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707A -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 Google Patents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707A
KR20230007707A KR1020210088367A KR20210088367A KR20230007707A KR 20230007707 A KR20230007707 A KR 20230007707A KR 1020210088367 A KR1020210088367 A KR 1020210088367A KR 20210088367 A KR20210088367 A KR 20210088367A KR 20230007707 A KR20230007707 A KR 20230007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pole
frame
fixing device
p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4438B1 (en
Inventor
배재건
Original Assignee
배재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건 filed Critical 배재건
Priority to KR102021008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438B1/en
Publication of KR2023000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7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andcart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 fixing device has a frame structure that surrounds an entire side and the bottom of the boat, thereby capable of increasing supporting force of the pole. Since the pole fixing device can be detached when not in use, the pole fixing device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The pole fix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urved frames and a connection frame.

Description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본 발명은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트의 측면과 바닥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통해 폴대의 지지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a pole through a structure covering the entire side and bottom of a boat.

보트를 이용하여 민물낚시를 할 경우 낚시 포인트를 찾아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물의 흐름이나 바람에 의해 보트가 이동하거나 흔들릴 수 있어서 폴대를 이용하여 보트를 특정 위치에 정박시키도록 하고 있다.In the case of freshwater fishing using a bo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move to find a fishing point. However, since the boat can be moved or shaken by the flow of water or the wind, poles are used to anchor the boat at a specific location.

이때 폴대를 고정시키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70226호(2020.01.20. '낚시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와 같은 장치가 사용된다.At this time, a device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70226 (2020.01.20. 'Fishing boat anchoring pole fixing device') is used to fix the pole.

하지만 종래의 폴대 고정장치는 폴대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보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수상에서도 폴대 고정장치를 보트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정부가 보트의 측면에서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경우 지지력이 약하여 다소 빠른 유속에 버티지 못하고 폴대가 뽑히는 경우가 많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le fix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art for supporting the pol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at. Due to this simpl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le fixing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boat even on the water, but when the fixing part is individually combined on the side of the boat, the supporting force is weak and the pole is often pulled out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a rather fast flow rat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트의 측면과 바닥 전체를 감싸는 프레임 구조를 통해 폴대의 지지력을 높여주도록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age that increase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pole through a frame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ire side and bottom of the boat.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는, 보트의 측면에 밀착되며 폴대가 삽입되는 폴대지지관이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곡선형프레임; 및 상기 보트의 바닥에서 상기 복수의 곡선형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oat and a plurality of curved frames provided with a pole support tube into which the pole is inserted;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urved frames to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boat.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연장프레임; 및 일측으로 상기 곡선형프레임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연장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중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frame may include an extended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lay frame in which the curved fram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connection protrusion to which the extens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s formed.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형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곡선형프레임에는 바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지지브라켓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curved frames among the plurality of curved frames may be provided with wheel support brackets to which wheel frames are rotatably coupled.

또, 상기 곡선형프레임의 상부 끝단에는 보트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pin inserted into a coupling part provided in a boat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rved fram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는, 보트의 양쪽 측면에서부터 상기 보트의 바닥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일체형 프레임; 및 상기 일체형 프레임에서 상기 보트의 양쪽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폴대가 삽입되는 폴대지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tegral frame manufactured in a form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t from both sides of the boat; It may include; and a pole support pipe formed at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oat in the integrated frame and into which a pole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폴대가 지지되는 곡선형프레임 전체가 한 덩어리의 몸체가 되어 폴대의 지지력을 높여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보트의 측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폴대를 지지시켰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부가 폴대를 지지하는 힘이 약하여 빠른 유속이나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폴대가 쉽게 뽑히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에는 고정부가 보트 측면에서 미끄러지거나 뒤틀리면서 본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폴대의 고정각도가 변하면서 결국 폴대가 쉽게 뽑히는 문제가 있었다.First, the entire curved frame on which the pole is supported becomes a body of one body to increase the support of the pole. That is, in the past, poles were supported using fixing parts that ar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at. Accordingly, the strength of each fixing part to support the poles was weak, so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poles were easily pulled out depending on the fast flow rate or human movement. . That is, in the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ixing part slipped or twisted on the side of the boat and devi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pole was easily pulled out as the fixing angle of the pole changed.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트의 전후방 양측에 결하보디는 곡선형프레임이 중계프레임과 연장프레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보트의 측면에서부터 바닥까지 프레임이 완전히 감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보트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을 폴대 고정장치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대에 가해지는 힘 역시 분산되어 지지력이 높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frame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at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relay frame and the extension frame, so that the frame completely wraps from the side of the boat to the botto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boat to distribute the force applied to either side to the entire pole fixing device, and 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to the pole is also dispersed to increase the support.

또한, 폴대지지관이 보트 사방의 4개 지점에서 전체 프레임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강한 바람이 불거나 풍랑이 치더라도 전체 프레임이 외부의 힘을 부담함으로써, 폴대지지관이 보트 측면에서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즉, 전체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한, 폴대지지관이 본래 형성되어 있는 위치 및 형성된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한 바람이나 풍랑에도 폴대가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쉽게 뽑혀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le support pipe is integrally fixed through the entire frame at four points on the four sides of the boat. Accordingly, even if strong wind blows or stormy waves, the entire frame bears the external force, so that the pole support pipe can be moved to the side of the boat. will not move out of position. That is, as long as the entire frame is not bent or damaged, the pole support tube maintains the originally formed position and formed angle, so that the pole can maintain its position even in strong winds or storms, so that it is not easily pulled out. .

또한 폴대지지관은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폴대지지관에 폴대를 삽입하여 바닥에 찔러 넣으면, 폴대와 바닥이 마주한 지점들의 면적이 보트의 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중심을 더욱 잘 잡아줄 수 있다. 기저면이 넓을 경우 균형을 더 잘 잡아 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In addition, the pole support pipe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so as to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if a pole is inserted into the pole support tube and poked into the floor, the area of the points where the pole and the floor face each other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oat, so the center can be better held. It is the same principle that a wider base can provide better balance.

또한 고정프레임의 바퀴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바퀴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보트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고, 수중에서는 부력에 의해 바퀴가 자동으로 접혀지면서 보트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boat can be conveniently moved on the ground using the wheels coupled to the wheel support brackets of the fixed frame, and the wheels are automatically folded by buoyancy in the wa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boat operation.

또 바퀴가 없을 경우에는 지상에서 폴대 고정장치와 보트를 조립한 후 수면으로 끌고 가야 하는데, 이때 보트 바닥 부분을 감싸고 있는 폴대 고정장치가 지면과 보트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어 보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퀴는 옵션 사항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폴대 고정장치에 의한 보트 보호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In addition, if there are no wheels, you have to assemble the pole fixing device and the boat on the ground and drag it to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pole fixing device covering the bottom of the boat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boat and the ground, preventing damage to the boat. there is. That is, the wheel may not be formed as an option, in which cas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boat by the pole fixing device is further increased.

또 폴대 고정장치의 각 부품들은 미사용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며, 조립된 폴대 고정장치에 보트의 결합부를 결합시킨 후 에어를 충진하면, 보트가 폴대 고정장치의 형태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부풀어 올라, 보트와 폴대고정장치 사이의 완전한 밀착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part of the pole fixture can be separat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so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If you connect the joint part of the boat to the assembled pole fixture and then fill it with air, the boat will be st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le fixture. As it settles into place, it inflates, allowing a perfect tight fit between the boat and the pole ancho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가 보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가 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퀴가 접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보트를 정박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coupled to the boat.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coupled to the boat.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at is anchored using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s are not necessarily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mbin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가 보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가 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퀴가 접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폴대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보트를 정박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shown in FIG.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ol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a boat,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heel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FIG. 1 is coupled to a boat, and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boat is anchored using the pole fixing device shown in 1.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이하 '폴대 고정장치'라고 함)는 곡선형프레임(34), 연결프레임(31,33), 폴대지지관(36), 바퀴지지브라켓(39) 및 바퀴(41)를 포함한다. 폴대 고정장치는 보트(10)에 결합되어 폴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폴대 고정장치의 설명 전에 보트(10)에 대하여 먼저 설명토록 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boat anchoring pole fix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ved frame 34, connecting frames 31 and 33, a pole It includes a support pipe 36, a wheel support bracket 39 and a wheel 41. The pol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boat 10 and serves to support the pole 20, and the boat 10 will be described first b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ole fixing device.

보트(10)는 대략 타원형의 고무튜브와, 고무튜브의 아래쪽을 덮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고무튜브에는 에어가 충진되며, 고무튜브의 측면에 폴대 고정장치가 결속되는 결합부(11)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1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The boat 10 includes a substantially elliptical rubber tube and a bottom portion covering the bottom of the rubber tube. The rubber tube is filled with air, and a coupling part 11 to which the pole fixing device is bou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ubber tube. The coupling part 11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폴대 고정장치의 곡선형프레임(34)은 보트(10)의 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선형으로 제작되며, 곡선형프레임(34)의 상부 끝단에 전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삽입핀(3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곡선형프레임(34)의 측면 바깥쪽으로 폴대지지관(36)이 마련되어 있다. 폴대지지관(36)은 상하로 관통된 구조로 제작되며, 폴대지지관(36)의 일정 지점에 폴대고정수단(37)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폴대지지관(36)에 폴대(20)를 삽입한 후 폴대고정수단(37)을 잠가주면 폴대(20)가 폴대지지관(36)에 고정된다. 폴대고정수단(37)으로는 폴대(20)를 조여주는 방식, 또는 나사조임 방식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curved frame 34 of the pole fixing device is manufactured in a curv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boat 10, and an insertion pin 35 protruding forward and backwar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urved frame 34. there is. In addition, a pole support pipe 36 is provided outside the side of the curved frame 34. The pole support pipe 36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penetrates vertically, and a pole fixing means 37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f the pole support pipe 36. Therefore, if the pole 20 is inserted into the pole support tube 36 and then the pole fixing means 37 is locked, the pole 20 is fixed to the pole support tube 36. As the pole fixing means 37,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method for fastening the pole 20 or a screw fastening method may be applied.

한편 곡선형프레임(34)에는 바퀴(41)가 결합되는 바퀴지지브라켓(39)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선형프레임(34)은 보트(10)의 전방(도면상 좌측) 좌측과 우측, 후방(도면상 우측)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도록 총 4개가 마련되어 있는 예시를 도시하였는데, 이 중 바퀴지지브라켓(39)은 보트(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곡선형프레임(34)에만 마련되어 있는 예시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전체 곡선형프레임(34)에 바퀴지지브라켓(39)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urved frame 34 is provided with a wheel support bracket 39 to which the wheel 41 is coupled. In this embodiment, the curved frame 34 has shown an example in which a total of four are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left side in the drawing) and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rea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boat 10, of which An example in which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is provided only to the curved frame 34 coupled to the rear of the boat 10 is show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is provided in the entire curved frame 34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바퀴프레임(42)의 하부에는 바퀴(41)가 마련되어 있고, 바퀴프레임(42)의 상부는 바퀴지지브라켓(3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 wheel 41 is provided below the wheel frame 4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wheel frame 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연결프레임(31,33)은 보트(10)의 저면에서 4개의 곡선형프레임(34)을 서로 연결시켜주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은 중계프레임(31) 및 연장프레임(33)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frames 31 and 33 are provided to connect the four curved frames 34 to each other on the bottom of the boat 10. This connection frame includes a relay frame 31 and an extension frame 33.

중계프레임(31)은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트(10)에 마련된 결합부(11)의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되며, 중계프레임(31)의 전후방 양측에는 각각 곡선형프레임(34)과 연장프레임(33)이 결합되는 연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돌기(32)의 일정 지점에는 곡선형프레임(34) 및 연장프레임(33)이 끼워진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The relay frame 31 is manufactured to have a certain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more specifically,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coupling part 11 provided on the boat 10,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lay frame 31 are each curved. A connect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which the molded frame 34 and the extension frame 33 are coupled. An elastic ball (not shown) is provided at a certain point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32 to prevent separation after the curved frame 34 and the extension frame 33 are inserted.

중계프레임(31)은 보트(10) 저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중계프레임(31)의 바깥 방향 연결돌기(32)에 곡선형프레임(34)이 끼워지고, 중계프레임(31)의 안쪽 방향 연결돌기(32)에 연장프레임(33)이 끼워진다.The relay frame 31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boat 10, respectively, and the curved frame 34 is fitted into the outer connecting protrusion 32 of the relay frame 31, and the relay frame 31 The extension frame 3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rojection 32 in the inward direction.

한편, 도면에 표시된 부호 38은 뜰채걸이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38 in the drawing indicates a landing po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대 고정장치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ol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보트(1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 고정장치의 각 부품들을 모두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관과 운반이 편리해진다. 또한 보트(10)의 고무튜브에 채워진 에어를 빼내면 보트(10)의 보관과 운반도 편리해진다.First, when the boat 10 is not in use, each part of the pole fixing device can be separat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1, and thus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 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air filled in the rubber tube of the boat 10 is removed,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boat 10 become convenient.

이후 보트(10)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 고정장치를 조립한다. 즉 두 개의 중계프레임(31)을 배치한 후, 중계프레임(31)들 사이의 전후방에 각각 연장프레임(33)을 끼워주고, 두 개의 중계프레임(31) 바깥 방향으로 곡선형프레임(34)을 끼워준다.After that, if you want to use the boat 10, assemble the pole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 That is, after disposing the two relay frames 31, each extending frame 33 is inserted in the front and rear between the relay frames 31, and the curved frame 34 is moved outward from the two relay frames 31. put it in

한편 바퀴(41)와 바퀴프레임(42) 역시 바퀴지지브라켓(39)에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퀴프레임(42)을 바퀴지지브라켓(39)에 연결한다. 이때 폴대 고정장치의 조립 과정은 항상 지상에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을 마친 이후에는 지상으로부터 물 위로 보트(10)를 끌고 가야 한다. 이때 바퀴(41)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41)가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을 잠가준다.Meanwhile, the wheel 41 and the wheel frame 42 may also be stored separated from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In this case, the wheel frame 42 is connected to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At this time, sinc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ole fixing device must always be performed on the ground, after completing the assembly, the boat 10 must be dragged from the ground to the water. At this time, since the wheel 41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shown in FIG. 2, the wheel 41 is in an upright state and then the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is locked.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 고정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양쪽 곡선형프레임(34) 사이에 에어가 빠진 보트(10)를 위치시킨 후, 에어를 일정량 채워준다. 이후 보트(10)의 결합부(11)에 곡선형프레임(34)을 결합시킨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assembly of the pole fixing device is completed, the boat 10 from which the air is missing is placed between the curved frames 34 on both sides, and then a certain amount of air is filled. Then, the curved frame 3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 of the boat 10.

즉 도3을 참조하면, 보트(10)의 결합부(11)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부(11)의 홈에 곡선형프레임(34)의 삽입핀(35)을 끼워준다. 이후 결합부(11)의 일측 방향에서 고정편(12)을 끼워주면, 곡선형프레임(34)의 삽입핀(35)이 고정편(12)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there is a long groove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coupling part 11 of the boat 10, and the insertion pin 35 of the curved frame 3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upling part 11. put it in Then, when the fixing piece 12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11, the insertion pin 35 of the curved frame 34 is caught on the fixing piece 12 to prevent separation.

이렇게 보트(10)의 전후좌우 네 개 위치에 마련된 결합부(11)에 곡선형프레임(34)이 결합된 후 고무튜브에 에어를 마저 충진시키면, 보트(10)는 네 개 결합부(11)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올바른 모양으로 부풀어 올라 자리를 잡게 된다.After the curved frame 34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s 11 provided at four positions of the boat 10 in this way, when the rubber tube is completely filled with air, the boat 10 has four coupling parts 11 In the state where the position is fixed, it will inflate into the correct shape and settle into place.

폴대 고정장치의 조립과 보트(10)의 결합까지 마치면, 사용자가 보트(10)의 앞부분을 잡고 수면으로 끌고 가게 된다. 이때 보트(10) 후방은 바퀴(41)가 세워진 상태로 지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트(10)와 지면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보트(10)를 끌고 갈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pole fixing device and the coupling of the boat 10, the user grabs the front part of the boat 10 and drags it to the surface. At this time, since the rear of the boa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ith the wheels 41 erected, the friction between the boat 10 and the ground is minimized, so that the boat 10 can be dragged without applying great force.

물론 바퀴(41)가 없거나 세워진 상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보트(10)를 지상에서 끌고 갈 때 보트(10)의 바닥 부분에 마련된 중계프레임(31) 및 연장프레임(33)이 보트(10)와 지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게 되어 보트(10) 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f course, even if there is no wheel 41 or it is not erected, when the boat 10 is dragged on the ground, the relay frame 31 and the extension frame 33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at 10 are connected to the boat 10 and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bottom of the boat 10 from being damaged.

한편 도3에 도시된 상태의 보트(10)를 수면 위로 이동시키고 나면, 바퀴지지브라켓(39)에 마련된 바퀴고정수단(미도시)의 잠금을 풀어준다. 바퀴고정수단의 잠금을 풀어주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41)는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게 된다. 이후 보트(10)를 운행하여 원하는 낚시 포인트로 이동한다. 이때 보트(10)에는 낚시 장비와 함께 폴대(20)가 함께 실려 있는 상태이다.Meanwhile, after moving the boat 10 in the state shown in FIG. 3 on the surface of the water, unlock the wheel fixing means (not shown) provided in the wheel support bracket 39. When the lock of the wheel fixing means is released, as shown in FIG. 4, the wheel 41 is automatically folded by buoyancy. Then, the boat 10 is operated to move to a desired fishing point. At this time, the boat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pole 20 is loaded together with the fishing equipment.

보트(10)를 운행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고 나면, 정박 작업을 실시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20)를 폴대지지관(36)에 끼워 물 아래의 바닥까지 내려준 후 강하게 찔러준다. 이후 폴대고정수단(37)을 잠그면 폴대(20)의 하부 끝은 바닥에 끼워지고, 폴대(20)의 상부 일정 지점은 폴대고정수단(37)에 의해 폴대지지관(36)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fter moving the boat 10 to an appropriate location, anchoring work is performed. That is, as shown in FIG. 5, insert the pole 20 into the pole support pipe 36, lower it to the bottom under the water, and then stab it strongly. Then, when the pole fixing means 37 is locked, the lower end of the pole 20 is inserted into the floor, and the upper certain point of the pole 20 is firmly fixed to the pole support pipe 36 by the pole fixing means 37. state will be maintain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폴대(20)가 지지되는 곡선형프레임(34) 전체가 한 덩어리의 몸체가 되어 폴대(20)의 지지력을 높여줄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보트(10)의 측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폴대(20)를 지지시켰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부가 폴대(20)를 지지하는 힘이 약하여 빠른 유속이나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폴대(20)가 쉽게 뽑히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에는 고정부가 보트(10) 측면에서 미끄러지거나 뒤틀리면서 본래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폴대(20)의 고정각도가 변하면서 결국 폴대(20)가 쉽게 뽑히는 문제가 있었다.First, the entirety of the curved frame 34 on which the pole 20 is supported becomes a body of one body to increase the support of the pole 20. 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 poles 20 were supported using fixing parts individual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at 10. Accordingly, the force for supporting the poles 20 by each fixing part is weak, resulting in fast flow or human movement. According to thi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pole 20 was easily pulled out. That is, in the prior art, the fixing part slides or twists on the side of the boat 10 and is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ixing angle of the pole 20 changes,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pole 20 is easily pulled out.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트(10)의 전후방 양측에 결하보디는 곡선형프레임(34)이 중계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3)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보트(10)의 측면에서부터 바닥까지 프레임이 완전히 감싸고 있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보트(10)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어느 한쪽에 가해지는 힘을 폴대 고정장치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대(20)에 가해지는 힘 역시 분산되어 지지력이 높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ed frame 34, which is connect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at 10,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relay frame 31 and the extension frame 33, and accordingly, from the side of the boat 10 to the bottom until the frame takes the form of completely enclosing 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entire boat 10 to distribute the force applied to either side to the entire pole fixing device, and accordingly, the force applied to the pole 20 is also dispersed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또한, 폴대지지관(36)이 보트(10) 사방의 4개 지점에서 전체 프레임(31, 33, 34)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강한 바람이 불거나 풍랑이 치더라도 전체 프레임(31, 33, 34)이 외부의 힘을 부담함으로써, 폴대지지관(36)이 보트(10) 측면에서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즉, 전체 프레임(31, 33, 34)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한, 폴대지지관(36)이 본래 형성되어 있는 위치 및 형성된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강한 바람이나 풍랑에도 폴대(20)가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서 쉽게 뽑혀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le support pipe 36 is integrally fixed through the entire frame 31, 33, 34 at four points on the four sides of the boat 10, so even if strong wind blows or stormy weather, the entire frame ( 31, 33, 34) bears the external force, so that the pole support pipe 36 does not get out of position on the side of the boat 10. That is, as long as the entire frame (31, 33, 34) is not bent or damaged, the pole support pipe 36 maintains the originally formed position and formed angle, and thus the pole 20 is able to hold its position, so it is not easily pulled out.

또한 폴대지지관(36)은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폴대지지관(36)에 폴대(20)를 삽입하여 바닥에 찔러 넣으면, 폴대(20)와 바닥이 마주한 지점들의 면적이 보트(10)의 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중심을 더욱 잘 잡아줄 수 있다. 기저면이 넓을 경우 균형을 더 잘 잡아 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In addition, the pole support pipe 36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so as to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when the pole 20 is inserted into the pole support pipe 36 and poked into the floor, the area of the points where the pole 20 and the floor face each other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boat 10, so it can be centered better. It is the same principle that a wider base can provide better balance.

또한 고정프레임의 바퀴지지브라켓(39)에 결합되는 바퀴(41)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보트(1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고, 수중에서는 부력에 의해 바퀴(41)가 자동으로 접혀지면서 보트(10)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boat 10 can be conveniently moved on the ground using the wheels 41 coupled to the wheel support brackets 39 of the fixed frame, and the boat 10 is automatically folded by buoyancy in the water while the boat ( 10) It does not interfere with operation.

또 바퀴(41)가 없을 경우에는 지상에서 폴대 고정장치와 보트(10)를 조립한 후 수면으로 끌고 가야 하는데, 이때 보트(10) 바닥 부분을 감싸고 있는 폴대 고정장치가 지면과 보트(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어 보트(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퀴(41)는 옵션 사항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폴대 고정장치에 의한 보트(10) 보호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wheel 41,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pole fixing device and the boat 10 on the ground and drag it to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pole fixing device surrounding the bottom of the boat 10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oat 10 by preventing direct contact. That is, the wheel 41 may not be formed as an option, in which case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boat 10 by the pole fixing device is further increased.

또 폴대 고정장치의 각 부품들은 미사용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과 운반이 편리하며, 조립된 폴대 고정장치에 보트(10)의 결합부(11)를 결합시킨 후 에어를 충진하면, 보트(10)가 폴대 고정장치의 형태에 맞추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부풀어 올라, 보트(10)와 폴대 고정장치 사이의 완전한 밀착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part of the pole fixing device can be separat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so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 convenient. ) is inflated while stably settl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ole fixing device, enabling perfect tight coupling between the boat 10 and the pole fixing device.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폴대 고정장치에서 프레임은 중계프레임(31), 연장프레임(33) 및 곡선형프레임(34)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서로 조립이 가능하게 한 것이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중계프레임, 연장프레임 및 곡선형프레임이 조립된 형태로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일체형 프레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체형 프레임의 경우 보트의 양쪽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 폴대지지관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le fixing device described above, the frame is manufact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elay frame 31, the extension frame 33 and the curved frame 34 are detachable and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bu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relay frame, An integral frame may be used so that the extended frame and the curved frame have a body in an assembled form. In the case of such an integrated frame, pole support tubes are formed at part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oat.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보트
11 : 결합부
12 : 고정편
20 : 폴대
31 : 중계프레임
32 : 연결돌기
33 : 연장프레임
34 : 곡선형프레임
35 : 삽입핀
36 : 폴대지지관
37 : 폴대고정수단
38 : 뜰채걸이
39 : 바퀴지지브라켓
41 : 바퀴
42 : 바퀴프레임
10: boat
11: coupling part
12: fixed piece
20: Pole
31: relay frame
32: connecting protrusion
33: extension frame
34: curved frame
35: insertion pin
36: pole support pipe
37: pole fixing means
38: Garden picking
39: wheel support bracket
41: wheel
42: wheel frame

Claims (5)

보트의 측면에 밀착되며 폴대가 삽입되는 폴대지지관이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곡선형프레임; 및
상기 보트의 바닥에서 상기 복수의 곡선형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A plurality of curved frames provided with pole support tub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oat and into which poles are inserted; and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fram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urved frames to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bo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연장프레임; 및
일측으로 상기 곡선형프레임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연장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중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Extended frame having a certain length; and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lay frame having a connection protrusion to which the curved fram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connection protrusion to which the extension fram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형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곡선형프레임에는 바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지지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curved frames of the plurality of curved frames are provided with wheel support brackets to which wheel frames are rotatably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프레임의 상부 끝단에는 보트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부에 끼워지는 삽입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pi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urved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boat.
보트의 양쪽 측면에서부터 상기 보트의 바닥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일체형 프레임; 및
상기 일체형 프레임에서 상기 보트의 양쪽 측면에 밀착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폴대가 삽입되는 폴대지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An integral frame manufactured in a form surround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t from both sides of the boat; and
A pole fixing device for anchoring a bo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le support tube formed in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oat in the integrated frame and into which a pole is inserted.
KR1020210088367A 2021-07-06 2021-07-06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KR102514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67A KR102514438B1 (en) 2021-07-06 2021-07-06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367A KR102514438B1 (en) 2021-07-06 2021-07-06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707A true KR20230007707A (en) 2023-01-13
KR102514438B1 KR102514438B1 (en) 2023-03-24

Family

ID=8490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367A KR102514438B1 (en) 2021-07-06 2021-07-06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4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83A (en) * 2002-04-09 2003-10-17 이 주 철 Hull apparatus for a rubber boat
JP2011143769A (en) * 2010-01-13 2011-07-28 Web Point:Kk Dolly
KR200485103Y1 (en)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A holding apparatus for boat
KR20200032835A (en) * 2018-09-19 2020-03-27 강정모 Air tube fixing device for prefabricated leisure bo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583A (en) * 2002-04-09 2003-10-17 이 주 철 Hull apparatus for a rubber boat
JP2011143769A (en) * 2010-01-13 2011-07-28 Web Point:Kk Dolly
KR200485103Y1 (en) * 2016-06-08 2017-12-28 박웅순 A holding apparatus for boat
KR20200032835A (en) * 2018-09-19 2020-03-27 강정모 Air tube fixing device for prefabricated leisure bo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438B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756B1 (en) Collapsible sunshade
US7841356B2 (en) Strut and arch structure for tent
US6328285B1 (en) Rail apparatus
US9849940B2 (en) Recreational canopy
US8684020B1 (en) Modified A-frame tent shelter
KR102514438B1 (en) Pole fixing device for boat anchoring
KR101876083B1 (en) Prefabricated standing hammock apparatus
KR101870014B1 (en) Hammock System
US20020092555A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n tent extension canopy
KR20160042723A (en) Tarp for vehicle
KR102317908B1 (en) Air tube boat
WO2007064112A1 (en) Prop structure of folding tent
CN113863772A (en) Lifting sunshade
KR200458590Y1 (en) The parasol support device for the rocks on the seashore
US11739556B2 (en) Awning
EP1925763A2 (en) A collapsible support stand
KR20150007112A (en) Pole assembly and framework for tent, sunshade supporter for tent
KR200246511Y1 (en) A strengthen stake for vinyl house and tent
CN216076595U (en) Lifting sunshade
KR101718884B1 (en) Connecting device for tent pole and Tent set using the same
KR20200000006U (en) A pipe supporter of sprinkler
CN218406813U (en) Backdrop
KR200359126Y1 (en) Triangular strengthening support means of large sun screen frame structure
EP4223959A1 (en) Camping accessory
US20110203628A1 (en) Support System for Tents and Shel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