装配方法
RU2556915C2 (ru)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е паке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21007398A5 (ko)
US20140261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multi-segmented cylindrical products, such as tobacco products
EP2916668B1 (en) Cigarette manufacturing assembly machine,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JP2011182791A (ja) 煙草加工産業の棒状物品の結束
GB2260887A (en) Cigarettes with inserts
JP6383874B2 (ja) 喫煙品組立機械および喫煙品の製造方法
JPH01240409A (ja) カラーを有するヒンジ蓋付き・煙草パッケージの製造装置
US20070022884A1 (en) Printing unit used in the tobacco-processing industry
KR102430956B1 (ko) 담배 가공 산업의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제품들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20090165935A1 (en) Filter tube making
KR20230011962A (ko) 막대형 용품을 위한 크림핑된 충전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29105B (zh) 制造用于烟草工业的棒状制品的方法和装置
EP3639680B1 (en) Production l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od-shaped articles of the tobacco industry
JP2023082072A (ja) エアロゾル発生材からなるロッド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854004B2 (ja)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いて棒状の物品を四列から二列に移行配列替え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222158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cigarette filters
WO2017187502A1 (ja) ロッド製品の製造装置
KR102237254B1 (ko) 담배 산업의 다요소 로드들의 제조 장치
CN106954890B (zh) 用于制造烟草加工业的多部段过滤嘴的方法和设备
JPH1072012A (ja) 紙巻煙草の群を形成し包装する方法と装置
CN109770414B (zh) 用于制造加热棒的方法和装置
WO2022029561A1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a sub-unit of a smok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