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291A -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 Google Patents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291A
KR20230006291A KR1020210087320A KR20210087320A KR20230006291A KR 20230006291 A KR20230006291 A KR 20230006291A KR 1020210087320 A KR1020210087320 A KR 1020210087320A KR 20210087320 A KR20210087320 A KR 20210087320A KR 20230006291 A KR20230006291 A KR 2023000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rotor
primary
power plant
nucl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4181B1 (en
Inventor
조현준
강한옥
김영인
유승엽
한훈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8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81B1/en
Publication of KR2023000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023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with heating tubes, for nuclear reactors as far as they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a specified heating fluid, in another group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32Integral reactors, i.e. reactors wherein parts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but not essential to the reaction, e.g. heat exchangers, are disposed inside the enclosure with the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 heat exchange, which continuously cools the reactor core eve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clear power plant comprises: a reactor vessel containing a reactor core and a first fluid cooling the reactor core; a heat exchanger into which the first fluid and intermediate fluid are introduced and which exchanges heat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to cool the first flui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steam generator into which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re introduced and which exchanges heat between the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to heat the second fluid to generate steam; and an intermediate pressurizer pressurizing the intermediate flui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fluid i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fluid.

Description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본 발명은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 원자로의 열을 냉각하고 증기를 발생시키는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invention for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for cooling the heat of a nuclear reactor and generating steam.

가압경수로의 일차계통과 이차계통 사이에 위치하는 증기발생기는 주기적인 가동중검사(in-service inspection, ISI)를 거친다. 주기적으로 노심에 대해 가동중검사를 수행하는 것은 노심을 통과함에 따라 방사능을 포함하는 일차계통 냉각수가 이차계통으로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의 건전성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함이다.Steam generators located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undergo periodic in-service inspections (ISI). The periodic operation inspection of the core is to periodically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steam generator heat pipes in order to fundamentally block leakage of primary system cooling water containing radioactivity into the secondary system as it passes through the core. .

한편, 최근 새롭게 개발되는 소형 모듈형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의 경우, 통상적인 상업용 가압경수로에 사용되는 대형 증기발생기를 대t신하여 일체형 원자로 용기 내부에 증기발생기가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필요한 열전달량을 달성하기 위해 증기발생기는 주로 관류형 증기발생기(once-through steam generator)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또한, 관류형 증기발생기보다 상대적으로 열교환 효율이 높은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증기발생기로 응용하는 연구 사례도 존재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recently newly developed small modular reactor (SMR), a steam generator may be located inside an integrated reactor vessel instead of a large steam generator used in a typical commercial pressurized water reactor. In order to achieve the required amount of heat transfer in such a relatively small space, the steam generator has a form such as a once-through steam generator. In addition, there are also research cases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which has a relatively higher heat exchange efficiency than a once-through type steam generator, is applied as a steam generator.

하지만,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는 미세하고 복잡한 유로 형상으로 인해 기존 증기발생기에서 수행하는 방식과 같은 가동중검사가 불가능하고, 그로 인해 일차계통 유로와 이차계통 유로 사이에 감시유로를 배치하여 누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등의 대안이 거론된다. 이 때, 감시유로는 열전달 효율이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차계통 유로와 이차계통 유로 사이 전체 면적에 배치되지 못하고, 격자 형태와 같이 배열된다. 그로 인해 감시유로가 없는 부분을 따라 일차계통 유로와 이차계통 유로 사이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어려워 일차계통 냉각수가 이차계통으로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due to the fine and complicated flow path shap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ype heat exchanger,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n in-service inspection like the method performed in existing steam generators. Therefore, a monitoring flow path is placed between the primary system flow path and the secondary system flow path to check leakage in real time. Alternatives to surveillance are discussed. At this time, the monitoring flow path is not disposed over the entire area between the primary system flow path and the secondary system flow path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deterioration of heat transfer efficiency, but is arranged in a lattice form. As a result, when a crack occurs between the primary system passage and the secondary system passage along a portion where there is no monitoring passag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crack,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primary system cooling water leaks into the secondary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450호 (2017.11.0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96450 (2017.11.06.) 일본 등록특허 제6236437호 (2017.11.02)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6236437 (2017.11.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노심의 열을 냉각하기 위한 일차계통 냉각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nvented against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primary system cooling water for cooling core hea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심 및 상기 노심을 냉각시키는 제1 유체가 수용된 원자로 용기; 상기 제1 유체 및 중간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중간유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유체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제2 유체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상기 중간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 유체와 상기 중간유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제2 유체가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 및 상기 중간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중간유체를 가압하는 중간 가압기를 포함하는, 원전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ctor vessel containing a core and a first fluid for cooling the core; a heat exchanger into which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re introduced and which cools the first flui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 steam generator into which the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re introduced, and the second fluid is heated to generate steam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nd a nuclear power plant may be provided including an intermediate pressurizer for pressurizing the intermediate flui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fluid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flu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심을 냉각하기 위한 일차계통과 증기를 발생시키는 이차계통 사이에 중간계통을 형성하고, 중간계통의 압력을 일차계통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함으로써, 일차계통과 중간계통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에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일차계통 냉각수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termediate system between a primary system for cooling the core and a secondary system for generating steam, and sets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system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primary system, thereby connecting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Even if a crack occurs in a heat exchanger disposed between system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contained in the primary system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in advance.

또한, 중간계통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로터를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로터와 연결함으로써, 정상운전 시, 원자로 냉각재 펌프에 의해 일차계통과 중간계통의 냉각수를 모두 순환시킬 수 있으며, 원자로 사고 시,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동작이 중지되더라도 별도로 구비된 중간게통 냉각수 순환펌프에 의해 중간계통의 냉각수가 순환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일차계통의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어 사고 시에도 노심을 지속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rotor that circulates the intermediate system coolant to the rotor of the reactor coolant pump, both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coolant can be circulated by the reactor coolant pump during normal operation, and in the event of a nuclear reactor accident, the reactor coolant pump Even if the operation is stopped, the cooling water of the primary system can be circulated by using the power that the cooling water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circulated by the separately provided intermediate system cooling water circulation pump, so that the reactor core can be continuously cooled eve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에 이용되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에서 중간계통에 이용된 열교환기가 원자로 용기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의 일차계통 및 중간계통에서 공통으로 펌프를 이용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의 일차계통 및 중간계통에서 공통으로 펌프를 이용하는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에서 중간계통에 별도의 펌프가 설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ted board type heat exchanger used in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heat exchanger used in an intermediate system in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reactor vessel.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sing a pump in common in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using a pump in common in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 separate pump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n intermediate system in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ing', 'supporting', 'connecting', 'supplying', 'transferring', or 'contacting'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upported by,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계통을 이용한 원전(10)은 노심(100), 제1 고온배관(110), 제1 저온배관(120), 증기발생기(200), 제2 고온배관(210), 제2 저온배관(220), 열교환기(300), 제3 고온배관(310), 제3 저온배관(320), 제1 펌프(400) 및 제2 펌프(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shown in Figures 1 to 6, a nuclear power plant 10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uclear power plant 10 using an intermedi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100, a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a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a steam generator 200, and a second high-temperature pipe 210 ), the second low temperature pipe 220, the heat exchanger 300, the third high temperature pipe 310, the third low temperature pipe 320, the first pump 400 and the second pump 500.

노심(100)은 원자로의 핵연료를 포함하고, 핵분열을 통해 열을 생산한다. 이러한 노심(100)은 핵분열 시 생성된 중성자의 감속 및 흡수, 핵분열 생성물을 처리한다. 노심(100) 내에는 핵연료와 제어봉이 배치되고, 중성자 감속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노심(100) 내에 핵분열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는 일차계통과 연결된다. 일차계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노심(100)과 열교환기(300)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순환구조이다.The core 100 contains nuclear fuel of a nuclear reactor and produces heat through nuclear fission. The core 100 decelerates and absorbs neutrons generated during nuclear fission, and processes fission products. Nuclear fuel and control rods are disposed in the core 100, and a neutron moderato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heat generated by nuclear fission in the core 100, it is connected to a primary system through which cooling water can circulate. The primary system is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cooling water circulates between the core 100 and the heat exchanger 3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고온배관(110)은 노심(100)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배관이다. 제1 고온배관(110)의 일단은 노심(100)에 연결되고, 제1 고온배관(110)의 타단은 열교환기(300)에 연결된다.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is a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heated in the core 100 is moved. One end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core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300.

제1 저온배관(120)은 열교환기(300)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노심(100)으로 이동되는 배관이다. 제1 저온배관(120)의 일단은 열교환기(300)에 연결되고, 제1 저온배관(120)의 타단은 노심(100)에 연결된다.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is a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cooled in the heat exchanger 300 is moved to the core 100 . One end of 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core 100.

상기와 같은, 일차계통은, 노심(100), 제1 고온배관(110), 열교환기(300), 제1 저온배관(120)을 거쳐 다시 노심(100)으로 순환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일차계통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제1 유체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imary system has a structure in which it circulates through the core 100, 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the heat exchanger 300, and 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and back to the core 100.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primary system may be the first fluid.

증기발생기(200)에서는 급수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며, 이 과정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증기발생기(20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포화증기(saturated steam) 또는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일 수 있다. 증기발생기(200)에서 발생된 증기는 전력을 생산하도록 별도로 배치된 터빈을 가동시킬 수 있다.In the steam generator 200, water is heated to generate steam, and in this process, heat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team.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saturated steam or superheated steam.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00 may operate a separately arranged turbine to generate electric power.

제2 고온배관(210)은 증기발생기(200)에서 발생된 증기가 외부에 배치된 터빈 측으로 배출되는 배관이다. 제2 고온배관(210)의 일단은 증기발생기(200)에 연결되고, 제2 고온배관(210)의 타단은 별도 구성인 터빈 등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high-temperature pipe 210 is a pipe through which steam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is discharged toward the turbine disposed outside. One end of the second high-temperature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igh-temperature pipe 210 may be connected to a turbine, which is a separate component.

제2 저온배관(220)은 증기발생기(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제2 저온배관(220)의 일단은 별도의 저수조 등과 연결되며, 제2 저온배관(220)의 타단은 증기발생기(200)에 연결된다.The second low-temperature pipe 220 is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One end of the second low-temperature pipe 220 is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 storage tank,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ow-temperature pipe 220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

여기서, 증기발생기(200)는 이차계통과 연결되는데, 이차계통은, 증기발생기(200), 제2 고온배관(210), 터빈 등과 같은 외부 구성 및 제2 저온배관(220)을 거쳐 다시 증기발생기(200)로 냉각수가 순환하는 순환구조이다. 이차계통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제2 유체일 수 있다.Here, the steam generator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ystem, and the secondary system is steam generator 200, the second high-temperature pipe 210, external components such as a turbine and the second low-temperature pipe 220, and then the steam generator again. It is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cooling water circulates through (200).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secondary system may be the second fluid.

열교환기(300)는, 노심(100) 및 증기발생기(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노심(100)과 증기발생기(200)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열교환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판형 열교환기(300)일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300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10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and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core 10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 As shown in FIG. 2 ,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a printed board type heat exchanger 300 .

제3 고온배관(310)은 열교환기(300)에서 가열된 냉각수가 열교환기(300)에서 배출되는 배관이다. 제3 고온배관(310)의 일단은 열교환기(300)에 연결되고, 제3 고온배관(310)의 타단은 증기발생기(200)에 연결된다.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is a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heated in the heat exchanger 300 is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300 . One end of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제3 저온배관(320)은 증기발생기(200)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열교환기(300)로 이동되는 배관이다. 제3 저온배관(320)의 일단은 증기발생기(200)에 연결되며, 제3 저온배관(320)의 타단은 열교환기(300)에 연결된다.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is a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cool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moved to the heat exchanger 300 . One end of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300.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3 배관(310, 320)은 제3 고온배관(310)과 제3 저온배관(320)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rd pipes 310 and 320 may be a concept including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and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

여기서, 열교환기(300)는 중간계통과 연결되며, 중간계통은, 열교환기(300), 제3 고온배관(310), 증기발생기(200), 제3 저온배관(320)을 거쳐 다시 열교환기(300)로 냉각수가 순환하는 순환구조이다. 중간계통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중간유체일 수 있다.Here, the heat exchanger 300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300,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to the heat exchanger ( 300) is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cooling water circulates.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intermediate system may be an intermediate fluid.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300)가 노심(100) 및 증기발생기(20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일차계통 및 이차계통 사이에 중간계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00)는 일차계통 및 중간계통의 경로 상에 놓이며, 일차계통과 중간계통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heat exchanger 300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10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an intermediate system may be formed between the primary system and the secondary system. Therefore, the heat exchanger 300 is placed on the path of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and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이 때, 중간계통의 압력(Pi)은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게 설정한다. 이를 위해 중간계통에 중간 가압기(30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중간 가압기(305)는 중간유체의 압력을 가압하여, 제1 유체의 압력이나 제2 유체의 압력보다 중간유체의 압력이 높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set higher than the pressure (P 1 ) of the primary system. To this end, an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may be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system. That is, the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pressurizes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fluid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fluid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fluid or the pressure of the second fluid.

중간 가압기(305)는 증기 또는 불활성기체(inert gas, 예컨대, 질소(N2),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제논(Xe) 중 하나 이상)를 사용하여 중간계통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중간 가압기(305)는 중간계통의 제3 고온배관(310) 및 제3 저온배관(320)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가압기(305)는 제3 고온배관(3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is steam or an inert gas (eg, one or more of nitrogen (N 2 ), helium (He), neon (Ne), argon (Ar), krypton (Kr), and xenon (X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pressure in the intermediate system. The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and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of the intermediate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may be installed in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

이렇게 중간계통의 압력(Pi)이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게 설정됨에 따라 열교환기(300)에 크랙이 발생하여 일차계통을 순환하는 제1 유체가 중간계통으로 누설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중간계통의 압력(Pi)이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기 때문에 크랙을 통해 제1 유체가 중간계통으로 누설되는 대신 중간유체가 중간계통에서 일차계통으로 흐르고, 이에 따라 제1 유체가 중간계통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set higher than the pressure (P 1 ) of the primary system, cracks occur in the heat exchanger 300 to cause the first fluid circulating in the primary system to leak into the intermediate system. can block At this time, even when a crack occurs, since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higher than the pressure (P 1 ) of the primary system, instead of leaking the first fluid to the intermediate system through the crack, the intermediate fluid flows from the intermediate system to the primary system. flows, and accordingly, the first fluid may not flow into the intermediate system.

중간계통의 압력(Pi)은, 원자로의 정상 운전 상태, 원자로의 출력 변동 운전 상태, 원자로의 가열 상태, 원자로의 냉각 상태, 원자로의 과도 상태 및 원자로의 핵연료 재장전 상태 등 모든 상태에 걸쳐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the primary pressure in all states, such as the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the power fluctuation operat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the heat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the cool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the transient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and the nuclear refuel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It can be set higher than the system pressure (P 1 ).

원자로의 정상운전은, 통상 일정한 출력, 특히 100%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상태이다.Normal operation of a nuclear reactor is a state in which a constant output, in particular, a 100% output is continuously maintained.

원자로의 출력 변동 운전 상태는, 필요에 따라 정해진 절차를 통해 원자로 출력을 정해진 범위 내에서 변동시키는 상태이다.The power variation operation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is a state in which the reactor power is vari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dure as needed.

원자로가 가열되는 상태는, 노형이나 운전전략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의 원자로에서 일차계통의 압력이 정상운전 시의 압력에 준하는 압력으로 상승한 다음에 이루어지는데, 원자로의 최초 운전 시 또는 점검 이후 원자로를 다시 운전하기 위해 가열하는 상태이다.The state in which the reactor is heated varies depending on the furnace type or operation strategy, but in most reactors, it occurs after the pressure in the primary system rises to a pressure comparable to the pressure during normal operation. It is heating up to drive again.

원자로가 냉각되는 상태는, 원자로 가동 중 점검이나 핵연료 재장전을 위해 정상운전 상태에서 벗어나 원자로의 압력과 온도를 낮추는 상태이다.The state in which the reactor is cooled is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reactor are lowered out of the normal operation state for inspection or reloading of nuclear fuel during operation of the reactor.

원자로의 과도 상태는, 의도하지 않은 사유(예컨대, 특정 기기의 오작동 등)로 인해 원자로의 출력이 급감발되거나 유량, 온도 및 압력이 급변하는 등의 상태이다. 이러한 원자로의 과도 상태에 따라 대응 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며, 어떤 기기가 어떤 오작동이 발생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 transient state of a nuclear reactor is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f the nuclear reactor is rapidly reduced or the flow rate, temperature, and pressure rapidly change due to an unintended cause (eg, a malfunction of a specific device, etc.). Depending on the transient state of such a nuclear reactor, the response method may vary, and it may depend on which equipment malfunctions.

여기서, 중간계통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열교환기(300)에 있을 수 있는 크랙을 통한 제1 유체의 중간계통으로의 누설을 차단하기 위해 일반적인 원자로 설계기준사고에 준하여 원자로가 정지될 수 있다.Here, when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system does not maintain the set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nuclear reactor design standard accident in order to block leakage of the first fluid to the intermediate system through a crack that may exist in the heat exchanger 300 Reactors can shut down.

또한, 중간계통의 배관의 일부 파단 등과 같이, 중간계통을 순환하는 중간유체가 상실되는 경우, 중간계통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중간계통의 압력(Pi)이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차계통의 압력(P1)을 감압하는 조치를 고려할 수 있지만, 일차계통의 충분한 냉각이 수반되지 않은 감압은 일차계통 냉각수의 급격한 기화 및 이에 따른 과압과 과압방지계통의 순차적 작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원자로 냉각재의 일부 상실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계통과 중간계통 사이에 배치된 열교환기(300)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확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 중간계통의 압력이 일차계통의 압력보다 낮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유체의 누설량 및 그에 따른 후속 영향이 상술한 감암계통 작동과 비교하여 더 미미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일차계통 감암설비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어느 경우라도 설계기준사고로 관리하여 원자로를 즉지 정지할 경우 유의미한 방사능 물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mediate fluid circulating in the intermediate system is lost, such as when a pipe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partially broken, the pressure in the intermediate system may rapidly decrease. In this case, a measure to reduce the pressure (P 1 ) of the primary system can be considered so that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remains higher than the pressure (P 1 ) of the primary system, but sufficient cooling of the primary system is required. Unsuccessful depressurization may eventually lead to partial loss of the reactor coolant through rapid vaporization of the primary system cooling water and subsequent overpressure and sequential operation of the overpressure prevention system.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bability of breakage in the heat exchanger 300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system and the middle system is low, or when breakage occurs, the first heat exchanger 300 generated as the pressure in the middle system is low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imary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fluid leakage and subsequent effects thereof ar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amping system, there is no need to operate the primary system damping facility. In any case, if the reactor is immediately stopped by managing it as a design basis accident, significant leakage of radioactive material can be prevented.

원자로의 핵연료 재장전 상태는, 주기적으로 핵연료를 노심(100)에 재장전하는 상태이다. 이 때, 원자로의 뚜껑이 열리므로 원자로 용기(20) 내의 압력은 외부 압력과 일치하고, 중간계통을 중간 가압기(305)로 계속 가압할 수 있지만, 가압하지 않고 중간계통을 대기에 노출시키더라도 열교환기(300)로부터 jeorl에 노출된 일차계통의 수면까지 높이보다 열교환기(300)로부터 대기에 노출된 중간계통의 수면까지 높이가 더 높게 설치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중간계통의 압력(Pi)이 일차계통의 압력(P1)보다 높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nuclear fuel reloading state of the nuclear reactor is a state in which nuclear fuel is periodically reloaded into the core 100 . At this time, since the lid of the reactor is opened, the pressure in the reactor vessel 20 matches the external pressure, and the intermediate system can be continuously pressurized by the intermediate pressurizer 305, but heat exchange occurs even if the intermediate system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without pressurization. Since the height from the heat exchanger 300 to the wat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ystem exposed to the atmosphere is higher than the height from the machine 300 to the water surface of the primary system exposed to jeorl,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naturally increased in the primary system The pressure (P 1 ) of higher than the state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이차계통의 압력(P2)은 중간계통의 압력(Pi)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중간계통의 온도보다 이차계통의 온도가 낮은데 이차계통의 압력(P2)이 중간계통의 압력(Pi)보다 높으면, 높은 압력으로 인해 증기발생기(200)에서 증기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차계통의 압력(P2)은 중간계통의 압력(Pi)보다 낮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P 2 ) of the secondary system may be maintained lower than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If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system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system, but the pressure (P 2 ) of the secondary system is higher than the pressure (P i ) of the intermediate system, steam may not be generated from the steam generator 200 due to the high pressure. Therefore, the secondary system pressure (P 2 ) needs to be kept lower than the intermediate system pressure (P i ).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300)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300)일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300)는, 바디(330), 제1 유체 유입부(342), 제1 유체 배출부(344), 중간유체 유입부(352), 중간유체 배출부(354), 인쇄기판부(360)를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 2 ,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a printed board type heat exchanger 300 . The heat exchanger 300 includes a body 330, a first fluid inlet 342, a first fluid outlet 344, an intermediate fluid inlet 352, an intermediate fluid outlet 354, a printed board unit ( 360).

바디(330)는 열교환기(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330)의 내부에 인쇄기판부(360)가 수용될 수 있다.The body 330 may include a frame that supports a housing and other components that provid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heat exchanger 300 . The printed board unit 36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330 .

제1 유체 유입부(342)는 제1 유체가 바디(330)의 내부로 유입되며, 바디(33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inlet 342 allows the first fluid to flow into the body 33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330 .

제1 유체 배출부(344)는 제1 유체가 바디(330)에서 외부로 배출되며, 바디(330)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discharge unit 344 discharges the first fluid from the body 330 to the outside and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330 .

중간유체 유입부(352)는 중간유체가 바디(33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바디(330)를 이루는 면 중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fluid inlet 352 allows intermediate fluid to flow into the body 330 an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330 .

중간유체 배출부(354)는 중간유체가 바디(330)에서 외부로 배출되고, 바디(330)를 이루는 면 중 중간유체 유입부(352)가 배치된 면 또는 다른 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fluid discharge unit 354 discharges the intermediate fluid from the body 330 to the outside and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intermediate fluid inlet 352 is disposed or on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forming the body 330 .

인쇄기판부(360)는 바디(3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유체 및 중간유체가 이동하여 제1 유체 및 중간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쇄기판부(360)는 제1 인쇄기판(362) 및 제2 인쇄기판(364)을 포함한다.The printed board unit 36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330, and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move so that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The printed board unit 360 includes a first printed board 362 and a second printed board 364 .

제1 인쇄기판(36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제1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홈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1 미세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미세유로는 제1 유체 유입부(342)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가 흐르도록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미세유로를 거친 제1 유체는 제1 유체 배출부(3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inted board 362 has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first microchannels having a groove shape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can mov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The plurality of first microchannels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the first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luid inlet 342 flows. Also, the first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microchannel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luid discharge unit 344 .

제2 인쇄기판(364)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일면에 중간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홈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제2 미세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미세유로는 중간유체 유입부(352)를 통해 유입된 중간유체가 흐르도록 소정의 패턴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2 미세유로를 거친 중간유체는 중간유체 배출부(3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364 has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micro-channels having a groove shape through which intermediate fluid can mov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The plurality of second microchannels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pattern so that the intermediat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termediate fluid inlet 352 flows.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fl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micro-channel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ermediate fluid discharge unit 354 .

여기서, 제1 인쇄기판(362) 및 제2 인쇄기판(364)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인쇄기판(362) 및 복수 개의 제2 인쇄기판(364)은 서로 교번되어 적층되거나 다른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인쇄기판(362) 및 복수 개의 제2 인쇄기판(364)은 적층되어 인쇄기판부(360)를 이루며, 인쇄기판부(360)는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상태로 바디(3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first printed boards 362 and a plurality of second printed boards 364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printed boards 36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rinted boards 364 are alternately laminated with each other. or may be stacked according to some other prescribed order. A plurality of first printed boards 362 and a plurality of second printed boards 364 are stacked to form a printed board unit 360, and the printed board unit 360 is disposed within the body 33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It can b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심(100)과 열교환기(300)가 함께 설치된 일체형 원자로를 참조하면, 일체형 원자로의 원자로 용기(20) 내부에 열교환기(300)를 설치할 수 있다. 원자로 용기(20)의 상부에는 가압기(23)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기(23)는 원자로 용기(20) 내에 배치된 일차계통의 제1 유체를 가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integrated nuclear reactor in which the core 100 and the heat exchanger 300 are installed together as shown in FIG. 3 ,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ctor vessel 20 of the integrated nuclear reactor. A pressurizer 23 may be disposed above the reactor vessel 20 . The pressurizer 23 may pressurize the first fluid of the primary system disposed in the reactor vessel 20 .

이 때, 일차계통에 흐르는 제1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제1 펌프(400)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rst pump 400 may be installed to circulate the first fluid flowing in the primary system.

제1 펌프(400)는 일차계통에서 제1 유체를 순환시키고, 또한, 중간계통에서 중간유체를 함께 순환시킬 수 있다.The first pump 400 may circulate the first fluid in the primary system and also circulate the intermediate fluid in the intermediate system.

노심(100)의 상부에서부터 열교환기(300)의 상부까지 노심(1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가열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제1 고온배관(11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펌프(400)를 거쳐 열교환기(300)를 거쳐 열교환되어 냉각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제1 저온배관(120)이 열교환기(300) 하부에서부터 노심(100)의 하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온배관(110)의 특정 위치에 열교환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A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core 100 moves from the top of the core 100 to the top of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disposed, and the first pump 400 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cooled by heat exchange through the heat exchanger 300 moves may be dispos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heat exchanger 300 to the lower part of the core 100.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disposed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

열교환기(300)의 제3 고온배관(310)은 열교환기(300)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제3 저온배관(320)은 열교환기(300)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3 고온배관(310) 및 제3 저온배관(320)의 대부분은 원자로 용기(2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of the heat exchang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300, and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300. At this time, most of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and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may be located outside the reactor vessel 20 .

그리고 제1 펌프(400)는 원자로 용기(20)의 상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펌프(400)는 일차계통의 제1 유체 및 중간계통의 중간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차계통 내부에 위치하며 제1 유체와 1차 로터(410) 및 중간계통 내부에 위치하며 중간유체와 접하는 중간로터(4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한 구동축(430) 및 구동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first pump 4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ctor vessel 20 . At this time, the first pump 400 may circulate the first fluid of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fluid of the intermediate system, and for this purpose, it is located inside the primary system, and the first fluid,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system An intermediate rotor 420 located in and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fluid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s further shown in FIG. 4 , a single drive shaft 430 and a drive unit 440 may be provided.

1차 로터(410)는 일차계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일차계통의 제1 고온배관(110)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차 로터(410)는 제1 저온배관(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primary rotor 410 may be disposed in the primary system, for exampl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igh-temperature pipe 110 of the primary syste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imary rotor 41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low-temperature pipe 120 .

중간로터(420)는 중간계통에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중간계통의 제3 고온배관(310)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로터(420)는 제3 저온배관(320)에 배치될 수도 있다.The intermediate rotor 42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mediate system, for example,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of the intermediate syste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구동축(430)은 1차 로터(410) 및 중간로터(420) 사이에 배치되며, 1차 로터(410) 및 중간로터(4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430)이 회전되면 그에 따라 1차 로터(410) 및 중간로터(42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The drive shaft 430 is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shaft 430 is rotated,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may be simultaneously rotated accordingly.

구동부(440)는 구동축(430)에 연결되며, 구동축(4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40)의 구동으로 1차 로터(410) 및 중간로터(420)가 회전하여 일차계통의 제1 유체 및 중간계통의 중간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4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430 and may rotate the driving shaft 430 . Therefore,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are rotated by driving the driving unit 440 so that the first fluid of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fluid of the intermediate system can be circulated.

상기와 같은 제1 펌프(40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원자로 용기(2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펌프(400) 중 하나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다른 제1 펌프(400)에 의해 제1 유체 및 중간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pump 4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reactor vessel 20 as needed. Therefore, even i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umps 400 is not operated,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may be circulated by the other first pump 400 .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펌프(400)는 1차 로터(410), 중간로터(420), 1차 로터 구동축(431), 1차 로터 기어(433), 중간로터 구동축(435), 중간로터 기어(437) 및 구동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ump 400 includes a primary rotor 410, an intermediate rotor 420, a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a primary rotor gear 433, an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 435), an intermediate rotor gear 437, and a driving unit 440.

제1 펌프(4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됨에 따라 일차계통의 제1 유체의 유속 및 중간계통의 중간유체의 유속을 다르게 순환시킬 수 있다.As the first pump 4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5 , the flow rate of the first fluid in the primary system and the flow rate of the intermediate fluid in the intermediate system can be circulated differently.

즉, 1차 로터(410)는 일차계통에 설치되고, 중간로터(420)는 중간계통에 설치되며, 1차 로터 구동축(431)은 1차 로터(410)와 연결되며, 구동부(44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primary rotor 410 is installed in the primary system, the intermediate rotor 420 is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system,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is connected to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driving unit 440 can be connected

그리고 중간로터 구동축(435)은 중간로터(4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1차 로터 기어(433)는 1차 로터 구동축(431)에 설치되고, 중간로터 기어(437)는 중간로터 구동축(435)에 설치되어 1차 로터 기어(433)와 중간로터 기어(437)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40)가 구동됨에 따라 1차 로터 구동축(431)이 회전하여 1차 로터(41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1차 로터 구동축(431)이 회전함에 따라 1차 로터 기어(433) 및 중간로터 기어(437)를 통해 중간로터 구동축(435)이 회전하여 중간로터(420)가 회전하며, 그에 따라 중간계통의 중간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 도 5에는 구동부(440)가 1차 로터 구동축(431)을 직접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부(440)는 1차 로터 구동축(431) 대신 중간로터 구동축(435)을 직접 구동할 수도 있다.And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rotor 420 . At this time, the primary rotor gear 433 is installed on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is installed on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and the primary rotor gear 433 and the intermediate rotor gear ( 437)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fore, as the drive unit 440 is driven,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rotates, and thus the primary rotor 410 may rotate. In addition, as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rotates,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rotates through the primary rotor gear 433 and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so that the intermediate rotor 420 rotates, and thus the intermediate system The middle fluid of can be circulated. Although the drive unit 440 is shown as directly driving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in FIG. 5 , the drive unit 440 may directly drive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instead of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여기서, 1차 로터 기어(433) 및 중간로터 기어(437)의 기어비가 다르면 그에 따라 1차 로터(410) 및 중간로터(420)가 다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어, 제1 유체와 중간유체의 온도, 압력, 성분 등의 차이로 인한 물성 차이 및 일차계통과 중간계통의 순환유량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Here, if the gear ratios of the primary rotor gear 433 and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are different, the primary rotor 410 and the intermediate rotor 420 can b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accordingly, so that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It can respond to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due to differences in temperature, pressure, components, etc., and the difference in circulation flow between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또한, 1차 로터 기어(433) 또는 중간로터 기어(437)는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복수 개의 1차 로터 기어(433) 및 중간로터 기어(437)의 조합은 각각은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1차 로터 기어(433) 및 중간로터 기어(437)의 조합은 각각은 복수 개의 복수 개의 1차 로터 기어(433) 및 중간로터 기어(437)의 조합은 각각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기어가 이동됨에 따라 1차 로터 구동축(431)과 중간로터 구동축(435)의 회전수의 비율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이하 변속이라 칭한다. 여기서, 1차 로터 기어(433) 또는 중간로터 기어(437)의 이동은 구동부(4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imary rotor gears 433 or intermediate rotor gears 437 may be disposed, and combinations of the plurality of primary rotor gears 433 and intermediate rotor gears 437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You can have a gear ratio. In this case, each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primary rotor gears 433 and intermediate rotor gears 437 is engaged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primary rotor gears 433 and intermediate rotor gears 437, respectively. can be moved to As the gear is moved in this way, the ratio of rotational speeds of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and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may be changed. This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ifting. Here, the movement of the primary rotor gear 433 or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may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440 .

또한, 1차 로터 기어(433) 또는 중간로터 기어(437)의 변속에 있어, 무단 변속을 위한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기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중간로터 기어(437)가 복수 개의 기어로 구성되거나 무단 변속을 위한 CVT 기어가 이용되는 경우, 구동부(440)에 의해 기어가 이동되는 변속기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hifting of the primary rotor gear 433 or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 gea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ay be used. In this way, when the intermediate rotor gear 437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or a CVT gear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s used, it may operate as a transmission in which gears are moved by the driving unit 440.

이 때, 구동부(4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변속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필요 시 발전소의 운전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변속 장치의 세부적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drive unit 44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a memory, or the like, and the speed chang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or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an operator of a power plant if necessary. Since a detailed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transmiss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제1 펌프(400)가 일차계통 및 중간계통에 설치됨에 따라 제1 펌프(400)의 구동부(44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중간계통의 중간유체가 순환되는 경우에 일차계통의 제1 유체도 순환될 수 있다. 예컨대, 원자로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는 제1 펌프(400) 중 하나의 구동부(440)에 이상이 발생하여, 해당 구동부(440)로부터의 1차 로터 구동축(431) 및 중간로터 구동축(435)에 대한 동력 공급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계통 상의 별개의 펌프인 제2 펌프(500)에 의해 중간계통의 중간유체가 계속해서 순환될 수 있는 경우, 이 중간유체의 순환에 의해 제1 펌프(400)의 중간로터(420)에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렇게 중간로터(420)가 회전되면, 중간로터(420)의 회전력이 단일한 구동축(430) 또는 중간로터 구동축(435)과 1차 로터 구동축(431)을 거쳐 1차 로터(410)로 전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1차 로터(410)의 회전에 의해 제1 유체는 일차계통에서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drive unit 440 of the first pump 400 is not driven as the first pump 400 is installed in the primary system and the intermediate system, when the intermediate fluid of the intermediate system is circulated, the primary The first fluid of the system may also be circulated. For exampl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drive unit 440 among a plurality of first pumps 400 installed in a nuclear reactor,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and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from the drive unit 440 are damaged. Power supply may be stopp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when the intermediate fluid of the intermediate system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by the second pump 500, which is a separate pump on the intermediate system, the first pump ( Rotatio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intermediate rotor 420 of 400). When the intermediate rotor 420 is rotated in this wa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termediate rotor 420 is transmitted to the primary rotor 410 via a single drive shaft 430 or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5 and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431. As a result, the first fluid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in the primary system by the rotation of the primary rotor 410 .

따라서 기존 원전과 비교하면 일부의 제1 펌프(400)의 구동부(44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제1 유체의 순환 유량이 더 확보되며, 지속적으로 노심(100)에서 발생하는 열은 냉각될 수 있다.Therefore, compared to existing nuclear power plants,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e unit 440 of some of the first pumps 400, the circulation flow rate of the first fluid is secured more, and the heat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core 100 can be cooled. there is.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계통에 제2 펌프(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펌프(500)는 제3 고온배관(310)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저온배관(3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펌프(500)는 중간계통의 중간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6, the second pump 500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system. The second pump 500 may be installed in the third high-temperature pipe 3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third low-temperature pipe 320. The second pump 500 may circulate the intermediate fluid of the intermediate system.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원전
20: 원자로 용기 23: 가압기
100: 노심
110: 제1 고온배관 120: 제1 저온배관
200: 증기발생기
210: 제2 고온배관 220: 제2 저온배관
300: 열교환기 305: 중간 가압기
310: 제3 고온배관 320: 제3 저온배관
330: 바디
342: 제1 유체 유입부 344: 제1 유체 배출부
352: 중간유체 유입부 354: 중간유체 배출부
360: 인쇄기판부
362: 제1 인쇄기판 364: 제2 인쇄기판
400: 제1 펌프
410: 1차 로터 420: 중간로터
430: 구동축
431: 1차 로터 구동축 433: 1차 로터 기어
435: 중간로터 구동축 437: 중간로터 기어
440: 구동부
500: 제2 펌프
10: nuclear power plant
20: reactor vessel 23: pressurizer
100: core
110: first high-temperature pipe 120: first low-temperature pipe
200: steam generator
210: second high temperature pipe 220: second low temperature pipe
300: heat exchanger 305: intermediate pressurizer
310: third high temperature pipe 320: third low temperature pipe
330: body
342: first fluid inlet 344: first fluid outlet
352: intermediate fluid inlet 354: intermediate fluid outlet
360: printed board unit
362: first printed board 364: second printed board
400: first pump
410: primary rotor 420: intermediate rotor
430: drive shaft
431: primary rotor drive shaft 433: primary rotor gear
435: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437: intermediate rotor gear
440: driving unit
500: second pump

Claims (10)

노심 및 상기 노심을 냉각시키는 제1 유체가 수용된 원자로 용기;
상기 제1 유체 및 중간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중간유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유체를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제2 유체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상기 중간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제2 유체와 상기 중간유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제2 유체가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 및
상기 중간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중간유체를 가압하는 중간 가압기를 포함하는,
원전.
a reactor vessel accommodating a core and a first fluid for cooling the core;
a heat exchanger into which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re introduced and which cools the first flui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 steam generator into which the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are introduced, and the second fluid is heated to generate steam by exchanging heat between the second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and
Including an intermediate pressurizer for pressurizing the intermediate flui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termediate fluid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fluid,
nuclear power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가 유동되는 복수 개의 미세유로가 형성된 제1 인쇄기판;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중간유체가 유동되는 복수 개의 미세유로가 형성된 제2 인쇄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쇄기판 및 상기 제2 인쇄기판은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중간유체가 열교환하도록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원전.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r,
body;
a first printed boar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flows;
A second printed board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channels through which the intermediate fluid flows,
The first printed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boar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exchange heat,
nuclear power pla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기판 및 상기 제2 인쇄기판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인쇄기판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인쇄기판은 적층된,
원전.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printed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board are provided in plurality,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he first printed boards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printed boards are stacked,
nuclear power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체 및 상기 중간유체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하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pump installed in the reactor vessel and circulating the first fluid and the intermediate fluid,
nuclear power pla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제1 유체가 유동되는 위치에 배치된 1차 로터;
상기 중간유체가 유동되는 위치에 배치된 중간로터;
상기 1차 로터와 상기 중간로터를 연결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pump,
a primary roto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luid flows;
an intermediate roto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intermediate fluid flows;
a drive shaft connecting the primary rotor and the intermediate rotor; and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comprising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drive shaft,
nuclear power pla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제1 유체가 유동되는 위치에 배치된 1차 로터;
상기 1차 로터에 연결되고, 1차 로터 기어가 설치된 1차 로터 구동축;
상기 중간유체가 유동되는 위치에 배치된 중간로터;
상기 중간로터에 연결되며, 상기 1차 로터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로터 기어가 설치된 중간로터 구동축;
상기 1차 로터 구동축 및 상기 중간로터 구동축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pump,
a primary roto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fluid flows;
a primary rotor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primary rotor and equipped with a primary rotor gear;
an intermediate rotor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intermediate fluid flows;
an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rotor and having an intermediate rotor gear engaged with the primary rotor gear;
Including a drive unit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primary rotor drive shaft and the intermediate rotor drive shaft,
nuclear power pla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로터 기어 및 상기 중간로터 기어는 상기 1차 로터와 상기 중간로터가 서로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6,
The primary rotor gear and the intermediate rotor gear have different gear ratios so that the primary rotor and the intermediate rotor rotate at different speeds from each other,
nuclear power pla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로터 기어 및 상기 중간로터 기어는 각각 하나 이상이고,
하나 이상의 상기 1차 로터 기어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중간로터 기어 중 하나와 맞물린,
원전.
According to claim 6,
The primary rotor gear and the intermediate rotor gear are each one or more,
One of the one or more primary rotor gears meshes with one of the one or more intermediate rotor gears,
nuclear power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증기발생기를 연결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펌프와 별개로 상기 중간유체를 순환시키는 제2 펌프를 더 포함하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pipe connecting the heat exchanger and the steam generato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ump installed in the third pipe and circulating the intermediate fluid separately from the first pump,
nuclear power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가압기는,
상기 중간유체 가압을 위하여 수증기(H2O), 질소(N2),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제논(Xe)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되는,
원전.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pressurizer,
At least one of water vapor (H 2 O), nitrogen (N 2 ), helium (He), neon (Ne), argon (Ar), krypton (Kr), and xenon (Xe) is used for pressurizing the intermediate fluid,
nuclear power plant.
KR1020210087320A 2021-07-02 2021-07-02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KR102594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20A KR102594181B1 (en) 2021-07-02 2021-07-02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320A KR102594181B1 (en) 2021-07-02 2021-07-02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291A true KR20230006291A (en) 2023-01-10
KR102594181B1 KR102594181B1 (en) 2023-10-25

Family

ID=8489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320A KR102594181B1 (en) 2021-07-02 2021-07-02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437U (en) 1985-08-21 1987-03-04
KR20130078167A (en) * 2011-12-30 2013-07-10 한국원자력연구원 Heat exchanger for reactor
KR20170028334A (en) * 2017-01-31 2017-03-13 한국원자력연구원 Nuclear reactor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same
KR101796450B1 (en) 2017-08-07 2017-11-10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luid diode for Printed Circuit Steam Generator in Sodium-cooled Fast Rea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6437U (en) 1985-08-21 1987-03-04
KR20130078167A (en) * 2011-12-30 2013-07-10 한국원자력연구원 Heat exchanger for reactor
KR20170028334A (en) * 2017-01-31 2017-03-13 한국원자력연구원 Nuclear reactor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same
KR101796450B1 (en) 2017-08-07 2017-11-10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luid diode for Printed Circuit Steam Generator in Sodium-cooled Fast Re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81B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293B2 (en) Molten fuel reactor cooling and pump configurations
US11756698B2 (en) Passive emergency feedwater system
KR101619075B1 (en) Nuclear reactor having spray cooling system on the saturated steam
CA2705482C (en) Passive emergency feedwater system
KR101654096B1 (en) Self-diagnostic Unmanned Reactor
US10991471B2 (en)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and boiling water reactor plant using the same
JP6309972B2 (en) Nuclear power generation facility and method for maintaining liquid level of coolant
US4057465A (en) Nuclear reactor auxiliary heat removal system
CN107112059B (en) Shutdown cooling system and nuclear facility with same
CN116848589A (en) Molten salt fission reactor with integrated primary exchanger, and power plant comprising such a reactor
KR102594181B1 (en) Nuclear power plant using intermediate system
JPS5848894A (en) Atomic power plant
JP5634163B2 (en) Plant control system
JP2017072379A (en) Nuclear Reactor and Nuclear Power Plant
KR102369705B1 (en) Passive cooling installation and passive cooling method of ship
KR102100552B1 (en) Emergency cooling and electrical supply of nuclear power plant
JP2017120226A (en) Cooling installation and nuclear power plant
KR102485225B1 (en) Nuclear Reactor
US4486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he primary circuit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KR20190114601A (en) Passive safety injection device and nuclear reactor having the same
JP2005274533A (en) Boiling water reactor
KR102555014B1 (en)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removing mid-loop operation during nuclear reactor outage period
KR102448761B1 (en) Passive protection system for reactor
KR20220148639A (en) Atomic reactor passive cooling installation
JP3244747B2 (en) Equipment for cooling the core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