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541A -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541A
KR20230011541A KR1020210091718A KR20210091718A KR20230011541A KR 20230011541 A KR20230011541 A KR 20230011541A KR 1020210091718 A KR1020210091718 A KR 1020210091718A KR 20210091718 A KR20210091718 A KR 20210091718A KR 20230011541 A KR20230011541 A KR 2023001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oner
state information
abnormality
accommodation facility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에이디알랩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알랩스 (주) filed Critical 에이디알랩스 (주)
Priority to KR102021009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541A/ko
Publication of KR2023001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209Systems with very large relative bandwidth, i.e. larger than 10 %, e.g. baseband, pulse, carrier-free, ultrawideb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2Healthy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bjects of a marketing surve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ur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에서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은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수용자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인터컴 단말기, 상기 인터컴 단말기에서 경보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관제실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감시 시간대, 상기 수용자의 등급, 상기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상기 이상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isoners in accommodation facilities using intercom terminals}
본 발명은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에서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시설에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시하고, 감시결과 이상징후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용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수용자를 촬영하도록 동작하는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케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CCTV 영상감시시스템에서는 모션세서, 적외선센서, 압력센서 음압센서 등 각종 검출센서의 검출사항에 의해 카메라이 영상촬영을 개시하면서 영상감시 모니터에 영상을 출력하고, 동시에 경보수단이 청각적/시각적 경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여러 관제구역에 설치된 각 검출센서 검출성능이나 검출방식에 따라 불필요한 경보가 빈번히 발생 하거나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므로 이를 관제하는 근무자의 입장에서는 경보를 무시하게 되는 경우도 많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서 관제 부실에 의한 불측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중인 구역 중 출입제한 구역이 있을 때, 해당 구역을 통과한 출입자가 용무를 마치고 그 구역을 다시 통과하는 것을 관제해야 하는 경우에, 관제실 담당자는 경보가 발생한 구역의 영상만을 계속 주시하기 곤란하므로 출입자가 일정시간 내에 그 구역을 벗어났는지를 적절한 시점에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불측의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종래의 CCTV 영상감시시스템에서 여러 출입제한 구역을 관제해야 하는 경우는, 경보가 발생한 장소 자체도 불분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구역에서도 경보가 발생할 수 있고, 경보가 오작동인 경우도 많고, 장시간 관제를 함에 따라 관리자가 집중력이 떨어지게 되어 출입자가 다시 복귀를 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하거나 근무태만으로 확인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교도소 독방에 홀로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가 화장실에 가는 것은 음직임 감지 및 경보로 관제실 관리자가 알고 있었으나, 여러 재소자를 관제해야 하는 관제실 관리자는 해당 재소자만을 계속 살펴보기 어렵기 때문에 일상적인 행위로 보고 화장실에서 나왔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제하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화장실 내에서 인명사고로 이어지고 장시간이 지난 후에야 발견되는 사례도 발생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643253호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637653호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본 발명은 수용시설에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시하고, 감시결과 이상징후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용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수용자를 촬영하는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케 하는 특수 감시구역 관제를 위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더(토플러) 센서를 이용해서 위치 인원 움직임 호흡 심박 까지 감지하여, 자살을 미리 방지하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은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수용자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인터컴 단말기, 상기 인터컴 단말기에서 경보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관제실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감시 시간대, 상기 수용자의 등급, 상기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상기 이상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의 위치, 인원,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더와 연동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변화율, 상기 수용자가 일어선 상태, 앉은 상태, 누운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지정된 시간대를 고려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용자에 대한 등급과, 머신러닝을 통해 사전 학습 후 분류된 성향을 고려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상기 센싱된 심박에 심박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상기 근접센서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그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경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상기 감시구역으로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와, 감시 시간대, 상기 수용자의 등급, 상기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심박에 심박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근접센서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시설에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시하고, 감시결과 이상징후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용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수용자를 촬영하는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케 하는 특수 감시구역 관제를 위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토플러) 센서를 이용해서 위치 인원 움직임 호흡 심박 까지 감지하여, 자살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수용시설 내에서 인터컴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용자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인터컴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용시설 내에서 움직이는 여러 수용자들을 감시하는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독방에 수용된 수용자를 감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100)은 인터컴 단말기(110)와 인터컴 서버(120)를 이용하여 수용자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터컴 단말기(110)는 수용자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도중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면, 인터컴 서버(120)를 통해 근무자의 단말기 또는 외부의 서버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컴 서버(120)는 근무자의 단말기나 외부의 서버로 경보의 발생과 관련된 알림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알림정보는, 수용시설정보, 수용자정보, 이상징후의 종류정보, 시간대정보 등을 포함하여, 수용자에게 발생한 현재의 경보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컴 단말기(110)는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컴 단말기(110)는 카메라, 센서, 적외선 송수신기, UWB(Ultra WideBand) 송수신기, 도플러 레이다를 활용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UWB(Ultra WideBand)는 초광대역 무선기술로서, 협대역 시스템 및 3G 셀룰러 기술로 설명되는 광대역 시스템과 구분하기 위해 중심 주파수의 20%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시스템이나 500MHz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무선 전송기술을 의미한다.
인터컴 단말기(110)는 수용시설 내에서 감시구역을 향하도록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인터컴 단말기(110)는 감시가 가능한 커버리지 내에서 수용자의 심박을 체크하면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이상징후를 감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터컴 단말기에서 경보가 발생됨에 따라, 관제실(140)에서는 관제실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의 수용시설에서는, 인권보호 차원에서 수용자가 실제 머물고 있는 수용시설의 내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없다.
다만, 수용자가 이상 징후로 판단되는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예를 들어, 수용자가 자살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비상 또는 응급상황으로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를 통해 수용시설 내부를 감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컴 단말기(110)는 수용시설 내 전자 잠금장치(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컴 단말기(110)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근접센서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인터컴 단말기(110)는 근접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시설 내부의 수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 인터컴 단말기(110)는 잠금장치(13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외부에 내부로 인력의 유입이 자유롭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터컴 단말기(110)는 수용시설 내부의 수용자가 근접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대해서 수용자가 출입문의 근처로 접근 하였음을 판단하여, 잠금장치(130)를 닫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수용시설(200) 내에서 인터컴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수용자(220)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에, 벽에 고정되어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210)는 레이더(도플러) 센서 등을 이용하여 수용자(2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컴 단말기(210)는 화장실에 간 시각부터 다시 화장실에 나오는 시간을 카운팅하고, 화장실에 간 시간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이러한 사실을 근무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컴 단말기(210)는 수용자(220)의 등급에 따라, 시간의 카운팅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면부호 230은 벽에 고정되어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210)의 커버리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플러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레이더의 경우, 커버리지가 넓고 센싱 결과가 매우 정확한 특징이 있다.
도 3은 인터컴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용시설 내에서 움직이는 여러 수용자들을 감시하는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인터컴 단말기는 수용시설 내 수용자들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330)으로부터, 움직임 신호만을 추출한 움직임 정보(310)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호흡, 심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호흡과 심박은 도면부호 3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인터컴 단말기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의 패턴을 감지하여, 이상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일정 시간동안 감지되는 수용자 상태정보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이상징후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수용자가 취침하면서 몸의 움직임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인터컴 단말기(310)는 수용자들의 수면 패턴을 사전에 기록 및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용자 상태정보가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독방(400)에 수용된 수용자를 감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수용시설들 중에서, 독방(400)의 경우 인터컴 단말기(410)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독방(400) 내부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있다.
이에 수용자(420)는 독방(400) 내에서의 움직임에 대해 인터컴 단말기(410)로부터 감시될 수 있다.
독방(400) 내에서 수용자(420)에 대한 취침시간, 기상시간, 일어나 있는 시간, 앉아있는 시간, 누워있는 시간 등을 감지하여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소자의 등급, 성향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합적으로 결합해서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움직임에 대한 이상징후가 확인되는 경우, 담당자는 관제실의 단말기를 제어하여 해당 수용시설 내부로 카메라가 향하도록 카메라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수용시설의 내부는 레이더로 감시하다, 수용시설 내부에서 확인이 필요한 이상징후가 발생하는 경우에 비로소 카메라를 수용시설 내부로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500)는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수용자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500)는 움직임 감지부(510), 이상여부 판단부(520), 경보처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510)는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의 위치, 인원,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움직임 감지부(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동하여, 수용자가 일어선 상태, 앉은 상태, 누운 상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태를 고려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상여부 판단부(520)는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이상여부 판단부(520)는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결과,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상여부 판단부(520)는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용자에 대한 등급과, 머신러닝을 통해 사전 학습 후 분류된 성향을 고려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용자가 모범수인 경우와 갓 수감된 수용자인 경우를 구분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수용자의 취침 패턴, 쉬는 시간에서의 성향(앉아 있는지 또는 누워있는지, 평균 화장실 이용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이상여부 판단부(520)는 지정된 시간대를 고려하여,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움직임 감지부(510)는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할 수 있다. 이에, 이상여부 판단부(520)는 센싱된 심박에 기초하여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경보처리부(530)는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그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부(510)는 다양한 센서 출력들을 조합하여 수용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 감지부(510)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거나, 다양한 센서들과 연동하여 수용자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500)는 근접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컴 단말기(500)는 근접센서 및 열감지센서(540)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컴 단말기(500)는 근접센서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컴 단말기(500)는 각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단계 601).
예를 들어,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 인터컴 단말기는 수용자로부터 측정되는 움직임, 온도, 소리, 기압, 방사능, 명암, 압력, 습도 등 모든 종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602).
예를 들어,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와, 감시 시간대, 수용자의 등급,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결과,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602의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그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단계 603).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 할 수 있다(단계 604).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감시구역으로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605).
일례로,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고,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센싱된 심박에 기초하여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근접센서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개폐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수용시설에 설치된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각 구역별로 각 검출센서의 검출사항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정해진 조건에 따라 경보 및 재경보를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관제구역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케 하는 특수 감시구역 관제를 위한 지능형 경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수용시설 내에 감시구역별로 각 검출센서의 검출사항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정해진 조건에 따라 경보 및 재경보를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관제구역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고, 인터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수용자에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인터컴 단말기;
    상기 인터컴 단말기에서 경보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관제실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감시 시간대, 상기 수용자의 등급, 상기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상기 이상징후를 발견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수용자의 위치, 인원, 움직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상기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더와 연동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변화율, 상기 수용자가 일어선 상태, 앉은 상태, 누운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지정된 시간대를 고려하여,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용자에 대한 등급과, 머신러닝을 통해 사전 학습 후 분류된 성향을 고려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는,
    상기 센싱된 심박에 심박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컴 단말기는,
    상기 근접센서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
  10. 수용시설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레이더를 이용하여,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수용자에 대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경우 관제실로 그 이상여부에 대한 판단조건에 대응하는 종류의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경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에 대한 움직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감시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를 상기 감시구역으로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와, 감시 시간대, 상기 수용자의 등급, 상기 수용자에 대해 분석된 성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 분석을 통해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되어 기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자 상태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도플러 레이다, 적외선, UWB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자에 대한 심박을 센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심박에 심박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시설 내 감시구역에서 상기 감지된 수용자 상태정보에 대한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의 출력값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수용자가 출입문에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10091718A 2021-07-13 2021-07-13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1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18A KR20230011541A (ko) 2021-07-13 2021-07-13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18A KR20230011541A (ko) 2021-07-13 2021-07-13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41A true KR20230011541A (ko) 2023-01-25

Family

ID=8510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18A KR20230011541A (ko) 2021-07-13 2021-07-13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5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53B1 (ko) 2014-06-09 2016-07-07 박상래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643253B1 (ko) 2014-06-30 2016-07-28 김종욱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53B1 (ko) 2014-06-09 2016-07-07 박상래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643253B1 (ko) 2014-06-30 2016-07-28 김종욱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008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early prediction and forecasting of false alarms by applying statistical inference models
US1184261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mart intrusion detection using wireless signa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7952474B2 (en) Nuisance alarm filter
US20070268145A1 (en) Automated tailgating detection via fusion of video and access control
US20210157311A1 (en) Maintenance plan forecast using automation control devices' usage pattern through big data analytics
US8941484B2 (en) System and method of anomaly detection
US10311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intrusion control using wearable BLE devices
KR20090034058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048594B1 (en) Anonymous disarm detection with built-in camera
Gavaskar et al. A nove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based real-time ATM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KR20230011541A (ko)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9236440A1 (en) Tracking individual user health using intrusion detection sensors
KR20230011102A (ko) 인터컴 단말기를 활용하여 수용시설 내의 수용자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808504A (zh) 报警方法和报警系统
CN111339879B (zh) 一种兵器室单人入室监测方法及装置
CN105049782B (zh) 保全监视系统
Planinc et al. Emergency system for elderly–a computer vision based approach
JP5611729B2 (ja) 監視装置
TW201447825A (zh) 保全影像辨識系統
US2024007888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mart intrusion detection using wireless signal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075111A (ko) 활동 센서와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댁내 경보 상황을 지능형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KR101921911B1 (ko) 물리보안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areem Interior Visual Intruders Detection Module Based on Multi-Connect Architecture MCA Associative Memory
IT202100009362A1 (it) Dispositivo rilevatore di effrazione
Rose-Pehrsson et al. Multisensor system for fire detec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