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667A -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667A
KR20230011667A KR1020210092212A KR20210092212A KR20230011667A KR 20230011667 A KR20230011667 A KR 20230011667A KR 1020210092212 A KR1020210092212 A KR 1020210092212A KR 20210092212 A KR20210092212 A KR 20210092212A KR 20230011667 A KR20230011667 A KR 2023001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ler
remote
lo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상
Original Assignee
노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우상 filed Critical 노우상
Priority to KR102021009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667A/ko
Publication of KR2023001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전자제품을 원격으로 조작 또는 제어하는 소형 리모트 콘트롤러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찾기 쉽게하고 외력에 의하여 리모콘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손으로 자주 만지는 리모콘 및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악성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광촉매를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특정하게 선택된 가전제품이 원격 제어되는 리모콘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경박단소 형상을 하는 원격리모콘부와 원격리모콘부(1100)를 내장된 상태로 삽입 설치하여 외력과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리모콘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박단소형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고 찾기 쉽도록 하며,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리모콘 및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를 손으로 자주 만지는 원인 등에 의하여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악성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광촉매를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 관리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APPARATUS OF GUARD HOLDER FOR REMOTE CONTROLLER WITH PREVENTION LOST}
본 발명은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전기전자제품을 원격으로 조작 또는 제어하는 소형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면서 찾기 쉽게하고 외력에 의하여 리모콘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으로 자주 만지는 리모콘 및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악성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광촉매를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 관리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가정 또는 산업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TV), 에어콘,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선풍기 및 각종 전기전자제품에는 운용상태를 직접 조작(제어)하는 제어기능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나, 동작상태를 편리하게 빠르게 원격으로 제어(조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리모콘) 기능을 내장 및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어와 조작은 같은 의미이고 가정용과 산업용의 전기전자제품은 같은 의미로 사용하되 문맥의 흐름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하고, 가정용 전기전자제품(가전제품)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모든 가전제품(가정용 전기전자제품)은 해당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생산과 보관과 관리 등에서의 여러 가지 이유와 목적에 의하여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리모콘의 경우에도 비교적 얇고 가벼우며 소형의 경박단소(輕薄短小) 형태로 제작 생산 판매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모트 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한다.)는 원거리에 위치한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제어하는 장점이 있으나 제어하지 않을 때의 보관할 장소가 적당하지 않는 경우 분실 가능성이 비교적 매우 크고, 정작 사용하려고 하는 경우 찾기 어려워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분실되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파손되기 쉽다.
특히, 경박단소 형태로 제작되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의 경우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다시 구매 하여야 되어 경제적으로도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리모콘을 보관하기 쉽고 찾기 쉽도록 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8083호(2003.09.17.)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수납기’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보관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리모콘 수납기(11)는 사각판 형태이며 테두리가 상부로 벤딩된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23)와 그 상부에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3)와 같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된 본체(21)로 이루어진다.
본체(21)에는 리모콘(R)을 수용하며 상부로 개방되고 소정 깊이를 갖는 리모콘수용구(13)가 다수 형성되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메모지수용구(17)와 필기구수용구(19), 다목적수용구(15)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에 의한 리모콘 보관장치는 리모콘 수납기(11)를 일정한 장소에 보관상태로 설치하고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리모콘 수납기(11)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가전제품을 조작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불편함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박단소 형태의 리모콘이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전혀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경박단소 형태의 리모콘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분실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9645호(2013.01.29.) ‘자력착탈식 키홀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8083호(2003.09.17.)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수납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박단소형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고 찾기 쉽도록 하며,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및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를 손으로 자주 만지는 원인 등에 의하여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악성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광촉매를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 관리시키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특정하게 선택된 가전제품이 원격 제어되는 리모콘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경박단소 형상을 하는 원격리모콘부(1100);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를 내장된 상태로 삽입 설치하여 외력과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리모콘하우징부(1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발포 연질 우레탄 또는 저밀도 폴리에테르 스펀지 또는 생고무 스펀지 또는 발포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표면 전체에 광촉매를 100 내지 600 마이크로 미터 두게 이상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 또는 산화아연(ZnO) 또는 산화지르코늄(ZrO2) 또는 산화텡스텐(W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촉매의 입자는 직경이 10 내지 200 나노미터 범위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하되 더 큰 형상을 하고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 값(A) 대비 2 배 이상 더 큰 값(B)의 두께를 형성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 전체가 일측면에 내장 상태로 설치되거나 분리되는 폼케이싱부(1210); 상기 폼케이싱부(1210)의 일측면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되어 내장 설치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 대비 그 바닥면으로부터 1.3 배 이상 더 높은 높이 값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장탈부착공간(1220): 상기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각 측벽이면서 그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과 같은 높이 값의 위치에 하나 이상 다수가 각각 0.3 밀리미터 높이 값 이상의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를 어렵게 하는 고정체결돌기부(1230); 상기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사다리꼴 형상을 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출력하는 신호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신호전송경로(12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로 이루어지는 연결고리홀(125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는 평평한 판 형상 이되 직사각 육면체 형상을 하고 내부에 특정 전기전자 제품을 원격제어하는 전자회로(EC)를 내장 구비하는 리모콘케이스부(1110); 상기 리모콘케이스부(1110)의 전자회로(EC)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전달하는 리모컨버튼부(1120); 상기 리모컨버튼부(1120)의 명령신호를 인가받은 전자회로(EC)에서 발생된 원격제어 신호가 적외선 통신방식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각각 변조되어 각각 동시 출력되는 리모콘신호출력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통신은 리모콘 신호를 적외선 신호에 37 KHz 로 변조시켜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경박단소형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고 찾기 쉽도록 하며,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 및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를 손으로 자주 만지는 원인 등에 의하여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악성 오염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광촉매를 이용하여 분해 제거하여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 관리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보관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의 기능 구성도,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보호 홀더에 코팅되는 광촉매의 반응으로 유해물질이 분해되는 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산화티타늄과 이산화티타늄은 같은 의미이고 또한, 장점과 효과는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리모콘 보호 홀더에 코팅되는 광촉매의 반응으로 유해물질이 분해되는 상태 설명도 이다.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1000)를 설명하면 원격리모콘부(1100)와 리모콘하우징부(1200)를 포함한다.
원격리모콘부(1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특정하게 선택된 가전제품이 원격 제어되는 리모콘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경박단소 형상을 한다.
원격리모콘부(1100)는 리모콘케이스부(1110)와 리모컨버튼부(1120)와 리모콘신호출력부(1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리모콘케이스부(1110)는 편 형상 이되 직사각 육면체 형상을 하고 내부에 특정 전기전자 제품을 원격제어하는 전자회로(EC)를 내장 구비한다.
리모컨버튼부(1120)는 리모콘케이스부(1110)의 전자회로(EC)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전달한다.
리모콘신호출력부(1130)는 리모컨버튼부(1120)의 명령신호를 인가받은 전자회로(EC)에서 발생된 원격제어 신호가 적외선 통신방식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각각 변조되어 각각 동시 출력한다. 적외선 통신방식은 리모콘 신호를 적외선 신호에 37 KHz 로 FM 변조시켜 출력하고, 이러한 변조 기술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원격리모콘부(1100)를 내장된 상태로 삽입 설치하여 외력과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하게 보호한다.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표면 전체에 광촉매를 100 내지 600 마이크로 미터 두께 이상으로 코팅(도포)하되 잘 알려진 무전해 도포(코팅) 방식으로 코팅한다. 도포된 광촉매는 실온인 평균 섭씨 26 도에서 1 내지 2 시간 범위 시간 동안 건조시키므로 경화된다.
코팅되는 광촉매는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로 도포되는 경우, 광촉매 작용이 충분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6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리모콘하우징부(1200)가 변형되는 경우 도포된 광촉매가 박리되어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 또는 산화아연(ZnO) 또는 산화지르코늄(ZrO2) 또는 산화텡스텐(WO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광촉매는 입자의 직경이 10 내지 200 나노미터 범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발포 연질 우레탄 또는 저밀도 폴리에테르 스펀지 또는 생고무 스펀지 또는 발포 실리콘 및 가죽(피혁) 또는 부직포 또는 편물 또는 직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폼케이싱부(1210)와 내장탈부착공간(1220)와 고정체결돌기부(1230)와 신호전송경로(1240)와 연결고리홀(125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폼케이싱부(1210)는 원격리모콘부(1100)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하되 더 큰 형상을 하고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 값(A) 대비 2 배 이상 더 큰 값(B)의 두께를 형성하며 원격리모콘부(1100) 전체가 일측면에 내장 상태로 설치되거나 분리된다.
내장탈부착공간(1220)는 폼케이싱부(1210)의 일측면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되어 내장 설치되거나 분리되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 대비 그 바닥면으로부터 1.3 배 이상 더 높은 높이 값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체결돌기부(1230)는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각 측벽이면서 그 바닥면으로부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과 같은 높이 값의 위치에 하나 이상 다수가 각각 0.3 밀리미터 높이 값 이상의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를 어렵게 한다.
고정체결돌기부(1230)의 돌출된 높이가 0.3 밀리미터인 경우 좌우의 양쪽 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장탈부착공간(1220)에 삽입 설치된 원격리모콘부(1100)를 좌우 양쪽 측벽에서 0.3 밀리미터씩 압박하며 동일 선상에서 0.6 밀리미터로 압박하게 된다.
또한, 상하의 양쪽 측벽에서도 각각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장탈부착공간(1220)에 삽입 설치된 원격리모콘부(1100)를 상하 양쭉 측벽에서 고정체결돌기부(1230)가 각각 0.3 밀리미터씩 압박하며 동일 선상에서 0.6 밀리미터로 압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우의 각 측벽과 상하의 각 측벽에 의한 4 개 측벽에서 각각 0.3 밀리미터로 고정체결돌기부(1230)가 돌출되어 압박하므로 내장탈부착공간(1220)에 삽입 설치된 원격리모콘부(1100)는 고정체결돌기부(1230)에 의하여 내장탈부착공간(1220)로부터의 이탈이 쉽지 않고, 또한, 삽입도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내장탈부착공간(1220)에 삽입 설치된 원격리모콘부(1100)는 케이싱부(121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또는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외력 등이 흡수되어 보호하므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부서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된다.
고정체결돌기부(1230)의 형상은 필요에 의하여 반구 형상 대신에 입체적인 다각형상 또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이 포함 또는 혼합 형성(설치) 될 수 있다.
신호전송경로(1240)는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사다리꼴 형상을 하며 원격리모콘부(1100)가 출력하는 신호의 전송경로를 형성한다.
연결고리홀(1250)은 리모콘하우징부(120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홀 또는 구멍이고 리모콘하우징부(1200)가 분실되지 아나하도록 줄 또는 장식품 등을 연결 시키는 관통 구멍이다.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리모콘하우징부(1200)의 표면에 도포(코팅)되는 광촉매의 작용을 설명하면, 악취 및 유해 공기오염물질 분해용 광촉매가 광을 제공받으면 가장 먼저 전자(e-)가 가전자대(VB)에서 전도대(CB)로 여기(excite)되는 동시에 정공(h+)이 생성된다. 이때, 광촉매로 제공되는 광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일 수 있다. 즉, 전자를 여기키고 정공을 생성하는 광은 자외선부터 가시광선 파장대까지 넓은 범위의 파장 범위를 갖는다.
여기된 전자는 쇼트키 장벽(Schottky barrier)의 영향으로,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에 침착된 구리(Cu)로 이동한다. 구리로 이동된 전자는 외부의 산소(O2)와 반응하여 과산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한다. 이때, 전도대에서 생성된 정공(h+)은 수증기(H2O) 및/또는 수산화이온(OH-)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한다.
과산소이온 라디칼(*O2-)과 수산화 라디칼(*OH)이 악취 및 유해 공기오염물질을 분해시켜, 무해한 이산화탄소(CO2)와 수증기(H2O)로 변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악취와 유해 공기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반응은 이들의 산화반응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러한 광촉매(photocatalyst)는 광화학(photochemistry)과 촉매(catalyst)가 결합된 의미로 빛에너지에 의하여 활성을 나타내는 촉매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촉매란 촉매 자신은 변화하지 않으면서 화학반응의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화학반응 과정에서는 열이나 기타 에너지원들이 사용되는데, 광촉매의 경우에는 화학반응에 사용되는 에너지로 빛을 사용한다. 햇빛이나 또는 인공 광에 의한 빛에너지를 촉매에 조사하면 빛에너지를 흡수한 촉매가 활성을 나타내어 유기물들을 산화 또는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촉매의 기능이 있을 때에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존 광촉매인 산화티타늄이 흡수할 수 있는 것은 빛의 파장이 약 380 nm 이하의 자외선이다. 이러한 산화티타늄의 광촉매반응은 자외선이 조사될 때에만, 자외선의 광량만큼 반응이 일어난다.
이산화티타늄은 백색 안료나 고주파용 콘덴서 소재, 저반사 코팅 등의 광학 재료, 쎈서 및 보호재료 등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환경 개선형 광촉매 소재로써 매우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반도체 재료인 이산화티타늄의 광활성에 관한 연구는 1972년 후지시마 교수에 의하여 발표된 혼다-후지시마 효과에 그 시초를 두고 있다. 이산화티타늄 전극과 백금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지에 광을 조사하면 약 -0.5 V에서 물의 분해가 일어나며 이산화티타늄 전극의 표면에서 산소가 발생하고 백금 전극의 주변에서 수소가 발생한다. 이는 물의 통상적인 산화 분해 전위인 +1.23 V에 크게 못 미치는 전위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으로 후지시마 교수는 이러한 현상을 자외선에 의해 이산화티타늄의 가전자띠(valance band)의 전도띠(conduction band)로 전이되며 이때 발생하는 정공에 의하여 물의 산화가 일어나 수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티타늄 광물은 지구상에서 9번째로 흔한 광물이며 지맥의 0.6%, 지표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반도체 성질의 광촉매 물질에 고유의 띠에너지-반도체 물질 내에는 전자가 채워지지 않은 전도띠(Conduction Band, E cb)와 전자가 채워져 있는 공유띠(Valaence Band, E vb)라는 원자궤도들의 선형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궤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이 두 띠의 사이에는 전자가 점유할 수 없는 금지된 공간이 존재한다. 이를 띠에너지(Eg)라 하며, 그 크기는 E cb -E vb 에 해당한다. - 이상의 빛에너지를 받고 E vb 내의 전자(e-)가 여기된 후(Excitation) 생성된 전자(e-)와 정공(h+) 쌍이 유익하게 쓰이는 광화학 시스템은 기존 반응기 설계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빛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광화학 반응의 과정을 거쳐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 또는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것은 생성된 전자/정공이 광촉매에 흡착되거나 확산층(Diffusion Layer) 내에 있는 물질을 환원/산화시키거나, 구성된 전극회로에 의하여 전류를 생성시킴으로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주변의 악성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환경정화는 물론, 물분해 수소제조, 태양전지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광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악성 유기물질과 바이러스 등의 세균을 산화/환원 작용으로 분해하거나 제거한다.
이산화티타늄의 결정구조는 크게 아나타제형, 루틸형, 부루카이트형으로 구분되는데 저온상인 아나타제형과 고온상인 루틸형이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이 두 구조는 같은 정방정계 구조를 가지나 루틸 구조 상에서는 티타늄 중심 금속과 산소 리간드로 이루워진 팔면체 구조의 연결 형태가 꼭지점 위치의 산소를 공유한 반면 아나타제 구조 상에서는 모서리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두 상은 서로 다른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아나타제 결정상은 900 ℃ 이상에서 루틸상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광촉매에 사용되는 나노 크기를 갖는 이산화 티타늄의 경우 이러한 상전이가 550 ℃ 부근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는 화학식 CuTiO2-xH2x(이때, x<2이다)로 나타내는, 구리가 침착된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Cu-H-TiO2)이다.
상기 악취 및 유해 공기오염물질 분해용 광촉매에서,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의 격자구조 내에 구리원자(Cu)가 침착(또는 함침(impregnation), 임베딩(embedding))된 구조를 갖는다.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의 격자 내에 침착된 구리는, 광촉매의 내부에서 생성된 전자를 제공받아 방출함으로써 광촉매 내부에서 전자가 정공(또는 양공, hole)과 재결합(recombination)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리가 침착되어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Cu-H-TiO2)은 먼저, 이산화티타늄이 수소 공급 하에서 고온으로 환원시킨 후, 이에 구리 전구물질로 침착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리 전구물질은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에 대해서 광을 통해서, 광-침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가 침착된 수소화된 이산화티타늄(Cu-H-TiO2)은 광촉매로써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에서도 광촉매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동시에 상온에서도 용이하게 악취 및 유해물질을 광촉매 반응을 통해서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유해 공기오염물질 분해용 광촉매가 분해할 수 있는 악취 및 유해 공기오염물질로서는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를 나타내는 물질이나,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과 같은 새집 증후군유발 유해오염물질 등이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1100 : 원격리모콘부 1110 : 리모콘케이스부
1120 : 리모컨버튼부 1130 : 리모콘신호출력부
1200 : 리모콘하우징부 1210 : 폼케이싱부
1220 : 내장탈부착공간 1230 : 고정체결돌기부
1240 : 신호전송경로 1250 : 연결고리홀

Claims (5)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에 의하여 특정하게 선택된 가전제품이 원격 제어되는 리모콘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경박단소 형상을 하는 원격리모콘부(1100);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를 내장된 상태로 삽입 설치하여 외력과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리모콘하우징부(1200); 를 포함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발포 연질 우레탄 또는 저밀도 폴리에테르 스펀지 또는 생고무 스펀지 또는 발포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표면 전체에 광촉매를 100 내지 600 마이크로 미터 두게 이상으로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하우징부(1200)는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형상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하되 더 큰 형상을 하고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 값(A) 대비 2 배 이상 더 큰 값(B)의 두께를 형성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 전체가 일측면에 내장 상태로 설치되거나 분리되는 폼케이싱부(1210);
    상기 폼케이싱부(1210)의 일측면에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되어 내장 설치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 대비 그 바닥면으로부터 1.3 배 이상 더 높은 높이 값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내장탈부착공간(1220):
    상기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각 측벽이면서 그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의 두께(A) 값과 같은 높이 값의 위치에 하나 이상 다수가 각각 0.3 밀리미터 높이 값 이상의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를 어렵게 하는 고정체결돌기부(1230);
    상기 내장탈부착공간(122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되고 사다리꼴 형상을 하며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가 출력하는 신호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신호전송경로(1240); 를 포함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리모콘부(1100)는
    평평한 판 형상 이되 직사각 육면체 형상을 하고 내부에 특정 전기전자 제품을 원격제어하는 전자회로(EC)를 내장 구비하는 리모콘케이스부(1110);
    상기 리모콘케이스부(1110)의 전자회로(EC)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전달하는 리모컨버튼부(1120);
    상기 리모컨버튼부(1120)의 명령신호를 인가받은 전자회로(EC)에서 발생된 원격제어 신호가 적외선 통신방식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각각 변조되어 각각 동시 출력되는 리모콘신호출력부(1130);를 포함하는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KR1020210092212A 2021-07-14 2021-07-14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KR20230011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12A KR20230011667A (ko) 2021-07-14 2021-07-14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12A KR20230011667A (ko) 2021-07-14 2021-07-14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67A true KR20230011667A (ko) 2023-01-25

Family

ID=8510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12A KR20230011667A (ko) 2021-07-14 2021-07-14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6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083Y1 (ko) 2003-07-04 2003-09-26 이영사 리모콘수납기
KR101229645B1 (ko) 2010-08-07 2013-02-04 윤양준 자력착탈식 키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083Y1 (ko) 2003-07-04 2003-09-26 이영사 리모콘수납기
KR101229645B1 (ko) 2010-08-07 2013-02-04 윤양준 자력착탈식 키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ynergetic molecular oxygen activation and catalytic oxidation of formaldehyde over defective MIL-88B (Fe) nanorods at room temperature
Sofianou et al. Tuning the photocatalytic selectivity of TiO2 anatase nanoplates by altering the exposed crystal facets content
Qourzal et al. Synthesis of TiO2 via hydrolysis of titanium tetraisopropoxide and its photocatalytic activity on a suspended mixture with activated carbon in the degradation of 2-naphthol
Machado et al. Floating photocatalysts based on TiO2 supported on high surface area exfoliated vermiculite for water decontamination
Hamal et al. Valence state and catalytic role of cobalt ions in cobalt TiO2 nanoparticle photocatalysts for acetaldehyde degradation under visible light
Venkatachalam et al. Alkaline earth metal doped nanoporous TiO2 for enhanced photocatalytic mineralisation of bisphenol-A
Cai et al. Using collagen Fiber as a template to synthesize TiO2 and Fe x/TiO2 Nanofibers and their catalytic behaviors on the visible light-assisted degradation of Orange II
KR20140095845A (ko) 휴대용 살균 탈취 장치
Pham et al. Advanced removal of toluene in aerosol by adsorp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silver-doped TiO 2/PU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Yao et al. Photocatalytic oxidation of arsenite by a composite of titanium dioxide and activated carbon fiber
US20190168204A1 (en) Photocatalytic surface systems
KR20230011667A (ko) 리모콘 분실방지와 보호 홀더장치
Hu et al. One‐Step Cohydrothermal Synthesis of Nitrogen‐Doped Titanium Oxide Nanotubes with Enhanced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Yusuf et al. Opposite effects of Co and Cu dopants on the catalytic activities of birnessite MnO2 catalyst for low-temperature formaldehyde oxidation
He et al. Facet-controlled synthesis of Mn3O4 nanorods for photothermal synergistic catalytic oxidation of carcinogenic airborne formaldehyde
KR102089987B1 (ko) 가시광 활성 광촉매를 포함하는 에어돔
KR20210073422A (ko) 광촉매 작용의 나노용액 전구체 타블렛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77842B1 (ko) 광촉매와 흡착제의 기능을 모두 가지는 다기능 구리-이산화티타늄-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33282A1 (en) Mattress or pillow and method for their disinfection
JP2013236414A (ja) 携帯端末用充電器
Abdel-Latif Perovskite Strontium Doped Rare Earth Manganites Nanocomposites and Their Photocatalytic Performances
KR102543191B1 (ko) 광촉매 적용 건축자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촉매 적용 건축자재
Liao et al. Microwave-Assist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Dimethyl Phthalate Over a Novel ZrO x Catalyst
CN204709949U (zh) 一种抗菌除臭的空调滤清无纺布
Zengin et al. Enhancement of Photocatalytic Performance with Metal Oxide V2O5 Catalyst Under Different Light Source Illu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