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495A - 좌식의자 - Google Patents

좌식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495A
KR20230008495A KR1020210089203A KR20210089203A KR20230008495A KR 20230008495 A KR20230008495 A KR 20230008495A KR 1020210089203 A KR1020210089203 A KR 1020210089203A KR 20210089203 A KR20210089203 A KR 20210089203A KR 20230008495 A KR20230008495 A KR 2023000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c
circular arc
radius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일
Original Assignee
지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준일 filed Critical 지준일
Priority to KR102021008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495A/ko
Publication of KR2023000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면에 제1 반경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호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좌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1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좌판부와, 등판면에 제2 반경을 갖는 제2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등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등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등판부를 연결하고, 전면과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보강리브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식의자{A sedentary chair}
본 발명은 좌식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자의 힙과 허리 부분이 밀착되어 착석할 수 있는 좌식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식의자는 힙을 지지하는 좌판부, 허리를 지지하는 등판부 및, 좌판부와 등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분되어 있고, 인체 형상에 맞추어 일체형으로 나무로 제작하였다. 최근 좌식의자는 가벼운 PP재를 이용하여 일체형 사출성형 제작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특허 20-0493915(특허문헌1) 및 10-2163201(특허문헌2)에서는 좌식의자 및 기능성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2에서는 착석자의 힙과 허리부분을 밀착되게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1 : 한국 실용신안 20-0493915(2021.06.22) 특허문헌2 : 한국 등록특허 10-2163201(2020.10.08)
본 발명의 제1과제는 착석자의 힘과 허리부분이 밀착되어 편안하고 안정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좌식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과제는 부피가 작아서 휴대할 수 있고, 일반의자에 올려서 사용가능한 좌식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좌식의자는, 좌판면에 제1 반경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호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좌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1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좌판부와, 등판면에 제2 반경을 갖는 제2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호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등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등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등판부를 연결하고, 전면과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리브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원호지지편과 제2 원호지지편은 각각 사용자의 힙과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원호절개부는 제1 반경과 제1 절개폭을 갖고, 상기 제1 절개폭은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원호절개부는 제2 반경과 제 2절개폭을 갖고, 상부 제2 절개폭은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원호지지편의 사이거리는 상기 제2 원호지지편의 사이거리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의 좌판면을 따라 좌판쿠션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판부의 등판면을 따라 등판쿠션부대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식의자에 따르면, 등판부와 좌판부에 각각 형성된 제1,2 원호지지편이 착용자의 힙과 허리 양측을 감싸도록 되어 밀착되게 착석할 수 있으며, 등판부와 좌판부에 각각 좌판쿠션부재와 등판쿠션부재가 구비되어 장시간 동안 편안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좌식의자는 가볍은 소재로 제작되고 부피가 작으므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의자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 허리가 불편한 사람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의 배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에 착석자의 착석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20), 등판부(30) 및 연결부(40)를 포함한다. 좌식의자(10)는 일정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재, PP재, PE재 등으로 일체형으로 사출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판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면(20a)에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21,23)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호절개부(21,23)의 내측으로 상기 좌판면(20a) 보다 돌출되는 제1 원호지지편(22,2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판부(20)는 상기 제1 원호절개부(21,23) 주변을 따라 후술하는 좌판쿠션부재(26)가 안착되는 안착면(2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판면(20a)은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고 있으나, 상기 제1 원호지지편(22,24)이 좌판면(20a)을 기준으로 상부로 돌출되도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원호절개부(21,23)는 제1 반경(R1)을 갖고 소정의 두께로 절개되어 있다. 제1 원호절개부(21,23)는 상부 절개폭(HW1)이 하부 절개폭(LW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원호절개부(21,23)는 상기 제1 원호지지편(22,2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부가적으로 좌판면(20a)의 통기공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호절개부(21,23)의 사이거리(D1)는 후술하는 제2 원호절개부(31,33)의 사이거리(D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원호지지편(22,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면(20a) 보다 t1 만큼 돌출되어 착용자의 힙 부분을 감싸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원호지지편(22,24)는 돌출되는 부분(t1)이 착용자의 힙 양측을 감싸므로 후술하는 제2 원호지지편(32,34)의 돌출되는 부분(t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등판부(3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면(30a)에 제2 반경(R2)을 갖는 제2 절개부(31,33)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원호절개부(31,33)의 내측으로 상기 등판면(30a) 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지지편(32,3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등판부(30)는 상기 제2 원호절개부(31,33) 주변을 따라 후술하는 등판쿠션부재(26)가 안착되는 안착면(3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판면(30a)은 중앙부에서 양선단부를 일정 구배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원호지지편(32,34)이 등판면(30a)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도로 되어 있다.
상기 제2 원호절개부(31,33)는 제3 반경(R1)을 갖고 소정의 두께로 절개되어 있다. 제2 원호절개부(31,33)는 상부 절개폭(HW2)이 하부 절개폭(LW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여기서, 제2 원호절개부(31,33)는 상기 제1 원호지지편(32,3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부가적으로 등판면(30a)의 통기공 기능을 하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원호절개부(21,23)의 사이거리(D2)는 상기 제1 원호절개부(31,33)의 사이거리(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원호지지편(32,34)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원호절개부(31,33)의 내측으로 상기 등판면(30a) 보다 t2만큼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원호지지편(32,34)는 돌출되는 부분(t2)이 착용자의 허리양측을 감싸게 되므로 상기 제1 원호지지편(22,24)의 돌출되는 부분(t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등판부(30)는 상기 원호지지편(32,34)의 사이에 제1 통기공(35)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기공(35)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20)와 등판부(30)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전면과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리브(42,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리브(42,44)는 연결부(40)의 강도를 보강하고, 착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일정범위 이상으로 뒤로 젖혀지지 않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40)는 상기 제1 보강리브(42)의 사이에 제2,3 통기공(45,46)이 교차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3 통기공(45,46)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의자 디지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C-C선과 D-D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20), 등판부(30) 및 연결부(4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좌판부(2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판면(20a)에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21,23)와 제1 원호지지편(22,2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좌판부(20)는 상기 제1 원호절개부(21,23) 주변을 따라 안착면(20b)에 좌판쿠션부재(26)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좌판쿠션부재(26)는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서 등판부(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판면(30a)에 제1 반경(R1)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31,33)와 제1 원호지지편(32,3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등판부(30)는 상기 제1 원호절개부(31,33) 주변을 따라 안착면(30b)에 등판쿠션부재(36)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등판쿠션부재(36)는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40)는 제1 실시예에서 좌식의자(10)의 연결부(4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좌식의자에 따르면, 좌판부(20)와 등판부(30)에 각각 형성된 제1,2 원호지지편(22,24,32,34))이 착용자의 힙과 허리 양측을 감싸도록 되어 밀착되게 착석할 수 있으며, 좌판부(20)와 등판부(30)에 각각 좌판쿠션부재(26)와 등판쿠션부재(36)가 구비되어 장시간 동안 편안한 상태로 착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좌식의자 20 : 좌판부
21, 23 : 제1 원호절개부 22, 24 : 제1 원호지지편
26 : 좌판쿠션부재 30 : 등판부
31, 33 : 제2 원호절개부 32, 34 : 제2 원호지지편
35 : 제1 통기공 36 : 등판시트부재
40 : 연결부 42,44 : 제1,2 리브
45,46 : 제2,3 통기공

Claims (5)

  1. 좌판면에 제1 반경을 갖는 제1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호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좌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1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좌판부;
    등판면에 제2 반경을 갖는 제2 원호절개부가 폭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절개부의 내측으로 상기 등판면 보다 돌출되는 제2 원호지지편이 구비된 등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등판부를 연결하고, 전면과 배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2 리브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호지지편과 제2 원호지지편은 각각 착용자의 힙과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된 좌식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절개부는 제1 반경과 제1 절개폭을 갖고,
    상기 제1 절개폭은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호절개부는 제2 반경과 제2 절개폭을 갖고,
    상기 제2 절개폭은 상부가 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호지지편의 사이거리는 상기 제2 원호지지편의 사이거리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좌판면을 따라 좌판쿠션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판부의 등판면을 따라 등판쿠션부대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식의자.
KR1020210089203A 2021-07-07 2021-07-07 좌식의자 KR20230008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03A KR20230008495A (ko) 2021-07-07 2021-07-07 좌식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203A KR20230008495A (ko) 2021-07-07 2021-07-07 좌식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495A true KR20230008495A (ko) 2023-01-16

Family

ID=8510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203A KR20230008495A (ko) 2021-07-07 2021-07-07 좌식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84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406B1 (ko) 2023-02-20 2023-12-27 주식회사 광덕티엔디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01B1 (ko)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KR200493915Y1 (ko)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좌식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01B1 (ko)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KR200493915Y1 (ko) 2020-12-14 2021-06-28 (주)디에스피 좌식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406B1 (ko) 2023-02-20 2023-12-27 주식회사 광덕티엔디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2680S1 (en) Gel seat cushion
CA1256011A (en) Ergonomic support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KR100762716B1 (ko) 등받이에 형상기억 스폰지가 장착된 의자
KR20160091930A (ko) 자세 유지구
KR960030854A (ko) 등받이가 분리되는 의자
JPH05130922A (ja) 腰のサポートバツクレスト
KR20230008495A (ko) 좌식의자
USD489538S1 (en) Bath chair for infant
KR100430481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US20110089740A1 (en) Chair Seat Pan and Chair Incorporating Same
JP2011101762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20100011743U (ko)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AU2004292939A1 (en) Chair for healthy sitting
USD979292S1 (en) Outdoor furniture cushions carrier cover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6915863B2 (ja) 椅子
KR200258166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US5408714A (en) Seat cushion
KR200255644Y1 (ko)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좌판 겸용 방석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JP2003038239A (ja) 洗髪用ボウル
KR101472815B1 (ko) 보조의자
KR102617406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파손방지 기능을 갖는 좌식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