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463A - 세정, 소독 및/또는 살균을 위한 개선된 액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 소독 및/또는 살균을 위한 개선된 액체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6463A KR20230006463A KR1020227035200A KR20227035200A KR20230006463A KR 20230006463 A KR20230006463 A KR 20230006463A KR 1020227035200 A KR1020227035200 A KR 1020227035200A KR 20227035200 A KR20227035200 A KR 20227035200A KR 20230006463 A KR20230006463 A KR 202300064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pluronic
- composition according
- concentration
- sk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4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12620 biologic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324 mouth was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29910001868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20001992 poloxamer 407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051866 mouthwash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1263478 Norovi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12464 Orthomyxovir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02670 Rotavi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14198 Calicivir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12431 Influenza A vi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13196 Influenza B vi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13297 Influenza C vi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02247 Reovir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222 flu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7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804 debrid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7
- 150000002978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6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0693 micel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7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GHXZTYHSJHQHIJ-UHFFFAOYSA-N Chlorhexidine Chemical compound 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GHXZTYHSJHQHI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60003260 chlorhexidine Drug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39 periodo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443 antivir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08000006389 Peri-Impla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191963 Staphylococcus epiderm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867 l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6010028116 Mucosal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927 Muco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847 Surgical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UZPDOWCWNUUKD-UHFFFAOYSA-M sod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Na+] PUZPDOWCWNUUK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KIUKXJAPPMFGSW-DNGZLQJQSA-N (2S,3S,4S,5R,6R)-6-[(2S,3R,4R,5S,6R)-3-Acetamido-2-[(2S,3S,4R,5R,6R)-6-[(2R,3R,4R,5S,6R)-3-acetamido-2,5-di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2-carboxy-4,5-dihydroxyoxan-3-yl]oxy-5-hydroxy-6-(hydroxymethyl)oxan-4-yl]oxy-3,4,5-trihydroxy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H]1[C@H](O)[C@@H](O)[C@H](O[C@H]2[C@@H]([C@@H](O[C@H]3[C@@H]([C@@H](O)[C@H](O)[C@H](O3)C(O)=O)O)[C@H](O)[C@@H](CO)O2)NC(C)=O)[C@@H](C(O)=O)O1 KIUKXJAPPMFGSW-DNGZLQJQ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606749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1678559 COVID-19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IQFYYKKMVGJFEH-XLPZGREQSA-N Thymidine Chemical compound O=C1NC(=O)C(C)=CN1[C@@H]1O[C@H](CO)[C@@H](O)C1 IQFYYKKMVGJFEH-XLPZGREQ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36142 Vir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43 cell cultur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565 gingiv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260 hum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74 hyalurona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160 hyalur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47 ki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936 lef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3
- OSWPMRLSEDHDFF-UHFFFAOYSA-N methyl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O OSWPMRLSEDHD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850 nas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62 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FQENQNTWSFEDLI-UHFFFAOYSA-J sodium di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Na+].[O-]P([O-])(=O)OP([O-])([O-])=O FQENQNTWSFEDLI-UHFFFAOYSA-J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48086 sodium pyro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818 tetrasodium di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77 tetrasodium phosphonato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385 viral inf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53 vir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4 viscosity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SGKRLCUYIXIAHR-AKNGSSGZSA-N (4s,4ar,5s,5ar,6r,12ar)-4-(dimethylamino)-1,5,10,11,12a-pentahydroxy-6-methyl-3,12-dioxo-4a,5,5a,6-tetrahydro-4h-tetrace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H](C)[C@@H]([C@H](O)[C@@H]3[C@](C(O)=C(C(N)=O)C(=O)[C@H]3N(C)C)(O)C3=O)C3=C(O)C2=C1O SGKRLCUYIXIAHR-AKNGSSGZ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589291 Acinetobacte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046 Actin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3069 Archa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9996 Campylobacter rec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403 Clostr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878 Eikenella corro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33 Enter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04281 Eucalyptus ma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5909 Fus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60001084 Luci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359 Myc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8685 Or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4887 Parvimonas mic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3 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5894 Porphyro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509393 Porphyromonas cangingiv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5861 Prevot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OOHAUXETOMSMM-UHFFFAOYSA-N Prop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C1CO1 GOOHAUXETOM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70 Proteus mira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11798 Rabies lyss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26 Streptococcus gordon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19 Streptococcus mu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996 Streptococcus pyogen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23 Streptococcus sangui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987 Streptococcus sobr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148134 Veillon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539 Vertebrata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FENRSEGZMITUEF-ATTCVCFYSA-E [Na+].[Na+].[Na+].[Na+].[Na+].[Na+].[Na+].[Na+].[Na+].OP(=O)([O-])O[C@@H]1[C@@H](OP(=O)([O-])[O-])[C@H](OP(=O)(O)[O-])[C@H](OP(=O)([O-])[O-])[C@H](OP(=O)(O)[O-])[C@H]1OP(=O)([O-])[O-] Chemical compound [Na+].[Na+].[Na+].[Na+].[Na+].[Na+].[Na+].[Na+].[Na+].OP(=O)([O-])O[C@@H]1[C@@H](OP(=O)([O-])[O-])[C@H](OP(=O)(O)[O-])[C@H](OP(=O)([O-])[O-])[C@H](OP(=O)(O)[O-])[C@H]1OP(=O)([O-])[O-] FENRSEGZMITUEF-ATTCVCFYSA-E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71 anti bac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70 anti-cari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60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57 antiviral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666 bacterial spor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2 cellular defens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MKDRGPMQRFJGP-UHFFFAOYSA-M cetylpyridi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N+]1=CC=CC=C1 YMKDRGPMQRFJG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927 cetylpyridi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MYSWGUAQZAJSOK-UHFFFAOYSA-N ciprofloxacin Chemical compound C12=CC(N3CCNCC3)=C(F)C=C2C(=O)C(C(=O)O)=CN1C1CC1 MYSWGUAQZAJS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24 confocal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722 doxy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0 fluorescent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21 health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418 maintenan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00 mouth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926 oxy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35 right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5 sodium flu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024 sodium flu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3982 sodium phyt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63 solu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28 solub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15 spor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104230 thymid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1
- RPAJSBKBKSSMLJ-DFWYDOINSA-N (2s)-2-aminopentanedioic acid;hydrochloride Chemical class Cl.OC(=O)[C@@H](N)CCC(O)=O RPAJSBKBKSSMLJ-DFWYDOINSA-N 0.000 description 1
- QJVHTELASVOWBE-AGNWQMPPSA-N (2s,5r,6r)-6-[[(2r)-2-amino-2-(4-hydroxyphenyl)acetyl]amino]-3,3-dimethyl-7-oxo-4-thia-1-azabicyclo[3.2.0]heptane-2-carboxylic acid;(2r,3z,5r)-3-(2-hydroxyethylidene)-7-oxo-4-oxa-1-azabicyclo[3.2.0]hept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1C(=C/CO)/O[C@@H]2CC(=O)N21.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O)C=C1 QJVHTELASVOWBE-AGNWQMPPSA-N 0.000 description 1
- WZRJTRPJURQBRM-UHFFFAOYSA-N 4-amino-n-(5-methyl-1,2-oxazol-3-yl)benzenesulfonamide;5-[(3,4,5-trimethoxyphenyl)methyl]pyrimid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O1C(C)=CC(NS(=O)(=O)C=2C=CC(N)=CC=2)=N1.COC1=C(OC)C(OC)=CC(CC=2C(=NC(N)=NC=2)N)=C1 WZRJTRPJURQB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066 Actinomyces odontolyt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044 Actinomyces visc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1076 Acute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27 Aloe barbad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61 Aloe barbad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2334 Aux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DWRXFEITVBNRMK-UHFFFAOYSA-N Beta-D-1-Arabinofuranosylthymine Natural products O=C1NC(=O)C(C)=CN1C1C(O)C(O)C(CO)O1 DWRXFEITVBNR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122 Candida albic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38 Cata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3835 Cata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DHHCQZDFGDHMP-UHFFFAOYSA-N Chloramine Chemical compound ClN QDHHCQZDFGDH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137 Chronic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408 Device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6340 Diabetic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15402 Ebol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9661 Enter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compound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33 Fung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8226 Fusibact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5986 Fusobacterium nucle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238 Gaultheria procumb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97 Gaultheria procumb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661732 Is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230 Leg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1376 Leptospermum laevig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65 Leptospermum laevig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07 Macr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2079 Measles morbilli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4873 Mentha cris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49 Mentha cris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6386 Mentha pule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57 Mentha puleg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57 Mentha x piper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888 Myco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7633 Ocotea pret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63 Ocotea pret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03 Orig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83 Origanum major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31646 Papillom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133 Pathogen resist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379 Pir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5862 Porphyromonas gingiv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268 Post procedur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35221 Prevotella intermed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5945 Protoparv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15 Re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170 Skin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5 Snor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970 Spirochaet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2973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34658 Streptococcus m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809 Suppu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014 Syzygium aroma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35235 Tannerella forsyth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8 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892 Treponema den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EFQLINVKFYRCS-UHFFFAOYSA-N Triclosan Chemical compound OC1=CC(Cl)=CC=C1OC1=CC=C(Cl)C=C1Cl XEFQLINVKFYRC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47 Variola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4837 Viridiplan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9 acidic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99 aloe v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1720 alpha hydroxy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80 alpha hydroxy ac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22 amox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LSQZJLSUYDQPKJ-NJBDSQKTSA-N amox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O)C=C1 LSQZJLSUYDQPKJ-NJBDSQKT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69 amphiphilic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4 anaes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30 antalg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29 antifung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6 antiparasi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3 au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99 azithr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MQTOSJVFKKJCRP-BICOPXKESA-N azithro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C)C(=O)O[C@@H]([C@@]([C@H](O)[C@@H](C)N(C)C[C@H](C)C[C@@](C)(O)[C@H](O[C@H]2[C@@H]([C@H](C[C@@H](C)O2)N(C)C)O)[C@H]1C)(C)O)CC)[C@H]1C[C@@](C)(OC)[C@@H](O)[C@H](C)O1 MQTOSJVFKKJCRP-BICOPXKE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2 bacteri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686 benzalko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CADWTSSKOVRVJC-UHFFFAOYSA-N benzyl(dim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H+](C)CC1=CC=CC=C1 CADWTSSKOVRV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QFYYKKMVGJFEH-UHFFFAOYSA-N beta-L-thymidine Natural products O=C1NC(=O)C(C)=CN1C1OC(CO)C(O)C1 IQFYYKKMVGJF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621 bhi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70 biofilm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25 biological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51 bipha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731 candida albica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8916 carbamide per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carboxylate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329 carboxy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1 cari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54 cellular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6164 cephalexin Drugs 0.000 description 1
- ZAIPMKNFIOOWCQ-UEKVPHQBSA-N cephalex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N(C2=O)C(=C(CS3)C)C(O)=O)=CC=CC=C1 ZAIPMKNFIOOWCQ-UEKVPHQB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5 che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ZIYKJHYYHPJIB-UUPCJSQJSA-N chlorhexidine 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OC[C@@H](O)[C@@H](O)[C@H](O)[C@@H](O)C(O)=O.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YZIYKJHYYHPJIB-UUPCJSQJ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33 chlorhexidine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157 chronic rhino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05 ciprofloxa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227 clinda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KDLRVYVGXIQJDK-AWPVFWJPSA-N clindamycin Chemical compound CN1C[C@H](CCC)C[C@H]1C(=O)N[C@H]([C@H](C)Cl)[C@@H]1[C@H](O)[C@H](O)[C@@H](O)[C@@H](SC)O1 KDLRVYVGXIQJDK-AWPVFWJP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98 colorimetric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50 dental cemen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6 dermal ap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36 deterg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VQLLNFANZSCGY-UHFFFAOYSA-N disodium;dioxido(oxo)tin Chemical compound [Na+].[Na+].[O-][Sn]([O-])=O TVQLLNFANZSC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79 ge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93 general anesth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72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5 ging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50 hortel pim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6 hydrocoll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0 hydrogen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80 hydrogen per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1 hydrophobic surfa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55 ileos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EOVTRFCIGRIMH-UHFFFAOYSA-N indole-3-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C(=O)O)=CNC2=C1 SEOVTRFCIGRI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78 infectious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797 influenza 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798 influenza 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799 influenza 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0 influenza 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20 macrolide antibio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534 mechanism of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047 methyl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82 metronidaz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VAOCPAMSLUNLGC-UHFFFAOYSA-N metronidazole Chemical compound CC1=NC=C([N+]([O-])=O)N1CCO VAOCPAMSLUNL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1 microbia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61 microbic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17 mig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8 mi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82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49 no known adverse-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44 non-irrita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13 oxy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SQZJLSUYDQPKJ-UHFFFAOYSA-N p-Hydroxyampicillin Natural products O=C1N2C(C(O)=O)C(C)(C)SC2C1NC(=O)C(N)C1=CC=C(O)C=C1 LSQZJLSUYDQP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41 palatine tons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154 papill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35 pituitary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1 poly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95 poly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03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63 radioactive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3 re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76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HRURASPPZQGQM-GCCNXGTGSA-N romidepsin Chemical group O1C(=O)[C@H](C(C)C)NC(=O)C(=C/C)/NC(=O)[C@H]2CSSCC\C=C\[C@@H]1CC(=O)N[C@H](C(C)C)C(=O)N2 OHRURASPPZQGQM-GCCNXGTG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2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35 sensit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790 sod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864 sodium stan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JUJBNYBVVQSIOU-UHFFFAOYSA-M sodium;4-[2-(4-iodophenyl)-3-(4-nitrophenyl)tetrazol-2-ium-5-yl]benzene-1,3-di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C1=CC([N+](=O)[O-])=CC=C1N1[N+](C=2C=CC(I)=CC=2)=NC(C=2C(=CC(=CC=2)S([O-])(=O)=O)S([O-])(=O)=O)=N1 JUJBNYBVVQSIO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0 spor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182 stan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02 stan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ANOBYBYXJXCGBS-UHFFFAOYSA-L stannous fluoride Chemical compound F[Sn]F ANOBYBYXJXCGB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99 stannous flu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6995 sulfamethoxazole and trimethopri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58 synovia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80 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4 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01283 tetracyc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22 tetracyc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08 titanium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2 trau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28 tri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00 triclosa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1161 unidentified aden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8471 unidentified anaerobic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9453 unidentified herpes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2461 unidentified influenza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QLJVWUFPCUVLO-UHFFFAOYSA-N urea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NC(N)=O AQLJVWUFPCUV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35 urinary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73 viru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측면은 3 - 7% v/v의 최종 농도의 H2O2, 및 0.1 - 10% w/v의 농도의 플록사머로 이루어진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록사머는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이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이고, 예를 들면, 손 소독제, 구강 세정제, 코 린스 중에 제공되고/거나 상처 케어 및/또는 만성 궤양 케어, 및 치과적 예방 및 임플란트 주위 건강 유지를 위하여 제공되는 경우, 생물학적 표면 및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의 세정, 멸균, 살균, 소독, 오염 제거 및/또는 괴사조직 제거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측면은 H2O2 및 플루론산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를 포함하는 다기능 세정 및/또는 오염방지 조성물로서, 실온에서 액체 형태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대상체에서 미생물 및 염증을 억제하고, 특히 피부 소독, 구강 후두 소독, 코 소독, 구강 예방 및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임플란트 건강 관리, 치주염 및 치주 건강, 상처 케어 또는 만성 궤양 케어에 유용하다.
피부 및 점막과 같은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은 과다한 미생물 및 바이러스와 항상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해 자주 콜로니화된다. 따라서 이들은 문제의 생물학적 조직에 해로움을 유발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미생물 및/또는 바이러스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항박테리아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 의한 세정 및/또는 소독이 자주 필요하다.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손, 발, 또는 얼굴과 같은 신체의 피부는 자주 미생물에 노출되고, 병원균 및/또는 미생물 및/또는 바이러스의 정착 및/또는 전달을 억제하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세정, 멸균 및/또는 소독될 필요가 있다.
손 소독제
손 소독제는 전형적으로 손의 감염체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액체 또는 겔이다. 알코올계 유형의 제제는 건강관리 환경에서 대부분의 환경에서 비누와 물에 의한 손 세정에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데 더 효과적이고, 종종 비누와 물보다 더 잘 순응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액체, 겔, 와이프 및/또는 폼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알코올계 버전은 전형적으로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탄올(에틸 알코올), 또는 n-프로판올의 일부 조합을 함유한다. 60 내지 95% 알코올을 함유하는 버젼은 더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적어도 60% 알코올을 함유하거나 "지속적 살균제"를 함유한 손 소독제는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및 TB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박테리아 사멸시키지만, 바이러스에는 덜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알코올계 손 소독제는 포자가 아닌 다양한 미생물을 억제한다. 일부 버젼은 피부의 건조를 방지하는 글리세롤과 같은 화합물을 함유한다. 비알코올계 버젼은 염화벤즈알코늄,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또는 트리클로산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가연성이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알코올계 손 소독제는 적어도 1980년대부터 유럽에서 흔히 사용되어 왔다. 알코올계 버젼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있고, 의료 체계에서 필요한 가장 안전하고 가장 효과적인 의약품이다. 개발도상에서 도매 비용은 1병당 약 1.40-3.70 미국 달러이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손 소독제의 하나의 잘 문서화된 결점은 손 소독제의 알코올이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세포를 용해하는데 필요한 10 내지 15초의 노출 시간을 갖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로, 이는 종종 너무 낮은 양(0.3 ml) 또는 너무 낮은 농도로 적용된다. 높은 지질 또는 단백질 폐기물이 있는 환경(예를 들면, 식품 가공)에서, 알코올을 손으로 문지르는 것의 단독 사용은 적절한 손 위생을 보장하는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코올 럽(rub) 소독제로서 판매되는 새로운 알코올 겔 소독제가 있고, 이는 대부분의 박테리아, 및 진균을 사멸시키고 일부 바이러스를 중단시킨다. 적어도 70% 알코올(주로 에틸 알코올)을 함유하는 알코올 럽 소독제는 적용 후 30초에 박테리아의 99.9%를 사멸시키고, 1분 내에 99.99% 내지 99.999%를 사멸시킨다. 여전히, 이들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현저히 덜 효과적이다.
90% 알코올 럽은 대부분 다른 형태의 손 세정제보다 바이러스에 대하여 더 효과적이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은 또한 실험실 및 인간 피부 둘다에서 30초 미만 내에 모든 포자를 형성하지 않은 박테리아의 99.99% 이상을 사멸시킬 것이다. 90% 알코올 럽은 매우 가연성이고, 남용의 가능성을 갖지만, 광견병 바이러스(Rabies virus)에 대하여 현저히 비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외피 바이러스, 예를 들면, 독감 바이러스, 흔한 감기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및 HIV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데 사용될 필요가 있다.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H2O2)는 물보다 약간 더 점성이 있고 희석 용액에서는 무색으로 보이는 매우 연한 청색 액체이다. 이는 약산이다. 이는 강한 산화 성질을 갖고, 따라서 대부분 종이를 표백하는데 사용되는 강력한 표백제이지만, 살균제 및 산화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카바미드 퍼옥사이드 형태의 과산화수소는 전문 투여 또는 자가 투여 제품 둘다에서 치아 미백(표백)에 널리 사용된다.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하고 빛의 존재하에 천천히 분해된다. 이러한 불안정성 때문에, 과산화수소는 전형적으로 안정화제, 전형적으로 유기포스페이트,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나트륨 파이테이트 또는 시트르산나트륨과 함께 약산성 용액 중에 어두운 색 병에 저장된다.
과산화수소는 수술 도구를 포함하여 다양한 표면의 멸균에 사용될 수 있고, 실내 멸균을 위하여 증기(VHP)로서 사용될 수 있다. H2O2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효모, 및 박테리아 포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미생물에 대한 광범위한 효능을 증명한다. 일반적으로, 그램 음성 박테리아보다 그램 양성에 대하여 더 큰 활성을 보이지만, 이들 유기체에서 카탈라제 또는 다른 페록시다제의 존재는 더 낮은 농도의 존재하에 순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H2O2의 더 높은 농도(10 내지 30% v/v) 및 더 긴 접촉 시간이 때때로 살포자성 활성에 필요하다.
과산화수소는 분해되어 산소와 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소계 표백제에 대한 환경적으로 안전한 대안으로 보이고, 일반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항균제로서 안전하다고 인정된다.
역사적으로, 과산화수소는 상처를 살균하는데 사용되었다. 오늘날, 이는 새로 형성된 피부 세포를 높은 농도로 파괴하기 때문에 치유를 억제하고 흉터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는 과산화물의 드라잉 아웃(drying-out) 효과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 연구는 오직 매우 낮은 농도(0.03% v/v 용액, 이는 전형적인 3% v/v 과산화물의 100배 희석이다)만이 치유를 유도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만 그렇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0.5% v/v 용액은 치유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최근, 새로운 연구는 과산화물이 감염 및 삽입에 대한 반응으로 국소 방어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세포 신호전달 및 방어 시스템의 중요하고 고유한 부분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세포가 바로 인접한 곳에서 미생물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데 과산화물을 직접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현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식으로 인하여, 과산화물은 생물학적 활성 소독 성분으로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플루론산
플루로닉(Pluronic)® 또는 플록사머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PPO-PEO)의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군의 합성 중합체는 수성 용액 중에서 열가역적이다. 졸-겔 전이는 각각의 구성 블록 중합체의 조성, 분자량 및 농도에 따라 지배된다. 친수성 에틸렌 옥사이드 및 소수성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플루로닉에게 비극성 수불용성 탄화수소 사슬에 부착된 극성 수용성 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양친성 구조를 부여한다.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분자는 수성 용액 중에서 미셀(분자의 팩킹된 사슬)로 자기 조립된다. 미셀 형성은 온도 의존적이고, 생체 적합 재료의 분해 성질에 영향을 미치며, 임계 미셀 온도로서 공지된 특정한 특성 온도 미만에서, 에틸렌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은 둘다 수화되고, PPO 블록은 가용성이 된다.
플루로닉은 액체, 페이스트 또는 고체로서 찾을 수 있다. 이들의 양친성 특성(소수성 및 친수성 성분의 존재)으로 인하여, 플루로닉은 이들이 소수성 표면 및 생물학적 막과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계면활성제 성질을 보유한다. 양친성인 것은 또한 수성 용액 중에서 조합되고 미셀을 형성하는, 단일체(unimer)로 공지된, 개별적인 블록 공중합체의 능력을 야기한다. 블록 공중합체의 농도가 임계 미셀 농도(CMC) 미만인 경우, 단일체는 물 중의 분자 용액으로 남아있는다. 그러나, 블록 공중합체 농도는 CMC 초과로 증가하기 때문에, 단일체는 자체 조립되고 미셀을 형성할 것이고, 이는 구형, 막대형 또는 층상 기하학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의 형상은 블록 공중합체(즉, EO 및 PO)의 길이 및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 미셀은 일반적으로 소수성 코어, 이 경우 PO 사슬, 및 친수성 쉘, EO 사슬을 갖는다.
플루로닉® F-127
또한 플록사머 407로 공지된 플루로닉 F-127은 생리학적 온도 및 pH 근처에서 졸겔 전이를 겪을 것인 일정한 제품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 때문에 조직 공학에서 자주 사용된다. 플루로닉 F-127의 단점은 생체내에서 이의 빠른 분해율이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플루로닉 F-127은 이의 뎁시펩타이드 단위의 화학적 구조를 변경하기 위하여 또 다른 α-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산과 자주 가교결합된다.
플루론산은 열 감응성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이는 전형적으로 고분자량 산, 예를 들면, 하이알루론산의 첨가에 의해 안정화된다.
연구는 염증 감소, 손상으로부터 조직 보호, 및 미생물 부착의 차단에서의 플루론산 제제의 긍정적인 효과를 문서화하였다. 추가로, 이는 완전히 생체에 적합하고, 인간 세포에서 알려진 해로운 효과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고 EMA 및 FDA에 의해 승인된다.
여전히, 이는 세정제로 적용하기 어려운데, 이는 자동적으로 18℃ 초과, 또는 심지어 이의 농도에 따라 12-20℃(도 1 참조)의 온도에서 안정한 겔을 형성하기 때문이고, 이는 이를 작은 통로에서 사용하고/거나 거친 표면에 또는 체온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않게 만들고, 주사기에 의한 적용에 적합하지 않게 만든다.
따라서, 오염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 예를 들면, 대상체의 구강 또는 비강의 점막, 또는 대상체의 노출된 외부 피부, 예를 들면, 손 및 발의 살균, 멸균 또는 세정에 사용되거나 이의 오염 및/또는 재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세정 및/또는 멸균 및/또는 괴사조직 제거 조성물에 대한 필요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측면은 적어도 2종의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예를 들면 인시투에서(in situ)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 및/또는 멸균하기 위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0.1 - 7% v/v의 최종 농도의 H2O2, 및
(b) 0.1 - 10% w/v의 농도의 플루론산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는 전형적으로 플록사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로 이루어지는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혼합물을 포함한다:
(a) 3.0 - 7.0% v/v의 최종 농도의 H2O2, 및
(b) 1.0% - 10.0% w/v의 최종 농도의 플록사머.
전형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0.1 - 5% w/v의 농도, 예를 들면, 최대 5% w/v의 농도, 예를 들면, 1.0% - 5.0% w/v의 농도, 예를 들면, 0.1, 0.5, 1.0 또는 1.5% w/v의 농도의 플록사머, 예를 들면, 플루론산인 성분 (b)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를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5.0% w/v의 농도의 플록사머를 포함한다. 플록사머는 플록사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성분 (b)는 플루론산, 플루로닉® F-127 및 플록사머 4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플록사머는 플록사머 407이다.
일부 대안에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0.1 - 7% v/v의 최종 농도, 예를 들면, 0.5 - 3.0% v/v의 최종 농도를 갖는 성분 (a)의 H2O2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성분 (a)의 H2O2는 3% v/v의 최종 농도를 갖는다.
하나의 측면에서, 성분 (a) 및 성분 (b)는 1:1 비로 제공된다.
일부 대안에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물 및/또는 생리 식염수, 오일, 보존제, 향미제 및/또는 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적어도 2종의 성분:
(a) H2O2, 및
(b) 플록사머, 예를 들면, 플루론산을 포함하는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
를 포함하고, 이들을 동시에 혼합하고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에 적용할 때까지, 서로 분리하여 유지한다.
측면에 따라,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분리된 성분 (a)를 포함하고, 이는 적어도 10-50% v/v의 농도의 H2O2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일부 대안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의 항균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대안에 따른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펩타이드, 약물, 생체활성 이온, 소분자, 방사성 분자, 및 방사선 비투과 분자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체활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대안에 따른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실온(RT)에서 적어도 1년의 저장 수명을 갖는다.
일부 대안에 따른 조성물은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멸균 또는 소독 또는 세정하는데 유용하다.
전형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예를 들면, 리보비리아(Riboviria),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 또는 오르토코로나바이러스아과(Orthocoronavirinae)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미생물로부터 대상체,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거나 살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코로나바이러스, 예를 들면, SARS-CoV-2로부터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거나 멸균하는데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측면은 대상체,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피부 또는 점막으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예를 들면, SARS-CoV-2를 제거하거나 멸균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손 세정제, 구강 세정제로서의 및/또는 코 및/또는 부비강 세정을 위한 본원에 기재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은 또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예를 들면 특히 인시투에서의 임플란트 및/또는 구강의 표면 및/또는 피부 또는 점막으로 덮인 임의의 표면을 세정 및/또는 소독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부 대안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키트에 도입되고, 여기서 적어도 2종의 성분, H2O2 및 플루론산은 사용자가 적용 직전에 2종의 성분을 혼합할 수 있도록 임의로 분리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의 소독, 멸균, 살균, 및/또는 오염 제거 방법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대상체의 피부 및/또는 점막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로부터 대상체의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은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또는 둘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리보비리아, 코로나바이러스과,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 칼리시바이러스과(Caliciviridae) 또는 레오바이러스과(Reoviridae)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미생물은 오르토코로나바이러스아과,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코로나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Rotavirus),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형, B형, C형 또는 D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정의 및 약어
본 발명의 측면은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예를 들면, 임플란트 표면을 세정 및/또는 소독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생물학적 표면은 해부학적 구조 및/또는 조직을 덮고 있는 임의의 표면, 예를 들면, 손바닥 및 발바닥 피부를 포함하는 피부, 구강 및 코 점막, 위장 점막, 후두, 기관 및 기관지 점막, 질 점막, 음경 점막, 모발, 손발톱, 근막, 막, 활막, 치아 법랑질 또는 치아 시멘트질을 지칭한다. 용어는 또한 상처 표면,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궤양, 급성 상처, 외상으로 인한 상처, 수술 상처, 찔린 상처, 찰과성 상처; 헤르페스 궤양, 유두종, 하감 및 여드름을 포함하는 감염된 상처; 까진 상처, 화상, 물집, 딱지, 하지 궤양, 당뇨성 궤양 및/또는 만성 궤양 내의, 위의 및/또는 주변의 상처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생체 적합 재료 또는 임플란트 표면"은 전형적으로 의료용 및/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의료용 임플란트"는 이의 범위에 이들 구조에서의 통증의 완화를 포함하여, 신체의 기능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특히 혈관계 또는 근골격계 또는 관절 및 뼈에서 임의의 유형, 금속 및 중합체 기반의 임플란트의 보철물을 위한 척추동물, 특히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의 신체에 이식되고/거나 부착되는 것이 의도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의료용 임플란트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리, 팔 및 손 보철물, 얼굴 보철물, 눈 보철물, 회장루형성술 장치, 자궁내 장치, 심박조율기, 전극, 인공 혈관 구조, 스텐트, 달팽이관 임플란트, 고관절 보철물, 무릎 보철물, 팔꿈치 보철물, 손가락 보철물, 달팽이관 보철물, 또는 고정 스크류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치과용 임플란트"는 이의 범위에 척추동물, 특히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의 구강에, 예를 들면, 치아 및 턱 보철 과정에 이식되는 것이 의도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본원에서 임플란트, 바, 브릿지, 어버트먼트, 크라운, 캡, 치과용 충전재 및 구강에서 보철 부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또한 치과용 보철 장치로 기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하나 또는 몇몇의 임플란트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이차 임플란트 부품,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 및/또는 치과용 수복물, 예를 들면, 크라운, 브릿지 또는 의치에 커플링된 치과용 픽스쳐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식이 의도된 임의의 장치, 예를 들면, 치과용 픽스쳐는, 심지어 다른 부품이 이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독으로 임플란트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실시양태에서, 용어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은, 일회용이든 아니든, 살아있는 조직과 일시적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의료 장치 또는 도구,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수술 기구, 전극, 메스, 프로브 및 게이지, 카테터, 주사기, 가위, 니들 홀더, 콘택트 렌즈, 상처 드레싱, 반창고, 경피 고정 장치, 및/또는 진단 도구, 예를 들면, 초음파 장치, x선 기계 및/또는 영상 장비, 예를 들면, 다양한 스코프, 수술 카메라, 인상재 또는 경구내 스캐너의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및/또는 (H2O2)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미생물(microorganism/microbe)은 단일 세포 형태 또는 세포의 콜로니로 존재할 수 있는 미시적인 유기체이다. 미생물은 모든 단세포 유기체를 포함하고, 따라서 극도로 다양하다. 모든 고세균류 및 박테리아는 미생물(원핵생물)이다. 일부 원생생물은 동물과 관련되고, 일부는 녹색 식물과 관련된다. 많은 다세포 유기체는 미시적이고, 즉, 미동물(micro-animal), 일부 진균류 및 일부 조류이다.
항균제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이들의 성장을 중단 또는 억제시키는 제제이다. 항균성 약제는 이들이 주로 작용하는 미생물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생제는 박테리아를 치료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되고, 항진균제는 진균류를 치료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이들의 기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제제는 살미생물제이고, 이들의 성장을 단지 억제하는 것들은 정균제로 불리며, 이들은 둘다 용어 "항균제"에 포함된다. 감염을 치료 또는 억제하기 위한 항균성 약제의 사용은 항균제 화학요법으로 알려져 있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성 약제의 사용은 항균제 예방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는 유기체의 살아있는 세포 내부에서만 복제하는 작은 감염체이다. 바이러스는 동물과 식물부터 박테리아와 고세균류를 포함한 미생물까지 모든 유형의 생명체를 감염시킬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 약물은 박테리아 감염보다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또는 억제하는데 특히 사용되는 약제의 한 부류이다.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특정한 바이러스 감염에 사용되고, 광범위 항바이러스제는 넓은 범위의 바이러스에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항생제와 달리,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 약물은 이들의 표적 병원체를 파괴하지 않고, 대신에 이들은 이들의 복제 및/또는 발달을 억제한다.
항바이러스제 약물은 항생제(또한 항박테리아제로도 지칭됨), 항진균제 및 항기생충제 약물, 또는 단일클론 항체를 기반으로 한 항바이러스제 약물을 포함하는 더 큰 그룹인 항균제의 한 부류이다. 대부분의 항바이러스제는 숙주에게 상대적으로 해로운 것으로 간주되고, 따라서 감염을 치료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약제는 아니지만 신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바이러스 입자를 불활성화시키거나 파괴하는 살바이러스제와 구분되어야 한다. 천연 항바이러스제는 유칼립투스 또는 오스트레일리아 티 트리와 같은 일부 식물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균제"는 미생물 및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지칭한다. 이의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항균제, 예를 들면, 항박테리아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살박테리아제 또는 살바이러스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 또는 "대략"은 당업자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특정한 값에 대한 허용되는 오차 범위 내를 의미하고, 이는 값이 어떻게 측정 또는 결정되는지, 예를 들면, 측정 시스템의 한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좌우될 것이다.
도 1: 공중합체 F-127의 수성 식염수(생리학적 조건) 용액에 대한 겔 경계. 채워진 원은 혼합물에 대한 튜브 역전에 의해 수득된 데이터 점이다. 빈 사각형은 유량계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 점이다. 차트는 식염수 중의 15% w/v 미만의 플루로닉 농도가 온도와 독립적으로 유체로 남아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유체 플루로닉 용액은 독립적인 미셀을 형성하지만, 농도는 플루로닉 미셀이 입방 겔(cubic gel)로 조립될 만큼 높지 않다. 따라서, 미셀의 형성을 허용하면서 액체를 유지하고 세제로서 작용하는 낮은 플루로닉 농도는 생물학적 표면의 조직 친화적 세정에 좋을 수 있지만, 오염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 다른 반응물의 첨가는 미셀 형성을 완전히 방해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2: 플루로닉과 과산화물의 혼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효과를 도시하는 도식적 도면. 플루로닉과의 상호작용 동안, 과산화물은 미생물 및 바이러스 핵산 및 막을 분해하고 혐기성 생물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활성 산소(ROS)를 생성한다. 과산화물은 또한 미셀 구조를 형성하려는 플루로닉의 강한 경향에 대항하는 플루로닉 미셀 용해를 유발한다. 용해된 것과 미셀 플루로닉 사이의 동적 평형은 미셀 구조로의 먼지, 유기물 및 오염물의 능동적인 포획을 허용한다. 플루로닉 하이드로겔의 액체 친수성 성질은 또한 발포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주름 및 틈으로의 ROS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촉진한다. 게다가, 피부에 대한 플루로닉 하이드로겔 수분 및 과산화물로부터 방출된 산소는 상처 치유를 돕는다. ROS는 또한 의료용 및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인 티타늄을 세정하고 재활성화시키는(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드는) 능력을 갖는다. 단독 ROS의 효과는 이들 과정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기에는 너무 짧고,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수분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안정한 미셀에 있어서 플루로닉 단독은 오염물 포획에서 훨씬 덜 효과적이고, 미생물을 사멸시키지 않거나 바이러스 핵산을 분해하지 않는다. 올바른 농도 플루로닉 미셀 형성에서 함께 혼합된 경우는 더 동적이고, 습윤 및 산소공급이 최적화되고, 과산화물 작용은 연장되고 증가하고, 필요한 표면에서 유지된다.
도 3: 에스 에피데르미디스(S. Epidermidis) 박테리아로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성장 배지(BHI, 음성 대조군), H2O2 5% v/v + f-127 1% w/v(시험 2), H2O2 5% v/v + f-127 7% w/v(시험 4), 클로르헥시딘 0,2% w/v + f-127 7% w/v(시험 5) 또는 에탄올 75% v/v + f-127 1% w/v로 세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박테리아를 제거하지 않았거나 박테리아가 파괴되지 않았다. 과산화물 + 플루론산 혼합물을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고, 생물막을 용해시키고, 잔해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시험 2 & 4). 시험 4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시험 2보다 약간 더 효과적이다. 클로르헥시딘(시험 5) 및 에탄올(시험 6)은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사멸시켰지만, 표면으로부터 임의의 잔해를 제거하지 않아 표면을 심하게 오염된 상태로 남겨두었다. 표면은 세정 후 주사 전자 현미경에서 시각화하였다. 기준자는 20 마이크로미터이다.
도 4: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로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A) 식염수(음성 대조군), B) 클로르헥시딘 0,2% w/v, 또는 C) H2O2 3% v/v + f-127 플루론산 5% w/v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 표면을 형광 염료로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으로 죽은 세포는 적색으로 염색하였다. 음성 대조군(식염수)은 어떠한 박테리아도 제거하지 않았거나 박테리아가 파괴되지 않았다. 클로르헥시딘은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지만, 이들이 표면을 오염시킨 채로 두었다. 과산화수소 + 플루론산 혼합물은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고, 생물막을 용해시켰고, 세정 및 염색 후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 시각화된 표면에서 잔해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
도 5: 소독된 티타늄 표면에서의, 이들을 형광으로 만들어주는 루시페라제 유전자를 품은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의 재성장. 결과는 생물막의 재성장이 세정 후 3-4시간 내에 발생하였기 때문에 D) 물과 세제(SDS, 0,1%), E) 물과 5% 플루론산 및 F) 식염수가 최소 소독 효과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한편, 클로르헥시딘, 0,2%는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고, 죽은 생물막이 표면에 갇히고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3 및 4 참조). 과산화수소, 5% v/v, 단독(A)는 생물막이 그 자체로 회복되기 전에 약 13시간의 지연에서 볼 수 있듯이 표면을 잘 세정하였다. 그러나, 물 중의 5% 플루론산과 조합된 과산화수소 3% v/v는 표면을 유의미하게 더 우수하게 세정하였고, 15시간 이상 재성장을 지연시켰다.
도 6: 왼쪽 및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각각 A)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3% v/v) 혼합물 또는 B) 에탄올 및 프로판-2-올을 함유한 안티박 파르마(Antibac Pharma)TM로 연속 5일 동안 매일 4회 소독하였다. 소독 기간 후, 두 손가락 모두를 산화철로 염색하여 균열 및 틈을 시각화하였다. 균열 및 틈은 안티박 파르마TM 처리된 엄지손가락에서 갈색 줄무늬 얼룩으로 용이하게 가시화된 반면, 플루로닉-과산화물 제제는 왼쪽 손가락의 피부에 해를 입히지 않았다.
도 7: 손가락을 실험실 마커로부터 퍼머넌트 잉크의 선으로 표시하고, 후속적으로 다양한 소독/오염 제거 용액으로 세정하여 피부에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이들의 능력을 시각화하였다. 손가락 A)는 오직 물로만 세정하였다. 손가락 B)는 따듯한 물과 비누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C)는 0.2% 클로르헥시딘으로 세정하였고, 손가락 D)는 파이리스페트(Pyrispet)TM(0,1%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로 헹구었고, 손가락 E)는 안티박 파르마TM(알코올계 소독제)로 세정하고, 손가락 F)는 표백제(4% 차아염소산나트륨)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G) 및 H)는 과산화수소(각각 물 중의 1% 및 5%)로 헹구었다. 손가락 I)는 물 중의 플루론산 용액(5% w/v)으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J)는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1% v/v)의 혼합물로 소독하였다. 결과는 표백제 및 과산화수소가 잉크 얼룩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대부분의 효과적인 세정은 플루론산과 과산화수소의 조합에 의해 수득된다.
도 2: 플루로닉과 과산화물의 혼합으로부터의 상승작용적 효과를 도시하는 도식적 도면. 플루로닉과의 상호작용 동안, 과산화물은 미생물 및 바이러스 핵산 및 막을 분해하고 혐기성 생물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활성 산소(ROS)를 생성한다. 과산화물은 또한 미셀 구조를 형성하려는 플루로닉의 강한 경향에 대항하는 플루로닉 미셀 용해를 유발한다. 용해된 것과 미셀 플루로닉 사이의 동적 평형은 미셀 구조로의 먼지, 유기물 및 오염물의 능동적인 포획을 허용한다. 플루로닉 하이드로겔의 액체 친수성 성질은 또한 발포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주름 및 틈으로의 ROS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촉진한다. 게다가, 피부에 대한 플루로닉 하이드로겔 수분 및 과산화물로부터 방출된 산소는 상처 치유를 돕는다. ROS는 또한 의료용 및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인 티타늄을 세정하고 재활성화시키는(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드는) 능력을 갖는다. 단독 ROS의 효과는 이들 과정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기에는 너무 짧고,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수분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안정한 미셀에 있어서 플루로닉 단독은 오염물 포획에서 훨씬 덜 효과적이고, 미생물을 사멸시키지 않거나 바이러스 핵산을 분해하지 않는다. 올바른 농도 플루로닉 미셀 형성에서 함께 혼합된 경우는 더 동적이고, 습윤 및 산소공급이 최적화되고, 과산화물 작용은 연장되고 증가하고, 필요한 표면에서 유지된다.
도 3: 에스 에피데르미디스(S. Epidermidis) 박테리아로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성장 배지(BHI, 음성 대조군), H2O2 5% v/v + f-127 1% w/v(시험 2), H2O2 5% v/v + f-127 7% w/v(시험 4), 클로르헥시딘 0,2% w/v + f-127 7% w/v(시험 5) 또는 에탄올 75% v/v + f-127 1% w/v로 세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박테리아를 제거하지 않았거나 박테리아가 파괴되지 않았다. 과산화물 + 플루론산 혼합물을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고, 생물막을 용해시키고, 잔해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시험 2 & 4). 시험 4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시험 2보다 약간 더 효과적이다. 클로르헥시딘(시험 5) 및 에탄올(시험 6)은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사멸시켰지만, 표면으로부터 임의의 잔해를 제거하지 않아 표면을 심하게 오염된 상태로 남겨두었다. 표면은 세정 후 주사 전자 현미경에서 시각화하였다. 기준자는 20 마이크로미터이다.
도 4: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로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A) 식염수(음성 대조군), B) 클로르헥시딘 0,2% w/v, 또는 C) H2O2 3% v/v + f-127 플루론산 5% w/v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 표면을 형광 염료로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으로 죽은 세포는 적색으로 염색하였다. 음성 대조군(식염수)은 어떠한 박테리아도 제거하지 않았거나 박테리아가 파괴되지 않았다. 클로르헥시딘은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지만, 이들이 표면을 오염시킨 채로 두었다. 과산화수소 + 플루론산 혼합물은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고, 생물막을 용해시켰고, 세정 및 염색 후 공초점 현미경에 의해 시각화된 표면에서 잔해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
도 5: 소독된 티타늄 표면에서의, 이들을 형광으로 만들어주는 루시페라제 유전자를 품은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의 재성장. 결과는 생물막의 재성장이 세정 후 3-4시간 내에 발생하였기 때문에 D) 물과 세제(SDS, 0,1%), E) 물과 5% 플루론산 및 F) 식염수가 최소 소독 효과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한편, 클로르헥시딘, 0,2%는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고, 죽은 생물막이 표면에 갇히고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3 및 4 참조). 과산화수소, 5% v/v, 단독(A)는 생물막이 그 자체로 회복되기 전에 약 13시간의 지연에서 볼 수 있듯이 표면을 잘 세정하였다. 그러나, 물 중의 5% 플루론산과 조합된 과산화수소 3% v/v는 표면을 유의미하게 더 우수하게 세정하였고, 15시간 이상 재성장을 지연시켰다.
도 6: 왼쪽 및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각각 A)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3% v/v) 혼합물 또는 B) 에탄올 및 프로판-2-올을 함유한 안티박 파르마(Antibac Pharma)TM로 연속 5일 동안 매일 4회 소독하였다. 소독 기간 후, 두 손가락 모두를 산화철로 염색하여 균열 및 틈을 시각화하였다. 균열 및 틈은 안티박 파르마TM 처리된 엄지손가락에서 갈색 줄무늬 얼룩으로 용이하게 가시화된 반면, 플루로닉-과산화물 제제는 왼쪽 손가락의 피부에 해를 입히지 않았다.
도 7: 손가락을 실험실 마커로부터 퍼머넌트 잉크의 선으로 표시하고, 후속적으로 다양한 소독/오염 제거 용액으로 세정하여 피부에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이들의 능력을 시각화하였다. 손가락 A)는 오직 물로만 세정하였다. 손가락 B)는 따듯한 물과 비누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C)는 0.2% 클로르헥시딘으로 세정하였고, 손가락 D)는 파이리스페트(Pyrispet)TM(0,1%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로 헹구었고, 손가락 E)는 안티박 파르마TM(알코올계 소독제)로 세정하고, 손가락 F)는 표백제(4% 차아염소산나트륨)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G) 및 H)는 과산화수소(각각 물 중의 1% 및 5%)로 헹구었다. 손가락 I)는 물 중의 플루론산 용액(5% w/v)으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J)는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1% v/v)의 혼합물로 소독하였다. 결과는 표백제 및 과산화수소가 잉크 얼룩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대부분의 효과적인 세정은 플루론산과 과산화수소의 조합에 의해 수득된다.
예를 들면, 피부 또는 점막, 예를 들면, 구강 후두 또는 비강에서의 표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정, 살균 및/또는 소독하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에 대한 오랫동안 느꼈던 필요가 사회에 존재하였다. 임의의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근본적으로 오염 물질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또는 둘다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 또는 억제에 유용하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수용성이고 용이하게 헹궈지는 조직 진화적인 계면활성제이다. 이들 조성물은 임상적 사용에서 잘 연구된 활성 성분의 비독성 제제를 포함하고, 이는 주사 가능한, 경구 및/또는 피부 적용에 특히 적합하다. 본원에 처음으로 기재된 조성물은 임상 실험에서 비민감성 및 비자극성인 것으로 증명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생물오염 및 염증에 유용한 대부분의 다른 치료제와 혼화성이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실온에서 액체 상태를 갖는데, 이는 문제 없는 혼합 및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조성물은 조성물이 피부 및/또는 점막 위의 좁은 틈, 결함 및/또는 접힘부로 적용될 때 어려운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계면활성제 효과와 함께 쉽게 흐르는 액체 농도를 갖는다.
특정한 이론 또는 작용 메커니즘과 결부되지 않고,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인간 세포에 의해 생성된 과산화물로부터의 반응성 산소 종(ROS)의 천연 방출을 모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성 산소로부터의 전하는 미생물 막을 파괴하고, 산소 그 자체는 또한 혐기성 박테리아에 독성이다. 인간 세포는 그 자체로 이들의 세포막에서 효소에 의해 ROS로부터 보호되고, 국소 조직은 산소의 증가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미생물은 이러한 보호를 갖지 못하거나 이들의 세포막 디자인에서 기본적인 차이로 인하여 내성을 발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조성물은 생물막, 잔해 및 광상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뿐만 아니라 적용 부위에서 세포외 유기물을 용해시킬 수 있다.
액체 하이드로겔로부터 방출된 활성 산소를 통해, 본원에 제시된 조성물의 사용은 또한 티타늄 함유 임플란트 표면으로부터 탄소 오염을 제거하고, 임플란트의 이산화티타늄 층을 재활성화시킨다. 이 과정은 임플란트의 원래의 전하 및 친수성을 재정립하여, 이의 최적의 생물학적 표면 성질을 복구한다. 이는 상기 처리된 임플란트의 추가의 생존, 또는 심지어 성공적인 재통합의 요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발생 산소와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생물오염을 파괴 및 제거하고, 미생물을 제거하고, 조직 및 임플란트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을 재활성화시키는 진보된 미셀 형성 겔 제제를 제공한다.
조성물의 하이드로겔 성분 및 활성 산소는 상승작용을 일으켜 산소 방출로부터 발포를 회피하고 연장된 생물학적 및 화학적 효과를 위하여 활성화된 산소를 표면에 위치하도록 유지한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사용은 수분을 제공하고, 활성 산소가 미생물을 박멸한 다음, 현탁되고 미셀 형성 하이드로겔 내부에 포획되는 동안, 피부, 조직 및/또는 임플란트 표면을 건조하게 만드는 위험성 없이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기 오염물은 결국 강한 세제 효과에 의해 변성되고, 활성 산소에 의해 파괴되고, 용해되고 하이드로겔에 포획된다. 하이드로겔 및 산소는 둘다 염증을 감소시키고 조직 건강을 지지한다. 방출된 활성 산소는 결국 세포 방어 네트워크를 강화시킨다. 상승작용적으로, 겔 및 활성 산소는 둘다 오염물을 제거하고, 항균제 및 살바이러스제로서 작용하고,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을 재활성화시킨다. 플루로닉 미셀 형성과 과산화물 사이의 상호작용은 미셀 형성을 강력하게 만들고, 세정 효과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정, 소독, 멸균 및/또는 괴사조직 제거하기 위한, 잔해 및 미생물의 가용화 및 포획을 위한 개선된 미셀 동역학과 함께 강한, 항균성, 살바이러스성 및 비이온성 세제 성질을 갖는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과산화물 조합의 신규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는 수건, 와이프 또는 물에 의해 용이하게 헹궈지지만, 이는 또한 남겨져서 공기 건조될 수 있으며,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피부, 점막 및/또는 임플란트 표면의 세정, 소독, 멸균 및/또는 살균에 대한 신규하고 개선된 접근을 제공한다. 특정한 대안에서, 예를 들면,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구강 세정제 및/또는 코 린스로 도입되고, 이들 제제는 구강 및/또는 코 질환(예를 들면, 충치, 치주염, 치은염, 점막염, 임플란트 주위염, 부비강염 및/또는 비염)의 예방, 치료, 억제 또는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대안에서, 상기 구강 린스 및/또는 코 린스는 대상체, 예를 들면, 인간의 구강 또는 코 점막에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 예를 들면, SARS-CoV-2를 억제하는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람직한 제제는 수득된 조성물이 생리학적 온도에서 물과 같은 액체 형태인 농도로 과산화수소(H2O2)와 플루론산이 조합을 기반으로 한다. 조성물의 H2O2 성분은 사용 직전에 혼합하기 위하여 분리된 바이알에 농축물(적어도 10 - 50% v/v의 농도로)의 형태로 있을 수 있거나, 에멀젼으로 제공되거나 하이드로겔로 직접적으로 용해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로겔은 0.5 - 7%의 전형적인 최종 농도로 플루론산 및 물 및/또는 생리 식염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플루로닉 성분 그 자체는 플루론산, 예를 들면, F-127 종류 중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다. 플루론산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0.1 - 10% w/v, 예를 들면, 0.1 - 7% w/v, 예를 들면, 0.1 - 2.5% w/v이다. 즉,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임의의 하나 이상 중의 플루론산의 농도는 0.1%,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10% w/v 이상, 또는 상기 언급된 퍼센트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퍼센트 w/v일 수 있다.
플루론산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에서 가용화제 및 세제 둘다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보습제로도 작용한다. 과산화물의 존재하에, 하이드로겔 제제는 동적 미셀 형성 용액을 확립한다. 이러한 동적 상태는 세정 과정 동안 입자, 미생물 및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가용화 및 포획을 촉진한다(예를 들면, 도 2 참조).
본 혁신은 플루론산과 과산화물 사이의 상승작용적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 플루론산은 미셀을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능력은 일반적으로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생리학적 조건에서(예를 들면, >20℃에서) 겔 상태로 이동한다. 과산화물 첨가는 플루론산이 심지어 생리학적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과산화수소와 혼합하는 경우, 본 발명자들은 처음으로 미셀이 더 동적이고 덜 안정하며 심지어 높은 온도에서도 과산화물 라디칼 활성과 "동적" 평형을 이룬다고 개시한다. 실제로, 이는 과산화물의 존재하에, 미셀 구조가 용해되고 겔이 인간 조직, 피부 및/또는 점막 상에 적용될 때에도 일정하게 재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는 하이드로겔 액체를 높은 온도에서도 유지하고, 플루론산의 세제, 변성 및 포획 효과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
바이러스 입자에 대한 유리 산소 라디칼을 방출하는 과산화수소의 효과와 조합하여, 미셀 전이는 유기물 오염을 용해시키고 포획하고, 이는 그 다음, 겔이 건조되거나 닦이거나 세정될 때 제거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에서 플루론산에 대한 과산화수소의 첨가는 겔화가 발생하는 때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과산화물의 낮은 농도를 함유한 플루로닉 겔은 실온에서 액체이고, 따라서 주사기 바늘을 통해 적용될 수 있거나, 노즐의 막힘 없이 디스펜서 병으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플루론산 단독의 경우에는 가능하지 않은데, 이는 좁은 구획에서 및/또는 디스펜서의 노즐에서 "증기 전면(vapor front)"에서는 심지어 낮은 농도에서도, 실온에서 이미 안정한 "팩킹된 미셀" 겔을 형성하기 시작하기 때문이고, 따라서 주사기의 좁은 팁, 또는 디스펜서 병으로부터의 펌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짜내기 매우 힘들다. 따라서 상처 케어를 위한 플루로닉 겔은 박스 또는 튜브 내의 겔로서 판매된다. 과산화물과 플루론산의 조합으로부터의 증가된 효과는 예상 밖의 놀라운 일이었다.
과산화물과 조합된 플루로닉 하이드로겔의 액체 제제는 또한 적용 동안 도움이 된다. 이는 이의 겔 형성 성질이 이를 생리학적 온도에서 점성이 있게 만들기 때문에 플루로닉 겔 단독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접힘부, 주름, 틈, 균열, 좁은 공간 및/또는 언더컷에 세정 및/또는 소독 조성물이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피부 및 점막 위 및 치아 사이의 거친(임플란트) 표면, 좁은 공간, 예를 들면, 접힘부, 균열 및 주름을 세정하는데 더 효과적이다.
조성물
본 발명의 측면은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 소독, 멸균, 살균 및/또는 오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대안에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은 2종의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
a. 0.1 - 7% v/v의 최종 농도의 H2O2, 및
b. 0.1 - 10% w/v의 농도의 플루론산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의 일부에서, H2O2의 최종 농도는 0.1%,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또는 7.0% w/v 이상이거나 상기 언급된 퍼센트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퍼센트 w/v이다. 상기 언급된 조성물의 일부에서, 플루론산의 최종 농도는 0.1%, 0.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10% w/v 이상, 또는 상기 언급된 퍼센트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퍼센트 w/v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이들이 생리학적 온도, 예를 들면, 최대 40℃의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40℃, 예를 들면, 37℃, 예를 들면,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또는 40℃의 온도, 또는 상기 언급된 온도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온도에서 액체로 남아 있도록 제제화된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일부는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 소독, 멸균, 살균 및/또는 오염 제거하는데 유용한 바람직한 특징인, 조성물이 높은 온도에서 겔 상태 대신에 액체 상태이도록 하는 플루론산의 낮은 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하이드로겔의 액체 상태는, 특히 피부 및 점막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하여, 손 소독제, 손 세정제, 구강 세정제 및/또는 코 및/또는 부비강 세정액에 도입될 때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조성물이 생리학적 온도에서 더 점성이 있거나 겔과 같은 상태 대신에 액체 상태가 되도록 하는 비로 적어도 2종의 성분 (a) 및 (b)를 포함한다. 성분 (a)와 성분 (b) 사이의 전형적인 농도 비는 대략 1:1(H2O2의 농도: 플루론산의 농도)이다. 일반적으로, 플루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H2O2의 농도가 25 - 40℃의 온도에서 조성물을 액체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그러나, 과산화물의 너무 높은 농도는 플루론산의 양친성 성질을 파괴하고, 미셀 형성을 방해하고, 이를 세제 및/또는 불포화제로서 쓸모없게 만들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하나의 대안에서, 성분 (b)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는 플루론산을 0.1 - 10% w/v의 농도, 예를 들면, 10% w/v, 0.1, 0.5,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또는 9.5 % w/v의 농도 또는 상기 언급된 농도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또 다른 대안에서, 성분 (b)의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는 플루론산을 최대 10% w/v, 예를 들면, 최대 0.1, 0.5, 1, 1.5, 2, 2.5,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또는 9.5 % w/v의 농도 또는 상기 언급된 농도 중 임의의 2개에 의해 정의된 범위에 속하는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성분 (a)의 H2O2가 0.1-7% v/v, 예를 들면, 0.5-3% v/v, 예를 들면, 0.1-5% v/v의 최종 농도를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성분 (a)의 H2O2는 7% v/v 이하, 예를 들면, 0.1 - 7% v/v, 예를 들면, 1, 2, 3, 4, 5, 6 또는 7% v/v의 최종 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물 및/또는 생리 식염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2종의 성분은 하나의 용액 중에 있을 수 있거나, 적어도 2종의 성분은 동시에 혼합되고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되어 유지될 수 있다.
성분이 적용 전까지 서로 분리되어 유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서, 분리된 성분 (a)는 H2O2를 적어도 10-50% v/v, 예를 들면, 최대 10, 20, 30, 40 또는 50% v/v의 농도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하나의 대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H2O2를 30% v/v의 농도로 포함한다.
유화제(들) 및/또는 점도 조절제(들)
일부 대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화제(들) 및/또는 점도 조절제(들)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 및/또는 점도 조절제는 글리세린,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플루로닉 폴리올), 폴리글리콜 알기네이트(PGA), CMC(카복시 메틸 셀룰로스), 글리세롤, 알로에 베라 겔, 알기네이트, 하일루론산(HA) 및 키토산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또한 SDS(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 스타네이트,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옥신 및 SLS(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향료 또는 향미 오일(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스피아민트, 페퍼민트, 윈터그린, 사사프라스, 클로브, 세이지, 유칼립투스, 마조람, 시나몬의 향료 및 오일,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멘톨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산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포스페이트, 카복실레이트 염, 나트륨 파이로포스페이트, 나트륨 파이테이트, 콜로이드성 스타네이트 또는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생체활성 물질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전형적으로 EMD, 펩타이드, 약물, 생체활성 이온, 소분자, 방사성 분자, 항균성 분자 및 방사선 비투과 분자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체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정 성분 및 항균성 물질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추가의 항균성 물질 및/또는 세정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추가의 항균성 물질은 아목시실린, 독시사이클린, 세팔렉신, 시프로플록사신, 클린다마이신, 메트로니다졸, 아지트로마이신, 설파메톡사졸 및 트리메토프림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배제적인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에서 제공되는 추가의 항균성 물질은 알코올, 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마크롤리드, 페니실린(안정화됨), 클로르헥시딘, 클로라민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추가의 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추가의 항염증제, 소염제, 응고제, 마취제 및/또는 진통제 또는 이러한 성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충치예방제 및/또는 항충치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루오르화수소, 플루오르화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주석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온(RT)에서의 적어도 1년의 저장 수명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온(RT)에서 적어도 1년의 저장 수명을 갖는다.
키트
본 발명의 측면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키트는 상기 분리된 성분 (a) 및 (b)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용기, 주사기 및 바이알, 연결 장치, 어플리케이터 팁 및 사용 설명서 및, 임의로 혼합 장치 및 세정 도구,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브러쉬를 포함한다. 상기 키트는 2종의 성분 (a) 및 (b)를 2개 챔버 주사기에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키트는 사용 설명서, 혼합 장치, 어플리케이터 팁 및 세정 도구,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 브러쉬 및/또는 와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적용 및 최종 저장 전에 혼합될 수 있거나, 분리되어 저장되고 적용 직전에 및/또는 적용할 때 직접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측면에서 적용은 성분 (a)를 포함하는 제1 용기, 성분 (b)를 포함하는 제2 용기, 및 성분 (c), (d), (e) 등을 포함하는 임의로 적어도 하나 이상(제3 또는 제4 등)의 용기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고, 이는, 예를 들면, 종이 및/또는 면 와이프,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습윤 와이프, 미세입자 및/또는 메쉬 형성 성분 및/또는 생체활성 물질 및/또는 세정 성분 및/또는 추가의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이러한 키트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또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적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펜서 병, 블리스터 팩, 이중 블리스터 팩, 주사기 및/또는, 예를 들면, 구강에서 임플란트를 세정 및/또는 소독하기 위한 임플란트 세정 및/또는 소독 도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또한 하나 이상의 용기(들) 내의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중 하나 이상 및 구강에서 임플란트의 세정 및/또는 오염 제거를 위한 임플란트 세정 및/또는 소독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는 전형적으로 2종의 성분 (a) 및 (b)를 적용 전에 및/또는 동안 성분의 용이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2개 챔버 장치에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2개 챔버 주사기, 2개 챔버 펌프 작용 디스펜서 병, 이중 블리스터(블리스터 내의 블리스터) 팩, 또는 적용 전에 힘으로 파괴되는 과산화물을 함유한 분리된 블리스터를 함유한 습윤 와이프 블리스터일 수 있다.
키트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하여 용기, 예를 들면, 블리스터 팩 및/또는 티슈, 예를 들면, 소독 와이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도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 소독, 살균 및/또는 멸균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멸균, 살균 및/또는 소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미생물로부터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 멸균, 살균 및/또는 소독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사멸되거나 제거되는 미생물은 예를 들면, 리보비리아, 특히 코로나바이러스과(예를 들면, Sars-Cov-2), 또는 오르토코로나바이러스아과로 이루어진 비배제적인 군으로부터 선택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손, 얼굴, 또는 구강 또는 비강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점막으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를 사멸 및/또는 제거하는데 특히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손 세정제, 구강 세정제, 치아 세정제로서, 코 및/또는 부비강 세정, 및/또는 피부 및 점막로부터의 바이러스 세정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손 소독제, 구강 세정제, 부비강 린스, 코 린스 및/또는 소독 와이프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또한 임플란트 주위 결함에 적용하는데 유용하고, 제제는 다양한 임상 절차,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구강 감염의 치료 및 예방, 구강 및/또는 코 건강의 유지 및 피부, 점막 및/또는 구강 후두 및/또는 비강에 대한 수술 후 후속 투여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또한 다른 구강 절차, 예를 들면, 치주 결함의 수술적 세정 동안, 재생 절차 전 준비, 치주 유지 치료, 치주염 예방(치과 위생사에 의한) 뿐만 아니라 근관 절차 및 치근첨단 수술 둘다에서, 치내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추가로 구강 외부에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정형외과 재수술에서 세정 및/또는 괴사조직 제거, 경피 장치의 소독, 금성 상처의 세정을 위한 피부 상처 케어 및/또는 만성 궤양 및 화상의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 치은염 및/또는 점막염,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및/또는 치주염의 치료에서의 사용 및/또는 예방 또는 전염병에 대항하는 구강 세정 또는 구강 수술 절차 전에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임플란트 사용을 통한 구강치아 재활에 관한 전형적인 합병증, 예를 들면, 임플란트 주위 질환이고, 이는 임플란트의 뼈 지지의 수반된 손실이 있는 구강 미생물에 대한 염증 반응으로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질환의 병인은 임플란트 주변 조직의 상태, 임플란트 디자인, 거친 정도, 임플란트 성분의 불량한 정렬, 외부 형태 및 과도한 기계 부하에 의해 좌우된다.
본원에 개시된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임플란트 표면의 정교한 구조 및/또는 조직 표면 그 자체의 손상 없이, 본질적으로 처리된 표면 상에 오염 물질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임플란트의 효과적이고 신속한 세정 및/또는 구강에서 조직 표면의 세정 또는 오염 제거를 위한 몇몇 접근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의료 장치 또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또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강에서 임플란트, 예를 들면, 인시투에서의 임플란트, 구강에서 조직 표면, 예를 들면, 구강에서 조직의 외부 표면, 구강에서 수술적으로 노출된 표면, 구강에서 상처, 예를 들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부터 야기된 상처 또는 수술 상처, 치주 결함 및/또는 치주 상처, 및/또는 구강 경조직 결함을 세정 및/또는 소독 및/또는 오염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본 발명은 또한 약제 및/또는 약학 및/또는 미용 조성물의 제조, 구강에서 임플란트, 예를 들면, 인시투에서의 임플란트, 구강에서 경질 표면, 예를 들면, 구강에서 조직의 외부 표면, 구강에서 수술적으로 노출된 표면, 구강에서 상처, 예를 들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부터 야기된 상처 또는 수술 상처, 치주 결함 및/또는 치주 상처, 및/또는 구강 경조직 결함을 세정 및/또는 오염 제거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또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구강에서 임플란트, 예를 들면, 인시투에서의 임플란트, 구강에서 경질 표면, 예를 들면, 구강에서 조직의 외부 표면, 구강에서 수술적으로 노출된 표면, 구강에서 상처, 예를 들면, 임플란트 주위염으로부터 야기된 상처 또는 수술 상처, 치주 결함 및/또는 치주 상처, 및/또는 구강 경조직 결함을 세정, 소독, 살균, 멸균 및/또는 괴사조직 제거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또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구강 후두 및 코 의료 적용
치의학 및 이비인후과에서, 코 및 구강 린스는 절차 동안 미생물 부담을 낮추거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수술 전과 후에 사용된다. 구강 후두 및 코 점막의 감염은 부비강을 채울 수 있는 점막의 형성을 야기하고 코 및 부비강의 충혈 및 혀, 편도선, 치아 및 잇몸에서의 미생물 축적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또한 구강, 후두 및/또는 코 해부학적 구조 및/또는 표면의 살균 및 세정을 위한 구강 세정제, 코 린스 및/또는 부비강 린스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 살균, 소독 및/또는 오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 예를 들면, 인시투에서 이러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으로부터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박테리아, 효모, 및 박테리아 포자를 포함하는 미생물, 및 먼지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제거 및/또는 치료될 수 있는 생물막은 구강 내, 예를 들면, 치아의 표면, 점막/연조직의 표면, 예를 들면, 치은/치주 및 충치 내부(예를 들면, 치내요법 관)에 존재하는 생물막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의해 예방, 제거 및/또는 치료될 수 있는 생물막은 요로, 폐, 위장관, 및/또는 만성 상처 내, 및 표면(예를 들면, 임플란트) 위, 및 의료 장치 및 의료 라인, 예를 들면, 카테터, 의료 기구 또는 의료용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생물막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생물막에서 하나 이상의 미생물, 예를 들면, 박테리아의 성장을 감소시키고/거나 생존능을 억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한 없이, 억제될 수 있는 박테리아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S. mutans),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쿠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상구이니스(sanguinis)), 스트렙토코쿠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쿠스 옴리스(Streptococcus omlis), 스트렙토코쿠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악티노마이세스 오돈톨리티쿠스(Actinomyces odontolyticu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아그레가티박터 액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락토바실러스 종(Lactobctcillus spp.),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박테로이데스 포르사이투스(Bacteroides forsythus),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캄필로박터 렉투스(Campylobacter rectus),
에이케넬라 코로덴스(Eikenella corrodens), 베일로넬라 종(Veillonella spp.), 마이크로모나스 마이크로스(Micromonas micros), 포르피로모나스 칸진기발리스(Porphyromonas cangingivalis), 헤모필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Haemophilus actinomycetemcomitans), 악티노마이세스 종(Actinomyces spp.), 바실루스 종(Bacillus spp.), 마이코박테리움 종(Mycobacterium spp.), 푸소박테리움 종(Fusobacterium spp.), 스트렙토코쿠스 종(Streptococcus spp.),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트렙토코쿠스 피로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렉티아(Streptococcus agalectiae),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 엘렙시엘라 뉴모니아(Elebsiella pneumoniae), 아시네토박터 종(Acinetobacter spp.), 엔테로코쿠스 종(Enterococcus spp.), 프레보텔라 종(Prevotella spp.), 포르필로모나스 종(Porphyromonas spp.), 클로스트리디움 종(Clostridium spp.),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 피 칸진기발리스(P. cangingivali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또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박테리아는 구강, 예를 들면, 치아 표면에서 확인되는 생물막 내에 존재하는 에스. 뮤탄스이다.
임플란트 실패와 가장 흔하게 연관된 미생물은 그램 음성 혐기성 생물의 스피로헤타 및 이동 형태이다. 진단은 잇몸의 색 변화, 임플란트 주위 포켓의 출혈 및 탐침 깊이, 화농, x선 및 치아 주변의 뼈 높이의 점진적인 손실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항생제 감수성 검사(antibiogram)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된 항생제 요법은 아목시실린 및 클라불란산의 회합이었다. 박테리아 감염 이외에, 구강에서의 미생물 감염은 물론 진균 및/또는 바이러스 감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박테리아, 진균 및/또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이러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리보비리아, 예를 들면, 코로나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오르토코로나바이러스아과 및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예를 들면, 인플루엔자 A, B, C 및 D형 바이러스, 아보바이러스(Arbovirus) 및 이사바이러스(Isavirus), 및 예를 들면,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유두종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virus), 천연두 바이러스(Small Pox virus), 파보바이러스(Parvovirus),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또는 광견병 바이러스로부터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는데 사용된다.
본원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부터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는데 사용된다.
더욱이,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미생물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항균성 뿐만 아니라 항바이러스성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염병, 감염, 치은염 및/또는 점막염,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임플란트 주위염, 치주염, 충치, 및/또는 부비강염 및 비염의 세정, 소독,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기 더럽고/거나 막이 있고/거나 오염된 구조, 조직 또는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인시투에서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세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원에 개시된 주제의 대표적인 실시양태를 실시하기 위한 지침을 당업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되었다. 본 발명 및 당업계의 일반적인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는 하기 실시예가 오직 예시인 것이 의도되고, 다수의 변화, 변형, 및 대안이 본원에 개시된 주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 1
과산화물의 존재하에 플루로닉의 미셀 형성의 분석
수성 용액에 가한 플루로닉® F-127은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이의 두께가 변화할 수 있다. F-127은 12500 돌턴의 분자량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올이다.
공중합체 F-127의 수성 식염수(생리학적 조건) 용액에 대한 겔 경계를 도 1에서 볼 수 있다. 채워진 원은 혼합물에 대한 튜브 역전 방법에 의해 수득된 데이터 점이다. 빈 사각형은 유량계 분석으로부터의 데이터 점이다. 차트는 식염수 중의 15% w/v 미만의 플루로닉 농도가 온도와 독립적으로 유체로 남아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유체 플루로닉 용액은 독립적인 미셀을 형성하지만, 농도는 플루로닉 미셀이 입방 겔로 조립될 만큼 높지 않다. 따라서, 미셀의 형성을 허용하면서 액체를 유지하고 세제로서 작용하는 낮은 플루로닉 농도는 생물학적 표면의 조직 친화적 세정에 좋을 수 있지만, 오염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 다른 강력한 반응물의 첨가는 미셀 형성을 완전히 방해하고 따라서 원하는 세제 및 변성 효과를 폐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플루로닉 f-127 겔에 대한 과산화물의 첨가
미셀 형성(발포 및 오일 용해 능력에 의해 시각화됨)이 물 중의 플루로닉 f-127의 낮은 농도를 다양한 항균제(실시예 3 참조), 광범위한 과산화물 농도의 과산화수소와 혼합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수득될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표 1).
수성 플록사머 용액의 제조에 사용된 기술은 단순하다. f-127의 중량측정한 양을 차가운 물(10℃ 미만)의 공지된 중량에 조심스럽게 교반하면서 천천히 가한다. 교반 속도는 액체 중의 약간의 소용돌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되어야 한다. 너무 빠른 교반 속도는 공기혼입 및 발포체의 형성을 유발할 것이다.
표 1: 물 중의 5% 플루론산 F-127(Zigma Aldrich) 및 다양한 과산화수소(Sigma Aldrich)를 함유하는 현탁액의 조성물. f-127을 차가운 물 중에 용해시킨 후, 적당량의 과산화수소를 가하고, 발포를 피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게 튜브를 뒤집어 혼합을 수행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벤치에 두었다. 모든 중합체를 가했을 때,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 교반할 수 있거나(용액을 차갑게 유지하면서), 용액이 완성되었을 때 용기를 냉동고에 넣고 몇시간 동안 건드리지 않고 놔둘 수 있다. 실험이 시작했을 때 몇초 동안 약간의 교반하에 H2O2를 혼합하였다.
표 2: 배양 후, 모든 용액은 여전히 액체였고(예상된 바와 같이 겔 형성은 없었음), 보텍싱되었고, 발포체를 형성하는 능력(계면활성제 효과의 단순한 측정으로서)을 0(발포체 없음) 내지 3(발포체 많음)의 등급으로 점수화하였다. 예상된 바와 같이, 샘플 0은 최대 점수를 기록하였고, 과산화수소의 첨가는 낮은 농도 및 높은 농도에서 발포를 감소시켰다. 예상외로 발포의 감소에는 선형성이 없었다. 사실, 샘플 2 내지 4는 대조군만큼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이는 미셀 형성 및 계면활성제 효과가 세 샘플에서 보존되었음을 나타낸다. 그 다음, 용액이 탁해지기 전에 니들 포인트로부터 얼마나 많은 유적(오일 레드(Sigma Aldrich)로 염색된 광유)을 관찰할 수 있는지를 샘플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탁함은 유적이 빛을 분산시킬 만큼 커진 단계인 매크로에멀젼의 징후이다. 양성 대조군인 샘플 0은 탁해지기 전에 7개의 유적이 관찰되었다. 음성 대조군인 샘플 7은 첫번째 소적에 의해 탁해졌다. 그러나 이들 극단 사이의 예상된 선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놀랍게도, 샘플 2(0.5% 과산화물) 및 3(1.0% 과산화물)은 탁함이 관찰되기 전에 양성 대조군보다 거의 2배 많은 소적이 실제로 관찰되었다. 이는 낮은 농도(=액체 용액)에서 플루로닉 f-127 미셀 형성은 실제로 0,5 - 1,5% 부피 대 부피(f-127의 5% w/v 용액 중에서)의 범위의 낮은 농도의 과산화수소의 존재하에, 더 효과적이고 동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과산화물과 조합된 플루론산이 생체적합성의 시험
시험 과정:
생체적합성 시험을 문헌[ISO 10993-5:2009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Part 5: Tests for in vitro cytotoxicity]에 따라 수행하였다.
MTT, WST-1 또는 LDH와 같은 비색 검정은 과산화물 현탁액이 이러한 검정에 사용되는 지시제 색을 분해하고 따라서 이들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에 [3H] 티미딘 도입에 의한 방사성 표지화를 사용하여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NHDF)(Lonza Walkersville, Inc. 미국 메릴랜드주 워커스빌 소재)에 대한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의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시험된 하이드로콜로이드 겔(SilvaSorb® Gel, Medline Industries, 미국 일리노이주 먼델라인 소재) 및 플루로닉-과산화물 겔(3% 과산화수소와 함꼐 물 중의 20% 플루로닉 f-127)의 점도로 인하여, 시험 샘플을 세포 배양 배지로 희석할 수 없었다. 또는 이들의 표면 성질의 부족으로 인하여 NHDF 세포가 겔에서 직접적으로 성장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NHDF 세포를 세포 배양 배지에 대하여 1:1로 희석된 시험 겔을 함유한 웰에 삽입된 세포 배양 삽입물(Millicell®, Millipore Corp., 미국 매사추세츠주 빌레리카 소재)에서 성장시켰다. NHDF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37℃ 및 5% CO2에서 둘베코 PBS 세포 배양 배지(인슐린(CC-4021J), rhFGF-B(CC-4065J) 및 FBS(CC-4161J)를 갖는 FGM®-2, Lonza Walkervill, 미국 메릴랜드주 소재)와 함께 배양하였다. 24시간 성장 후, 시험 성분 또는 대조군(겔 및 젤라틴 겔 없음)의 존재하에 0.5 μL 3H-티미딘(PerkinElmer, 미국 보스턴 소재)을 세포를 함유한 웰에 가하였다. 티미딘에 대한 노출 12시간 후, 세포를 차가운 PBS 중에서 3회 세척하고, 250μL 1 M NaOH로 용해시켰다. 그 다음, 용해된 세포 용액 200μL를 3 ml Insta-gel-2-Pluss 액체 섬광 유체에 이동시켰다. 후속적으로 액체 섬광 분석기(TRI-Corb® 1500 Perkin Elmer)에서 섬광을 계수하였다.
결과 및 결론: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과 대조군에 노출된 샘플 사이의 계수에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NHDF 세포가 이들 시험 겔의 존재하에 정상 속도로 성장하였음을 나타낸다. 과산화수소 함유 플루론산 겔은 안전하고 생체적합성이다. 실바소브(SilvaSorb) 겔은 계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주었고, 이는 또한 과학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보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겔의 존재하에 세포 성장을 느리게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겔이 NHDF 세포에 약간 독성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3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액체 플루로닉 f-127 용액의 화학적 세정 효능
하기 세정 용액을 시험하였다:
음성 대조군
뇌 심장 침출 브로쓰(BHI 브로쓰)
시험 1
H2O2 3% v/v + f-127 1% w/v
시험 2
H2O2 5% v/v + f-127 1% w/v
시험 3
H2O2 3% v/v + f-127 7% w/v
시험 4
H2O2 5% v/v + f-127 7% w/v
시험 5
클로르헥시딘 0.2% w/v + f-127 7% w/v
시험 6
에탄올 75% v/v + f-127 1% w/v
실험 설정
스톡 스트렙토코쿠스 에피데르미디스 배양을 BHI 브로쓰에서 확립하고, 대수기까지 성장하도록 하였다.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배양을 c.p. 티타늄의 세포 배양 디스크에 도입하고, 2일의 기간 동안 표면 상에 다층 생물막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생물막이 확립된 후, 오직 부착 세포만 표면에 존재할 때까지 디스크를 무균의 차가운 PBS에서 여러번 헹구었다.
그 다음, 생물막이 있는 디스크를 시험 겔 또는 대조군 중에 5분 ± 5초 동안 함침시켜, 전체 디스크가 계속 시험 겔에 의해 덮여 있도록 하였다. 그 다음, 디스크를 10분 동안 쉐이커 상의 차가운 PBS에서 헹구고, 씻어내고, 테이블 탑(table-top)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얼마나 많은 박테리아가 시험 표면에 남아있는지를 보았다.
결과 및 결론:
이 실험은 H2O2 증가 및 플루로닉 f-127 농도 증가에 따라 세정 효능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모든 4개의 시험이 매우 잘 수행되었고 대부분의 박테리아가 표면에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시험 1과 시험 4 사이의 차이는 놀랍게도 작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음성 대조군은 PBS 세정의 효과 없이 박테리아에 의해 완전히 덮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양성 클로르헥시딘 및 에탄올 대조군은 놀랍게도 효과적이지 않았다. 이들 두 그룹에서 대부분의 모든 생물막이 표면 위에 유지되었다. 나중에 이들 표면으로부터의 박테리아의 재성장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이들 두 시험에서 모든 박테리아가 사멸하였지만, 생물막의 벌크가 표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어서, 새로운 오염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새로운 생물막 형성에 강한 교두보를 제공하는 오염된 층을 형성하였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에서 놀라운 발견은 과산화수소와 플루로닉 f-127 사이의 상승작용 효과는 박테리아를 사멸할 뿐만 아니라 전체 생물막을 붕해시키고 가용화시켜 거의 완전히 오염 제거된 표면을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도 3). 과산화물 및 플루로닉의 농도는 더 강한 용액과 비교하여 많은 효과를 잃지 않으면서 1% 플루론산 중의 3% 과산화수소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과산화수소와 플루론산 사이의 상승작용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고, 아마도 신속하고 동적인 미셀(세제 및 변성) 효과를 허용하면서 동시에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유기 분자를 용해시키는 활성화된 산소 방출의 효과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농도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최적의 제제는 분리된 성분의 효과를 기준으로 예상되는 것보다 성분이 함께 혼합될 때 과산화물 및 플루로닉 둘다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로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성장 배지(BHI, 음성 대조군), H2O2 5% v/v + f-127 1% w/v(시험 2), H2O2 5% v/v + f-127 7% w/v(시험 4), 클로르헥시딘 0,2% w/v + f-127 7% w/v(시험 5) 또는 에탄올 75% v/v + f-127 1% w/v로 세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박테리아를 제거하지 않았거나 박테리아가 파괴되지 않았다. 과산화물 + 플루론산 혼합물은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고 생물막을 용해하고 잔해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시험 2 및 4). 시험 4는 시험 2보다 약간 더 효과적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클로르헥시딘(시험 5) 및 에탄올(시험 6)은 대부분의 박테리아를 사멸시켰지만, 임의의 잔해를 표면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아 표면을 강하게 오염된 상태로 남겨두었다. 세정 후 표면은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시각화하였다. 기준자는 20 마이크로미터이다.
실시예 4
오염 제거된 표면 위의 살아있는 박테리아와 죽은 박테리아의 염색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로 오염되고 BHI 브로쓰에서 생물막을 성장시킨 티타늄 표면을 성장 배지로부터 제거하고, 소독 용액 중에 5분 동안 느린 쉐이커에서 함침시켰다. 디스크를 A) 식염수(음성 대조군), B) 클로르헥시딘 0.2% w/v, 또는 C) H2O2 3% v/v + f-127 플루론산 5% w/v로 소독하였다. 세정 후, 표면을 형광 염료로 살아있는 미생물은 녹색으로 염색하고 죽은 미생물은 적색으로 염색하였다. 음성 대조군(식염수)은 어떠한 미생물도 제거하지 않았거나 생물막이 제거되지 않았다. 클로르헥시딘은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켰지만, 표면을 오염시키는 죽은 세포를 남겼다. 과산화수소 + 플루론산 혼합물은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생물막을 용해하고, 오염을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 표면은 세정 및 염색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시각화하였다(도 4).
실시예 5
오염된 티타늄 표면을 세정한 후, 에스 에피데르미디스의 재성장
소독된 티타늄 표면 상에서, 이들을 형광성으로 만드는 루시페라제 유전자를 품은 에스 에피데르미디스 박테리아의 재성장. 표면을 먼저 박테리아로 오염시키고, 표면이 생물막으로 완전히 덮일 때까지 BHI 브로쓰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티타늄 디스크를 소독 용액 중에 함침시키고, 느린 쉐이커 상에서 5분 동안 두었다. 소독 후, 디스크를 다량의 멸균수로 헹군 다음, 다시 BHI 배지로 덮고, 37℃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간격으로 디스크를 형광계에 넣고 미처리 보정된 대조군 및 멸균 디스크와 비교하여 형광의 양에 의해 박테리아의 재성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세정 후 3-4시간 내에 생성된 생물막의 재성장에 따르면 D) 세제(SDS 0,1% w/v)를 갖는 물, E) 5% 플루론산을 갖는 물 및 F) 식염수가 최소 소독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5b 참조). 다른 한편으로는, 클로르헥시딘, 0,2%는 모든 박테리아를 사멸시켰고, 죽은 생물막이 표면에 갇히거나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3 및 4 참조). 과산화수소, 5% v/v, 단독(A)은 생물막이 그 자체로 복구되기 전에 약 13시간의 지연에 의해 볼 수 있듯이 표면을 잘 세정하였다. 그러나, 물 중의 5% 플루론산과 조합된 과산화수소 3% v/v는 표면을 유의미하게 더 잘 세정하였고, 15시간 초과 동안 재성장을 지연시켰다(또한 도 5a 참조).
실시예 6
알코올 함유 손 소독제보다 더 피부 친화적인 과산화물과 플루로닉
왼쪽 및 오른쪽 엄지손가락을 각각 A)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3% v/v) 혼합물 또는 B) 에탄올 및 프로판-2-올을 함유한 안티박 파르마TM로 연속 5일 동안 매일 4회 세정 및 소독하였다. 제5 일 소독 과정의 완료 후, 두 손가락을 모두 인디안 레드(Indian Red)(산화철) 용액으로 염색하여 피부의 균열 및 틈을 시각화하였다. 염색 후, 손가락을 따뜻한 물에서 비누로 완전히 세정하고, 공기 건조되도록 두고, 일광하에 사진을 찍었다. 엄지손가락의 피부에서 균열 및 틈은 줄무늬 갈색 염색으로 용이하게 볼 수 있다. 안티박 파르마TM 처리된 손가락은 굳고 건조하고 단단한 피부와 함께 깊은 균열 및 틈을 보여준다. 그러나, 플루로닉-과산화물 제제는 왼쪽 엄지손가락의 피부에 해를 입히지 않고, 피부를 온전하고 부드럽게 남겨두었다. 이는 알코올계 손 소독제보다 더 생체적합성이 있고 조직 친화적이라는 것을 증명한다(도 6).
실시예 7
유기 오염물의 제거에 대한 소독 용액의 효능
손 소독제 및 세정 용액의 피부로부터 얼룩 및 오염을 제거하는 능력을 증명하기 위하여, 제품 및 용액의 패널을 퍼머넌트 잉크의 얼룩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손가락에 퍼머넌트 블루 잉크(실험실 사용을 위한 LyrecoTM 퍼머넌트 마커)의 선으로 표시하였다. 잉크는 펜으로 적용하였고, 약 5분 동안 공기 건조되도록 두었다. 그 다음, 손가락을 다양한 소독 용액으로 약 6-8초 동안 세정하여, 일상 생활에서 손 소독제에 대한 일반 적용 시간을 모방하였다. 소독제를 종이 티슈로 완전히 닦아내고, 손가락을 아이폰 엑스(iPhone X)로 일광하에 자동 노출 조절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남은 얼룩의 강도를 시험된 용액의 세정 효능에 대하여 역 비쥬얼 게이지인 것으로 간주한다. 손가락 A)는 오직 물로만 세정하였다. 손가락 B)는 따뜻한 물과 비누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C)는 0.2% 클로르헥시딘으로 세정하고, 손가락 D)는 파이리스페트TM(0.1%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로 헹구었다. 손가락 E)는 안티박 파르마TM(에탄올 및 프로판-2-올을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로 세정하고, 손가락 F)는 표백제(4% 차아염소산나트륨)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G) 및 H)는 과산화수소(각각 물 중의 1% 및 5%)로 헹구었다. 손가락 I)는 물 중의 플루론산 f-127 용액(5% w/v)으로 세정하였다. 손가락 J)는 플루론산(5% w/v) 및 과산화수소(1% v/v)의 혼합물로 소독하였다. 결과는 표백제 및 과산화수소가 퍼머넌트 잉크 얼룩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놀랍게도 대부분의 효과적인 얼룩 제거는 플루론산과 약한 과산화수소의 조합에 의해 수득된다(도 7).
실시예 8
피부 소독을 위한 적용, 2개 챔버 디스펜서 병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오염물 및 먼지와 함께 피부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500 ml 디스펜서 병은 2개의 챔버로 나뉘고, 하나는 물 중의 10% w/v의 f-127 플루론산 400 밀리리터를 함유하고, 하나의 챔버는 물 중의 25% v/v의 과산화수소 100 밀리리터를 함유한다. 2개의 입구를 가진 펌프는 혼합 및 적용을 위하여 두 챔버로부터 액체를 디스펜서 팁으로 펌핑한다. 혼합된 용액을 임의의 다른 소독제들처럼 손 위에 고르게 분배하고, 몇초 동안 작용하도록 둔 다음, 흐르는 수돗물로 헹군다. 액체 그 자체가 또한 세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임의의 비누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깨끗한 손을 종이 수건으로 건조시키거나 공기 건조시킨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또는 영향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실시예 9
피부 소독을 위한 적용, 에멀젼이 있는 디스펜서 병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오염물 및 먼지와 함께 피부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500 ml 디스펜서 병은 2개의 동일한 부분에 2상 에멀젼을 함유한다. 에멀젼의 하나의 부분은 유성 현탁액 중의 f-127 플루론산(10% w/v)을 함유한다. 좋은 냄새를 위하여 에테르성 오일 또는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다른 상은 과산화수소(10% v/v)를 갖는 수용액을 함유한다. 적용 전에, 병을 힘차게 흔들고, 디스펜서 팁이 있는 펌프를 사용하여 에멀젼 혼합물을 손에 적용한다. 에멀젼을 임의의 다른 소독제들처럼 손 위에 고르게 분배하고, 몇초 동안 작용하도록 둔 다음, 흐르는 수돗물로 헹구거나 단순히 공기 건조되도록 둔다. 액체 그 자체가 또한 세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임의의 비누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남은 오일은 피부를 건조로부터 보호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실시예 10
피부 소독을 위한 적용, 블리스터-인 블리스터 팩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오염물 및 먼지와 함께 피부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1 ml 블리스터 팩은 또 다른 5 ml 블리스터 팩 내부에 담겨져 있다. 내부 블리스터 팩은 과산화수소(25% v/v)를 함유하고, 외부 블리스터 팩은 향수 중에 3 ml f-127 플루론산(10% w/v) 및 제1 블리스터 팩을 함유한다. 필요할 때, 손 힘을 적용하여 내부 블리스터 팩을 파열시킨 다음, 외부 팩을 짜서 혼합한다. 혼합 후, 외부 블리스터 팩을 개봉하고, 내용물을 임의의 다른 소독제들처럼 손 위에 고르게 분배하고, 몇초 동안 작용하도록 둔 다음, 흐르는 수돗물로 헹군다. 액체 그 자체가 또한 세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임의의 비누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깨끗한 손을 종이 수건으로 건조시키거나 공기 건조시킨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또는 영향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실시예 11
피부 소독을 위한 적용, 습윤 와이프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오염물 및 먼지와 함께 피부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1 ml 블리스터 팩은 또 다른 5 ml 블리스터 팩 내부에 담겨져 있다. 내부 블리스터 팩은 과산화수소(25% v/v)를 함유하고, 외부 블리스터 팩은 향수 중의 3 ml f-127 플루론산(10% w/v), 접혀진 종이 티슈 및 제1 블리스터 팩을 함유한다. 필요할 때, 손 힘을 적용하여 내부 블리스터 팩을 파열시킨 다음, 팩을 짜서 혼합한다. 혼합 후, 외부 블리스터 팩을 개봉하고, 이제 과산화물-플루로닉 혼합물로 활성화된 접혀진 종이 티슈로 먼지, 미생물 및 바이러스 오염물 없이 피부, 손 또는 오염된 표면을 닦아낸다. 액체 그 자체가 또한 세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임의의 비누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깨끗한 손, 피부 또는 표면을 공기 건조되도록 둔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또는 피부에 대한 해로움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실시예 12
구강 소독을 위한 구강 린스, 에멀젼이 있는 디스펜서 병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미생물, 오염물 및 점액과 함께 구강 및 목으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1000 ml 디스펜서 병은 2개의 챔버로 나뉘고, 하나는 플루오르화나트륨을 갖는 식염수 중의 5% w/v f-127 플루론산 800 밀리리터 및 맛 및 향 개질제를 함유하고, 하나의 챔버는 물 중의 16% v/v의 과산화수소 200 밀리리터를 함유한다. 2개의 입구를 가진 펌프를 사용하여 혼합 및 적용을 위하여 액체를 두 챔버로부터 디스펜서 팁으로 펌핑한다. 혼합된 용액 10 밀리리터를 사용하여 입과 목을 약 1분 동안 헹군 다음, 개수대에 뱉어낸다. 액체 그 자체가 인간에게 해롭지 않기 때문에 양치질을 하거나 물로 헹굴 필요가 없지만, 그렇게 하는 것이 해롭지는 않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또는 건강적 영향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구강 세정제는 또한 예방적으로나 수술 후 감염 조절 및 치주 또는 임플란트 관련 절차 후 유지 치료를 위하여 모두 구강 감염 치주염 및 임플란트 주위염 및 충치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재감염을 피하기 위하여 칫솔 및 구강내 장치(의치, 코골이 방지 장치, 치과교정 장치 등)를 세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3
코/부비강 린스
코 및 부비강 린스 적용, 어플리케이터가 있는 일회용 병
본원에 기재된 2 성분 플루로닉-과산화물 용액은 바이러스 오염에 가능한 노출 후, 손 소독을 위한 것이 의도된다. 바이러스는 유전 정보를 보호하고 전달하기 위한 단백질 외피에 싸여진 유전자 코드(RNA 또는 DNA)이다. 대부분의 소독제는 오직 단백질 외피만 공격(변성 또는 고정)하고, 따라서 바이러스는 더이상 매우 전염성이지 않게 되지만, 이는 바이러스 그 자체를 제거하지 않거나 바이러스 게놈을 공격하지 않는다. 과산화물과 플루로닉의 조합은 둘다 한다. 과산화물은 단백질 및 RNA 및 DNA를 모두 분해하고, 플루로닉은 또한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유기 물질을 이의 미셀 구조 내로 용해시키고, 다른 오염물 및 점액과 함께 비강 및 부비강으로부터 바이러스 입자를 완전히 파괴하고 제거한다.
과산화수소(식염수 중의 5% v/v) 5 밀리리터를 식염수 중의 1,25% w/v의 f-127 플루론산 200 밀리리터를 함유한 코 어플리케이터 탑이 있는 250 ml 일회용 연질(짤 수 있는) 병에 가하고, 힘차게 흔들어 혼합한다. 헤드를 개수대에 놓은 다음, 혼합물이 담긴 병을 하나의 콧구멍에 위치시키고 유체가 다른 콧구멍으로 나와서 아래 개수대로 갈 때까지 조심스럽게 짠다. 병이 빌 때까지 절차를 반복한다. 적용이 완료된 후 코를 푼다. 액체 그 자체가 인간에게 해롭지 않기 때문에 적용 후 헹굴 필요는 없다. 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특별한 예방책 또는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헹군 후에 용액은 완전히 무해하고, 환경 발자국 또는 건강적 영향 없이 물, 산소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될 것이다. 코/부비강 린스는 또한 코 감염 또는 급성 및 만성 부비강염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용액은 또한 예방적으로나 이비인후과 절차 후 수술 후 감염 조절을 위해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3)
- (a) 3.0 - 7.0% v/v의 최종 농도의 H2O2, 및
(b) 0.1 - 10.0% w/v의 농도의 플록사머
로 이루어지는 항균성 및/또는 항바이러스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플록사머가 1.0 - 5.0% w/v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플록사머가 최대 5.0% w/v의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복합 하이드로겔 제제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록사머가 플록사머의 혼합물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플루론산(pluronic acid), 플루로닉(Pluronic)® F-127 및 플록사머 4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의 H2O2가 3.0% v/v의 최종 농도를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가 1:1 비로 제공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및/또는 생리 식염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H2O2, 및
(b) 플록사머
가 사용할 때까지 서로 분리되어 유지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생체활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1항에 있어서, 생체활성 물질이 EMD, 펩타이드, 약물, 플루오라이드와 같은 생체활성 이온, 소분자, 방사성 분자, 항균성 분자 및 방사선 비투과 분자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항균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실온에서 적어도 1년의 저장 수명을 갖는 것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표면 및/또는 생체 적합 재료 표면을 소독, 멸균, 살균 및/또는 오염 제거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대상체의 피부 및/또는 점막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생물로부터 대상체의 피부 및/또는 점막을 세정하는 방법.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리보비리아(Riboviri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 칼리시바이러스과(Caliciviridae) 또는 레오바이러스과(Reoviridae)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오르토코로나바이러스아과(Orthocoronavirinae)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로타바이러스(Rotavirus),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형, B형, C형 또는 D형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Sars-Cov-2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손 세정제, 구강 세정제, 코 세정액, 부비강 세정액, 또는 피부 세정액에 도입되는 것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164065.3 | 2020-03-18 | ||
EP20164065.3A EP3881901A1 (en) | 2020-03-18 | 2020-03-18 | Improved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anitizing and/or disinfecting |
US202016840921A | 2020-04-06 | 2020-04-06 | |
US16/840,921 | 2020-04-06 | ||
PCT/EP2021/057024 WO2021186000A1 (en) | 2020-03-18 | 2021-03-18 | Improved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anitizing and/or disinfect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6463A true KR20230006463A (ko) | 2023-01-10 |
Family
ID=7488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5200A Pending KR20230006463A (ko) | 2020-03-18 | 2021-03-18 | 세정, 소독 및/또는 살균을 위한 개선된 액체 조성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JP (1) | JP2023518701A (ko) |
KR (1) | KR20230006463A (ko) |
CN (1) | CN115605269A (ko) |
AU (1) | AU2021238760A1 (ko) |
BR (1) | BR112022018324A2 (ko) |
CA (1) | CA3170947A1 (ko) |
WO (1) | WO202118600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3224B1 (ko) | 2023-05-19 | 2023-12-12 | 국방과학연구소 |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52210A (en) * | 1972-08-11 | 1974-12-03 | Flow Pharma Inc | Stable liquid detergent concentrates containing active oxygen |
WO1997026855A1 (en) * | 1996-01-24 | 1997-07-31 | Warner-Lambert Company | Peroxide/essential oils containing mouthwash compositions and two-part mouthwash systems |
US20060171907A1 (en) * | 1996-11-21 | 2006-08-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Oral care compositions providing enhanced whitening and stain prevention |
US6254857B1 (en) * | 2000-05-24 | 2001-07-03 | Colgate-Palmolive Company | Effervescent whitening dentifrice having oxygen-derived sensory signal |
MY128134A (en) * | 2000-09-28 | 2007-01-31 | Novartis Ag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WO2005030172A1 (en) * | 2003-09-24 | 2005-04-0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And Methods | Antimicrobial nanoemulsion compositions and methods |
CA2533950C (en) * | 2005-01-28 | 2013-10-22 | B. Braun Medical Ag | Virucidal disinfectant |
US20060198797A1 (en) * | 2005-11-07 | 2006-09-07 | Giniger Martin S | Stand-alone or enhancer composition for oral care |
WO2007066837A1 (en) * | 2005-12-06 | 2007-06-14 |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 Delivery system for tooth whitening component using in situ gelling |
US20100179368A1 (en) * | 2008-11-07 | 2010-07-15 | Aries Associates, Inc. | Novel Chemistries, Solutions, and Dispersal Systems for Decontamin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Systems |
US20120039821A1 (en) * | 2010-08-13 | 2012-02-16 | Robell Research, Inc. | Dental Activating Gel |
AU2012397231B2 (en) * | 2012-12-21 | 2015-10-22 | Colgate-Palmolive Company | Controlled delivery whitening compositions |
PL3043769T3 (pl) * | 2013-09-11 | 2023-10-23 | Aim Targeted Therapies, Inc. | Hipertoniczne, terapeutyczne kompozycje przeciwdrobnoustrojowe |
CN105828885B (zh) * | 2013-12-20 | 2018-10-12 | 高露洁-棕榄公司 | 口腔护理组合物和方法 |
TR201617080A2 (tr) * | 2016-11-23 | 2018-06-21 | Univ Yeditepe | Haşere uzaklaştirici anti̇mi̇krobi̇yal bi̇r kompozi̇syon |
-
2021
- 2021-03-18 CA CA3170947A patent/CA3170947A1/en active Pending
- 2021-03-18 BR BR112022018324A patent/BR112022018324A2/pt unknown
- 2021-03-18 CN CN202180033519.8A patent/CN115605269A/zh active Pending
- 2021-03-18 WO PCT/EP2021/057024 patent/WO202118600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3-18 AU AU2021238760A patent/AU2021238760A1/en active Pending
- 2021-03-18 KR KR1020227035200A patent/KR20230006463A/ko active Pending
- 2021-03-18 JP JP2022554494A patent/JP2023518701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3224B1 (ko) | 2023-05-19 | 2023-12-12 | 국방과학연구소 | 생물학 작용제의 제독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170947A1 (en) | 2021-09-23 |
BR112022018324A2 (pt) | 2022-11-22 |
JP2023518701A (ja) | 2023-05-08 |
WO2021186000A1 (en) | 2021-09-23 |
CN115605269A (zh) | 2023-01-13 |
AU2021238760A1 (en) | 2022-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86557B2 (ja) | バクテリア混入を防止するための半固体組成物 | |
CA2606734A1 (en) | Method of using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in dental applications | |
Brookes et al. | Antimicrobial Mouthwashes: An Overview of Mechanisms—What Do We Still Need to Know? | |
US20250057878A1 (en) | Multi-Functional Cleaning and/or Debridement Composition | |
JP2022506384A (ja) | 一過性バイオフィルム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
KR20230006463A (ko) | 세정, 소독 및/또는 살균을 위한 개선된 액체 조성물 | |
US20230020320A1 (en) |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anitizing and/or Disinfecting | |
Kudiyirickal et al. | Antimicrobial agents used in endodontic treatment | |
ABUELQOMSAN | A Review of Root Canal Irrigants-Their Indications, Uses and Interactions. | |
KR20020066060A (ko) | 칫솔의 살균을 위한 살균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칫솔의 살균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0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