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624A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624A
KR20230007624A KR1020210088190A KR20210088190A KR20230007624A KR 20230007624 A KR20230007624 A KR 20230007624A KR 1020210088190 A KR1020210088190 A KR 1020210088190A KR 20210088190 A KR20210088190 A KR 20210088190A KR 20230007624 A KR20230007624 A KR 2023000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knob
arc
rotation ang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383B1 (ko
Inventor
최홍열
곽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08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6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balls or 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밀리미터파 빔 패턴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는 베이스;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베이스 위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회전대; 수평 회전대 위에 가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로 회전대; 가로 회전대에 지지된 채로 세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로 회전대 및 세로 회전대 위에 설치되어 기지국 안테나가 구비된 기지국 장비를 지지하는 기지국 장비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testing base station antenna of mobile tele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밀리미터파 빔 패턴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4G·LTE(Long Term Evolution)보다 주파수 용량을 1000배 이상 확장하여 1000배 빠른 차세대 초고속 무선통신 기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사람·사물·정보가 언제 어디서나 연결될 수 있도록 사용자당 1Gbps급 전송속도, 기지국당 100Mbps에서 100Gbps로 상향된 초고속 전송속도, 1초에서 1ms로 향상된 빠른 접속속도, 최대 500km/h의 이동성 보장, 사용자당 1000분의 1의 에너지효율성 향상,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한 감성 만족, 수많은 주변 디바이스와 소통 가능한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대용량 전송을 위해 최소 500㎒ 이상의 연속적인 광대역폭의 확보가 용이한 밀리미터파(mmWave)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폭넓게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전파는 자유 공간 손실이 심하고, 대기 및 강우 감쇠로 인한 손실이 크며, 직진성이 강하고, 회절 및 투과에 의한 전파 손실이 크기 때문에 안테나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좁은 빔(narrow beam)의 형태로 방사된다.
이를 위해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비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 예를 들어 패치 안테나가 2차원 행렬 형태, 예를 들어 8*8 또는 16*8 형태로 배열된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5G 밀리미터파 기지국 장비의 빔포밍 어레이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빔이 다양한 각도로 방사되기 때문에 모든 빔에 대한 빔 패턴의 검증이 요구되고, 시험자의 판단에 의한 수작업으로 안테나의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때마다 그 변경에 따른 보정 작업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10-2019-60859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안테나를 통하여 유도파들을 런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선행기술 2: 10-2020-26133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센서 보조형 빔 관리를 갖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들)
선행기술 3: 10-2019-95955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고조파의 빔형성)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에 대해 다양한 각도의 밀리미터파 빔 패턴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는 베이스;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베이스 위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회전대; 수평 회전대 위에 가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로 회전대; 가로 회전대에 지지된 채로 세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로 회전대 및 세로 회전대 위에 설치되어 기지국 안테나가 구비된 기지국 장비를 지지하는 기지국 장비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수평 회전대는 회전축에 의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원판을 구비하고, 회전 원판의 원주면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각도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적소에는 볼 스프링에 의해 각도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회전 원판을 고정하는 각도 고정구가 구비된다.
회전 원판을 각도 고정구의 볼트 조임에 의해 고정하는 조임 볼트 노브가 구비된다.
가로 회전대는 회전 원판 위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및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의 외측에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 회전각을 좌우로 조정하는 제1 회전각 조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회전각 조정판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제1 노브 이동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노브 이동 슬릿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제1 회전각 고정홈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1 회전각 고정홈에 인접하여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제1 회전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노브 이동 슬릿에는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조임 볼트 노브가 삽입되어 있고, 제1 조임 볼트 노브는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제1 노브, 제1 노브의 후단에 제1 노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제1 노브의 조임시 제1 회전각 고정홈에 삽입되어 가로 회전대를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홈 걸림부 및 제1 고정홈 걸림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조임 볼트를 구비한다.
제1 회전각 조정판의 상부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연결판 및 제1 수평 연결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가로 회전대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제1 각도 조정 핸들을 더 구비한다.
세로 회전대는 가로 회전대의 중심부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의 외측에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 회전각을 좌우로 조정하는 제2 회전각 조정판을 구비한다.
제 2 회전각 조정판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제2 노브 이동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노브 이동 슬릿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제2 회전각 고정홈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제2 회전각 고정홈에 인접하여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제2 회전각 표시부가 형성된다.
제2 노브 이동 슬릿에는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조임 볼트 노브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조임 볼트 노브는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제2 노브, 제2 노브의 후단에 제2 노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제2 노브의 조임시 제2 회전각 고정홈에 삽입되어 세로 회전대를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홈 걸림부 및 제2 고정홈 걸림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조임 볼트를 구비한다.
제2 회전각 조정판의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연결판 및 제2 수평 연결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세로 회전대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제2 각도 조정 핸들을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테스트 장치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테스트 챔버; 테스트 챔버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시설되어 있는 전파 흡수재; 테스트 챔버 내부의 상측을 가로질러 설치된 안테나 지지봉; 안테나 지지봉에 매달린 채로 설치된 측정용 안테나; 테스트 챔버 외부에 측정용 안테나와 RF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측정용 안테나에서 수집된 RF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 장비 및 테스트 챔버 외부에 설치되어 기지국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초기 설치시의 한 번의 보정 작업 후 다양한 각도의 5G 기지국 장비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빔 패턴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안테나 어레이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경로 손실(path loss)을 추가적으로 보상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가 설치된 테스트 챔버의 문을 제거하고 본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가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세로 종단면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전술한 UE, MT, MS, AMS, HR-MS, SS, PSS 또는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B),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전술한 노드B, eNB, BS, ABS, HR-BS AP, RAS 또는 BT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가 설치된 테스트 챔버의 문을 제거하고 본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시스템에 따르면, 테스트 챔버(100)는 크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육면체 형상의 챔버로 이루어지는데, 전면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를 비롯한 테스트 챔버(100)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전파 흡수재(110)가 시설되어 있다.
테스트 챔버(100)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 상에는 기지국 장비를 탑재한 채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360도, 가로 방향 좌우로 각각 60도 및 세로 방향 좌우로 각각 60도만큼 회전하는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다. 테스트 챔버(100) 내부의 상측에는 안테나 지지봉(120)이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러한 안테나 지지봉(120)에 측정용 안테나(200)가 매달린 채로 설치되어 있다.
테스트 챔버(100) 외부에는 측정용 안테나(200)와 RF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측정용 안테나(200)에서 수집된 RF 신호를 분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 및 측정용 안테나(200)에서 방사될 전파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Signal Generator)를 구비한 신호 분석 장비(400) 및 기지국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용 컴퓨터(500)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가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의 세로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는 크게 베이스(310) 위에 회전 가능, 예를 들어 360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회전대(320), 수평 회전대(320) 위에 가로 방향 좌우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0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로 회전대(330), 가로 회전대(330)에 지지된 채로 세로 방향 좌우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0만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로 회전대(340), 세로 회전대(340) 위에 설치된 기지국 장비 지지판(350) 위에 탑재되는 기지국 장비(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가로 및 세로는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상호 간에 적용되는 상대적인 개념임을 밝혀 둔다.
전술한 구성에서, 수평 회전대(320)는 회전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회전축(324)에 의해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예를 들어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회전 원판(320)의 원주면에는 소정 각도, 예를 들어 45도 간격으로 각도 고정홈(321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10)의 적소에는 볼 스프링(325)에 의해 각도 고정홈(321a)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수평 회전대(320)를 고정하는 각도 고정구(322) 및 이렇게 탄력적으로 고정된 수평 회전대(320)를 각도 고정구(322)의 볼트 조임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는 조임 볼트 노브(323)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로 회전대(330)는 회전 원판(320) 위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호상 회전대 지지체(331),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호상 회전대 지지체(331)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3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32)의 외측에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32)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 회전각을 임의로 조정, 예를 들어 5도만큼씩 좌우로 각각 60도만큼 조정하는 회전각 조정판(3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각 조정판(333)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노브 이동 슬릿(333a)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 이동 슬릿(333a)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회전각 고정홈(333b)이 5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회전각 고정홈(333b)의 적소, 예를 들어 상부에는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회전각 표시부(333c)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 이동 슬릿(333a)에는 단부에 수나사(334c)가 형성되어 호상 회전대 지지체(331)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볼트 노브(334)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임 볼트 노브(334)는 다시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노브(334a), 노브(334a)의 후단에 노브(334a)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노브(334a)의 조임시 회전각 고정홈(333b)에 삽입되어 가로 회전대(330)를 원하는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홈 걸림부(334b) 및 고정홈 걸림부(334b)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조임 볼트(33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35는 회전각 조정판(333)의 상부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연결판을 나타내고, 336은 수평 연결판(335)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가로 회전대(330)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각도 조정 핸들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세로 회전대(340)는 가로 회전대(330)의 중심부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호상 회전대 지지체(341),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호상 회전대 지지체(341)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4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42)의 외측에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342)와 일체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 회전각을 임의로 조정, 예를 들어 5도만큼씩 좌우로 각각 60도만큼 조정하는 회전각 조정판(3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 조정판(343)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노브 이동 슬릿(343a)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 이동 슬릿(343a)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회전각 고정홈이 5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회전각 고정홈(343b)의 적소, 예를 들어 상부에는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회전각 표시부(343c)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 이동 슬릿(343a)에는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호상 회전대 지지체(341)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볼트 노브(344)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임 볼트 노브(344)는 다시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노브(344a), 노브(344a)의 후단에 노브(344a)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노브(344a)의 조임시 회전각 고정홈(343b)에 삽입되어 세로 회전대(340)를 원하는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는 고정홈 걸림부(344b) 및 고정홈 걸림부(344b)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조임 볼트(34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345는 회전각 조정판(343)의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 연결판을 나타내고, 346은 수평 연결판(345)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세로 회전대(340)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각도 조정 핸들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347은 기지국 장비 지지판(350)이 얹혀지는 수평 연결간을 나타내고, 348은 강도 보강을 위한 수직 연결간을 나타내며, 349는 세로 회전대(340)의 2개의 회전각 조정판(343)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대를 나타낸다.
기지국 장비(360) 내부에는 5G 밀리미터파 안테나 어레이(360)가 내장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기지국 장비(360) 내부의 5G 밀리미터파 안테나 어레이(360)의 위치를 고정시킨 채로 수평,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의 5G 기지국 장비의 밀리미터파 안테나 빔 패턴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가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테스트 챔버, 110: 전파 흡수재,
120: 지지봉, 200: 측정용 안테나,
300: 테스트 장치, 310: 베이스,
320: 수평 회전대, 321: 회전 원판,
321a: 각도 고정홈, 322: 각도 고정구,
323: 조임 볼트 노브, 324: 회전축,
325: 볼 스프링,
330: 가로 회전대, 331: 호상 회전대 지지체,
33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333: 회전각 조정판,
333a: 노브 이동 슬릿, 333b: 회전각 고정홈,
333c: 회전각 표시부, 334: 조임 볼트 노브,
334a: 노브, 334b: 고정홈 걸림부,
334c: 조임 볼트, 335: 수평 연결판,
336: 각도 조정 핸들, 337: 고정 볼트,
340: 세로 회전대, 341: 호상 회전대 지지체,
34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343: 회전각 조정판,
343a: 노브 이동 슬릿, 343b: 회전각 고정홈,
343c: 회전각 표시부, 344: 조임 볼트 노브,
344a: 노브, 344b: 고정홈 걸림부,
344c: 조임 볼트, 345: 수평 연결판,
346: 각도 조정 핸들, 347: 수평 연결간,
348: 수직 연결간, 349: 간격 유지대,
350: 기지국 장비 지지판,
360: 기지국 장비, 362: 안테나 어레이,
400: 신호분석 장비, 500: 제어용 컴퓨터

Claims (12)

  1. 베이스;
    원판으로 이루어져서 베이스 위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회전대;
    수평 회전대 위에 가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로 회전대;
    가로 회전대에 지지된 채로 세로 방향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로 회전대 및
    세로 회전대 위에 설치되어 기지국 안테나가 구비된 기지국 장비를 지지하는 기지국 장비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 회전대는 회전축에 의해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원판을 구비하고, 회전 원판의 원주면에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각도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적소에는 볼 스프링에 의해 각도 고정홈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회전 원판을 고정하는 각도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 원판을 각도 고정구의 볼트 조임에 의해 고정하는 조임 볼트 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가로 회전대는 회전 원판 위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및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의 외측에 제1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로 방향 회전각을 좌우로 조정하는 제1 회전각 조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회전각 조정판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제1 노브 이동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노브 이동 슬릿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제1 회전각 고정홈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제1 회전각 고정홈에 인접하여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제1 회전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노브 이동 슬릿에는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제1 호상 회전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조임 볼트 노브가 삽입되어 있고,
    제1 조임 볼트 노브는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제1 노브, 제1 노브의 후단에 제1 노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제1 노브의 조임시 제1 회전각 고정홈에 삽입되어 가로 회전대를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는 제1 고정홈 걸림부 및 제1 고정홈 걸림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조임 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 회전각 조정판의 상부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 연결판 및
    제1 수평 연결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가로 회전대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제1 각도 조정 핸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세로 회전대는 가로 회전대의 중심부에 간격을 둔 채로 평행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면이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진 2개의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
    하면이 볼록한 원호로 이루어져서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의 상부에 형합된 채로 슬라이딩되는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의 외측에 제2 호상 회전대 피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세로 방향 회전각을 좌우로 조정하는 제2 회전각 조정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 2 회전각 조정판의 외면은 반원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운데에는 호상의 제2 노브 이동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노브 이동 슬릿을 가운데 두고 원형홈으로 이루어진 제2 회전각 고정홈이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제2 회전각 고정홈에 인접하여 해당하는 회전각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제2 회전각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노브 이동 슬릿에는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제2 호상 회전대 지지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조임 볼트 노브가 삽입되어 있고,
    제2 조임 볼트 노브는 그 조작에 사용되는 원형의 제2 노브, 제2 노브의 후단에 제2 노브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져서 제2 노브의 조임시 제2 회전각 고정홈에 삽입되어 세로 회전대를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하는 제2 고정홈 걸림부 및
    제2 고정홈 걸림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조임 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 회전각 조정판의 양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연결판 및 제2 수평 연결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세로 회전대의 손쉬운 각도 조정을 도와주는 제2 각도 조정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1 중 어느 하나의 테스트 장치가 하부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테스트 챔버;
    테스트 챔버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시설되어 있는 전파 흡수재;
    테스트 챔버 내부의 상측을 가로질러 설치된 안테나 지지봉;
    안테나 지지봉에 매달린 채로 설치된 측정용 안테나;
    테스트 챔버 외부에 측정용 안테나와 RF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측정용 안테나에서 수집된 RF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 분석 장비 및
    테스트 챔버 외부에 설치되어 기지국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시스템.
KR1020210088190A 2021-07-06 2021-07-0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KR10254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190A KR102544383B1 (ko) 2021-07-06 2021-07-0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190A KR102544383B1 (ko) 2021-07-06 2021-07-0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24A true KR20230007624A (ko) 2023-01-13
KR102544383B1 KR102544383B1 (ko) 2023-06-16

Family

ID=849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190A KR102544383B1 (ko) 2021-07-06 2021-07-0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566A (zh) * 2023-11-16 2023-12-29 德州秋生机械有限公司 一种具备稳定调节基座的天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46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이노츠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감도시험 방법 및 장치
KR20110012319A (ko) * 2009-07-30 2011-02-09 (주)케이티엠테크놀로지 수직형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의 방사특성 측정 장치
KR20110024441A (ko) * 2009-09-02 2011-03-09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페데스탈 장치
KR20190060859A (ko) 2016-10-18 2019-06-03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안테나를 통하여 유도파들을 런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20190095955A (ko) 2017-01-06 2019-08-16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조파의 빔형성
KR20200026133A (ko) 2018-08-30 2020-03-10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센서 보조형 빔 관리를 갖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46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이노츠 무선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감도시험 방법 및 장치
KR20110012319A (ko) * 2009-07-30 2011-02-09 (주)케이티엠테크놀로지 수직형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의 방사특성 측정 장치
KR20110024441A (ko) * 2009-09-02 2011-03-09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페데스탈 장치
KR20190060859A (ko) 2016-10-18 2019-06-03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안테나를 통하여 유도파들을 런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
KR20190095955A (ko) 2017-01-06 2019-08-16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고조파의 빔형성
KR20200026133A (ko) 2018-08-30 2020-03-10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센서 보조형 빔 관리를 갖는 빔포밍 통신 시스템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566A (zh) * 2023-11-16 2023-12-29 德州秋生机械有限公司 一种具备稳定调节基座的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83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975B2 (e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ntenna beam on antenna tower
US20230327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larization adjusting of orthogonally-polarized element pairs
CA2230313C (en) Downlink beam forming architecture for heavily overlapped beam configuration
JP6900311B2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適応型ビーム配置のための方法
US9660323B2 (en) Independent adjustable azimuth multi-band antenna fixture
KR10254438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안테나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08379A (ko) 어레이 안테나의 총 복사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1471495B (zh) 集束天线及其封装装置
CN108258436B (zh) 一种天线及通信终端
Forssn et al. Adaptive antenna arrays for GSM900/DCS1800
CN105515687A (zh) 无线通讯装置测量系统
KR101414137B1 (ko) 방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조정장치
Virk et al. Multi-frequency power angular spectrum comparison for an indoor environment
Tewes et al. A comprehensive dataset of RIS-based channel measurements in the 5GHz band
US20220320725A1 (e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CN114070428B (zh) 一种整车天线有源性能测试方法和系统
KR20200044559A (ko)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327062B (zh) 一种多流ue测试屏蔽箱
CN111541011B (zh) 一种透镜小型化天线
CN111212177B (zh) 无线终端的测试系统
Liu et al. Investigation on user shadow suppression for mobile handset antenna at 28ghz
CN106410411A (zh) 一种用于天线控制系统的转台装置
CN206236795U (zh) 一种用于天线控制系统的转台装置
JP2004101300A (ja) 電磁波測定装置及び電磁波測定方法
Richter et al. Optimisation of radio coverage in urban microcells using a UTD based ray-tracing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