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615A -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4615A KR20230004615A KR1020227039681A KR20227039681A KR20230004615A KR 20230004615 A KR20230004615 A KR 20230004615A KR 1020227039681 A KR1020227039681 A KR 1020227039681A KR 20227039681 A KR20227039681 A KR 20227039681A KR 20230004615 A KR20230004615 A KR 202300046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achment portion
- tooth
- teeth
- fixing member
- pati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치열 교정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복수의 부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부착 부분 각각은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부착 부분의 형상은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해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제PCT/US2020/70017호와, 2020년 5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704,545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며, 상기 문헌들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아래의 출원들: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 시스템 및 방법(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6/865,323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 시스템 및 방법(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제PCT/US20/31211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3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4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제PCT/US2020/70017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와 관련 제조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2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장치와 관련 제조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제PCT/US20/70016호; 2020년 1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956,290호; 그리고 2019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842,391호와 관련이 있으며, 이들 출원 각각은 전체적으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기술은 치열 교정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치아에 치열 교정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술에 있어서 공통의 목표는 환자의 치아를 치아가 최적으로 그리고 심미적으로 기능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치열 교정 전문의는 치아의 초기 위치와 원하는 종결 위치 사이의 일련의 교정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의 복수의 스캔 및/또는 의치 틀(impression)을 얻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치열 교정 전문의는 두 가지 주요 장치 유형: 즉, 교정기 또는 정렬기 중의 하나에 환자를 맞춘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는 브래킷과 치아의 전면을 가로질러서 배치된 치열궁선(archwir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타이 또는 결찰 와이어로 치열궁선을 브래킷에 고정시킨다. 몇몇 경우에는, 타이나 와이어 대신에 자가 결찰 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다. 치열궁선의 형상과 강성(stiffness)뿐만아니라 치열궁선-브래킷 상호작용이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이로 인한 치아 이동의 방향과 정도를 결정한다. 치아에 원하는 힘을 가하기 위해, 치열 교정 전문의는 종종 손으로 치열궁선을 구부린다. 치열 교정 전문의는 정기적인 치료 예약을 통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그동안 치열 교정 전문의는 치료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치열궁선(예를 들면, 새로운 만곡부)을 손으로 조정하고 및/또는 브래킷을 교체하거나 위치조정한다. 조정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자에게 지루하며 치료 예약 후 며칠 동안 환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더욱이, 교정기는 심미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으며 칫솔질, 치실질 및 다른 치과 위생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정렬기는 최종 치아 배열을 만들어내기 위해 치아를 수용하고 위치조정하도록 형상화된 공동을 가진 투명하고 제거가능한 폴리머 쉘을 포함한다. "인비저블 교정기"라고 불리는 정렬기는 환자들에게 교정기보다 크게 향상된 심미성을 제공한다. 정렬기는 치열 교정 전문의가 와이어를 구부리거나 브래킷을 위치조정할 것을 요하지 않으며 대체로 교정기보다 더 편안하다. 하지만, 교정기와 달리, 정렬기는 모든 부정교합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는 없다. 밀어내기(extrusion), 병진이동 및 특정 회전과 같은 특정 치아 위치조정 단계는 정렬기로 달성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정렬기는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치료의 성공은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에 크게 좌우되며, 이는 예측할 수 없고 일관성이 없을 수 있다.
설측 교정기(lingual brace)는 정렬기 및 종래의 (협측) 교정기의 대안이며 최근에 인기를 얻고 있다. 기존 설측 교정기의 두 가지 예는 IncognitoTM Appliance System(쓰리엠(3M), 미국)과 INBRACE®(스위프트 헬스 시스템즈(Swift Health Systems),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이며, 이들의 각각은 치아의 설측, 즉 혀측에 배치된 치열궁선과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와 대비하여, 설측 교정기는 거의 눈에 보이지 않으며, 그리고 정렬기와 달리, 설측 교정기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어 순응을 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설측 장비에도 몇 가지 단점이 있다. 가장 주목할만한 단점은, 종래의 설측 장치가 여전히 브래킷-치열궁선 시스템에 의존하여 치아를 움직이기 때문에 진료실을 여러 번 방문해야 하고 고통스러운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설측 장비는 브래킷 간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대체로 치열궁선의 순응도(compliance)가 더 뻣뻣해진다. 결과적으로, 전체 설측 장치는 치열궁선 조정에 더 민감하고 환자에게 더 많은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설측 장치의 설측 표면은 혀를 자극하여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설측 장치를 청소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치열 교정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아래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되어 있다. 본 기술의 실시형태의 다양한 예는 편의를 위해 번호가 매겨진 항목(clause)(1, 2, 3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기술을 제한하지 않는다.
1. 환자의 치아를 따라 환자의 입안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로서, 상기 치열 교정 장치는
고정 부재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부착 부분; 그리고
각각의 연결기가 인접한 부착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복수의 연결기;
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치열 교정 장치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상기 부착 부분이 부착되는 치아에 대한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occlusogingival movement) 및 근원심 방향의 이동(mesiodistal movement)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고정 부재의 부분들과 인접해 있게 구성되도록 제1 부분은 대체로 근원심 크기(mesiodist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고 제2 부분은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occlusogingiv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다.
2. 항목 1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로부터 중간 치아 배열(ITA) 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로 이동시키기 위해 환자의 입안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 항목 1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 장치는 치아가 치료되어 최종 치아 배열(FTA)로 배열된 후 리테이너(retainer)로서 환자의 입안에 영구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치열 교정 장치는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실질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 항목 1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이동시키고 치아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로 배열된 후 리테이너로서 환자의 입안에 남아 있도록 환자의 입안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브래킷이다.
6. 항목 1 내지 항목 4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복합 재료이다.
7. 항목 1 내지 항목 4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는 브래킷과 복합 재료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제2 부분이 제1 부분에 대체로 수직이다.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의 어느 한 항목의 치열 교정 장치에 있어서, 부착 부분과 연결기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체 구조의 상이한 부분이다.
10.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는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부재의 제2 측면은:
윤곽적 특징부(topographical feature)가 없는 표면의 표면적과 비교하여 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윤곽적 특징부를 가진 표면; 및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대응하는 부착 부분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distally-facing surface)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 이동(distal movement)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mesially-facing surface);
대응하는 부착 부분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 이동(mesial movement)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대응하는 부착 부분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gingivally-facing surface)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 이동(gingival movement)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occlusally-facing surface); 및
대응하는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occlusal movement)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
을 포함하고 있다.
11. 항목 1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표면을 따라서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12. 항목 1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표면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4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4개의 돌출부 각각은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와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다.
13. 항목 10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제1 측면은 상기 윤곽적 특징부 및/또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14. 항목 10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윤곽적 특징부는 복수의 함몰부(depression)를 포함한다.
15. 항목 10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윤곽적 특징부는 복수의 융기부(bump)를 포함한다.
16. 항목 10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윤곽적 특징부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어 있다.
17. 항목 10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윤곽적 특징부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18. 항목 10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표면을 따라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사이에 오목부(recess)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보적인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9. 항목 18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열십자 형상(cross shape)을 포함한다.
20. 항목 10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lingual surface)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1. 치아의 표면에 브래킷을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브래킷은 제1 지지대와 공극(gap)만큼 이격된 제2 지지대를 가지고 있고,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각각은 상기 브래킷이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치아의 표면에 브래킷을 고정하는 단계;
치아를 원래 위치에서 중간 위치 또는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및/또는 치아를 현재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를 상기 공극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상기 공극, 및 적어도 상기 공극 내의 상기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 위에 경화성 복합 재료를 위치시켜, 상기 치열 교정 장치를 상기 브래킷에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항목 2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이 비경화성 재료이다.
23. 항목 2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금속을 포함한다.
24.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에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1 지지대;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극만큼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및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
을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 상기 공극, 및 상기 부착 부분 위에 경화성 복합 재료를 수용하여, 상기 공극 내에 상기 부착 부분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5. 항목 2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 위로 뻗어 있지 않다.
26. 항목 2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의 설측 표면 위로 뻗어 있지 않다.
27. 항목 2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의 협측 표면(buccal surface) 위로 뻗어 있지 않다.
28. 항목 24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이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2 측면을 가진 뒷받침부(backing)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치아의 상기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상기 뒷받침부에 부착되어 상기 뒷받침부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다.
29. 항목 28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뒷받침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부착 부분과 치아의 상기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상기 공극을 가로질러 놓여 있다.
30. 항목 24 내지 항목 29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1. 항목 24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공극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기 부착 부분의 형상을 모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32. 항목 24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대체로 U자 형상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U자 형상의 개방 단부가 상기 U자 형상의 폐쇄 단부에 대해 교합측에 있다.
33. 항목 24 내지 항목 32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내부에 구부러진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4. 항목 33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교합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5. 항목 33 또는 항목 3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6. 항목 24 내지 항목 35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37. 항목 24 내지 항목 36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38. 항목 24 내지 항목 37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폭은 상기 부착 부분의 폭보다 약간 더 크다.
39. 항목 24 내지 항목 38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양 측면에 있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의 대향 표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40.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에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1 지지대;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극만큼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및
대응하는 부착 부분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
을 가지고 있다.
41. 항목 4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 위로 뻗어 있지 않다.
42. 항목 4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의 설측 표면 위로 뻗어 있지 않다.
43. 항목 4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의 협측 표면 위로 뻗어 있지 않다.
44. 항목 40 내지 항목 43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이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제2 측면을 가진 뒷받침부(backing)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치아의 상기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상기 뒷받침부에 부착되어 상기 뒷받침부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다.
45. 항목 4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뒷받침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부착 부분과 치아의 상기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상기 공극을 가로질러 놓여 있다.
46. 항목 40 내지 항목 45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7. 항목 40 내지 항목 46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공극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기 부착 부분의 형상을 모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48. 항목 40 내지 항목 47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대체로 U자 형상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U자 형상의 개방 단부가 상기 U자 형상의 폐쇄 단부에 대해 치경측에 있다.
49. 항목 40 내지 항목 48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내부에 구부러진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50. 항목 49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51. 항목 49 또는 항목 50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52. 항목 40 내지 항목 51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교합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53. 항목 40 내지 항목 52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54. 항목 40 내지 항목 53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폭은 상기 부착 부분의 폭보다 약간 더 크다.
55. 항목 40 내지 항목 54 중 어느 한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양 측면에 있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의 대향 표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아래의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많은 실시형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동일한 비율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 1 및 도 2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방향 기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환자의 치열에 인접하게 환자의 입에 설치된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연결 구성 선택사항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환자의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 상태와 최종 치아 배열 상태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입의 위 턱과 아래 턱에 설치된 본 기술의 몇 가지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니티놀과 강에 대한 응력-변형률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a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c는 도 11b의 11C-11C 선을 따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측단면도에 대한 변형이다.
도 12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 및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 및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도시된 고정 부재의 분리도(isolated view)이다.
도 13a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 내지 도 15r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도 16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 및 2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5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공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b는 도 25a에 도시된 공구의 말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공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에 결합된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1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고정 부재 내에 수용된 본 기술의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방향 기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환자의 치열에 인접하게 환자의 입에 설치된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연결 구성 선택사항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환자의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 상태와 최종 치아 배열 상태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입의 위 턱과 아래 턱에 설치된 본 기술의 몇 가지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니티놀과 강에 대한 응력-변형률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a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c는 도 11b의 11C-11C 선을 따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c에 도시된 측단면도에 대한 변형이다.
도 12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 및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 및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도시된 고정 부재의 분리도(isolated view)이다.
도 13a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 내지 도 15r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환자의 입안에 위치된 도 16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 및 2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5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공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b는 도 25a에 도시된 공구의 말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공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에 결합된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1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고정 부재 내에 수용된 본 기술의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Ⅰ.
정의
도 1 및 도 2는 환자의 치열과 관련된 여러가지 방향 용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해부학적 방향 또는 배향(ori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설명하고 있는 구조가 도면에서 입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환자의 입에 설치된 장치의 다른 배향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근심측(mesial)"은 환자의 만곡된 치열궁(dental arch)을 따라 환자 얼굴의 정중선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측(distal)"은 환자의 만곡된 치열궁을 따라 환자 얼굴의 정중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교합측(occlusal)"은 환자의 치아의 씹는 표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치경측(gingival)"은 환자의 잇몸 또는 치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안면측(facial)"은 환자의 입술 또는 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본 명세서에서는 "협측(buccal)" 및 "순측(labial)"과 서로 바꾸어 사용됨); 그리고 "설측(lingual)"은 환자의 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근위(proximal)"와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주어진 기준점으로부터 각각 더 가깝고 더 먼 위치를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기준점은 고정기구(anchor)와 같은 특정 연결기이며, "근위"와 "원위"는 기준 연결기에서 분기된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서 기준 연결기로부터 각각 더 가깝고 더 먼 위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대체로", "실질적으로", "약"이라는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정도의 용어가 아니라 근사치의 용어로 사용되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인식할 수 있는 측정되거나 계산된 값에 있어서의 내재하는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오퍼레이터"라는 용어는 치열 교정 장치 또는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를 설계 및/또는 제조하거나, 및/또는 치열 교정 장치 또는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의 설계 및/또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임상의, 개업의, 기술자 또는 임의의 사람 또는 기계, 및/또는 상기 장치를 환자의 입에 설치하는 것 및/또는 상기 장치와 관련된 환자의 후속 치료와 관련된 임의의 사람 또는 기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힘"이라는 용어는 힘, 토크, 또는 이들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Ⅱ.
본 기술의 치열 교정 장치의 개요
도 3a는 환자의 치아에 인접한 환자의 입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된,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00)(또는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상기 장치(100)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상기 장치(100)는 치아 전부 또는 치아의 일부를 위치조정하기 위해서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힘을 가하기 위해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몇몇 경우에는, 상기 장치(100)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리테이너로서, 하나 이상의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고정 부재(160)를 통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분(140)(각각 상자 모양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는 각각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직접 뻗어 있거나("제1 연결기(104)"), 부착 부분(140)과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거나("제2 연결기(106)"), 두 개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다("제3 연결기(108)"). 도시의 편의상 도 3a에는 단지 두 개의 부착 부분(140)과 두 개의 연결기(102)가 나타내져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기(102)와 부착 부분(140)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상기 장치(100)가 설치될 때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원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연결기(102)의 다른 구성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이동될 치아들 중의 하나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16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착 부분(140)들 중의 하나 이상이 치아에 고정 부재 또는 다른 연결 접속부(connection interface)없이 상응하는 치아에 직접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서 "브래킷 연결기" 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주어진 장치(100)의 서로 다른 부착 부분(140)들이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 및/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부착 부분들(비제한적인 예로서, 부착 부분(1104, 1204, 1204', 1304, 1404, 1504, 1604, 1804, 1904, 2004, 2104, 2204, 2304, 2404)을 포함한다)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 본 명세서에 개시된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 중의 임의의 하나뿐만 아니라,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원하는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장치(100)를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들에 단단히 부착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갯수의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복수의 부착 부분(140)이 한 개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모든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 치아보다 적은 수의 부착 부분, 또는 치아보다 많은 수의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와 상기 부착 부분(140)들 중의 하나 이상이 한 개의, 두 개의, 세 개의, 네 개의, 다섯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연결기(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기(102)는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직접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mesiodist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occlusogingival dimension) 및/또는 협설측 크기(buccolingu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기(102)가 하나 이상의 부착 부분(140)과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 및/또는 협설측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만 포함한다. 제2 연결기(106)와 제2 연결기(106)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아암"(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의 아암(130))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제2 연결기(106)가 상기 장치(100)를 따라서 동일한 위치로부터 동일한 부착 부분(140)까지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의 제2 연결기(106)와 부착 부분(140)이 함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아암"을 구성한다. 상기 장치(100)의 두 지점을 연결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연결기를 사용하면 각각의 연결기에 대한 변형률(strain)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일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한 개의 연결기에 비해)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고정 변위 치료(fixed displacement treatment)의 공간적 제약을 고려할 때 특히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연결기(102)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 및/또는 협설측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3 연결기(108)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상기 제1 연결기(104)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치경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기(106)에 대해 공통 부착 부분을 제공하는 한 개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각각 뻗어 있는 복수의 비-인접(non-contiguous)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면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환자의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환자의 잇몸 라인(gum line) 아래에 위치되고 치경(gingiva)에 가까이 있지만 치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제3 연결기(108)(또는 상기 장치(100)의 임의의 부분)와 치경간의 접촉은 자극과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3 연결기(108)와 환자의 치경 사이에 작은 공극(예를 들면, 0.5mm 이하)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 내에 배치되면 제3 연결기(10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치경과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 및/또는 제2 연결기(106)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가 부착 부분(140) 또는 연결기(102)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분(140)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연결부위(joint)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위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분(140)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위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a) 제2 연결기(106)와 제3 연결기(108) 사이의 연결부위와, (b) 제2 연결기(106)와 부착 부분(140) 사이의 연결부위 사이에 뻗어 있는 연결기(102)의 한 예가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참고번호 109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기(102)는 각각의 연결기(102) 또는 연결기(102)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치아에 원하는 힘을 가하도록 원하는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주어진 연결기(102)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은 후크의 법칙, 즉 F = κ× x 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식에서 F는 연결기(102)에 의해서 발휘되는 복원력이고, κ는 연결기(102)의 강성 계수이고, 그리고 x는 변위이다. 가장 기본적인 예로서, 연결기(102)가 상기 장치(100)의 두 지점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그 경로를 따르는 강성 계수는 0이고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본 기술의 각각의 연결기(102)는 0이 아닌 다양한 강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이상은 연결기(102)가 두 단부 지점 사이에서 휘어지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뻣뻣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강성 계수가 무한대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이상은 연결기(102)가 관련된 하나의 치아 또는 복수의 치아 또는 다른 연결기(102)에 힘을 가하기 위해(또는 흡수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강성 계수가 0이 아닌 양수이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두 개 이상의 치아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강성 연결기(102)는 본 명세서에서 종종 "강성 바" 또는 "고정기구"라고 칭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성 연결기(102)는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부러짐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의 강성은 특정 형상, 폭, 길이, 두께, 및/또는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비교적 뻣뻣하게 구성된 연결기(102)는, 예를 들면, 연결기(102) 또는 아암에 연결될 치아가 이동되지 않고(또는 제한된 양만큼 이동되고)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금니는 어금니가 대부분의 치아보다 더 큰 뿌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금니를 이동시키는 데 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수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복수의 치아에 고정하는 것이 한 개의 치아에 고정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아에 대하여 치아 집단을 이동시킬 때 강성 연결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가 한 개의 치아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분리된 다섯 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고, 치료 계획이 상기 간격을 메우는 것인 경우를 생각해 보라. 가장 좋은 치료 과정은 통상적으로 한 개의 치아를 다섯 개의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그 반대, 즉, 다섯 개의 치아를 한 개의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다섯 개의 치아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기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모든 이유와 많은 다른 이유로, 상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강성 제1 연결기(104), 하나 이상의 강성 제2 연결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강성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1 연결기(104),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2 연결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요성 연결기(102)는 원하는 정도의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및/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주어진 연결기(102)의 강성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biasing) 부분(150)을 포함시키는 것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다.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가압 부분(150) 각각은 자신이 부착되는 치아에 특정한 맞춤형 힘(customized force)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c에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연결기(102)의 길이방향의 축(L1)(도 3c에는 제2 연결기(106)에 대한 길이방향의 축(L1)과 제3 연결기(108)에 대한 길이방향의 축(L2)만 표시되어 있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에 의해서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토크의 방향과 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형상 고정 조건(shape set conditions),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하나 이상의 양상(aspect)(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은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응하는 아암(130),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원하는 치아 이동을 만들어내도록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한 개의 병진이동 방향, 두 개의 병진이동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병진이동 방향(다시 말해서, 근원심(mesiodistal) 방향, 협설측(buccolingual) 방향, 그리고 교합치경(occlusogingival) 방향)으로 및/또는 한 개의 회전 방향, 두 개의 회전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회전 방향(다시 말해서, 협설측 치근 토크(buccolingual root torque) 방향, 근원심 경사(mesiodistal angulation) 방향 및 근심 아웃-인 회전(mesial out-in rotation)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쪽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의 길이, 폭,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쪽으로 뻗기 전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히도록 구불구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 연결기(106)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두 번 접혀서, 서로에 대해 대체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오목한 구역 및 제2 오목한 구역을 형성한다(하나의 예로서, 도 13b 참고).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에 상응하는 연결기(102)의 개방 고리 또는 중첩 부분은,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의 여분의 길이가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에 대해 중앙의 및/또는 먼쪽의 공간에 의해 수용되도록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의 전체 폭(W)(도 3c)을 이등분하는 평면(P)(도 3c)의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임의의 관련된 제3 연결기(108)와 상기 아암(130)이 치아에 부착되는 위치 사이의 교합-치경 크기 또는 수직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도 불구하고,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가 더 긴 길이(선형 암과 비교하여)를 가질 수 있어서 더 많은 치아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을 향해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형 구간 또는 구역만 가질 수 있거나, 만곡 구역과 선형 구역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만곡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예에 따르면, 한 개의 연결기(102)가 각각의 연결기(102)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연속하여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연결기(102)가 동일하거나 다른 경로를 따라서 두 지점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는, 서로 다른 연결기(102)가 동일한 강성 또는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100)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를 가지고 있는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기(102)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다른 길이, 동일하거나 다른 폭,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특성 중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연결기(102)들 중의 일부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이 없는 연결기(102)는, 예를 들면, 강성 제3 연결기(108)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의 연결기(102)의 어느 것도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지 않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3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한 개의 연속적이고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3 연결기("고정기구(120)"라고 한다)와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나온 복수의 가요성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기 아암(130)의 각각은 이동될 치아들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치아에 특정 힘을 가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각각의 치아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든 치아가 한 개의 치열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에 비해 눈에 띄는 개선을 제공하여, 한 개의 치아의 이동이 하나 이상의 인근의 치아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기술의 상기 장치에 의해 가능하게 된 독립적이고 맞춤화된 치아 이동으로 인해 오퍼레이터가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주기적인 조정을 피하고, 진료실 방문 횟수를 줄이며,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거나 없애고, 전체 치료 시간(다시 말해서, 상기 장치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는 기간)을 종래의 치아 교정기의 전체 치료 시간에 비해 적어도 50%만큼 줄인다. 더욱이, 본 기술에 의해 가능하게 된 독립적이고 맞춤화된 치아 이동으로 인해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그들의 최종 위치에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 내에 편안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상과 크기의 임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암(130)의 하나 이상에 대한 공통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면,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환자의 입에 설치될 때 상기 고정기구(1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환자의 잇몸 라인 아래에 위치되고 치경에 인접하지만 치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상기 고정기구(120)와 치경간의 접촉이 자극과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기구(120)(또는 장치(100)의 임의의 부분)와 환자의 치경 사이에 작은 공극(예를 들면, 0.5mm 이하)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안에 배치될 때 치경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기구(120)는, 각각의 치아에 힘을 가할 때 상기 아암(130)의 각각이 받는 동일한 반대 방향의 힘이 상기 고정기구(120)의 강성과 다른 아암(130)에 의해서 가해진 힘에 의해 상쇄되어, 다른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유효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아암(130)보다 훨씬 더 강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는 각각의 아암(130)이 받는 힘을 나머지 아암(13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켜서, 독립적인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는 길이방향의 축(L2)(도 3c 참조)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100)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을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아치 형상을 형성하는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에 위치될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두 개 이상에 걸쳐 있는 형상과 크기로 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상기 고정기구(120)가 강성의 선형 바를 포함하거나, 선형 세그먼트와 만곡 세그먼트 양자 모두를 가지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예를 들면, 입천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 아래 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 등) 측방향으로 및/또는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한 개의 고정기구 또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100)는 복수의 별개의 이격된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기구는 각각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인접한 아암(130)들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기구(120)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모든 특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제3 연결기(108)에 적용된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아암(130)의 각각은 근위 또는 제1 단부 부분(130a)과 원위 또는 제2 단부 부분(130b)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제1 단부 부분(130a)과 제2 단부 부분(130b) 사이에 뻗어 있는 길이방향의 축(L)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제1 단부 부분(130a)은 상기 고정기구(120) 및/또는 제3 연결기(102/108)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의 제1 단부 부분(130a)이 상기 고정기구(120)와 연속으로 되도록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고정기구(120)와 통합되어 있다. 상기 아암(13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 및/또는 제3 연결기(102/108)의 길이방향의 축(L2)을 따라서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뻗어 나올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은 상기 고정기구(1)의 길이방향 축(L2)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균일한 간격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단부 부분(130b)에 또는 그 근처에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아암(130)의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캔틸레버식으로 뻗어 있어서 캔틸레버식 아암(130)의 제2 단부 부분(130b)은 자유 원위 단부 부분(130b)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부착 부분(140)의 원위 말단은 아암(130)의 원위 말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각각의 아암(130)을 이동될 치아들 중의 하나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예를 들면,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착 부분(140)이 치아에 고정 부재 또는 다른 연결 접속부없이 상응하는 치아에 직접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전히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 부분(150)(도 3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 부분(150) 각각은 자신이 부착되는 치아에 특정한 맞춤형 힘(customized force), 토크 또는 힘과 토크의 결합형태를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서 각각의 아암(130)의 길이방향의 축(L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도 3c 참고). 탄성가압 부분(150)에 의해서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토크의 방향과 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형상 고정 조건,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의 하나 이상의 양상(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은 상기 장치(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원하는 치아 이동을 만들어내도록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한 개의 병진이동 방향, 두 개의 병진이동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병진이동 방향(다시 말해서, 근원심 방향, 협설측 방향, 그리고 교합치경 방향)으로 및/또는 한 개의 회전 방향, 두 개의 회전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회전 방향(다시 말해서, 협설측 치근 토크 방향, 근원심 경사 방향 및 근심 아웃-인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의 길이, 폭,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쪽으로 뻗기 전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히도록 구불구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b에서는, 상기 아암(130)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두 번 접혀서, 서로에 대해 대체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오목한 구역 및 제2 오목한 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에 상응하는 상기 아암(130)의 개방 고리 또는 중첩 부분은, 상기 아암(130)의 여분의 길이가 상기 아암(130)에 대해 중앙의 및/또는 먼쪽의 공간에 의해 수용되도록 상기 아암(130)의 전체 폭(W)을 이등분하는 평면(P)의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아암(130)이 치아에 부착되는 위치 사이의 교합-치경 크기 또는 수직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도 불구하고, 상기 아암(130)이 더 긴 길이(선형 아암과 비교하여)를 가질 수 있어서 더 많은 치아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을 향해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형 구간 또는 구역만 가질 수 있거나, 만곡 구역과 선형 구역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만곡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예에 따르면, 한 개의 아암(130)이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아암(120)의 길이방향의 축(L1)을 따라서 연속으로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아암(130)이 동일한 경로를 따르거나 다른 경로를 따라서 두 지점 사이에 평행하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는, 서로 다른 아암(130)이 동일한 강성 또는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100)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가지고 있는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다른 길이, 동일하거나 다른 폭,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특성 중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들 중의 일부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이 없는 아암(130)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100)의 아암(130)의 어느 것도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환자의 편안함을 고려하면서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갯수의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수의 아암으로 명시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한 개의 아암, 두 개의 아암, 세 개의 아암, 다섯 개의 아암, 열 개의 아암, 열 여섯 개의 아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상기 장치의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보다 많은 치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다시 말해서, 한 개의 아암(130)이 동시에 두 개의 치아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동일한 치아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장치의 임의의 부분은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이 하나 이상의 초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 또는 보다 대체로 아암(130)을 통하여 가해지는 각각의 방향력(directional force)과 관련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이며, 2019년 8월 2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설명되어 있고, 상기 문헌의 전체 개시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장치 및/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은 하나 이상의 초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장치 및/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은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MP35N, 35N LT, 하나 이상의 금속 합금,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하나 이상의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치아의 설측 표면(lingual surface)에 부착된 고정 부재(160)에 아암(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입(M)의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에 설치된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상기 상부 아치와 하부 아치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상기 장치(100)는 환자의 치아의 협측 측면(buccal side)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고정 요소(160) 및/또는 아암(130)은 대안적으로 치아의 협측 표면(buccal surface)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a는 상기 아암(130)이 변형되거나 부하를 받은 상태에서의 원래 치아 배열(OTA) 상태의 치아를 나타내고, 도 4b는 상기 아암(130)이 실질적으로 무부하 상태에서의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의 치아를 나타내고 있다.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OTA)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아암(130)이 처음에 고정 부재(160)에 고정되면, 상기 아암(130)은 "설계된 대로"의 구성과 다른 형상 또는 경로를 취하도록 강요받는다. 탄성가압 부분(150)의 고유 복원력(inherent memory)으로 인해, 상기 아암(130)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설계된 대로의 구성 또는 무부하 구성으로 있는 최종 치아 배열(FTA)을 향해 치아를 이동시키거나 치아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하기 위해서 치아에 연속적인 교정력(corrective force)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치아 위치조정은 한 개의 장치를 사용하여 단일 단계로 달성될 수 있다. 보다 적은 횟수의 진료실 방문 및 보다 짧은 치료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도,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치아 교정기에 비해 치아 이동의 결과로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을 크게 줄이거나 없앤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면, 치열 교정 전문의가 조정(예를 들면, 새로운 치열궁선 설치, 기존의 치열궁선 구부리기, 브래킷 위치조정, 등)을 할 때마다, 영향을 받은 치아는 큰 힘을 받으며 이로 인해 환자는 심한 통증을 느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해진 힘은 종국적으로 새 와이어가 필요할 때까지 약해진다. 그러나,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동안 치아에 지속적으로 이동 발생력(movement-generating force)을 가하고, 이로 인해 치아는 환자에게 (고통이 있다 하더라도) 훨씬 덜 고통스러운 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장치가 치아에 보다 약하고 덜 고통스러운 힘을 가하더라도, 가해지는 힘이 연속적이고 치아가 독립적으로(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나 정렬기보다 최종 치아 배열(FTA)에 더 빨리 도달하는데, 종래의 치아 교정기나 정렬기는 모두 중간 조정을 요하기 때문이다.
많은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 발생력은 종래의 치아 교정기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약하다. 상기 장치가 초탄성 물질(예를 들면, 니티놀)로 이루어지는 실시례에서, 초탄성 물질은 특정 범위의 변형률에 대해 일정 힘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처럼 거동하므로, 가해진 힘은 치아가 이동함에 따라 눈에 띄게 약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c의 니티놀과 강의 응력-변형률 곡선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니티놀에 대한 곡선은 강에 대한 곡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평하다. 따라서, 본 기술의 초탄성 연결기,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아암은 많은 다른 수준의 변형(예를 들면, 휨)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응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주어진 치아에 가해지는 힘은 치료하는 동안, 적어도 치아가 최종 배열에 매우 가깝거나 최종 배열 상태로 될 때까지 치아가 이동할 때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가 치아가 이동하는 동안 항상 치아(또는 복수의 치아)에 최대의 비통증 힘(maximum non-painful force)을 가하도록 통증 역치 바로 아래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통증 없이 가장 효율적인(다시 말해서, 가장 빠른) 치아 이동이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치아 위치조정이 복수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계(또는 복수의 장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례는 원래 치아 배열(OTA)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치아 배열(ITAs)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장치는 첫번째 또는 그 다음 사용 장치가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중간 치아 배열(ITA)로(또는 하나의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고 그 뒤에 제거된 후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치아를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또는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중간 치아 배열(I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장치를 바꾸지 않고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리테이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일단 설치되면, 상기 장치가 환자에 의해 제거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가 환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장치 또는 장치 부분 중의 임의의 것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니티놀(NiTi),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또는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또는 세라믹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구조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구조로 함께 연결된 복수의 따로따로 형성된 구성요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예에서는, 상기 예에서 설명한 강성 바, 브래킷 연결기 및 장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또는 장치의 일부)이,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공정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에 따라, 2차원(2D) 박판 재료로부터 상기 장치의 2차원 형태를 절단하고 이 2차원 형태를 상기 장치의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제작 방법
본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열 교정 장치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프로세스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원하는 결과(예를 들면, 상기 장치에 의해 각각의 치아에 가해지는 원하는 힘, 상기 장치의 원하는 재료 특성, 등)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례에서, 치열 교정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단계의 순서를 언급하더라도, 다양한 실시례에서 상기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단계가 함께 결합될 수 있고, 특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은 추가 단계가 원하는 대로 상기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치열 교정 장치는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OTA)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장치의 요소들은 각각의 치아에 맞춤형 부하(customized load)를 가하여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내거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100)의 아암(130)은 치아에 결합될 수 있고, 최종 치아 배열(FTA)을 향해 원하는 방향으로 치아를 밀어내기 위해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장치(100)의 아암(130)은 안면-설측 축(facial-lingual axis)을 따라 설측으로 치아를 몰아대는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130)의 적절한 크기, 형상, 형상 고정(shape set), 재료 특성 및 다른 측면을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치아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맞춤형 부하가 각각의 치아에 가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은 상기 아암(130)이 결합되는 치아가 자신의 최종 치아 배열(FTA)을 달성하면 힘이 거의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치(100)는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에서 상기 아암(130)이 자신의 작용을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원래 치아 배열(OTA)을 특징짓는 데이터(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를 얻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오퍼레이터는 환자의 치아가 원래 상태 또는 치료 전 상태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 치경 및 선택적으로 다른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광스캐닝, 콘 빔형 컴퓨터 단층촬영(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환자의 의치 틀(patient impressions)의 스캐닝, 또는 다른 적절한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의 원래 치아 배열(OTA)의 디지털 표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의도한 또는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을 특징짓는 데이터(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그리고 많은 경우에 환자의 최종 치아 배열(FTA)의 디지털 표현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치아 배열(FTA)을 특징짓는 데이터는 환자의 치아와 치경의 각각에 대한 좌표(예를 들면, X, Y, Z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환자의 치아의 각각을 환자의 치아 및/또는 치경의 다른 것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세그먼트화 소프트웨어(segmentation software)(예를 들면, iROK Digital Dentistry Studio)를 사용하여 원래 치아 배열(OTA)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가상 치아 및 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가상 치아를 그들의 최종 치아 배열(FTA)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고정 부재의 디지털 모델이 원래 치아 배열(OTA) 디지털 모델에 추가될 수 있다(예를 들면, 고정 부재를 치아 표면에 배치하기 위해 치아 표면 상의 위치를 선택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고정 부재가 부착된 가상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원하는 최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이 얻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이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상응할 수 있고 및/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열처리 고정구 제조에 적합한 모델을 렌더링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MeshMixer 또는 다른 적절한 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하여). 몇몇 실시례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상기 고정 부재(이 고정 부재는 장치(100)의 아암(1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a))를 부재(이 부재는 형상 고정(shape-setting)을 위해 상기 장치에 열처리 고정구의 일시적인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로 대체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치경을 확대 또는 두껍게 하고, 하나 이상의 치아를 제거하고,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조적 구성요소를 추가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부분적으로 기반을 둔 제작된 장치의 일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이 상기 장치가 설치될 때 환자의 치경과 맞물리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치경을 확대하거나 두껍게 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덜 고통스러운 치아 위치조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을 수정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장치 디지털 모델을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지털 모델" 및 "모델"이라는 용어는 대상 또는 대상의 집합의 가상 표현을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장치 디지털 모델"이라는 용어는 상기 장치의 개별 구성요소(예를 들면, 고정기구, 아암, 탄성가압 부분, 부착 부분, 등)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의 구조 및 기하학적 구조(geometry)의 가상 표현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치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디지털 모델은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및/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다. 몇몇 예에 따르면,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의 표면 및 부착 특징에 부합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 대체로 상응하는 윤곽이 있는(contoured) 장치 디지털 모델 즉 3D 장치 디지털 모델이 먼저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3D 장치 디지털 모델은 특정 환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한정되는 상기 아암의 특정 기하학적 구조, 크기 또는 다른 특징 없이, 일반적인 아암 부분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3D 장치 디지털 모델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장치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평평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의 특정 구성(예를 들면, 탄성가압 부분(150)의 기하학적 구조, 상기 고정기구(120)를 따르는 방향의 위치(도 3a), 등)은 상응하는 치아(상기 아암(130)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내기 위해 원하는 힘을 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은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휴지상태(rest)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선택된 아암 구성이 교체되거나 평면 장치 디지털 모델에 통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물리적 기구가 치료 동안 어떻게 작동될 것인지를 평가하기 위해 의도한 장치 설계에 기초하여 물리적 장치를 제작하기 전에 의도한 장치 설계를 평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의 사전 설치 형태가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기 때문에, 일단 물리적 장치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OTA)인 상태에서) 상기 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위치가 치경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물리적 기구의 하나 이상의 이동된 위치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치료 순응도 및/또는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유한 요소 분석법(또는 다른 적절한 컴퓨터를 이용한 기법(computational techniques))은 3D 장치 디지털 모델을 조작하여 제작 전에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D 장치 디지털 모델은 원래 치아 배열(OTA)의 환자의 치아와 맞물리는 위치로 가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유한 요소 분석법을 사용하여). 결과적인 가상 모델(resulting virtual model)은 원래 치아 배열(OTA)의 환자의 치아와 맞물릴 위치로 변형된 후 장치 디지털 모델을 나타낸다. 가상 변형의 출력을 평가하여 상기 물리적 장치가 의도한 대로 작동할 것인지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출력의 평가에 기초하여, 의도한 장치 설계를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거나, 최종 장치 설계를 얻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장치 디지털 모델의 일부가 치경 디지털 모델(gingiva digital model)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장치의 설계가 수정될 수 있고, 장치 디지털 모델이 더 이상 치경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까지 상기 평가가 반복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만족스러운 장치 설계가 달성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처리 고정구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을 이용하여, 열처리 고정구가 그 위에 장치의 형상 고정을 위해 가열을 견디도록 구성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주조되거나, 성형되거나, 3D 프린팅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를 제작하는 것은 먼저 평면 장치 디지털 모델에 기초하여 평면 구성으로 상기 장치를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최종 기구의 평면 형태의 패턴이 박판 재료로부터 잘라내져 평면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는 레이저 절단, 워터 제트, 스탬핑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니티놀 또는 다른 금속 박판(sheet)으로부터 잘라내진다. 재료의 두께는, 예를 들면, 원하는 재료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재료를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 에칭, 증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치 전체에 걸쳐서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치료용 3D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평면 부재(예를 들면, 3D 프링팅된 것 또는 재료 박판으로부터 잘라낸 것)가 원하는 배열(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최종 치아 배열(FTA)에 상응하는 배열)로 구부러지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평면 부재는 상기 평면 부재를 열처리 고정구에 결합시킴으로써 제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 고정구는, 예를 들면, 이전에 획득한 열처리 고정구 디지털 모델의 물리적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평면 부재의 아암은 상기 열처리 고정구의 후크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결찰 와이어 또는 다른 임시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의 아암 또는 다른 부분을 열처리 고정구에 고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결과적인 조립체(resulting assembly)(다시 말해서, 상기 열처리 고정구에 고정된 상기 장치)를 가열하여 상기 장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에 상응하거나 실질적으로 상응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형상 고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형상 고정된 장치가 열처리 고정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작동시에, 상기 장치는 환자의 입에 설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원래 치아 배열(OTA)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의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상기 장치의 아암을 구부리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장치의 형상 고정과 상기 아암과 고정기구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상기 아암은 각각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Ⅲ.
치열 교정 장치 구성의 선택된 예
본 기술의 상기 장치(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리테이너를 포함한다)는 제1 치아(또는 치아들)를 제2 치아(또는 치아들) 및/또는 구강 내 또는 구강에 근접한 다른 해부학적 구조 또는 위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적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성은 가요성, 탄성가압력(bias force)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기능적 특성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기술의 상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성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성은 두 개의 부착 부분(140)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기술의 상기 장치는 임의의 갯수의 부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의 세 개 모두가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의 각각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주어진 연결 구성에서 활용되는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 크기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male connector element) 중의 임의의 것 뿐만 아니라,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을 가지고 있는 상기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16년 12월 6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개시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기와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제2 연결기(106a, 106b)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연결기(106a, 106b)의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하지만, 제1 연결기(104)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보다 작은 폭과 두 개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제1 연결기(104)는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각각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각각이 치경 방향으로 향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도록 대체로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의 개방 고리/U자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제1 연결기(104)가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도록 탄성가압 부분(50)을 가지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연결기(104)는 상대적으로 가요성이며 제1 치아(T1)와 제2 치아(T2) 사이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7의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 또는 제3 연결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착 부분(140a, 140b)(및 관련 치아)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서만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대체로 강성인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기(104)는 탄성가압 부분을 가지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구성과 대비하여. 도 8의 제1 연결기(104)는 치아들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치아를 집단으로 이동시킬 때, 또는 두 개 이상의 치아가 원래 치아 배열(OTA)와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서 어떠한 이동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기구를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 그리고 제1 부착 부분(140a)과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탄성가압 부분(50)을 포함하므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3 연결기(108)에 의해 제공되는 압도적인(overwhelming) 강성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을 것임을 결정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 그리고 제1 부착 부분(140a)과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탄성가압 부분(50)을 포함하므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제3 연결기(108)는 연속으로 두 개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므로 또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Ⅳ. 선택된 리테이너 및 관련 장치, 시스템 그리고 방법
환자의 치아가 원하는 위치(예를 들면, 최종 치아 배열(FTA))에 도달한 후, 통상적으로 치열 교정 장치, 브래킷 및 임의의 다른 이전에 설치된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입에서 제거된다. 치열 교정 장치의 교정력이 없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아가 이동하거나 정렬이 어긋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방지하거나 치아 배치상태를 약간 수정하기 위해, 치열 교정 전문의는 통상적으로 환자에게 제거 가능한 리테이너(retainer)를 제공한다.
환자가 리테이너를 착용할지 여부를 선택하므로, 성공적인 유지(및 이에 따른 성공적인 치열 교정 치료)는 전적으로 환자의 협조에 달려 있다. 하지만, 치열 교정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리테이너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대략 50%의 환자가 치열 교정용 리테이너를 적절하게 착용하는 방법에 대한 치열 교정 전문의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인정한다. 리테이너의 착용을 잊어버리는 것은 불편함, 장치 착용의 번거로움, 말하기 어려움과 함께 순응도가 떨어지는 주요 원인이다. 환자의 비순응 정도에 따라, 리테이너가 환자의 치아에 더 이상 맞지 않을 정도로 치아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치아 교정을 위해 대체로 교정기(brace)를 사용한 재치료가 필요하다.
순응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일반적인 해결책은 환자에게 접합식 또는 고정식 리테이너를 끼우는 것이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통상적으로 환자 치아의 설측 표면을 따라 이어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고정식 리테이너의 성공적인 유지는 장기간에 걸쳐 최적의 위생 및 관리를 유지하는 환자의 순응도에 달려 있다. 하지만, 고정식 리테이너는 인접 치아를 가로질러서 뻗어 있기 때문에, 환자는 통상적인 치실 사용을 하지 못한다.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른 치열 교정 장치는 치료의 완료시(즉,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에 있을 때) 영구적인 리테이너로서 환자의 입안에 설치되어 대체로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본 기술의 치열 교정 장치는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치료의 시작시에 또는 치료 도중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영구적인 리테이너로서 환자의 입안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기 치료와 유지에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면 환자가 적어도 한 번은 진료실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며 치열 교정 장치와 별도의 리테이너를 모두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도 11a는 a)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중간 치아 배열(ITA) 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위치조정하기 위한 임시적인 장치로, b) 환자의 치아를 중간 치아 배열(ITA) 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하기 위한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그리고 c)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100)(또는 상기 장치(11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치(1100)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1100)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상기 장치(1100)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mesiodistal movement)을 저지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고정 부재(들)와 맞물려서, 상기 장치(1100)가 치아에 힘을 가하여 이동을 저지하거나 촉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100)는 전통적인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10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복합 재료(1103)로 형성된 고정 부재(1160)를 통해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합 재료는 환자에게 더 부드러운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을 환자에게 제공하고(고정 부재가 고정되는 치아의 측면에 따라 다름) 고정 부재(1160)가 전통적인 브래킷보다 더 낮은 외형(profile)을 가질 수 있게 하므로 전통적인 브래킷의 전부 또는 일부 대신에 복합 재료를 사용하면 환자에게 더 편안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60)는 전체가 경화되거나 경화 가능한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대응하는 부착 부분을 지지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임의의 강성 및/또는 금속 구성요소에 의존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100)는 브래킷 부분과 복합재 부분의 양자 모두를 포함(본 명세서에서 "하이브리드 브래킷"이라고 지칭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2에 관한 것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하이브리드 브래킷의 브래킷 부분은 상기 장치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상기 장치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치아의 측면에 따라 다름) 위로 뻗어 있지 않다. 대신에, 하이브리드 브래킷의 복합재 부분이 부착 부분 및 브래킷 부분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부착 부분을 하이브리드 브래킷에 고정시킨다. 일부 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1100)는 복합 재료는 전혀 없고 브래킷을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통해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100)는 환자의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기다란 부재(1101)를 포함할 수 있다. 기다란 부재(11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 연결기(1102)와 부착 부분(110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연결기(1102)와 부착 부분(11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및/또는 서로 연속하도록 되어 있는 단일의 일체식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한 장의 재료로부터 잘라내진다(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예를 들어,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다란 부재(110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초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초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기다란 부재(1101)는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측면, 그리고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 측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일부 실시례에서는 기다란 부재(1101)가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변화하는 두께를 가진다. 본 기술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다란 부재(11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 치수를 가진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1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단면 치수가 변하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례에 따르면, 기다란 부재(1101)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진 와이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일부분의 확대도로서, 부착 부분(1104)들과 고정 부재(1160)들 중의 하나와, 부착 부분(1104)의 양측으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기(1102)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b에서는, 복합 재료(1103)의 가장 바깥쪽 부분(즉, 치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이 밑에 있는 부착 부분(1104)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제거되어 있다.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1c는 도 11b의 11C-11C 선을 따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60)는 부착 부분(1104)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160)는, 예를 들면, 부착 부분(1104)의 교합측에 위치된 제1 부분(1160a) 및 부착 부분(1104)의 치경측에 위치된 제2 부분(1160b)을 가질 수 있다. 도 11b에서 제거되어 있으므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고정 부재(1160)의 제3 부분(1160c)(도 11a에서는 여전히 볼 수 있음)은 부착 부분(1104)과 제1 부분 및 제2 부분(1160a, 1160b) 위로 뻗어 있다. 고정 부재(1160)가 전체적으로 복합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례에서,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1160a-c)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사용 방법에 있어서, 부착 부분(1104)은 치아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1160a-c)은 부착 부분(1104)과 그 주위에(일부 경우에는 상기 장치(1100)의 인근 구역과 그 주위에) 침착되어 제자리에 경화될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방법에 따르면, 복합 재료의 초기 층(1113)이 치아의 표면에 먼저 침착되고, 그 다음에 부착 부분(1104)이 초기 층(1113)에 위치되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1160a-c)이 침착되어 경화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착 부분(1104)은 상기 장치(1100)가 설치될 때 각각의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을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104)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상기 장치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착 부분(1104)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부재(1101)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만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부분(1104)의 하나 이상의 표면 및 연결기(1102)의 인접한 부분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1160a) 및/또는 제2 부분(1160b)과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교합치경 크기 및/또는 근원심 크기 방향의 상기 장치(1100)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연결기(1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연결기(1102)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104)으로부터 멀어지게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1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대응하는 연결기(1102)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104)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측으로 뻗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1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연결기(1102)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104)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측으로 뻗어 있는 제1 단부 부분 및 대응하는 연결기(1102)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104)으로부터 멀어지게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연결기(1102)는 상기 장치가 설치될 때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각각 뻗어 있는 제1 레그(leg) 및 제2 레그(1108), 그리고 상기 레그(1108)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근원심 방향 부분(mesiodistal portion)(1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100)의 부착 부분(1104)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제1 연결기(1102)의 제1 레그(1108)에 결합된 및/또는 연속인 제1 부분 또는 근심 단부 부분(mesial end portion) 및/또는 제2 연결기(1102)의 제2 레그(1108)에 결합된 및/또는 연속인 제2 부분 또는 원심 단부 부분(distal end portion)을 가질 수 있다. 제1 레그(1108)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 만곡될 수 있고, 제2 레그(1108)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 만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근원심 방향 부분(1106)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선형일 수 있거나 만곡될 수 있다. 주어진 연결기(1102)의 전부 또는 일부가 만곡되어 있는 실시례에서, 연결기(1102)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고 탄성가압 부분(biasing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기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경로를 따라 인접한 부착 부분(1104)들 사이에 직접 뻗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연결기는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고 인접한 부착 부분(1104)들 사이의 이동을 거의 또는 전혀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1102)는 대체로 U자 형상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 설명되어 있으며 도 12a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는 모든 연결기와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하여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각각의 부착 부분(11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mesiodistal movement)은 상기 레그(1108)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다와 고정 부재(11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100)는 (a) 고정 부재(1160)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105a)이 인접한 레그(1108) 및/또는 연결기(1102)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109a)과 인접하여 상기 레그(1108) 및/또는 연결기(1102)의 원심측 이동(distal movement)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160)의 원심측 표면(distal surface)(1105b)이 인접한 레그(1108) 및/또는 연결기(1102)의 근심측 표면(mesial surface)(1109b)과 인접하여 상기 레그(1108) 및/또는 연결기(1102)의 근심측 이동(mesial movement)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주어진 부착 부분(1104)에 연결된 레그(1108)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부착 부분(1104)과 약 90도의 각도, 예각 또는 둔각(여기서 예각 또는 둔각은 연결부(joint)의 치경 측에서 측정된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부착 부분(1104)의 길이방향 축(LA)과 연결기(1102) 및/또는 레그(1108)의 길이방향 축(LC)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각각의 부착 부분(11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은 부착 부분(1104)과 고정 부재(11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100)는 (a) 고정 부재(1160)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111c)이 부착 부분(1104)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109d)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104)의 치경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160)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111d)이 부착 부분(1104)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109c)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104)의 교합측 이동(occlusal movement)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1100)는 환자가 상기 장치(1100)를 제거할 수 없도록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되도록(즉,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100)는 연결기(1102)가 인접한 치아의 근심측 표면 및 원심측 표면(즉, 인접한 치아가 만나는 곳)과 정렬되고 더 많은 선형 부분이 만곡된 부분(1102)들 사이에서 치아의 표면을 따라 대체로 근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자 형상 부분이 치경쪽으로 내려가도록 치아 사이에 상기 만곡된 부분을 위치시키면 환자가 치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U자 형상 부분은 또한 힘이 인접한 치아에 가해질 수 있도록 비교적 유연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만곡된 부분은 가요성인 반면에 더 많은 선형 부분은 강성이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b에 도시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1160a, 1160b)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1160a, 1160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금속 또는 다른 비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경화성 복합 재료는 여전히 제1 부분 및 제2 부분(1160a, 1160b), 제1 부분(1160a)과 제2 부분(1160b) 사이의 공극, 그리고 부착 부분(1104) 위에 침착될 수 있다. 몇 가지 이러한 실시례에서, 제1 부분(1160a) 및/또는 제2 부분(1160b)은 예를 들어 고정 부재(2760, 2860, 2960, 30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받침부(backing)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뒷받침부와 일체로 될 수 있다.
도 12a는 고정 부재(1260)에 고정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a에서, 도시된 장치의 일부분은 단일 부착 부분(1204) 및 이 부착 부분(1204)의 양측으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기(1202)의 부분이다. 도 12a에 도시된 것을 포함하여,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260)는 경화성 복합 재료(1203)로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b와 같이, 복합 재료(1203)의 최외측 부분(즉, 치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은 밑에 있는 부착 부분(1204)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제거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부착 부분(1104)과 대조적으로, 도 12a에 도시된 부착 부분(1204)은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고정 부재(1160)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진 고정 부재를 필요로 한다. 고정 부재(1260)는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에 위치된 제1 부분(1260a) 및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에 위치된 제2 부분(1260b)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60)의 제3 부분(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부착 부분(1204)과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 위로 뻗어 있다. 고정 부재(1260)가 전체적으로 복합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례에서,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사용 방법에 있어서, 부착 부분(1204)은 치아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부착 부분(1204)과 그 주위에(일부 경우에는 상기 장치(1200)의 인근 구역과 그 주위에)에 침착되어 제자리에 경화될 수 있다. 일부 방법에 따르면, 복합 재료의 초기 층(1213)이 치아의 표면에 먼저 침착되고, 그 다음에 부착 부분(1204)이 초기 층(1213)에 위치되고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이 침착되어 경화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기(1202)의 인접한 부분과 부착 부분(1204)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고정 부재의 제1 부분(1260a) 및/또는 제2 부분(1260b)과 인접하여 교합치경 크기 및/또는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상기 장치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부착 부분(12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은 레그(1208)(만곡된 부분 및/또는 선형 부분)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고정 부재(12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a) 고정 부재(1260)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5a)이 인접한 레그(1208) 및/또는 연결기(1202)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a)과 인접하여 상기 레그(1208) 및/또는 연결기(1202)의 원심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260)의 원심측 표면(1205b)이 인접한 레그(1208) 및/또는 연결기(1202)의 치경측을 따라 근심측 표면(1209b)과 인접하여 상기 레그(1208) 및/또는 연결기(1202)의 근심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주어진 부착 부분(1204)에 연결된 레그(1208)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부착 부분(1204)과 약 90도의 각도, 예각 또는 둔각(여기서 예각 또는 둔각은 연결부(joint)의 치경 측에서 측정된다)을 형성할 수 있다. 레그(1208)들은 대체로 서로 평행할 수 있고(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또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각각의 부착 부분(12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은 부착 부분(1204)과 고정 부재(12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a) 고정 부재(1260)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211c)이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d)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260)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211d)이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c)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은 복합 재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금속 또는 다른 비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경화성 복합 재료는 여전히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 제1 부분(1260a)과 제2 부분(1260b) 사이의 공극, 그리고 부착 부분(1204) 위에 침착될 수 있다. 몇 가지 이러한 실시례에서, 제1 부분(1260a) 및/또는 제2 부분(1260b)은 예를 들어 고정 부재(2760, 2860, 2960, 30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받침부(backing)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뒷받침부와 일체로 될 수 있다.
도 12b는 고정 부재(1260')에 고정된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1260')는 도 12b에서 부착 부분(1204') 및 치아로부터 격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b에서, 도시된 상기 장치의 일부분은 단일 부착 부분(1204') 및 이 부착 부분(1204')의 양측으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기(1202)의 부분이다. 도 12b에 도시된 것을 포함하여,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260')는 브래킷 부분(도 12c에 도시됨) 및 복합재 부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브래킷이다. 도 11b와 같이, 외부 복합 재료(1203)(즉, 치아로부터 가장 먼 부분)는 밑에 있는 부착 부분(1204')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제거되어 있다.
도 11b 및 도 12a에 도시된 부착 부분(1104, 1204)와 대조적으로, 도 12b에 도시된 부착 부분(1204')는 교합 방향(occlusal direction)으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260')는 연결기(1202) 및/또는 레그(1208) 없이 부착 부분(1204')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60')는 연결기(1202) 및/또는 레그(1208)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부착 부분(1204')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본 기술의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60')는 뒷받침부(1213)와 협설측 크기(buccolingual dimension)를 따라서 뒷받침부(1213)와 연속이고 뒷받침부(1213)로부터 멀어지게 뻗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260a)과 제2 부분(1260b)은 공극(1207)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60a)은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부분(1260b)은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60')가 치아에 고정되고 부착 부분(1204')이 공극(1207) 내에 수용될 때, 경화성 복합 재료는 부착 부분(1204'), 공극(1207), 그리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1260a, 1260b) 위에 침착되어, 브래킷 부분의 어떠한 부분도 부착 부분(1204')의 설측(또는 협측) 표면 위로 뻗어 있지 않은 상태로 부착 부분(1204')을 고정 부재(1260')에 고정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부분(1204')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교합치경측 크기 및/또는 근원심 크기를 따라 상기 장치의 이동을 방지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고정 부재(1260')의 제1 부분(1260a) 및/또는 제2 부분(1260b)과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부착 부분(12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은 부착 부분(1204')의 교합치경측으로 뻗은 부분(occlusogingivally-extending portion)과 고정 부재(12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a) 고정 부재(1260')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5a)(도 12c에만 표시되어 있음)이 부착 부분(1204')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a)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원심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260')의 원심측 표면(1205b)이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을 따라 근심측 표면(1209b)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근심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을 따르는 근심측 표면(1209b)은 고정 부재(1260')의 제1 부분(1260a)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5b)과 대향하고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을 따르는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a)은 고정 부재(1260')의 제1 부분(1260a)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1205a)과 대향한다.
임의의 도면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된 근심 방향/원심 방향 중 임의의 방향에 대해, 그 방향이 "근심 방향"인지 "원심 방향"인지는 턱의 정중선(midline)의 어느 쪽에 관련 부분이 위치하는지에 따라 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해당 부분이 턱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으면,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이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으로 될 수도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부착 부분(12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은 부착 부분(1204')과 고정 부재(1260')의 인접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a) 고정 부재(1260')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211c)이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d)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치경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b) 고정 부재(1260')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1211d)이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1209c)과 인접하여 부착 부분(1204')의 교합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입안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3a는 환자의 치열에 인접한 환자의 입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300)("장치(13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300)는 복합 재료(1303)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300)는 환자 치아의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을 통해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300)는 통상적으로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유지하기 위해 치료의 완료시(즉,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에 있을 때)에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치료 시작시 또는 치료 도중에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먼저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한 다음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1300)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상기 장치(1300)의 근원심 이동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와 맞물려서, 상기 장치(1300)가 치아에 힘을 가하여 이동을 저지하거나 촉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300)는 환자의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기다란 부재(1301)를 포함할 수 있다. 기다란 부재(13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번갈아 배치된 연결기(1302) 및 부착 부분(130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연결기(1302)와 부착 부분(13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및/또는 서로 연속되도록 단일의 일체식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한 장의 재료로부터 잘라내진다(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예를 들어,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다란 부재(130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초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기다란 부재(1301)가 초탄성 및/또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기다란 부재(1301)는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측면, 그리고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서 측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변화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 본 기술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다란 부재(13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 치수를 가진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례에서 기다란 부재(1301)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단면 치수가 변하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착 부분(1304)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300)가 설치될 때 각각의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을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고, 복합 재료(1303)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대응하는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b에서, 부착 부분(1304)에 대한 복합 재료의 배치를 눈에 보이게 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실질적으로 투명한 복합 재료의 주변부 둘레에 선이 그려져 있다. 치아와 복합 재료 사이(즉, 복합 재료의 아래)의 기다란 부재(1301)의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304)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강성인 제1 부분(1310)과,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제1 부분(13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부분(1310)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부분(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310)은 제1 연결기(1302)에 결합된 근심 단부(mesial end) 및 제2 연결기(1302)에 결합된 원심 단부(distal end)를 가질 수 있다. 제1 부분(1310)은 기다란 부재(1301)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만곡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도 15p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제2 부분(1312)은 기다란 부재(1301)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 만곡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아래에 기술되어 있는, 도 15f 내지 도 15l 및 도 15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310)과 제2 부분(1312)은, 부착 부분(13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13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부착 부분(13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13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1310, 1312)이 함께 부착 부분(1304)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와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부분(1312)을 포함하면 상기 장치(1300)가 근심 방향 또는 원심 방향으로 치아에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는 제2 부분(예를 들어, 구부러진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는 치열 교정 장치에 비해서 상당한 이점이다. 제2 부분(1312)은 제1 부분(13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310)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1310)은 제2 부분(1312)으로부터 멀어지게 근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근심 구역(1310a) 및 제2 부분(1312)으로부터 멀어지게 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심 구역(1310b)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부분(1312)은 제1 부분(1310)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 교합 구역(1312a) 및 제1 부분(1310)으로부터 멀어지게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 치경 구역(1312b)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1312)이 교합 구역 및 치경 구역(1312a, 1312b) 둘 다를 포함하는 실시례에서, 교합 구역 및 치경 구역(1312a, 1312b)은 '+' 형상을 형성하도록 근원심 크기를 따라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도 13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러한 다른 실시례에서, 교합 구역 및 치경 구역(1312a, 1312b)은 제1 부분(131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2 부분(1312)은 치경 구역(1312b)만 포함하거나 교합 구역(1312a)만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 부분(1304)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보다 많은 제2 부분(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열십자 형상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 및 제2 부분(1310, 1312)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1304)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복합 재료 및/또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부착 부분(1304)은 원하는 위치에서 치아에 대하여 배치되어 제자리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304)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부착 부분(13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을 포함하는 복합재 고정 부재(1303)를 통해 치아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합 재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복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부착 부분(1304)이 상기 홈 내에 위치되면, 부착 부분(1304)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부분(1304) 위에 추가적인 복합재(additional composite)가 도포될 수 있다.
여전히 도 13b를 참조하면, 인접한 부착 부분(1304)들은 인접한 부착 부분(1304)들 사이에 뻗어 있는 연결기(1302)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기(13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상기 장치(1300)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치간 구역(즉, 인접한 치아들이 만나는 곳)과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연결기(1302)는 부착 부분(1304)과 정렬되지 않게 구부러진 기다란 부재(1301)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기(1302)는 상기 장치(1300)가 설치될 때 환자의 잇몸 라인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된 제1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occlusogingival portion)(1308) 및 근원심 방향 부분(mesiodistal portion)(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 각각은 인접한 부착 부분(1304)의 단부에 결합된 교합 단부 및 근원심 방향 부분(1306)에 결합된 치경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합치경 방향 부분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과 근원심 방향 부분(1306) 각각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교합치경 방향 부분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과 근원심 방향 부분(1306)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강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합치경 방향 부분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과 근원심 방향 부분(1306)은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강성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교합치경 방향 부분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과 근원심 방향 부분(1306)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례에서 제1 교합치경 방향 부분 및 제2 교합치경 방향 부분(1308)과 근원심 방향 부분(1306)은 함께 U자 형상 부분을 형성한다. 어떤 경우든, 연결기(1308)가 치경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치아 사이에 구부러진 연결기(1308)를 위치시키는 것은 환자가 치실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구부러진 연결기는 또한 상대적으로 유연하여 인접한 치아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동일한 장치(1300)의 상이한 연결기(1302)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 크기, 및/또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연결기(13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 및/또는 상기 장치(1300)의 부착 부분(1304)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강성이어서, 인접 치아 사이의 임의의 원심측 이동 또는 근심측 이동을 방지한다 .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장치(1300)가 치료 후에 치아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로서 설치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300)의 연결기(13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연결기(13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같은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연결기(1302)는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예를 들면, 복합재)에 힘을 능동적으로 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1302) 및 부착 부분(1304)은 연결기(1302)와 부착 부분(13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일체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1300)는 박판 재료로부터 원하는 형상을 잘라내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환자의 치열에 맞게 형상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1300)는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적어도 2개의 치아(원으로 표시된 부분)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임시적인 장치 또는 영구적인 리테이너와 같은 치열 교정 장치(14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치(1400)는 상기 장치(1400)의 근원심 방향 부분(1406)이 실질적으로 선형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1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1400)의 연결기(1402)는 상기 장치(1300)의 연결기(1302)보다 덜 유연하다.
도 15a 내지 도 15r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상이한 부착 부분(1504)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착 부분(1504)은 치열 교정 장치(1100, 1300, 1400, 1600, 2100, 2200, 2300, 2400)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치열 교정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5a는 제1 부분(1510a/1510b)으로부터 교합측으로 뻗어 있는 단일의 제2 부분(1512a)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b는 제1 부분(1510a/1510b)으로부터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단일의 제2 부분(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c는 제1 부분(1510)을 따라 오프셋되어 있는 교합측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512a) 및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1 부분(1510)의 제3 부분(1510c)은 2개의 제2 부분(1512a, 1512b)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 15d는 근원심 방향 부분과 교합치경 방향 부분 둘 다를 포함하는 제2 부분(1512a, 1512b)을 가진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제2 부분(1512a, 1512b) 중의 하나만이 근원심 방향 부분과 교합치경 방향 부분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e도 근원심 방향 부분과 교합치경 방향 부분 둘 다를 포함하는 제2 부분(1512a, 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d와 대조적으로, 도 15e의 부착 부분(1504)은 만곡되어 있다. 도 15d와 유사하게, 도 15e의 일부 실시례에서는, 제2 부분(1512a, 1512b) 중의 하나만이 근원심 방향 부분과 교합치경 방향 부분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f, 도 15g, 도 15h 및 도 15i의 각각의 부착 부분(1504)은 개구(151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5f에서, 개구(1514)는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이고, 도 15g에서, 개구(1514)는 대체로 타원 형상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비정형(random), 등). 도 15f 및 도 15h에서, 제2 부분(1512a, 1512b)은 제1 부분(1510a/1510b)의 교합측과 치경측의 양측 모두에서 개구(1514)를 둘러싸고 있다. 마찬가지로, 개구(1514)는 제1 부분(1510a/1510b)의 교합측과 치경측의 양측 모두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1512a, 1512b)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15f에서와 같이), 만곡될 수 있거나(도 15g, 도 15h 및 도 15i에서와 같이) 또는 선형인 부분과 만곡된 부분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g 및 도 15i의 부착 부분(1504)은 교합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a) 또는 치경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b) 중의 하나만을 가지고 있다.
도 15j는 둥근 교합측 가장자리를 가진 교합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a)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k는 둥근 교합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a) 및 둥근 치경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l은 비대칭인 제2 부분(1512, 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m 및 도 15n은 삼각형인 제2 부분(1512a, 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m에서, 부착 부분(1504)은 교합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a)만을 포함하고 있고, 도 15n에서, 부착 부분(1504)은 치경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b)만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504)은 제2 부분(1512a, 1512b)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삼각형일 수 있다.
도 15o는 함께 속이 찬 정사각형(solid square)을 형성하는 제2 부분(1512a, 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여,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도 15p는 제2 부분(1512a/1512b)의 양측에 만곡된 부분(1510a, 1510b)을 가진 제1 부분(1510)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q는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 및/또는 제2 부분(1512a/1512b)을 따라 오프셋되어 있는 제1 부분(1510a, 1510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r은 만곡된 또는 고리 형상의 교합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a) 및 실질적으로 선형인 치경 방향으로 위치된 제2 부분(1512b)을 가진 부착 부분(1504)을 나타내고 있다.
임의의 부착 부분(1504)의 임의의 형상 또는 특징은 혼합되고 및 일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o에 도시된 중실 부착 부분(1504)은 도 15f 및 도 15i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및/또는 기술된 임의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임의의 부착 부분(1504)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스템 부분(stem portion)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600)("장치(1600)")를 나타내고 있고, 도 17은 환자의 치열에 인접하게 환자의 입안에 설치된 상기 장치(16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및 도 1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장치(1600)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브래킷,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과 복합 재료 둘 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서, 상기 장치(1600)는 브래킷(1660)(하나만 표시되어 있음) 및 복합 재료(하나만 표시되어 있음)를 통해 치아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장치(1100, 1300)와 유사하게, 상기 장치(1600)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상기 장치(1600)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와 맞물려서, 상기 장치(1600)가 치아에 힘을 가하여 이동을 저지하거나 촉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600)는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대체로 유지하기 위해 치료의 완료시에(즉,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에 있을 때)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치료 시작시 또는 치료 도중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고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1600)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복수의 연결기(1602) 및 부착 부분(1604)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분(1604)은 브래킷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치아의 협측 표면 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기(1602)는 인접한 부착 부분(1604)들 사이 및/또는 부착 부분(1604)으로부터 직접 뻗어 있는 상기 장치의 임의의 부분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인접한 연결기(1602)들은 접합부(1614)에서 서로 및/또는 부착 부분(1604)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부분(1604)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제1 부분(1610) 및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제1 부분(1610)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부분(16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2 부분(161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가 제1 부분(1610)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부분(1610)은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1604) 및/또는 제2 부분(16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아암(1610a) 및 대체로 원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1604) 및/또는 제2 부분(16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아암(1610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1610)은 제1 아암만을 포함하거나 제2 아암만을 포함한다. 제1 부분(1610) 및 제1 부분(1610)의 임의의 아암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1612)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장치(1600)는 각각의 접합부(1614)와 대응하는 부착 부분(1604) 사이에 뻗어 있는 스템 부분(16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부분(1605) 및 제2 부분(1612)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1610a, 1610b)과 함께 '+' 즉 열십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이러한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1605)과 제2 부분(1612)은 제1 부분(1610)의 길이 및/또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 부분(1604)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보다 많은 제2 부분(16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열십자 형상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과 제2 부분(1610, 1612) 및/또는 스템 부분(1605)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례에서는, 부착 부분(1604)이 'Y' 형상이 되도록 부착 부분(1604)은 제2 부분(1612)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아암 및 제2 아암(1610a, 1610b)은 스템 부분(1605)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히 뻗어 있다.
상기 장치(1600)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각각의 연결기(1602)의 적어도 일부는 잇몸 위 또는 아래에 있을 수 있는 치간 구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17에서, 예를 들어 각각의 연결기(1602)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 사이의 잇몸을 따라서 뻗어 있다. 연결기(1602)는 부착 부분(1604), 스템 부분(1605), 및/또는 접합부(1614) 중의 하나에 제1 단부를 가질 수 있고, 그 다음에 치경 방향으로 만곡된 다음, 부착 부분(1604), 스템 부분(1605), 및/또는 접합부(1614) 중의 인접한 하나로 교합 방향으로 다시 만곡될 수 있다.
부착 부분(1604)의 상이한 부분들 및/또는 상기 장치(1600)의 인접한 구역들은, 부착 부분(16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16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부착 부분(16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16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각을 이룬 부분들이 함께 부착 부분(1604)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와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610)과 제2 부분(1612)은 숄더(1609)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고, 제1 부분(1610)과 스템 부분(1605)은 숄더(1611)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부분(1612) 및/또는 스템 부분(1605)을 포함하면 상기 장치(1600)가 근심 방향 또는 원심 방향으로 치아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제2 부분(예를 들어, 구부러진 와이어)을 포함하지 않는 치열 교정 장치에 비해서 상당한 장점이다. 제2 부분(1612) 및/또는 스템 부분(1605)은 제1 부분(16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610)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16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 및/또는 상기 장치(1600)의 부착 부분(1604)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실질적으로 강성이어서, 인접한 치아들 사이의 임의의 원심측 이동 또는 근심측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장치(1600)가 치료 후에 치아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로서 설치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1600)의 연결기(16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연결기(16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같은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연결기(1602)는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에 힘을 능동적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1604)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고정 부재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을 통해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례에서 브래킷(1660)은 원하는 위치에서 치아에 대하여 배치되어 치아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부착 부분(1604)이 브래킷(1660)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부착 부분(1604)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부분(1604) 위에 복합 재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604)은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복합 재료로 치아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1602)와 부착 부분(1604)은 연결기(1602)와 부착 부분(16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일체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1600)는 박판 재료로부터 원하는 형상을 잘라내서 구부리는 것에 의해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형상을 환자의 치열에 맞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1600)는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80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치(1800)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1600)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800)는 부착 부분(1604)과 유사한 부착 부분(1804), 연결기(1602)와 유사한 연결기(1604), 스템 부분(1605)과 유사한 스템 부분(1805), 접합부(1614)와 유사한 접합부(1814)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1600)와 대조적으로, 상기 장치(1800)의 스템 부분(1805)은 더 길고 접합부(1814)로부터 더 멀리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기(1802)를 (상기 장치(1600)와 비교하여) 더 많은 치경 융기부(gingival elevation)에 위치시키고 연결기(1802)를 치경선(gingival line) 보다 아래(또는 치경선)에 있는 높이에서 근원심 방향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기(1802)는 치아의 노출된 부분과 잇몸 라인 사이에 더 높은 높이 또는 더 긴 거리를 가지는 치아를 수용할 수 있고 환자가 치아 사이에 치실을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9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장치(1900)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장치(1900)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1600) 및 상기 장치(1800)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900)는 부착 부분(1604, 1804)과 유사한 부착 부분(1904), 스템 부분(1605, 1805)과 유사한 스템(1905), 접합부(1614, 1814)와 유사한 접합부(1914)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1600, 1800)와는 대조적으로, 상기 장치(1900)의 각각의 연결기(1902)는 인접한 부착 부분(1904) 사이에 다수의 마루(peak)와 골(valley)(1918a, 1918b, 1918c)(도 19에는 하나의 연결기(1902)만 표시되어 있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연결기(19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그들의 대응하는 접합부 또는 스템 부분으로부터 첫 번째 골(1918a)까지 치경 방향으로 뻗은 다음, 마루(1918b)를 향해 교합 방향으로 뻗은 다음, 두 번째 골(1918c)을 향해 치경 방향으로 뻗은 다음, 교합 방향으로 다음 접합부(1914)로 뻗을 수 있다. 연결기(19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각각의 변곡점과 그 사이에서 만곡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는 자신의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상기 장치(1900)는 또한 각각의 연결기(1902)가 적어도 인접한 스템(1905)만큼 교합측에 있고 어떤 경우에는 인접한 부착 부분(1904)만큼 또는 그보다 더 교합측에 있는 융기부까지(교합치경 크기를 따라)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장치(1600, 1800)와 다르다. 상기 장치(1900)의 연결기(1902)는 구불구불한 연결기(1902)에 의해 제공된 추가 길이 및 곡률이 상기 연결기(1902)에 의해 가해진 탄성가압력(biasing force)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접한 치아 사이에서 더 큰 이동이 요구될 때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르면, 상기 장치의 스템 및/또는 부착 부분은 자신을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a 및 도 20b는 개구(2020)를 가지는 부착 부분(2004)을 포함하는 치열 교정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a의 부착 부분(2004)은 부착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교합치경측 연결기(occlusogingival connector)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장치에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2004)의 치경측 단부 부분(gingival end portion)은 스템, 접합부에 결합 및/또는 상기 스템, 접합부와 연속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연결기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20b의 부착 부분(2004)은 부착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근원심측 연결기(mesiodistal connector)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장치에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2004)의 치경측 단부 부분은 장치(2000)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004)은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제1 부분(2010) 및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제1 부분(2010)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부분(2012)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2 부분(2012)은 제1 부분(2010)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부분(2010)은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004) 및/또는 제2 부분(20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아암(2010a) 및 대체로 원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004) 및/또는 제2 부분(20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아암(2010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2010)은 제1 아암만을 포함하거나 제2 아암만을 포함한다. 제1 부분(2010) 및 제1 부분(2010)의 임의의 아암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2012)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장치(2000)는 부착 부분(2004)과 대응하는 연결기(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접합부(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뻗어 있는 스템 부분(200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템 부분(2005)은 자신의 길이를 따라 제1 구역(2022) 및 제2 구역(2024)을 가질 수 있다. 제2 구역(2024)은 연결기(들) 및/또는 접합부와 제1 구역(2022)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제1 구역(2022)은 제2 구역(2024)과 제1 부분(2010) 및/또는 제2 부분(2021)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제1 구역(2022)은, 아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구(2020)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구역(2024)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어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부분(2005)과 제2 부분(2012)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2010a, 2010b)과 함께 '+' 즉 열십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이러한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2005)과 제2 부분(2012)은 제1 부분(2010)의 길이 및/또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 부분(2004)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보다 많은 제2 부분(20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는 열십자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과 제2 부분(2010, 2012) 및/또는 스템 부분(2005)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례에서는, 부착 부분(2004)이 'Y' 형상이 되도록 부착 부분(2004)은 제2 부분(2012)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아암 및 제2 아암(2010a, 2010b)은 스템 부분(2005)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히 뻗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004)은 상기 장치의 두께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개구(20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2020)는 오퍼레이터가 환자의 치아에 대해 부착 부분을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치열 교정 도구의 일부(예를 들어, 단부 부분)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의 예가 본 명세서에서 도 25a, 도 25b 및 도 26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다. 25A, 25B 및 26을 참조하십시오. 일부 실시례에서 개구(2020)는 부착 부분(2004)으로부터 스템 부분(2005)으로 근위 방향으로(proximally) 뻗어 있는 기다란 직사각형 개구(2020)이다. 개구(2020)의 교합측 단부 부분은 제1 아암(2010a)과 제2 아암(2010b) 사이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2000)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개구(2020)는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개구(2020)는 상기 장치가 설치될 때 개구(2020)가 다른 배향(orientation)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복수의 개구(2120)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장치(2100)의 평면도이다. 상기 장치(2100)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브래킷,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과 복합 재료 둘 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몇몇 다른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치(2100)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상기 장치(2100)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와 맞물려서, 상기 장치(2100)가 치아에 힘을 가하여 이동을 저지하거나 촉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2100)는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대체로 유지하기 위해 치료의 완료시에(즉,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에 있을 때)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치료 시작시 또는 치료 도중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고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2100)는 복수의 연결기(2102)(몇 개만 표시되어 있음), 부착 부분(2104) 및 각각의 부착 부분(2104)과 하나 이상의 연결기(2102) 사이에 뻗어 있는 스템 부분(2105)(한 개만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분(2104)은 브래킷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치아의 협측 표면 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기(2102)는 인접한 스템 부분(2105)들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스템 부분(2105)은 단일 연결기(2102)(예를 들어, 상기 장치(2100)의 단부에서) 또는 복수의 연결기(210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템 부분(2105)은 자신의 길이를 따라서 제1 구역(2122) 및 제2 구역(2126)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역(2122)은 연결기(들)(2102)와 제2 구역(2126)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제2 구역(2126)은 제1 구역(2122)과 부착 부분(2104)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제1 구역(2122)은 개구(2120)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구역(2126)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2105)은 각각의 제1 구역(2122)이 부착 부분(2104)과 실질적으로 연속되도록(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역(2126)을 포함하지 않는다.
부착 부분(2104)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제1 부분(2110) 및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제1 부분(2110)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부분(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2 부분(211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제1 부분(2110)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부분(2110)은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104) 및/또는 제2 부분(21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아암(2110a) 및 대체로 원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104) 및/또는 제2 부분(21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아암(2110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2110)은 제1 아암만을 포함하거나 제2 아암만을 포함한다. 제1 부분(2110) 및 제1 부분(2110)의 임의의 아암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2112)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부분(2105)의 제2 구역(2126)과 제2 부분(2112)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2110a, 2110b)과 함께 '+' 즉 열십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이러한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2105)과 제2 부분(2112)은 제1 부분(2110)의 길이 및/또는 대체로 근심원 치수를 따라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 부분(2104)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보다 많은 제2 부분(2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는 열십자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과 제2 부분(2110, 2112) 및/또는 스템 부분(2105)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례에서는, 부착 부분(2104)이 'Y' 형상이 되도록 부착 부분(2104)은 제2 부분(2112)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아암 및 제2 아암(2110a, 2110b)은 스템 부분(2105)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상기 장치(2100)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각각의 연결기(2102)의 적어도 일부는 잇몸 위 또는 아래에 있을 수 있는 치간 구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기(2102)는 인접한 부착 부분(2104)들 사이에 다수의 마루와 골(2118a, 2118b, 2118c)(도 21에는 하나의 연결기(2102)만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기(2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스템 부분(2105)으로부터 첫 번째 골(2118a)까지 치경 방향으로 뻗은 다음, 마루(2118b)를 향해 교합 방향으로 뻗은 다음, 두 번째 골(2118c)을 향해 치경 방향으로 뻗은 다음, 교합 방향으로 다음 스템 부분(2105)으로 뻗을 수 있다. 연결기(2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각각의 변곡점과 그 사이에서 만곡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자신의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102)는 스템 부분(2105)의 제1 구역(2122)의 치경측 단부 부분(gingival end portion)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2122)의 치경측 단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기(2102a)의 단부 및 제2 연결기(2102b)의 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구역(2122)의 치경측 단부 부분의 외측면(2128)은 경사질 수 있다.
장치(1900)와 대조적으로, 상기 장치(2100)의 각각의 연결기(2102)는 부착 부분(2104)의 치경측에 있는 융기부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구성은 연결기(2102)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잇몸 라인 아래의 치간 구역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환자가 더 쉽게 치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부착 부분(2104)의 상이한 부분들 및/또는 상기 장치(2100)의 인접한 구역들은, 부착 부분(21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21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부착 부분(21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21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각을 이룬 부분들이 함께 부착 부분(2104)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와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110)과 제2 부분(2112)은 숄더(2109)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고, 제1 부분(2110)과 스템 부분(2105)은 숄더(2111)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부분(2112) 및/또는 스템 부분(2105)을 포함하면 상기 장치(2100)가 근심 방향 또는 원심 방향으로 치아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제2 부분(예를 들어, 구부러진 와이어)을 포함하지 않는 치열 교정 장치에 비해서 상당한 장점이다. 제2 부분(2112) 및/또는 스템 부분(2105)은 제1 부분(21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2110)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 및/또는 상기 장치(2100)의 부착 부분(2104)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실질적으로 강성이어서, 인접한 치아들 사이의 임의의 원심측 이동 또는 근심측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장치(2100)가 치료 후에 치아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로 설치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2100)의 연결기(2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연결기(21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연결기(2102)는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에 힘을 능동적으로 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104)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고정 부재, 예를 들면, 고정 부재(1160, 1260, 1260', 2760, 2860, 2960, 3060, 3160)들 중의 임의의 것을 통해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는 원하는 위치에서 치아에 대하여 배치되어 치아에 접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부착 부분(2104)이 브래킷에 위치될 수 있고, 부착 부분(2104)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부분(2104) 위에 복합 재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2104)은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복합 재료로 치아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102)와 부착 부분(2104)은 연결기(2102)와 부착 부분(21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일체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2100)는 박판 재료로부터 원하는 형상을 잘라내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및/또는 환자의 치열에 맞도록 형상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2100)는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복수의 개구(2220)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장치(2200)의 평면도이다. 상기 장치(2200)는 상기 장치(2100)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2100)와 관련하여 논의된 임의의 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2200)는 부착 부분(2104)과 유사한 부착 부분(2204), 연결기(2102)와 유사한 연결기(2202), 스템 부분(2105)과 유사한 스템 부분(2205)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2100)와 대조적으로, 상기 장치(2200)는 스템 부분(2205)의 치경측 단부 부분 및/또는 스템 부분(2205)의 제1 구역(2222)으로부터 치경 방향으로 뻗어서, 연결기(2202)(그리고 연결기(2202)의 임의의 마루 또는 골)와 부착 부분(2204) 사이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대체로 선형인 연장부(2228)(2개만 표시되어 있음)를 가지고 있다. 도 22에서, 상기 연장부(2228)들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치열 교정 장치(2300)와 같이, 연장부(2228)는 연장부(2228)의 치경측 단부가 교합측 단부보다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더 멀리 이격되도록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어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23은 또한 연결기(2302)의 마루와 골 사이의 부분이 실질적으로 선형인 다른 연결기 변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연결기(2102, 2202)의 마루와 골 사이의 부분이 만곡되어 있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예와 대비된다.
도 24는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복수의 개구(2420)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 장치(2400)의 등각투영도이다. 상기 장치(2400)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환자 치아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브래킷,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과 복합 재료 둘 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몇몇 다른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기 장치(2400)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상기 장치(2400)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고정 부재(예를 들어, 복합 재료 또는 브래킷)와 맞물려서, 상기 장치(2400)가 치아에 힘을 가하여 이동을 저지하거나 촉진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2400)는 치아의 위치를 최종 치아 배열(FTA)로 대체로 유지하기 위해 치료의 완료시에(즉, 치아가 최종 치아 배열(FTA)에 있을 때) 영구적인 리테이너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을 위치조정하기 위해 치료 시작시 또는 치료 도중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고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2400)는 복수의 연결기(2402), 부착 부분(2404) 및 각각의 부착 부분(2404)과 하나 이상의 연결기(2402) 사이에 뻗어 있는 스템 부분(2405)(한 개만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분(2404)은 브래킷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치아의 협측 표면 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기(2402)는 인접한 스템 부분(2405)들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스템 부분(2405)은 단일 연결기(2402)(예를 들어, 상기 장치(2400)의 단부에서) 또는 복수의 연결기(240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템 부분(2405)은 자신의 길이를 따라서 제1 구역(2422) 및 제2 구역(2426)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역(2422)은 연결기(들)(2402)와 제2 구역(2426)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제2 구역(2426)은 제1 구역(2422)과 부착 부분(2404)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제1 구역(2422)은 개구(2420)를 제공하기 위해 제2 구역(2426)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2405)은 각각의 제1 구역(2422)이 부착 부분(2404)과 실질적으로 연속되도록(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역(2426)을 포함하지 않는다.
부착 부분(2404)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제1 부분(2410) 및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제1 부분(2410)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부분(2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2 부분(241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모두는 제1 부분(2410)으로부터 멀어지게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부분(2410)은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404) 및/또는 제2 부분(24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아암(2410a) 및 대체로 원심 방향으로 부착 부분(2404) 및/또는 제2 부분(241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2 아암(2410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부분(2410)은 제1 아암만을 포함하거나 제2 아암만을 포함한다. 제1 부분(2410) 및 제1 부분(2410)의 임의의 아암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2412)은 실질적으로 선형일 수 있거나(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부분(2405)의 제2 구역(2426)과 제2 부분(2412)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2410a, 2410b)과 함께 '+' 즉 열십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이러한 실시례에서, 스템 부분(2405)과 제2 부분(2412)은 제1 부분(2410)의 길이 및/또는 대체로 근심원 치수를 따라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부착 부분(2404)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보다 많은 제2 부분(24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는 열십자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과 제2 부분(2410, 2412) 및/또는 스템 부분(2405)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례에서는, 부착 부분(2404)이 'Y' 형상이 되도록 부착 부분(2404)은 제2 부분(2412)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아암 및 제2 아암(2410a, 2410b)은 스템 부분(2405)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상기 장치(2400)가 환자의 입안에 설치될 때, 각각의 연결기(2402)의 적어도 일부는 잇몸 위 또는 아래에 있을 수 있는 치간 구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기(2402)는 대체로 선형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인접한 부착 부분(2404) 및/또는 스템 부분(2405) 사이의 보다 단단한 연결을 제공하고 만곡된 연결기보다 더 적은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장치(2400)가 치료 후에 치아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로 설치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장치(2400)의 연결기(24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만곡되고 및/또는 비교적 가요성이다. 예를 들어, 연결기(24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연결기(2402)는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에 힘을 능동적으로 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402)는 스템 부분(2405)의 제1 구역(2422)의 치경측 단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2422)의 치경측 단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기(2402a)의 단부 및 제2 연결기(2402b)의 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부착 부분(2404)의 상이한 부분들 및/또는 상기 장치(2400)의 인접한 구역들은, 부착 부분(24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2404)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부착 부분(2404)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2404)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각을 이룬 부분들이 함께 부착 부분(2404)이 고정 부재(예를 들어, 브래킷, 복합 재료 등)와 맞물릴 수 있게 하도록,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410)과 제2 부분(2412)은 숄더(2409)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고, 제1 부분(2410)과 스템 부분(2405)은 숄더(2411)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부분(2412) 및/또는 스템 부분(2405)을 포함하면 상기 장치(2400)가 근심 방향 또는 원심 방향으로 치아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제2 부분(예를 들어, 구부러진 와이어)을 포함하지 않는 치열 교정 장치에 비해서 상당한 장점이다. 제2 부분(2412) 및/또는 스템 부분(2405)은 제1 부분(24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2410)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404)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고정 부재, 예를 들면, 고정 부재(1160, 1260, 1260', 2760, 2860, 2960, 3060, 3160)들 중의 임의의 것을 통해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는 원하는 위치에서 치아에 대하여 배치되어 제자리에 접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부착 부분(2404)이 브래킷에 위치될 수 있고, 부착 부분(2404)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 부분(2404) 위에 복합 재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2404)은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고 복합 재료로 치아에 접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연결기(2402)와 부착 부분(2404)은 연결기(2402)와 부착 부분(2404)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일체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장치(2400)는 박판 재료로부터 원하는 형상을 잘라내고 구부리는 것에 의해 및/또는 환자의 치열에 맞도록 형상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2400)는 몰딩, 주조,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과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기술의 치열 교정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치열 교정 도구(25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구(2500)는 손잡이(2510) 및 이 손잡이(2510)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목부분(25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5b는 상기 도구(2500)의 원위 단부 부분(2530)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상기 도구(2500)는 상기 도구(2500)의 오목한 단부 표면(2550)에 의해 형성된 노치(2502)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단부 부분(2530)은 대체로 폭 W1 및 깊이 D1을 가지는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노치(2502)는 원위 단부 부분(2530)의 전체 깊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2502)는 측벽(2545a, 2545b)에 의해 한정된 폭 W2 및 원위 단부 부분(2530)과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노치(2502)는 원위 단부 부분(2530)의 깊이의 일부분에만 걸쳐서 뻗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원위 단부 부분(2530)의 단면 형상 및/또는 치수는 대응하는 스템 부분(2005, 2105, 2205, 2305, 2405)의 개구(2020, 2120, 2220, 2320, 2420)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 및/또는 치수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2020, 2120, 2220, 2320, 2420) 중 어느 하나에 원위 단부 부분(2530)을 삽입하면 오퍼레이터가 대응하는 스템 부분 및/또는 부착 부분을 보다 쉽게 조작하고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조정은, 예를 들어, 치아 또는 고정 부재에 대응하는 부착 부분을 위치시킬 때 유리할 수 있다. 원위 단부 부분(2530)이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삼각형,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원위 단부 부분(2530)의 단면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으로 될 수 있는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 스템 부분, 및/또는 임의의 다른 부분 내의 임의의 개구의 단면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다른 도구(26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구(2600)는 상기 도구(2600)가 자신의 원위 단부 표면(2650)에 노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도구(2500)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대신에, 원위 단부 표면(2650)은 대체로 평평하다. 원위 단부 부분(2630)은 폭 W1 및 깊이 D1을 가지는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원위 단부 부분(2630)의 단면 형상 및/또는 치수는 대응하는 스템 부분(2005, 2105, 2205, 2305, 2405)의 개구(2020, 2120, 2220, 2320, 2420)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 및/또는 치수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원위 단부 부분(2630)이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삼각형, 및/또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원위 단부 부분(2630)의 단면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으로 될 수 있는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 스템 부분, 및/또는 임의의 다른 부분 내의 임의의 개구의 단면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30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상이한 로우 프로파일(low-profile) 고정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로우 프로파일 형태는 환자에게 보다 편안하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몇몇 실시례는 환자 치아의 협측 표면 또는 설측 표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2760)를 포함한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2760)는 위에 부착 부분을 수용하고 복합 재료의 추가를 통해 부착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8은 고정 부재(2860)가 어떠한 오목부(여기서 논의됨)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고정 부재(2760)와 유사한 고정 부재(2860)에 의해 수용된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2760)는 환자의 치아에 대해 및/또는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보이지 않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2701), 및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서 측정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2 측면(2701)은 복수의 함몰부(2706)(몇 개만 표시되어 있음)를 가진 대체로 평평한 표면(2702)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706)는 상기 표면(2702)을 따라 균일하게 또는 임의로 이격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무정형 등)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2706)는 고정 부재(2760)의 제2 측면(27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켜(대체로 평평한 표면만을 가진 비슷한 크기의 고정 부재와 비교하여) 상기 표면(2702)과 나중에 도포되는 복합 재료 사이의 결합 강도를 높인다. 또한, 함몰부(2706)는 고정 부재의 전체 차지하는 공간(footprint)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2 측면(27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환자의 편안함에 유리하다. 함몰부(2706) 대신에 또는 함몰부(2706)에 더하여, 상기 표면(2702)은 고정 부재(2760)의 전체 차지하는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2 측면(27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다른 표면 특징부(feature)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표면 특징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융기부(bump)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760)의 제2 측면(2701)은 또한 상기 표면(270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으며 공극(2708)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27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고정 부재(2760)는 상기 공극이 제2 측면(2701)에서 '+' 즉 열십자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4개의 사분면에 배열된 4개의 돌출부(27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2704)의 갯수, 형상 및/또는 배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부착 부분과 같은) 부착 부분의 형상과 상보적이고 상기 부착 부분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과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 양자 모두를 방해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진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서, 각각의 돌출부(2704)는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평면에 있는 제1 표면(2710)(두 개만 표시되어 있음)과 대체로 근원심 방향으로 배향된 평면에 있는 제2 표면(2712)(두 개만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제1 표면(2710)은 고정된 부착 부분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표면(2712)은 고정된 부착 부분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돌출부(2704)의 제1 표면 및 제2 표면(2710, 2712)은 부착 부분의 이동을 방해하기 위해 대체로 평평할 수 있고, 돌출부의 설측(또는 협측) 표면은 대체로 만곡되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제1 표면과 제2 표면(2710, 2712)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만곡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의 설측(또는 협측) 표면은 대체로 평평하다.
비록 4개의 돌출부(2704)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 부재(2760)는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등과 같은 임의의 갯수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도 27에서는, 고정 부재(2760)가 단지 제2 측면(2701)(제1 측면 또는 측벽은 아님)에 함몰부(2706)를 가지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고정 부재(2760)가 제1 측면, 제2 측면(2701) 및 측벽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에서 함몰부(2706) 및/또는 다른 표면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례에서는 돌출부(2704)가 어떠한 함몰부(2706)도 포함하지 않으며, 대신에 함몰부(2706)는 공극(2708) 내를 포함하여 돌출부(2704) 주위와 돌출부 사이의 대체로 평평한 표면(2702)을 따라서만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2760)는 돌출부(2704)와 고정 부재(2760)의 가장자리 사이의 표면(2702)의 일부분 및/또는 돌출부(2704)들 사이의 표면(2702)의 일부분에는 함몰부(2706)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29는 고정 부재(2960)가 돌출부(2704)에만 함몰부(2906)를 가지고 돌출부(2704) 주변 및 돌출부(2704) 사이에는 함몰부(2906)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도 27에서와 같이)을 제외하고는 고정 부재(27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정 부재(2960)를 나타내고 있다.
도 30은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로우 프로파일 브래킷(3060)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3060)는 환자의 치아의 협측 표면 또는 설측 표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3060)는 위에 부착 부분을 수용하고 복합 재료의 추가를 통해 부착 부분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60)는 환자의 치아에 대해 및/또는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보이지 않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3001), 및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에서 측정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2 측면(3001)은 복수의 함몰부(3006)(몇 개만 표시되어 있음)를 가진 대체로 평평한 표면(3002)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3006)는 상기 표면(3002)을 따라 균일하게 또는 임의로 이격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무정형 등)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3006)는 고정 부재(3060)의 제2 측면(30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켜(대체로 평평한 표면만을 가진 비슷한 크기의 고정 부재와 비교하여) 상기 표면(3002)과 나중에 도포되는 복합 재료 사이의 결합 강도를 높인다. 또한, 함몰부(3006)는 고정 부재의 전체 차지하는 공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2 측면(30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환자의 편안함에 유리하다. 함몰부(3006) 대신에 또는 함몰부(3006)에 더하여, 상기 표면(3002)은 고정 부재(3060)의 전체 차지하는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2 측면(3001)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다른 표면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표면 특징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060)의 제2 측면(3001)은 상기 표면(3002)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단일 돌출부(30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에서, 돌출부(300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돌출부(3004)는 정사각형, 원형, 삼각형, 다각형, 타원형 또는 무정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어떤 경우에도, 돌출부(3004)의 형상은 부착 부분의 개구의 형상과 상보적인 관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개구를 포함하는 부착 부분은 돌출부(3004) 둘레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3004)의 형상은 또한 부착 부분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과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 양자 모두를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에서, 돌출부(3004)는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 평면에 있는 두 개의 제1 표면(3010)(하나만 표시되어 있음)과 대체로 근원심 방향으로 배향된 평면에 있는 두 개의 제2 표면(3012)(하나만 표시되어 있음)을 가지고 있다. 제1 표면(3010)은 고정된 부착 부분의 근원심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표면(3012)은 고정된 부착 부분의 교합치경 방향의 이동 및 회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0에서는, 고정 부재(3060)가 단지 제2 측면(3001)(제1 측면 또는 측벽은 아님)에 함몰부(3006)를 가지고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고정 부재(3060)가 제1 측면, 제2 측면(3001) 및 측벽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에서 함몰부(3006) 및/또는 다른 표면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하이브리드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고정 부재는 3D 프린팅, 몰딩, 주조 등을 통해 단일 조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례에 대해서, 고정 부재는, 예를 들어, 추가 재료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정 부재가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될 수 있도록 경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재료는 복합 재료일 수 있거나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경화성 재료는 대체로 경화되기 전에 성형될 수 있고, 복합 수지, 세라믹, 및/또는 기타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경화성 재료는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충전재(예를 들어, 실리카), 및/또는 접합을 위해 UV 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고정 부재 및/또는 복합 재료는 경화성 재료, 접착제, 복합 수지, 및/또는 다른 합성 비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기술은 전체가 경화성 복합 재료로 만들어진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1은 전체가 경화성 복합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 기술의 여러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3160)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3160)는 각각 경화된 복합 재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지지부(3162a-d)(총칭하여, "지지부(316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162a-d)는 공극(3164)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비록 도 31에 도시된 고정 부재(3160)는 4개의 지지부(3162a-d)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3160)는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지지부(예를 들어, 2개의 지지부, 3개의 지지부, 5개의 지지부, 6개의 지지부 등)를 가질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3164)은 대체로 열십자 형상 즉 "+"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공극(3164)의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부재(316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의 형상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열십자 형상의 공극(3164)은 부착 부분(1104, 1204, 1204', 1304, 1404, 2004, 2104, 2204, 2304, 2404, 2504) 중 임의의 것과 같은 열십자 형상의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다른 형상 및/또는 다른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부착 부분(1104, 1204, 1204') 및 부착 부분(1504)들 중의 임의의 것과 같은 열십자 형상이 아닌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극을 형성하도록 형상화 및/또는 배열될 수 있다.
고정 부재(3160)는, 예를 들어, 추가 재료(예를 들면, 브라켓) 또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합 재료는 대체로 경화되기 전에 성형될 수 있고, 복합 수지, 세라믹 및/또는 다른 합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 복합 재료는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충전재(예를 들어, 실리카), 및/또는 접합을 위해 UV 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재료는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는 고정 부재(3160)에 결합된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3204)의 정면도이다. 상기 부착 부분(3204)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부착 부분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3204)은 지지부(3162a-d)에 의해 형성된 공극(3164)(도 31 참고)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극(3164)에 대한 부착 부분(3204)의 형상의 상보적인 특성은 근심-원심 축(mesial-distal axis), 교합-치경 축(occlusal-gingival axis), 및/또는 설측-안면 축(lingual-facial axis)을 따라 및/또는 그 둘레로의 공극(3164)에 대한 부착 부분(3204)의 이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 따르면, 고정 부재(3160)는 제조되어 환자의 치아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3160)를 제작하는 것은 도 31에 도시된 지지부(3162a-d)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오목부를 가지는 지지대(예를 들어,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오목부는 성형가능한 형태의 복합 재료로 채워질 수 있고, 그 후에 상기 지지대는 환자의 치아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에너지(예를 들면, UV 광, 열 에너지 등)가 상기 지지대 및 복합 재료에 가해져서 경화된 구조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례에서, 가해진 에너지는 또한 복합 재료를 환자의 치아에 접합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경화를 위해 UV 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 후, 경화된 재료(즉, 고정 부재(3160))가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지대는 환자의 입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장치의 부착 부분이 지지부(3162)에 의해 형성된 공극(316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부착 부분은 공극 내의 접착 부분 위에 접착제, 복합 수지 또는 다른 합성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3160)에 부착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접착제, 복합 수지 또는 합성 재료는 UV 광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부착 부분이 UV 광 없이 고정 부재(3160)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례에서는, 고정 부재(3160)가 먼저 경화된 다음 환자의 치아에 결합된다.
본 기술의 고정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 또는 여러 기술의 조합을 이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는 적절한 접착제 또는 시멘트를 사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접착식으로 접합될 필요는 없다. 또한, 임의의 고정 부재는 전부 경화성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환자의 치아 상에서 또는 환자의 치아에 접합하기 전에 체내에서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치열 교정 장치 및/또는 연결기는 도 3a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개시된 임의의 특징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치열 교정 장치 및/또는 연결기는 도 3a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예들 중의 하나로서, 상기 연결기(1102, 1202, 1302, 1402, 1602, 1802, 1902, 2102, 2202, 2302, 2402) 중 임의의 연결기는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u자 형상, 구불구불한 형상,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치열 교정 장치 및/또는 연결기는 도 11a 내지 도 24 중의 다른 하나에 대해 개시된 임의의 특징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예들 중의 하나로서, 일부 실시례에서 장치(1600)의 연결기(1602)들 중의 한 개, 몇 개 또는 전부는 연결기(2102, 2302) 중의 임의의 것과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연결기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의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과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다.
결론
위에서 많은 실시례를 환자의 치아의 설측(lingual side)에 위치된 치열 교정 장치에 대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과 관련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환자의 치아의 안면측(facial side)에 위치된 치열 교정 장치와 같은 다른 응용 및/또는 다른 접근 방식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에 다른 실시례가 본 기술의 범위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기술의 몇몇 다른 실시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다른 구성, 구성요소 또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기술이 추가 요소를 가진 다른 실시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본 기술이 도 1 내지 도 32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특징들 중의 몇 가지가 없는 다른 실시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대한 설명이 총망라된 것이거나 본 기술을 위에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문맥상 허용하는 경우, 단수 또는 복수 용어는 각각 복수 또는 단수 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결합 아암을 사용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례는 보다 적은(예를 들면, 한 개의) 또는 보다 많은(예를 들면, 세 개의) 결합 아암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본 기술의 특정 실시례 및 본 기술에 대한 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위에 설명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계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례는 단계들을 다른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례는 또한 추가 실시례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또는"이라는 단어가 두 개 이상의 항목의 목록과 관련하여 다른 항목과 배타적인 한 개의 항목만을 의미하도록 명시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그러한 목록에서 "또는"의 사용은 (a) 상기 목록의 임의의 한 개의 항목, (b) 상기 목록의 모든 항목, 또는 (c) 상기 목록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보다 많은 수의 동일한 특징 및/또는 추가 유형의 다른 특징이 배제되지 않도록 적어도 기술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도처에 사용되어 있다. 또한 특정 실시례가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본 기술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의 특정 실시례와 관련된 장점이 이러한 실시례의 맥락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례도 이러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본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례가 반드시 이러한 장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 및 관련 기술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설명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6)
-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치경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1 지지대;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극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및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
을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제1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 상기 공극 및 상기 부착 부분 위에 경화성 복합 재료를 수용하여 상기 공극 내에 상기 부착 부분을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 위로 뻗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을 가진 뒷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치아의 표면과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상기 뒷받침부에 부착되어 상기 뒷받침부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부착 부분과 치아의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상기 공극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상기 공극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기 부착 부분의 형상을 모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대체로 U자 형상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U자 형상의 개방 단부가 상기 U자 형상의 폐쇄 단부에 대해 교합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내부에 구부러진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교합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분과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분과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폭이 상기 부착 부분의 폭보다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치열 교정 장치의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는 제1 지지대;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극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원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근심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원심측으로 향하는 표면, 및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교합측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
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브래킷의 어떤 부분도 상기 부착 부분 위로 뻗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의 표면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으며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을 가진 뒷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치아의 표면과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가 상기 뒷받침부에 부착되어 상기 뒷받침부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부착 부분과 치아의 표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뒷받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의 상기 공극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상기 공극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기 부착 부분의 형상을 모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대체로 U자 형상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상기 U자 형상의 개방 단부가 상기 U자 형상의 폐쇄 단부에 대해 치경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이 내부에 구부러진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분과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공극 내에 위치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구부러진 와이어의 일부분과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의 교합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교합 방향으로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치경측으로 향하는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부재가 치아에 고정될 때,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폭이 상기 부착 부분의 폭보다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PCT/US2020/070017 | 2020-05-02 | ||
PCT/US2020/070017 WO2020223745A1 (en) | 2019-05-02 | 2020-05-02 | Orthodontic appliances |
US202062704545P | 2020-05-15 | 2020-05-15 | |
US62/704,545 | 2020-05-15 | ||
PCT/US2021/070469 WO2021226618A1 (en) | 2020-05-02 | 2021-04-27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4615A true KR20230004615A (ko) | 2023-01-06 |
Family
ID=7846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39681A KR20230004615A (ko) | 2020-05-02 | 2021-04-27 |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53389A1 (ko) |
EP (1) | EP4142642A1 (ko) |
JP (1) | JP2023524090A (ko) |
KR (1) | KR20230004615A (ko) |
CN (1) | CN115916102A (ko) |
AU (1) | AU2021268217A1 (ko) |
CA (1) | CA3179363A1 (ko) |
MX (1) | MX2022013496A (ko) |
WO (1) | WO202122661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874777T3 (es) | 2012-10-30 | 2021-11-05 | Univ Southern California | Aparato de ortodoncia con arco de alambre encajado a presión, antideslizante |
US10828133B2 (en) | 2016-12-02 | 2020-11-10 | Swift Health Systems Inc. |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
WO2018144634A1 (en) | 2017-01-31 | 2018-08-09 | Swift Health Systems Inc. |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
US11612458B1 (en) | 2017-03-31 | 2023-03-28 | Swift Health Systems Inc. |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
EP3930622A4 (en) | 2019-03-01 | 2022-11-16 | Swift Health Systems Inc. | IMPRESSION TRAY FOR INDIRECT BONDING WITH TURBO-OCCLUSIONS AND ORTHODONTIC AUXILIARY INTEGRATION |
KR20220004150A (ko) | 2019-05-02 | 2022-01-11 | 브리우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 치과 기기 및 관련 제작 방법 |
US12053346B2 (en) | 2019-10-31 | 2024-08-06 | Swift Health Systems Inc. |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
AU2021286568A1 (en) | 2020-06-11 | 2023-01-19 | Swift Health Systems Inc. |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
US20220061963A1 (en) * | 2020-09-01 | 2022-03-03 | Dean UltraThin Retainer, LLC | Patient specific dental appliances |
US11504212B2 (en) | 2021-03-25 | 2022-11-22 | Brius Technologies, Inc. | Orthodontic treatment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EP4395688A1 (en) | 2021-09-03 | 2024-07-10 | Swift Health Systems Inc. | Method of administering adhesive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
USD1043994S1 (en) | 2022-01-06 | 2024-09-24 | Swift Health Systems Inc. | Archwire |
WO2023172723A2 (en) * | 2022-03-10 | 2023-09-14 | Alta Smil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teeth with wires bonded directly to teeth |
WO2024059653A2 (en) * | 2022-09-15 | 2024-03-21 | Swift Health Systems Inc. | Non-sliding orthodontic archforms |
DE202023100178U1 (de) * | 2023-01-15 | 2024-04-16 | Inna Gorbushina | Instrument zum Setzen eines zahnmedizinischen Bracket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26422A (en) * | 1959-01-06 | 1960-03-01 | Wallshein Melvin | Orthodontic brackets |
JPS5982013U (ja) * | 1982-11-25 | 1984-06-02 | 藤田 欣也 | 歯科矯正装置 |
US4533320A (en) * | 1984-07-26 | 1985-08-06 | Jack Piekarsky | Stabilizing retainer system |
US8827697B2 (en) * | 2008-04-09 | 2014-09-0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with removable section |
ES2874777T3 (es) * | 2012-10-30 | 2021-11-05 | Univ Southern California | Aparato de ortodoncia con arco de alambre encajado a presión, antideslizante |
AU2014248044A1 (en) * | 2013-04-05 | 2015-10-29 | Benjamin CASSALIA |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
FR3005405B1 (fr) * | 2013-05-13 | 2023-01-20 | Roisin Louis Charles | Dispositif de contention orthodontique fixe |
CN107405178A (zh) * | 2015-03-13 | 2017-11-28 | 3M创新有限公司 | 包括弓形构件的正畸器具 |
US20180021108A1 (en) * | 2015-03-13 | 2018-01-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rch member |
ITUB20155409A1 (it) * | 2015-11-10 | 2017-05-10 | Luigi Cursio | Sistema ortodontico con filo ad arco accoppiabile ad un elemento |
EP3383309B1 (en) | 2015-12-06 | 2023-08-30 | Brius Technologies, Inc. | Teeth re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DE102016110161A1 (de) * | 2016-06-02 | 2017-12-07 | Yong-min Jo | Bracket für eine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
-
2021
- 2021-04-27 CA CA3179363A patent/CA3179363A1/en active Pending
- 2021-04-27 EP EP21724173.6A patent/EP4142642A1/en active Pending
- 2021-04-27 MX MX2022013496A patent/MX2022013496A/es unknown
- 2021-04-27 JP JP2022566453A patent/JP2023524090A/ja active Pending
- 2021-04-27 AU AU2021268217A patent/AU2021268217A1/en active Pending
- 2021-04-27 KR KR1020227039681A patent/KR20230004615A/ko unknown
- 2021-04-27 WO PCT/US2021/070469 patent/WO2021226618A1/en unknown
- 2021-04-27 US US17/302,227 patent/US20210353389A1/en active Pending
- 2021-04-27 CN CN202180047338.0A patent/CN115916102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24090A (ja) | 2023-06-08 |
CN115916102A (zh) | 2023-04-04 |
US20210353389A1 (en) | 2021-11-18 |
MX2022013496A (es) | 2022-11-16 |
CA3179363A1 (en) | 2021-11-11 |
AU2021268217A1 (en) | 2022-10-27 |
WO2021226618A1 (en) | 2021-11-11 |
EP4142642A1 (en) | 2023-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004615A (ko) | 치과 장치 및 관련 시스템과 사용 방법 | |
US20220226076A1 (en)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 |
US20200345455A1 (en)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 |
US20220133438A1 (en)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EP3267927B1 (en) |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rch member | |
KR102669870B1 (ko) | 치아 재위치조정 시스템 및 방법 | |
US20230200938A1 (en)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 |
US20230414326A1 (en) | Devices for treating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US20230404715A1 (en) |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impacted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US20240225788A1 (en) |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 |
WO2022159738A1 (en) | Devices for treating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WO2023081737A1 (en) |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