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315A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Google Patents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6315A KR20230006315A KR1020210087373A KR20210087373A KR20230006315A KR 20230006315 A KR20230006315 A KR 20230006315A KR 1020210087373 A KR1020210087373 A KR 1020210087373A KR 20210087373 A KR20210087373 A KR 20210087373A KR 20230006315 A KR20230006315 A KR 20230006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lant fixture
- inducer
- body portion
- implant
- cavit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11164 oss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2188 oste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02000007350 Bone Morphogenetic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08010007726 Bone Morphogenetic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112869 bone morphogenetic prote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AEMRFAOFKBGASW-UHFFFAOYSA-N Glycolic acid Chemical compound OCC(O)=O AEMRFAOFKBGAS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883 osseointe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10392 Bone Fracture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6389 Peri-Impla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2—Details of the shape consisting of two h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B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6—Coat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는, 골조직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소정의 거칠기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령화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영구치가 손상되는 경우, 인공치아를 턱뼈에 매식하게 된다. 여러 요인에 의해서 영구치가 손상되어 손상된 영구치를 발치한 경우, 그 자리에 영구치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아를 매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턱뼈에 매식된 임플란트 픽스처에 보철용 임플란트 구성물을 체결하고, 임플란트에 인공치아를 결합함으로써 인공치아의 매식이 완료된다. 인공치아를 매식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임플란트는 픽스처, 어뷰트먼트 및 스크류로 구성되는데 픽스처는 턱뼈에 삽입되어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픽스처의 상부에 인공치아가 고정되는 어뷰트먼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스크류가 어뷰트먼트와 연결되어 픽스처에 체결되도록 하여 어뷰트먼트를 픽스처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픽스처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픽스처가 턱뼈에 체결된다.
그러나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경우, 나사산을 따라 임플란트 픽스처가 잇몸으로부터 결합된 상태가 헐거워지게 되고, 임플란트 픽스처의 일부가 해체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틈새가 생기면서 임플란트 픽스처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이 골조직의 일부에 집중되면서 파손되면서 임플란트 픽스처가 골조직으로부터 탈착된다.
또한, 종래에는 단순히 임플란트의 형태와 표면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골유착을 도모하였으나, 현재 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스템은 임플란트의 식립 후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기 쉬우며, 임플란트의 표면적이 적어 골유착 생존율이 적은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교합력이 가해지면서 임플란트 자체의 파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임플란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픽스처의 표면적을 향상시켜 골유착 성공율을 높이고,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임플란트 주위염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2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표면의 표면적을 넓혀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어 안정성 및 골유착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는, 골조직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소정의 거칠기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연조직과의 접합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 대비 매끄러운 표면 특성을 가지는 가공면(machined surfac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공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 구간에 대응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픽스처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외표면 특성이 상호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제1유형 유도인자이고, 상기 제2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제1유형 유도인자와 상이한 제2유형 유도인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형 유도인자는 PLGA(Poly Lactic-co Glycol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형 유도인자는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공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픽스처의 식립 후, 상기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동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에는, 상기 공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부의 내측 표면에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외표면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에는 딤플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복수의 요홈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외표면의 표면적을 넓혀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어 안정성 및 골유착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몸체부 하부에 상측으로 함몰된 공동부를 구비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후 골조직의 일부가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파절을 방지하고, 임플란트의 고정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의 위치 및 간격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의 위치 및 간격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10)(이하, '임플란트 픽스처(10)'라 한다.)는 골조직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몸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외표면은 몸체부(100)의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소정의 거칠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상단부에는 연조직과의 접합성이 향상되도록 몸체부(100)의 외표면 대비 매끄러운 표면 특성을 가지는 가공면(machined surface, 130)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개시하는 임플란트 픽스처(10)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영역의 연조직(Gum Tissue)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연조직 부위와의 접합성이 향상되도록 상단부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가공면(1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되, 가공면(130)의 하측에 해당하는 몸체부(100)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영역의 골조직(Bone)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가공면(130) 대비 거친 표면(Rough surfac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몸체부(100)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깊이 구간을 경계로 제1몸체부(110) 및 제2몸체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110)는 가공면(1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 구간에 대응하고,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 해당하는 임플란트 픽스처(10)의 하단부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120)의 외표면 특성은 상호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1몸체부(110)는 핀 타입으로 구비되고, 상대적으로 하측 영역에 해당하는 제2몸체부(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Screw) 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임플란트 픽스처(10)가 식립되는 부위의 연조직 및 골조직의 경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상부의 제1몸체부(110)의 형상을 복수의 날개 부재를 포함하는 핀타입으로 마련하고, 복수의 날개 부재가 하측의 제2몸체부(120)를 이루는 재질 대비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처(10)의 파절 위험성이 저감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제1몸체부(110)의 강도가 제2몸체부(120)의 강도 대비 높게 설정됨으로써 임플란트 픽스처(10)의 파절 위험성이 저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0)의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몸체부(110)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는 제1유형 유도인자일 수 있다. 이와 구분하여, 제2몸체부(120)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는 제1몸체부(110)의 제1유형 유도인자와 상이한 제2유형 유도인자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형 유도인자는 PLGA(Poly Lactic-co Glycolic Ac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형 유도인자는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개발된 임플란트 픽스처 구조 중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 등의 골유착 유도물질을 외표면에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유형의 픽스처 구조가 일부 개시된바 있으나, 이렇게 픽스처의 외표면에 골형성(골유착) 유도물질을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타입의 경우, 임플란트 픽스처의 식립 후의 안정적인 골유착을 위하여는 비교적 장기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외표면에 전체적으로 제공된 골형성 유도물질이 임플란트의 식립 직후 초기 시점에 골조직 측으로 대부분이 흡수됨에 따라 골형성 유도물질에 의해 골유착이 촉진되는 효과가 실질적으로 달성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비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임플란트 픽스처(10)는 몸체부(100)의 외표면에 골형성 유도인자를 제공하되, 외표면의 일부 영역에 상호 간격을 두고 국소적으로 골형성 유도인자가 배치되도록 하여 비교적 장기간 동안 서서히 골조직으로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방출)되도록 하여 골유착이 장기간에 걸쳐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의 위치 및 간격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골형성 유도인자는 몸체부(100)의 외표면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 타입으로 구비되는 제2몸체부(120)의 경우, 나사산을 형성하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과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 영역에 대응하여 각각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는 영역 간의 배치 형태 및 간격 설정이 상이하게 적용됨으로써 골조직 측으로의 골형성 유도인자의 적정한 서방출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2몸체부(120)의 함몰 영역에 배치된 골형성 유도인자(121a)의 이격 간격은 Da로 주어지고, 돌출 영역에 배치된 골형성 유도인자(121b)의 이격 간격은 Db로 주어지는 것을 가정할 때, Da가 Db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함몰 영역에 배치되는 골형성 유도인자(121a)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치우친 영역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치우친 영역에 제2몸체부(120)의 외주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제공(배치)됨으로써, 골조직에 대하여 골형성 유도인자가 보다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00)의 외표면에는 딤플(Dimple)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골형성 유도인자는 복수의 요홈부(미도시)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임플란트 픽스처(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공동부(220) 및 공동부(220)와 몸체부(100)의 외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23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공동부(220)는 몸체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임플란트 픽스처(10)의 식립 후,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부(2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공동부(220)는 몸체부(100)의 하측에서 몸체부(100)의 하측 내부 즉, 몸체부(100) 하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가 골조직에 대하여 식립되고 나면,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부(220) 내측으로 들어와 자리잡고, 경화됨으로써, 몸체부(100)가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 픽스처(10)의 고정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부(220)의 내측 표면에 몸체부(100)의 외표면과 마찬가지로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부(220)의 내측 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의 경우, 임플란트 픽스처(10)의 식립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공동부(22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 인입되는 골조직 측으로 제공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골형성 유도인자에 의한 골유착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촉진하는 측면에서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부(220)의 내측 표면에 제공되는 골형성 유도인자의 경우, 공동부(220)의 내부로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하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됨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픽스처(10)의 식립 후 즉각적으로 골조직과 접합하는 몸체부(100)의 외표면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면적 비율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부(220)의 내측 표면에 골형성 유도인자를 제공하도록 딤플(Dimple)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부(미도시)의 규격(직경 등)이 몸체부(10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부(미도시) 대비 크게 설정되거나,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는 복수의 위치 간의 이격 간격이 몸체부(100)의 외표면 대비 작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처(10)는 공동부(220)가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며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가 식립될 시,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공동부(220) 내측으로 들어와 경화됨으로써 몸체부(100)의 고정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전술한 테이퍼 형상으로 인하여, 몸체부(100)가 식립 부위로부터 인발되는 것이 보다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처(10)에는 공동부(220)와 몸체부(100)의 외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2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홀(230)이 형성되는 타입의 임플란트 픽스처(10)의 경우, 공동부(220)의 내측 표면에 제공된 골형성 유도인자가 임플란트 픽스처(10)의 식립 후 관통 홀(230)을 통과하여 몸체부(100)의 외표면의 외측에 배치된 골조직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장기간에 걸쳐 골형성 유도인자에 의한 골유착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고정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촉진하는 측면에서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동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픽스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처(10)는,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공동부(220b)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가 식립 부위에 삽입될 시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복수의 공동부(220b) 내측으로 들어와 자리잡게 되어, 보다 향상된 몸체부(100)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100: 몸체부
110: 제1몸체부
111: 제1유형 유도인자
120: 제2몸체부
121: 제2유형 유도인자
130: 가공면
220: 공동부
230: 관통 홀
100: 몸체부
110: 제1몸체부
111: 제1유형 유도인자
120: 제2몸체부
121: 제2유형 유도인자
130: 가공면
220: 공동부
230: 관통 홀
Claims (10)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에 있어서,
골조직에 식립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골조직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소정의 거칠기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연조직과의 접합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 대비 매끄러운 표면 특성을 가지는 가공면(machined surface)이 형성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가공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미리 설정된 깊이 구간에 대응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픽스처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제2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외표면 특성이 상호 구분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제1유형 유도인자이고,
상기 제2몸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제1유형 유도인자와 상이한 제2유형 유도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형 유도인자는 PLGA(Poly Lactic-co Glycolic Ac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형 유도인자는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공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픽스처의 식립 후, 상기 골조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동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이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의 내측 표면에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픽스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외표면에서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표면에는 딤플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골형성 유도인자는, 상기 복수의 요홈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인, 임플란트 픽스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373A KR102601376B1 (ko) | 2021-07-02 | 2021-07-02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EP22833482.7A EP4364691A1 (en) | 2021-07-02 | 2022-06-21 | Implant fixture for reducing periodontitis |
CN202280046510.5A CN117580544A (zh) | 2021-07-02 | 2022-06-21 | 用于减少牙周炎的种植牙固定装置 |
PCT/KR2022/008749 WO2023277426A1 (ko) | 2021-07-02 | 2022-06-21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373A KR102601376B1 (ko) | 2021-07-02 | 2021-07-02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6315A true KR20230006315A (ko) | 2023-01-10 |
KR102601376B1 KR102601376B1 (ko) | 2023-11-13 |
Family
ID=8469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373A KR102601376B1 (ko) | 2021-07-02 | 2021-07-02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364691A1 (ko) |
KR (1) | KR102601376B1 (ko) |
CN (1) | CN117580544A (ko) |
WO (1) | WO2023277426A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2517B1 (en) * | 1999-07-05 | 2002-06-11 |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 Artificial tooth root with anti-adherence of sordes and various germs, with acid resistance and its preparation method |
KR100414885B1 (ko) * | 2000-12-09 | 2004-01-24 | 주식회사 워랜텍 |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
KR200392306Y1 (ko) * | 2005-05-27 | 2005-08-19 | 주식회사 오스템 | 3차원기공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
KR100983919B1 (ko) * | 2008-07-07 | 2010-09-28 | 제로켐 주식회사 | 의료용 임플란트 |
KR101325246B1 (ko) * | 2010-06-25 | 2013-11-04 | 박경수 | 향상된 생체적합성을 갖는 임플란트 |
KR20150000670A (ko) * | 2013-06-25 | 2015-01-05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표면에 생리활성 물질이 고정된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임플란트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134B1 (ko) | 2011-07-11 | 2012-03-16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US20170049537A1 (en) * | 2014-04-30 | 2017-02-23 | Jung Tae Lee | Surface-modified hybrid surface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21
- 2021-07-02 KR KR1020210087373A patent/KR1026013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6-21 EP EP22833482.7A patent/EP4364691A1/en active Pending
- 2022-06-21 WO PCT/KR2022/008749 patent/WO202327742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6-21 CN CN202280046510.5A patent/CN117580544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02517B1 (en) * | 1999-07-05 | 2002-06-11 |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 Artificial tooth root with anti-adherence of sordes and various germs, with acid resistance and its preparation method |
KR100414885B1 (ko) * | 2000-12-09 | 2004-01-24 | 주식회사 워랜텍 |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
KR200392306Y1 (ko) * | 2005-05-27 | 2005-08-19 | 주식회사 오스템 | 3차원기공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
KR100983919B1 (ko) * | 2008-07-07 | 2010-09-28 | 제로켐 주식회사 | 의료용 임플란트 |
KR101325246B1 (ko) * | 2010-06-25 | 2013-11-04 | 박경수 | 향상된 생체적합성을 갖는 임플란트 |
KR20150000670A (ko) * | 2013-06-25 | 2015-01-05 |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 표면에 생리활성 물질이 고정된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임플란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1376B1 (ko) | 2023-11-13 |
CN117580544A (zh) | 2024-02-20 |
WO2023277426A1 (ko) | 2023-01-05 |
EP4364691A1 (en) | 2024-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8654B1 (ko) |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60216673A1 (en) | Dental implant | |
KR20050042220A (ko) | 개량된 인상 제작용 컴포넌트 | |
SE9400448L (sv) | Distansorgan för tandimplantat | |
KR20190136480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965332B1 (ko) |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 |
KR20060130494A (ko) | 인공치아 이식용 의치받침대 | |
KR101090203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 |
JP2017500957A (ja) | 歯科用インプラント | |
KR102601376B1 (ko) | 치주염 저감을 위한 임플란트 픽스처 | |
JPS62299259A (ja) | 義歯床取付け構造体及び方法 | |
KR20040024622A (ko) |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 |
CN110547886A (zh) | 牙科植入物 | |
KR102353975B1 (ko) |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
KR102233682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 |
KR100540447B1 (ko) |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 |
KR101740181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200286982Y1 (ko) | 인공치아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 |
KR200327000Y1 (ko) |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하는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시스템 | |
KR102620163B1 (ko) | 하중 분산력과 보철물 결합력이 향상된 임플란트용 지지 포스트 분리형 어버트먼트 | |
KR102636643B1 (ko) | 치과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물 | |
KR102660106B1 (ko) | 치아수복물 세트 | |
EP3424460B1 (en) | Implant abutment | |
KR101972980B1 (ko) | 앵커용 오목 플랜지를 갖는 임플란트 고정체 | |
KR20030068927A (ko) | 인공치아 시스템의 인공치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