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840A -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 Google Patents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840A
KR20230007840A KR1020210088647A KR20210088647A KR20230007840A KR 20230007840 A KR20230007840 A KR 20230007840A KR 1020210088647 A KR1020210088647 A KR 1020210088647A KR 20210088647 A KR20210088647 A KR 20210088647A KR 20230007840 A KR20230007840 A KR 20230007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backflow prevention
prevention device
rice contai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안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앤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to KR102021008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840A/ko
Priority to CN202210780190.8A priority patent/CN115583405A/zh
Publication of KR2023000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쌀통 내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여서 보관통 내가 진공이 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이동을 허여하고, 반대 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은 막아서 보관통 내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쌀통용 진공모듈{VACUUM MODULE FOR VACUUM RICE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쌀통에 활용되는 진공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에 관한 것이다.
쌀은 벼의 씨앗에서 벗겨 낸 식량을 뜻한다. 쌀은 자체적으로 유통기한이 길기는 하지만 쌀도 곡물의 일 종류이므로 상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쌀은 쌀통에 보관한다. 쌀통은 쌀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습기를 차단하는 황토나 흙을 구워서 만든 토기로 이루어진 항아리와 같은 저장용기 또는 플라스틱 통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아리는 가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깨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통은 장기간 보관 시 쌀의 품질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는 하였다. 즉, 항아리와 플라스틱 통 모두 쌀이 변질되고, 쌀 벌레가 생기는 문제점을 원초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쌀을 보관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쌀을 보관하는 진공쌀통이 활용되고는 한다.
진공쌀통은 단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쌀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쌀통이다. 쌀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쌀에 있는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억제하여 적정 수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쌀의 변색을 예방하고, 진공 상태로 쌀을 보관함으로써 벌레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쌀에 곰팡이가 발생할 걱정을 할 필요도 없어, 쌀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쌀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위하여 진공에서 기인하는 것인 바, 진공쌀통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쌀통의 경우,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모터 또는 펌프가 동작을 중단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쌀통 내의 진공 정도가 하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는 하였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2238084" (2021.04.08 공고)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쌀통 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서 쌀통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은 뚜껑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흡입부, 상기 뚜껑이 보관통에 정렬되어 배치되면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부로 인가하여 상기 보관통을 진공으로 만드는 진공장치 및 상기 흡입부와 상기 진공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력으로 인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이동을 허여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연통홀이 형성된 밀폐부와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와 상기 역류방지장치 또는 상기 진공장치와 상기 역류방지장치 사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관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는 중앙에 흡입홀이 형성된 돌출부이며,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일측에 입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입구부 사이에는 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장치는 일측에 진공홀이 형성된 진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타측에 출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부와 출구부 사이에는 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입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입구부와 타측에 출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는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이 상기 흡입부, 상기 역류방지장치 또는 진공장치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압링이 관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서 절곡된 형상의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설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흡입부와 진공장치 사이에 일방향으로만 공기의 이동을 허여하는 역류방지장치가 배치되어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쌀통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쌀통을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이 탑재된 진공쌀통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역류방지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역류방지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진공장치의 진공부, 역류방지장치의 타측, 제2관 및 가압링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이 탑재된 진공쌀통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은 뚜껑(20)에 내장되어 배치된다. 뚜껑(20)은 쌀을 보관(400)할 수 있는 보관통(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며 배치된다. 뚜껑(20)은 흡입부(100) 부분이 보관통(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통(10)은 뚜껑(20)이 정렬되어 배치되는 경우 흡입부(100)를 제외하고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은 흡입부(100), 진공장치(200) 및 역류방지장치(300)를 포함하며, 흡입부(100)와 역류방지장치(300) 사이 또는 역류방지장치(300)와 진공장치(200) 사이에는 관(400)이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흡입부(100)는 뚜껑(20)을 관통하며 형성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100)는 뚜껑(20)의 상하를 관(400)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20)이 정렬되어 배치되면 뚜껑(20)은 보관통(10)을 밀폐하게 되어, 보관통(10)은 흡입부(100)를 제외하고 공기가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수 있다.
흡입부(100)는 중앙에 흡입홀이 형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즉,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흡입부(100)는 상측을 향하여 원통형의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일 수 있다. 따라서 관(400)이 흡입부(100)에 배치되면 흡입부(100)는 관(400)과 연통되는 부분만이 공기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진공장치(200)는 흡입부(10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공기를 일방향으로 흡입하는 흡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진공장치(200)는 흡입부(1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장치(200)는 흡입부(100)에 흡입력을 인가하여 보관통(10) 내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보관통(10)을 진공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진공장치(200)는 미도시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흡입부(100)와 진공장치(200) 사이에는 역류방지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부(100)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역류방지장치(300)를 통하여 진공장치(200)로 이동될 수 있다. 역류방지장치(300)는 공기의 일방향 이동만을 허여한다. 따라서 흡입부(100)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이동된 공기는 타방향으로 확산 이동된다 하여도 역류방지장치(300)로 인하여 보관통(10) 내로 이동될 수 없다. 역류방지장치(300)의 형상은 후술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관(400)은 흡입부(100)와 역류방지장치(300) 또는 역류방지장치(300)와 진공장치(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관(400)은 제1관(410)과 제2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붙여진 명칭일 뿐 관(400) 자체는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제1관(410)과 제2관(420)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관(410)과 제2관(420)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1관(410)과 제2관(420)은 설정된 직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서 제1관(410)과 제2관(420)의 직경은 흡입부(100)의 직경, 후술할 역류방지장치(300)의 입구부(340) 및 출구부(350)의 직경,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할 진공장치(200)의 진공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관(410)은 일측에서 흡입부(100)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며, 타측에서 역류방지장치(300)의 입구부(340)와 억지 낌으로 결합되고, 제2관(420)은 일측에서 역류방지장치(300)의 출구부(350)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며, 타측에서 진공장치(200)의 진공부(210)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들 사이에는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은 흡입부(100), 일측이 흡입부(100)에 연결된 제1관(410), 제1관(410)의 타측과 연결된 역류방지장치(300), 역류방지장치(300)와 일측에서 연결된 제2관(420), 제2관(420)과 타측에서 연결된 진공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공장치(200)는 일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의 진공장치(200)가 뚜껑(20)에 내장되어 배치 시 고정적으로 배치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왜냐하면 진공장치(200)는 전원공급에 의하여 흡입력을 인가하는 바, 떨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진공장치(200)의 원통형 부분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위치가 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연결된 부분에 갭(gap)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3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30)은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프레임(30)은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은 두 개로 구성되며 두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장치(200)의 원통형 부분은 지지프레임(30)의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지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30)에 의하여 진공장치(200)의 원통형 부분은 대칭되는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30)은 이와 같이 진공장치(200)를 지지하며 고정함으로써 진공장치(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어서, 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역류방지장치의 확대도이다.
역류방지장치(300)는 하우징(310), 밀폐부(320), 폐쇄부(330), 입구부(340) 및 출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310)은 역류방지장치(300)의 뼈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밀폐부(320)는 하우징(310)의 내부의 빈 공간을 폐쇄하는 형태로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밀폐부(320)는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은 밀폐부(32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밀폐부(320)를 기준으로 연통홀을 제외하고는 밀폐부(320)의 일측과 타측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공간이 없을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밀폐부(320)를 기준 좌측과 우측은 연통홀을 제외하고는 연통되는 공간이 없을 수 있다.
폐쇄부(330)는 연통홀을 폐쇄하며 일방향으로 지속적인 힘을 가할 수 있다. 폐쇄부(330)는 일례로 스프링이 연결된 마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폐쇄부(330)는 지속적으로 우측으로 힘을 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폐쇄부(330)로 인하여 공기는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허여될 수 있다.
도 3을 통하여 이를 설명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폐쇄부(330)를 좌측으로 밀어내고, 그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쇄부(330)가 우측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인가하는 힘을 더욱 강하게 할 뿐이다. 그러므로 연통홀은 폐쇄되게 되는 바 공기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입구부(340)는 하우징(310)의 일측에 연장되며 형성되고, 출구부(350)는 하우징(310)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측은 도 3에서 우측일 수 있고, 타측은 좌측일 수 있다.
입구부(340)는 흡입부(100)로부터 이동된 공기가 이동되는 부분이고, 출구부(350)는 연통홀을 통하여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장치(200)로 이동되는 부분일 수 있다.
입구부(340)와 출구부(350)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구부(340)는 우측으로 갈수록, 출구부(350)는 좌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되어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구부(340)와 출구부(350)는 도 1,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각 제1관(410), 제2관(420)과 연결될 때 연결이 편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연결이 될 수 있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의 역류방지장치의 확대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는 밀폐부(320)와 폐쇄부(3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는 제1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와 유사한 구성(하우징(310), 입구부(340), 출구부(350)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가 제1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300)는 설치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311)는 도 4를 기준으로 하우징(310)의 하측에서 하우징(310)의 빈 공간을 일부 폐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311)는 하우징(310)의 빈 공간을 좁히되 그 단면의 형상이 '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310)의 하측은 설치부(311)의 존재로 인하여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32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설치부(31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밀폐부(320)의 일측(도 4에서는 하측)은 설치부(31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밀폐부(320)의 내면이 설치부(311)를 가압하는 형태로 밀폐부(320)는 설치부(311)의 외주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320)의 하측과 설치부(311)는 강력하게 결합되어 그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밀폐부(320)는 연통홀이 타측(도 4에서는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부(32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어 항상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를 폐쇄부(330)라고 명명할 수 있다. 즉, 밀폐부(320)의 연통홀 주변을 폐쇄부(330)라고 명명할 수 있다.
폐쇄부(330)의 형상이 변형되기 전에는 수축되어 폐쇄부(330)로 인하여 연통홀이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를 기준으로 공기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부(330)는 수축된 부분이 팽창되면서 펼쳐지게 되고(도 4의 확대 도 참고), 그로 인하여 연통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연통홀을 통하여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공기의 흐름이 멈추게 되면 폐쇄부(330)는 원래의 형태로 돌아와서(수축되어) 연통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다시 변형된다. 만약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연통홀이 폐쇄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폐쇄부(330)의 수축을 더욱 도울 수 있을 뿐 연통홀을 개방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공기는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이동될 수 있으나 역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 3, 도 4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역류방지장치(300)가 배치되어 공기의 일방향의 이동은 허용하나, 타방향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공장치(200)가 동작되는 경우 보관통(1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의 일방향 이동은 허용하나, 진공장치(200)의 동작이 종료된 후 공기가 역으로 보관통(10) 내로 인입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공이 된 보관통(10)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모듈의 진공장치의 진공부, 역류방지장치의 타측, 제2관 및 가압링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링(5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링(500)은 각 구성들이 연결된 부분을 가압하는 링일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42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관(420)은 일측에서 역류방지장치(300)의 출구부(350)와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진공장치(200)의 진공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관(420)의 일측에는 제2관(420)의 둘레를 따라서 제2관(420)을 가압하는 가압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압링(500)은 제2관(420)을 가압하여 제2관(420)과 역류방지장치(300)의 출구부(350) 사이를 강하게 가압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압링(500)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배출부와 제1관(410)이 연결되는 부분, 입구부(340)와 제1관(410)이 연결되는 부분, 제2관(420)과 진공부(210)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보관통
20 : 뚜껑
30 : 지지프레임
100 : 흡입부
200 : 진공장치
210 : 진공부
300 : 역류방지장치
310 : 하우징
311 : 설치부
320 : 밀폐부
330 : 폐쇄부
340 : 입구부
350 : 출구부
400 : 관
410 : 제1관
420 : 제2관
500 : 가압링

Claims (8)

  1. 진공쌀통용 진공모듈에 있어서,
    뚜껑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흡입부;
    상기 뚜껑이 보관통에 정렬되어 배치되면 공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부로 인가하여 상기 보관통을 진공으로 만드는 진공장치; 및
    상기 흡입부와 상기 진공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력으로 인하여 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으로만 공기의 이동을 허여하는 역류방지장치
    를 포함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연통홀이 형성된 밀폐부와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상기 연통홀을 폐쇄하는 폐쇄부
    를 포함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와 상기 역류방지장치 또는 상기 진공장치와 상기 역류방지장치 사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는 관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중앙에 흡입홀이 형성된 돌출부이며,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일측에 입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입구부 사이에는 관이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장치는 일측에 진공홀이 형성된 진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타측에 출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부와 출구부 사이에는 관이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입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입구부와 타측에 출구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는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 상기 흡입부, 상기 역류방지장치 또는 진공장치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압링이 관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서 절곡된 형상의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설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KR1020210088647A 2021-07-06 2021-07-06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KR20230007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47A KR20230007840A (ko) 2021-07-06 2021-07-06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CN202210780190.8A CN115583405A (zh) 2021-07-06 2022-07-04 真空米桶用真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647A KR20230007840A (ko) 2021-07-06 2021-07-06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40A true KR20230007840A (ko) 2023-01-13

Family

ID=8477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647A KR20230007840A (ko) 2021-07-06 2021-07-06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7840A (ko)
CN (1) CN1155834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084B1 (ko) 2020-12-23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084B1 (ko) 2020-12-23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83405A (zh)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9356C (zh) 气密的可以重新盖上的加工食品容器
KR100774248B1 (ko)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용기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US20070164053A1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US6418978B2 (en) Packaging and dispensing device including a vacuum-filled contai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CA2403067A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US20100038267A1 (en) Vacuum packaging container
CH463296A (fr) Récipient à fermeture hermétique
KR20230007840A (ko) 진공쌀통용 진공모듈
US20100126954A1 (en) Valve for a tubular container
KR200439696Y1 (ko) 포장대의 가스배출용 밸브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FI76036C (fi) Inskjutbar sjaelvventilerande tappningspip.
JP6831986B2 (ja) キャップ
KR20060120522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2372050B1 (ko) 진공보관함
US11399614B2 (en) Airless cosmetic container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584853B1 (ko) 이중결합구조의 진공용기
KR102274526B1 (ko) 진공펌핑방식의 밀폐용기
JP6240690B2 (ja) 密封容器
JPH02500831A (ja) いわゆる箱入袋パッケージに使用される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または積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から成る潰縮可能の袋のスパウトの吐出口のためのドレン装置
KR102563913B1 (ko) 고온고압 공기배출용 포장용기
KR200475141Y1 (ko) 파우치 용기의 주입구 개폐장치
KR200332153Y1 (ko) 진공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