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940A -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940A
KR20230006940A KR1020210087532A KR20210087532A KR20230006940A KR 20230006940 A KR20230006940 A KR 20230006940A KR 1020210087532 A KR1020210087532 A KR 1020210087532A KR 20210087532 A KR20210087532 A KR 20210087532A KR 20230006940 A KR20230006940 A KR 2023000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sh
optical sensor
present
suction device
trash 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규민
Original Assignee
강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규민 filed Critical 강규민
Priority to KR102021008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6940A/ko
Publication of KR2023000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9Suction means, e.g. for forcing a bag inside the recepta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과;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며 쓰레기통을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연결되며 광센서의 센서가 반응하면 자동으로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되며 흡입된 쓰레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개폐성장치와; 상기 개폐성장치의 아랫부분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통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별도의 광센서를 통해 능동적 쓰레기통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과;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며 쓰레기통을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연결되며 광센서의 센서가 반응하면 자동으로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되며 흡입된 쓰레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개폐성장치와; 상기 개폐성장치의 아랫부분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센서와 흡입장치를 쓰레기통에 접목해 쓰레기통 주변의 환경을 우수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Garbage detection bin using sensors}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과;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며 쓰레기통을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연결되며 광센서의 센서가 반응하면 자동으로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되며 흡입된 쓰레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개폐성장치와; 상기 개폐성장치의 아랫부분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광전효과를 이용한 광센서에 있다. 광센서는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볼 수 있다. 광전효과는 빛의 에너지에 의해 금속판에 있는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음극판에서 탈출해 양극으로 이동해 전기전도에 기여하는 현상이다. 광전효과에는 광전도효과와 광기전력효과가 있지만, 쓰레기통이라는 도구의 특성상 불순물 상태에 있는 전자가 광에너지를 흡수해 전도대로 천이해 전자 또는 정공이 되어 전도도가 증가하는 현상인 광전도효과를 이용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단순히 이용자가 쓰레기를 버리면 그걸 담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며, 별다른 기술적 특성이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의 사회적 문제와 결합하면서 쓰레기통은 더 이상 수동적 상태에 놓여있을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쓰레기도 처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R 1020080002193 A1 KR 2020090015755 A2 US 20080189898 Y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통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고 별도의 광센서를 통해 능동적 쓰레기통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과; 상기 쓰레기통에 연결되며 쓰레기통을 능동적으로 찾을 수 있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연결되며 광센서의 센서가 반응하면 자동으로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되며 흡입된 쓰레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개폐성장치와; 상기 개폐성장치의 아랫부분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통의 내부 중 일부는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 진공장치를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센서에는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광전도효과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센서와 흡입장치를 쓰레기통에 접목해 쓰레기통 주변의 환경을 우수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 2: 광센서
3: 개폐성 장치 4: 흡입장치 5: 이동식 바퀴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속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정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기존의 일반 쓰레기통(1)과 광센서(2)와 개폐성 장치(3)와 흡입장치(4)와 이동식 바퀴(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광센서(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dS, CdSe를 이용한 광전도센서이다. 광센서(2)는 광센서 특유의 광전 효과를 이용해 쓰레기의 주변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광센서(2)는 CdS를 재료로 사용하는 방식과 PbS를 재료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CdS 방식의 광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장치(4)는 상기 광센서(2)에 연결되어 센서 반응을 확인하면 흡입이 시작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장치(4)는 미세한 센서오류에는 작동이 하지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센세 반응이 인식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미세한 오류에 부적절하게 작동되는 경우를 줄이는 특징이 있어서 정밀도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개폐성 장치(3)은 상기 흡입장치(4)의 흡입 기능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입구가 열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는 개폐성 장치의 모양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각형 모양으로 사용했지만, 이는 설계자가 희망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바퀴(5)는 상기 일반 쓰레기통(1)의 최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반 쓰레기통(1)은 일정 반경을 소량으로 이동하며 쓰레기를 수집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동식 바퀴(5)는 필수적이다.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바퀴(5)는 모양이 설계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될 수 없으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바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를 이동식 쓰레기통이 능동적으로 감지하고, 빠르게 수집할 수 있는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쓰레기통,
    상기 쓰레기통의 하단부에 달려 있는 시각 센서,
    상기 시각 센서 아랫부분에 달려 바닥을 향하고 있는 흡입장치, 
    상기 흡입장치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개폐성장치
    를 포함하는 휴지감지 쓰레기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각 센서는 빛의 강약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의 장착이 가능한
    휴지감지 쓰레기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성장치는 휴지의 구겨진 형상을 감안해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감지 쓰레기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휴지가 흡입되도록 작은 팬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이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지감지 쓰레기통.
KR1020210087532A 2021-07-05 2021-07-05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KR20230006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32A KR20230006940A (ko) 2021-07-05 2021-07-05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32A KR20230006940A (ko) 2021-07-05 2021-07-05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40A true KR20230006940A (ko) 2023-01-12

Family

ID=8492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32A KR20230006940A (ko) 2021-07-05 2021-07-05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69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193A (ko)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US20080189898A1 (en) 2005-11-10 2008-08-14 Daniel Hughes Trash container with a vacu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9898A1 (en) 2005-11-10 2008-08-14 Daniel Hughes Trash container with a vacuum
KR20080002193A (ko)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5336A1 (en) Trash can with function of sucking litterbag
KR20190142190A (ko) 쓰레기 봉투 어셈블리, 쓰레기 봉투 장착 장치 및 스마트 쓰레기통
US20220117457A1 (en) Debris collecting base station, cleaning robot and cleaning system
GB9906888D0 (en) Active urine collection device
KR20230006940A (ko) 센서를 이용한 쓰레기 감지 쓰레기통
CN110589290A (zh) 具有干、湿垃圾分类功能的智能垃圾柜
RU27708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мусорных пакетов, мусорное ведр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меной пакетов
KR20060125654A (ko) 음식물 쓰레기통
CN110304376A (zh) 一种语音智能识别的垃圾分类垃圾桶
CN117589645B (zh) 一种火灾烟尘检测传感器
CN209064795U (zh) 一种具有快门式开关的垃圾桶
WO2024041489A1 (zh) 一种语音提示电路及垃圾箱
CN214297580U (zh)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垃圾识别分类装置
CN210028793U (zh) 一种加速垂直管槽垃圾回收系统
CN109279217A (zh) 太阳能垃圾桶
WO2022083196A1 (zh) 无需等开盖就可扔的垃圾桶
KR200370580Y1 (ko) 진공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CN210285450U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分类式自动开闭垃圾桶
AU2019359615B2 (en) Trash bag fitting device, trash bag detection device, smart trash receptacle and method for control of automatic bag replacement
CN210654685U (zh) 具有干、湿垃圾分类功能的智能垃圾柜
CN217497342U (zh) 垃圾桶
CN211618854U (zh) 一种基于nb-iot的环保型智能垃圾储存装置
KR20210157786A (ko) 자동 개폐기능을 구비하는 쓰레기통
CN211997226U (zh) 带全覆盖式自动翻盖的垃圾桶
CN215884943U (zh) 一种垃圾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