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483A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483A
KR20230008483A KR1020210089179A KR20210089179A KR20230008483A KR 20230008483 A KR20230008483 A KR 20230008483A KR 1020210089179 A KR1020210089179 A KR 1020210089179A KR 20210089179 A KR20210089179 A KR 20210089179A KR 20230008483 A KR20230008483 A KR 20230008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counting
pedestrian
pedestria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5474B1 (en
Inventor
최민제
이승재
구동균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74B1/en
Publication of KR2023000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asuring device. The measuring device may comprise: a collection part that collects image data photographed in a set area; and a counting part that counts the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utomatically counting or measur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Description

보행량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본 발명은 보행자 통행량에 해당하는 보행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edestrian traffic volume corresponding to a pedestrian traffic volume.

사회가 고도화되고, 발전할수록 차량을 이용한 여가 활동보다 보행을 이용한 여가 문화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도심의 쇼핑거리나 관광지, 공원, 등산로 등에서 유동인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그 수가 얼마이고, 언제, 어디서 활동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는 쉽지가 않다.As society advances and develops, the leisure culture using walking rather than leisure activities using vehicles is increasing day by day. Although the floating population is increasing in downtown shopping streets, tourist attractions, parks, and hiking trail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how many people there are, when and where they are active.

과거 조사원이 직접 현장에 가서 손으로 계수하는 방식으로 유동인구 수를 측정하였으나 사람의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계수하기도 힘들고. 장시간 조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유동인구 데이터를 얻기에는 불가능하였다.In the past, surveyors measured th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by going to the site and counting by hand, but it is difficult to count while directly checking with human ey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for a long time, it was impossible to obtain reliable floating population data.

따라서, 최근에는 특정 지역의 보행자 통행량을 계측할 수 있는 보행자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행자 계수 관리 시스템의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research on a pedestrian count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pedestrian traffic in a specific area and a pedestrian count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has been expanded.

이에 따라 검지된 보행자 통행량 정보를 수집, 분석,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행자 통행량 저장 및 전송장치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collect, analyze, and utilize the detected pedestrian traffic information, an additional device and method including a pedestrian traffic storage and transmission device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64221호에는 PIR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 통행량을 검지하고, 데이터를 수집,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64221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cting pedestrian traffic using a PIR sensor and collecting and monitoring data.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64221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864221

본 발명은 보행량을 측정하고, 지도 기반의 보행량 지도를 생성하는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lking and generating a map based on the amount of walking.

본 발명의 측정 장치는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하는 계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mage data taken in a set area; A counting unit count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측정 방법은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보행자를 계수하는 계수 단계; 보행량 지도를 생성하는 서버에 상기 보행자의 계수 결과를 제공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a set area;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pedestrian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data; a counting step of counting the pedestrian included in the image data; and a transmission step of providing a counting result of the pedestrian to a server generating a walking amount map.

본 발명에 따르면, CCTV 등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보행로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보행로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수가 자동으로 계수되거나 측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edestrians using the corresponding walking path may be automatically counted or measured using video data of the walking path captured by a camera such as CCTV.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로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에 해당하는 사람 객체가 추출되고, 보행량이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보행량은 보행량의 타겟 지점을 나타내는 장소 정보와 함께 보행량 지도를 만들 수 있는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uman object corresponding to a pedestrian included in image data of a walking path may be extracted, and a walking amount may be calculated. The calculated walking amount may be provided to a server capable of creating a walking amount map together with place information indicating a target point of the walking amount.

본 발명의 측정 장치에 의해 생성된 보행량 지도는 실시간으로 보행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량 지도를 이용하면 보행 환경 조성의 우선 순위, 보행량이 어느 위치에서 많고 적은가 등의 다양한 보행 특성이 분석될 수 있다.The walking amount map generated by th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walking amount information in real time. For example, by using a walking amount map, various walk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iority of creating a walking environment and where the walking amount is high or low, can be analyzed.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보행량 추정이 어렵고 어느 위치에 보행량이 얼마나 되는지 알기 어려운 현 상황에서, 누구나 보행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보행량 지도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the amount of walking and it is difficult to know how much the amount of walking is at any location, a walking amount map can be provided by which anyone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lking.

도 1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추출부 및 계수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서버에 의해 생성된 보행량 지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xtraction unit and the counting unit.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alking volume map generated by a server;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현재 정부에서는 보행 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보행 환경을 조성 및 계획하기 위해서 보행량 산출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사용자가 소지한 개별 핸드폰의 위치 데이터를 통해서 개략적인 보행량만 산출할 수 있을 뿐 정확한 보행량이 어느 보행로(50)에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0)는 보행로(50) 상의 CCTV(10)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 또는 보행로(50)를 촬영한 각종 단말기(30)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측정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에서 보행로(50)를 보행하는 사람의 객체를 탐지하고 이를 보행량으로 만들 수 있다. 측정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가 포함된 장소 정보와 함께 보행량 정보를 서버(9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90)는 장소 정보와 보행량 정보를 이용해 보행량을 나타내는 지도에 해당하는 보행량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Currently, the government has a high interest in creating a pedestrian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nd plan a walk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task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walking. Currently, only an approximate amount of walking can be calculated through location data of individual mobile phones possessed by the user, and it is not possible to know exactly how many walking paths 50 there a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asure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image data captured by the CCTV 10 on the walking path 50 or image data of various terminals 30 photographing the walking path 50. The measurement device 100 may detect an object of a person walking on the walking path 50 from image data and make it a walking amount. The measuring device 100 may transmit pedometer information to the server 90 together with place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where the image data was captured. The server 90 may generate a walking amount map corresponding to a map representing the walking amount by using the place information and the walking amount information.

이러한 보행량 지도가 제공되면, 보행 환경 조성의 우선 순위, 보행량이 어느 위치에서 많고 적음 등의 다양한 보행 특성이 분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f such a walking amount map is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walk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riority of creating a walking environment and the high or low amount of walking at a certain location can be analyzed.

도 1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as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측정 장치(100)는 수집부(110), 추출부(130), 계수부(150), 전송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device 100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110 , an extraction unit 130 , a counting unit 150 , and a transmission unit 170 .

수집부(110)는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10 may collect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a set area.

일 예로, 수집부(110)는 설정 지역을 촬영하는 CCTV(10)(Closed Circuit TV)와 통신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CCTV(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a closed circuit TV (CCTV) 10 that captures a set area. Collecting unit 110 may obtain image data from the CCTV (10).

수집부(110)는 복수 지역으로부터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획득된 무수한 영상 데이터는 추출부(130), 계수부(150)에 의해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추출부(130) 또는 계수부(150)에 막대한 처리 부하가 인가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110 may acquire a plurality of image data from a plurality of regions in real time. Numerous image data obtained in real time are processed by the extraction unit 130 and the counting unit 150, and in this process, an enormous processing load may be applied to the extraction unit 130 or the counting unit 150.

추출부(130), 계수부(150)의 처리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CCTV(10)와 수집부(110)의 사이에 전처리부(19)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처리부(19)는 CCTV(10)에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processing load of the extraction unit 130 and the counting unit 150, a pre-processing unit 1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CTV 10 and the collecting unit 110. For example, the pre-processing unit 19 may be installed in the CCTV (10).

전처리부(19)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에 해당하는 사람(보행자)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해상도로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낮출 수 있다.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사이징(downsizing)을 통해 영상 데이터의 용량은 원본과 대비하여 30~40%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다. 수집부(110)는 전처리부(19)에 의해 다운 사이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19 may lower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to a minimum re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person (pedestrian) corresponding to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Through downsizing, which lowers the resolution, the capacity of image data can be reduced to 30 to 40% compared to the original. The collection unit 110 may receive image data downsiz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9 .

추출부(130)는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130 may extract a pedestrian through analysis of image data.

추출부(130)는 딥러닝의 객체 탐지 기법인 YOLO(You Only Look Once)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서 보행자를 추출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130 may extract a pedestrian from image data using You Only Look Once (YOLO), which is a deep learning object detection technique.

계수부(15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count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계수부(150)는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보행자를 계수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수부(150)는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보행자가 영상 데이터 내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면, 보행자의 계수 결과에 해당하는 카운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계수부(150)는 영상 데이터 내의 특정 지점을 보행자가 지나갈 때마다 카운트 수를 1씩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count the pedestrians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130 . Fo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130 passes through a specific point in the image data, the counting unit 150 may increase the number of counts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counting the pedestrian. In other words, the counting unit 150 may increase the count by one whenever a pedestrian passes a specific point in the image data.

도 2는 추출부(130) 및 계수부(15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perations of the extraction unit 130 and the counting unit 150.

추출부(130)는 YOLO 등의 객체 탐지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추출하고, 보행자가 내접하는 가상의 직사각형 t를 생성할 수 있다.The extractor 130 may extract a pedestrian included in the image data using an object detection technique such as YOLO and generate a virtual rectangle t inscribed with the pedestrian.

계수부(150)는 영상 데이터에 직선 형상의 가상의 카운트 라인 d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form a straight line virtual count line d in the image data.

계수부(150)는 보행자를 따라 움직이는 직사각형 t가 카운트 라인 d를 통과하면, 보행자의 계수 결과에 해당하는 카운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When the rectangle t moving along the pedestrian passes the count line d, the counting unit 150 may increase the number of counts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counting the pedestrian.

이때, 직사각형 t의 어느 지점이 카운트 라인 d에 도달하면 카운트 수를 증가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point of the rectangle t reaches the count line d,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ount number may arise.

보행량은 설정 지점을 통과하는 보행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행자의 무게 중심이 설정 지점에 도달하면, 설정 지점을 통과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The amount of pedestrians may mean the number of pedestrians passing through a set point. In this case,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edestrian reaches the set point, it would be reasonable to regard it as having passed the set point.

추출부(130)는 카운트 라인 d에 수직한 일변 k2를 갖도록 직사각형 t를 생성할 수 있다.The extraction unit 130 may generate a rectangle t to have a side k2 perpendicular to the count line d.

계수부(150)는 일변 k2의 절반 지점 km이 카운트 라인 d를 통과하면, 카운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계수부(150)는 일변 k2의 일단부가 카운트 라인 d에 도달한 후 절반 지점 km이 카운트 라인 d에 도달하면 카운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변 k2의 절반 지점 km은 일변 k2의 정가운데 지점에 해당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increase the number of counts when the half point km of one side k2 passes through the count line d. The counting unit 150 may increase the count number when the half point km reaches the count line d after one end of one side k2 reaches the count line d. The half point km of one side k2 may correspond to a midpoint point of one side k2.

한편, 정확한 보행량의 측정을 위해 특정 보행자가 카운트 라인 d에서 왔다갔다하는 경우에 카운트 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Meanwhile,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lking,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the count number from being increased when a specific pedestrian walks back and forth on the count line d.

일 예로, 계수부(150)는 카운트 라인 d에 절반 지점 km이 도달한 특정 직사각형으로 인해 카운트 수가 일단 증가하면, 일변 k2 전체가 모두 카운트 라인 d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특정 직사각형으로 인한 카운트 수의 추가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직사각형의 일단부가 카운트 라인 d에 진입하고 해당 직사각형의 일변 k2의 일부가 카운트 라인 d에 걸친 상태에서 보행자가 왔다 갔다 하더라도 카운트 수의 추가 증가는 없다.For example, the counting unit 150, once the count number increases due to a specific rectangle reaching the half point km on the count line d, further increases the count number due to the specific rectangle until the entire side k2 deviates from the count line d. can suppress In other words, even if one end of a particular rectangle enters the count line d and a pedestrian walks in a state where a part of one side k2 of the rectangle crosses the count line d, the count number is not further increased.

도 2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에는 설정 지역의 보행로(50)가 나타나 있다.The display screen of the image data shown in FIG. 2 shows the walking path 50 of the set area.

도 2의 (a)에는 보행로(50)의 우측에서 보행자가 등장하고 있다. 추출부(130)는 각종 객체 탐지 기법을 이용하여 표시 화면에 등장한 보행자를 추출하고, 보행자가 내접하는 가상의 직사각형 t를 보행자에 씌울 수 있다. 해당 직사각형 t는 보행자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In (a) of FIG. 2 , a pedestrian appears on the right side of the walking path 50 . The extraction unit 130 may extract a pedestrian appearing on the display screen using various object detection techniques and may cover the pedestrian with a virtual rectangle t inscribed with the pedestrian. The corresponding rectangle t can move along with the pedestrian.

표시 화면에는 계수부(150)에 의해 설정된 카운트 라인 d가 형성될 수 있다. 카운트 라인 d는 사전에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 count line d set by the counting unit 150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screen. The count line d may be set by an administrator in advance.

해당 직사각형 t의 일변 k2는 카운트 라인 d에 수직할 수 있다. 일변 k2에 수직한 직사각형 t의 타변 k1은 카운트 라인 d에 평행할 수 있다.One side k2 of the rectangle t may be perpendicular to the count line d. The other side k1 of the rectangle t perpendicular to one side k2 may be parallel to the count line d.

도 2의 (a)에서 카운트 라인 d를 통과한 직사각형 t가 없으므로, 감지된 보행자 수 'Detected Pedestrians'는 0이다.In (a) of FIG. 2 , since there is no rectangle t passing through the count line d, the number of detected pedestrians 'Detected Pedestrians' is 0.

도 2의 (b)에는 보행로(50)의 우측에서 등장한 보행자 2명이 카운트 라인 d를 통과한 상태를 나타낸다. 보행자 중 1인이 내접한 직사각형 t의 일부가 아직 카운트 라인 d에 걸쳐 있는 상태이나, 해당 직사각형 t의 일변 k2의 절반 지점 km이 카운트 라인 d를 지나쳤으므로, 카운트 수는 증가된 상태일 수 있다. 총 2명의 보행자가 카운트 라인을 통과하였으므로, 감지된 보행자 수 'Detected Pedestrians'는 2이다.2(b) shows a state in which two pedestrians appearing from the right side of the walking path 50 have passed the count line d. A part of the rectangle t inscribed by one of the pedestrians still crosses the count line d, but the half point km of one side k2 of the rectangle t passes the count line d, so the count number may be increased. Since a total of 2 pedestrians passed the count line, the number of detected pedestrians 'Detected Pedestrians' is 2.

한편, 설정 지역의 보행량 측정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lking in a set area may be prepared.

일 예로,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0)는 설정 지역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행량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sure the amount of walking by using a plurality of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different points in a set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eas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설정 지역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하는 복수의 CCTV(10) 카메라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집부(110)는 설정 지역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보행자가 소지한 단말기(3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CTV (10) cameras to photograph different points in the set area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different points in the set are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carried by the pedestrian.

이때, 계수부(150)는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배제하고,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각각 계수된 보행자의 수를 이용하여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nting unit 150 may exclu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and calculate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us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different points.

또는, 계수부(150)는 특정 지점에서 계수된 보행자의 수와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unting unit 15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by us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a specific poi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together.

또는, 계수부(150)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각각 계수된 보행자의 수 및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unting unit 15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by us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different point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together.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면, 설정 지역 또는 카운트 라인 d를 통과한 단말기(30)의 개수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하지만, 위치 정보를 이용한 계수 방식은 실질적인 보행자를 계수한 것이 아니라 보행자가 소지한 단말기(30)의 개수를 계수한 것이라는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는 영상 데이터를 통해 계수된 보행자의 수에 존재하는 오류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is obtained in real time, the number of terminals 30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et area or the count line d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However, the count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may have a limitation in that it counts the number of terminals 30 possessed by the pedestrian rather than actually count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an error existing in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through image data.

단말기(30)를 소지하지 않는 보행자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대체로 단말기(3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위치 정보의 개수는 보행자의 수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계수부(150)는 위치 정보를 통해 계수한 단말기(30)의 개수보다 영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보행자의 수가 적으면,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Since there may be pedestrians who do not carry the terminal 30, the number of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30 on a one-to-one basis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pedestrians. Therefore, the counting unit 150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if the number of pedestrians confirmed through the image data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erminals 30 coun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이때의 이상 상황은 설정 지역을 촬영하는 CCTV(10)의 오류, 수집부(110)의 오류, 계수부(150)의 오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The abnormal situation at this time may indicate at least one of an error of the CCTV 10 capturing the set area, an error of the collection unit 110, and an error of the counting unit 150.

수집부(110)는 설정 지역의 제1 지점 p1을 촬영한 제1 영상 데이터 i1, 설정 지역의 제2 지점 p2를 촬영한 제2 영상 데이터 i2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 i1은 제1 지점 p1을 촬영하는 제1 CCTV(11)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 i2는 제2 지점 p2를 촬영하는 제2 CCTV(12)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The collecting unit 110 may collect first image data i1 obtained by capturing a first point p1 of the set region and second image data i2 obtained by capturing a second point p2 of the set region. The first image data i1 may be acquired from the first CCTV 11 capturing the first point p1. The second image data i2 may be acquired from the second CCTV 12 capturing the second point p2.

계수부(150)는 제1 영상 데이터 i1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한 제1 결과와 제2 영상 데이터 i2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한 제2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using the first result of counting the pedestrian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data i1 and the second result of counting the pedestrians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data i2.

계수부(150)는 제1 결과와 제2 결과의 평균값을 설정 지역의 보행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determine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result and the second result as the amount of walking in the set area.

제1 지점 p1은 설정 지역의 시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점 p2는 설정 지역의 종료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int p1 may include the starting point of the setting area. The second point p2 may include an end point of the setting region.

일 예로, 설정 지역의 길이 w가 100m이면, 제1 영상 데이터 i1은 설정 지역 기준으로 0m 지점을 촬영한 것일 수 있다. 제2 영상 데이터 i2는 설정 지역 기준으로 100m 지점을 촬영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ength w of the set region is 100 m, the first image data i1 may be taken at a point 0 m based on the set region. The second image data i2 may be taken at a point 100m away from the set area.

계수부(150)는 설정 시간동안 제1 영상 데이터 i1 및 제2 영상 데이터 i2를 분석하고 각각의 영상 데이터에서 보행자를 계수할 수 있다.The counting unit 150 may analyze the first image data i1 and the second image data i2 for a set time period and count pedestrians in each image data.

계수 결과, 제1 지점 p1에 형성된 제1 카운트 라인 d1을 통과한 보행자가 100명이고, 제2 지점 p2에 형성된 제2 카운트 라인 d2를 통과한 보행자가 100명일 수 있다. 이 경우, 계수부(150)는 설정 시간동안 해당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평균 100명으로 측정하거나 산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unting, 100 pedestrians passed through the first count line d1 formed at the first point p1 and 100 pedestrians passed through the second count line d2 formed at the second point p2. In this case, the counting unit 150 may measure or calculate an average of 100 pedestrians in the set area during the set time period.

한편, 95명의 보행자가 제1 카운트 라인 d1을 통과한 상태에서 90명이 제2 카운트 라인 d2를 통과하고, 나머지 5명이 제1 지점으로 되돌아가서 제1 카운트 라인 d1을 다시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운트 라인 d1을 통과한 보행자가 100명으로 계수되고, 제2 카운트 라인 d2를 통과한 보행자가 90명으로 계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결과와 제2 결과의 평균값을 이용하므로, 90명과 100명의 평균값인 95명이 보행자의 수 또는 보행량으로 측정, 산출될 수 있다.Meanwhile, in a state where 95 pedestrians pass through the first count line d1, 90 pedestrians pass through the second count line d2, and the remaining 5 pedestrians may return to the first point and pass through the first count line d1 again. In this case,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first count line d1 may be counted as 100, and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nt line d2 may be counted as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result and the second result is used, 95 people,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90 people and 100 people, can be measured and calculated as the number of pedestrians or the amount of walking.

전송부(170)는 보행량 지도를 생성하는 서버(90)에 보행자의 계수 결과와 장소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장소 정보는 수집부(11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170 may provide the pedestrian counting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to the server 90 that generates the walking amount map.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llection unit 110 and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image data was captured.

서버(90)는 전송부(170)로부터 제공된 장소 정보를 이용해 지도의 일 지점 또는 일 구간을 특정할 수 있으며, 계수 결과를 이용해 특정된 일 지점 또는 일 구간의 보행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90)에 의해 보행량이 표시된 지도에 해당하는 보행량 지도가 생성되고, 보행량 지로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server 90 may specify a point or a section of the map using the pla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70, and may display the amount of pedestrians at the specified point or section using the counting result. In this way, a walking amount map corresponding to the map on which the walking amount is displayed can be generated by the server 90 and provided to a user who needs a walking amount route.

도 4는 서버(90)에 의해 생성된 보행량 지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alking volume map generated by the server 90 .

도 4에는 지도에 포함된 일부 지역의 보행로(50)를 나타낼 수 있다.4 may show walking paths 50 in some areas included in the map.

서버(90)는 지도에 표시된 보행로(50) 상에 색상 구분을 통해 보행량을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보행량이 구분해서 표시되는 지도가 보행량 지도 m에 해당될 수 있다.The server 90 may classify and display the walking amount through color classification on the walking path 50 displayed on the map. A map in which the walking amount is separately displayed may correspond to the walking amount map m.

일 예로, 서버(90)는 보행로(50) 중 보행량이 많은 지역 a는 제1 색상으로 나타내고, 보행량이 보통인 지역 b는 제2 색상으로 나타내고, 보행량이 적은 지역 c는 제3 색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90 may display an area a with a high pedestrian traffic among the walking paths 50 in a first color, an area b with a moderate pedestrian traffic in a second color, and an area c with a low pedestrian traffic in a third color. there is.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측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측정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asuring method shown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measuring device 100 shown in FIG. 1 .

측정 방법은 수집 단계(S 510), 추출 단계(S 520), 계수 단계(S 530), 전송 단계(S 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ethod may include a collection step (S 510), an extraction step (S 520), a counting step (S 530), and a transmission step (S 540).

수집 단계(S 510)는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가 포함된 장소 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 수집 단계(S 510)는 수집부(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llecting step (S510), image data of the set area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where the image data was captured may be collected together. The collecting step (S510) may be performed by the collecting unit 110.

추출 단계(S 520)는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단계(S 520)는 추출부(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출부(130)는 추출 모델을 이용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extraction step (S520), pedestrians may be extracted through analysis of image data. The extraction step (S520) may be performed by the extraction unit 130. The extractor 130 may extract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using the extraction model.

추출 모델은 별도의 학습부를 통해 기계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학습부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사람(객체)를 YOLO v5를 통하여 기계 학습할 수 있다.The extraction model may be machine-learned through a separate learning unit. The learning unit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on peopl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data through YOLO v5.

보행자가 보행로(50)를 통행할 때 대체로 한 방향으로만 통행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학습부는 CCTV(10) 2대(제1 지점의 영상 데이터, 제2 지점의 영상 데이터 획득)와 보행자의 단말기(30)(1초 단위의 위치 정보 획득)를 이용하여 객체 탐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pedestrians generally travel in only one direction when passing through the walking path 50, the learning unit uses two CCTVs (10) (video data at the first point and video data at the second point) and a pedestrian's terminal (30) (acquisi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units of 1 second)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object detection.

또한, 사람이 아닌 다른 객체(동물 등) 등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 Yolo 알고리즘에서 제일 마지막의 디텍팅(detecting) 부분에서 사람이 아닌 다른 객체들은 전부 폴스(false)값만 들어오게 되고, 추출부(130)는 이에 대해서 객체 탐지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n-human objects (animals, etc.) are included in the image data, in the last detecting part of the Yolo algorithm, all non-human objects receive only false values, and extraction Unit 130 may not perform object detection for this.

학습부에서 생성된 추출 모델은 사람의 이미지 수십만장을 통하여 학습될 수 있으며, 95% 이상, 예를 들어 98.24%의 학습률로 사람 객체는 정확하게 판별해낼 수 있다.The extraction model generated by the learning unit can be trained through hundreds of thousands of human images, and a human object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with a learning rate of 95% or more, for example, 98.24%.

YOLO에서 학습시킨 학습률에 더하여 100%의 확률에 다가가기 위하여, 계수부(150)는 제1 CCTV(11)에서 탐지된 객체량과 연속적인 선상에 있는 제2 CCTV(12)의 객체량의 혼합 분석을 실시하여 객체 탐지한 비교값을 통하여 정확한 객체 탐지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approach the probability of 100% in addition to the learning rate learned in YOLO, the counting unit 150 mixes the amount of objects detected by the first CCTV 11 and the amount of objects of the second CCTV 12 on a continuous lin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act number of object detections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comparison value by performing the analysis.

또한,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단말기(30)를 소지한 보행자의 좌표, 통행 시간 등이 표출되어 CCTV(10)에서 탐지해낸 객체량과 단말기(30)에서 송신되는 값을 비교 분석하여 5%범위 내로 들어오는 객체량을 최종 객체 탐지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is used, the coordinates and travel time of the pedestrian carrying the terminal 30 are expressed, and the amount of objects detected by the CCTV 10 is compared with the valu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30. After analysis, the amount of objects that come within the 5% range can be calculated as the final object detection amount.

이러한 과정의 알고리즘을 반복계산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좋은 알고리즘만 남게 되는 유전자알고리즘을 통하여 객체 탐지에 대한 모델을 피팅(fitting)하여 추출 모델을 구축한다.The algorithm of this process is repeatedly calculated, and finally, an extraction model is constructed by fitting a model for object detection through a genetic algorithm in which only good algorithms remain.

계수 단계(S 53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할 수 있다. 계수 단계(S 530)는 계수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ounting step (S530),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may be counted. The counting step (S530) may be performed by the counting unit 150.

추출 모델을 통해 확인된 객체량을 이용해 해당 구간(설정 지역)에 대한 보행량이 산출될 수 있다.The amount of walking for a corresponding section (set area) can be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objects identified through the extraction model.

전송 단계(S 540)는 보행량 지도를 생성하는 서버(90)에 보행자의 계수 결과와 장소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전송 단계(S 540)는 전송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90)는 CCTV(10)의 위치 정보, 촬영 지점 등이 포함된 장소 정보를 보행량에 매칭시키고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step (S540), the pedestrian counting result a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to the server 90 that generates the walking amount map. The transmission step (S540) may be performed by the transmission unit 170. The server 90 may match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CTV 10 and a shooting point to the amount of walking and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 map.

기본적으로 표 1과 같이 도로용량편람에서 보행자 서비스수준을 개산할 때 보행량과 해당 보행로(50)의 제원만 있으면 서버(90)는 보행 편의 서비스 수준을 산출할 수 있다.Basically, as shown in Table 1, when estimating the pedestrian service level from the road capacity manual, the server 90 can calculate the pedestrian convenience service level if only the pedestrian volume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corresponding walking path 50 are met.

A가 가장 좋은 상태이고 영어 알파벳이 내려갈수록 나쁜 상태를 의미한다.A is the best condition, and the lower the English alphabet, the worse the condition.

서비스 수준을 평가할 때는, 보행로(50)의 시설에 대한 제원은 처음에 설계 및 건설할 때부터 고정값일 수 있다.When evaluating the service level, the specifications for the facilities of the pedestrian path 50 may be fixed values from the time of design and construction.

보행량은 시간별로 변하는 비고정값(non-fixed) 또는 유동값일 수 있다.The amount of walking may be a non-fixed value or a floating value that changes over time.

본 발명에서 산출되는 실시간 보행량을 통하여 보행로(50)별로 시간대별, 일자별, 첨두별, 비첨두별로 서비스 수준이 시각화될 수 있다. '첨두별'은 보행량의 피크치를 나타낼 수 있다. '비첨두별'은 평소 또는 평균 보행량을 나타낼 수 있다.Through the real-time foot traffic calcu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level can be visualized for each walking path 50 by time zone, by day, by peak, and by non-peak. The 'peak star' may represent a peak value of the amount of walking. 'Non-peak star' may indicate a normal or average amount of walking.

서비스 수준은 보행의 쾌적함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량이 많더라도 보행로(50)가 넓으면 보행자는 보행에 별다른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수준은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보행량이 적더라도 보행로(50)가 좁으면 보행자는 보행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수준은 낮게 평가될 수 있다.Service level can be related to walking comfort. For example, even if the amount of walking is large, if the walking path 50 is wide, the pedestrian may not feel any discomfort while walking. In this case, the service level can be highly evaluated. Even if the walking amount is small, if the walking path 50 is narrow, the pedestrian may feel uncomfortable while walking. In this case, the service level may be evaluated as low.

또한, 각종 바이러스, 질병의 확산 위험을 인지시키는 방안으로, 서버(90)는 서비스 수준이 낮은 지역을 감염 위험 지역으로 선정하고 보행량 지도에 함께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risk of spreading various viruses and diseases, the server 90 may select an area with a low service level as an infection risk area and add it to the pedestrian traffic map.

서비스 수준service level 보행교통류율
(인/분/m)
Pedestrian traffic rate
(person/minute/m)
점유공간
(㎡/인)
occupied space
(㎡/person)
밀도
(인/㎡)
density
(Persons/㎡)
속도
(m/분)
speed
(m/min)
AA ≤20≤20 ≥3.3≥3.3 ≤0.3≤0.3 ≥75≥75 BB ≤32≤32 ≥2.0≥2.0 ≤0.5≤0.5 ≥72≥72 CC ≤46≤46 ≥1.4≥1.4 ≤0.7≤0.7 ≥69≥69 DD ≤70≤70 ≥0.9≥0.9 ≤1.1≤1.1 ≥62≥62 EE ≤106≤106 ≥0.38≥0.38 ≤2.6≤2.6 ≥40≥40 FF -- < 0.38< 0.38 > 2.6> 2.6 < 40< 4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측정 장치(100) 등) 일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6 may be a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g, the measuring device 100, etc.).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a transceiver TN120, and a memory TN13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and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Elem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by a bus TN170.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program command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methods, and the like described in relation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so far,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CCTV 11...제1 CCTV
12...제2 CCTV 19...전처리부
30...단말기 50...보행로
90...서버 100...측정 장치
110...수집부 130...추출부
150...계수부 170...전송부
10... CCTV 11... 1st CCTV
12... 2nd CCTV 19... pre-processing unit
30 ... Terminal 50 ... Walkway
90 ... server 100 ... measuring device
110 ... collection unit 130 ... extraction unit
150 ... counting unit 170 ... transmission unit

Claims (10)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하는 계수부;
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mage data taken in a set area;
a counting unit count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included in the image data;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설정 지역을 촬영하는 CCTV(Closed Circuit TV)와 통신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CCTV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unit communicates with a CCTV (Closed Circuit TV) for photographing the set area,
The collection unit measuring device for acquiring the image data from the CCT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보행자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보행자가 상기 영상 데이터 내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면, 보행자의 계수 결과에 해당하는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edestrian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data is provided;
Wherein the counting unit increases a count number corresponding to a pedestrian counting result when the pedestrian extracted by the extracting unit passes a specific point in the image data.
제1항에 있어서,
딥러닝의 객체 탐지 기법인 YOLO(You Only Look Once)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보행자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보행자를 계수하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xtractor for extracting the pedestrian from the image data using YOLO (You Only Look Once), a deep learning object detection technique, is provided;
The counting unit counts the pedestrians extracted by the extra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보행자가 내접하는 가상의 직사각형을 생성하는 추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직선 형상의 가상의 카운트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계수부는 상기 보행자를 따라 움직이는 상기 직사각형이 상기 카운트 라인을 통과하면, 보행자의 계수 결과에 해당하는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x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rectangle in which the pedestrian included in the image data is inscribed is provided;
The counting unit forms a linear virtual count line in the image data;
Wherein the counting unit increases a count number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counting the pedestrian when the rectangle moving along the pedestrian passes through the count l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카운트 라인에 수직한 일변을 갖도록 상기 직사각형을 생성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일변의 절반 지점이 상기 카운트 라인을 통과하면, 상기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extraction unit generates the rectangle to have one side perpendicular to the count line,
The counting unit increases the count number when a half point of the one side passes through the count l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상기 일변의 일단부가 상기 카운트 라인에 도달한 후 상기 절반 지점이 상기 카운트 라인에 도달하면 상기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카운트 라인에 상기 절반 지점이 도달한 특정 직사각형으로 인해 상기 카운트 수가 일단 증가하면, 상기 일변 전체가 모두 상기 카운트 라인으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상기 특정 직사각형으로 인한 카운트 수의 추가 증가를 억제하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ounting unit increases the count number when the half point reaches the count line after one end of the one side reaches the count line;
When the counting unit increases once due to the specific rectangle at the half point of the count line, suppressing further increase in the count number due to the specific rectangle until all of the one side deviate from the count line Measur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설정 지역의 서로 다른 지점을 촬영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상기 보행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배제하고,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각각 계수된 보행자의 수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계수부는 특정 지점에서 계수된 보행자의 수와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하거나,
상기 계수부는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각각 계수된 보행자의 수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하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mage data captur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set area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carried by the pedestrian;
The counting unit ex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us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different points,
The counting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by using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a specific point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unting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pedestrians counted at different point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to calculate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설정 지역의 제1 지점을 촬영한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설정 지역의 제2 지점을 촬영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계수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한 제1 결과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보행자를 계수한 제2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 지역의 보행량을 산출하며,
상기 계수부는 상기 제1 결과와 상기 제2 결과의 평균값을 상기 설정 지역의 보행량으로 결정하는 측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ng unit collects first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a first point in the set region and second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ed a second point in the set region;
The counting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edestrians in the set area using a first result of counting pedestrians included in the first image data and a second result of counting pedestrians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data;
The counting unit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of the first result and the second result as the amount of walking in the set area.
측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상기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가 포함된 장소 정보를 함께 수집하는 수집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보행자를 계수하는 계수 단계;
보행량 지도를 생성하는 서버에 상기 보행자의 계수 결과와 상기 장소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측정 방법.
In the measuring method performed by the measuring device,
A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image data of a set area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where the image data was captured together;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pedestrian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data;
a counting step of counting the pedestrian included in the image data;
a transmission step of providing the pedestrian counting result and the place information together to a server generating a walking amount map;
A measurement method comprising a.
KR1020210089179A 2021-07-07 2021-07-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KR102655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79A KR102655474B1 (en) 2021-07-07 2021-07-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179A KR102655474B1 (en) 2021-07-07 2021-07-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483A true KR20230008483A (en) 2023-01-16
KR102655474B1 KR102655474B1 (en) 2024-04-05

Family

ID=8511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179A KR102655474B1 (en) 2021-07-07 2021-07-07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47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6421A1 (en) * 2016-01-15 2017-07-20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unt to improve wireless analytics estimates
US20170316257A1 (en) * 2016-04-28 2017-11-0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eople, method for counting people at a location
KR101864221B1 (en) 2017-07-24 2018-06-04 엠제이코어텍(주) system and method for pedestrian traffic detection
KR102254767B1 (en) * 2020-11-19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raffic volume survey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vehicle image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06421A1 (en) * 2016-01-15 2017-07-20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unt to improve wireless analytics estimates
US20170316257A1 (en) * 2016-04-28 2017-11-0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eople, method for counting people at a location
KR101864221B1 (en) 2017-07-24 2018-06-04 엠제이코어텍(주) system and method for pedestrian traffic detection
KR102254767B1 (en) * 2020-11-19 2021-05-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Traffic volume survey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vehicle imag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474B1 (en)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060B1 (en) Imaging 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processing method
JP609983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5389562B (en) A kind of double optimization method of the monitor video pedestrian weight recognition result of space-time restriction
CN111325954B (en) Personnel loss early warning method, device, system and server
US20190230320A1 (en) Crowd monitoring device and crowd monitoring system
JP2014006586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JP6779410B2 (en) Video analyzer, video analysis method, and program
CN109935080A (en) Th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at a kind of vehicle flowrate on traffic route calculates in real time
CN112668525A (en) People flow coun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900494B1 (en) System for movement tracing of moving object and service method thereof
CN108362382B (en) A kind of thermal imaging monitoring method and its monitoring system
KR1020998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population data on realtime road image
KR1026554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destrian volume
JPWO2017183547A1 (en) Survey equipment
US9832427B2 (en) Camera, camera system, and self-diagnosis method
CN111753587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alling to ground
CN115731563A (en) Method for identifying falling of remote monitoring personnel
JP6435640B2 (en) Congestion degree estimation system
KR102161342B1 (en) Stream reasoning getting out of group surveilance system
KR102161344B1 (en) Stream reasoning surveilance system and Stream reasoning surveilance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7678B1 (en) Image merging stream reasoning surveilance method
KR102161343B1 (en) Stream reasoning surveilance system and missing child alarm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447042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top-type passenger flow monitor processing is realized based on stereovision technique
CN113239772B (en) Personnel gathering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in self-service bank or ATM environment
JP2012084078A (en) Dynamic body information analyzer, dynamic body information analysis system, control method for dynamic body information analyzer, and control program for dynamic body information analy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