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025A -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025A
KR20230004025A KR1020210085782A KR20210085782A KR20230004025A KR 20230004025 A KR20230004025 A KR 20230004025A KR 1020210085782 A KR1020210085782 A KR 1020210085782A KR 20210085782 A KR20210085782 A KR 20210085782A KR 20230004025 A KR20230004025 A KR 2023000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olding
protective case
protective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현
경준혁
권용진
민상우
임승환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4025A/ko
Priority to PCT/KR2022/005691 priority patent/WO2023277320A1/ko
Publication of KR2023000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축으로 하는 접철면이 구비되며, 상기 접철면이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1 개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철부와 접철면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ELECTR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포장용 완충재로 사용되는 동시에 전자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은 출하 시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완충재는 별도의 활용성이 없으며, 특히 스티로폼으로 불리는 발포폴리스티렌(EPS)은 제품 개봉 후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아서 환경 문제를 초래한다.
스티로폼의 사용을 제한하고자 친환경 포장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비용 증가 문제뿐만 아니라 제품 개봉 이후에 포장재는 여전히 별도로 활용할 수 없는 것도 문제이다.
한편 전자제품의 보호케이스 소재로 EVA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호케이스를 거치대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액세서리나 힌지 등을 갖추어야 하므로 보호케이스의 제조 공수가 증가되며, 이러한 보호케이스는 포장재와는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보호케이스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포장재를 재활용하여 환경 부담을 경감하면서도, 보호케이스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제2024549호(분리형 스티로폼 포장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으로 제품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운반 중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며, 발포 폴리스티렌(EPS)과 같이 재활용이 어렵고 폐기되는 포장재를 대체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인 포장재 겸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포장재 대비 완충성 및 경량성이 증가되어 제품 보호 효과 및 이송 편의성이 증가된 포장재를 제공하고, 상기 포장재를 폐기하지 않고 그대로 활용하여 전자제품의 보호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제품 보호케이스는 2개 이상의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축으로 하는 접철면이 구비되며, 상기 접철면이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1 개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철부와 접철면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포함할 수 있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와 접철면은 일체로 성형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는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일부면이 개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일부면이 개방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상부접철케이스;
일측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부접철케이스;
일측이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와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연장케이스; 및
일측이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연장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는 전자제품이 안착된 상태로 접철되어 전자제품을 수납하고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 및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접철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5. 상기 4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 사이에 제1접철부위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 사이에 제2접철부위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6. 상기 5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는 상기 제1접철부위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에 접철되고,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상기 제2접철부위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에 접철될 수 있다.
7.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8. 상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9. 상기 4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단이 구비될 수 있다.
10. 상기 5 내지 9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 사이에 접철보강판이 구비될 수 있다.
11. 상기 10 구체예에서, 접철보강판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포함할 수 있다.
12. 상기 10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보강판은 폴리프로필렌(PP)로 구비될 수 있다.
13. 상기 4 내지 12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수학식 1]
W1 > W0
여기서 W1은 상기 안착부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이며, W0은 상기 접철보강판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이다.
14. 상기 4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연장케이스는 테두리 일부에 고정단이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상부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15. 상기 4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테두리 일부에 끼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하부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16. 상기 14 또는 15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연결홈과 상기 하부연결홈은 스트랩홀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랩홀에 스트랩이 삽입될 수 있다.
17. 상기 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비드를 가열 융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는 활용성이 떨어져서 폐기되는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대체하여 식기 또는 유아용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사용하여 매우 환경 친화적이고, 완충성 및 다른 완충재인 EVA소재 대비 경량성이 증가되어 제품 보호 효과뿐만 아니라 이송 편의성 또한 증대되며, 포장재로 사용 이후에도 이를 폐기하기 않고 그대로 전자제품의 보호케이스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단일 소재로 제조되어 제품의 수명이 다했을 때 폐기를 하는 경우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받침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스트랩이 구비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 보호케이스(1000)는 2개 이상의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개 이상의 접철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200)를 축으로 하는 접철면(100a, 100b)을 구비한다.
상기 접철부(200)는 접철면(100a, 100b) 사이에서 접철면(100a, 100b)을 연결하면서 접철면(100a, 100b)을 지지하여 상기 접철면(100a, 100b)이 일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철면(100a, 100b)이 상기 접철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접철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접철면(100a, 100b)이 상기 접철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접철면(100a, 100b)이 서로 접철되어 내측에 수납공간(300a, 300b)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200)가 2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철면(100a, 100b) 또한 2개 이상으로 구비되면 2개 이상의 수납공간(300a, 300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철부(200)가 2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 접철부(200)에 2개의 접철면(100a, 100b)이 구비되어 2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300a, 300b)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이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300a, 300b)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공간(300a, 300b)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300a, 300b)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면 자체적으로 받침부를 형성하여 나머지 수납공간(300a, 300b)을 지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000)가 2개 이상의 수납공간(300a, 300b)을 형성하여 전자제품의 본체뿐만 아니라 각종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용 포장재로서 활용성이 증대되며, 상기 수납공간(300a, 300b)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300a, 300b)이 자체적으로 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제품이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케이스(1000)를 일정하게 지지하여 일정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00)의 활용성 또한 증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은 일체로 성형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금형 사출방법으로 한 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접철부(200)를 형성하기 위한 힌지 추가 또는 접철부(200) 상부에 보강재 추가 등의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서 보호케이스(1000)의 제조공수 및 제조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은 발포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부(200)와 접철면(100a, 100b)은 발로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EPP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호케이스(1000) 전체의 완충성 및 경량성이 증가되며, 무가교 고분자이므로 분쇄 후 원료의 재사용 및 처리가 용이하여 매우 환경 친화적이다.
상기 접철부(200)가 EPP를 포함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접철부(200)의 두께를 조절하여 약간의 연질성의 접철부(20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철면(100a, 100b)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철면(100a, 100b)이 상기 접철부(200)를 중심축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접철면(100a, 100b)이 서로 접철되어 수납공간(300a, 300b)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200)는 상기 접철면(100a, 100b)의 가로 또는 세로면에 형성되어 접철면(100a, 100b)이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제품 포장 방식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된 전자제품의 거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부(200)는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공간(300a, 300b)을 연결하는 상기 접철부(200)는 폴리프로필렌 사출품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철부(200)는 접철면(100a, 100b)과 함께 EPP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납공간(300a, 300b)을 연결하는 경우 부재 조립 편의성을 위해 PP 사출품으로 구비되어 접철면(100b)의 어느 한쪽에 덧붙여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철부(200) 중 일부가 PP로 제조되는 경우에도 분리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00)의 사용 수명이 완료되는 경우에도 재활용이 용이하여 매우 환경 친화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일부면이 개방되고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는 상부접철케이스(400), 하부접철케이스(500), 상부연장케이스(600) 및 하부연장케이스(7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는 일부면이 개방되어 고정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는 완충성을 가져서 수납되는 전자제품(I)의 상부면을 커버하여 전자제품(I)을 보호함과 동시에 전자제품(I)의 일면이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일부면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중심 부위가 개방되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제품(I)의 전면부가 상기 고정부(410)에 삽입 고정되어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0)의 크기는 삽입되는 전자제품(I)의 전면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고정부(410)는 상부접철케이스(400)의 면적 내에서 일정 크기로 결정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410)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1 내지 5cm 폭을 갖는 경우 상기 전자제품(I)에 대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410)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11)은 상기 전자제품(I)의 테두리 부위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411)은 상기 고정부(410)의 테두리 부위를 단차지게 형성하여, 상기 전자제품(I)의 테두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11)의 폭은 상기 전자제품(I)의 무게 및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으며, 걸림턱(411)의 폭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제품(I)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20)은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이루며,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의 테두리 중 일 부분에 그루브(Groove)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의 양 세로변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끝이 절곡된 구조로 꺽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는 상기 고정부(410)와 삽입홈(420)이 함께 성형될 수 있도록 금형을 이용한 발포 폼 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 일측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410)에 대응하는 안착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는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는 상기 고정부(410)에 대응하는 안착부(5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10)는 예를 들면,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제품(I)의 후면이 안착되는 공간이며, 상기 고정부(4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10)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제품(I)의 후면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가 회동하여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접철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제품(I)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 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자제품(I)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10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10)의 일 부분은 개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투광홀(511)이 형성되어, 상기 전자제품(I)의 후면에 카메라 모듈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가 상기 투광홀(5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카메라가 효과적으로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단(5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520)은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에 형성된 삽입홈(4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520)이 형성되면 상기 삽입단(520)이 상기 삽입홈(420)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하부접철케이스(500)가 체결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전자제품(I)을 안착하여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단(520)은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의 테두리 일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520)의 높이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홈(420)과 마찰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체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삽입단(520)의 높이를 낮추어 체결 강도를 낮추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보호케이스는 자석 등을 이용한 별도의 구속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에 삽입홈(42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가 삽입단(520)을 구비하는 경우 제조 공수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삽입단(520)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테두리 중 일부 부위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양 세로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520)이 양 세로변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삽입단(5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하부접철케이스(500)의 체결 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 사이의 연결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 사이에 제1접철부위(800a)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 사이에 제2접철부위(800c)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철부위(800a)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접철부위(800a)는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금형에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를 성형하면서 두께와 길이를 조절하여 약간의 연질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를 연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철부위(800a)가 두께와 갈이가 조절되어 약간의 연질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1접철부위(800a)를 중심 축으로 하여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에 접철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철부위(800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를 접철하여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전자제품(I)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는 일측이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는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 및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가 형성하는 수납공간과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는 일측이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에 접철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 사이에는 제2접철부위(800c)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접철부위(800c)는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2접철부위(800c)는 상기 제1접철부위(800a)와 동일 재질 및 과정으로 형성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접철부위(800c)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와 접철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접철된 수납공간이 그대로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의 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철부위(800a)와 제2접절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제1접철부위(800a)를 중심축으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가 접철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전자제품(I)의 본체를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접철부위(800c)를 중심축으로 상부연장케이스(600)에 하부연장케이스(700)가 접철되어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전원케이블과 같은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전자제품(I)의 보관 및 이송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철부위(800a)와 제2접철부위(800c)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는 서로 이격되어 회동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호케이스 사용 시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가 접철되어 있어도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의 개방에 전혀 영향이 없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제품(I) 본체 만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는 전자제품(I)이 안착된 상태로 접철되어 전자제품(I)을 수납하는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 및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는 접철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받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 사이에 접철보강판(9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철보강판(900)은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에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연결부(9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철보강판(900)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 및 하부연장케이스(700)가 형성하는 받침부가 일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한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910)가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가 형성하는 수납공간의 무게중심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받침부가 상기 수납공간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철보강판(9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가 형성하는 수납공간에 전자제품(I)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에 전자제품(I)의 무게가 증가되어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보강판(900)은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철보강판(900)이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체의 완충성 및 경량성이 증가되며, 특히 발포폴리프로필렌(EPP)를 포함하여 성형도는 경우, EPP가무가교 고분자이므로 분쇄 후 원료의 재사용 및 처리가 용이하여 매우 환경 친화적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철보강판(900)은 폴리프로필렌(PP)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철보강판(900)이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PP를 포함하는 사출품으로 별도 제조 후 덧붙여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 몸체와 받침부의 연결이 용이하며, 보호케이스의 사용 후에도 분리 배출이 용이하여 환경 친화적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상기 안착부(510)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수학식 1]
W1 > W0
여기서 W1은 상기 안착부(510)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이며, W0은 상기 접철보강판(900)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이다.
상기 안착부(510)가 상기 범위 내에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 하부면에 상기 접철보강판(900)을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910)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무게중심에 가까워질 수 있어서 전자제품(I)이 장착된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W0이 상기 W1 과 동일한 길이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910)를 금형에서 발포 사출하는 방법으로 형성하기 어렵다.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는 테두리 일부에 고정단(620)이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상부연결홈(6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62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는 테두리 일부에 끼임부(720)가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하부연결홈(7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임부(72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6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620)과 끼임부(720)가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는 별도의 체결 장치 없이 접철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의 길이(L2)는 상기 하부접철케이스(500)의 길이(L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L2가 L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포장효율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600)와 하부연장케이스(700)가 형성하는 받침부가 길어져서 전자제품(I) 거치 시 공간활용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홈(630)과 상기 하부연결홈(730)은 스트랩홀(h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홀(h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랩홀(h2)에 스트랩(S)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보호케이스(1000) 이동시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면, 상기 보호케이스(1000)를 가방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케이스(100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비드를 가열 융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PP종류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벌크 밀도가 48 (Bead, g/L) 이상이고, 예를 들면, 48 내지 60인 것이 완충성이 증가되어 고가의 전자제품(I)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표면저항이 1010 내지 1012Ω/sq인 경우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전자제품(I)의 수명 및 작동에 악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EPP는 금형에서 가열 융착하는 과정으로 성형이 가능하여 상기 보호케이스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00) 제조의 작업공수 및 제조비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EPP는 완충성 및 경량성을 가져서 포장재로 활용되는 경우 보관 및 이송 효율이 증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케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자제품(I)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는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 하부접철케이스(500), 상부연장케이스(600) 및 하부연장케이스(700)를 금형에서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 공수 및 제조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약간의 연성을 가지는 제1접철부위(800a)를 중심으로 상부접철케이스(400)와 하부접철케이스(500)가 접철되어 전자제품(I) 본체를 수납하는 몸체를 형성하고, 제2접철부위(800c)를 중심으로 상부연장케이스(600) 및 하부연장케이스(700)가 접철되어 부속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포장재로 활용 시 공간활용성을 증가시키며, 상기 접철보강판(900)의 일단이 몸체의 무게중심에 가깝게 배치되어 연결부(910)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가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몸체를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증가된 보호케이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기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의 받침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도 2에 따른 전자제품(I) 보호케이스(1000)의 스트랩(S)이 구비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일체로 성형된 상기 보호케이스(1000)는 일 평면 상에 모두 전개될 수 있으며, 포장될 전자제품(I)의 치수에 맞추어 상기 안착부(510)와 고정부(410)가 미리 형성되어 전자제품(I)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제품(I)이 안착부(510)에 안착된 후 상기 제1접철부위(800a)를 중심 축으로 상부접철케이스(400)가 접철되어 전자제품(I)을 고정하고,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가 제2접철부위(800c)를 중심 축으로 접철되어 부속품을 수납된다.
상기 전자제품(I)과 부속품이 수납된 상태로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케이스(1000)는 포장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1000)는 포장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재활용이 어려운 발포폴리스티렌(EPS)을 대체할 수 있어서 매우 환경 친화적이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의 전자제품(I)의 디스플레이가 노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하부연장케이스(700)의 일면과 상기 몸체의 일단이 지면에 닿아서 상기 전자제품(I)을 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를 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케이스의 활용성이 매우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접철케이스(400)와 하부접철케이스(500)에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접속단차홀(h1)을 형성하는 경우 보호케이스의 사용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전자제품(I)의 전원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에 형성된 스트랩홀(h2)에 스트랩(S)을 삽입하는 경우 보호케이스의 이동 시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케이스(1000)를 가방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보호케이스(1000)는 포장재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되지 않고 그대로 보호케이스(1000)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고, 전자제품(I)의 보관 및 거치가 가능하며 전자제품(I) 사용 시에도 이송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보호케이스
100a, 100b : 접철면
200 : 접철부
300a, 300b : 수납공간
400 : 상부접철케이스 410 : 고정부
411 : 걸림턱 420 : 삽입홈
500 : 하부접철케이스 510 : 안착부
520 : 삽입단 511 : 투광홀
600 : 상부연장케이스 610 : 내측공간
620 : 고정단 630 : 상부연결홈
700 : 하부연장케이스 710 : 내측공간
720 : 끼임부 730 : 하부연결홈
800a : 제1접철부위 800b : 중심선
800c : 제2접철부위 900 : 접철보강판
910 : 연결부
h1 : 접속단자홀 h2 : 스트랩홀
S : 스트랩 I : 전자제품

Claims (17)

  1. 2개 이상의 접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부를 축으로 하는 접철면이 구비되며, 상기 접철면이 상기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1 개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철부와 접철면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와 접철면은 일체로 성형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폴리프로필렌(P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4. 일부면이 개방되어 고정부가 형성된 상부접철케이스;
    일측이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하부접철케이스;
    일측이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와 연결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연장케이스; 및
    일측이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연장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는 전자제품이 안착된 상태로 접철되어 전자제품을 수납하고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 및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접철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5. 제4항 있어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와 상기 하부접철케이스 사이에 제1접철부위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상기 하부연장케이스 사이에 제2접철부위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6. 제5항 있어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는 상기 제1접철부위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에 접철되고,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상기 제2접철부위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에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철케이스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주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는 테두리를 따라 삽입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철케이스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 사이에 접철보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보호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보강판은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일체로 성형되어 구비되며,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보강판은 폴리프로필렌(PP)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수학식 1]
    W1 > W0
    여기서 W1은 상기 안착부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이며, W0은 상기 접철보강판 일측면과 상기 상부연장케이스와 연결되는 곳까지 거리임.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장케이스는 테두리 일부에 고정단이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상부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케이스는 테두리 일부에 끼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축 상에 복수개의 하부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홈과 상기 하부연결홈은 스트랩홀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랩홀에 스트랩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비드를 가열 융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케이스.
KR1020210085782A 2021-06-30 2021-06-30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KR20230004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82A KR20230004025A (ko) 2021-06-30 2021-06-30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PCT/KR2022/005691 WO2023277320A1 (ko) 2021-06-30 2022-04-21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82A KR20230004025A (ko) 2021-06-30 2021-06-30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025A true KR20230004025A (ko) 2023-01-06

Family

ID=8469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82A KR20230004025A (ko) 2021-06-30 2021-06-30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4025A (ko)
WO (1) WO20232773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015B2 (ja) * 2000-11-07 2006-04-05 第一大宮株式会社 折畳箱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製造装置
KR101147631B1 (ko) * 2006-09-14 2012-05-23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포장용 상자
US8672126B2 (en) * 2010-01-06 2014-03-18 Apple Inc. Foldable case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TW201615504A (zh) * 2014-10-27 2016-05-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包裝盒
US20170251790A1 (en) * 2016-03-02 2017-09-07 Barrie Bedasee Trifold carry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320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235B1 (en) Folding box
CN1772571B (zh) 用于家用设备的伸展罩式包装的包装箱、方法及成套工具
US20070039957A1 (en) Storage containers for vehicles
CN101309842B (zh) 包装体
CN101583545B (zh) 捆包用缓冲体和包装体
JP2007518637A (ja) シール可能な開口部をもつ耐衝撃性ケース
US20050243522A1 (en) Combined packaging and storage apparatus having added functionality
CN205410131U (zh) 适合于储存物件的携带箱
JP3850852B2 (ja) 基板搬送用容器
JP2011037474A (ja)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KR20200102401A (ko) 재사용 포장박스
KR20230004025A (ko) 전자제품 보호케이스
KR20140003413U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20060101841A (ko)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KR20090080839A (ko) 포장용 완충재 및 그 포장용 완충재 형성을 위한종이시트와, 상기 포장용 완충재를 이용한 제품 포장유닛및 포장방법, 그리고 상기 포장방법에 의해 포장된전자제품
CN219949049U (zh) 容器
JP3912833B2 (ja) 梱包装置
TW201219279A (en) Substrate shipper
KR1011686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호커버
WO2006115309A1 (en) Apparatus for horizontally packing thin film display panel
CN220683217U (zh) 包装装置
KR100607672B1 (ko) 냉장고용 포장유닛
KR20140111812A (ko) 포장상자
CN215647274U (zh) 一种盒体及耳机充电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