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576A -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576A
KR20230007576A KR1020210087617A KR20210087617A KR20230007576A KR 20230007576 A KR20230007576 A KR 20230007576A KR 1020210087617 A KR1020210087617 A KR 1020210087617A KR 20210087617 A KR20210087617 A KR 20210087617A KR 20230007576 A KR20230007576 A KR 20230007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mart
lighting
healthcare devic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이상훈
김민주
석철민
김정현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576A/ko
Publication of KR2023000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헬스케어기기 착용 후의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헬스케어기기와 미리 무선 연결되는 조명 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헬스케어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A METHOD FOR SMART LIGHTING CONTROL THROUGH SMART HEALTHCARE DEVICES}
본 발명은 조명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조명 색상을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헬스케어에 이를 접목한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술을 웰니스(Wellness)에 적용한 제품은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환자로 하여금 의약품 복용 시간을 잊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워치나 스마트폰 등의 알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의 심신 상태에 따라 주변 환경의 분위기 등을 자동 변경하거나 설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필립스 사(社)의 Hue와 같은 스마트 조명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조명의 조도와 색상을 조정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조명의 조도와 색상 등에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일일 활동량과 신체 컨디션 등 사용자의 심신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주거 환경이나 일상 생활 공간 등에서 사용되는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14963호 (2019.02.13. 공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과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활동 및 컨디션에 따라 알맞게 적용되는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조명 색상을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루 동안 사용자의 평균 활동 심박수와 걸음수, 당일 취한 수면시간 등을 종합하여 활동량을 계산 함으로써, 조명을 자동 설정할 때, 사용자의 활동량 정보에 적합한 색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취침을 위한 움직임과 기상을 위한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조명에 전달하여, 수면과 기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사용자의 정신 상태 등에 대응하여 자동 조절되는 조명 색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스마트헬스케어기기 착용 후의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헬스케어기기와 미리 무선 연결되는 조명 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헬스케어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 상태가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사용자의 정보가 수집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조명기구의 ON 또는 OFF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기구의 조도 및 색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은 종래의 조명 제어방법과는 다른 컨셉의 작동 프로세스를 갖는다. 즉, 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활동 및 컨디션에 따라 알맞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조명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방법은 하루 동안 사용자의 평균 활동 심박수와 걸음수, 당일 취한 수면시간 등을 종합하여 활동량을 계산함으로써, 조명을 자동 설정할 때, 사용자의 활동량 정보에 적합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침을 위한 움직임과 기상을 위한 움직임을 각각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조명에 전달하여, 수면과 기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 사용자의 신체 상태, 사용자의 정신 상태 등에 대응하여 자동 조절되는 조명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활동량 등 사용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조명기구의 조도 및 색 온도 등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주거 환경이나 일상 생활 공간 등의 분위기를 변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와 연결된 조명의 작동 상태를 표현한 예시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S110),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2단계(S120), 조명 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S130),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제4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연령 또는 성별 등과 관계없이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타겟 공간은 사용자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할 수 있는 생활 반경 또는 임의의 장소로 설정될 수 있다.
제1단계(S110)는 스마트헬스케어기기 착용 후의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착용하고 활동했을 때, 그에 따른 활동량으로서 예를 들어, 평균 심박수와 걸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는 무선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밴드(Smart Band) 등 기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혹은 무선 인터넷(5G) 등의 무선 연결 방식으로 조명 기구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명 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제2단계(S120)는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상태는 미리 복수 개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객관적 판단 지표로서, 사용자는 먼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성명, 아이디, 생년월일, 이메일 주소, 키, 체중, 평균 취침 시각 및 평균 기상 시각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런 초기 개인 정보에 관한 세팅 값은 사용자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상태는 사용자의 정보에 시간 정보가 결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조명 기구에는 복수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등록될 수 있다. 다만, 동일 시각에 복수 개의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가 연결될 경우, 각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우선권 연결링크를 전송하여 어느 일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만 조명 기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특정 공간 내의 사용자는 서로 협의에 의하거나, 우선권 연결링크에 먼저 접속한 경우 조명 기구에 대한 최우선 연결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 때, 최우선 연결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본인 인증을 통해 최우선 연결 권한에 대한 사용을 확정할 수 있다. 본인 인증은 예를 들어, 문자 인증, 생체 인증 등 일반적인 본인 인증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명 기구에는 복수 개의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가 동시에 페어링될 수 있다. 이 때, 조명 기구는 각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조도 및 색온도를 일정 시간 주기를 통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기구는 각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조도 및 색온도에 대한 평균값 즉, 조명 기구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집단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어느 하루 활동량이 평균 활동량보다 더 클 경우,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지침(110)'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210)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부인 액정 등의 화면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사용자 상태는 10점 만점으로 가정하는 경우, 8점 이상은 좋음, 3점 내지 7점은 보통, 2점 미만은 나쁨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어느 하루 활동량이 평균 활동량보다 더 작을 경우,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인 '활동부족(120)'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220)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부인 액정 등의 화면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을 위해 수면 자세를 취할 경우,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심장 박동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움직임이 적어지고 심장 박동수가 낮아지는 것이 체크되면,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인 '수면 준비중(130)' 상태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220)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부인 액정 등의 화면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제3단계(S130)는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와 미리 무선 연결되는 조명 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제1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 상태가 판단되는 경우, 제어 신호는 사용자 상태에 관한 사용자의 정보가 수집된 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 상태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상태는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의 정보 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조명 기구에서 조도 및 색온도는 사용자 상태가 동일하더라도 해당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 정보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어 신호는 조명 기구로 전달되어 사용자 상태에 따라 조명 기구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4단계(S140)는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즉, 제4단계에서, 제어 신호는 조명 기구의 ON 또는 OFF를 제어하거나, 조명기구의 조도 및 색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 기구는 소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상태 및 시각 정보의 조합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조건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작동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조명 기구는 조도, 색상, 색온도 값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색온도는 최대 밝기의 파장에 따라 예를 들어 파장이 길면 색온도 값이 낮게 설정되고, 파장이 짧으면 색온도 값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low) 색온도 값의 경우 붉은색에 가까울 수 있고, 고(High) 색온도 값의 경우 푸른색 또는 보라색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상태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에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지침(110)' 상태일 경우, 조명 기구(210)는 전체적으로 어둡고, 동시에 저(low) 색온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120,130: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210,220,230: 스마트 조명

Claims (3)

  1.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착용 후의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제1단계;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사용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2단계;
    사용자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와 미리 무선 연결되는 조명 기구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조명 기구를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사용자 상태가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 상태에 관한 사용자의 정보가 수집된 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조명기구의 ON 또는 OFF를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기구의 조도 및 색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KR1020210087617A 2021-07-05 2021-07-05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KR20230007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17A KR20230007576A (ko) 2021-07-05 2021-07-05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17A KR20230007576A (ko) 2021-07-05 2021-07-05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76A true KR20230007576A (ko) 2023-01-13

Family

ID=8490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17A KR20230007576A (ko) 2021-07-05 2021-07-05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5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63A (ko) 2017-08-04 2019-02-13 김재영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과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963A (ko) 2017-08-04 2019-02-13 김재영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과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6186B2 (en) Sleep management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on
US9974973B2 (e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circadian rhythm responsive to calendared future events
CA2955625C (en) Data permission management for wearable devices
JP6314343B2 (ja) 電力消費及びネットワーク負荷の最適化を伴うスマート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方法
CN104427715B (zh) 通信终端的控制方法、照明控制系统及照明设备
KR102354943B1 (ko) 전자 장치가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전자 장치
CN109843173B (zh) 用于监测人的日常生活活动的系统和方法
US20170336089A1 (en) Dynamic control of smart home using wearable device
KR102458640B1 (ko) 표시 시스템, 전자 기기 및 조명 시스템
CN107439056B (zh) 照明控制装置
KR101720779B1 (ko) 휴대 기기에서 배터리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기기
CN106879133B (zh) 一种睡眠时灯光的控制方法及装置
JP2008181874A (ja) 照明システム
EP32236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eyesight acuity and hearing ability
KR102594947B1 (ko) 명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7531288A (ja) 活動に適した照明を決定する方法
KR20190007634A (ko)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KR20190049025A (ko) 복수의 발광부 및 복수의 수광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3906463A (zh) 具有监测功能的照明系统
KR20230007576A (ko)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를 통한 스마트 조명 제어방법
EP302000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ve advertisement of availability to communicate based on light source and associated lighting property
KR20230125146A (ko)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EP3569036B1 (en) Lighting control
CN114586108A (zh) Hvac性能监测方法
WO2018178942A1 (en) Method and system of displaying a real-time glucose reading with an alarm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