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99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995A
KR20230010995A KR1020210091477A KR20210091477A KR20230010995A KR 20230010995 A KR20230010995 A KR 20230010995A KR 1020210091477 A KR1020210091477 A KR 1020210091477A KR 20210091477 A KR20210091477 A KR 20210091477A KR 20230010995 A KR20230010995 A KR 20230010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
frame
modules
display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김영국
서정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995A/ko
Publication of KR2023001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 소스;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용 컴퓨터 등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나, 휴대용 컴퓨터 장치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나, 일반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나, 산업 현장에서 광고나 영화 같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이든 또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이든)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독립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점 광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점 광원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면 광원과 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스크린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일체로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이종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종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 소스;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전력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전력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종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이종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발광 방식이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피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아니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각선 길이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바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들 각각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복수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그 타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모니터(Monitor),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장치 등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가정에서 개인적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장 등에서 상업적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상업 광고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2)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컨텐츠 소스(2)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내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소스(2)는 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장치(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 방송 수신 장치(예를 들어, 셋톱 박스 등), 미디어 스트리밍 장치(예를 들어, 스트리밍 서버 등), 휴대용 저장 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 범용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I)을 표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및/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일체로 하나의 영상(I)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2차원 평면 영상 또는 사용자의 양안의 시차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서로 다른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고정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기계적인 고정 부재 또는 영구 자석을 이용한 자력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열(column)과 행(row)을 맞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2행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개수 및 배치는 도 1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예를 들어 직접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자발광 패널(예를 들어, 무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예를 들어, 광원 유닛(예를 들어, 백라이트 유닛)와 광원 유닛에 의하여 방출된 광을 통과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비자발광 패널(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자광발 패널을 포함하거나 또는 백라이트 유닛과 비자광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나이가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자광발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비자광발광 패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는 복수의 픽셀(P)이 형성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표시되는 영상(I)은 복수의 픽셀(P) 각각이 방출하는 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복수의 픽셀(P) 각각이 방출하는 광이 마치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상에 영상(I)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각은 서브 픽셀들(PR, PG, P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Pr, Pg, Pb)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Pr)과,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Pg)과,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P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광은 파장이 대략 620nm (nanometer, 10억분의 1미터)에서 750nm까지의 광을 나타낼 수 있다. 녹색 광은 파장이 대략 495nm에서 570nm까지의 광을 나타낼 수 있다. 청색 광은 파장이 대략 450nm에서 495nm까지의 광을 나타낼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Pr)의 적색 광, 녹색 서브 픽셀(Pg)의 녹색 광 및 청색 서브 픽셀(Pb)의 청색 광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가에서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의 광이 출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이미지(I)을 표시하거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01), 베이스 프레임(101)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102),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 및/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1)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01)에는, 스크류(screw), 스냅-핏(snap-fit), 스냅-패스너(snap-fastener) 등의 기계적인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1)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고정할 수 있는 영구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설치된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는 스크류, 스냅-핏, 스냅-패스너 등의 기계적인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는 영구 자석에 대응하는 자성체 또는 영구 자석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1)은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 및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를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외부 컨텐츠 소스(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는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의 비디오 압축 표준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압축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이미지 프레임 각각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복원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무선으로 또는 유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하고, 교류 전력을 정류할 수 있다.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는 정류된 직류 전력을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1)의 후방에는 리어 커버(102)가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커버(1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커버(1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 및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 등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사용자의 선태에 따라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발광 방식이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피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아니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각선 길이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는 동일한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이한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panel)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panel)은 무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이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panel)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Panel)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LED panel)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Panel)만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와 관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하거나 또한 스피커를 포함하지 아니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스피커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Panel Only)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Panel with speaker)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스피커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모듈들(200)과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별도의 장치로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들 다시 말해 대각선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대각선의 길이가 제1 길이(L1)인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대각선의 길이가 제2 길이(L2)인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대각선 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서로 상이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FHD (Full HD) (1,920*1,08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또는 QHD (Quad HD) (2,560*1,44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또는 UHD (Ultra HD) (3,840*2,16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2K (2,048*1,08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또는 4K (4,096*2,16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또는 8K (8,192*4,32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각선이 제1 길이(L1)인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UHD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대각선이 제2 길이(L2)인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FHD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각선이 제1 길이(L1)인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4K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대각선이 제2 길이(L2)인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2K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대각선의 길이는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다양한 대각선의 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해상도는 FHD, QHD, UHD, 2K, 4K, 8K 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다양한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부 또는 그 일부를 교체하거나, 새로운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교체 또는 추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새롭게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2K 해상도를 가지는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4K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각각이 2K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4K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로 교체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는 디스플레이 모듈들과의 통신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연결 관계를 식별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8K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동작 및 기능이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바디의 구성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력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싱 회로(120)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120)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1 파워 소스 회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워 소스 회로(110)는 예를 들어 파워 소스 어셈블리(103)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파워 소스 회로(110)는 가정용 전원 또는 상업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포함된 프로세싱 회로(1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회로(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파워 소스 회로(110)는, 전력 수신 회로(111), 전력 변환 회로(112) 및/또는 복수의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회로(111)는 외부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수신 회로(111)는 예를 들어 EMI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s) 또는 역률 개선 회로(power factor corre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회로(111)는 교류 전력을 전력 변환 회로(112)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변환 회로(112)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또한 변환된 직류 전력의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전력 변환 회로(112)는 예를 들어 정류 회로 또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 회로(112)는 직류 전력을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 및/또는 복수의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는 각각 전력 변환 회로(112)로부터 직류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된 직류 전력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송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복수의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각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20)는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 어셈블리(104)에 실장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120)는 컨텐츠 인터페이스(121),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 복수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복수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 스토리지(128) 및/또는 제1 프로세서(12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121)는 케이블을 통하여 컨텐츠 소스(2)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121)는 예를 들어 컴포넌트(component, YPbPr/RGB) 단자, 컴포지트 (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CVBS) 단자, 오디오 단자,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단자,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121)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제1 프로세서(129)로 출력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유선 네트워크을 통하여 컨텐츠 소스(2) 등의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은 컨텐츠 소스(2)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컨테츠 데이터를 제1 프로세서(129)에 제공할 수 있다.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는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지역 네트워크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컨텐츠 소스(2) 등의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81)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81)은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Peer-to-peer),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은 컨텐츠 소스(2)로부터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컨테츠 데이터를 제1 프로세서(129)에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는 예를 들어 무선으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은 제1 프로세서(129)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케이블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은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하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은 또한 제1 프로세서(129)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은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은 5.8GHz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IEEE 802.11ac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은 60GHz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은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과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식별 정보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크기(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 해상도, 최대 휘도, 최저 휘도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토리지(128)는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28)는 또한 제1 프로세서(129)가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일련의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28)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28)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 HDD),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r, OD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컨텐츠 인터페이스(121)를 통하여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들(122, 123)을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 통신 프로세서, 또는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2 통신 프로세서 등 다양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9)는,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컨텐츠 인터페이스(121) 또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122)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23) 또는 스토리지(128)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9)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그 각각이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일련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연속되는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속되는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들은 압축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은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색상 및 명암을 나타내는 광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은 복수의 픽셀들 각각이 출력하는 적색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데이터, 녹색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청색 광의 세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프레임의 크기는 이미지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개수로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레임(500)의 크기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픽셀들의 개수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픽셀들의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HD (full HD)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1,920개의 픽셀들과 세로 1,08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QHD (quad HD)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2,560개의 픽셀들과 세로 1,44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UHD (ultra HD)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3,840개의 픽셀들과 세로 2,16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2K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2,048개의 픽셀들과 세로 1,08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4K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4,096개의 픽셀들과 세로 2,16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8K 해상도의 이미지는 가로 8,192개의 픽셀들과 세로 4,320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해상도 및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의 해상도를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크기(대각선의 길이)와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를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배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를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 각각의 위치와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 각각을 통하여 획득된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배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교체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의 해상도를 다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을 통하여 교체된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교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1 프로세서(129)는,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배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해상도를 다시 식별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의 해상도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의 해상도를 확대하거나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의 해상도를 업-스케일링하거나 또는 다운-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이 2K 해상도를 가지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이 4K 해상도를 가지면, 2K 해상도의 이미지 프레임을 4K 해상도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업-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이 4K 해상도를 가지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2K 해상도를 가지면, 4K 해상도의 이미지를 프레임을 2K 해상도의 이미지 프레임으로 다운-스케일링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과 설립된 통신 채널의 개수와 통신 채널이 설립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배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과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설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경우, 제1 프로세서(129)는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4개 또는 2개의 통신 채널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을 매트릭스 형태로 4개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로 분리하거나 또는 이미지 프레임을 상하 또는 좌우의 2개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을 각각 복수의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들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129)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9)는 프로그램(일련의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기억하는 제1 메모리(12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29a)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129a)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이미지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안 제공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29a)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에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9)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종류(예를 들어, 발광 방식에 따라 자발광 디스플레이인지 또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인지)와 관계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이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이미지 데이터 및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들 각각의 구성을 도시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및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a)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임의의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으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구성은 디스플레이 모듈(200a)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a)은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회로(220) 및/또는 디스플레이 회로(220)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제2 파워 소스 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워 소스 회로(210)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200a)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회로(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워 소스 회로(210)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설치된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의 개수보다 크면,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일부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들 사이의 연결이 계속될 수 있다.
제2 파워 소스 회로(210)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11), 전력 분배 회로(212) 및/또는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11)는 직류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11)는 수신된 직류 전력을 전력 분배 회로(212)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분배 회로(212)는 직류 전력의 전압을 클램핑하고, 또한 직류 전력을 디스플레이 회로(220)와 디스플레이 모듈에 분배할 수 있다. 전력 분배 회로(212)는 클램핑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분배 회로(212)는, 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전기 부품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회로와, 제1 회로와 병렬 연결되고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213)와 연결된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213)는 직류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11)는 전력 분배 회로(212)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력을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회로(220)는,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221),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222),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223),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224), 이미지 분배 회로(225), 디스플레이 패널(228), 패널 드라이브(227) 및/또는 제2 프로세서(229)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221)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222)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221) 및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222)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분배 회로(225)에 제공할 수 있다.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221)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과 동일한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222)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과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 인터페이스들(221, 222)은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와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00a)은,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20a)의 식별 정보와,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크기(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 해상도, 최대 휘도, 최저 휘도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223)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유선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224)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223)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과 동일한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224)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과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송신 인터페이스들(223, 224)은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뿐만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00a)은, 송신 인터페이스들(223, 224)를 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와,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 해상도, 최대 휘도, 최저 휘도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분배 회로(225)는 스플리터(spl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리터는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를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2 프로세서(229)와 송신 인터페이스(223, 224)로 분배할 수 있다. 스플리터에 의하여 이미지 데이터는 2개의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로 분리(또는 복사)될 수 있다. 2개의 이미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는 제2 프로세서(229)에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이미지 데이터 중 다른 하나는 송신 인터페이스(223, 224)를 통하여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127)의 개수보다 크면,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일부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들 사이의 연결이 계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8)은 전기적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28)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또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28)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패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 형태로 열과 행을 맞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널 각각은 복수의 무기 발광 다이오드들 또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들 각각은 적색 광 또는 녹색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하는 서브 픽셀(Pr, Pg, Pb)을 구현할 수 있다. 적색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서브 픽셀(Pr)을 구현하고, 녹색 발광 다이오드는 녹색 서브 픽셀(Pg)을 구현하고,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청색 서브 픽셀(Pb)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일체로 픽셀(P)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228)은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면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면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청색 필터와 녹색 필터와 청색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들은 각각 서브 픽셀(Pr, Pg, Pb)을 구현할 수 있다. 청색 필터와 녹색 필터와 청색 필터는 일체로 픽셀(P)을 구현할 수 있다.
패널 드라이브(227)는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스캔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제2 프로세서(229)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이미지 데이터와 구동 제어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와 스캔 드라이버로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제어 신호는 스캔 제어 신호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제어 신호와 데이터 제어 신호는 각각 스캔 드라이버의 동작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는 스캔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패널들(361, 362, 363, 364)을 구성하는 복수의 행 중 어느 하나의 행의 입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캔 드라이버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들 중에 어느 하나의 행에 포함된 픽셀들을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스캔 드라이버에 의하여 입력이 활성화된 픽셀들 이외에 다른 픽셀들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228)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는 스캔 드라이버에 의하여 입력-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행에 포함된 픽셀들에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캔 드라이버에 의하여 입력이 활성화된 픽셀들은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이 활성화된 픽셀들은 수신된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에 따른 색상 및 세기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디스플레이 모듈(200a)을 제어하기 위한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229)는,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유닛, 또는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을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송신 인터페이스(223, 224)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서 등 다양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식별 정보와,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크기(예를 들어, 대각선 길이), 해상도, 최대 휘도, 최저 휘도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를 송신하도록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도록 패널 드라이브(227)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에 표시될 이미지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된 이미지 프레임 중에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프로세서(229)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또는 영역 좌표가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획득된 이미지 프레임 파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패널 드라이브(227)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 인터페이스(221, 222)를 통하여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분할된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된 이미지 프레임 파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패널 드라이브(227)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설치된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의 개수보다 크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126, 127)을 통하여 여러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프로세서(229)는, 수신된 이미지 프레임 파트 중에 디스플레이 모듈(200a)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9)는 프로그램(일련의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기억하는 제2 메모리(22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29a)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또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129a)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동안 제공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29a)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 D-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프로세서(229)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또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228)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a)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프레임(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또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서로 동일한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모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거나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어느 일부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다른 일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스크류, 스냅-핏, 스냅-패스너 등의 기계적인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영구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전기적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제2 파워 소스 회로(210)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제1 파워 소스 회로(11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211)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들(113, 114)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는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는 유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221)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4, 125)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223)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들(126, 127) 중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 채널을 설립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들은 서로 다른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어느 일부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들은 유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중 다른 일부의 디스플레이 회로(220)들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의 프로세싱 회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식별 정보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228)의 크기(대각선의 길이), 해상도, 최대 휘도 및/또는 최소 휘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해상도 및/또는 배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각각은, 그 각각의 해상도 및/또는 배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마련된 통신 채널의 개수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모듈들(200)의 개수와 동일한 일 예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에 마련된 통신 채널의 개수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중 일부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직접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중 다른 일부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은 복수의 그룹들(310, 320, 330, 340)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룹(310, 320, 330, 340)들 각각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직접 전력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룹들(310, 320, 330, 340) 각각은 4개의 디스플레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1)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1)은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302)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201)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1)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3)은, 제2 디스플레이 모듈(302)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4 디스플레이 모듈(304)은, 제3 디스플레이 모듈(303)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모듈들(301, 302, 303, 304)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1)을 시작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으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모듈(301)에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는 제1,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모듈들(301, 302, 303, 304) 사이의 연결을 따라 제2,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모듈들(302, 303, 304)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속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310)은 1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제2 및 제3 그룹들(320, 330) 각각은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그룹(340)은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각각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의 해상도 및/또는 배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각각은, 디스플레이 모듈들(300) 각각의 해상도 및/또는 배치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는 동일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들(30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프레임(100)과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들(400)은 서로 다른 크기와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들(400) 중 일부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모듈들(400)의 다른 일부의 크기 및/또는 해상도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디스플레이 모듈(들)(401)은 제1 대각선 길이(L1) 및 제1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6 디스플레이 모듈(들)(402)은 제2 대각선 길이(L2) 및 제2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각선 길이(L1)는 제2 대각선 길이(L2)의 대략 2배일 수 있으며, 제1 해상도는 제2 해상도의 대략 4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해상도가 UHD 해상도인 경우, 제2 해상도는 FHD 해상도일 수 있다. 또한, 제1 해상도가 4K 해상도인 경우, 제2 해상도는 2K 해상도일 수 있다.
그에 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에서 단위 면적당 픽셀의 개수(이하에서는 "단위 면적당 해상도"라 한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200) 전체에서, 단위 면적당 해상도의 변화로 인한 왜곡 없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디스플레이 모듈(들)(403)은 제3 대각선 길이(L3) 및 제3 해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8 디스플레이 모듈(들)(404)은 제4 대각선 길이(L4) 및 제4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9 디스플레이 모듈(들)(405)은 제5 대각선 길이(L5) 및 제5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제3 대각선 길이(L3)는 제4 대각선 길이(L4)의 1.265배일 수 있으며, 제3 해상도는 제4 해상도의 대략 2배일 수 있다. 또한, 제3 대각선 길이(L3)는 제5 대각선 길이(L5)의 2배일 수 있으며, 제3 해상도는 제5 해상도의 대략 4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레임(100)은,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400)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4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400) 각각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는 복수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로 구성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11)은 일체로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는 서로 다른 발광 방식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중 일부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중 다른 일부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은 동일한 평면 상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은 컨텐츠 소스(2)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은 컨텐츠 소스(2)로부터 일체로 하나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각각은 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기초하여 컨텐츠 소스(2)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각각은 이미지 프레임을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로 구획하고, 구획된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 중에 그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 파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은 컨텐츠 소스(2)로부터 서로 다른 컨텐츠를 나타내는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1) 각각은 독립적으로 컨텐츠 소스(2)로부터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컨텐츠 소스
10: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들
20: 스크린 100: 디스플레이 프레임
101: 베이스 프레임 102: 리어 커버
103: 파워 소스 어셈블리 104: 이미지 처리 어셈블리
110: 제1 파워 소스 회로 111: 전력 수신 회로
112: 전력 변환 회로 113, 114: 송신 인터페이스
120: 프로세싱 회로 121: 컨텐츠 인터페이스
122: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12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24, 125: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126, 127: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128: 스토리지 129: 제1 프로세서
129a: 제1 메모리 200: 디스플레이 모듈들
200a: 디스플레이 모듈 210: 제2 파워 소스 회로
211: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 212: 전력 분배 회로
213: 전력 송신 인터페이스 220: 디스플레이 회로
221: 유선 수신 인터페이스 222: 무선 수신 인터페이스
223: 유선 송신 인터페이스 224: 무선 송신 인터페이스
225: 이미지 분배 회로 227: 패널 드라이브
228: 디스플레이 패널 229: 제2 프로세서
229a: 제2 메모리 300: 디스플레이 모듈들
301: 제1 디스플레이 모듈 302: 제2 디스플레이 모듈
303: 제3 디스플레이 모듈 304: 제4 디스플레이 모듈
310: 제1 그룹 320: 제2 그룹
330: 제3 그룹 340: 제4 그룹
400: 디스플레이 모듈들 401: 제5 디스플레이 모듈(들)
402: 제6 디스플레이 모듈(들) 403: 제7 디스플레이 모듈(들)
404: 제8 디스플레이 모듈(들) 405: 제9 디스플레이 모듈(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파워 소스;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를 구비한 패널 또는 스피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교체되면, 상기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를 식별하고,
    상기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3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고,
    제2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3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스크류, 스냅-핏 또는 스냅-패스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설치된 영구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1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스케일링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교체되면, 상기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를 식별하고,
    상기 1 또는 2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해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로 분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파트들을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전력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전력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각선 길이, 해상도 또는 발광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10091477A 2021-07-13 2021-07-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0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77A KR20230010995A (ko) 2021-07-13 2021-07-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77A KR20230010995A (ko) 2021-07-13 2021-07-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995A true KR20230010995A (ko) 2023-01-20

Family

ID=8510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77A KR20230010995A (ko) 2021-07-13 2021-07-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828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다중 스크린 디스플레이
CN104202545A (zh) 拼接显示系统、led液晶显示器及电视机
CN111357286A (zh) 显示装置、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以及图像提供装置
US11119720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0043458B2 (en) Display apparatus for changing color distribution of light generated by display and method thereof
KR20160036385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11024222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930864A (zh) 显示装置及控制其的方法
KR202300109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718178B (zh) 显示面板以及包括该显示面板的图像显示设备
US202101666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311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40073403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418116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277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44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039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018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0540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430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92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221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광원 장치
KR202200358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32750A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4725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