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991A -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991A
KR20230010991A KR1020210091466A KR20210091466A KR20230010991A KR 20230010991 A KR20230010991 A KR 20230010991A KR 1020210091466 A KR1020210091466 A KR 1020210091466A KR 20210091466 A KR20210091466 A KR 20210091466A KR 20230010991 A KR20230010991 A KR 2023001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land
area
cadastr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혜진
Original Assignee
(주)드림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드림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1009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991A/ko
Publication of KR2023001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역량과 무관하게 토지적성 평가에 이용되는 지적도 및 토지 특성 자료 등과 같은 주제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수하고, 이에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 처리하여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면적, 속성과 더불어 재해취약 여부까지 한 눈에 판별할 수 있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SY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MALGAMATING URBAN BASIC PLANNING INFORMATION AND DISASTER VULNERABI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검수자의 개인 역량과 무관하게 토지적성 평가에 이용되는 지적도 및 토지 특성 자료 등과 같은 주제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수하고, 이에 재해취약성 정보를 합성하여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면적, 속성과 더불어 재해취약 여부까지 한 눈에 판별할 수 있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지적성 평가는 토지의 환경생태적 물리적 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토지가 갖는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보전할 토지와 개발 가능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계획을 입안하는 단계에서 실시하는 기초 평가를 의미하며, 도시 관리 계획의 입안권자가 도시 관리 계획을 입안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필수적인 평가다.
이러한 토지적성 평가는 그 분석을 위하여 부동산 종합 공부 시스템 상의 각종 주제도를 활용해야 하는바, 지적도 및 토지 특성 자료 등과 같은 주제도에 오류가 존재한다면 이를 기초로 도출된 토지적성 평가의 분석 결과 역시 오류가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토지적성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각종 주제도에는 오류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각종 주제도를 하나하나 검수하여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였으나, 작업자의 검수 능력에 따라 검수 결과가 크게 차이가 나고, 검수 과정에서 누락되는 항목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방대한 분량의 각종 주제도를 모두 검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검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각종 도시 관리 계획의 입안이 지연되어 민원이 다수 발생하거나 몰린 행정 업무 처리에 많은 고충이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점까지 있었다.
한편,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각종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태풍 및 집중호우 등으로 해마다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반복적인 자연재해의 특징은 재해유형의 복잡화 및 다양화와 더불어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짧은 시간동안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도 11의 종래 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를 참조하면, 종래의 재해취약성을 표시하는 재해지도는 개략적인 재해위치와 범위만을 보이는 행정적인 용도로만 제작되고 있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토지적성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각종 주제도의 검수가 양질의 동일한 품질로 자동 수행됨과 동시에 정확성과 신속성 모두 확보할 수 있고, 도시 관리 계획의 입안시 재해취약성까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에 관계없이 동일한 품질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 수행될 수 있는 도시 계획 정보화를 활용한 토지적성 평가 주제도 검수 방법을 제공하면서도, 검수가 된 주제도에 자동으로 재해이력이미지를 합성하여 도시 관리 계획 입안시 재해취약성까지 한 눈에 판별할 수 있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평가대상지 추출부가,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를 통하여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여 확정하는 단계; 상기 지도검색부가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와,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및 면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를 검색, 추출하여 토지적성 평가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상기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이 일치하는지 검수하는 단계;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용도지역 면적산출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면적을 각각 추출한 후 상호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가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검수를 마친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에 매칭되는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연산부가 상기 지형도의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등고선을 경계로 침수량을 확인한 후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하여 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편집부가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한 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의 재해이력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 엔진모듈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은 서브랙 형태로 함체에 실장되되 상기 함체는 공기완충부에 의해 지지되어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의 차이를 검수하는 단계는,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적도에서 추출한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서 추출한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7.5% 이상인지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도편집부는,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과, 지형도의 실제 경계물 또는 항공사진의 실제 경계물을 비교해서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을 실제 경계물을 기준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에 의하면, 토지적성 평가모듈이 지적도 및 토지 특성 자료 등과 같은 주제도에 대한 검수를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작업자의 능력에 관계없이 양질의 동일한 품질로 신속하고 정확한 주제도 검수가 가능하며, 검수를 마쳐 오류가 없는 지적도 등에 재해취약성 정보를 합성하여 도시 관리 계획 입안시 토지적성 평가는 물론 재해취약성까지 한 눈에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을 함체에 서브랙 형태로 실장하여 보호하되,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원활하게 냉각시키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여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을 오랜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적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은 도 3에 도시된 지적도가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대장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지적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적도가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특성 자료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지적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적도가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특성 자료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지적도와 해당 연속 지적도에 대한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적도가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토지 특성 자료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11는 종래의 재해지도를 보인 이미지.
도 12은 본 발명의 재해이력이미지를 포함하는 지형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3는 본 발명의 재해이력이미지가 항공사진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4는 본 발명의 재해이력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사진에 지적도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재해이력이미지가 지적도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17은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이 실장되는 함체의 사시도.
도 18는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이 실장되는 함체의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이 실장되는 함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완충지지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토지적성 평가의 기초가 되는 주제도는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연속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구성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은,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10)은 평가대상지 추출부(11), 주제도 검수부(12), 용도지역 면적산출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가대상지 추출부(11)는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의해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21)를 통하여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작업자가 사용자 단말기(40) 상에 토지적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지역, 용도지역, 용도지구, 지목 등을 입력하면, 평가대상지 추출부(11)가 이를 받아 상기 지도 엔진모듈(20)로 전달하며, 지도 엔진모듈(20)의 지도검색부(21)는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 내에 작업자가 요구하는 지역, 용도지역에 부합하는 지적도, 속성정보, 지형도, 항공사진 및 재해이력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대상지로 확정하고 이 같은 결과를 평가대상 추출부(11)로 회신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평가대상지는 시군구 단위의 전체지역 중에서 토지적성평가 범위에 해당하는 평가대상지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도시군의 기본계획을 수립변경하거나 도시군의 관리계획을 입안하는 경우에 활용하고, 또한 체계적으로 관리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요구되는 지역을 입력하여 평가대상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주제도 검수부(12)는 토지적성 평가모듈(10)에 입력되는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와,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및 면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를 각각 이용하여,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과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용도지역 면적산출부(13)는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면적을 각각 추출한 후 상호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양자의 면적 차이가 7.5% 미만이면 제1 용도지역의 면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비해 양자의 면적 차이가 7.5% 이상이면, 해당 평가대상지의 지적도 및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가 잘못 추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평가대상지에 관한 데이터를 다시 검색, 추출하여 확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도 엔진모듈(20)은 지도검색부(21), 지도연산부(22) 및 지도편집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도검색부(21)는 전술한 바대로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 내에 작업자가 요구하는 지역, 용도지역에 부합하는 지적도, 속성정보, 지형도, 항공사진 및 재해이력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대상지로 확정하고 이 같은 결과를 평가대상 추출부(11)로 회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도검색부(21)는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와,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및 면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를 검색, 추출하여 토지적성 평가모듈(10)에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연산부(22)는 후술할 재해이력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지형도 내에서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하고 등고선을 경계로 침수량을 연산한 후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하여 도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편집부(23)는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한 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의 재해이력정보 DB(35)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편집부(23)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만을 합성하든지 또는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지적도만을 각각 합성하여 별도로 재해이력정보 DB(35)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가 합성된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기(40)의 호출에 따라 지도검색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로 현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은 지적도 DB(31), 지형도 DB(32), 항공사진 DB(33), 속성정보 DB(34) 및 재해이력 DB(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적도 DB(31)에는 우리나라를 포괄하는 지적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지적도(연속 지적도)란 지적도 전산파일을 TM 평면 직각 좌표계로 변환하여 연속된 형태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데이터를 출력한 것으로, 토지 종합 정보망 지침에 의하여 검수 완료되어 국토이용 정보체계에 등재된 도면을 의미한다.
상기 속성정보 DB(34)는 토지의 일련번호, 지목, 면적, 용도, 용도지구를 포함하는 속성정보가 저장되며, 이들을 토지 특성 자료로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토지 특성 자료는 토지의 지목, 면적 및 용도지역 등을 일련번호에 따라 테이블 형식으로 정리한 자료를 의미한다.
상기 지형도 DB(32)는 각종 지형도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지형도는 지표면의 형태, 수계, 토지의 이용, 취락 및 도로, 철도 그 밖의 각종 공작물 등의 배치상황을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나타낸 지도를 말하는 것으로, 항공사진에 준하는 정밀한 지도이다. 본 발명의 지형도는 발명의 필요에 따라 미리 재해이력이미지가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항공사진 DB(33)는 우리나라 토지를 포함하는 육상에 대해 항공기로 촬영한 항공사진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재해이력 DB(35)에는 주로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가 합성된 이미지가 저장되게 되나, 재해이력이미지, 재해관련 데이터 등이 별도로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도 DB(31), 지형도DB(32), 항공사진 DB(33), 속성정보 DB(34) 및 재해이력 DB(35)에 저장된 각종 지도 이미지 및 관련 데이터는 동일 지역에 대한 정확한 검색을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구획되어 관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과 이들의 각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하여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합성하여 토지적성 평가 및 도시계획 입안에 활용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상기 평가대상지 추출부(11)가 사용자 단말기(40)의 요청에 의해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21)를 통하여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거친다(S10).
즉, 작업자가 사용자 단말기(40) 상에 토지적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지역, 용도지역, 지목, 지번 등을 입력하면, 평가대상지 추출부(11)가 이를 받아 상기 지도 엔진모듈(20)로 전달하며, 지도 엔진모듈(20)의 지도검색부(21)는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 내에 작업자가 요구하는 지역, 용도지역에 부합하는 지적도, 속성정보, 지형도, 항공사진 및 재해이력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평가대상지로 확정하고 이 같은 결과를 평가대상 추출부(11)로 회신하게 되며, 평가대상 추출부(11)는 평가대상지로 확정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40)에 알린다.
이어서, 상기 지도검색부(21)가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와,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및 면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를 검색, 추출하여 토지적성 평가모듈(10)에 입력하는 단계를 거친다(S20).
이후,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12)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상기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검수하는 단계를 거친다(S30).
본 발명의 지적도에는 모든 지번에 대한 용도지역이 표시되어 있으며, 예컨대, 특정 지번에 대하여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녹지 지역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주제도 검수부(12)는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검수하는바, 본 발명에서 제1 용도지역 또는 제2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녹지 지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용도지역이 주거 지역, 상업 지역 또는 공업 지역인 경우 제2 용도지역은 과수원, 목장용지, 유원지, 양어장 및 염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용도지역이 공업 지역인 경우에 과수원, 목장용지, 유원지, 양어장 및 염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과수원, 목장용지, 염전, 유원지, 양어장 등의 예는 특정 용도지역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항목에 불과하며, 이를 제외하더라도 법률 규정에 따른 용도지역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항목 역시 모두 제2 용도지역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정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특정 제2 용도지역 역시 마찬가지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시된 연속 지적도에는 모든 지번에 주거 지역으로 표시되어 있으며('범례' 부분 참조), 가운데 굵은 실선으로 묶은 지번에는 "과"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는 제1 용도지역이 주거 지역이며, 제2 용도지역이 과수원이라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용도지역이 주거 지역인 경우 제2 용도지역이 과수원이라면 제2 용도지역은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12)는 "과"라고 표시된 지번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40)에 알림으로써 해당 지번에 대한 용도지역이 잘못 입력된 것을 알릴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해당 토지에 대한 토지 대장 등을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지 대장에서 토지적성 평가모듈(10)이 연속 지적도 내에서 검수한 지번이 잘못 입력되어 있는지 추가적으로 검수할 수 있다.
그리고,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12)가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주제도 검수부(12)가 제1 용도지역이 상업 지역인 경우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인 목장용지와 과수원을 검수하였고, 이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주제도 검수부(12)는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해당 지번이 바르게 입력되어 있는지 검수한다.
도 6에는 도 5에서 주제도 검수부(12)가 검수한 지번에 대한 토지 특성 자료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용도지역은 모두 일반 상업 지역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지목이 각각 목장용지, 과수원, 과수원으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잘못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40)에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에 대한 속성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 지역에 대한 속성이 일치하는지 검수하는 단계를 거친다(S40).
참고로, 상기 S30 단계에서는 지적도에 잘못 입력된 기재가 없는지를 독립적으로 검수한 후, 토지 특성 자료에 잘못 입력된 기재가 없는지를 독립적으로 검수한 것이며, 상기 S40 단계에서는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를 매칭시켜 비교 검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지적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지목 428-3에는 용도지역이 "전(田)"으로 표시되어 있고, 한편 도 8에는 지목 428-3에 대한 토지 특성 자료가 도시되어 있는바, 지목이 "답(畓)"으로, 용도지역이 일반 상업 지역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제1 용도지역인 지목 428-3에 대한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의 기재가 일치하지 않는데, 주제도 검수부(12)는 이를 검수하여 사용자에게 잘못 입력된 것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속성은 지적도 또는 토지 특성 자료가 포함하는 다양한 항목일 수 있지만 지번, 지목 및 용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에서 사용하는 속성의 구체적인 명칭이 상이하다 하더라도 동일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속성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지적도의 지번과 토지 특성 자료의 지목이 일치하는지 검수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명칭은 지번과 지목으로 상이하지만 다루고 있는 속성이 "전(田)"과 "답(畓)"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S40 단계는 동일한 제1 용도지역에 대하여 그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를 비교하여 검수하는 단계인바, 검수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떤 주제도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주제도를 수정해야 하는 것인지 문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 중 기준이 되는 주제도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발명의 필요에 따라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관리자가 지적도와 토지 특성 자료 중 기준이 되는 주제도를 지적도로 디폴트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용도지역 면적산출부(13)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면적을 각각 추출한 후 상호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를 거친다(S50).
상기 S5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세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ii)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추출하는 단계 및 iii) 지적도에서 추출한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토지 특성 자료에서 추출한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을 비교하여 차이가 7.5% 이상인지 검수하는 단계(S153)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에는 지적도와 해당 지적도에 대한 테이블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용도지역 면적산출부(13)에 의해 제1 용도지역의 면적인 214,446.98m2가 추출되며, 도 10에는 토지 특성 자료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는바, 용도지역 면적산출부(13)에 의해 제1 용도지역의 대장 면적인 251,718 m2가 추출된다. 이 경우 추출한 면적의 차이는 37,271.02 m2이며, 이는 약 14.8%의 차이이므로 7.5%를 초과하는바, 잘못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7.5%는 연속 지적도 상의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토지 특성 자료에 입력된 제1 용도지역의 면적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용인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에 해당하며, 발명의 필요에 따라 기준이 되는 수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사용자는 5%, 10% 등과 같이 기준이 되는 수치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관리자도 기준이 되는 수치를 디폴트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S10 내지 S50 단계는 주제도를 검수하여 오류를 발견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재하였지만, 오류의 발견뿐만 아니라 발견한 오류의 자동 수정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 어떤 주제도를 기준으로 발견한 오류의 수정을 해야 하는 것이 문제될 수 있는데, 토지적성 평가시스템의 사용자가 오류 자동 수정의 기준이 되는 주제도를 자체적으로 설정하거나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발명의 필요에 따라 발견한 오류의 수정은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수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21)가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검수를 마친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에 매칭되는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거친다(S60).
상기 지도 엔진모듈(20)의 지도검색부(21)는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 내의 지형도 DB(32) 및 항공사진 DB(33)에서 검수를 마친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에 매칭되는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검색,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형도 DB(31)는 각종 지형도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지형도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재해이력이미지가 미리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에 매칭되는 지형도에 재해이력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지도검색부(21)는 재해이력 DB(35)로부터 해당 평가대상지에 관한 재해이력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검색, 추출하여 지도연산부(22)에 전달하고, 상기 지도연산부(22)에서 추출된 지형도 및 재해이력이미지를 합성하도록 연산한 후, 그 연산결과를 지도편집부(23)로 전달하여 상기 지도편집부(23)에서 재해이력이미지를 포함하는 지형도를 생성하여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방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의 지적도 DB(31), 지형도 DB(32), 항공사진DB(33), 속성정보 DB(34) 및 재해이력 DB(35)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는 동일 지역에 대한 각 DB의 정확한 검색을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구획되어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도검색부(21)는 지적도 DB(31), 지형도 DB(32), 항공사진 DB(33) 및 재해이력 DB(35)에서 동일 지역의 지도 이미지를 정확히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연산부가 상기 지형도의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등고선을 경계로 침수량을 확인한 후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하여 도색하는 단계를 거친다(S70).
통상 지형도는 지표면의 고저를 등고선으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지도연산부(22)는 지형도를 분석해서 등고선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상기 지형도에 기재된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적용된 범위의 대략적인 침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지도연산부(22)에서 침수량은 등고선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굴곡을 추정하고,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면적을 기준으로 체적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대략적인 침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재해이력 DB(35)로부터 평가대상지에 적용된 강우빈도별 침수면적을 불러오고, 상기 검수를 마친 지적도로부터 평가대상지의 필지면적을 불러와서, 각 필지면적 대비 각 침수면적으로부터 침수피해율을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필지별 침수피해율과 등고선 및 지표면의 굴곡도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연산부(22)는 개략적인 침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는 절대적인 침수량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정량적인 침수량을 일반인에게 제공해서 수해가 발생했던 지역별 침수량을 알게 할 수 있으므로, 평가대상지의 재해취약성 정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이와 같은 대략적인 침수량 연산 결과를 토대로 수해 범위를 표시하는 재해이력이미지를 침수량 별로 구분해 도시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국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지형도를 분석해서 등고선을 확인하고,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등고선 및 대략적인 침수량을 연산하여 재해이력이미지를 새롭게 구분 도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 '녹색 - 파란색 - 핑크색 - 살구색 - 보라색'으로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도색되어 있는데, 이는 침수량이 침수피해율이 높은 순으로 색깔을 구분 도색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재해이력 DB(14)는 재해이력이미지 별로 지번, 지목 및 필지 등과 같은 행정 정보와, 재해로 발생한 재산 또는 인명 피해에 관한 피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산출한 침수량을 해당 재해이력이미지 관련 정보에 링크시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침수량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재해이력이미지를 통해 항공사진과 더불어 실질적인 현장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재해취약성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마지막으로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편집부가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한 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의 재해이력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거친다(S80)
전술한 바대로, 상기 지도검색부(21)가 검수를 마친 지적도에 매칭되도록 지형도 DB(32) 및 항공사진 DB(33) 각각에서 대상 지역의 지형도(재해이력이미지 포함)와 항공사진을 검색하여 추출하면, 지도연산부(22)에서 지형도의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도색한 후, 지도편집부(23)는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하게 된다.
먼저, 지형도와 항공사진의 합성단계를 살펴보면, 상기 지도편집부(23)는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곧바로 합성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상기 지도연산부(22)에서 지형도와 항공사진을 비교한 결과 지표면의 형태, 수계, 토지의 이용, 취락 및 도로, 철도 또는 그 밖의 각종 공작물 등의 배치상황 등에 차이가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지도편집부(23)는 지형도를 기준으로 지형도에는 없고 항공사진에만 있는 이미지 요소를 추가하여 합성할 수 있다. 역으로 항공사진을 기준으로 항공사진에는 없고 지형도에만 있는 요소를 추가하여 합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지도편집부(23)는 지형도에 항공사진에만 있는 이미지 요소를 추가함이 없이 항공사진을 기준으로 지형도를 편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항공사진 DB(33)에 저장되는 항공사진은 GIS 기술을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상기 항공사진엔 위치별로 좌표가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지도연산부(22)에서 지형도의 편집 이전에 항공사진과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지도편집부(23)에서 이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편집해서 항공사진에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형도에 적용된 재해이력이미지는 지형도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재해이력이미지가 위치하는 지점에 대한 지형도의 위치가 항공사진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위치하는 지점의 좌표값을 지도연산부(22)에 입력하고, 상기 지도연산부(22)는 입력된 좌표값에 상응하는 항공사진의 해당 좌표로 재해이력이미지를 불러 비교해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의 연산값을 지도편집부(23)에 전달하고, 상기 지도편집부(23)는 상기 연산값을 근거로 재해이력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면,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합성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13는 필지에 따라 침수량의 차이가 미미하여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 도색할 필요가 없어 녹색의 단색으로 도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도편집부(23)에 의해 구분 도색된 재해이력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가 순차적으로 합성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도 14 참조).
이와 같이 지적도와, 재해이력이미지가 적용된 지형도 및 항공사진의 합성이 완료되면, 통상의 지형도 및 항공사진과는 달리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지번별로 구획해 도화한 모습을 갖추게 되며, 지번을 구획하는 경계선은 상기 지형도 및 항공사진에 하나의 레이어로 통합돼 합성되거나, 둘 이상의 레이어로서 분리돼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재해이력이미지가 포함된 지형도 및 항공사진에 지번을 구획한 경계선이 항시 출력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경계선이 출력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대로 지적도와 지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듯이, 항공사진과 지적도 또한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이가 있는 지점에 대해서는 지도연산부(22) 및 지도편집부(23)는 항공사진을 기준으로 지적도를 편집할 수 있고, 이때 경계선도 아울러 편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번으로 구획된 주택, 농지, 임야 등의 부동산은 실제로도 담, 이동로 등과 같은 경계물로도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연산부(22) 및 지도편집부(23)는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과 항공사진에 찍혀 있는 실제 경계물을 비교해서 지적도에 기재된 경계선을 실제 경계물을 기준으로 편집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지형도, 항공사진에 재해이력이미지가 합성되고, 또한 검수를 마친 지적도까지 결합되면서, 토지적성 평가 및 도시계획 입안에의 활용은 물론 재해가 발생한 지점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재해발생 지점 등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므로, 유사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은 토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재해취약성 파악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 및 도 18는 도 18는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이 실장되는 함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은 기판 형태를 갖고 함체(11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상기 함체(1100)의 전면에는 도어(1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장된 기판 형태의 모듈을 수리, 보수 혹은 교체할 때 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형태를 갖는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은 고속신호처리가 요구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방열구조 또는 냉각구조를 갖지 않게 되면 열화에 의해 다수 모듈들의 급속한 수명단축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회로에 끼면서 회로를 통한 신호처리 시 오류를 유발시키게 된다.
먼저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2가지 루트로 함체(100)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는데, 냉각유닛(1200) 및 배기팬(70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유닛(1200) 구현을 위해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냉각유닛(12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실리카겔이 채워진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연결된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연결된 배수관(1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챔버(CH1)에 물, 즉 냉각수가 채워짐으로써 내부가 냉각되게 되고, 그 냉기는 함체(1100) 내부로 전도되어 함체(1100) 내부에서 발열에 의해 승온된 열을 냉각시켜 다수 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챔버(CH1) 내부에 냉각용 물이 채워져 있는 관계로 제1격벽(W1)의 외측에서는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생길 수 있는데, 상기 제2챔버(CH2)에는 실리카겔이 채워져 있으므로, 수분을 빨아들여 함체(1100)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닛(1200)의 구동은,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CTR)의 제어에 따라 물펌프(1220)가 구동되고, 이 물펌프(1220)의 흡입압에 의해 물탱크(1210) 내부의 냉각용 물이 흡수관(1230)을 통해 물펌프(1220)로 유입된 후 배출단을 거쳐 제1챔버(CH1)로 공급되고, 그런 다음 배수관(1240)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물탱크(1210)로 회귀되는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온-오프 동작 및 배기관(800)이 구비하는 전동식 개폐구(8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미도시)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그리고, 흡기 필터(900)는 함체의 하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갖추면서, 평상시에는 공기의 유입까지도 방지하는 개폐식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온(ON)되는 경우, 흡기 필터(900)의 개폐 구조를 개방하여 함체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만큼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기능한다. 물론 상기 흡기 필터(900)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그 개폐구조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CTR)는 함체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압력센서로부터 대기압 값을 입력받거나, 중앙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대기압 값을 입력받아 이를 함체 내부의 압력센서(510)가 센싱한 값과 비교하여 함체(1100)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간 차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배기 팬(700) 및 전동식 개폐구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미도시)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0이 될 때까지 배기 팬 오프(Off) 동작을 구동시키고,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일정 정도가 될 때까지 배기 팬의 온(On) 동작을 구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되,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520)는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이 탑재되는 위치에 가깝게 상하로 자동 이동하여 다수 모듈 근처의 온도를 센싱하여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냉각유닛(12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510)도 함체(1100)의 상단부로 수직 이동하여 설치됨으로써 함체(1100)의 하단으로부터 열화되어 팽창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을 보다 더 정밀하게 센싱하고 이를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배기 팬(7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함체(11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는 토지적성 평가모듈(10), 지도 엔진 모듈(20)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30)은, 함체의 격벽 일부를 뚫어 생긴 통신연결공(미도시)을 통해 삽입되는 통신선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엔진 모듈,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이 실장되는 함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완충지지대의 단면도이다.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완충지지대(6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완충지지대(600)는 지면 또는 평평한 바닥에 안착되며,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지지대(600)는 완충로드(610), 완충케이스(620), 완충스토퍼(630), 완충연결부(640) 및 완충굴곡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면 또는 콘크리트 바닥 상단에 배치되낟.
상기 완충로드(610)는 함체(1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611) 및 완충체결부(6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6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케이스(6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6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는 완충로드(610)의 완충원통부(6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6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610)가 크게 흔들릴때, 완충스토퍼(630)는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610)와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연결부(6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완충로드(6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641) 및 완충상하부(6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6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6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6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6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650)는 제1굴곡부(651), 제2굴곡부(652), 제3굴곡부(653), 제4굴곡부(654) 및 제5굴곡부(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651)는 완충스토퍼(6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652)는 제1굴곡부(6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653)는 제2굴곡부(6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654)는 제3굴곡부(6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655)는 제4굴곡부(6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6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6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6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6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651)로부터 제5굴곡부(6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6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651) 내지 제5굴곡부(6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651)와 제2굴곡부(6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652)와 제3굴곡부(6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653)와 제4굴곡부(6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654)와 제5굴곡부(6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지지대(600)는,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케이스(6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6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6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한편, 상기 완충케이스(620)는 고무탄성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고무탄성체 조성물은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60 내지 80 중량부, 디쿠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을 포함하는 경화제 2 내지 4.5 중량부, 설퍼아마이드와 3-비스벤젠을 포함하는 촉진제 1.5 내지 2.5 중량부 및 트리메틸 퀴놀린 및 페닐다이아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제 0.4 내지 4.7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본블랙은 평균 입경이 60nm 내지 70nm인 제1카본블랙 50 내지 70 중량%; 및 평균 입경이 15nm 내지 35nm인 제2카본블랙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고무 탄성체 조성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 탄성체 조성물로 완충스토퍼(630)와 완충연결부(640)를 형성할 경우,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큰 카본블랙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내마모 특성은 물론 내열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완충케이스(620)의 경우 지열 또는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를 차단함으로써 함체 내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더불어서 함체 내 영상처리모듈의 정상동작에 조력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토지적성 평가모듈 11: 평가대상지 추출부
12: 주제도 검수부 13: 용도지역 면적산출부
20: 지도 엔진모듈 21: 지도검색부
22: 지도연산부 23: 지도편집부
30: 지도데이터 저장모듈 31: 지적도 DB
32: 지형도 DB 33: 항공사진 DB
34: 속성정보 DB 35: 재해이력 DB
40: 사용자 단말기 300: 공기흐름
400: 상하이동부 510: 압력센서
520: 온도센서 600: 완충지지대
700: 배기 팬 800: 배출관
900: 흡기 필터 1100: 함체
1200: 냉각유닛 1210: 물탱크
1220: 물펌프 1230: 흡수관
1240: 배수관 1400: 배기 팬 덮개

Claims (1)

  1.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평가대상지 추출부가,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를 통하여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지를 추출하여 확정하는 단계;
    상기 지도검색부가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와, 해당 평가대상지의 용도 및 면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토지 특성 자료를 검색, 추출하여 토지적성 평가모듈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용도지역 내에 존재할 수 없는 상기 제2 용도지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검수하는 단계;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의 주제도 검수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속성이 일치하는지 검수하는 단계;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용도지역 면적산출부가 상기 지적도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의 면적과 상기 토지 특성 자료에 포함되는 제1 용도지역에 대한 면적을 각각 추출한 후 상호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검색부가 상기 토지 적성 평가모듈의 검수를 마친 평가대상지의 지적도에 매칭되는 지형도 및 항공사진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연산부가 상기 지형도의 재해이력이미지 범위 내 등고선의 분포 상태를 확인해서, 등고선을 경계로 침수량을 확인한 후 재해이력이미지를 구분하여 도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 엔진모듈의 지도편집부가 상기 재해이력이미지가 구분 도색된 지형도와 항공사진 및 지적도를 순차적으로 합성한 후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의 재해이력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토지적성 평가모듈, 지도 엔진모듈 및 지도데이터 저장모듈은 서브랙 형태로 함체에 실장되되 상기 함체는 다수의 완충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방법.
KR1020210091466A 2021-07-13 2021-07-13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230010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66A KR20230010991A (ko) 2021-07-13 2021-07-13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66A KR20230010991A (ko) 2021-07-13 2021-07-13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991A true KR20230010991A (ko) 2023-01-20

Family

ID=8510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66A KR20230010991A (ko) 2021-07-13 2021-07-13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9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3273A (zh) * 2023-10-07 2023-12-22 荆州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基于大数据的城市规划建设用地分区管控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3273A (zh) * 2023-10-07 2023-12-22 荆州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基于大数据的城市规划建设用地分区管控系统
CN117273273B (zh) * 2023-10-07 2024-03-12 荆州市城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基于大数据的城市规划建设用地分区管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9324A1 (en) Scanners, targets, and methods for surveying
Dorafshan et al. Fatigue crack detection using unmanned aerial systems in fracture critical inspection of steel bridges
Davey et al. Microclimate exposures of surface-based weather stations: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long-term temperature trends
Unger et al. Local Climate Zone mapping using GIS methods in Szeged
CN109556569B (zh) 地形图测绘方法及装置
Kashani et al. Automated tornado damage assessment and wind speed estimation based 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US202003571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Assigning Attributes to Objects of Interest in Geospatial Imagery
CN1795478A (zh) 绘制地图的系统、设备及方法
US919598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rrelating business information to determine spam, closed businesses, and ranking signals
US10115165B2 (en) Management of tax information based on topographical information
KR20160048255A (ko) 토지피복지도의 부분 갱신을 통한 gis기반의 연단위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용 주제도 제작 방법
KR101884724B1 (ko) 암거시설물 진단지원 시스템
CN109596121A (zh) 一种机动站自动目标检测与空间定位方法
KR20230010991A (ko)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와 재해취약성 정보를 융합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Elberink et al. Detection of collapsed buildings by classifying segmented airborne laser scanner data
KR101000039B1 (ko) 재해정보지도 제작방법과 제작시스템
CN114299011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遥感目标四边形框快速检测方法
EP33761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rban objects
CN114418932A (zh) 一种基于数字孪生技术的历史建筑修复方法及系统
KR20230010990A (ko) 재해취약성 정보를 포함하는 국토이용정보 및 도시계획용 기초조사정보를 융합하여 제공하는 토지적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US8190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urce identification for a chemical release
Sampaleanu The role of intact rock fracture in rockfall initiation
Sanrı Karapınar et al. GIS-Based Assessment of Seismic Vulnerability Information of Old Masonry Buildings Using a Mobile Data Validation System
Nefeslioglu et al. Change detection of structures in the earthquake hazard zoning map of Eskisehir City, Turkey, by using satellite images
Vassena et al. Innovative and efficient data census on a cloud based digital twin provided by mobile m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