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596A - 허리지지벨트장치 - Google Patents

허리지지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596A
KR20230011596A KR1020210092010A KR20210092010A KR20230011596A KR 20230011596 A KR20230011596 A KR 20230011596A KR 1020210092010 A KR1020210092010 A KR 1020210092010A KR 20210092010 A KR20210092010 A KR 20210092010A KR 20230011596 A KR20230011596 A KR 2023001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aist support
auxiliary belt
round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21009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596A/ko
Publication of KR2023001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Abstract

착용감이 개선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 및 복부 양측을 지지 및 압박하도록 연장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복부 중앙부에 이격 배치되어 탈착가능한 허리지지부; 상기 허리지지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인체의 둔부 하부 및 골반 하부를 감싸도록 권취 결합되되, 상기 둔부 하부 및 상기 골반 하부가 압박되면서 권취 결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벨트부; 및 상기 보조벨트부의 전방부 양측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향 연장되되, 각각 상기 허리지지부의 양단부에 당겨져 연결되는 한쌍의 당김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리지지벨트장치{belt device for spine fixing}
본 발명은 허리지지벨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착용감이 개선된 허리지지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경추(목), 흉추(가슴), 요추(허리), 천추(골반)으로 구분된 인체 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우리 몸을 지탱하고 지지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구조이다. 또한, 척추는 인대, 근육, 연골 등과 상호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우리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허리가 아픈 증세인 요통은 두발로 서서 활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기립보행을 어렵게 하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고 여러 합병증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요통의 원인은 운동부족으로 허리 기능이 약화되거나 과다한 부하로 인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및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요추부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의 연부조직 약화로 척추의 지지력이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협착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자동차나 비행기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이동을 하거나, 직장인, 학생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척추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어 허리에 관련된 많은 질병들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요통의 증상이 3달 혹은 그 이상 지속되면 만성으로 분류되는데, 만성 요통 환자들의 경우 불안정한 자세와 함께 중력 중심의 위치가 변하게 되어 올바른 기립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에, 인체 골격 중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척추 교정벨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교정벨트는 인체의 허리부위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이 분포된 복부까지 감싸도록 장착되어 벨트의 복부측 압박감으로 인해 소화불량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척추 교정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의자 등에 앉아 생활하는 경우 상복부 및 폐의 하부까지 가압함으로 인해 호흡이 불편하며 통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의 복부 둘레가 평균적인 복부 둘레보다 큰 경우, 사이즈가 맞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척추 교정벨트를 세게 잡아 당겨 장착하면 밴드가 늘어나 모양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369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감이 개선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인체의 허리 및 복부 양측을 지지 및 압박하도록 연장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복부 중앙부에 이격 배치되어 탈착가능한 허리지지부; 상기 허리지지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인체의 둔부 하부 및 골반 하부를 감싸도록 권취 결합되되, 상기 둔부 하부 및 상기 골반 하부가 압박되면서 권취 결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벨트부; 및 상기 보조벨트부의 전방부 양측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향 연장되되, 각각 상기 허리지지부의 양단부에 당겨져 연결되는 한쌍의 당김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벨트부는 상기 당김연결부에 의해 당겨져 올라가지 않도록 인체의 상기 골반 둘레가 최대인 지점의 아래에 권취되어 결합되되, 상기 보조벨트부의 양단에는 상기 복부와 이격되도록 중앙부가 전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라운드결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운드결합부는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된 금속재질의 탄성아치바와, 상기 탄성아치바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벨트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벨트부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탄성아치바와 착탈식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결합부는 상기 보조벨트부의 일단과 연결되되 복수개의 간격조절 결합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제1라운드부와, 상기 보조벨트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관통 및 고정되어 상호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라운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허리지지부의 후방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당김밴드부와, 상기 당김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당겨져 인체의 어깨를 감싸 걸림되는 현수견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견인부의 전방부 일측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착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허리지지부가 인체의 허리 및 복부 양측을 감싸되 상기 복부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감싸므로 소화기관이 분포된 복부를 압박하지 않아 착용시 편안함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의 요통 및 근육통을 완화함과 동시에, 골반에 권취되는 상기 보조벨트부가 당김연결부에 의해 상기 허리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므로 상기 허리 후방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보조벨트부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는 상기 골반 하부에 권취 결합됨으로써 상기 골반뼈가 내부 혈관들을 감싸 보호하여 상기 복부측의 혈관들은 가압되지 않으므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라운드결합부가 사용자에 의해 전측으로 잡아 당겨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조벨트부가 상기 골반 하부를 좌우대칭에 맞춰 압박하여 골반 비대칭이 교정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허리지지부와 상기 보조벨트부가 각각 상기 현수견인부와 상기 당김연결부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흘러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허리지지부가 상기 당김연결부에 의해 상기 보조벨트부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시 상기 허리지지부가 후측으로 밀리거나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 기립상태에서는 상기 라운드결합부가 상기 골반 하부에 밀착 배치되어 외관상 심미적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앉은 상태에서는 상기 라운드결합부가 상기 복부와 이격되도록 중앙부가 전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구비되어 상기 복부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제1,2라운드부에 각각 간격조절 결합홀과 결합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맞게 둘레를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지지벨트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지지부 후측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석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결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벨트부 및 라운드결합부의 외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지지벨트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지지부 후측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착석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결합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단면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 허리지지벨트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벨트부 및 라운드결합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허리지지벨트장치(100)는 허리지지부(10), 보조벨트부(20) 및 당김연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인체의 허리 및 복부(a)의 양측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부(a)를 압박하지 않도록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부가 상기 복부(a) 중앙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허리지지부(10)가 상기 허리 및 상기 복부(a) 양측을 감싸되 상기 복부(a)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감싸 므로 소화기관이 분포된 복부를 압박하지 않아 착용시 편안함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의 요통 및 근육통이 완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이 이격된채로 사용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에 탈착이 편리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을 편리하게 탈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일단에는 고리형상의 결합고리(15)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지지부(10) 타단에는 상기 결합고리(15)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고리걸림부(1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고리(15) 및 상기 고리걸림부(16)로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테이프, 똑닥이 단추 등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방법이 간단한 결합수단으로 구비됨으로써 탈착이 편리한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허리지지부(10) 및 후술되는 상기 보조벨트부(20)의 내면은 신체측을 바라보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인체의 상기 허리 및 상기 복부(a)의 양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의 직물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신체 활동에 따라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신축성을 갖는 직물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부(10)의 내면 및 외면은 상기 허리 및 상기 복부(a)의 땀배출이 원활하도록 쿠션층 타공원단으로 형성되되, 사용시 상기 허리지지부(10)가 후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실리콘 등으로 코팅된 망사가 상기 쿠션층 타공원단의 내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공원단이란 복수개의 작은 구멍이 뚫린 원단으로, 상기 복수개의 작은 구멍으로 땀이 배출되어 땀이 차는 현상을 방지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리지지부(10)의 후방부 내면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판(13)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3)은 판형으로 상기 허리의 후방부(b)를 지지하도록 강성으로 형성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13)의 내면에는 신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허리 후방부(b)를 가압하는 사각형상의 복수개의 쿠션판(14)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3)의 내면은 신체측을 바라보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쿠션판(14)의 외관은 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판(14)은 강성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판(13)의 압박감을 완화하도록 부드럽고 탄성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쿠션판(14)이 신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허리 후방부(b)를 가압하여 마사지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라텍스 재질 등의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과도한 압박감이 가해지지 않아 착용시 편안함이 향상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을 고려하여 상기 허리지지부(10)의 후방부 상하측에 고무줄(r)이 삽입되어 치수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기 고무줄(r)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외면 양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당김연결부(30)와의 결합을 위해 벨크로테이프(v)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되는 상기 당김연결부(30)와의 결합수단은 벨크로테이프(v)로 한정되지 않고 고리, 단추 등 다양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외면에는 상기 허리 후방부(b) 및 양측을 압박하는 약밴드(11)와 강밴드(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약밴드(11)는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중앙부로 갈수록 면적이 폭방향으로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약밴드(11)의 중앙부 내면에는 상기 허리 후방부(b)를 지지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강성으로 형성된 지지대(p)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p)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척추부분이 눌려 불편하지 않도록 라텍스 재질 등의 쿠션층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밴드(11) 및 상기 지지대(p)의 내면은 신체측을 바라보는 면이며, 상기 지지대(p)는 상기 약밴드(11)의 폭방향 면적이 가장 넓은 부분에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밴드(12)는 상기 약밴드(11)의 압박을 강화하기위해 상기 약밴드(1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밴드(12)는 상기 약밴드(11)와 분리가능하여 압박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강밴드(12)의 양측 내면에는 벨크로테이프(v)가 부착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측 외면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v)와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강밴드(12)에는 사용자의 통증 부위을 집중 압박하도록 복수개의 지압부재(c)가 탈부착될 수 있으며, 통증 부위에 따라 좌측, 우측, 내측, 외측으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압부재(c)의 내면에 형성된 집게구조가 상기 강밴드(12)에 고정되되, 집게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강밴드(12)에 고정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밴드(12)의 내면은 신체측을 바라보는 면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밴드(12)의 압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양단에 한쌍의 압박조절부(L)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박조절부(L)는 상기 강밴드(12)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압박조절부(L)를 회전시켜 압박감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박조절부(L)로 상기 강밴드(12)의 길이를 늘리면 압박감이 약해지고, 상기 압박조절부(L)로 상기 강밴드(12)의 길이를 줄이면 압박감이 강해진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리지지부(10)의 후방부에 상기 허리지지부(10)가 중력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사용자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신체의 어깨에 걸림 및 고정되는 현수견인부(17) 및 당김밴드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당김밴드부(18)는 상기 허리지지부(10)의 후방부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상기 현수견인부(17)는 상기 당김밴드부(18)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측으로 당겨져 인체의 어깨를 감싸 걸림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당김밴드부(18)는 사용자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므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수견인부(17)의 전방부 일측에 버클 구조의 탈착부재(19)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현수견인부(17) 및 상기 당김밴드부(18)를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재(19)는 버클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고리, 벨크로테이프 등 다양한 구조로 사용자의 어깨에서 탈착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수견인부(17)의 후방부 내면과 상기 당김밴드부(18)의 내면에는 사용자의 자세 교정을 돕도록 신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교정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돌출부는 상기 허리지지부(10)와 인체의 목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상기 허리지지부(1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인체의 상기 둔부 하부 및 상기 골반 하부를 감싸도록 권취 결합된다. 여기서, 권취 결합이란 상기 둔부 하부 및 상기 골반 하부에 둥글게 감아져 결합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일측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26)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부(26)는 상기 보조벨트부(20)의 후방부 일측에 강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벨트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적어도 일부는 인체의 상기 둔부 및 상기 골반 하부를 압박하여 감싸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재질이란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양단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면 길이가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재질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후술되는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내면은 신체측을 바라보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당김연결부(30)는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전방부 양측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향 연장되도록 한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당김연결부(30)는 상기 보조벨트부(20) 착용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부에 당겨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상기 보조벨트부(20)와 상기 허리지지부(10)가 연결됨으로써 착용시 상기 허리지지부(10)가 후측으로 밀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당겨져 연결됨이란 사용자가 상기 당김연결부(30)의 양단을 잡고 상측으로 당겨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부에 부착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부(10)가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당김연결부(30)는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양단에서 상향 연장되되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이격된 양단에 부착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당김연결부(30) 한쌍의 이격된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당겨져 올라가지 않도록 인체의 상기 골반 둘레가 최대인 지점의 아래에 권취되어 결합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당겨져 올라감은 사용자가 상기 당김연결부(30)를 상측으로 잡아 당길시 상기 당김연결부(30)와 연결된 상기 보조벨트부(20)도 상측으로 당겨져 올라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당김연결부(30)의 내면에는 벨크로테이프(v)가 구비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외면 양측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v)에 부착되어 연결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외측 양단에 벨크로테이프(V)가 구비되어 상기 당김연결부(30) 내면의 벨크로테이프(v)에 부착되어 연결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상기 당김연결부(30) 내면의 하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당김연결부(30)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김연결부(30)는 상측으로 돌출연장된 형상를 유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연철심, 플라스틱 등의 강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벨트부(2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 허리의 양측을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상기 현수견인부(17) 및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당겨져 고정되고,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중력반대방향으로 당겨져 고정되므로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가 무게로 인해 중력방향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양단부가 상기 당김연결부(30)의 하측 외면에 결합되되, 상기 골반 하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가 전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강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당김연결부(30)의 하측 외면에 결합나사부(24)가 관통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 및 상기 당김연결부(30)의 결합수단은 상기 결합나사부(24)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양단부는 상기 당김연결부(30)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절곡부분은 사용자 기립 및 착석 상태의 변화시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인체 골반 외면과의 사이에 여유공간을 주는 방향으로 상기 라운드결합부(21)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중앙부가 수평형상으로 상기 복부(a) 하부와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복부(a) 하부에 압박감이 가해지지 않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금속바를 라운드지게 절곡하거나 외력에 대한 소정의 지지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바를 라운드지게 성형하여 소성 변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양단부가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기 둔부에서 돌출된 부위의 하측에 걸리듯 압박 고정되어 상기 골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와 상기 보조벨트부(20) 사이에 상기 보조벨트부(20)와 같은재질의 연결부(25)가 길이방향 연장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당김연결부(30)의 하측 외면에 상기 결합나사부(24)로 고정 및 결합되어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일단과 이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라운드결합부(21)와 연결되므로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위치를 사용자의 자세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25) 없이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일단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에 나사로 결합되어 상기 골반 하부에서 서로 교차되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끼리 교차된 부분은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교차된 X자 형상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골반 하부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말단은 각각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양단에 나사로 결합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X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복부(a)의 굴곡에 대응되도록 전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X자 형상으로 구비된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골반 하부에 배치되므로 호흡시 상기 복부(a)에 압박감이 없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지지부(10)와 상기 라운드결합부(21), 상기 라운드결합부(21)와 상기 보조벨트부(20)의 결합방법은 나사 결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벨크로테이프, 고리 등 다양한 방법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조벨트부(20)가 사용자의 허벅지 둘레를 따라 각각 하나씩 감싸져 벨크로테이프로 결합 고정되고, 한쌍의 상기 당김연결부(30)가 각각 한쌍의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전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당김연결부(30)가 각각 한쌍의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전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서로 교차되는 X자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벨트부(20)의 결합수단은 상기 벨크로테이프(v)로 한정되지 않고 고리, 단추 등 다양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부(a) 뿐만 아니라 상기 골반의 하부에도 압박감이 없어지므로 호흡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보조벨트부(2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보조벨트부(2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라운드부(21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라운드부(21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간격조절 결합홀(22)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라운드부(21b)에는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22)에 선택적으로 관통 및 고정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 착용시 사용자가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를 전측으로 잡아 당겨 어느정도 압박감이 느껴지도록 착용하므로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양단과 접촉되는 신체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벨트부(20)와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면에 신체측으로 돌출되는 완충재가 구비되어 통증이 현저히 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재는 스폰지로 형성되나, 스폰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가 사용자에 의해 전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보조벨트부(20)가 상기 골반 하부를 압박하면서 권취 결합되므로 상기 골반의 비대칭이 교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골반 비대칭을 교정함으로써 상기 골반, 등 아래 및 무릎의 통증이 현저히 완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상기 둔부하측에 위치한 궁둥뼈에 걸림결합되면서 상기 골반하부 양측 뼈에 권취 결합되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골반하부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복부(a)측에 모여있는 혈관들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편안함이 유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골반하부에 권취 결합됨으로써 상기 골반뼈가 내부의 혈관들을 감싸 보호해주므로 혈관이 압박되어 혈액순환이 방해되거나 통증이 느껴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골반하부에 권취 결합됨으로써 뼈의 보호를 받는 상기 골반 내부의 혈관들과는 달리 뼈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기 복부(a)측의 혈관들은 가압하지 않으므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제2라운드부(21b)의 결합 수단은 상기 간격조절 결합홈(22) 및 상기 결합돌기(23)로 한정되지 않고, 버클, 단추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제2라운드부(21b)의 결합 수단이 똑닥단추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상기 똑닥단추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제2라운드부(21b)의 결합 수단이 버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의 말단에 각각 버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라운드부(21a)의 말단 외면에 고리 형상의 고정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제2라운드부(21b)의 말단 외면에 상기 고정걸림턱이 걸림 고정되는 걸이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의 분리를 방지하는 구조는 상기 고정걸림턱 및 상기 걸이구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 각각의 일측에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높낮이조절 결합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연결부(30)의 외면 하측에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관통 및 고정되어 상호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높낮이조절 결합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이 상기 라운드결합부(21)에 상하측으로 정렬배치되도록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일측이 상기 당김연결부(30)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이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라운드결합부(21) 및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는 강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높낮이조절을 위한 결합수단은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과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에 걸림고정시키면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측으로 올라와 위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를 상측에 위치한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에 걸림고정시키면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하측으로 내려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홀 및 상기 높낮이조절 결합고리로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높낮이를 최대로 조절하더라도 상기 골반 둘레가 최대인 지점의 아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권취되어 결합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는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골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벨트부(20)가 상기 둔부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전측으로 당겨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골반 하부에 밀착 구비되어 외관상 심미적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기립 상태에서 상기 허리지지부(10)는 상기 보조벨트부(20)와 연결된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져 전측으로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벨트부(20)의 무게에 따라 상기 허리지지부(10)의 기울어지는 정도가 결정된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는 상기 허리지지부(10)가 후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복부(a)와 이격되도록 전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복부(a)를 압박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호흡시 상기 복부(a)가 유동될 수 있는 호흡공간이 확보되므로 착용시 편안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상기 당김연결부(30)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앉으면 상기 라운드결합부(21)의 중앙부가 수평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복부(a)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22) 중 하나에 상기 결합돌기(23)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상기 골반 하부 둘레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편안한 상태로 상기 허리지지벨트장치(100)를 착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벨트부(20)는 인체의 후방부 및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사용자가 상기 제1,2라운드결합부(21a,21b)의 양단을 전측으로 잡아 당겨 결합시키기 쉽도록 인체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제2라운드부(21b)의 각 타단부가 상호 중첩 교차되도록 당김 조작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라운드부(21a)와 상기 제2라운드부(21b)를 쥐고 당기면서 몸에 직접 가해지는 압박감을 판단하면서 상기 결합돌기(23)가 복수개의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22) 중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골반 둘레가 평균보다 크다면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22)의 말단에 위치한 홀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상기 골반 둘레가 평균보다 작다면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22)의 내측에 위치한 홀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부(a) 압박을 방지하도록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이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당김연결부(3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져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당김연결부(30)는 상기 보조벨트부(20) 양단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에 부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허리지지부(10)의 양단이 상기 복부(a)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보조벨트부(20) 및 상기 라운드결합부(21)가 인체의 상기 골반 하부에 권취 결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복부(a)를 압박하지 않으므로 착용시 편안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벨트부 및 라운드결합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운드결합부(21)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상기 제1,2라운드부(21a,21b)의 구분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운드결합부(21)는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탄성아치바(121)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으로 절곡됨이란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중앙부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양단이 외측으로 구부러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치바(12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와이어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아치바(121)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골반 하부에 압박감을 주지 않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아치바(121)가 적어도 두번이상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중앙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좌우측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된형상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어도 두번이상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상기 탄성아치바(121)에 외력을 가할시 중앙부가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의 상기 탄성아치바(121)보다 형상이 더 쉽게 변형되어 상기 골반 하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치바(121)가 상하측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양단을 감싸는 형상의 힌지실린더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실린더부(125)의 하부에 상기 탄성아치바(121)가 관통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부는 결합나사부(124)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나사부(124)는 상기 힌지실린더부(125)를 당김연결부(130)의 하측 내면에 부착 및 결합시킨다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벨트부(120)의 적어도 일단에 고리 형상의 보조벨트 결합고리(123)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적어도 일단과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적어도 일단에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가 걸림고정되는 보조벨트 고리걸림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는 상기 보조벨트부(120)의 일단에 형성되거나 상기 보조벨트부(12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벨트 고리걸림부(122)는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일단에 구비되거나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양단이 상기 힌지실린더부(125)의 내경보다 크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성아치바(121)가 좌우 이동시 상기 힌지실린더부(125)와의 슬라이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실린더부(125) 및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양단이 신체측으로 돌출구비됨으로써 제공되는 압박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힌지실린더부(125)의 내면에 스폰지 재질의 완충재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실린더부(125)의 내면은 신체측을 향하는 면이라고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벨트 고리걸림부(122)는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적어도 일단에 한쌍의 돌출부가 이격 구비되어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의 양측을 긴밀하게 잡아줌으로써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의 좌우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의 결합부위 범위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벨트부(120)의 양단에 상기 보조벨트 결합고리(12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아치바(121)의 양단에 상기 보조벨트 고리걸림부(122)가 형성되어 양단에 각각 걸림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아치바(121)와 상기 보조벨트부(120)의 결합방식은 고리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똑닥이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 다양한 결합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허리지지벨트장치 10 : 허리지지부
11 : 약밴드 12 : 강밴드
13 : 지지판 14 : 쿠션판
15 : 결합고리 16 : 고리걸림부
20 : 보조벨트부 21 : 라운드결합부
22 : 간격조절결합홀 23 : 결합돌기
24 : 결합나사부 25 : 연결부
26 : 길이조절부 30 : 당김연결부

Claims (5)

  1. 인체의 허리 및 복부 양측을 지지 및 압박하도록 연장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복부 중앙부에 이격 배치되어 탈착가능한 허리지지부;
    상기 허리지지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인체의 둔부 하부 및 골반 하부를 감싸도록 권취 결합되되, 상기 둔부 하부 및 상기 골반 하부가 압박되면서 권취 결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보조벨트부; 및
    상기 보조벨트부의 전방부 양측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향 연장되되, 각각 상기 허리지지부의 양단부에 당겨져 연결되는 한쌍의 당김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벨트부는 상기 당김연결부에 의해 당겨져 올라가지 않도록 인체의 상기 골반 둘레가 최대인 지점의 아래에 권취되어 결합되되,
    상기 보조벨트부의 양단에는 상기 복부와 이격되도록 중앙부가 전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라운드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결합부는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된 금속재질의 탄성아치바와,
    상기 탄성아치바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벨트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벨트부의 적어도 일단은 상기 탄성아치바와 착탈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결합부는
    상기 보조벨트부의 일단과 연결되되 복수개의 간격조절 결합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제1라운드부와,
    상기 보조벨트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간격조절 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관통 및 고정되어 상호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2라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지지부의 후방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당김밴드부와, 상기 당김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당겨져 인체의 어깨를 감싸 걸림되는 현수견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현수견인부의 전방부 일측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지지벨트장치.
KR1020210092010A 2021-07-14 2021-07-14 허리지지벨트장치 KR20230011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10A KR20230011596A (ko) 2021-07-14 2021-07-14 허리지지벨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10A KR20230011596A (ko) 2021-07-14 2021-07-14 허리지지벨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96A true KR20230011596A (ko) 2023-01-25

Family

ID=8510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10A KR20230011596A (ko) 2021-07-14 2021-07-14 허리지지벨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5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96Y1 (ko) 2003-05-23 2003-08-21 주식회사 일광테크 다기능 허리 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96Y1 (ko) 2003-05-23 2003-08-21 주식회사 일광테크 다기능 허리 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553B2 (en) Neck orthosis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7241252B1 (en) Fitness wear with hidden back support
US5782781A (en)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WO2018101344A1 (ja)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エア
KR102183964B1 (ko) 허리 보호 벨트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30011596A (ko) 허리지지벨트장치
CN109674564A (zh) 一种稳定型磁护背装置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RU2142244C1 (ru) Жилет,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осанку человека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10058632A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KR200305905Y1 (ko) 복대 겸용 척추 교정용 벨트
KR200381273Y1 (ko) 척추교정용 벨트
KR102554976B1 (ko)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CN219205999U (zh) 一种旋转调教松紧的新型腰带
KR102190685B1 (ko) 척추 교정벨트
KR102182422B1 (ko) 정위반사를 이용한 자세 교정 벨트
KR200442661Y1 (ko) 3차원 자세 교정용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