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374A - 조명등 - Google Patents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374A
KR20230008374A KR1020210088938A KR20210088938A KR20230008374A KR 20230008374 A KR20230008374 A KR 20230008374A KR 1020210088938 A KR1020210088938 A KR 1020210088938A KR 20210088938 A KR20210088938 A KR 20210088938A KR 20230008374 A KR20230008374 A KR 20230008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ghting
ceiling
frame
low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숙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08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374A/ko
Publication of KR20230008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평행하게 배치된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상호 연접된 천장보드 사이에 장착되는 조명등은 조명프레임과 조명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되는 조명부를 갖는 조명등유니트, 인접한 한 쌍의 천장프레임 상부에 가로로 걸쳐 지지되는 상부브래킷,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상부브래킷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조명프레임과 결합되며 한 쌍의 천장프레임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고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하부브래킷,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브래킷유니트 및 하부브래킷의 양단 상부 영역에 탈장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되는 높이보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등{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천장보드에 장착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은 연결부에 의해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이 천장프레임을 파지하며 걸림 설치되며 하부브래킷에 조명유니트를 장착하게 된다. 대부분의 현장의 천장보드는 6mm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나 최근 들어 화재방지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천장보드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이 천장프레임을 접촉하며 파지하게 되면 두꺼운 천장보드의 하면보다 하부브래킷이 지나치게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하부브래킷과 조명유니트를 락킹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작업자는 다시 하부브래킷의 높이를 낮추며 조절하여야 하므로 조명등 장치의 설치작업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보드의 두께에 따라 설치작업 시 하부브래킷을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되는 조명부를 갖는 조명등유니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천장프레임 상부에 가로로 걸쳐 지지되는 상부브래킷, 상기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상부브래킷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조명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하부브래킷, 상기 상부브래킷과 상기 하부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브래킷유니트; 및 상기 하부브래킷의 양단 상부 영역에 탈장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브래킷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보정부재를 포함한다. 천장보드의 두께에 맞는 높이보정부재를 하부브래킷의 상단에 결합한 후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을 접근시키면 하부브래킷이 조명프레임과 락킹되기 위한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보정부재는 상이한 보정높이를 갖는 복수의 보정단을 가지면 천장보드의 다양한 높이에 따라 높이보정부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래킷과 상기 높이보정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물림슬릿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물림슬릿에 수용되는 물림리브를 갖고,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물림슬릿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멈춤턱과 상기 다른 하나는 상기 물림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과 맞물리는 멈춤홈을 더 가지면 높이보정부재가 하부브래킷의 양단 영역에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며 물림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브래킷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본체와, 상기 슬라이딩본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걸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는 걸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걸림부에 걸리어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가지면 슬라이더의 걸림부가 걸림홈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므로 조명등 장치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부브래킷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면 높이보정부재로 인하여 하부브래킷이 적절한 높이로만 상승되도록 하므로 하부브래킷의 선단으로부터 걸림부가 길이방향으로 출몰하여 걸림홈에 걸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보드의 두께에 맞는 높이보정부재를 하부브래킷의 상단에 결합한 후 상부브래킷과 하부브래킷을 접근시키면 천장프레임의 하측과 높이보정부재의 상측이 접촉되어 천장프레임이 상부브래킷과 높이보정부재에 의해 파지되면서 하부브래킷이 조명프레임과 락킹되기 위한 적절한 높이 위치하게 될 수 있으므로 조명등 장치의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높이보정부재의 상세도.
도 3 내지 6은 조명등의 장착동작도.
도 7은 변형된 높이보정부재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높이보정부재(60)의 상세도이며, 도 3 내지 6은 조명등(1)의 장착동작도이고, 도 7은 변형된 높이보정부재(60)의 예시도이다. 조명등(1)는 조명유니트(10), 브래킷유니트(20), 슬라이더(30), 걸림스프링(40), 걸림링크(50)및 높이보정부재(60)를 갖는다.
조명유니트(10)는 조명프레임(11)과 조명부(12)를 갖는다.
조명프레임(11)은 복수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부재들이 상호 결합되어 각각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조명프레임(11)은 조명부(12)를 둘러싸며 지지하는 틀형상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틀을 갖고 프레임걸림홈(111)이 형성된다. 프레임걸림홈(111)은 후술할 슬라이더(30)의 프레임걸림부(32)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조명부(12)는 조명프레임(11)에 둘러싸여 지지되며 광을 출력한다. 조명부(12)는 LED유니트와 도광판, 반사판, 확산판 등으로 구성되어 얇은 조명등(1)를 이루게 된다.
브래킷유니트(20)는 조명등(1)를 평행하게 배치된 천장프레임(2)의 하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상호 연접된 천장보드(3) 사이에 장착되도록 한다. 브래킷유니트(20)는 상부브래킷(21), 하부브래킷(22) 및 연결부(23)를 갖는다.
상부브래킷(21)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접한 한 쌍의 천장프레임(2) 상부에 가로로 걸쳐 지지된다. 상부브래킷(21)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방으로의 조명등(1)의 전체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도의 재질과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브래킷(21)은 후술할 연결부(23)의 간격조절부(231)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하부브래킷(22)은 천장프레임(2)의 하부에 상부브래킷(2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조명프레임(11)과 결합된다. 하부브래킷(22)은 물림리브(221), 길이조절수용부(222), 결합가이드(223) 및 멈춤홈(224)을 갖는다.
물림리브(221)는 한 쌍의 천장프레임(2)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고 한 쌍의 천장프레임(2)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림리브(221)는 후술할 물림슬릿(62)에 수용된다. 길이조절수용공(222)는 후술할 연결부(23)의 간격조절부(231)가 삽입되면서 관통 형성된다. 결합가이드(223)는 연결부(23)의 연결측면(234)가 하부브래킷(22)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다. 결합가이드(223)는 체결공일 수 있으며, 연결부(23)의 연결측면(234)이 결합위치에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멈춤홈(224)은 후술할 높이보정부재(60)의 멈춤턱(63)에 삽입되어 높이보정부재(60)의 결합위치를 안내한다.
연결부(23)는 상부브래킷(21)과 하부브래킷(22)을 상호 연결한다. 연결부(23)는 상부브래킷(21)에 대하여 장착브래킷(22)를 이격거리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23)는 간격조절부(231), 상부지지부(232), 하부지지부(233) 및 연결측면(234)를 갖는다.
간격조절부(231)는 상부브래킷(21)의 길이조절공(211)과 하부브래킷(22)의 길이조절수용공(222)에 삽입된다. 간격조절부(231)는 볼트와 너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부지지부(232)는 연결측면(234)을 연결하며 상부브래킷(21)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하부지지부(233)는 하부브래킷(22)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연결측면(234)은 하부브래킷(22)과 결합된 부분인 하부지지부(23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부(234)는 상기에 한하여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피니언에 의해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피니언 외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던 가능하다.
슬라이더(30)는 슬라이딩본체(31), 프레임걸림부(32), 링크걸림부(33), 스프링지지부(34) 및 슬라이더가이드(35)를 갖는다.
슬라이딩본체(31)는 하부브래킷(22)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딩본체(31)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일단 영역에는 슬라이딩본체(3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프레임걸림부(32)가 마련된다. 프레임걸림부(32)는 프레임걸림홈(111)에 걸리게 형성되어 조명프레임(11)의 일측을 지지한다. 프레임걸림부(32)는 하부브래킷(22)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다.
링크걸림부(33)는 후술할 링크본체(51)의 링크걸림홈(511)에 걸리게 형성되어 조명프레임(11)의 타측을 지지한다. 스프링지지부(34)는 후술할 걸림스프링(4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가이드(35)는 슬라이딩본체(31)을 덮으며 하부브래킷(22)에 결합되며 슬라이딩본체(3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걸림스프링(40)은 슬라이더(30)의 프레임걸림부(32)가 프레임걸림홈(111)에 걸리는 걸림방향으로 슬라이더(30)를 탄성적으로 민다.
걸림링크(50)는 링크본체(51), 고정결합부(52) 및 걸림힌지(53)를 갖는다. 걸림링크(50)는 슬라이더(30)의 링크걸림부(33)에 걸려 있을 수 있으며 슬라이디어(3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걸림 해제되면 조명프레임(11) 전체가 회전되면서 하방으로 하락되다가 링크본체(51)에 의해 걸려 있게 된다.
링크본체(51)는 걸림힌지(53)에 의해 하부브래킷(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링크본체(51)는 링크걸림홈(511)을 갖는다. 링크걸림홈(511)은 링크걸림부(33)에 걸리어 장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고정결합부(52)는 걸림힌지(53)에 의해 링크본체(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명프레임(11)에 체결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높이보정부재(60)는 하부브래킷(22)의 양단 상부 영역에 탈장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천장프레임(2)의 하면에 접촉되어 하부브래킷(22)의 상승 높이를 제한한다. 높이보정부재(60)는 보정단(61), 물림슬릿(62) 및 멈춤턱(63)을 갖는다. 보정단(61)는 하부브래킷(22)에 결합되어 적어도 2이상 마련되며,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다. 보정단(61)각가은 상이한 보정높이를 갖는다. 물림슬릿(62)은 하부브래킷(22)에 물림결합되기 위해 보정단(61)의 타측에 형성된다. 물림슬릿(62)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멈춤턱(63)은 물림슬릿(61)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구간 중 함몰되지 않은 구간이다. 멈춤턱(63)은 하부브래킷(22)의 멈춤홈(224)에 삽입되어 높이보정부재(60)를 하부브래킷(22)의 양단 영역 즉, 천장프레임(2)에 접촉되며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하부브래킷(22)과 높이보정부재(60)에 각각 물림리브(221)와 물림슬릿(62)에 멈춤홈(224)과 멈춤턱(63)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높이보정부재(60)의 물림슬릿(62)은 하부브래킷(22)의 물림리브(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은 조명등(1)의 동작도이다.
도 3 한 쌍의 천장프레임(2) 하부에 한 쌍의 천장보드(3)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브래킷유니트(20)가 한 쌍의 천장프레임(2)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브래킷유니트(20)의 길이방향을 천장프레임(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도 4 한 쌍의 천장프레임(2)의 상방으로 배치된 브래킷유니트(20)를 회전시켜 상부브래킷(21)이 한 쌍의 천장프레임(2)에 걸치도록 배치한다.
도 5 높이보정부재(60)의 물림슬릿(62)이 하부브래킷(22)의 상단을 수용하면서 물림결합된다. 이후 연결부(23)의 간격조절부(231)를 회전시켜 하부브래킷(22)을 상부브래킷(21)에 접근되도록 이동시킨다. 하부브래킷(22)에 결합된 높이보정부재(60)의 상면인 보정단(61)가 천장프레임(2)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하며 상부브래킷(21)과 하부브래킷(22)의 간격을 조절하여 파지결합시킨다.
도 6 상부브래킷(21)과 높이보정부재(60)가 물림결합된 하부브래킷(22)이 파지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명프레임(11)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프레임걸림홈(11)과 링크걸림홈(511)에 프레임걸림부(32)와 링크걸림부(33)가 걸리도록 하여 조명등(1)를 천장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높이보정부재(60)는 탈장착 가능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높이보정부재(60)는 하부브래킷(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되어 하부브래킷(22)의 상측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위치와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천장보드(3)의 두께가 두껍지 않은 경우 높이보정부재(60)는 해제 위치에서 있어 장착 설치작업을 할 수 있고, 천장보드(3)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회전하여 원하는 높이를 만들어서 천장프레임(2)에 접촉되며 하부브래킷(22)을 조명프레임(11)과 락킹되기 편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보정부재(60)는 하부브래킷(22)에 물림결합되도록 4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2쌍으로 마련되며 2개의 높이보정부재(60) 상면을 연결시켜 한 번에 하부브래킷(22)에 결합되도록 하여 설치작업의 효율을 높힐 수도 있다.
상기의 조명등(1)로 인하여, 천장보드(3)의 두께에 맞는 높이보정부재(60)를 하부브래킷(22)의 상단에 결합한 후 상부브래킷(21)과 하부브래킷(22)을 접근시키면 하부브래킷(22)이 조명프레임(11)과 락킹되기 위한 적절한 높이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천장보드(3)의 다양한 높이에 따라 높이보정부재(6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높이보정부재(60)가 하부브래킷(22)의 양단 영역에 정확하게 배치되며 물림결합될 수 있다.
1 : 조명등 장치 2 : 천장프레임
3 : 천장보드 10 : 조명유니트
11 : 조명프레임 12 : 조명부
20 : 브래킷유니트 21 : 상부브래킷
22 : 하부브래킷 23 : 연결부
30 : 슬라이더 31 : 슬라이더본체
32 : 프레임걸림부 33 : 링크걸림부
34 : 스프링지지부 35 : 슬라이더가이드
40 : 걸림스프링 50 : 걸림링크
51 : 링크본체 52 : 고정결합부
53 : 걸림힌지 60 : 높이보정부재
61 : 보정단 62 : 물림슬릿
63 : 멈춤턱 111 : 프레임걸림홈
211 : 길이조절공 221 : 물림리브
222 : 길이조절수용공 223 : 결합가이드
224 : 멈춤홈 231 : 간격조절부
232 : 상부지지부 233 : 하부지지부
234 : 연결측면 511 : 링크걸림홈

Claims (3)

  1. 평행하게 배치된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상호 연접된 천장보드 사이에 장착되는 조명등에 있어서,
    조명프레임과 상기 조명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되는 조명부를 갖는 조명등유니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천장프레임 상부에 가로로 걸쳐 지지되는 상부브래킷, 상기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상부브래킷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조명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하부브래킷, 상기 상부브래킷과 상기 하부브래킷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브래킷유니트; 및
    상기 하부브래킷의 양단 상부 영역에 탈장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천장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브래킷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높이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보정부재는 상이한 보정높이를 갖는 복수의 보정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래킷과 상기 높이보정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물림슬릿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물림슬릿에 수용되는 물림리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KR1020210088938A 2021-07-07 2021-07-07 조명등 KR20230008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38A KR20230008374A (ko) 2021-07-07 2021-07-07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938A KR20230008374A (ko) 2021-07-07 2021-07-07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374A true KR20230008374A (ko) 2023-01-16

Family

ID=8510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938A KR20230008374A (ko) 2021-07-07 2021-07-07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83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327B1 (ko) 조명등기구
US4424554A (en) Ceiling fixture with improved mounting means
KR20170118638A (ko) 엣지타입 조명등의 장착장치
KR101781149B1 (ko) 조명장치
KR100882550B1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MX2014009280A (es) Panel de conexion de telecomunicaciones montable en un bastidor.
KR20230008374A (ko) 조명등
US3258239A (en) Suspended lighting fixture
KR20210035467A (ko) 엣지형 조명등 장치
GB2147657A (en) A single handle operated tilt or turn mounting for a window or the like
KR20230008373A (ko) 조명등 장치
KR102207098B1 (ko) 엣지형 조명등
US10274148B2 (en) Adjustment assembly for a lighting device
KR102390609B1 (ko) 조명등장치
KR102179704B1 (ko) 조명등
CN216345815U (zh) 照明设备
US3831894A (en) Overhead light suspension hanger
US2946881A (en) Leveling device for lighting fixtures
CN219510695U (zh) 一种筒射灯安装装置及一种筒射灯
KR20040017913A (ko) 천정 매립형 무대조명장치의 고정장치
KR20240057698A (ko) 천장등 고정장치
KR20210060056A (ko) 조명등장치
JP7365001B2 (ja) 照明器具
CN214745578U (zh) 一种led补光灯亮度自动控制器
CN220326075U (zh) 一种双电源的可调节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