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212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212A
KR20230007212A KR1020210132658A KR20210132658A KR20230007212A KR 20230007212 A KR20230007212 A KR 20230007212A KR 1020210132658 A KR1020210132658 A KR 1020210132658A KR 20210132658 A KR20210132658 A KR 20210132658A KR 20230007212 A KR20230007212 A KR 2023000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late
housing
coup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원
마재경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91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8252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212A/ko
Priority to US18/537,173 priority patent/US202401145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조리기기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전장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전장실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로서,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커버하는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 내측에 위치되는 전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을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전장품을 상기 전장실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브라켓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장품의 고장 시 전장품의 교체를 통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브라켓 모듈을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이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는 주방에서 환기를 담당하는 후드 기능이 병합된 전자레인지로서,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가스레인지나 쿡탑(Cooktop) 등과 같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기기 중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가스레인지나 쿡탑 등과 같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기에, 서비스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있는 전장품을 교체하는 경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조리기기 상부에서 분리시켜 아래로 내려야 하고, 외부 하우징을 조리기기에서 분리하여,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 전장품을 교체하여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교체가 빈번히 일어나는 전장품을 서비스하는 경우에 서비스 비용의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조리기기를 배치된 위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외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전장품을 교체하는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하우징 내부의 전장품을 용이하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전장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전장실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로서,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커버하는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 내측에 위치되는 전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을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전장품을 상기 전장실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브라켓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을 향하는 내측과 상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내측은, 상기 브라켓 개구에 대응하는 커버부와 상기 브라켓 개구의 주위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커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로 삽입되어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의 내면에 지지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 부재의 폭이 상기 브라켓 개구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타 측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 개구의 경계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걸림 연결부 및 상기 걸림 연결부의 끝 단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강화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강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돌기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면에 전장품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품 고정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을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결합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외측에서 상기 전장품 고정 홀 및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전장품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 고정 부재를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체결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고정 홀은 제1 전장품 고정 홀이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면에 상기 제1 전장품 고정 홀이 형성되는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전장품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을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전장품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전장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전장품 끼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 끼움 부재는, 상기 제2 전장품 고정 홀에 수용되는 끼움 연결부 및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 연결부의 끝 단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 지지부 상기 전장품이 상기 전장품 끼움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결합하려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끼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는 상기 조리기기의 바닥을 형성하고, 공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의 전방측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 후방측에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순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하는 가전기기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전장실 및 상기 브라켓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커버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전장실 내측에 위치되는 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 모듈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전장품의 높이 방향 직선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만드는 전장품의 테두리의 외측으로 이격된 브라켓 개구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브라켓 개구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 개구의 경계 상의 두 점을 이어 만든 직선 중 가장 짧은 것 길이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브라켓 모듈로서, 일 측은 결합 홀을 포함하고, 타 측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 모듈을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센서가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본 개시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한 브라켓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조리기기를 배치된 위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전장품을 교체하는 서비스를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브라켓 모듈이 일 측에는 결합 부재, 타 측에는 걸림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플레이트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브라켓 모듈이 위치한 부분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브라켓 모듈이 하우징 플레이트에 결합한 것을 AA'를 따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브라켓 모듈이 하우징 플레이트에서 분리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분리된 브라켓 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의 각 구성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을 BB'를 따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조리기기에서 하우징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브라켓 모듈에서 체결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브라켓 모듈이 전장실 플레이트에서회전하여 분리되는 중인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브라켓 모듈이 전장실 플레이트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브라켓 모듈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10)과 외부 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외부 하우징(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은 도어(30)에 의해 전방이 커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유닛은 도어(30)와 외부 하우징(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외부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외부 하우징(10)은 외부 하우징(10)의 상면과 양 측면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외부 하우징(10)의 하면을 구성하는 하우징 플레이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측에 별도의 가전기기가 존재하고, 해당 가전기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 기능을 하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본 개시는 모든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사상이다.
본 개시의 조리기기(1)의 하측에서 별도로 음식물이 조리되고 있을 수 있고, 하측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면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본 개시의 조리기기(1)는 후드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유증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벤트 팬(110, 도 3)을 작동시킨다면,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한 유증기를 외부 하우징(1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음식물은 조리기기(1) 하측에서 조리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측에 존재할 수 있는 조리기기(1)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플레이트(13)에 순환 공기 흡입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된 유증기는 외부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하다 순환 공기 배출구(12, 도 3)를 통하여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조명 유닛(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유닛(15)은 순환 공기 흡입구(1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유닛(15)은 조리기기(1) 하부에 쿡탑 등이 설치 되는 경우 조리기기(1) 하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외부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 플레이트(13)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0)은 상면과 양 측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 커버(11)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커버(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각 면을 각각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는 것 보다, 조립 시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 커버(11)는 상면에 순환 공기 배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의 하측에 위치한 하우징 플레이트(13)는 순환 공기 흡입구(14)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 하우징(10)의 상면에 위치한 순환 공기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하우징(10, 20)은 내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조리실(미도시)을 형성하도록 내부 하우징(20)이 배치 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는 이격 공간(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20)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미도시)에는 전장품(100)이 위치하는 전장실(53)이 존재할 수 있다. 전장실(53)의 하측에는 전장실(53)을 구획하도록 전장실 플레이트(50)가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장실 플레이트(50)와 내부 하우징(20) 외부 하우징(10)으로 둘러 쌓인 공간을 전장실(53)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전장실 플레이트(50) 상측에 존재하는 전장실(53)에는 조리기기(1)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장품(100)이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100)에는 마그네트론(미도시), 센서(120)(120, 도 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장실 플레이트(50)는 전장실(53)을 바라보는 내면(51)과 내면(5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외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외면(52)에는 전장품(1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모듈(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을 분리함으로써 전장품(100)을 조리기기(1) 외부로 쉽게 분리하여, 전장품(100)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추가적으로,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전방 측 하면에 마련 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전방 측에 마련됨으로써 전장품(100)을 교체하려는 자가 접근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벤트 팬(110)의 경우에 교체 작업을 하려면, 조리기기(1)를 설치한 위치에서 분리하여 외부 하우징(10)을 분리하고 교체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조리기기(1)가 설치된 위치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설치가 어렵다. 이러한 벤트 팬(110)은 브라켓 모듈(200)이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브라켓 모듈(200) 보다 뒤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제한 되지 않고, 벤트 팬(110)을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도 본 사상이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브라켓 모듈(200)이 위치한 부분을 확대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100)은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1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장실 플레이트(50)는 브라켓 개구(300, 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개구(300, 도 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실 플레이트(50)와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전장실(53)을 향하는 내측(211)과 내측(2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측(212)을 포함할 수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은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될 때, 전장실 플레이트(50)가 닿는 지지부(211b)와 브라켓 개구(300)에 대응되는 커버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지지부(211b)가 있어, 전부가 브라켓 개구(300)에 수용되지 않으므로,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실(53) 내측으로 빠지지 않고, 전장실(53) 외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장실(53) 외측에 브라켓 모듈(200)이 위치하므로, 전장품(100)을 교체하려는 때, 쉽게 브라켓 모듈(200)을 분리하여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브라켓 모듈(200)이 하우징 플레이트(13)에 결합한 것을 AA'를 따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일 측에 브라켓 모듈(200)이 결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1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컨트롤 패널(40)을 외부 하우징(10)에서 분리하여 컨트롤 패널 개구(41)를 통하여 전장품(100)의 교체를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기기(1)의 높이가 낮아지는 등의 디자인의 변경으로, 교체하려는 전장품(100)의 위치가 컨트롤 패널(40) 개구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밖에 없는 경우 또는 컨트롤 패널 개구(41)와 교체하려는 전장품(100) 사이에 다른 전장품(100)이 위치하여 교체하려는 전장품(100)에의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전장품(100)의 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와 같이, 전장실(53)의 하측에서 전장품(100)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전장품(1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일 측에 체결 부재(40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 측에 걸림 부재(220)가 위치하여 전장실 플레이트(50) 내면(51)에 걸려,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개구(300, 도 6)의 내주의 높이는 주변에 위치한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면(51)과 같을 수도 있지만, 브라켓 모듈(200)이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브라켓 개구(300)의 내주는 전장실(53) 내측으로 돌출된 내주 경계부(310)가 포함될 수 있다.
내주 경계부(310)가 마련되는 경우, 내주 경계부(310)의 높이만큼 브라켓 모듈(200)의 걸림 연결부(221)의 높이가 형성 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전장실 플레이트(50)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브라켓 모듈(2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서 브라켓 모듈(200)이 브라켓 개구(300, 도 6)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부재(220)를 포함한다면 그 걸림 부재(220)가 절곡되어 연장되는 길이는 브라켓 개구(300)의 경계 높이만큼이 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브라켓 모듈(200)을 하우징 플레이트(13)에서 분리한 것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 플레이트(50)는 브라켓 개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개구(300)는 브라켓 모듈(200)에 포함된 전장품(100)이 브라켓 개구(300)를 통하여 전장실(53)의 외부로 분리 가능한 크기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53) 외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브라켓 모듈(200)이 결합되었을 때 브라켓 개구(300)의 경계는 전장품(100)의 테두리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 외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브라켓 모듈(200)이 결합되었을 때 브라켓 개구(300)의 면적은 전장품(100)의 높이 방향 직선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면적보다 넓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서 언급한 커버부(211a, 도 4)와 지지부(211b, 도 5)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커버부(211a, 도 4)에 전장품(100)이 결합하여, 브라켓 모듈(200)을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분리 시킬 때, 브라켓 개구(300)에 전장품(100)이 걸리지 않고 쉽게 전장품(100)을 전장실(53) 외부로 위치시킬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을 분리함으로써, 브라켓 모듈(200)이 포함되는 전장품(100)을 분리하여 전장품(100)을 쉽게 교체하는 구조를 갖는 것도 필요하지만,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53) 내부로 빠지지 않게 하여, 브라켓 모듈(200)을 외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에는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외면(52)과 접촉하는 지지부(211b, 도 4)가 포함되어, 전장실(53) 내측으로 브라켓 모듈(200)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되었을 때,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브라켓 개구(300)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브라켓 개구(300)의 경계 상의 두 점을 이어 만든 직선 중 가장 짧은 것 길이보다 길다고 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한다면,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되었을 때,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브라켓 개구(300)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면적은 브라켓 개구(300)의 면적보다 넓다고 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1)에서 분리된 브라켓 모듈(20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방향과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을 정의하여 설명한다.
브라켓 모듈(2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湛?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는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두께가 얇을 필요도 없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얇은 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설명한다.
브라켓 모듈(2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중심으로 내측(211)과 외측(212)에 다른 구성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에서 전장실(53)을 향하는 측을 내측(211)이라고 할 때, 알서 살펴본 것과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은 전장실 플레이트(50)(50, 도 6)의 외면(52)과 접촉하는 지지부(211b)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형성된 브라켓 개구(300, 도 6)에 대응되는 커버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1a)는 브라켓 개구(300, 도 6)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211a)의 형상은 브라켓 개구(300, 도 6)의 형상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일 측에 체결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400)는 전장실 플레이트(50)가 마련되는 전장실 체결 홀(54, 도 6)에 삽입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400)는 나사, 리벳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 부재(40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타 측에 걸림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일 측에 걸려서, 브라켓 모듈(2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결합되어도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안정한 결합을 위해 체결 부재(400)를 양 측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양 측에 체결 부재(400)를 포함하면, 일 측에만 체결 부재(400)를 포함하는 구성보다 많은 시간을 체결 부재(400)를 체결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일 측에만 체결 부재(400)를 포함하고, 타 측에는 걸림 부재(220)를 사용한다면 체결 부재(400)를 체결하는 시간 보다 걸림 부재(220)를 전장실 플레이트(50) 내면(51)에 안착시키는 것이 적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조립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 부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부재(22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브라켓 모듈(200)의 생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체결 부재(400)가 가질 수 있는 형상에 관하여는 도 8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100)은 센서(120)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장품(100)은 온도를 감지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TCO(Thermal Cut off) 센서(12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예를 서술하는 것일 뿐, 전장품(100)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장품(100)이 센서(12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센서(1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은 전장실(53)을 향하는 측이므로,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하면, 센서(120)는 전장실(53)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센서(120)는 다른 전장품(100)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다른 전장품(100)과 상호작용하여 그 기능을 할 수 있다. 센서(120)가 전장실(53)에 위치하게 되면 이와 같은 점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센서(12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120)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원활해 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센서(1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 내측(211) 커버부(211a)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개구(300)는 전장품(100)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것이기 때문에, 센서(120)가 커버부(211a)에 위치함에 따라 브라켓 모듈(200)의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센서(120)를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는 나사, 리벳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센서(120)를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센서(120)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시킬 때,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 상의 결합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결합하려는 위치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결합하려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의 돌출된 방향의 끝단에서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삽입되는 곳까지 위치가 가이드 되므로, 전장품(100) 고정부재는 정확하게 그 결합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생산 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8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브라켓 모듈(200)에 포함되는 센서(1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 모듈(200)은 두 개의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센서(120)가 중첩되는 부분에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위치할 수 있다. 각 센서(120)에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대응되게 위치시켜, 각각의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체결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하나의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사용하는 것을 통해 적은 시간이 소요 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120)의 일 측에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체결될 수 있다. 센서(120)의 일 측에만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위치할 수 있으므로, 타 측에도 센서(120)를 고정하는 부재가 필요하다. 이 때, 타 측에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사용된다면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체결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20)의 타 측에는 전장품 끼움 부재(240)를 이용하여 센서(120)를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브라켓 모듈(200)은 센서(120)를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하기 위하여 전장품 끼움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는 전장품(100) 끼움 돌기와 전장품 고정 부재(500)에 의하여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강화 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얇은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쉽게 휘어질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쉽게 휘어지면, 이에 결합된 센서(120) 또는 전장품(1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분리될 수도 있다. 나아가 브라켓 모듈(200)을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분리할 때, 안정적으로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그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강도를 강하기 하는 방법으로는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제조하는데 재료가 많이 소모되어 제품의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모듈(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러한 구성을 생산하는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두께를 그대로 두고, 일 측 또는 양 측에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면(52) 또는 내면(51)에서부터 돌출된 형상의 강화 돌기(260)를 포함한다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두께는 늘리지 않은 채로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강화 돌기(26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 전반적으로 강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폭 방향보다는 길이가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강도를 강화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전장실 플레이트(50)에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기기(1)가 OTR제품인 경우 조리기기(1) 하측에서 조리된 음식물에 의하여 형성된 유증기가 조리기기(1)의 순환 공기 흡입구(14, 도 3)를 통하여 조리기기(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증기는 벤트 팬(110, 도 3)을 거쳐서 전장실(53)과 분리된 유로를 거쳐 순환 공기 배출(12, 도 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증기는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외면(52)을 지나가게 되는데, 만약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전장실 플레이트(50) 사이에 갭이 있다면, 그 갭을 통하여 전장실(53)로 유증기가 들어올 수 있다. 전장실(53)로 들어온 유증기에 의하여 전장품(100)이 고장날 수도 있고,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 시 갭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밀착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 전장품(100), 가이드 부재(230), 전장품 끼움 부재(240) 등은 모두 전장실 플레이트(50)와 닿지 않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커버부(211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논리로 강화 돌기(260)도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커버부(211a)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커버부(211a)의 면적에 한계가 있는 경우 지지부(211b)가 위치한 측에 강화 돌기(26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전장실 플레이트(50) 상에 갭이 생기지 않는 것이 필요하므로, 강화 돌기(26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측(212)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200)의 각 구성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브라켓 모듈(200)은 체결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40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 상에 형성된 통공인 플레이트 체결 홀(270)을 관통하여, 전장실 플레이트(50) 상의 전장실 체결 홀(54, 도 6)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40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체결되는 방향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측(212)에서 내측(211)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측(212)은 외부 하우징(10, 도 2)에서 하우징 플레이트(13, 도 2)를 제거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체결 부재(400)의 끝 단을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체결 부재(400)가 스크류인 경우에는, 이러한 방향으로 체결 부재(400)를 체결 시, 드라이버 등이 삽입되는 나사 머리가 외부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향을 통해 체결 됨으로써, 조리기기(1) 외부에서 체결 부재(400)를 브라켓 플레이트(2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걸림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 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연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연결부(221)가 연장되는 길이는, 앞서 살펴 보았던 브라켓 개구(300, 도 5)의 경계 높이만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를 가짐에 따라,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되었을 때,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외면(52)과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측(212)의 단차가 적어질 수 있다.
걸림 부재(220)는 걸림 연결부(221)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지지부(222)는 전장실(53) 내측으로 삽입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 플레이트(5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때, 전장실 플레이트(50)의 내면(51)으로부터 지지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전장실 플레이트(50)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되었던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 마련된 지지부(211b)는 브라켓 플레이트(210)가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되었을 때, 전장실 플레이트(50)의 외면(52)에 지지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53)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여기서 서술되는 걸림 부재(220)는 전장실 플레이트(50)의 내면(51)에 지지되어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 플레이트(5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장품(100)을 전장실(53) 외측으로 분리하려고 할 때는 걸림 부재(220)가 브라켓 개구(300, 도 6)를 통과하여야 하고, 전장품(100)을 다시 전장실(53) 내측으로 위치시키려 할 때는 걸림 부재(220)가 다시 브라켓 개구(300, 도 6)를 통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걸림 부재(220)의 폭은 브라켓 개구(3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53) 외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걸림 부재(220)는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폭이 같은 방향으로 측정되는 브라켓 개구(300, 도 6)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걸림 부재(220)의 단 부를 이루는 걸림 지지부(222)는 그 끝 단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드 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걸림 부재(220)가 브라켓 개구(300)를 통과하는 것이 더욱 더 용이해 질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은 전장품(100)을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시키는 전장품 고정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관통하기 위하여 전장품(1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결합하려는 측에 전장품 고정 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 플레이트(50)는 전장품 고정 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고정 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는 전장품 고정 홀(130)과 플레이트 고정 홀(250)을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장품(100)과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플레이트 고정 홀(250)에 정확하게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230)는 플레이트 고정 홀(250)에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보다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플레이트 고정 홀(250)에 인접하여 위치한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부가 절개되고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방향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서 외측(212)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는 가이드 부재(230)에 의하여 그 결합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230)가 돌출되는 방향인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서 결합하여야 가이드 부재(230)에 의하여 그 결합 위치가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전장품(100)을 교체하려는 사용자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외측(212)은 손바닥에 두고 시선을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을 향하게 하여 작업하려고 할 것이므로, 전장품 고정 부재(500)의 단 부가 시선을 두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내측(211)에 위치한다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는 전장품(100)의 일 측에 위치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장품(100)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는 타 측에 전장품(100)을 고정시키는 다른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장품(100)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전장품 끼움 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삽입되는 전장품 고정 홀(130)을 제1 전장품 고정 홀(131) 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장품(100)의 타 측에 결합되는 전장품 끼움 부재(240)가 삽입되는 전장품 고정 홀(130)을 제2 전장품 고정 홀(132)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제2 전장품 고정 홀(132)에 삽입된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곡되어 연장되는 끼움 연결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 연결부(241)는 전장품(1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하려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전장품 고정 홀(132)에 수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끼움 연결부(24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끼움 지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 지지부(242)는 전장품(1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하려는 방향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 연결부(241)가 제2 전장품 고정 홀(132)에 삽입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전장품(100)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에서 분리되려고 한다면 끼움 지지부(242)에 걸려 분리되지 못할 수 있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끼움 지지부(242)의 끝 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끼움 수용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 수용부(243)는 전장품 고정 부재(500)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하려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브라켓 플레이트(210)와 끼움 부재 사이의 입구 부분 갭이 커져서, 전장품 끼움 부재(240)를 제2 전장품 고정 홀(132) 내측에 수용시키는 것이 원활해 질 수 있다.
전장품(100)은 두 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두 전장품(100)의 제1 전장품 고정 홀(131)을 겹쳐서 하나의 전장품 고정 부재(500)로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전장품(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장품(100)의 제2 전장품 고정 홀(132)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전장품 끼움 부재(240)를 수용시켜, 전장품(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하나의 전장품 고정 부재(500)만을 사용함으로써, 전장품 고정 부재(500)의 체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200)을 BB'를 따라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품(100)은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걸림 부재(220)의 걸림 연결부(221)는 전장실(53)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수직으로 연장됨으로써 전장실 플레이트(50)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갭을 더 줄일 수 있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의 끼움 연결부(241)는 전장실(53)을 향하여 수직이 아닌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 지지부(242) 또는 끼움 수용부(243)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2 전장품 고정 홀(132) 내측으로 전장품 끼움 부재(240)를 삽입할 때, 전장실(53)을 향하는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전장품 끼움 부재(240)의 끼움 수용부(243)는 상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도 9에는 이에 따라 끼움 부재와 브라켓 플레이트(210) 사이의 갭이 더 커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강화 돌기(2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하측을 향하여 돌출 될 수 있다.
도 10에서 도 13까지 도시된 것은 본 개시에 따른 조리기기(1)에서 전장품(100)을 교체하는 서비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을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조리기기(1)에서 하우징 플레이트(13)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 하측에 마련된 하우징 플레이트(13)를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13)를 분리하면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브라켓 모듈(200)에서 체결 부재(400)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에 체결된 체결 부재(400)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회전하여 분리되는 중인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400)가 분리된 측의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먼저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의 타 측에는 걸림 부재(220)가 있기 때문에 양 측을 동시에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이격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브라켓 모듈(200)이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400)가 분리된 측으로 기울여서 브라켓 플레이트(210)를 전장실 플레이트(5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브라켓 모듈(200)이 이로써 외부로 분리되고, 전장품(10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 모듈(200)을 다시 결합하여 본래의 조리기기(1)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앞서 서술하였던 도 10에서 도 13의 과정을 역순으로 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브라켓 모듈(200)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플레이트(210)는 양 측에 모두 체결 부재(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브라켓 플레이트(210) 양 측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400)를 각각 제1 체결 부재(410), 제2 체결 부재(420)라 할 수 있다. 이들 체결 부재(400)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체결 홀(270)을 각각 제1 플레이트 체결 홀(271), 제2 플레이트 체결 홀(272)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앞서 언급된 실시예보다 전장실 플레이트(50)와 강한 결합을 가지는 브라켓 모듈(200)이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모듈(200)은 외부 하우징 커버(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브라켓 모듈(200)이 조리기기(1) 하측에 위치하여 쉽게 분리됨에 따라, 그에 결합된 전장품(100)이 쉽게 땅에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장 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전장품(100)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플레이트(13)를 조리기기(1)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더욱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기기: 1
외부 하우징: 10
하우징 플레이트: 13
내부 하우징: 20
전장실 플레이트: 50
전장실 플레이트의 외면: 51
전장실 플레이트의 내면: 52
전장실: 53
전장품: 100
브라켓 모듈: 200
브라켓 플레이트: 210
브라켓 플레이트의 내측: 211
커버부: 211a
지지부: 211b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측: 212
걸림 부재: 220
걸림 연결부: 221
걸림 지지부: 222
가이드부재: 230
전장품 끼움 부재: 240
끼움 연결부: 241
끼움 지지부: 242
끼움 수용부: 243
강화 돌기: 260
플레이트 체결 홀: 270
브라켓 개구: 300
체결 부재: 400
전장품 고정 부재: 500

Claims (20)

  1.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
    전장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전장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로서,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커버하는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 내측에 위치되는 전장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을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전장품을 상기 전장실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실을 향하는 내측과 상기 내측의 반대편의 외측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내측은, 상기 브라켓 개구에 대응하는 커버부와 상기 브라켓 개구의 주위에서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커버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로 삽입되어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의 내면에 지지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전장실 외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 부재의 폭이 상기 브라켓 개구의 폭보다 작은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타 측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 개구의 경계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걸림 연결부; 및
    상기 걸림 연결부의 끝 단에서 상기 브라켓 모듈의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강화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강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 돌기는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면에 전장품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상기 전장품 고정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을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결합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내측에서 상기 전장품 고정 홀 및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전장품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 고정 부재를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체결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고정 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고정 홀은 제1 전장품 고정 홀이고,
    상기 전장품은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면에 상기 제1 전장품 고정 홀이 형성되는 타 측에 형성되는 제2 전장품 고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품을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전장품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상에 상기 전장품을 향하여 돌출되는 전장품 끼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 끼움 부재는,
    상기 제2 전장품 고정 홀에 수용되는 끼움 연결부;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끼움 연결부의 끝 단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 지지부; 및
    상기 전장품이 상기 전장품 끼움 부재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끼움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전장품이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결합하려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연장되는 끼움 수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접근 가능한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는 상기 조리기기의 바닥을 형성하고, 공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의 전방측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장실 플레이트 후방측에는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순환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조리기기
  16.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하는 가전기기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전장실; 및
    상기 브라켓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모듈은,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브라켓 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를 커버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전장실 내측에 위치되는 전장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 모듈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전장품의 높이 방향 직선에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만드는 전장품의 테두리의 외측으로 이격된 브라켓 개구 경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가 상기 브라켓 개구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 개구의 경계 상의 두 점을 이어 만든 직선 중 가장 짧은 것 길이보다 길이가 긴 조리기기.
  19. 일 측에 브라켓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개구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브라켓 모듈로서, 일 측은 결합 홀을 포함하고, 타 측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는 센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 모듈을 커버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개구는, 상기 브라켓 모듈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센서가 상기 브라켓 개구를 통해 상기 전장실의 외부로 분리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10132658A 2021-07-05 2021-10-06 조리기기 KR20230007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9197 WO2023282522A1 (ko) 2021-07-05 2022-06-28 조리기기
US18/537,173 US20240114595A1 (en) 2021-07-05 2023-12-1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7660 2021-07-05
KR1020210087660 202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212A true KR20230007212A (ko) 2023-01-12

Family

ID=8492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658A KR20230007212A (ko) 2021-07-05 2021-10-0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72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US9841196B2 (en) Ventilation system for a cooktop
EP4108991B1 (en) Cooking appliance
KR102549151B1 (ko) 조리기기
US6852963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CN113260105A (zh) 烹饪器具的微波发生系统和烹饪器具
US6737622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20230007212A (ko) 조리기기
US6949730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20240114595A1 (en) Cooking appliance
US6660984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CN113907619A (zh) 底座组件及烹饪装置
KR102403973B1 (ko) 공기토출구조를 포함하는 전기밥솥
US20240060652A1 (en) Cooking equipment
KR100485572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20240107637A1 (en) Cooking apparatus
EP1680624B1 (en) A microwave oven and an upper duct structure thereof
KR20240072718A (ko)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096353A1 (en) Electric range
US20220390120A1 (en) Cooking apparatus
CN219813874U (zh) 一种烹饪电器
KR101207306B1 (ko)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EP4350220A1 (en) Electric range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JP2010212008A (ja) 調理器の操作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