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099A -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 Google Patents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099A
KR20230011099A KR1020210091708A KR20210091708A KR20230011099A KR 20230011099 A KR20230011099 A KR 20230011099A KR 1020210091708 A KR1020210091708 A KR 1020210091708A KR 20210091708 A KR20210091708 A KR 20210091708A KR 20230011099 A KR20230011099 A KR 2023001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ultrasonic
unit
vibration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155B1 (ko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1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ultrasound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로, 상반신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의 내측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부, 상기 조끼의 측면에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반신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조끼의 전면을 감싸 사이즈를 조절하는 벨크로부 및 상기 벨크로부와 결합되되, 상기 조끼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흉벽에 초음파진동을 가하여 객담을 배출한다.

Description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ULTRASONIC VEST FOR PEOPLE WITH RESPIRATORY DISEASES}
본 발명은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로, 상반신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의 내측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부, 상기 조끼의 측면에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반신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조끼의 전면을 감싸 사이즈를 조절하는 벨크로부 및 상기 벨크로부와 결합되되, 상기 조끼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흉벽에 초음파진동을 가하여 객담을 배출한다.
일반적으로, 흉벽 진동 장치는 진동 펄스 생성기에서 생성된 공기 진동 펄스를 환자의 흉벽에 적용함으로써 체내와 체외의 공기 압력 차이를 만들어 내고, 진동 펄스를 폐 주위에 전달하여 폐포 및 기도 내에 있는 점액 분비물을 분리, 배출하는 의료기기의 일종이다.
상기와 같은 흉벽 진동 장치를 사용하는 대상 질환은 근육병을 포함한 척수 손상, 다발성 경화증, 운동 신경원성 질환 등 제한성 폐질환과 COPD 환자, 그리고 수술 이후나 중환자실의 환자 등 호흡 관리가 필요한 모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흉벽 진동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893호를 살펴보면 환자의 흉부에 착용하는 흉벽 진동 조끼와, 공기 진동 펄스를 생성하는 진동 펄스 생성기와, 그리고 진동 펄스 생성기에서 생성된 공기 진동 펄스를 흉벽 진동 조끼로 안내하는 호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흉벽 진동 장치는 진동 펄스 생성기로부터 1초에 수십회 공기 진동 펄스를 흉벽 진동 조끼에 공급하여 환자의 흉벽에 진동을 일으키고, 이러한 작용이 기관지 벽에 붙어 있는 객담을 떨어뜨려 분비물 제거를 도와준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 발생조끼는 공기 주머니가 팽창 및 수축하면서 환자에게 압박감을 느끼게 하고, 일부 환자들에게 폐쇄감을 유발하는 불편함이 야기된다.
이에, 조끼를 착용하더라도 압박감을 최소화하여 초음파 진동으로 객담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조끼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893호
본 발명은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조끼로, 흉벽에 고빈도 초음파진동을 통해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는, 상반신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의 내측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부; 상기 조끼의 측면에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반신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조끼의 전면을 감싸 사이즈를 조절하는 벨크로부; 및 상기 벨크로부와 결합되되, 상기 조끼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흉벽에 초음파진동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음파부는 상반신에 부착되고, 패치 형태이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의 일면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위치한 상기 패치부의 일면을 덮는 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원형의 압전세라믹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초음파발생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교차되며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교차되며 배치되어 초음파진동이 중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초음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는 초음파의 고빈도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호흡질환자의 객담(가래)를 배출하여 제거하고, 흉벽근육 강화를 통해 호흡근육을 강화시켜 객담배출 및 호흡근육이 약화된 호흡질환자에게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환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흉부조끼부의 내측을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흉부조끼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초음파부의 초음파진동이 발생되는 본 발명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흉벽의 객담이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초음파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초음파발생부이 방사배열 구조와 초음파 중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길이방향이란 도 8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방향이란 Y축 방향이며 수직방향이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조끼는 초음파의 고빈도 진동 효과를 이용하여 호흡질환자의 객담(가래)를 배출하여 제거하고, 흉벽근육 강화를 통해 호흡근육을 강화시켜 객담배출 및 호흡근육이 약화된 호흡질환자에게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조끼는 조끼(100), 벨크로부(110), 결합부(111), 초음파부(120) 및 구동부(컴퓨터, 미도시)를 포함한다.
조끼(100)는 환자의 상반신(흉부)에 착용되는 소매가 없는 종래의 옷을 포함한다.
조끼(100)는 환자의 상반신의 사이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측면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띠 형태의 벨크로부(110)가 형성된다.
벨크로부(110)는 조끼(100)의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조끼(10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크로부(110)는 조끼(100)와 벨크로부(11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111)는 조끼(100)의 전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벨크로부(110)와 맞닿아 일명 찍찍이 형태로 착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합부(111)는 전술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버클, 지퍼, 연결고리와 같은 종래의 결합부(111)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부(120)는 조끼(100)의 내측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며, 착탈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이유는 어느 하나의 초음파부(120)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초음파부(120)를 교체하는 것이 아닌 고장난 초음파부(12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초음파부(120)는 피부에 피부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을 참고하면, 초음파부(1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넓은 범위에 초음파진동을 가할 수 있으며, 조끼(100)의 내부에서 환자의 상반신에 초음파진동을 발산시켜 흉벽 근육의 떨림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통해, 흉벽에 달라붙은 객담을 떨어뜨려 배출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초음파부(120)는 패치부(121), 초음파발생부(122) 및 겔부(123)를 포함한다.
패치부(121)는 가요성(flexible)을 지닌 패치 형태로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체에 알러지, 자극이 없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치부(121)의 일면(상반신에 부착되는 면)에는 초음파발생부(122)가 복수 개로 형성된다.
초음파발생부(122)는 압전세라믹과 같은 압전반도체(전기신호를 초음파로 변환하는 소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초음파발생부(122)는 구동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초음파진동을 발생하는 장치로, 원판형태로 사용된다.
초음파발생부(122)는 일면에 접착제, 테이프,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패치부(12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122)는 초음파(가청범위를 넘는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며 이를 생체 조직에 치료 보조 방법으로 사용한다.
상세히, 초음파는 고주파 진동에 의한 침투성으로 생체 조직에 마이크로 마사지(micro-massage)를 통해 흉벽에 직접 진동 및 발열시킬 수 있어 조직의 신진대사를 가속화하며 혈액의 순환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흉벽을 진동을 통해 흉벽에 달라붙어 있는 객담(가래)를 탈락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튜브를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흉벽을 진동시키는 것이 아닌 초음파진동을 흉벽에 침투시켜 진동을 통해 객담을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흉벽을 진동시킴과 동시에 발열(온열)을 통해 객담과 흉벽의 점도를 낮춰 객담이 흉벽에서 쉽게 탈락할 수 있어 객담 배출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발생부(122)를 복수 개로 구성하여 고출력의 초음파진동이 흉벽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초음파발생부(122)는 방사형태로 초음파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방사형태의 초음파진동은 초음파발생부(12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로 퍼지는 형태로 초음파가 전달된다.
초음파발생부(122)와 비교적 가까운 인체 부위에는 고출력의 초음파가 가해질 수 있으나 초음파발생부(122)와 멀어질수록 세기가 약해진다.
고출력의 초음파를 패치부(121)와 인체가 맞닿는 전범위에 가할 수 있도록 초음파발생부(122)는 방사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6을 참고하면 복수 개로 배치된 초음파발생부(122) 중 어느 하나의 초음파발생부(122)를 기준으로 초음파발생부(122)는 방사형태로 배치된다.
상세히, 인접한 초음파발생부(122)는 상호 대각방향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하나의 초음파발생부(122)를 기준으로 보면 방사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사형태로 배치된 초음파발생부(122)는 초음파를 발생시, T와 같은 초음파가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된다.
중첩되는 초음파 영역은 상대적으로 초음파발생부(122)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초음파를 중첩시켜 고출력의 초음파를 전범위에 걸쳐 가할 수 있다.
전술한 특징을 바탕으로 초음파발생부(122)는 강한 초음파 에너지를 바탕으로 진동에너지를 발생하고, 이는 초음파 공동현상(cavitation)인 초음파 공동화를 흉벽에 발생시켜 온열감과 빠른 진동을 통해 흉벽과 객담의 결합을 느슨하게 만들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122)는 전기적인 신호를 바탕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열이 축적되어 과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발생부(122)를 덮는 겔부(123)가 부착된다.
겔부(123)는 통상의 고형화된 패드형태의 소재 또는 겔/젤 형태로 형성되며, 흉벽진동을 위해 장시간 고출력의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발생부(12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겔부(123)는 점성이 있어 환자의 상반신에 밀착할 수 있어 조사되는 초음파에너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세히, 겔부(123)는 초음파발생부(122)를 덮는 형태로 피부와 밀착하게 되며 초음파발생부(122)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부(12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및 과전류가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막 기능을 통해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발생 조끼는 유아 및 흉부 수술환자와 같은 환자에게 흉벽에 강한 초음파를 가하는 경우 호흡과 맥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의 후술할 진동발생부(220)를 통해 손타진법(손으로 오목한 형태를 취한 상태에서 흉부를 타격하는 객담배출 방법 흔히 '토닥'한다는 표현으로도 사용됨)과 동일한 진동타격 방식을 통해 유아의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진동 방식을 사용하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초음파진동발생을 off 한 상태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만을 적용할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는 조끼(210), 진동발생부(220) 및 호스(230)(2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끼(210)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끼(100)와 동일하며 설명을 위해 같은 명칭 다른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진동발생부(220)는 조끼의 후면 및 전면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진동발생부(220)는 조끼의 후면 및 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형태이며 진동발생부(220)의 하단에는 호스(230)가 연결되어 공기흡입을 통해 압력차를 형성하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진동발생부(220)를 설명한다. 진동발생부(220)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발생부(220)를 설명하더라도 전체 진동발생부(220)에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생부(220)는 진동본체부(221), 가압부(222), 제1 흡기홀(223), 제2 흡기홀(224) 및 진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230)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컴프레셔와 같은 공압기계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본체부(221)는 진동발생부(220)의 프레임 역할을 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22)는 진동발생부(220)의 전면 즉, 조끼와 결합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22)는 후술할 진동부(300)의 특징으로 인해 환자의 상반신을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본체부(221)의 하단에는 호스(230)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1 흡기홀(2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흡기홀(223)은 타공된 형태로 형성되며 호스(230)와 연통되어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본체부(221)의 상단에는 제2 흡기홀(224)이 타공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흡기홀(223)과 연결된 호스(230)가 공기를 흡입 시, 연통되어 제2 흡기홀(224)로 공기가 지나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고하며 진동발생부(220)의 내부를 살펴보면 중공부가 형성된 진동발생부(2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진동부(300)가 형성된다. 진동부(300)는 설명을 위해 제1 진동부(310), 제2 진동부(320) 및 제3 진동부(330)로 나누어 설명하며 어느 하나의 진동부(300)를 설명하더라도 전체 진동부(300)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진동부(3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진동부(310)는 제1-1 스토퍼(311), 제1-2 스토퍼(312) 및 제1 볼부(313)를 포함한다.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는 일단이 진동본체부(221)의 내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의 타단은 상호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세히 설명하면 제1-1 스토퍼(311)는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제1-2 스토퍼(312)는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1-1 스토퍼(311)와 상호 가까워지도록 마주보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 사이에는 제1 볼부(313)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볼부(313)는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 사이에 고정된 것이 아닌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의 타단은 제1 볼부(313)의 지름보다 작아 제1 볼부(313)가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를 이탈할 수 없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0의 (a)를 참고하면, 호스(230)가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제2 흡기홀(224)에서 외부의 공기가 진동본체부(221)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고 유동된 공기는 제1 흡기홀(223)을 통해 호스(230)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압이 발생하게되며 공기는 압력차가 생기면서 높은 고기압에서 낮은 저기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런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제1 볼부(313)는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의 타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볼부(313)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운동에너지를 가지게 되며 제1-1 스토퍼(311) 및 제1-2 스토퍼(312)의 타단을 가압하게 되어 진동발생부(220) 전체에 길이방향으로 전진 진행하는 운동에너지를 가하게 되고 이에, 가압부(222)는 길이방향으로 운동하여 상반신을 가압하여 두들기게 된다.
이때, 가압부(222)는 돌출되어 상반신을 가압시 운동에너지가 집중되어 응집력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두들김을 통해 손타진법과 동일한 효과를 실시할 수 있다.
호스(230)를 통한 흡입을 중지하면, 제1-2 스토퍼(312)의 경사진 특징으로 인해 제1 볼부(313)는 길이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 압력을 형성하는 흡입과정을 반복하면서 지속적으로 상반신을 두들겨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부(220)는 전술한 특징으로 인해 유아의 등을 손을 통해 토닥일 필요 없이 지속적인 두들김을 실시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별한 기술이나 호흡방법을 터득하지 않더라도 호흡이 불편한 유아에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유아의 등이나 가슴을 토닥이기 위해 유아의 자세 변경을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진동부(320) 및 제3 진동부(330)는 제1 진동부(3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제2-1 스토퍼(321), 제2-2 스토퍼(322) 및 제2 볼부(323)와 제3-1 스토퍼(331), 제3-2 스토퍼(332) 및 제3 볼부(333)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동부의 설치되는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고 장치의 기 설정된 명령어를 토대로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 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ROP, RAM, 플레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인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조끼,
110 : 벨크로부,
111 : 결합부,
120 : 초음파부,
121 : 패치부,
210 : 조끼
220 : 진동발생부,
221 : 진동본체부,
222 : 가압부,
223 : 제1 흡기홀,
300 : 진동부,
310 : 제1 진동부,
320 : 제2 진동부,
330 : 제3 진동부.

Claims (6)

  1. 상반신에 착용되는 조끼;
    상기 조끼의 내측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부;
    상기 조끼의 측면에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반신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조끼의 전면을 감싸 사이즈를 조절하는 벨크로부; 및
    상기 벨크로부와 결합되되, 상기 조끼의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흉벽에 초음파진동을 가하는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는 상반신에 부착되고,
    패치 형태이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의 일면에 착탈되는 복수 개의 초음파발생부;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가 위치한 상기 패치부의 일면을 덮는 겔부;를 포함하는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원형의 압전세라믹 모듈인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초음파발생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교차되며 배치되는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는 교차되며 배치되어 초음파진동이 중첩되는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KR1020210091708A 2021-07-13 2021-07-13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KR10256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08A KR102567155B1 (ko) 2021-07-13 2021-07-13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08A KR102567155B1 (ko) 2021-07-13 2021-07-13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099A true KR20230011099A (ko) 2023-01-20
KR102567155B1 KR102567155B1 (ko) 2023-08-14

Family

ID=8510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08A KR102567155B1 (ko) 2021-07-13 2021-07-13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1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2188B2 (ja) * 2002-08-28 2006-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治療装置
US20080108914A1 (en) * 2006-11-03 2008-05-08 Laurent Brouqueyre Low Frequency Lung Vibration and Sputum Removal Apparatus
JP2011062373A (ja) * 2009-09-17 2011-03-31 Tohoku Univ 超音波発振ユニット及び超音波発振システム
KR20110138893A (ko) 2010-06-22 2011-12-28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흉벽 진동기
KR102085220B1 (ko) * 2018-10-18 2020-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매개체를 이용한 비침습적 치료시스템
CN111096893A (zh) * 2019-12-30 2020-05-05 浙江省肿瘤医院 一种自动扣背排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2188B2 (ja) * 2002-08-28 2006-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治療装置
US20080108914A1 (en) * 2006-11-03 2008-05-08 Laurent Brouqueyre Low Frequency Lung Vibration and Sputum Removal Apparatus
JP2011062373A (ja) * 2009-09-17 2011-03-31 Tohoku Univ 超音波発振ユニット及び超音波発振システム
KR20110138893A (ko) 2010-06-22 2011-12-28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흉벽 진동기
KR102085220B1 (ko) * 2018-10-18 2020-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매개체를 이용한 비침습적 치료시스템
CN111096893A (zh) * 2019-12-30 2020-05-05 浙江省肿瘤医院 一种自动扣背排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155B1 (ko) 202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4070A1 (en) External ultrasonic therapy
US6193677B1 (en) Sonic percussor device
CN110381900A (zh) 用于眼部病症的治疗性超声
WO2008064536A1 (fr) Dispositif thérapeutique ultrasonore permettant un transmission multipoint
JP2008296008A (ja) 脳神経系疾患予防装置
JP2009536533A (ja) 超音波で鳥インフルエンザを治療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150025425A1 (en) Medical Vest for High Frequency Chest Wall Oscillation (HFCWO) System
US8734368B2 (en) Percussion assisted angiogenesis
KR102567155B1 (ko) 호흡질환자용 초음파 발생 진동 조끼
KR20100126425A (ko) 뇌척수액의 국소 정체를 예방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139972A1 (en) Ultrasonic medical device
KR101530165B1 (ko) 안면 마사지 장치
JP2005118527A (ja) 美顔マスク、美容器具
CN112469380B (zh) 用于治疗限制性肺疾病和改善肺部引流功能的振动声学装置和方法
CN111921082A (zh) 一种具有微针结构的美容面罩
KR101730374B1 (ko) 초음파 진동 점착 패드
KR200415975Y1 (ko) 박수 장갑
KR20170104176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생성 방법 및 장치
US6053879A (en) Pulmonary therapy device and method
KR20090084522A (ko) 세라믹스를 이용한 초음파 및 레이저 치료기의 헤드장치
KR101828263B1 (ko) 피부 약물 투입을 위한 초음파 장치
TW201420213A (zh) 震波產生裝置
CN206730278U (zh) 一种疼痛诊疗装置
KR20060120726A (ko) 탈착식 초음파 자극기
CN209033098U (zh) 空气波压力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