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840A - 복합 필름 - Google Patents

복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840A
KR20230006840A KR1020227039811A KR20227039811A KR20230006840A KR 20230006840 A KR20230006840 A KR 20230006840A KR 1020227039811 A KR1020227039811 A KR 1020227039811A KR 20227039811 A KR20227039811 A KR 20227039811A KR 20230006840 A KR20230006840 A KR 2023000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composite
porous layer
thermal barri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서 엘. 아담 주니어
페이 왕
알레산드로 바릴
지아 리우
추안핑 리
니콜라스 데이비드 오르프
레이첼 브라운
디노 만프레디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0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9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4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다층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복합재는 약 180 ℃이상의 난연성 등급 및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필름
본 개시내용은 다층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응용 분야, 예를 들어 배터리 팩에서 열 배리어로 사용하기 위한 다층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다층 복합 필름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고온 보호를 위해, 예를 들어, 전자 자동차 배터리 팩의 열 배리어, 고온 케이블 보호의 열 배리어 덮개, 열 분무 억제용 열 배리어 용기 등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 분야 및 다른 응용 분야에서, 기술 향상으로 인해 잠재적인 열 성장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높은 열 잠재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개선된 배리어 설계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다.
요약
제1 양태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표면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복합재는 약 180 ℃이하의 난연성 등급 및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배터리 팩 열 배리어는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표면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를 포함할 수 있는 다층 복합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열 배리어 재료는 약 180 ℃이하의 난연성 등급 및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예는 예로서 예시되며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층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2는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다층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3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다층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4는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열 배리어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5는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열 배리어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도 6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열 배리어 복합재의 예시를 포함하고;
당업자는 도면의 요소가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일정 비율로 그려지지는 않았음을 이해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다음 논의는 교시의 특정 구현 및 구체예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특정 구체예 설명을 돕기 위해 제공되며 개시 또는 교시의 범위 또는 적용 가능성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개시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다른 구체예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다(has)", "갖는(having)" 또는 이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특징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특징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러한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해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한, "또는"은 포괄적-또는을 지칭하며 배타적-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가 참 (또는 존재함) 및 B가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 A가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 및 B가 참 (또는 존재함), 그리고 A 및 B 모두가 참 (또는 존재함).
또한, "하나(a)" 또는 "하나(an)"의 사용은 본원에 기재된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단지 편의상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 설명은 달리 의미하는 것이 명백하지 않는 한, 하나, 적어도 하나, 또는 단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독해되어야 하며, 또한 복수를 포함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단일 항목이 본원에 기재되는 경우, 단일 항목 대신에 하나 초과의 항목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나 초과의 항목이 본원에 기재되는 경우, 단일 항목이 하나 초과의 항목을 대체할 수 있다.
다층 복합재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는 일반적으로,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다층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난연성 및 압축의 개선된 성능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약 18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1은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다층 복합재(100)를 보여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 복합재(100)는 제1 다공성 층(110) 및 제1 다공성 층(1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목적을 위해, 임의의 층 또는 임의의 다층 복합재의 난연성 등급은 대류 화염 테스트를 사용하여 테스트된 다층 복합재의 가열되지 않은 면에 도달된 최대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목적을 위해, 임의의 층 또는 임의의 다층 복합재의 난연성 등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염 대류 테스트는 다음 절차를 따른다. 먼저, 소량의 폴리이미드 테이프를 사용하여 실온(30 ℃미만) 알루미늄 블록에 테스트 샘플을 부착한다. 샘플 및 알루미늄 블록의 모서리에 테이프를 붙이고, 테스트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샘플을 블록에 고정할 만큼만 테이프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샘플-알루미늄-블록 테스트 조립체를 26 ℃미만으로 냉각한다. 팬을 사용하여 조립체 위로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을 가속화할 수 있다. 점화하고 화염을 625 ℃로 가열한다. 화염 온도가 650 ℃에 도달하면, 샘플의 한 면을 화염 속으로 가져오는 테스트 프레임에 샘플 조립체를 부드럽지만 빠르게 놓는다. 화염 반대편의 샘플-알루미늄-블록 테스트 조립체 쪽(즉 차가운 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90 초가 경과한 후 온도를 기록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목적을 위해,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50% 변형률에서 측정된 샘플의 압축 등급으로 정의되며 50% 변형률에서 샘플의 압축을 위한 힘 및 압축력 편향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압축을 위한 힘(force-to-compress, FTC)은 샘플을 소정의 변형률로 압축하기 위한 피크 힘(또는 응력)으로 정의되고 압축력 편향(compression-force-deflection, CFD)은 원하는 변형률(즉 50%)에서 유지될 때 샘플에 의해 유지되는 안정기 또는 완화 힘(또는 응력)으로 정의된다. 측정은 60 초의 유지 시간, 0.16 mm/s의 압축 속도 및 10 그램의 트리거 힘 후에 FTC 값 및 CFD 값 모두를 찾고 기록하는 텍스처 분석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목적을 위해, 임의의 층 또는 임의의 다층 복합재(100)의 밀도는 ASTM D105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110)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특정 함량의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110)은 제1 다공성 층(1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 예컨대,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약 80 wt.% 이상 또는 약 9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95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약 99 wt.% 이하, 예컨대, 약 98 wt.% 이하 또는 약 97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96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1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1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특정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110)의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수산화 마그네슘(MDH), 금속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의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 금속 규산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과 같은 탄산염, 붕산 아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특정 함량의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110)은 제1 다공성 층(1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 예컨대, 약 15 wt.% 이상 또는 약 20 wt.% 이상 또는 약 25 wt.% 이상 또는 약 30 wt.% 이상 또는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65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5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약 95 wt.% 이하, 예컨대, 약 90 wt.% 이하 또는 약 85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1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1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110)은 약 1 mm 이상, 예컨대, 약 1.3 mm 이상 또는 약 1.5 mm 이상 또는 약 1.7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3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2.7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3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3.7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3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4.7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3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약 5.7 mm 이상 또는 약 6.0 mm 이상 또는 약 6.3 mm 이상 또는 약 6.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110)은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8 mm 이하 또는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2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8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2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8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2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8 mm 이하 또는 약 9.5 mm 이하 또는 약 9.2 mm 이하 또는 약 9.0 mm 이하 또는 약 8.8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약 8.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11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11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1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10)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10)은 본질적으로 특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10)은 본질적으로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2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20)은 약 0.10 mm 이상, 예컨대, 약 0.13 mm 이상 또는 약 0.15 mm 이상 또는 약 0.17 mm 이상 또는 약 0.20 mm 이상 또는 약 0.23 mm 이상 또는 약 0.25 mm 이상 또는 약 0.27 mm 이상 또는 약 0.30 mm 이상 또는 약 0.33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35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20)은 약 0.55 mm 이하, 예컨대, 약 0.52 mm 이하 또는 약 0.50 mm 이하 또는 약 0.48 mm 이하 또는 약 0.45 mm 이하 또는 약 0.4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12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배리어 층(12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100)는 약 1.0 mm 이상, 예컨대, 약 1.03 mm 이상 또는 약 1.05 mm 이상 또는 약 1.07 mm 이상 또는 약 1.10 mm 이상 또는 약 1.13 mm 이상 또는 약 1.15 mm 이상 또는 약 1.17 mm 이상 또는 약 1.20 mm 이상 또는 약 1.30 mm 이상 또는 약 1.40 mm 이상 또는 약 1.50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6.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1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PL1/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PL1/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100)는 약 0.50 이상, 예컨대, 약 0.52 이상 또는 약 0.54 이상 또는 약 0.56 이상 또는 약 0.58 이상 또는 약 0.60 이상 또는 약 0.62 이상 또는 약 0.64 이상 또는 약 0.66 이상 또는 약 0.68 이상 또는 약 0.70 이상 또는 약 0.72 이상 또는 약 0.74 이상 또는 약 0.76 이상 또는 약 0.78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80 이상의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0.99 이하 또는 약 0.96 이하 또는 약 0.94 이하 또는 약 0.92 이하 또는 약 0.90 이하 또는 약 0.88 이하 또는 약 0.86 이하 또는 약 0.84 이하 또는 약 0.82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80 이하의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P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P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특정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100)는 약 0.01 이상, 예컨대, 약 0.02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6 이상 또는 약 0.18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0.22 이상 또는 약 0.24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26 이상의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100)는 약 0.4 이하, 예컨대, 약 0.38 이하 또는 약 0.36 이하 또는 약 0.34 이하 또는 약 0.32 이하 또는 약 0.3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28 이하의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B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100)의 두께비 B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다층 복합재(200)를 보여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 복합재(200)는 제1 다공성 층(210), 제1 다공성 층(2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220) 및 제1 다공성 층(210)의 아래에 놓인 제2 배리어 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다공성 층(210)은 제1 배리어 층(220)과 제2 배리어 층(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200) 및 다층 복합재(2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가 도 1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 2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200), 제1 다공성 층(210) 및 제1 배리어 층(220)의 특징은 도 1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100), 제1 다공성 층(110) 및 제1 배리어 층(120) 각각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재된 상응하는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2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2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특정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2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2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2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2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23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230)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230)은 본질적으로 특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230)은 본질적으로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23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230)은 약 0.10 mm 이상, 예컨대, 약 0.13 mm 이상 또는 약 0.15 mm 이상 또는 약 0.17 mm 이상 또는 약 0.20 mm 이상 또는 약 0.23 mm 이상 또는 약 0.25 mm 이상 또는 약 0.27 mm 이상 또는 약 0.30 mm 이상 또는 약 0.33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35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230)은 약 0.55 mm 이하, 예컨대, 약 0.52 mm 이하 또는 약 0.50 mm 이하 또는 약 0.48 mm 이하 또는 약 0.45 mm 이하 또는 약 0.4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의 두께(230)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배리어 층(23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특정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2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200)의 두께비 PL1/BL2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200)의 두께비 PL1/BL2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특정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200)는 약 0.01 이상, 예컨대, 약 0.02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6 이상 또는 약 0.18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0.22 이상 또는 약 0.24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26 이상의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200)는 약 0.4 이하, 예컨대, 약 0.38 이하 또는 약 0.36 이하 또는 약 0.34 이하 또는 약 0.32 이하 또는 약 0.3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28 이하의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200)의 두께비 B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200)의 두께비 B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다층 복합재(300)를 보여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층 복합재(300)는 제1 다공성 층(310), 제1 다공성 층(3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320) 및 제1 배리어 층(320)의 위에 놓인 제2 다공성 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배리어 층(320)은 제1 다공성 층(310)과 제2 다공성 층(3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300) 및 다층 복합재(3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가 도 1및/또는 도 2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 3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300), 제1 다공성 층(310) 및 제1 배리어 층(320)의 특징은 도 1(도 2)에 나타난 다층 복합재(100(200)), 제1 다공성 층(110(210)) 및 제1 배리어 층(120(220)) 각각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재된 상응하는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3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3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특정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3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3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3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3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340)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특정 함량의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340)은 제2 다공성 층(3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 예컨대,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약 80 wt.% 이상 또는 약 9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95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약 99 wt.% 이하, 예컨대, 약 98 wt.% 이하 또는 약 97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96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3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3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특정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340)의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수산화 마그네슘(MDH), 금속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의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 금속 규산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과 같은 탄산염, 붕산 아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특정 함량의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340)은 제2 다공성 층(3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 예컨대, 약 15 wt.% 이상 또는 약 20 wt.% 이상 또는 약 25 wt.% 이상 또는 약 30 wt.% 이상 또는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65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5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약 95 wt.% 이하, 예컨대, 약 90 wt.% 이하 또는 약 85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3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3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340)은 약 1 mm 이상, 예컨대, 약 1.3 mm 이상 또는 약 1.5 mm 이상 또는 약 1.7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3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2.7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3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3.7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3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4.7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3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약 5.7 mm 이상 또는 약 6.0 mm 이상 또는 약 6.3 mm 이상 또는 약 6.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340)은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8 mm 이하 또는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2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8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2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8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2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8 mm 이하 또는 약 9.5 mm 이하 또는 약 9.2 mm 이하 또는 약 9.0 mm 이하 또는 약 8.8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약 8.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34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34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특정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2는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3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300)의 두께비 PL2/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300)의 두께비 PL2/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특정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2는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다층 복합재(300)는 약 0.35 이상, 예컨대, 약 0.37 이상 또는 약 0.39 이상 또는 약 0.40 이상 또는 약 0.45 이상 또는 약 0.50 이상 또는 약 0.55 이상 또는 약 0.60 이상 또는 약 0.65 이상 또는 약 0.70 이상 또는 약 0.7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80 이상의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300)는 약 0.99 이하 또는 약 0.96 이하 또는 약 0.94 이하 또는 약 0.92 이하 또는 약 0.90 이하 또는 약 0.88 이하 또는 약 0.86 이하 또는 약 0.84 이하 또는 약 0.82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80 이하의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다. 다층 복합재(300)의 두께비 P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층 복합재(300)의 두께비 P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다층 복합재는 다층 복합재에 대한 임의의 허용 가능한 형성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다공성 폼 및 배리어 층이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 고무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페놀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전사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될 수 있는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다공성 폼 및 코팅된 배리어 층을 사용한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배리어 층 상의 코팅은 접착제, 예컨데 실리콘 접착제, 고무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페놀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다층 복합재는 직접 캐스팅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폼은 장벽 필름에 또는 장벽 필름 사이에 직접 캐스팅된다.
열 배리어 복합재
이제 본원에 기재된 추가 구체예로 돌아가면, 이러한 구체예는 일반적으로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는 열 배리어 복합재ㅏ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난연성 및 압축의 개선된 성능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이상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50% 변형률에서 약 350 kPa 이상의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 4는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열 배리어 복합재(400)를 보여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제1 다공성 층(410) 및 제1 다공성 층(4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410)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특정 함량의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410)은 제1 다공성 층(4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 예컨대,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약 80 wt.% 이상 또는 약 9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95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약 99 wt.% 이하, 예컨대, 약 98 wt.% 이하 또는 약 97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96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4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4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특정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410)의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수산화 마그네슘(MDH), 금속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의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 금속 규산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과 같은 탄산염, 붕산 아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특정 함량의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410)은 제1 다공성 층(41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 예컨대, 약 15 wt.% 이상 또는 약 20 wt.% 이상 또는 약 25 wt.% 이상 또는 약 30 wt.% 이상 또는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65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5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약 95 wt.% 이하, 예컨대, 약 90 wt.% 이하 또는 약 85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4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41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공성 층(410)은 약 1 mm 이상, 예컨대, 약 1.3 mm 이상 또는 약 1.5 mm 이상 또는 약 1.7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3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2.7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3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3.7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3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4.7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3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약 5.7 mm 이상 또는 약 6.0 mm 이상 또는 약 6.3 mm 이상 또는 약 6.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다공성 층(410)은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8 mm 이하 또는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2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8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2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8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2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8 mm 이하 또는 약 9.5 mm 이하 또는 약 9.2 mm 이하 또는 약 9.0 mm 이하 또는 약 8.8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약 8.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다공성 층(41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다공성 층(41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1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10)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110)은 본질적으로 특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110)은 본질적으로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42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리어 층(420)은 약 0.10 mm 이상, 예컨대, 약 0.13 mm 이상 또는 약 0.15 mm 이상 또는 약 0.17 mm 이상 또는 약 0.20 mm 이상 또는 약 0.23 mm 이상 또는 약 0.25 mm 이상 또는 약 0.27 mm 이상 또는 약 0.30 mm 이상 또는 약 0.33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35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1 배리어 층(420)은 약 0.55 mm 이하, 예컨대, 약 0.52 mm 이하 또는 약 0.50 mm 이하 또는 약 0.48 mm 이하 또는 약 0.45 mm 이하 또는 약 0.4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42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배리어 층(42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1.0 mm 이상, 예컨대, 약 1.03 mm 이상 또는 약 1.05 mm 이상 또는 약 1.07 mm 이상 또는 약 1.10 mm 이상 또는 약 1.13 mm 이상 또는 약 1.15 mm 이상 또는 약 1.17 mm 이상 또는 약 1.20 mm 이상 또는 약 1.30 mm 이상 또는 약 1.40 mm 이상 또는 약 1.50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6.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1/BL1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PL1/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PL1/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0.50 이상, 예컨대, 약 0.52 이상 또는 약 0.54 이상 또는 약 0.56 이상 또는 약 0.58 이상 또는 약 0.60 이상 또는 약 0.62 이상 또는 약 0.64 이상 또는 약 0.66 이상 또는 약 0.68 이상 또는 약 0.70 이상 또는 약 0.72 이상 또는 약 0.74 이상 또는 약 0.76 이상 또는 약 0.78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80 이상의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0.99 이하 또는 약 0.96 이하 또는 약 0.94 이하 또는 약 0.92 이하 또는 약 0.90 이하 또는 약 0.88 이하 또는 약 0.86 이하 또는 약 0.84 이하 또는 약 0.82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80 이하의 두께비 PL1/CF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P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P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특정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0.01 이상, 예컨대, 약 0.02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6 이상 또는 약 0.18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0.22 이상 또는 약 0.24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26 이상의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400)는 약 0.4 이하, 예컨대, 약 0.38 이하 또는 약 0.36 이하 또는 약 0.34 이하 또는 약 0.32 이하 또는 약 0.3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28 이하의 두께비 BL1/CF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B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400)의 두께비 BL1/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열 배리어 복합재(500)를 보여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제1 다공성 층(510), 제1 다공성 층(5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520) 및 제1 다공성 층(510)의 아래에 놓인 제2 배리어 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다공성 층(510)은 제1 배리어 층(520)과 제2 배리어 층(5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500) 및 열 배리어 복합재(5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가 도 4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 5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500), 제1 다공성 층(510) 및 제1 배리어 층(520)의 특징은 도 4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400), 제1 다공성 층(410) 및 제1 배리어 층(420) 각각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재된 상응하는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특정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53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530)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530)은 본질적으로 특정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530)은 본질적으로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53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리어 층(530)은 약 0.10 mm 이상, 예컨대, 약 0.13 mm 이상 또는 약 0.15 mm 이상 또는 약 0.17 mm 이상 또는 약 0.20 mm 이상 또는 약 0.23 mm 이상 또는 약 0.25 mm 이상 또는 약 0.27 mm 이상 또는 약 0.30 mm 이상 또는 약 0.33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35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530)은 약 0.55 mm 이하, 예컨대, 약 0.52 mm 이하 또는 약 0.50 mm 이하 또는 약 0.48 mm 이하 또는 약 0.45 mm 이하 또는 약 0.4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4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의 두께(530)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배리어 층(53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특정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1/BL2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두께비 PL1/BL2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두께비 PL1/BL2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특정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0.01 이상, 예컨대, 약 0.02 이상 또는 약 0.04 이상 또는 약 0.06 이상 또는 약 0.08 이상 또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6 이상 또는 약 0.18 이상 또는 약 0.20 이상 또는 약 0.22 이상 또는 약 0.24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26 이상의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500)는 약 0.4 이하, 예컨대, 약 0.38 이하 또는 약 0.36 이하 또는 약 0.34 이하 또는 약 0.32 이하 또는 약 0.3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28 이하의 두께비 BL2/CF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두께비 B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500)의 두께비 B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른 또 다른 열 배리어 복합재(600)를 보여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제1 다공성 층(610), 제1 다공성 층(610)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620) 및 제1 배리어 층(620)의 위에 놓인 제2 다공성 층(6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배리어 층(620)은 제1 다공성 층(610)과 제2 다공성 층(6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600) 및 열 배리어 복합재(600)를 참조하여 설명된 모든 구성요소가 도 4 및/또는 도 5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를 참조하여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도 6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600), 제1 다공성 층(610) 및 제1 배리어 층(620)의 특징은 도 4(도 5)에 나타난 열 배리어 복합재(400(200)), 제1 다공성 층(410(210)) 및 제1 배리어 층(420(220)) 각각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재된 상응하는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특정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180 ℃이하, 예컨대, 약 175 ℃이하 또는 약 170 ℃이하 또는 약 165 ℃이하 또는 약 160 ℃이하 또는 약 155 ℃이하 또는 약 150 ℃이하 또는 약 145 ℃이하 또는 약 140 ℃이하 또는 약 135 ℃이하 또는 약 130 ℃이하 또는 약 125 ℃이하 또는 심지어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난연성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특정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600 kPa 이하, 예컨대, 약 575 kPa 이하 또는 약 550 kPa 이하 또는 약 525 kPa 이하 또는 약 500 kPa 이하 또는 약 475 kPa 이하 또는 약 450 kPa 이하 또는 약 425 kPa 이하 또는 약 400 kPa 이하 또는 약 375 kPa 이하 또는 약 350 kPa 이하 또는 약 325 kPa 이하 또는 약 300 kPa 이하 또는 약 275 kPa 이하 또는 약 250 kPa 이하 또는 약 225 kPa 이하 또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특정 밀도를 가질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560 kg/m3 이하, 예컨대, 약 540 kg/m3 이하 또는 약 520 kg/m3 이하 또는 약 500 kg/m3 이하 또는 약 480 kg/m3 이하 또는 약 460 kg/m3 이하 또는 약 440 kg/m3 이하 또는 약 420 kg/m3 이하 또는 약 400 kg/m3 이하 또는 약 380 kg/m3 이하 또는 약 360 kg/m3 이하 또는 약 340 kg/m3 이하 또는 약 320 kg/m3 이하 또는 심지어 약 300 kg/m3 이하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140 kg/m3 이상, 예컨대, 약 160 kg/m3 이상 또는 약 180 kg/m3 이상 또는 약 200 kg/m3 이상 또는 약 220 kg/m3 이상 또는 약 240 kg/m3 이상 또는 약 260 kg/m3 이상 또는 심지어 약 280 kg/m3 이상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밀도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특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640)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특정 함량의 실리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640)은 제2 다공성 층(6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 예컨대,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약 80 wt.% 이상 또는 약 9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95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약 99 wt.% 이하, 예컨대, 약 98 wt.% 이하 또는 약 97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96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6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6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특정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640)의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수산화 마그네슘(MDH), 금속 수산화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의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 금속 규산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과 같은 탄산염, 붕산 아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의 충전제 재료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특정 함량의 충전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640)은 제2 다공성 층(640)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 예컨대, 약 15 wt.% 이상 또는 약 20 wt.% 이상 또는 약 25 wt.% 이상 또는 약 30 wt.% 이상 또는 약 35 wt.% 이상 또는 약 40 wt.% 이상 또는 약 45 wt.% 이상 또는 약 50 wt.% 이상 또는 약 55 wt.% 이상 또는 약 60 wt.% 이상 또는 약 65 wt.% 이상 또는 약 70 wt.%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5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약 95 wt.% 이하, 예컨대, 약 90 wt.% 이하 또는 약 85 wt.%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6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640)의 실리콘 재료 함량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특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공성 층(640)은 약 1 mm 이상, 예컨대, 약 1.3 mm 이상 또는 약 1.5 mm 이상 또는 약 1.7 mm 이상 또는 약 2.0 mm 이상 또는 약 2.3 mm 이상 또는 약 2.5 mm 이상 또는 약 2.7 mm 이상 또는 약 3.0 mm 이상 또는 약 3.3 mm 이상 또는 약 3.5 mm 이상 또는 약 3.7 mm 이상 또는 약 4.0 mm 이상 또는 약 4.3 mm 이상 또는 약 4.5 mm 이상 또는 약 4.7 mm 이상 또는 약 5.0 mm 이상 또는 약 5.3 mm 이상 또는 약 5.5 mm 이상 또는 약 5.7 mm 이상 또는 약 6.0 mm 이상 또는 약 6.3 mm 이상 또는 약 6.5 mm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제2 다공성 층(640)은 약 13 mm 이하, 예컨대, 약 12.8 mm 이하 또는 약 12.5 mm 이하 또는 약 12.2 mm 이하 또는 약 12.0 mm 이하 또는 약 11.8 mm 이하 또는 약 11.5 mm 이하 또는 약 11.2 mm 이하 또는 약 11.0 mm 이하 또는 약 10.8 mm 이하 또는 약 10.5 mm 이하 또는 약 10.2 mm 이하 또는 약 10.0 mm 이하 또는 약 9.8 mm 이하 또는 약 9.5 mm 이하 또는 약 9.2 mm 이하 또는 약 9.0 mm 이하 또는 약 8.8 mm 이하 또는 약 8.5 mm 이하 또는 약 8.2 mm 이하 또는 심지어 약 8.0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다공성 층(64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 다공성 층(640)의 두께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특정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2는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2.0 이상, 예컨대, 약 5.0 이상 또는 약 10 이상 또는 약 15 이상 또는 약 20 이상 또는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또는 약 35 이상 또는 약 40 이상 또는 약 45 이상 또는 약 50 이상 또는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6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70 이상의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99 이하, 예컨대, 약 95 이하 또는 약 90 이하 또는 약 85 이하 또는 약 80 이하 또는 심지어 약 75 이하의 두께비 PL2/BL1을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두께비 PL2/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두께비 PL2/BL1은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특정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PL2는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0.35 이상, 예컨대, 약 0.37 이상 또는 약 0.39 이상 또는 약 0.40 이상 또는 약 0.45 이상 또는 약 0.50 이상 또는 약 0.55 이상 또는 약 0.60 이상 또는 약 0.65 이상 또는 약 0.70 이상 또는 약 0.75 이상 또는 심지어 약 0.80 이상의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600)는 약 0.99 이하 또는 약 0.96 이하 또는 약 0.94 이하 또는 약 0.92 이하 또는 약 0.90 이하 또는 약 0.88 이하 또는 약 0.86 이하 또는 약 0.84 이하 또는 약 0.82 이하 또는 심지어 약 0.80 이하의 두께비 PL2/CF를 가질 수 있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두께비 P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열 배리어 복합재(600)의 두께비 PL2/CF는 위에 언급된 임의의 최소값 및 최대값 사이의 임의의 값일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열 배리어 복합재에 대한 임의의 허용 가능한 형성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다공성 폼 및 배리어 층이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 고무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페놀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전사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될 수 있는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다공성 폼 및 코팅된 배리어 층을 사용한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배리어 층 상의 코팅은 접착제, 예컨데 실리콘 접착제, 고무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페놀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열 배리어 복합재는 직접 캐스팅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폼은 장벽 필름에 또는 장벽 필름 사이에 직접 캐스팅된다.
많은 상이한 양태 및 구체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양태 및 구체예 중 일부가 본원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 당업자는 양태 및 구체예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구체예는 아래 나열된 구체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를 수 있다.
구체예 1. 다음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 복합재는 약 18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 복합재는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함.
구체예 2. 구체예 1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 구체예 1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 구체예 1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7. 구체예 6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40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8. 구체예 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9. 구체예 8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0. 구체예 8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9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1. 구체예 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2. 구체예 1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3. 구체예 1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4.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5.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6.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7.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금속 규산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8.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탄산 칼슘 및 기타 탄산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19.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붕산 아연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20. 구체예 11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및 기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21.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1/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2. 구체예 2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9 이하의 두께비 PL1/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3.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66 이상의 두께비 P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4. 구체예 2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99 이하의 두께비 P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5.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01 이상의 두께비 B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6. 구체예 25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4 이하의 두께비 B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27. 구체예 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약 1 mm 이상의 두께 PL1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28. 구체예 27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약 13 mm 이하의 두께 PL1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29. 구체예 1에 있어서, 제1 배리어 층은 약 0.13 mm 이상의 두께 BL1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0. 구체예 29에 있어서, 제1 배리어 층은 약 0.51 mm 이하의 두께 BL1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1.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1.13 mm 이상의 두께 CF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2. 구체예 3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13 mm 이하의 두께 CF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3.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제2 배리어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배리어 층과 제2 배리어 층 사이에 있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4. 구체예 33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5. 구체예 33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6. 구체예 35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7. 구체예 3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8. 구체예 33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39. 구체예 38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44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0. 구체예 3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1/BL2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41. 구체예 40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8 이하의 두께비 PL1/BL2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42. 구체예 3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1 이상의 두께비 B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43. 구체예 42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4 이하의 두께비 B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44. 구체예 33에 있어서, 제2 배리어 층은 약 0.13 mm 이상의 두께 BL2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5. 구체예 44에 있어서, 제2 배리어 층은 약 0.51 mm 이하의 두께 BL2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6. 구체예 1에 있어서, 복합재는 제2 다공성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제1 다공성 층과 제2 다공성 층 사이에 있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7. 구체예 46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8. 구체예 46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49. 구체예 48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0. 구체예 46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3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1. 구체예 50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2. 구체예 46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3. 구체예 52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44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4. 구체예 46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5. 구체예 54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6. 구체예 54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9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7. 구체예 46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8. 구체예 57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59. 구체예 57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0.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1.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2.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3.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금속 규산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4.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탄산 칼슘 및 기타 탄산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5.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붕산 아연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6. 구체예 57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및 기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67. 구체예 46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2/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68. 구체예 67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1.3 이하의 두께비 PL2/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69. 구체예 46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9 이상의 두께비 P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70. 구체예 69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91 이하의 두께비 P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다층 복합재.
구체예 71. 구체예 46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약 1.0 mm 이상의 두께 PL2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72. 구체예 71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약 11.87 mm 이하의 두께 PL2를 갖는 다층 복합재.
구체예 73. 다음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이상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고, 여기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50% 변형률에서 약 350 kPa 이하의 압축 등급을 포함함.
구체예 74. 구체예 73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75. 구체예 73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76. 구체예 75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77. 구체예 73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78. 구체예 73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79. 구체예 78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40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0. 구체예 7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1. 구체예 7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2. 구체예 81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9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3. 구체예 7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4. 구체예 8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5. 구체예 8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6.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7.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8.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89.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금속 규산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0.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탄산 칼슘 및 기타 탄산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1.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붕산 아연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2. 구체예 83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및 기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3.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1/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4. 구체예 9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9 이하의 두께비 PL1/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5.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66 이상의 두께비 P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6. 구체예 95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99 이하의 두께비 P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7.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01 이상의 두께비 B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8. 구체예 97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4 이하의 두께비 BL1/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99. 구체예 73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약 1 mm 이상의 두께 PL1을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0. 구체예 99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약 13 mm 이하의 두께 PL1을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1. 구체예 73에 있어서, 제1 배리어 층은 약 0.13 mm 이상의 두께 BL1을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2. 구체예 101에 있어서, 제1 배리어 층은 약 0.51 mm 이하의 두께 BL1을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3.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1.13 mm 이상의 두께 CF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4. 구체예 103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13 mm 이하의 두께 CF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5.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제2 배리어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배리어 층과 제2 배리어 층 사이에 있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6. 구체예 105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7. 구체예 105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8. 구체예 107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09. 구체예 105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0. 구체예 105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1. 구체예 110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44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2. 구체예 105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1/BL2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3. 구체예 112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8 이하의 두께비 PL1/BL2를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4. 구체예 105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1 이상의 두께비 B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5. 구체예 114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4 이하의 두께비 B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BL2는 제2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6. 구체예 105에 있어서, 제2 배리어 층은 약 0.13 mm 이상의 두께 BL2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7. 구체예 116에 있어서, 제2 배리어 층은 약 0.51 mm 이하의 두께 BL2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8. 구체예 73에 있어서, 복합재는 제2 다공성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제1 다공성 층과 제2 다공성 층 사이에 있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19. 구체예 118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0. 구체예 118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2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1. 구체예 120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2. 구체예 118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3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3. 구체예 122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4. 구체예 118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5. 구체예 124에 있어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144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6. 구체예 118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7. 구체예 126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8. 구체예 127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9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29. 구체예 118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0. 구체예 129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1. 구체예 130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제2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9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2.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3.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4.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5.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금속 규산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6.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탄산 칼슘 및 기타 탄산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7.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붕산 아연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8. 구체예 129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산화 알루미늄,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타늄, 산화 세륨, 산화 철 및 기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39. 구체예 118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2/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0. 구체예 139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91.3 이하의 두께비 PL2/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1. 구체예 118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39 이상의 두께비 P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2. 구체예 141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0.91 이하의 두께비 PL2/CF를 포함하고, 여기서 PL2는 제2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CF는 복합재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3. 구체예 118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약 1.0 mm 이상의 두께 PL2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4. 구체예 143에 있어서, 제2 다공성 층은 약 11.87 mm 이하의 두께 PL2를 갖는 열 배리어 복합재.
구체예 145. 임의의 이전 구체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열 배리어 복합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실시예
본원에 설명된 개념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다음 실시예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열한 가지의 샘플 샘플 복합재 S1-S10이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에 따라 형성되었다. 각 샘플 복합재는 적어도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배리어 층을 포함했다.
제1 다공성 층,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제2 다공성 층이, 샘플 복합재 S1-S10 각각에 대해 다음 제제로부터 선틱되었다. 다공성 층 옵션 1(PLO1)은 알루미늄 삼수화물 충전제 및 144 kg/m3 내지 272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2(PLO2)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144 kg/m3 내지 272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3(PLO3)은 알루미늄 삼수화물 붕산 아연, 및 산화 철 충전제를 갖는 실리콘 폼이고, 이는 288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다공성 층 옵션 4(PLO4)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288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5(PLO5)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붕산 아연,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288 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제1 배리어 층, 및 적용 가능한 경우 제2 배리어 층이, 샘플 복합재 S1-S10 각각에 대해 다음 제제로부터 선틱되었다. 배리어 층 옵션 1(BLO1)은 폴리아라미드 층이다. 배리어 층 옵션 2(BL02)는 폴리이미드 층이다.
샘플 복합재 S1-S5는 PL1/BL1의 층 구성을 갖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이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이다. 샘플 S6-S8은 BL2/PL1/BL2의 층 구성을 갖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이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이고 BL2는 제2 배리어 층이다. 샘플 S9 및 S10은 PL1/BL2/PL2의 층 구성을 갖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이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이고 PL2는 제2 다공성 층이다.
열 개의 샘플 복합재 S1-S10 모두를 테스트하여 본원에 정의된 테스트에 따라 측정된 난연성 등급 및 본원에 정의된 테스트에 따라 측정된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결정했다.
샘플 복합재 S1-S10의 조성 및 성능 등급(즉 난연성 등급 및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아래 표 1에 요약된다.
표 1 - 샘플 복합재 S1-S10
샘플 PL1 BL1 BL2 PL2 복합재
두께
(mm)
난연성 등급
( ℃
50% 변형률 압축 등급
(kPa)
S1 PL01 BL01 N/A N/A 3.3 150 69
S2 PL02 BL01 N/A N/A 3.4 131 55
S3 PL03 BL01 N/A N/A 2.9 114 283
S4 PL03 BL02 N/A N/A 2.7 200 386
S5 PL04 BL01 N/A N/A 2.0 120 503
S6 PL02 BL01 BL01 N/A 3.8 155 110
S7 PL03 BL01 BL01 N/A 3.0 182 442
S8 PL03 BL02 BL02 N/A 3.1 113 414
S9 PL03 BL01 N/A PL03 5.4 103 324
S10 PL03 BL02 N/A PL03 5.4 88 338
네 개의 비교 샘플 복합재 CS1-CS6은 배리어 층 없이 다공성 층만을 사용하여 형성되었다.
샘플 비교 복합재 CS1-CS4 각각에 대한 다공성 층은 다음 제제로부터 선택되었다. 다공성 층 옵션 1(PLO1)은 알루미늄 삼수화물 충전제 및 144 kg/m3 내지 272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2(PLO2)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144 kg/m3 내지 272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3(PLO3)은 알루미늄 삼수화물 붕산 아연, 및 산화 철 충전제를 갖는 실리콘 폼이고, 이는 288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다공성 층 옵션 4(PLO4)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288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다공성 층 옵션 5(PLO5)는 알루미늄 삼수화물, 붕산 아연, 및 산화 철 충전제, 및 288 kg/m3 내지 400 kg/m3의 밀도를 갖는 실리콘 폼이다.
샘플 비교 복합재 CS5 및 CS6 각각에 대한 배리어 층은 다음 제제로부터 선택되었다. 배리어 층 옵션 1(BLO1)은 폴리아라미드 층이다. 배리어 층 옵션 2(BL02)는 폴리이미드 층이다.
비교 샘플 복합재 CS1-CS6 모두를 테스트하여 본원에 정의된 테스트에 따라 측정된 난연성 등급 및 본원에 정의된 테스트에 따라 측정된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결정했다.
비교 샘플 복합재 CS1-CS6의 조성 및 성능 등급(즉 난연성 등급 및 50% 변형률 압축 등급)은 아래 표 2에 요약된다.
표 2 - 비교 샘플 복합재 CS1-CS6
샘플 PL1 BL1 복합재
두께
(mm)
난연성 등급
( ℃
50% 변형률 압축 등급
(kPa)
CS1 PL01 N/A 3.1 174 62
CS2 PL02 N/A 3.4 166 48
CS3 PL03 N/A 2.7 161 290
CS4 PL04 N/A 1.8 182 379
CS5 N/A BL01 0.4 >200 >600
CS6 N/A BL02 0.13 >200 >600
일반적인 설명 또는 예에서 위에 설명된 모든 활동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활동의 일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설명된 것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활동이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라. 또한, 활동이 나열되는 순서가 반드시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이점, 기타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 구체예와 관련하여 위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발생시키거나 더 두드러지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명세서 및 도해는 다양한 구체예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명세서 및 도해는 본원에 기재된 구조 또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의 모든 요소 및 특징의 철저하고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별 구체예는 또한 단일 구체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고,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구체예의 맥락에서 기재된 다양한 특징이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범위에 언급된 값에 대한 참조는 해당 범위 내의 각각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많은 다른 구체예가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만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치환, 논리적 치환, 또는 또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구체예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사용되고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다음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함,
    여기서 다층 복합재는 약 18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고,
    여기서 다층 복합재는 약 6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함.
  2. 제1항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50 ℃이하의 난연성 등급을 갖는 다층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400 kPa 이하의 50% 변형률 압축 등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560 kg/m3 이하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5. 제4항에 있어서, 다층 복합재는 약 140 kg/m3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실리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30 wt.% 이상 및 약 99 wt.% 이하의 실리콘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제1 다공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해 약 10 wt.% 이상 및 약 90 wt.% 이하의 충전제 재료 함량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10. 제8항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운모 카올린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11. 제8항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
  12. 다음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제1 다공성 층, 및
    제1 다공성 층의 위에 놓인 제1 배리어 층, 여기서 제1 배리어 층은 폴리아라미드 재료, 폴리이미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함,
    여기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약 200 ℃이상의 난연성 등급을 포함하고,
    여기서 열 배리어 복합재는 50% 변형률에서 약 350 kPa 이하의 압축 등급을 포함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다공성 층은 충전제 재료를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충전제 재료는 알루미나 삼수화물(ATH, 수화 알루미나), 알루미나 일수화물(보헤마이트), 수산화 마그네슘(MDH) 및 기타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열 배리어 복합재.
  15. 제12항에 있어서, 복합재는 약 2.0 이상의 두께비 PL1/BL1을 포함하고, 여기서 PL1은 제1 다공성 층의 두께와 동일하고 BL1은 제1 배리어 층의 두께와 동일한 열 배리어 복합재.
KR1020227039811A 2020-04-14 2021-04-12 복합 필름 KR20230006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09858P 2020-04-14 2020-04-14
US63/009,858 2020-04-14
PCT/US2021/026834 WO2021211428A1 (en) 2020-04-14 2021-04-12 Composit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840A true KR20230006840A (ko) 2023-01-11

Family

ID=7800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11A KR20230006840A (ko) 2020-04-14 2021-04-12 복합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11527B2 (ko)
EP (1) EP4135980A4 (ko)
JP (1) JP2023524939A (ko)
KR (1) KR20230006840A (ko)
CN (1) CN115551711A (ko)
WO (1) WO2021211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35980A4 (en) 2020-04-14 2024-05-0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COMPOSITE FILM
TW202240962A (zh) * 2021-03-09 2022-10-16 美商羅傑斯公司 複合熱管理片材、製造方法、使用其之電池組之組件、及包含其之電池組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732A (en) 1975-03-05 1978-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Thermal insulation attaching means
US4153747A (en) 1978-04-03 1979-05-08 Sigmaform Corporation Wrap around heat shrinkable closure
JPS557725A (en) 1978-06-30 1980-01-1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Roller type heat fixing device
US4728567A (en) * 1986-12-22 1988-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 foam backed polyimide film
US4994317A (en) 1988-12-21 1991-02-19 Springs Industries, Inc. Flame durable fire barrier fabric
US5156360A (en) 1991-04-08 1992-10-20 The Boeing Company Flexible fire seal for overlapping cowl side edges
WO1993019912A1 (en) 1992-04-02 1993-10-14 Akro Fireguard Products, Inc. Aircraft fuselage flame barrier
AU6121494A (en) 1993-01-11 1994-08-15 Med-Genesis, Inc. Barrier for protection during laser use
US6049906A (en) 1999-02-16 2000-04-18 Lion Apparel, Inc. Silicone foam pad for a firefighting garment
WO2000062354A1 (fr) 1999-04-08 2000-10-19 Dai Nippon Printing Co., Ltd. Materiau d'emballage de pile, sachet de transport de pile et procede de production connexe
JP2003170300A (ja) 2001-12-04 2003-06-17 Fujikura Rubber Ltd プレス用緩衝シート
WO2006024010A2 (en) 2004-08-24 2006-03-02 Aspen Aerogels, Inc. Aerogel-based vehicle thermal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R2881054B1 (fr) 2005-01-25 2007-04-06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Gaine de protection thermique
EP1879738A4 (en) 2005-04-29 2009-12-16 Woodbridge Foam Corp FOAM LAMINATE PRODU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503664B2 (en) 2006-03-15 2009-03-17 Reflexit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retroreflective film structure
US7749387B2 (en) 2006-08-08 2010-07-0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lly-layered polymeric membranes and method of use
EP2489505A1 (en) 2007-10-22 2012-08-22 Flexible Ceramics, Inc. Fire resistant flexible ceramic resin blend and composite products formed therefrom
US8765245B2 (en) 2008-03-04 2014-07-01 Source One Distributors, Inc. Self adhering fabric patch
WO2009114174A2 (en) * 2008-03-14 2009-09-17 Kaneka Corporation Fire barrier protection comprising graphitized films
US7637630B2 (en) 2008-04-22 2009-12-29 Ruud Lighting, Inc. Integrated shield-gasket member in LED apparatus
JP2010160290A (ja) 2009-01-07 2010-07-22 Sharp Corp 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GB0904560D0 (en) * 2009-03-17 2009-04-29 Fujifilm Mfg Europe Bv Process for preparing composite membranes
US8541126B2 (en) 2009-08-31 2013-09-24 Tesla Motors, Inc. Thermal barrier structure for containing thermal runaway propagation within a battery pack
US9283711B1 (en) 2009-08-31 2016-03-15 The Boeing Company Hybrid ablative thermal protectio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4803306B1 (ja) 2010-04-07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8794826B2 (en) 2011-01-31 2014-08-05 Judith Tracy Secure, protective cover for use with hot appliances
AU2011366858B2 (en) * 2011-04-29 2016-10-06 Unifrax I Llc Burnthrough protection system
JP5990435B2 (ja) * 2011-10-11 2016-09-14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樹脂発泡複合体
WO2014021970A2 (en) 2012-05-08 2014-02-0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ultifunctional cell for structural applications
EP2853574A4 (en) * 2012-05-22 2016-03-02 Sekisui Chemical Co Ltd SHEET SEALING ELEMENT AND HISTORED SHEET SEALING ELEMENT
KR102168256B1 (ko) 2012-11-12 2020-10-22 다우 실리콘즈 코포레이션 실리콘 탄성중합체 및 탑코트를 갖는, 팽창성 안전 장치용 가요성 열 차폐재
US20150068691A1 (en) 2013-09-12 2015-03-12 The Boeing Company Multilayer aircraft shade material
CN103642413A (zh) 2013-10-17 2014-03-19 昆山韩保胶带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绝缘纸胶带
US9978895B2 (en) 2013-10-31 2018-05-22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Flexible packaging for microelectronic devices
CN203617293U (zh) 2013-12-18 2014-05-28 天津光电惠高电子有限公司 用于整流电路的二极管模组组件
US20150247282A1 (en) 2014-03-03 2015-09-03 Manuel J. Veiga Synthetic leather-like Composite with smoke and flame resistant properties
US9646774B2 (en) 2014-06-05 2017-05-09 Trion Energy Solutions Corp. Power wafer
CN103996729B (zh) 2014-06-09 2016-08-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散热加强型柔性薄膜太阳能电池隔热与增强复合结构及其研制方法
US20170328073A1 (en) * 2014-12-21 2017-11-16 Palziv Ein Hanaziv Agricultural Cooperative Society Ltd. Polymer foam sheet and barrier layer composite
US10116016B2 (en) 2016-05-23 2018-10-30 Borgwarner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18219251B2 (en) * 2017-02-08 2023-09-21 Elkem Silicones USA Corp. Secondary battery pack with improved thermal management
US10688760B2 (en) 2017-05-24 2020-06-2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Rail interior compliant thermoplastic composite
US11401451B2 (en) 2017-11-20 2022-08-0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Fiber reinforced flexible foams
WO2019111816A1 (ja) 2017-12-04 2019-06-13 Toyo Tire株式会社 監視センサ、密閉型二次電池、監視センサの製造方法
US20200335737A1 (en) 2017-12-22 2020-10-22 Cummins Inc. Thermal runaway mitigation system for high capacity energy cell
US11173689B2 (en) 2018-01-05 2021-11-16 Hanwha Azdel, Inc. Composite articles providing flame retardancy and noise reduction
CN109638445B (zh) 2018-10-26 2021-11-02 上海无线电设备研究所 一种耐高温泡沫a夹层复合材料天线罩的制备方法
EP4135980A4 (en) * 2020-04-14 2024-05-0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 COMPOSIT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5980A1 (en) 2023-02-22
WO2021211428A1 (en) 2021-10-21
US20210316537A1 (en) 2021-10-14
JP2023524939A (ja) 2023-06-14
US11813822B2 (en) 2023-11-14
EP4135980A4 (en) 2024-05-01
US20230113745A1 (en) 2023-04-13
US11511527B2 (en) 2022-11-29
CN115551711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3745A1 (en) Composite film
US7709098B2 (en) Multi-layered thermally conductive sheet
EP3813143A1 (en) Adhesive film for metal terminal, metal terminal with adhesive film, and battery
KR100918655B1 (ko) 표면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이용한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95506A (ko) 내충격성 및 불연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봉지부재
JP7164527B2 (ja) 高熱伝導性および高絶縁性を有する放熱シート
AU2015405840B2 (en) Vacuum thermal insulator and thermal insulation container
US20220389152A1 (en) Foam layer with thermal barrier properties
CN215512694U (zh) 一种真空绝热板用透明膜及真空绝热复合板材
WO2018062047A1 (ja)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物品
US20220388291A1 (en) Multilayer composite with thermal barrier properties
US20220410528A1 (en) Multilayer composite with thermal barrier properties
US20240158594A1 (en) Silicone-based foam layer
KR101143524B1 (ko) 열 확산 시트
KR20160067240A (ko) 진공단열재용 외피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2477994B1 (ko) 방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방열 복합시트
US20240157685A1 (en) Multilayer composite
JP2024520372A (ja) 熱バリア特性を有する多層複合材
KR102465161B1 (ko) 방열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437590B1 (ko) 방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방열 복합시트
WO2023119594A1 (ja) 物性の測定方法、部材の評価方法、電子部品装置の製造方法、電子部品装置用材料の製造方法及び物性測定システム
KR102665239B1 (ko) 무기물 흡습성을 이용한 배리어 특성을 가지는 셀 파우치용 실란트 필름, 이를 포함하는 셀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3547819A (zh) 一种真空绝热板用透明膜及真空绝热复合板材
KR20200065753A (ko) 방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방열 복합시트
Petrie et al. Dimensional stability of stripline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