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021A -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021A
KR20230006021A KR1020227043487A KR20227043487A KR20230006021A KR 20230006021 A KR20230006021 A KR 20230006021A KR 1020227043487 A KR1020227043487 A KR 1020227043487A KR 20227043487 A KR20227043487 A KR 20227043487A KR 20230006021 A KR20230006021 A KR 20230006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ole structure
footwear
heel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이트 더플린저
라이 와 씨 호
에밀리 시몬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0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2 단부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PCT 국제 출원은, 35 U.S.C. §119(e) 하에서 2020년 5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29,11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2021년 5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326,96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미국 특허의 개시는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반드시 종래기술은 아닌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상에 발을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는, 끈, 스트랩 또는 발 주위에서의 갑피의 맞음새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파스너와 협동할 수 있다. 발의 바닥면에 근접한 갑피의 저부는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형 구성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하나의 층은 지면에 대한 내마모성 및 정지마찰력을 제공하는 외창(outsole)을 포함한다. 외창은 고무 또는 지면과의 정지마찰력을 증대시킬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의 다른 층은 외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midsole)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을 위한 완충 효과를 제공하고,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해 발을 보호하기 위해 하중이 인가될 때에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폴리머 발포재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은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유체 충전 블래더를 포함하여, 반력을 줄이기 위해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 압축됨으로써 발에 완충을 제공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저부 부분에 근접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편안함 증가 안창이나 깔창과, 갑피에 부착되고 중창과 안창이나 깔창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로벨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블래더를 채용하는 중창은 통상적으로 함께 실링되거나 접합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배리어층으로 형성된 블래더를 포함한다. 블래더는, 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블래더가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될 때에 반응성에 관한 완충 특징과 발을 위한 지지의 밸런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선택된 구성의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바깥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안쪽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저부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상부 전방 사시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저부 후방 사시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선 8-8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선 9-9를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선 11-11을 따라 취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6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밑창 구조체에서 사용하기 위한 블래더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도 13의 블래더의 단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고하며 예시적인 구성을 보다 충분히 설명하겠다. 본 개시를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알려주기 위해, 예시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구성에 관한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예와 같은 특정 상세가 기술된다. 특정 상세는 반드시 채용될 필요는 없으며, 예시적인 구성은 여러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특정 상세와 예시적인 구성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별한 예시적인 구성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구성하다”, “구성된”,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언급한 피쳐(feature),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피쳐,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공정은, 수행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설명하거나 예시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이들에 “체결되거나”, 이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된”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거나, 이들에 직접 체결, 연결 또는 커플링될 수도 있고,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 “바로 위에 있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체결되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단어들도 동일한 방식(예컨대, “사이” 대 “사이에 직접”, “인접” 대 “바로 인접” 등)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관련하여 열거된 아이템 모두 또는 이들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여기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 섹션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서수 용어는, 문맥상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한, 순차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2 단부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은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할 수 있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고,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footbed)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bolster)를 포함한다.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cradle)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된다.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1 단부와 갑피의 제2 단부 사이에서 배치되는 제1 부분과,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한다.
이 양태는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된다.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할 수 있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고,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를 포함한다.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된다.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관한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양태, 피쳐 및 장점이 설명 및 도면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00) 및 이 밑창 구조체(100)에 고정된 갑피(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과 그 구성요소들은 신발류 물품(10)의 최전방 지점과 관련된 전방 단부(12)와 신발류 물품(10)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후방 단부(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4의 저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종축(A10)은 전방 단부(12)에서 후방 단부(14)로 신발류 물품(1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을 바깥 측부(16)와 안쪽 측부(19)로 분할한다. 따라서, 바깥 측부(16)와 안쪽 측부(18)는 각각 신발류 물품(10)의 대향 측부에 대응하고, 전방 단부(12)에서 후방 단부(14)로 연장된다.
신발류 물품(10)은 종축(A10)을 따라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전족 영역(20), 중족 영역(22) 및 힐 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 영역(20)은 발가락과, 중족골을 발의 지골과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할 수 있다. 중족 영역(22)은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힐 영역(24)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신발류의 후방 단부(14)에서 힐 영역(24)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후방 영역(26)을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후방 영역(26)은 발의 대응하는 영역과 직접 연관되는 대신, 종골과 종골건(“아킬레스”힘줄)을 넘어 연장되는 신발류 물품(1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100)는 밑창 구조체(100)에 완충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102)과, 신발류 물품(10)의 지면 맞물림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외창(104)을 포함한다. 종래의 밑창 구조체와 달리, 밑창 구조체(100)의 중창(102)은 밑창 구조체(100) 전반에 걸쳐 원하는 형태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합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서브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창(102)은 샤시(106)와 블래더(108)를 포함하며, 샤시(106)는 갑피(2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갑피(200), 블래더(108) 및 외창(104)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중창(102)은 발의 발바닥을 수용, 지지 및 완충하도록 구성된 풋베드(110)와, 후방 단부(14)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112)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풋베드(110)는 전족 영역(20), 중족 영역(22) 및 힐 영역(24) 각각을 따라 연장되고, 볼스터(112)는 후방 영역(26)에 형성된다. 볼스터(112)는 힐 영역(24)에서 바깥 측부(16)로부터 안쪽 측부(18)까지 풋베드(110)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스터(112)는 후방 단부(14)에서 최대폭(W112)을 갖는다. 볼스터(112)의 폭(W112)은 볼스터(112)가 힐 영역(24) 주위에서 바깥 측부(16) 및 안쪽 측부(18) 각각을 둘러쌀 때에 테이퍼진다. 따라서, 발 아래에서만 연장되는 종래의 밑창 구조체와 달리, 본 예의 밑창 구조체(100)는 발의 힐 영역을 넘어 연장되어 후방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시한 예에서, 중창(102), 보다 구체적으로 중창(102)의 볼스터(112)는 샤시(106)와 블래더(108)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로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블래더(108)는 볼스터(11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따라서 신발류 물품(10)이 조립될 때에 블래더(108)는 갑피(200)보다 후방 단부(14)에 근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즉, 블래더(108)의 단부는 신발류 물품(10)의 후방 단부(14)에서 갑피(200)의 단부를 넘어 연장된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체(100)는 블래더(108)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풋베드(110) 및/또는 볼스터(112)는 탄성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중창(102)의 블래더(108)는 대향하는 배리어층(118a, 118b) 쌍을 포함하며, 이들 배리어층은 별개의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어, 챔버(120), 웨브 영역(122) 및 둘레 시임(124)을 획정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은 제1 상부 배리어층(118a)과 제2 하부 배리어층(118b)을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챔버(120)는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은 협동하여 챔버(120)의 기하 형상(예컨대, 두께, 폭 및 길이)를 획정한다. 예컨대, 웨브 영역(122)과 둘레 시임(124)은 협동하여 챔버(120)를 한정하고 챔버(120) 둘레에서 연장되어 챔버(120) 내에 유체(예컨대, 공기)를 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버(120)는 블래더(108)의 영역과 연관되고, 이때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의 내부면은 함께 결합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서로 분리된다.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의 대향하는 내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챔버(120)의 내부 체적을 획정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의 외면이 챔버(120)의 외부 프로파일을 획정한다. 블래더(108)의 두께(T108)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블래더의(108)의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 사이의 거리에 의해 획정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챔버(120)는 반응성의 특징과 중창(102)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협동하는 복수 개의 세그먼트(126, 128)를 포함한다. 특히, 세그먼트(126, 128)는 하나 이상의 도관(12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즉, 유체 연통되는) 쿠션(126) 쌍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쿠션(126)은 관형 본체를 포함하며, 이 관형 본체는 제1 말단 단부(130a)와, 관형 본체에 있어서 제1 말단 단부(130a)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말단 단부(130b)를 포함한다. 쿠션(126)은 종축(A126)을 따라 연장되는 거의 원형의 단면을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120)의 두께(T122)는 종축(A126)을 따라 제1 말단 단부(130a)에서의 제1 두께(T122-1)에서 제2 말단 단부(130b)에서의 제2 두께(T122-2)로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챔버(120)의 두께는 제2 말단 단부(130b)에서 제1 말단 단부(130a)로의 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쿠션(126)의 제1 말단 단부(130a)와 제2 말단 단부(130b)는 거의 돔 형상이고, 각각은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 각각과 연관된 복합 곡률을 포함한다. 예컨대, 각각의 쿠션(126)의 제1 말단 단부(130a)는, 쿠션(126)의 전방 단부를 밀폐하도록 상부 배리어층(118a)의 단부 부분이 둘레 시임(124)에서 하부 배리어층(118b)과 만나서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8을 참고하면, 각각의 쿠션(126)의 제2 말단 단부(130b)는, 쿠션(126)의 반대측 단부를 밀폐하도록 상부 배리어층(118a)의 단부 부분이 둘레 시임(124)에서 하부 배리어층(118b)과 만나서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쿠션(126)은 제1 말단 단부(130a)에서 제2 말단 단부(130b)로 연장되는 각각의 종축(A126)을 획정한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쿠션(126)들은 각각의 쿠션(126)의 종축(A126)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래더(108)가 밑창 구조체(100) 내에 조립될 때에, 쿠션(126)은 신발류 물품(10)의 종축(A1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신발류 물품(10)의 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더욱이, 쿠션(126)들의 종축(A126)이 후방 단부(14)에서 전방 단부(12) 방향을 따라 서로 그리고 신발류 물품(10)의 종축(A10)과 만난다. 따라서, 쿠션(126) 사이의 측방향 거리(D1)는 제1 말단 단부(130a)에서보다 제2 말단 단부(130b)에서 더 크다.
도 12 내지 도 14를 계속해서 참고하면, 챔버(120)는 쿠션(126)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쿠션들을 유동적으로 커플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128)을 더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챔버(120)는 쿠션(126)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도관(128)을 포함한다. 도관(128)은 각각, 쿠션(126)의 종축(A126)을 가로지르는 각각의 종축(A128)을 따라 연장된다.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관(128)은 제1 말단 단부(130a)에 인접하게 쿠션(12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도관(128), 제2 말단 단부(130b)에 인접하게 쿠션(12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도관 및 제1 도관(128)과 제2 도관(128) 사이에 배치되고 쿠션(126)들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제3 도관(128)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도관(128)과 제2 도관(128)은 제3 도관(128)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도 7, 도 12 및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관(128)은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의 협동에 의해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은 복수 개의 반원통 형상의 도관(128)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도관은 쿠션(126)의 제1 두께(T108-1)와 제2 두께(T108-2)보다 작고, 실질적으로 비슷한 제3 두께(T108-3)를 갖는다. 각각의 도관(128)의 프로파일은 상부 배리어층(118a)에 의해 획정되고, 이에 의해 상부 배리어층(118a)은 각각의 도관(128)의 곡선형 상부 부분을 형성하도록 몰딩되고, 하부 배리어층(118b)은 각각의 도관(128)의 거의 평탄한 하부 부분으로서 마련된다. 하부 배리어층(118b)은 초기에 거의 평탄한 상태로 마련되지만, 챔버(120)가 압축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배리어층(118b)이 상부 배리어층(118a)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편향될 때에 웨브 영역(122)으로부터 팽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웨브 영역(122)은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의 접합 영역에 형성되고, 챔버(120)의 각각의 세그먼트(126, 128)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특히, 웨브 영역(122)은 각각의 쿠션(126)의 제1 말단 단부(130a)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하고, 블래더(108)의 전방 단부에 제1 말단 에지를 형성한다. 웨브 영역(122)의 후방 부분은 쿠션(126)의 제2 말단 단부(130b)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며, 블래더(108)의 후방 단부에 제2 말단 에지를 형성한다. 웨브 영역(122)의 중간 부분은 도관(128)들 중 인접한 하나의 도관과 쿠션(126)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웨브 영역(122)의 중간 부분은 챔버(12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웨브 영역(122)은 블래더(108)의 두께(T108)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중간에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 챔버(120)의 웨브 영역(122)과 쿠션(126)은 상부 배리어층(118a)과 연관된 블래더(108)의 제1 측부 상의 상부 포켓(132a)과, 하부 배리어층(118b)과 연관된 블래더(108)의 제2 측부 상의 하부 포켓(132b)을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여기에서, 도관(128)은 상부 포켓(132a)의 길이를 따라 교호하는 일련의 팽출부 및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상부 포켓(132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샤시(106)는,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될 때에 상부 포켓(132a)과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샤시(106)는 블래더(108)의 도관(128)에 의해 형성되는 팽출부와 리세스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와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배리어층”[예컨대, 배리어층(118a, 118b)]이라는 용어는 단층 및 다층 필름 모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각각 단층 필름(단일층)으로 형성된다(예컨대, 열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각각 다층 필름(다수의 서브층)으로 형성된다(예컨대, 열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된다).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각각의 층 또는 서브층은 약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 밀리미터 범위의 필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 또는 서브층을 위한 필름 두께는 약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층 또는 서브층을 위한 필름 두께는 약 1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일 수 있다.
배리어층(118a, 118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독립적으로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배리어층(118a)은 투명할 수 있고, 하부 배리어층(118b)은 불투명하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배리어층 및/또는 유체 충전 챔버를 위한 “투명한”이라는 용어는, 빛이 거의 직선으로 배리어층을 통과하고, 관찰자가 배리어층을 통해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비교하여, 불투명 배리어층의 경우에는 빛이 배리어층을 통과하지 않고, 배리어층을 통해 선명하게 전혀 볼 수 없다. 반투명 배리어층은, 빛이 반투명 층을 통과하지만, 일부 및이 산란되어 관찰자가 층을 통해 선명하게 볼 수 없다는 점에서 투명 배리어층과 불투명 배리어층 사이에 속한다.
배리어층(118a, 118b)은 각각,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 및/또는 하나 이상의 교차결합 폴리머를 포함하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양태에서, 탄성중합체 재료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 예컨대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코폴리머, 하나 이상의 에틸렌-비닐 알코올(EVOH) 코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우레탄기(-N(C=0)0-)를 포함하는 코폴리머(올리고머를 포함함)를 일컫는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은 우레탄기에 추가하여, 에스테르, 에테르, 요소, 알로파네이트, 뷰렛, 카르보디이미드, 옥사졸리디닐,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트디온,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추가의 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양태에서, 폴리우레탄들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하나 이상의 폴리올과 중합하여 (-N(C=0)0-) 결합을 갖는 코폴리머 사슬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코폴리머 사슬을 생성하는 데 적합한 이오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적절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트리메틸올리프로판(TMP)에 의한 TDI 부가 생성물,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테트라메틸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수소화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HXDI),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NDI), 1,5-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PDI), 3,3’-디메틸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DDDI), 4,4’-디벤질 디이소시아네이트(DBDI), 4-클로로-1,3-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폴리머 사슬에는 방향족기가 거의 없다.
특별한 양태에서, 폴리우레탄 폴리머 사슬은 HMDI, TDI, MDI, H12 지방족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생성된다. 일양태에서, 열가소성 TPU는 폴리에스테르계 TPU, 폴리에테르계 TPU, 폴리카프로락톤계 TPU, 폴리카보네이트계 TPU, 폴리실록산계 TPU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폴리머층은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EVOH 코폴리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폴리머 및 코폴리머(예컨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예컨대, 비정질 폴리아미드), 아미드계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머(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아크릴 이미드 및 비교적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폴리머 재료. 이들 재료뿐만 아니라 전술하고 선택적으로 폴리이미드와 결정질 폴리머의 조합을 포함하는 TPU 코폴리머와의 블렌드도 또한 적합하다.
배리어층(118a, 118b)은, Mitchell 등의 명의의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Mitchell 등의 명의의 미국 특허 제5,952,065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2개 이상의 서브층(다층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국 특허들의 개시 내용 전체는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배리어층(118a, 118b)이 2개 이상의 서브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적절한 다층 필름의 예로는 Bonk 등의 명의의 미국 특허 제6,582,786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마이크로층 필름이 있으며, 상기 미국 특허는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은 각각 독립적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TPU 폴리머 재료의 서브층과 하나 이상의 EVOH 코폴리머 재료의 서브층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배리어층(118a, 118b)에 있는 서브층의 총 개수는 적어도 4개, 적어도 10개, 적어도 20개, 적어도 40개 및/또는 적어도 60개이다.
챔버(120)는, 열성형(예컨대, 진공 열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사출 성형, 진공 성형, 회전식 성형, 트랜스퍼 성형, 압력 성형, 히트 실링, 주조, 저압 주조, 스핀 캐스팅, 반응 사출 성형, 고주파(RF)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배리어층(118a, 118b)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양태에서, 배리어층(118a, 118b)은 공동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챔버(120)가 유체(예컨대, 가스)로 충전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예컨대, 일방향 밸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팽창형 챔버(120)를 형성하기 위해 진공 열성형이 공동 압출에 후속한다.
챔버(120)는 유체 충전 상태[예컨대, 신발류 물품(10)에 마련되는 경우] 또는 비충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챔버(120)는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체를 포함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양태에서, 가스는 공기, 질소(N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챔버(120)는 대안으로서 다른 매체, 예컨대, 펠릿, 비드, 연마 재활용 재료 등(예컨대, 발포 비드 및/또는 고무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120)에 제공되는 유체로 인해 챔버(120)가 압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챔버(120)에 제공되는 유체는 대기압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챔버(120)가 압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단순히 대기압의 유체 체적을 포함한다.
챔버(120)는 바람직하게는 그 유지된 가스압을 보존하기 위해 낮은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챔버(1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의 부틸 고무층에 있어서 질소 가스 투과율보다 적어도 약 10배 낮은 질소 가스에 대한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일양태에서, 챔버(120)는 50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필름 두께[배리어층(118a, 118b의 두께에 기초함]에 있어서 15 cm3/matm·day(cubic-centimeter/square-meter*atmosphere*day) 이하의 질소 가스 투과율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투과율은 10 cm3/matm·day 이하, 5 cm3/matm·day 이하, 또는 1 cm3/matm·day 이하이다.
몇몇 구현예에서,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은 개별 몰딩부에 의해 형성되는데, 각각의 몰딩부는 만입부와,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가 서로 결합되어 접합될 때에 웨브 영역(122) 및/또는 둘레 시임(124)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핀칭형 표면을 형성하는 다양한 표면을 획정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접착제 접합은 웨브 영역(122)과 둘레 시임(124)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을 결합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이 결합되어, 열접합에 의해 웨브 영역(122)과 둘레 시임(124)을 형성한다. 몇몇 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성형 및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몇몇 예에서, 배리어층(118a, 118b)은 그 각각의 몰드 사이에 배치되기 전에 가열된다. 다른 예에서, 몰드는 배리어층(118a, 118b)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가열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유체 충전 챔버(12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몰딩 프로세스는, 상부 및 하부 배리어층(118a, 118b)이 개별 몰드부와 접촉하게 되도록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몰드부 내에 진공 포트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공기와 같은 유체는 상부 배리어층(118a)과 하부 배리어층(118b) 사이의 영역 내로 주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여 배리어층(118a, 118b)들이 그들의 개별 몰드부의 표면과 맞물리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 샤시(106)는 전방 단부(12)에서 후방 단부(14)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블래더(108)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06)는 완충 요소(114)와, 완충 요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크레이들(116)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로서 형성된다. 도시한 예의 완충 요소(114)와 크레이들(116)은 샤시(106)를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시되지만, 몇몇 예에서 샤시(106)는 일체형 본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요소(114)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전방 단부(12)의 제1 단부(134)로부터 후방 단부(14)의 제2 단부(136)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완충 요소(114)는 상측부(138)와, 완충 요소(114)에 있어서 이 상측부(128)의 반대측에 형성된 저측부(140)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측부(138)에서 저측부(140)까지의 거리가 완충 요소(114)의 전체 두께(T)를 획정한다. 완충 요소(114)는 상측부(138)에서 저측부(140)로 연장되고 완충 요소(114)의 외주부를 획정하는 둘레벽(142)을 더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는 전족 영역(20)으로부터 힐 영역(24)을 통해 연장되는 풋베드(110)의 상면을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리셉터클(144)이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138)에서 중족 영역(22)에 형성된다. 상부 리셉터클(144)은 내부에 인장 시스템(400)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시한 예에서 인장 시스템(400)은 인장 디바이스(402)와, 이 인장 디바이스(402)를 지지하기 위한 캡슐(40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완충 요소(114)의 리셉터클(144)은 캡슐(404)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캡슐(404)은,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될 때에 상부 리셉터클(144)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된다. 도시한 예에서, 상부 리셉터클(144)은 완충 요소(114)의 둘레벽(142)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146)을 포함하고, 이 구멍은, 신발류 물품(10)이 조립된 경우에 신발류 물품(10)의 외부로부터 인장 디바이스(402)를 조절하기 위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제 도 5를 참고하면, 완충 요소(114)의 저측부(140)는, 내부에 블래더(1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 리셉터클(148)을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 리셉터클은 한 쌍의 상부 채널(152)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중심 스파인(15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부 중심 스파인(150)은 블래더(108)의 상부 배리어층(118a)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포켓(132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중심 스파인(150)은 종축(A10)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리브(154)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브(154)는 상부 중심 스파인(150)으로부터 원위 단부(156)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리브(154)는 각각 블래더(108)의 인접한 도관(128)들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브(154)의 측부는 도관(128)의 대응하는 볼록부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할 수 있다. 도 7의 단면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브(154)는 도관(128)들 사이에서 완전히 연장되어,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된 경우에 리브(154)의 원위 단부(156)가 웨브 영역(112)을 향하고 웨브 영역과 접촉한다.
도 7 및 도 8을 계속해서 참고하면, 하부 리셉터클(148)은 힐 영역(24)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 영역(26) 내로 연장된다. 예컨대, 리셉터클(148)의 상부 중심 스파인(150)은 힐 영역(24) 내에 배치되고, 상부 채널(152)은 힐 영역(24)을 넘어 후방 영역(26) 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부 중심 스파인(150)은 밑창 구조체(100)의 풋베드(110) 내에 위치 설정되고, 상부 채널(1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스터(112) 내로 연장된다.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된 경우, 블래더(108)의 쿠션(126)은 상부 채널(152) 내에 수용되어, 쿠션(126)의 제2 말단 단부(130b)도 또한 밑창 구조체(100)의 후방 영역(26)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쿠션(126)의 제2 말단 단부(130b)는 밑창 구조체(100)의 후방 단부(14)에서 볼스터(11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완충 요소(114)의 제2 단부(136)와 협동한다.
도 7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레이들(116)은 샤시(106)를 형성하도록 완충 요소(114)와 협동한다. 특히, 크레이들(116)은 완충 요소(114)의 하부 리셉터클(14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힐 영역(24)과 후방 영역(26)에서 샤시(106)의 저부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된 경우, 블래더(108)는 완충 요소(114)와 크레이들(116) 사이에 개재된다. 도시한 예에서, 크레이들(116)은 힐 영역(24)의 제1 단부(158)에서 후방 영역(26)의 제2 단부(160)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제2 단부(160)는 밑창 구조체(100)의 볼스터(112)를 형성하도록 완충 요소(114)의 제2 단부(136) 및 쿠션(126)의 제2 말단 단부(130b)와 협동한다.
크레이들(116)은 상측부(162)와, 크레이들(116)에 있어서 상측부(12) 반대측에 형성되는 저측부(16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크레이들(116)의 상측부(162)는 한 쌍의 하부 채널(168)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중심 스파인(16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된 경우, 하부 중심 스파인(166)은 상부 중심 스파인(150)에 면하거나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채널(168)은 상부 채널(152)에 대향하거나 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하부 중심 스파인(166)은 블래더의 하부 포켓(132b)와 정합하고, 하부 채널(168)은 블래더(108)에 있는 쿠션의 하부 부분[예컨대, 하부 배리어층(118b)]을 수용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이들(116)의 저측부(140)는 하부 중심 스파인(166) 반대측에 형성된 공동(170)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170)은 타원 형상일 수 있고, 크레이들(116)의 중심 부분을 따라 제1 단부(158)에서 제2 단부(160)로 연장된다.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되고 크레이들(116)이 하부 리셉터클(148)에 수용된 경우, 크레이들(116)의 저측부는 완충 요소(114)의 저측부(140)와 동일 높이로 되어, 외창(104)을 부착하기 위한 중창(102)의 저부를 따라 거의 연속적인 지면 대향면(172)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중창(102)은 상부 리셉터클(144)을 위한 커버(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74)는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138) 상의 인장 디바이스(402)와 캡술(404) 위에 배치되어, 인장 디바이스(402)와 발의 발바닥면 사이에 탄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커버(174)의 상측부는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와 동일 높이로 되어, 풋베드(110)를 따라 중창(102)의 거의 연속적인 발 지지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 요소(114), 크레이들(116) 및 커버(174)는 발포체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여, 착화자의 발에 대한 완충, 반응성 및 에너지 분배 특성을 부여한다. 완충 요소(114) 및 크레이들(116)을 위한 예시적인 탄성 폴리머 재료는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발포 또는 몰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머, 방향족 폴리머, 또는 이들 양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호모폴리머, 코폴리머(테르폴리머 포함) 또는 이들 양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올레핀 호모폴리머, 올레핀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EVOH 코폴리머,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불포화 단일 지방산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 아세테이트, 폴리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이들의 유도체, 이들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이오노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태에서, 이오노머 폴리머는 카르복실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이들의 염(예컨대,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등), 및/또는 이들의 무수물을 갖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오노머 폴리머(들)는 하나 이상의 지방산 개질 이오노머 폴리머,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 에틸렌-메타크릴산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부티렌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코폴리머(예컨대,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 코폴리머)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예컨대, 교차결합 폴리우레탄 및/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천연 고무 및/또는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과 같은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폴리머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는 온도 및/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기체로 상전이하는 물리적 발포제 또는 그 활성 온도보다 높게 가열될 때에 기체를 형성하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될 수 있다. 예컨대, 화학적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중탄산나트륨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아조 화합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포 폴리머 재료는 교차결합 발포 재료일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다이큐밀 퍼옥사이드와 같은 퍼옥사이드계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발포 폴리머 재료는 안료, 개질 또는 천연 점토, 개질 또는 비개질 합성 점토, 활석 유리 섬유, 분말형 유리, 개질 또는 천연 실리카, 탄산칼슘, 운모, 종이, 우드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폴리머 재료는 몰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탄성 폴리머 재료가 성형 엘라스토머인 경우, 미경화 엘라스토머(예컨대, 고무)가 밴버리 혼합기(Banbury mixer)에서 황 기반 또는 퍼옥사이드 기반 경화 패키지와 같은 선택적인 충전제 및 경화 패키지와 혼합되고, 캘린더링되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고, 몰드 내에 배치되어 가황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해당 재료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와 같은 몰딩 프로세스 중에 발포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가 사출 성형 시스템의 배럴에서 용융되고,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제 및 선택적으로 가교제와 결합된 다음, 발포제를 활성화하는 조건 하의 몰드 내로 주입되어, 성형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 재료인 경우, 발포 재료는 압축 성형 발포체일 수 있다. 압축 형성은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예컨대, 밀도, 강성 및/또는 듀로미터)을 변경하거나 발포체의 물리적 외관을 변경하기 위해(예컨대, 2개 이상의 발포체 부재를 융해하거나, 발포체를 성형하는 등), 또는 이들 양자 모두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압축 성형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를 사출 성형하고 발포시키는 것에 의해, 발포 입자 또는 비드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발포 시트 원료를 절단하는 것 등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발포 프리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시작된다. 압축 성형 발포체는 그 후, 발포 폴리머 재료(들)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프리폼을 압축 몰드에 배치하고, 폐쇄된 몰드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폼을 압축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리폼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몰드가 폐쇄되고 나면, 충분한 열 및/또는 압력이 압축 성형 발포체의 외면 상에 스킨을 형성하거나, 개별 발포 입자를 서로 융해하거나, 발포체(들)의 밀도를 영구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프리폼(들)을 변경하기에 충분한 지속 시간 동안 폐쇄형 몰드에서 하나 이상의 프리폼에 인가된다. 가열 및/또는 압력 인가에 이어서, 몰드가 개방되고, 성형 발포 물품이 몰드로부터 제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외창(104)은 밑창 구조체(100)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시한 예에서, 외창(104)은 중창(102)의 지면 대향면(172)을 따라 연장되는 발바닥부(176)와, 신발류 물품(10)의 양측부(16, 18)에서 발바닥부(176)로부터 연장되는 선택적 측부 부분(178, 180)을 포함한다. 외창(104)과 외창(104)의 구성요소(176, 178, 180)는 중창(102)을 향하는 내면(182)과, 내면(182) 반대측에 형성되는 외면(18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7, 도 11 및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창(104)의 발바닥부(176)는 중창(102)의 지면 대향면(172)과 거의 일치하고, 이에 따라 외창(104)은 힐 영역(24)에서 크레이들(116)의 공동(170) 내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외창(104)의 외면(184)은 힐 영역(24)의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이들(116)의 공동(170)은 크레이들(116)에 있어서, 블래더(108)의 하부 포켓(132b)과 정합하고 웨브 영역(122)에 맞닿는 하부 중심 스파인(166) 반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블래더(108)의 웨브 영역(122)은 공동(170) 위에 배치되고, 힐 영역(24)에 걸친 트램펄린형 구조를 제공한다.
측부 부분(178, 180)은 중창(102)의 바깥 측부(16)를 따라 발바닥부(176)로부터 연장되는 바깥 측부 부분(178)과, 중창(102)의 안쪽 측부(18)를 따라 발바닥부(176)로부터 연장되는 안쪽 측부 부분(180)을 포함한다.
갑피(200)는, 서로 협동하여 내부 공간(202) 및 발목 개구(204)를 획정하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을 갖는 엔클로저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협동하여 밑창 구조체(100) 상에서 발을 지지하도록 발을 수용하고 고정한다. 예컨대, 갑피(200)는 내부 공간(202)의 대향 측부 상의 중족 영역(22)에 있는 한 쌍의 쿼터 패널(quarter panel)(206)을 포함한다. 스로트(throat)(208)가 갑피(200)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발목 개구(204)에서 전족 영역(20)까지 쿼터 패널(206)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등 영역을 획정한다. 도시한 예에서, 스로트(208)는 밀폐되고, 이때 재료 패널이 발등 영역의 대향하는 쿼터 패널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내부 공간(202)을 덮는다. 여기에서, 스로트(208)를 덮는 재료 패널은 쿼터 패널(206)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의 갑피(200)는 발목 개구(204)의 바깥 측부(16) 및 안쪽 측부(18)를 따라 힐 영역(24) 전반에 걸쳐 연장되는 힐 측부 패널(210)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설명될 수 있다. 힐 패널(212)은 신발류 물품(10)의 후방 단부(14) 주위를 둘러싸고, 힐 측부 패널(210)과 연결된다. 스로트(208), 힐 측부 패널(210) 및 힐 패널(212)의 최상위 에지들은 서로 협동하여, 칼라(214)를 형성하고, 이 칼라는 내부 공간(202)의 발목 개구(204)를 획정한다.
선택적으로, 갑피(200)는 스로트(208)를 따라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장 스트랩(2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장 스트랩(216)은 바깥 측부(16)의 제1 단부로부터 안쪽 측부(18)의 제2 단부로 스로트(208)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도시한 예에서, 인장 스트랩(216)은 수동 인장 요소로서 마련된다. 즉, 인장 스트랩(216)은 능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갑피(200)의 스로트(208)에 대해 연속적인 인장을 제공한다. 인장 스트랩(216)은 갑피(208)의 스로트(208)에 걸친 연속적인 인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200)는 내부 공간(202)을 획정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제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200)를 위한 적절한 재료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륙, 발포체, 가죽 또는 합성 가죽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갑피(200)는 신발류 물품(10)의 조임 상태와 풀림 상태 중 어느 하나로의 변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갑피(200)의 상이한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비탄성 또는 비연신성 재료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탄성 또는 연신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탄성 재료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판덱스(spande), 엘라스테인(elastane), 고무 또는 네오프렌(neoprene)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 직물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탄성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나일론, 피혁, 비닐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 또는 탄성 특성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재료/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은 갑피(200)에 밑창 구조체(100)를 연결하고 갑피(200)를 보강 및 지지하는 지지 시스템(300)을 더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시스템은 후방 단부(14)에서 갑피(200)에 밑창 구조체(100)를 연결하는 지지대 또는 브레이스(302)와, 전방 단부(12)에서 갑피(200)에 밑창 구조체(100)를 연결하는 선택적인 토우 클립(toe clip)(304)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브레이스(302)는 제1 단부에 형성된 받침대(306)와, 제2 단부에 형성된 힐 클립(308)을 포함한다. 대체로, 받침대(306)는 밑창 구조체(100)의 후방 단부(14)에서 볼스터(112)에 부착되어 볼스터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받침대(306)는 볼스터(112)에 부착된 베이스부(310)와 베이스부(310)에서 갑피(200)의 힐 패널(212)에 인접한 원위 단부(314)로 상향 연장되는 네크부(3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볼스터(112)는 신발류 물품(10)의 후방 단부(14)에서 힐 패널(212)을 넘어 돌출하기 때문에, 네크부(312)는 후방 단부(14)에서 볼스터(112)와 힐 패널(212) 사이에 간극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계속해서 참고하면, 힐 클립(308)은 네크부(312)의 원위 단부(314)에서 받침대(306)에 연결되고, 갑피(200)의 힐 패널(212)에 부착된다. 따라서, 네크부(312)는 볼스터(112)에 부착된 베이스부(310)와 힐 패널(212)에 부착된 힐 클립(308) 사이에서 연장되어 베이스부와 힐 클립을 연결한다. 힐 클립(308)은 아치형이고, 힐 패널(212) 둘레에서 바깥 측부(16)의 힐 측부 패널(210)에 인접한 제1 단부(316a)로부터 안쪽 측부(18)의 힐 측부 패널(210)에 인접한 제2 단부(316b)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지지 시스템(300)은 힐 클립(308)과 갑피(200)의 힐 패널(212) 사이에 배치되는 힐 카운터(3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힐 카운터(318)는 후방 단부(14)에서 밑창 구조체(10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힐 카운터(318)는 밑창 구조체(1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받침대(306)의 네크부(312)를 통해 밑창 구조체(100)의 볼스터(112)에 간접적으로만 연결된다. 힐 카운터(318)는 탄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후방 단부(14)에서 갑피(200) 둘레를 추가로 완충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인장 시스템(400)은 밑창 구조체(100)에 있는 캡슐(404) 내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402)를 포함한다. 인장 시스템(400)은 케이블(406)과, 케이블(406)을 밑창 구조체(100)를 통과하여 갑피(200)를 따르게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케이블 안내부(40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장 시스템(400)은 케이블(406)을 라우팅하고 케이블(406)의 장력을 갑피(200)를 따라 분배하기 위해 갑피(200)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내부(408)를 포함한다.
케이블(406)은 윤활성이 매우 높을 수도 있고/있거나, 낮은 탄성계수 및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섬유는 높은 강도 대 중량 비와 낮은 탄성을 갖는, 모듈러스가 높은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케이블(406)은 성형 모노필라멘트 폴리머 및/또는 기타 윤활 코팅이 있거나 없는 직조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케이블(406)은 함께 직조된 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인장 시스템(400)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 안내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안내부(408)는 강성의 저마찰 재료(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로 형성될 수 있고, 인장 요소(410)를 수용하기 위한 아치형 내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케이블 안내부(408)의 내면(즉, 케이블 접촉면)은 내부에서의 케이블(406)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윤활성 폴리머(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와 같은 저마찰 재료로 라이닝되거나 코팅된다. 케이블 안내부(408)를 저마찰 재료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레이싱 패턴이 취하는 턴의 횟수가, 케이블 경로 전반에 걸친 마찰 레벨을 불리하게도 높이는 일 없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케이블(406)은,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와 풀림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케이블 안내부(408) 및 인장 디바이스(402)와 협동하는 인장 요소(410)를 포함한다. 인장 요소(410)는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로 변경하도록 조임 방향(DT)으로 그리고 신발류 물품(10)이 풀림 상태로 변하게 하도록 풀림 방향(DL)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시한 예에서, 조임력(FT)은 밑창 구조체에 배치되는 전동식 인장 디바이스(402)에 의해 인장 요소(410)에 인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요소(410)는 갑피(200)의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인장 디바이스(402) 내에서 서로 연결되는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와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인장 요소(410)의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는 바깥 측부(16)의 바이트 라인(bite line)(28)에 부착된 제1 단부(416)를 포함하고, 갑피(200)의 바깥 측부(16)의 쿼터 패널(206)을 따라 라우팅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인장 요소(410)의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는 안쪽 측부(18)의 바이트 라인(28)에 부착된 제2 단부(418)를 포함하고, 갑피(200)의 안쪽 측부(18)의 쿼터 패널(206)을 따라 라우팅된다. 각각의 인장 스트랜드(412, 414)는 밑창 구조체(100)와 갑피(200)의 스트로벨 사이에서 갑피(200)의 각 측부로부터 인장 디바이스(402)까지 라우팅되고, 인장 디바이스(402) 내에서 다른 인장 스트랜드(412, 414)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바깥 측부(16)에서는,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가 전족 영역(20)에 인접한 지점에서 신발류 물품(10)의 바이트 라인(28)에 부착되는 인장 요소(410)의 제1 단부(416)를 포함한다. 제1 단부(416)로부터,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는 대안으로서 바깥 측부 쿼터 패널(206)을 따라 배열되는 일련의 케이블 안내부(408)를 따라 바이트 라인(28)과 스로트(208) 사이에서 라우팅된다. 이때,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는 힐 영역(24)에 있는 바이트 라인(28)에 인접한 케이블 안내부(408)들 중 하나에서 인장 디바이스(402)로 라우팅된다. 갑피(200)의 바깥 측부(16)에서 인장 디바이스(402)로 연장되는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의 부분은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138)와 갑피(200)의 스트로벨 사이에서 라우팅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안쪽 측부(18)에서는,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가 전족 영역(20)에 인접한 지점에서 신발류 물품(10)의 바이트 라인(28)에 부착되는 인장 요소(410)의 제2 단부(418)를 포함한다. 제2 단부(418)로부터,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는 대안으로서 안쪽 측부 쿼터 패널(206)을 따라 배열되는 일련의 케이블 안내부(408)를 따라 바이트 라인(28)과 스로트(208) 사이에서 라우팅된다. 이때,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는 힐 영역(24)에 있는 바이트 라인(28)에 인접한 케이블 안내부(408)들 중 하나에서 인장 디바이스(402)로 라우팅된다. 갑피(200)의 안쪽 측부(18)에서 인장 디바이스(402)로 연장되는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의 부분은 완충 요소(114)의 상측부(138)와 갑피(200)의 스트로벨 사이에서 라우팅된다.
도시한 예에서, 인장 디바이스(402)는 전동식 인장 디바이스이고, 이에 의해 인장 요소(410)는 인장 디바이스(402)로부터 인장 요소(410)를 연장 및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풀림 방향(DL)과 조임 방향(DT)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인장 디바이스(402)는 바깥쪽 인장 스트랜드(412)와 안쪽 인장 스트랜드(414) 각각을 동시에 감고 풀기 위한 전동식 스풀(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디바이스(402)는 스풀을 조임 방향 및 풀림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20)는 인장 디바이스(420)의 바깥 측부 상의 버튼(420)으로서 구성된다. 버튼(420)은 캡슐(404)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완충 요소(114)의 바깥 측부에 있는 구멍(146)을 통해 노출된다.
인장 요소(410)는 인장 디바이스(402) 내에서 감기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412, 414)의 유효 길이[즉, 인장 디바이스에서 각각의 단부(416, 418)까지의 스트랜드(412, 414)의 길이]가 감소되고, 이로 인해 바이트 라인(28)에 인접하게 배치된 케이블 안내부(408)가 갑피(200)의 각 측부 상의 스로트(208)에 인접하게 배치된 케이블 안내부(408)를 향해 당겨진다. 반대로, 인장 요소(410)가 인장 디바이스(402)로부터 풀릴 때, 인장 스트랜드(412, 414)의 유효 길이는 증가하고, 이로 인해 스로트(208)에 인접한 케이블 안내부(408)가 바이트 라인(28)에 인접한 케이블 안내부(408)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장 스트랜드(412, 414)가 갑피(200)의 측부를 따라 풀어진다.
아래의 항은 전술한 신발류 물품, 신발류 물품을 위한 블래더 또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의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으로서,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 및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2 단부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4: 제3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5: 제2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8: 제7항에 있어서,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9: 제8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1: 신발류 물품으로서,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 및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1 단부와 갑피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2: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4: 제13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5: 제12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8: 제17항에 있어서,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19: 제18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전술한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총망라하거나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가능하다면 상호 교환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 않더라도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또한 여러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본 개시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그러한 수정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신발류 물품으로서,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 및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를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2 단부와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2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footbed)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bolster)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cradle)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11. 신발류 물품으로서,
    전족 영역의 제1 단부에서 힐 영역의 제2 단부로 연장되는 갑피; 및
    갑피에 부착되고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를 포함하고,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제1 단부와 갑피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갑피의 제2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는 블래더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를 갑피의 제2 단부에 연결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밑창 구조체의 후방 단부에 부착되는 받침대와,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갑피의 제2 단부로부터 이격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12항에 있어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힐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서 갑피의 제2 단부에 부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힐 카운터에 부착되는 힐 클립을 포함하고, 힐 클립은 제1 재료로 형성되며, 힐 카운터는 제1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풋베드와, 후방 단부에서 풋베드로부터 연장되는 볼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블래더의 일부는 밑창 구조체의 볼스터 내에 위치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18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제1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 요소와, 제2 재료를 포함하는 크레이들을 포함하고, 블래더는 완충 요소와 크레이들 사이에 수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는 내부에 배치되는 인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인장 디바이스는 갑피를 풀림 상태와 조임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기 위해, 인장 부재를 수용하고, 인장 부재를 연장 상태와 후퇴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KR1020227043487A 2020-05-22 2021-05-2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KR20230006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9118P 2020-05-22 2020-05-22
US63/029,118 2020-05-22
US17/326,962 US20210361027A1 (en) 2020-05-22 2021-05-21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7/326,962 2021-05-21
PCT/US2021/033794 WO2021237189A1 (en) 2020-05-22 2021-05-22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021A true KR20230006021A (ko) 2023-01-10

Family

ID=7860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487A KR20230006021A (ko) 2020-05-22 2021-05-2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61027A1 (ko)
EP (1) EP4152992A1 (ko)
JP (1) JP2023526653A (ko)
KR (1) KR20230006021A (ko)
CN (1) CN115915994A (ko)
WO (1) WO20212371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257B1 (ko) * 2023-04-11 2023-09-20 주식회사 지앤에프 착용감을 개선한 골프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679B2 (en) * 2019-09-25 2022-11-08 Nike, Inc. Foot support components for articles of footwear
USD965262S1 (en) * 2020-03-24 2022-10-04 Nike, Inc. Shoe
WO2023114769A1 (en) * 2021-12-17 2023-06-22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1453A (en) * 1940-12-30 1941-11-04 Trimfoot Company Shoe
US4972613A (en) * 1989-10-10 1990-11-27 Wolverine World Wide, Inc. Rear entry athletic shoe
WO1993020725A1 (en) * 1992-04-09 1993-10-28 A.D. One Sports, Inc.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JP2764805B2 (ja) * 1996-01-26 1998-06-11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ブーツのバックサポート
FR2745691B1 (fr) * 1996-03-06 1998-05-29 Salomon Sa Batte a tige souple munie d'une ossature de renfort, notamment pour la pratique du surf sur neige
US6018892A (en) * 1997-09-04 2000-02-01 Reebok International Ltd. Internal collar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CN1210147C (zh) 1998-09-11 2005-07-13 耐克国际有限公司 柔韧性膜
US7290357B2 (en) * 2003-10-09 2007-11-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20050138846A1 (en) * 2003-12-31 2005-06-30 O'connor Michael J. Shoe heel protector
FR2891117B1 (fr) * 2005-09-28 2007-12-28 Salomon Sa Chaussure qui ameliore le maintien d'un talon
US7814685B1 (en) * 2006-12-13 2010-10-19 Tankson Vincent E Shoe heel cover
US20110179669A1 (en) * 2010-01-28 2011-07-28 Brown Shoe Company, Inc.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CN107072349B (zh) * 2014-10-31 2020-06-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包含周界囊状元件的鞋类物品、用于其的制造方法
US9848674B2 (en) * 2015-04-14 2017-12-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weight-activated cinching apparatus
US9867426B2 (en) * 2016-03-08 2018-01-1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xtender
US11026476B2 (en) * 2018-07-17 2021-06-08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20220287408A1 (en) * 2021-03-15 2022-09-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257B1 (ko) * 2023-04-11 2023-09-20 주식회사 지앤에프 착용감을 개선한 골프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2992A1 (en) 2023-03-29
WO2021237189A1 (en) 2021-11-25
JP2023526653A (ja) 2023-06-22
CN115915994A (zh) 2023-04-04
US20210361027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649B2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TWI832233B (zh)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及包含其之鞋類物品
US20230218040A1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57289B1 (ko)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US11844396B2 (en)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KR20230006021A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US11528960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20220395058A1 (en) Sole structure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220287408A1 (en) Article of footwear
US20230000208A1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20210368923A1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CN117460439A (zh) 用于鞋类制品的鞋底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