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665A -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665A
KR20230006665A KR1020210086351A KR20210086351A KR20230006665A KR 20230006665 A KR20230006665 A KR 20230006665A KR 1020210086351 A KR1020210086351 A KR 1020210086351A KR 20210086351 A KR20210086351 A KR 20210086351A KR 20230006665 A KR20230006665 A KR 2023000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injured person
training
inj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517B1 (ko
Inventor
장윤희
강정선
정보라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1008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5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은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사전 평가 장치, 직업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에 제공하는 재활 방법 추천 장치, 건설업 및 제조업 각각의 작업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하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 및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OCCUPATIONAL REHABILITATION METHOD USING VR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재해자의 VR기반 훈련으로 직업 적응도를 향상시켜 재활 효과를 제고하며 재해자가 원래의 직업으로 복귀시키는 비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일터 복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가상공간(Virtual Environmental)속에서 인간감각계(sensory system)와 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리적, 공간적 제약에 의해 현실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을 간접체험 할 수 있도록 만든 정보활동 분야이다.
가상현실을 구현해 내는 시스템들이 사용자의 시점과 동작이 실현되는 가상의 환경을 제공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점이나 동작의 변화를 가상의 공간에서 실제로 행하거나 가상현실 공간에서 인간의 신체를 대신하여 행위를 수행하는 존재를 통하여 그 환경을 경험한다.
가상현실 전문가들과 경제학자들은 이 시장규모를 현재 2016년 52억 달러에서 2020년 1620억 달러(190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또 인공지능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는 유망기술로 전망한다.
한편, 산업재해로 매년 약 9만 여명의 신규 재해자 발생하지만, 현직의 숙련 노동자임에도 산업 재해로 신체 기능 저하 및 장애를 얻게 되어 원래의 직장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실직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와 같이, 산업재해 노동자의 노동시장 이탈은 국가적 차원의 노동력 손실 의미한다. 즉, 산업 재해는 경력직 노동자를 현 노동시장에서 이탈시키는 직접적인 생산가능인구 감소 위험에 해당한다.
따라서, 산업재해 노동자의 노동 시장 재입의 촉진을 위한 효율적 재활체제 운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HMD(Head Mount Display) 같은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장치에 흥미 있고 손의 재활 치료를 돕는 재활 콘텐츠를 탑재하면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개별적으로 재활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으므로 재활 치료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재해자의 VR기반 훈련으로 직업 적응도를 향상시켜 재활 효과를 제고하며 재해자가 원래의 직업으로 복귀시키는 비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일터 복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VR환경과 실제 작업 시뮬레이터를 연동시켜 현실감 있는 체험으로 재해자의 직업 적응도를 향상시켜 재활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해자의 노동력 회복 및 유지 노력으로 산재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례 기반 추론 모형을 활용하여 신규 재해자에 대한 재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은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사전 평가 장치, 직업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에 제공하는 재활 방법 추천 장치, 건설업 및 제조업 각각의 작업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하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 및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은 사전 평가 장치가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단계, 재활 방법 추천 장치가 직업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추천하는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직업 재활 훈련 장치가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재해자의 VR기반 훈련으로 직업 적응도를 향상시켜 재활 효과를 제고하며 재해자가 원래의 직업으로 복귀시키는 비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일터 복귀를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VR환경과 실제 작업 시뮬레이터를 연동시켜 현실감 있는 체험으로 재해자의 직업 적응도를 향상시켜 재활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해자의 노동력 회복 및 유지 노력으로 산재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례 기반 추론 모형을 활용하여 신규 재해자에 대한 재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방법 추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도 3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은 사전 평가 장치(100),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 및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를 포함한다.
사전 평가 장치(100)는 재해자가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를 통해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를 진행한다.
이때, 기본 신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사전 평가 항목은 관절 가동 범위 검사 항목, 민첩성 검사 항목, 리프팅 검사 항목, 균형 검사 항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전 평가 장치(100)는 동작 인식 장치를 착용한 재해자가 한쪽 발로 서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균형 검사 항목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전 평가 장치(100)는 동작 인식 장치를 착용한 재해자의 관절 각도 및 미리 제공된 표준 관절 각도의 일치 비율에 따라 관절 가동 범위 검사 항목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전 평가 장치(100)는 동작 인식 장치를 착용한 재해자의 관절 각도 및 미리 제공된 평가 관절 각도 사이의 차이 각도에 따라 관절 가동 범위 검사 항목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전 평가 장치(100)는 재해자가 리프팅 장비를 들려올리면 해당 리프팅 장비의 무게에 따라 리프팅 검사 항목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전 평가 장치(100)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 우울증 척도 및 자기 효능감 척도 각각을 평가하기 위한 복수의 질문을 각각 제공한 후, 각각의 복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신한 후 답변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 항목, 우울증 척도 항목 및 자기 효능감 척도 항목 각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전 평가 장치(100)는 재해자가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를 통해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한다. 사전 설문 조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 검사, 우울증 척도 검사 및 자기 효능감 척도 검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 검사는 재난 이후 일상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고민에 대한 설문평가로서, 검증된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 외상 후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정도와 사건충격도를 평가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 검사는 총 22문항 88점 만점, 각 문항 당 0점(전혀)에서 4점(아주 많이)까지 배점된다.
이때, 점수가 18점 이상인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가능성이 있으며 주위의 관심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25점 이상인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가능성이 높아 정신과 상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40점~59점인 경우 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도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60점 이상인 경우 매우 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상태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우울증 척도 검사는 자기 스스로 보고하는 형식으로 우울의 심각도를 알아보는 평가 도구로써, 검증된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 현재의 감정상태 평가를 통해 직무 복귀 여부 판단한다. 우울증 척도 검사는 총 21문항 63점 만점, 각 문항 당 0점에서 3점까지 배점된다.
이때, 점수가 0점~9점인 경우 현재 우울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고, 점수가 10점~15점인 경우 정상적이지만 가벼운 우울상태이지만 자신의 기분을 새롭게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16점~23점인 경우 무시하기 힘든 우울 상태이며, 우울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태가 2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24점~63점인 경우 심한 우울상태이며,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자기 효능감 척도 검사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도를 포함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자신이 느끼는 효능감(efficiency)에 대해 평가한 후 직무 복귀 여부에 대한 보조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자기 효능감 척도 검사는 총 24문항 120점 만점, 각 문항 당 1점에서 5점까지 배점된다.
이때,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상당히 높은 편을 의미하고, 점수가 70~89 점인 경우 양호한 편을 의미하고, 점수가 50~69 점인 경우 보통을 의미하고, 점수가 36~50 점인 경우 낮은 편을 의미하고, 점수가 35점 이하인 경우 매우 낮은 편을 의미한다.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기존에 기록된 과거 사례 및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가상 사례를 이용하여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를 구축한 후,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로부터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를 기초로 재해자의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에 제공한다. 이때,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는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211) 및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212)를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재활 사계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여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211)를 구축한다. 이때,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재해자의 산재 발생 직무, 주상, 부위, 장애 등급, 재활 기록, 작업 복귀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사계를 산재 발생 직무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산재 발생 직무 종류에 해당하는 직무 종류 태그, 작업 복귀 정보를 기초로 작업 복귀까지 걸린 시간 및 작업 복귀 사실에 해당하는 작업 복귀 태그 및 주상 및 부상에 해당하는 상병 코드 태그를 할당하고, 재활 기록에 해당하는 재활 서비스 태그를 할당한다.
이하에서는,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과거 사계 각각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는 과정 중 재활 서비스 태그를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미리 결정된 재활 서비스 변수(예를 들어, 요양 지원 상담, 주치이 면답, 재활 스포츠, 작업 능력 평가, 창업 지원 상담 등)를 기초로 과거 사계 각각에 대한 재활 기록에 해당하는 변수에 수진 여부에 따른 값을 기록하여 재활 서비스 세트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재활 서비스 세트를 생성한 후 재활 서비스 세트를 y(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유사도 계산에 활용하는 재해자 특성(예를 들어, 근무 일수, 연령, 다차원 심리 검사, 중증도 지수 등)을 x(독립 변수)로 종속 변수를 결정하는 기계 학습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기계 학습 분류 모형에서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각 독립 변수(유사도 계산 변수)가 정확도와 노드 불순도 개선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변수 중요도를 각 변수 별 가중치(W)를 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의 변수 별 중요도 값은 0.1~1사이로 스케일링하여 값 범위가 결정되며 해당 중요도 값은 재해자 특성의 변수에 대한 가중치(W)로 결정된다.
이때,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GBA 알고리즘(GBA: Gradient Boosting Algorithm)을 포함하고, GBA 알고리즘은 회귀 또는 분류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앙상블 예측 모형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가상 사례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여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212)를 구축한다. 이때, 가상 사례는 재해자의 직무 별로 발생할 수 있는 산재를 가정한 후 산재가 발생할 시 주상, 부위, 추천 재활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가상 사례를 산재 발생 직무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주상 및 부상에 해당하는 상병 코드 태그, 산재 발생 직무 종류에 해당하는 직무 종류 태그 및 및 부상에 해당하는 재해 종류 태그를 할당한다.
한편,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로부터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를 기초로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사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에 할당된 상병 코드 태그를 기초로 재해자와 동일한 상병 코드를 지시하는 태그가 할당된 사례를 추출한다.
그 후,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상병 코드 태그가 할당된 사례 중 유사도 알고리즘을 통해 재해자 사이의 특성이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를 추출한 후, 재해자 중 특정 재해자를 추출하여 해당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천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 및 해밍 거리 산출 방법을 통해 상병 코드 태그가 할당된 사례 중 유사도 알고리즘을 통해 재해자 사이의 특성이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은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가 연속형인 경우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 및 [수학식 1]을 기초로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을 통해 신규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및 종래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변수는 연속형 변수 및 범주형 변수를 포함한다.
상기의 연속형 변수는 중증도 지수, 연령, 평균 임금, 근무일 수, 사업장 산재인원수, 다차원 심리 검사 총점, 종사자 지위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X; 변수 값
W: 변수 별 가중치
DF: 명목형 변수 총 거리
상기의 해밍 거리 산출 방법은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가 범주형 변수인 경우 변수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해밍 거리 산출 방법 및 [수학식 2]를 기초로 신규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및 종래 재해자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 각각을 나타내는 문자열에서, 같은 위치에서 서로 다른 기호들이 몇 개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범주형 변수는 업종 코드, 직종 코드, 사업장 알림 여부, 동일 사업장 근무 의사 여부, 결혼 구분, 상담 대상자 성향 코드, 내일 추천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C: 변수 별 일치 여부
W: 변수 별 가중치
Dc: 연속형 변수 총 거리
최종적으로,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수학식 3]을 기초로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을 통해 산출된 거리 및 해밍 거리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Dc: 연속형 변수 총 거리,
DF: 명목형 변수 총 거리
W: 변수 별 가중치
상기 변수 별 가중치(W) 중 연속형 변수 거리에 적용되는 가중치인 경우 연속형 변수 별 가중치 합계의 제곱근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변수 별 가중치(W) 중 명목형 변수 거리에 적용되는 가중치인 경우 명목형 변수 별 가중치 합계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추천 대상 원부번호의 존재하는 변수들을 기준으로 최종 거리 계산에 사용할 변수를 선택하며, 만약 추천 대상 원부번호의 활용 가능한 변수 조합과 일치하거나 그 이상 데이터를 가진 추천 후보 원부번호가 없다면, 최소 값이 존재하는 연속형 변수만을 가지고 최종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수학식 4]와 같이 재해자 간 실제 거리 및 재해자 간 최대 거리를 이용하여 재해자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재해자간의 유사도 = 1-(재해자 간 실제 거리/재해자 간 최대 거리)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는 산업 재해 빈도가 높은 사업 현장 중 건설업 및 ?제조업 각각의 작업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한다.
먼저,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는 건설업의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한다.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는 건설업의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 현실을 구현한다. 이때, 건설업의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는 건설 자재 적재, 수레 작업, 건설 자재 적재, 고공 비계 걷기 및 사다리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는 제조업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한다. 이때, 제조업의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는 프레스 작업, 용접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의 연동을 통해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이 가능하도록 훈련 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VR 시뮬레이터의 종류는 건설 훈련 평가의 작업 현장에 대한 직무에 따라 수레 시뮬레이터, 비계 시뮬레이터, 사다리 시뮬레이터, 프레스 시뮬레이터, 용접 시뮬레이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중앙 서버(미도시됨)는 사전 평가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전 평가 결과 및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직업 재활 훈련 결과를 빅데이터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방법 추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사례 데이터베이스(210),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북(220) 및 재활 기록 추천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는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211) 및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212)를 포함하고,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북(220)는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1) 및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2)를 포함한다.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북(221)는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재활 사계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여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211)를 구축한다. 이때,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에는 재해자의 산재 발생 직무, 주상, 부위, 장애 등급, 재활 기록, 작업 복귀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북(221)는 근로 복지 공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사계를 산재 발생 직무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산재 발생 직무 종류에 해당하는 직무 종류 태그, 작업 복귀 정보를 기초로 작업 복귀까지 걸린 시간 및 작업 복귀 사실에 해당하는 작업 복귀 태그 및 주상 및 부상에 해당하는 상병 코드 태그를 할당하고, 재활 기록에 해당하는 재활 서비스 태그를 할당한다.
이하에서는,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1)는 과거 사계 각각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는 과정 중 재활 서비스 태그를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1)는 미리 결정된 재활 서비스 변수(예를 들어, 요양 지원 상담, 주치이 면답, 재활 스포츠, 작업 능력 평가, 창업 지원 상담 등)를 기초로 과거 사계 각각에 대한 재활 기록에 해당하는 변수에 수진 여부에 따른 값을 기록하여 재활 서비스 세트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재활 서비스 세트를 생성한 후 재활 서비스 세트를 y(종속 변수)로 설정하고, 유사도 계산에 활용하는 재해자 특성(예를 들어, 근무 일수, 연령, 다차원 심리 검사, 중증도 지수 등)을 x(독립 변수)로 종속 변수를 결정하는 기계 학습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기계 학습 분류 모델은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2)는 전문가에 의해 생성된 가상 사례에 서로 다른 종류의 태그를 할당하여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212)를 구축한다. 이때, 가상 사례는 재해자의 직무 별로 발생할 수 있는 산재를 가정한 후 산재가 발생할 시 주상, 부위, 추천 재활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221)는 가상 사례를 산재 발생 직무 종류 별로 분류한 후, 주상 및 부상에 해당하는 상병 코드 태그, 산재 발생 직무 종류에 해당하는 직무 종류 태그 및 및 부상에 해당하는 재해 종류 태그를 할당한다.
재활 기록 추천부(230)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로부터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210)를 기초로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재활 기록 추천부(230)는 사례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에 할당된 상병 코드 태그를 기초로 재해자와 동일한 상병 코드를 지시하는 태그가 할당된 사례를 추출한다.
그 후, 재활 기록 추천부(230)는 상병 코드 태그가 할당된 사례 중 유사도 알고리즘을 통해 재해자 사이의 특성이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를 추출한 후, 재해자 중 특정 재해자를 추출하여 해당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천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활 기록 추천부(230)는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 및 해밍 거리 산출 방법을 통해 상병 코드 태그가 할당된 사례 중 유사도 알고리즘을 통해 재해자 사이의 특성이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를 추출할 수 있다. 유클리드 거리 산출 방법 및 해밍 거리 산출 방법을 통해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재활 기록 추천부(230)는 유사한 재해자의 사례가 추출되면, 유사한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는 HMD(Head Mounted Display) 및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도 3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전 평가 장치(100)는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한다(단계 S310).
재활 방법 추천 장치(200)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315),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단계 S320) 추천하는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에 제공한다(단계 S325)
직업 재활 훈련 장치(400)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가상 현실 구현 장치(300)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한다(단계 S330). 이때, VR 시뮬레이터는 도 4 내지 도 6과 같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전 평가 장치,
200: 재활 방법 추천 장치,
210: 사례 데이터베이스,
220: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북
230: 재활 기록 추천부
211: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212: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
221: 실제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222: 가상 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300: 가상 현실 구현 장치
400: 직업 재활 훈련 장치

Claims (2)

  1.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사전 평가 장치;
    직업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에 제공하는 재활 방법 추천 장치;
    건설업 및 제조업 각각의 작업현장에 대한 직무를 가상 현실로 구현하는 가상 현실 구현 장치; 및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상기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는 직업 재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시스템.
  2. 사전 평가 장치가 재해자가 훈련을 진행하기 이전에 사전 평가 항목에 따라 재해자에 대한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를 진행하는 단계;
    재활 방법 추천 장치가 직업 재활 훈련 장치로부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사례 중 상기 신규 재해자의 상태 정보, 기본 신체 능력의 평가 및 사전 설문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기존 재해자의 재활 기록을 추출하여 추천하는 상기 직업 재활 훈련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직업 재활 훈련 장치가 HMD(Head Mounted Display)를 착용하고 VR 시뮬레이터와 연동을 통해 가상 현실 구현 장치에서 제공된 가상 현실 중 상기 재활 방법 추천 장치에 의해 추천된 재활 기록에서 해당하는 가상 현실에서 작업 능력 강화 훈련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KR1020210086351A 2021-07-01 2021-07-01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59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51A KR102596517B1 (ko) 2021-07-01 2021-07-01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51A KR102596517B1 (ko) 2021-07-01 2021-07-01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665A true KR20230006665A (ko) 2023-01-11
KR102596517B1 KR102596517B1 (ko) 2023-11-01

Family

ID=8489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51A KR102596517B1 (ko) 2021-07-01 2021-07-01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5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96A (ko) * 2018-02-12 2019-08-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136288A (ko) * 2018-05-30 2019-12-10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방법
KR20200036838A (ko) * 2020-03-30 2020-04-07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20200070531A (ko) * 2018-12-10 2020-06-18 모젼스랩(주) 직업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생성 및 제공 시스템
KR20210070652A (ko) *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네트워크형 게임기반 vr콘텐츠를 이용한 재활 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96A (ko) * 2018-02-12 2019-08-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136288A (ko) * 2018-05-30 2019-12-10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방법
KR20200070531A (ko) * 2018-12-10 2020-06-18 모젼스랩(주) 직업체험을 위한 가상현실 생성 및 제공 시스템
KR20210070652A (ko) * 2019-12-05 2021-06-15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네트워크형 게임기반 vr콘텐츠를 이용한 재활 훈련 시스템
KR20200036838A (ko) * 2020-03-30 2020-04-07 최동훈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517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gey et 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low work-from-home and high personal-proximity occupations
McAtamney et al.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Nunes FAST ERGO_X–a tool for ergonomic auditing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evention
Sargent et al.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Karasek's job strain model
Heyns et al.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in a petrochemical organisation
Hajifar et al. A forecasting framework for predicting perceived fatigue: Using time series methods to forecast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with features from wearable sensors
US69313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rgonomic assessment and reduction of workplace injuries
US20230206149A1 (en) Ai powered, fully integrated, end-to-end risk assessment process tool
Tavana et al. An artificial immune algorithm for ergonomic product classification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JP2016200955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推定方法
Von Schrader et al. Accommodation requests: who is asking for what?
JP2004178521A (ja) 推薦システム
Boutin Occupational outcom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sumers with hearing impairments.
Ajmal et al. Safety management paradigms: COVID-19 employee well-being impact o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JP2018147246A (ja) ユーザが評価対象を評価した結果を分析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297447B (zh) 基于防疫大数据的电子证件标记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2018005666A (ja) 人材育成支援システム
KR102468375B1 (ko) 병원 경영 관리 통합 플랫폼 제공 시스템
Martin et al. Effect of a nurse back injury prevention intervention on the rate of injury compensation claims
KR102596517B1 (ko)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10915839B2 (en) Matching apparatus
Aktas Potur et al. Mental workload assess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with fuzzy NASA-TLX method
Aiyebelehin et al. Perception as predictor of social media utilization by librarians in universities in Southern Nigeria
Suharyad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job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wo dominants on psychotest results using KNN algorithm
Adhaye et al. Ergonomic assessment for designing manual material handling tasks at a food warehouse in India: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