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566A -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566A
KR20230011566A KR1020210091932A KR20210091932A KR20230011566A KR 20230011566 A KR20230011566 A KR 20230011566A KR 1020210091932 A KR1020210091932 A KR 1020210091932A KR 20210091932 A KR20210091932 A KR 20210091932A KR 20230011566 A KR20230011566 A KR 2023001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aesthetic
biometric informa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정
Original Assignee
조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해정 filed Critical 조해정
Priority to KR102021009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566A/ko
Publication of KR2023001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신청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테스트 신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테스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테스트를 신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로 연계하여 테스트를 의뢰하는 의뢰부,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에서 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테스트 결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IOMETRIC INFORMATION BASED CUSTOMIZED AESTHETICS SERVICE}
본 발명은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솔루션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체크업 및 피드백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다세포 생물체는 생로병사를 경험한다. 분자생물학적인 수준에서 노화의 원인을 해명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이 부단히 연구한 결과, 최근에 그 실마리가 조금씩 해명되고 있다. 특히 세포수준에서 노화의 원인을 연구한 결과 세포 분열 횟수의 한계가 노화기전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유전자 검사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유전자 검사결과로 얻은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영양제를 추천하거나 에스테틱 서비스와 연계시키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에 더불어 유비쿼터스 헬스산업까지 확장되면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는 플랫폼도 증가하고 있다.
이때,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전자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맞춤형 케어플랜을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3711호(2012년07월26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946523호(2019년02월11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023755호(2019년09월20일 공고)에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고 생체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게이트웨이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여 송수신 여부를 결정 후 전송하는 구성과, 생체신호 및 증상정보에 대한 매핑관계와 질병에 대한 케어플랜 매핑관계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나 증상정보에 대응되는 케어플랜을 추천하는 구성과, 유전자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중성지방농도, 콜레스테롤, 혈당, 혈압 및 카페인 대사의 분석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분석 파라미터에 매핑된 상품, 서비스 및 컨설팅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생체신호를 단순히 전달만 하거나 케어플랜을 제시만 하고 또 유전자 분석 결과로 컨설팅만을 진행할 뿐 이에 대한 장기간 피드백이나 모니터링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각 개인의 유전자, 신체구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약의 기전도 서로 다르게 작용하는데 동일한 컨설팅이나 케어를 제공했다고 하여 모두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에스테틱 서비스는 법적으로 기기를 이용한 의료행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과학적이고 근거있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에 적용될 수 있는 오프라인 에스테틱이 적용되지 않아 뷰티 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 이에,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하며 결과를 피드백받아 각 개인별로 맞춤형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티에이징을 위해서는 꾸준한 건강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생체정보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솔루션을 코칭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를 검사하는 검사 연구소와 연계하여 정확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에스테틱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받고 정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항노화, 휴식 및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도록 하며, 에스테틱에서 안티에이징을 돕는 테라피, 맞춤형 화장품 조제처방, 영양제 처방, 식단관리 및 운동처방을 제공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과 지속적인 생체정보 체크업으로 개인의 건강을 꾸준히 모니터링하여 지표개선을 도울 수 있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신청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테스트 신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테스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테스트를 신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로 연계하여 테스트를 의뢰하는 의뢰부,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에서 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테스트 결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를 추출하는 추출부,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안티에이징을 위해서는 꾸준한 건강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생체정보를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솔루션을 코칭할 수 있도록, 생체정보를 검사하는 검사 연구소와 연계하여 정확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에스테틱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받고 정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항노화, 휴식 및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도록 하며, 에스테틱에서 안티에이징을 돕는 테라피, 맞춤형 화장품 조제처방, 영양제 처방, 식단관리 및 운동처방을 제공하고, 오프라인에서는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과 지속적인 생체정보 체크업으로 개인의 건강을 꾸준히 모니터링하여 지표개선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마이데이터(MyData)법에 따라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연계하여 전달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온라인 처방인 운동, 식단, 영양제, 화장품 등의 서비스 및 상품을 추천받거나 구매하는 단말일 수 있고, 오프라인에서는 가맹점을 선택하여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받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와 각 연구소나 기관에서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 결과 해석표, 결과에 따른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생체정보에 따라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시계열 데이터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습득하여 지표관리를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서비스 요청을 하는 경우, 검사 서버(500)로 검사의뢰를 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마이데이터 사용 동의를 받은 후, 그 결과에 따라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등록한 위치, 베드 수, 보유한 장비나 제품의 종류, 인력 등을 등록 및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에스테틱 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검사장비 데이터, 검사결과 해석표 등을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검사 서버(500)는,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검사의뢰가 수신되면 검사결과를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의뢰부(320), 전달부(330), 추출부(340), 안내부(350), 피드백부(360) 및 모니터링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로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에스테틱의 기본개념을 먼저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2를 설명하면서 중복하지 않는다.
에스테틱(Asthetic, Esthetic)이라는 용어는 미는 인간에게 만족감과 쾌감을 주는 대상이며 보는 사람의 마음에 달려 있다는 감성의 미학차원에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에스테틱은 미학, 심미, 미의식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즉, 에스테틱은 화장품과 피부관리를 구별하기 위해 도입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는데 ‘심미적인’, ‘조화로운’, ‘미학의’라는 뜻으로 영어로는 Aesthetic 또는 Esthetic, 독일어로는 Asthetik로 표기한다.
현재는 과학적인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정신적인 면부터 작용하기 시작한 ‘전신미용=토털 뷰티’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온몸을 아름답게 하는 미용법으로 헤어스타일링을 제외한 안면의 피부관리(Facial Treatment), 전신미용(Body Care), 두피케어와 탈모케어(Depilation), 매니큐어(Nail Care)와 페디큐어(Pedicure), 메이크업(Make-Up)을 포함하며 이를 시행하는 장소를 에스테틱이라고 한다.
또한 최근의 에스테틱의 변화는 보다 심신의 여유와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며, 고급화, 안정화, Well Being이라는 유행에 맞추어져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에스테틱과 Therapy를 접목 시키는 ‘Beauty Therapy’ 상품이 등장하고 있다. 즉, 자연의 향을 이용한 자연 치료의학의 한 형태로 후각 및 촉각을 이용하여 에센셜 오일을 체내로 흡수시켜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방향 요법인 아로마 테라피가 등장했으며, 최근에는 온천수 등 특수한 물속에 몸을 담구어 몸과 마음에 안정을 주는 스파 테라피(Spa Therapy), 해수온천을 이용하는 팔라소 테라피, 음악을 들려주며 정신과 계통 질병을 치료하는 뮤직 테라피(Music Therapy), 특정 색상의 광선을 쏘이거나 음식, 옷 등을 보여주며 우울증을 치료하는 칼라 테라피(Color Therapy), 그림치료와 음악치료를 병행하는 복합치료요법인 멀티 테라피, 척추를 바로 세워 자세를 바르게 해주는 일종의 물리치료를 하는 카이로프랙틱 등이 있다.
이처럼 의학에 뿌리를 가진 테라피가 미용에 널리 쓰이는 이유는 건강과 마찬가지로 미용도 몸의 상태가 최상이 되어야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테라피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웰빙의 유행으로 미용과 건강의 공통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자연스럽게 미용계의 테라피가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현행법상 의료인이 아닌 이상 각종 고강도 초음파기기, 고주파기기와 같은 의료기기를 다룰 수 없지만 암암리에 에스테틱 숍에서는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스테틱의 발전 방향성에 다른 접근을 시도하여 의학적 치료가 아닌 테라피를 사용하되, 보다 효과적일 수 있는 과학적인 접근의 에스테틱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생체정보에 기반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테스트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는, 생체나이 검사, 유전자 검사, DTC(Direct To Consumer) 검사, 장내 미생물 검사, 소변 유기산 검사, 스트레스 검사, 자율 신경계 검사, 타액검사 및 모발검사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유전자는 생명의 세포적 기초이자 유전 정보의 최소단위를 의미하는 용어로 쓰여 왔고, 유전자 검사는 각 개인이 고유하게 보유하고 있는 유전 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 목적과 방법, 기술과 조건 등에 따라 개인 식별 정보나 유전적 변이, 유전적 특징에 따른 질병 위험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유전자 검사는 질병의 예방ㆍ진단ㆍ치료 등을 위해 의료기관에서 의사가 필요성을 판단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의해 검사를 실시하고 이후 결과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유전자 검사와 관련한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비용이 감소하면서 접근성과 활용성이 확대되었고 현재는 비의료기관을 통해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TC GT는 “소비자에게 직접 광고되고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며 건강관리 제공자의 개입 없이 소비자에게 직접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의된다. 한국의 경우,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0-35호「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 기관이 직접 실시할 수 있는 유전자검사 항목에 관한 규정」에 따라 DTC GT는 “의료기관이 아닌 유전자검사 기관이 검체 수집, 검사, 검사 결과 분석 및 검사 결과 전달 등을 소비자 대상으로 직접 수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검사”로 규정되고 있다. DTC GT의 진행과정은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검사기관, 약국, 마트 그리고 온라인 등에서 검사 키트(Kit)를 구매한 후, 설명문과 동의서에 서명하고 키트 내에 포함된 용기에 약간의 침이나 뺨 안쪽을 긁어 채취한 검체를 검사기관으로 보내면 검사기관에서 DNA를 추출하여 유전자 분석을 진행한 뒤 이에 대한 결과보고서를 다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박테리아의 숙주인 인간의 대장 내 박테리아들은 장 내에서 다당류를 분해 및 발효하여 여러 가지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이러한 장내미생물은 장 및 전신의 숙주세포와 광범위하게 상호작용하며 매우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불균형이 일어난 장내미생물 생태계는 대사 및 면역 등의 문제로 인한 비만, 당뇨병,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내 미생물의 종류, 비율, 양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에 어떠한 미생물이 결여되어 있는지, 결여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미생물이 포함된 영양제를 섭취해야 하는지를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이를 온라인 처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자율신경계는 혈관과 내장평활근, 내분비선 및 외분비선 및 기타 장기의 실질세포에 분포하며 생체의 내환경을 조절하는 신경으로 동맥혈압, 소화관의 운동과 분비활동, 배뇨, 발한, 체온조절과 같은 반응을 조절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동시에 받는 많은 장기나 조직에서 두 신경계는 길항작용을 가지는데, 심자으이 자율신경계 불균형은 성인비만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비만 청소년 내에서도 종종 보고되고 있다. 심박수 변이도 검사 지표 중 부교감신경계 활성도를 나타내는 HFNU(High Frequency Normalized Units)가 정상체중 청소년에 비해 비만 청소년에서 유의하게 감소되고 또한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계의 균형을 나타내는 LF:HF(Low Frequency:High-Frequency Ratio)가 비만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부교감신경계 활성도가 저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교감신경계가 항진되어 잇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또, 최대운동 후 회복시 심박수를 이용하여 부교감신경계 재활성도를 살펴본 결과, 비만그룹은 정상체중 그룹에 비해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 반응이 느린 것에 반해, 규칙적인 운동은 자율신경계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게 자율신경계 이상을 체크하는 경우 사용자가 어떠한 자율신경계 손상이 보고되고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운동, 영양제 등을 하고 먹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자율신경계는 심장인 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계(Thermoregulatory System), 위장간계(Gastrointestinal System), 비뇨생식계(Genitourinary System), 외분비계(Exocrine System), 동공 등을 조절하는 주요 시스템이다. 자율신경계 장애가 있으면, 기립성 저혈압, 열 못견딤증(Heat Intolerance), 비정상적 발한, 변비, 설사, 실금, 성기능 장애, 안구건조, 구갈, 시야조절상실(Loss of Accommodation), 불규칙한 동공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이에, 각 자율신경계 검사를 수행하고, 장애가 발생한 계통의 생체정보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비의료적인 처치에 대한 연구결과나 논문을 수집하며, 이에 대한 처방을 예를 들어, 심혈관계 자율신경계 이상인 비만성인의 경우 운동처방을 내려줄 수 있다.
이때, HRV(Heart Rate Variability)는 신뢰성과 재현성이 높고 비침습적인 자율신경계 기능평가 방법의 하나로서 최근 활발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자율신경계는 호르몬 분비 등에 관여하여 신체균형을 조율 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한의학에서 음양조화와 유사하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실조로 인하여 불면, 다면, 다한 식욕감퇴 또는 증가, 두통, 현훈 등 다양한 기능적 신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기질적 이상이 없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HRV를 분석하면, 두통, 불면, 소화불량, 우울, 진전, 허로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심장의 박동은 체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데 이는 동방결절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조절작용 및 동방결절의 자발적 흥분에 의해 결정된다. 동방결절에 대하여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심장박동을 조절하게 되므로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연구함으로써 자율신경계의 교감, 부교감신경 간의 균형상태 및 각각의 활동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심박변이도란 심박수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심장주기의 시간적 변동(Fluctuation of R-R Interval)을 측정, 정량화한 것을 말한다. 심박수의 변동이 크다는 것은 건강한 사람에서 자율신경계가 원활히 조절되어 외부 자극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감소된 HRV는 자율신경계의 비정상적이고 불충분한 적응성을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령의 증가와 대사증후군 집단, 뇌졸중 환자, 장기 침상환자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전도 한 주기의 패턴은 차례로 P-Q-R-S-T파로 구성되는 데 R 피크 사이의 간격을 R-R 간격(R-R Interval)이라 한다. 정상인은 안정 상태에서도 심장의 박동과 박동 사의의 간격 즉 R-R Interval의 미세한 변화가 관찰되는데 이는 심장의 박동이 체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하여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심장의 박동은 동방결절에 대한 자율신경계의 조절작용 및 동방결절의 자발적 흥분에 의해 결정된다. 동방결절에 대하여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하여 심장박동을 조절하게 되므로 심장주기의 시간적 변동(Fluctuation of R-R Interval)을 측정, 정량화한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는 경우 자율신경계의 교감, 부교감신경간의 균형상태 및 각각의 활동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HRV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영역 분석방법(Time Domain Analysis)과 주파수 영역 분석방법(Frequency Domain Analysis)이 이용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 분석방법은 초저주파(<0.04Hz), 저주파(0.04∼0.15Hz), 고주파영역(0.15∼0.4Hz)에서 주어진 심박수의 주기적인 진동을 검사한다. 고주파 영역은 호흡에 의한 동성 부정맥과 관련 있으며, 미주신경의 영향을 받고, 부교감 신경계 활성도와 연관이 있다. 감소된 HF 활성도는 많은 심장 질환과 공황장애, 불안 또는 걱정의 스트레스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발견된다. 저주파 영역(LF)은 교감신경계의 활동도를 나타낸다고 보며 부가적으로 부교감 신경의 요소를 나타낸다. 즉 HF와 반대로 감소된 LF는 부교감신경계의 항진과 관련이 깊다. TP(Total Power)는 VLF, LF, HF Power를 포함하는 전체 Power로 교감 신경 활성도와 더불어 전반적인 자율신경계 활성도에 대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LF/HF Ratio는 교감과 부교감 신경의 상대적 균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상승하면 교감신경 활성도가 증가하거나 부교감 신경활성도가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며 하강되면 교감신경의 활성도의 저하와 부교감 신경활성도의 증가를 뜻한다. 예를 들어, HF는 낮으나 LF/HF Ratio가 다소 높은 편이라면, 부교감신경활성도는 저하되고 교감신경활성도가 증가되어 있으므로, 육체적 긴장도 상승과 정서적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검사의 종류, 진단의 종류 및 검사를 분석하는 표 등이 존재할 수 있고, 검사결과는 반드시 분석방법, 문제요인 및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이 함께 매핑되어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검사결과가 나오면 이를 인간이 해석하지 않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바로 데이터를 찾아 이에 맞는 결과인 온라인 처방과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빠르게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인간이 개입하여 최종 검수를 보거나 컨펌을 할 수도 있고, 이때 오류가 발생되면 이는 다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포함되어 재학습을 하는 데이터셋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검사결과인 생체정보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각종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은 웹크롤러가 연구결과나 논문을 추출하며 데이터베이스로 올려도 되는지 관리자에게 묻고, 관리자가 이를 승인하고 내부적으로 해당 방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연구 기관 또는 저자에게 기술이전 또는 저작권 관련 비용이나 실시권 계약을 한 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 및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게 된다.이때, 웹 문서를 전부를 일반 웹 크롤러로 크롤링 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산 웹 크롤러를 더 사용할 수 있다.
분산 웹 크롤러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중앙 집중식(Centralized)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P2P(or Fully-Distributed)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 분산 웹 크롤러는 URL 매니저가 서버와 같은 역을 수행하고, 크롤러가 클라이언트 역을 하는 구조이다. 크롤러에서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아웃링크(OutLink) URL을 추출하여 URL 매니저에게 넘겨주면 URL 매니저는 다운로드 받은 문서의 URL인지 검사하여 URL 중복을 제거를 한다. 즉 일반 웹 크롤러에서 URL 중복과 URL 관리를 하는 부분을 URL 매니저가 대신 해 주는 것이다. 한편, P2P 방식은 각 Crawler가 완전 독립적인 구조를 가진다. P2P 방식은 각각의 크롤러가 일반 웹 크롤러처럼 동작을 한다. 각각의 크롤러는 문서를 다운로드 받고 OutLink URL을추출하고 URL 중복제거까지 모두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크롤러에서 관리하는 다운로드 받은 URL 목록은 서로 배타적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크롤러에서 같은 문서를 다운로드 받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크롤러는 다운로드 받을 URL 도메인(Domain)을 서로 배타적으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즉, 자신이 다운로드 도메인에 속하는 것만 관리하고 나머지 URL은 다른 크롤러에게 넘기는 방법인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크롤러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의뢰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테스트를 신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로 연계하여 테스트를 의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신청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테스트 신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최근 마이데이터(MyData)법이 통과되었는데, 의료 분야 데이터를 각 개인이 특정 기관에 위임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데이터를 누구에게 제공할 것인지를 각 개인이 결정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검사결과를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것에 동의해야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이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전달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에서 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
추출부(340)는, 테스트 결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를 추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추출부(340)에서 추출된 에스테틱 서비스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오프라인에서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하도록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가맹점이 1 개, 즉 본점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과정이 필요없지만 가맹점이 다수이고 각 가맹점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따라 각 사용자를 오프라인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안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 온라인 처방은, 영양제 처방, 식단관리, 화장품 처방 및 운동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미도시)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감지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행동 데이터(생체 데이터)는, 심박수, 체온, 활동량, 소모 칼로리, 수면시간, 수면의 질, 오르막을 걸은 횟수, 섭취음식 데이터, 산소포화도, 호흡수, 혈압, 스트레스, 당뇨, 뇌파, 감정, 자세, 발작, 피부전기활동성(GSR), 복약여부 및 월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고 나열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생체 데이터(행동 데이터)와 생체정보는 서로 다른 것으로 정의한다. 생체 데이터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생체정보는 각 검사기관에 의뢰하거나 DTC와 같은 키트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로 정의하도록 한다. 물론, 두 개의 카테고리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고 혼용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기로 한다.
예를 들어, 피부 유수분을 측정하거나, 활력신호를 측정하거나, 간편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연동 제품이 다수 존재하므로, 이와 연동하여 측정 및 수집될 수 있다. 또, 코골이, 이갈이 등을 녹음할 수 있도록 코고는 시점, 이가는 시점만을 인식하여 녹음을 동기화시키고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수면습관교정에 대한 진료 근거를 의료진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사람의 감정이나 기분을 어조로 판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심리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도 있고, 인공지능 모니터링 헬스케어 제품 등과 연동되어 수집을 할 수도 있으며, 측정된 모든 데이터는 건강수첩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 조명의 조도를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활동량 체크 등도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면습관을 체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심전도 어드바이스 기능으로 인체 균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정 운동량을 제안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등 상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센서를 탑재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치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피드백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진행한 후,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테스트를 의뢰하고, 테스트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체정보의 지표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7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된 온라인 처방의 수행 여부를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기술은 주로 군사 목적의 디바이스에 접목되어 활용되어 왔으나, 무겁거나 투박한 형태로 착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제한된 기능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시장 형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배터리 및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디바이스의 초소형화, 경량화, 다양한 기능 추가 등으로 인해 휴대가 용이해지고, 2010년대에 들어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더불어 동반제품(Companion)형태로 발전하면서 시장이활성화 되었으며, ICT 기술과의 융합과 사물인터넷 형태로 진화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접목되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적용과 확산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 중 하나는 헬스케어 분야로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피트니스/웰니스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센서를 의류에 부착해 호흡, 체온 등 여러 생체 신호를 얻는 스마트의류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과 헬스케어 기술이 융합된 대표적인 기술 분야이다. 스마트 의류 기술은 단순히 엔터테인먼트 요소와의 결합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서비스 영역을 넘어 진단, 수술 및 치료 부문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생체신호의 측정 기술 및 응용 방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심전도(ECG), 표면근전도(sEMG), 심박변이도(HRV), 체온(Temperature) 등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기반의 전도성 직물전극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웨어러블 기반의 건식 전도성 직물전극을 의류의 형태로 구성하고, 다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무선 전송을 위한 각각의 HW 모듈 및 통합 모니터링 SW를 이용할 수 있다.
<전도성 직물전극>
일반적인 생체신호의 측정 전극으로는 크거나 작은 금속판 형태의 일회성 전극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극 형태는 웨어러블한 특성을 갖기 힘들며, 부착 및 고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감으로 인한 착용감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은 전도성을 갖는 건식 직물 소재를 이용할 수 있고 피부밀착도 및 직물에 고정을 위한 볼륨 직물 그리고 쉴딩을 위한 우레탄 필름을 계층적으로 쌓아 열압착하여 가공(열 압착식 코팅 Layer)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 1 차 열 압착에서는 열압착 소재로 제작된 열접착 필름을 전도성 직물과 볼륨 직물에 삽입하고, 열접착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여 인장에 의한 파단에 강인하도록 설계할 수 있고, 제 2 차 코팅 압착에서는 직물의 선로로 사용되는 부위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 마찰 부분의 볼륨 직물을 코팅 필름으로 대체하고, 센싱단의 직물전극 부분을 제외한 모든 곳에 코팅 압착을 실행하여 외부 마찰 및 피부 마찰에 의한 동잡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반 ECG 측정>
ECG 측정 모듈은 크게 전도성 직물전극이 부착된 의류 상의형태의 센서와 측정 신호의 수집/전송을 위한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의류와 디바이스 간의 결합은 마그네틱 버튼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다. ECG 측정 디바이스의 회로는 직물전극을 통해 ECG 측정부와 의류에 별도로 부착된 온도센서로부터 체온을 수집하는 체온 측정부, 마이크로프로세서, 무선통신(BT), 저전력 배터리 컨트롤, 마그넷 결합단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ECG 측정 디바이스는 의류형태의 직물전극과 마그네틱 결합단자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결합된 이후에는 직물전극으로부터 수집된 생체신호를 통해 ECG 신호를 측정하고, 온도센서를 통해 체온을 수집한다. 수집된 ECG 신호와 체온 데이터는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통신으로 모니터링 SW로 전송된다.
<웨어러블 기반 sEMG 측정>
sEMG 측정 모듈은 크게 전도성 직물전극이 부착된 의류 하의형태의 센서와 측정 신호의 수집/전송을 위한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sEMG의 수집위치는 레퍼런스의 포지셔닝과 직물전극 착용자의 쾌적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고, 이를 적용하여 N 개의 채널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직물전극의 크기와 면적은 면적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sEMG 측정을 위한 직물전극은 Pants 타입으로 설계할 수 있고, 직물전극 최적의 포지셔닝을 고려하여 섬유에 직물전극 패턴을 증착시킴으로써 직물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sEMG 측정 디바이스의 회로는 고임피던스 프리앰프 회로 및 임피던스 가변블럭을 적용한 N 채널용 회로보드로 설계될 수 있고, 다채널 sEMG 측정을 위한 독립적인 필터링 모듈과 무선 전송 모듈, 그리고 저전력 동작을 위한 전원제어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직물전극 기반 Raw Data Bandwidth 및 Sampling Rate 변화에 따른 데이터량 분석을 기반으로, N 개 채널에서 획득된 근전도 신호를 원격지에 무선전송 하기 위한 멀티채널 무선전송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MSP430 시리즈를 사용하여 12Bit ADC를 통해 각 채널당 12Bit의 Raw Data를 생성 후, 블루투스 무선 전송 모듈을 통하여 외부 전송될 수 있다.
<직물전극 기반의 다중 생체신호 모니터링>
ECG 측정 디바이스와 sEMG 측정 디바이스에서 외부 전송된 다중 생체신호들은 PC를 통해 최종 수신되며, 다중 생체신호 모니터링 SW에서 신호의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이 가능하다. 다중 생체신호 통합 모니터링 SW는 ECG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심전도 신호와 체온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ECG 데이터로부터 심박변이도를 검출한다. sEMG 측정 디바이스로부터는 총 N 개 채널의 sEMG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많은 데이터량을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해 더블버퍼링과 M 개 데이터마다 디스플레이 갱신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수집된 생체신호들은 기록을 시작한 시간을 기준으로 csv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심전도(ECG), 표면근전도(sEMG), 심박변이도(HRV), 체온(Temperature) 등 다중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기반의 전도성 직물전극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각각의 생체신호 수집/전송 디바이스를 설계하여 무선으로 원격지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원격지에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이 효과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에서 등록한 검사기구, 검사종류, 검사결과 분석표, 검사결과에 따라 취해야 하는 조치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자체적으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 종류, 방법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각 진단장비별로 해석하는 방법이나 그 수치의 정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떠한 장비로 검사를 했는지, 그 장비에서 테스트된 결과는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각 검사 서버(500)로부터 수집하고, 어떠한 온라인 처방(화장품 제조, 운동처방, 식이조절, 생활습관변화 등)과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해야 하는지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입력해둔다.
그리고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가맹점 등록을 받고, 각 가맹점의 인력, 베드 수 등을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예약 현황을 업데이트받는다. 초기에는 예약 현황을 업데이트받지만, 사업이 진행되면서 예약 플랫폼을 통일하는 경우 본 발명의 예약 플랫폼에서 예약이 진행되기 때문에 각 가맹점으로부터 예약을 받지는 않아도 된다. 다만, 예약을 하지 않고 워크-인(Walk-in)으로 에스테틱 서비스를 받으려는 사람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혼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c) 사용자 단말(100)에서 에스테틱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500)로 검사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검사 서버(500)로부터 수신하면 이에 따른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처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상품을 판매할 때에는 판매링크를, 판매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매하는 판매자의 페이지를 링크로 제공할 수 있다. 또 운동처방이나 밀키트, 식이관리의 경우에는 각 담당직원에게 업무를 배분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운동처방이 내려진 경우 사용자의 집 근처에서 운동을 가르칠 수 있는 강사를 소개해주거나 식이처방이 내려진 경우 밀키트를 판매하는 업체를 연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내 미생물 검사 후, 유익균보다 유해균 비율이 높게 나왔음을 진단받았을 경우, 장내 미생물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온라인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처방 및 프리바이오틱스 위주 식단 관리 정보를 제공 및 물마시기 습관 등을 코칭하고, 에스테틱에서는 오프라인으로 메뉴얼 테크닉으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테라피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장내미생물 검사를 정기적으로 하여 건강 지표를 꾸준히 개선해 나간다. 또한 웰니스 유전체 검사를 톨한 비만, 피부관리, 건강 맞춤 건강 관리도 가능하다. 자율 신경 검사를 통한 스트레스와 부신피로를 줄이는 관리, 소변 유기산 검사와 모발 미네랄 검사를 통한 맞춤 영양제 솔루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기기,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온라인 처방대로 영양제를 먹고 있는지, 운동은 하고 있는지, 식이는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 (b) 주기적인 재검사를 통하여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각 지표를 비교분석하여 개선이 되지 않는 경우 처방에 문제가 있는지 또는 생활습관이 고쳐지지 않은 것인지 등을 파악한 후 재처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테스트와 매핑하여 저장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서 테스트를 신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로 연계하여 테스트를 의뢰한다(S5200).
그리고,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에서 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고(S5300), 테스트 결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를 추출한다(S5400).
또,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사용자 단말로 안내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신청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에스테틱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테스트 신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테스트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테스트를 신청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로 연계하여 테스트를 의뢰하는 의뢰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에서 테스트 결과가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상기 테스트 결과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추출부에서 추출된 에스테틱 서비스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오프라인에서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제공하도록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틱 서비스에 포함된 온라인 처방 및 오프라인 에스테틱을 진행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사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테스트를 의뢰하고, 테스트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생체정보의 지표의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피드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테스트는,
    생체나이 검사, 유전자 검사, DTC(Direct To Consumer) 검사, 장내 미생물 검사, 소변 유기산 검사, 스트레스 검사, 자율 신경계 검사, 타액검사 및 모발검사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처방은, 영양제 처방, 식단관리, 화장품 처방 및 운동처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감지 및 모니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온라인 처방의 수행 여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하여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91932A 2021-07-14 2021-07-14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1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32A KR20230011566A (ko) 2021-07-14 2021-07-14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932A KR20230011566A (ko) 2021-07-14 2021-07-14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66A true KR20230011566A (ko) 2023-01-25

Family

ID=8510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932A KR20230011566A (ko) 2021-07-14 2021-07-14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5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nal et al. The Dreem Headband compared to polysomnography for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 acquisition and sleep staging
US116538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autonomic function for the diagnosis and validation of patient treatments and outcomes
Yu et al. Biofeedback for everyday stress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Kuiken et al. The effect of subcutaneous fat on myoelectric signal amplitude and cross-talk
US20200077942A1 (en) Stress reduction and sleep promotion system
Paradiso et al. PSYCHE: Personalised monitoring systems for care in mental health
TW202227006A (zh) 對稱溫差個性化健康管理體系-人體對稱溫差cwpas健康管理體系與使用方法
Nogueira et al. A review of commercial and medical-grade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for biofeedback-assisted quality of life improvement studies
Kasos et al. Bilateral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alternate electrodermal measurement sites
Stangl et al.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with wearable devices: A systematic review
Fernandez et al. Impact of hypnosis on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Assabumrungrat et al. Ubiquitous affective computing: A review
Khurana et al. Perceived exertion is lower when using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neuroprosthesis compared with an ankle-foot orthosis in persons with multiple sclerosis: a preliminary study
Dorosh et al. Measurement modules of digital biometrie medical systems based on sensory electronics and mobile-health applications
Azman et al. Insomnia analysi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ing electrocardiography and electromyography
Stanton et al. Vagal activity during physiological sexual arousal in women with and without sexual dysfunction
KR20230011566A (ko) 생체정보 기반 사용자 맞춤 에스테틱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drade et al. Is autonomic dysreflexia a cause of respiratory dysfunc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Özsimsek et al.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of Turkish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US20180113991A1 (en) Interactive Apparatus and Devices for Personal Symptom Management and Therapeutic Treatment Systems
Ricci et al. Responses of different functional tests in candidates for bariatric surgery and the association with body composition, metabolic and lipid profile
Saraiva et al. ScientISST MOVE: Annotated Wearable Multimodal Biosignals recorded during Everyday Life Activities in Naturalistic Environments
Subbiah et al. Brain Computer Interface for Stroke Psychotherapy: Intonation of Cortical High-Strung
Alhejaili Wearable Technology for Mental Wellness Monitoring and Feedback
Nas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Physiological Stress, Iliopsoas Tightness and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in an Adult Po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