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971A -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 Google Patents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971A
KR20230002971A KR1020227040840A KR20227040840A KR20230002971A KR 20230002971 A KR20230002971 A KR 20230002971A KR 1020227040840 A KR1020227040840 A KR 1020227040840A KR 20227040840 A KR20227040840 A KR 20227040840A KR 20230002971 A KR20230002971 A KR 2023000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egion
wearer
foot
eye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할보워-펜톤
제이미 싱클레어 맥렐란
토마스 자드 핀크
올리비에 헨리코트
제임스 로메로
로메쉬 파텔
Original Assignee
올버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버즈, 인크. filed Critical 올버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0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wov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은 통상적인 신발에 비해 성능을 개선하고, 제조 효율을 증가시키며,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신발은 내구성 및 편안함을 포함하는 신발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상이한 직물 특성을 갖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 직물로 구성된 갑피부를 포함한다. 갑피부는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확장되고 신발을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도록 수축되도록 된 커프 영역 및 굴곡 영역을 확정할 수 있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의 형상에 맞추고 신발을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도록 된 힐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의 아일릿은 편안함을 개선하고 제조를 단순화시키도록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 특허 협력 조약 특허 출원은 2020년 4월 27일에 출원되고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라는 명칭의 미국 정규 특허 출원 제 16/859,80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전부 원용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신발류, 특히, 착용자의 운동 능력을 증가시키는 특징부를 갖는 운동화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고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통상적인 신발은 다수의 개별 구성요소를 함께 부착하여 형성되는 갑피부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양모와 같은 바이오 기반 재료로 형성된 통상적인 신발은 물과 기타 오염물질을 밀어내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통상적인 신발은 전부 합성 재료로 구성되고, 이 재료의 생산 및 사용은 환경에 유해할 수 있고 신발이 재활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많은 통상적인 운동화는 원하는 내구성과 발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덜 환경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많은 경우에, 예를 들어, 강화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더 뻣뻣하거나 더 단단한 통상적인 운동화용 밑창은 재활용 또는 폐기를 위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소정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밑창과 갑피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련되거나, 포함하거나 그 형태를 취한다. 밑창은 트레드 표면 및 상기 트레드 표면에 대향한 상단면을 확정할 수 있다. 갑피부는 상기 밑창의 상단면에 부착될 수 있고 공동을 확정하도록 상기 신발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상기 갑피부는 상기 공동으로의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개구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커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프 영역은 제1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갑피부는 제2 탄성을 가지는 굴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곡 영역 및 상기 커프 영역은 상기 개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신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갑피부는 상기 커프 영역과 상기 굴곡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제1 탄성 및 제2 탄성보다 적은 제3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굴곡 영역은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에 대해 상기 주변 영역을 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갑피부는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는 연속 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는 트레드 표면을 확정하는 밑창 및 상기 밑창에 부착되고 공동을 확정하는 편물 갑피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관련될 수 있다. 상기 편물 갑피부는 상기 공동으로의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개구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커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프 영역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은 상기 편물 갑피부의 내부면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공동으로 돌출한 힐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힐 리테이너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프 영역은 착용자에게 신발을 유지하도록 상기 착용자에 대해 상기 힐 리테이너를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물 갑피부는 단일 유니터리 조각으로 편직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또 다른 실시예는 갑피부, 제1 세트의 아일릿, 제2 세트의 아일릿, 및 신발끈을 포함하는 신발에 관련될 수 있다. 갑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을 확정할 수 있다. 갑피부는 상기 갑피부의 주변부 둘레에 연장되고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유칼립투스 섬유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굴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트의 아일릿은 상기 굴곡 영역의 제1 측면에서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제2 세트의 아일릿은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한 상기 굴곡 영역의 제2 측면에서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신발끈은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중 하나 이상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 중 하나 이상의 아일릿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은 연속 편직물에 의해 확정될 수 있고, 상기 굴곡 영역, 상기 신발끈,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은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을 조여주기 위해서 협동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다. 하기 설명은 본 개시를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본원에 제공된 개시 내용은 설명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변경,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편직물 갑피부를 가지는 예시적인 신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갑피부의 외층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갑피부의 내층을 도시한다.
도 4b는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갑피부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내층에 구성요소가 부착된 도 4a의 내층을 도시한다.
도 5a는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단면 1-1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1의 예시적인 신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다른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의 사용은 유사하거나, 관련되거나 동일한 항목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특징부 및 요소(및 이들의 컬렉션 및 그룹)의 비율 및 치수(상대 또는 절대), 그리고 이들 사이에 제시된 경계, 분리 및 위치 관계는 단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첨부 도면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제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를 제외하고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선호도 또는 요구사항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가 상세히 참조될 것이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를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대로 설명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변경,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설명된 신발은 통상적인 신발에 비해 달리기 및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에서 성능을 개선하고, 제조 효율을 증가시키며,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신발은 운동 수행 중 향상된 지지, 향상된 내구성 및 개선된 편안함을 포함하는, 신발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상이한 직물 특성을 갖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 직물(예컨대, 연속 편직물)로 구성된 갑피부(예컨대, 편물 갑피부)를 포함한다.
갑피부는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확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부가적 신발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갑피부는 갑피부를 형성하는 편직물을 관통하는 구멍 없이 하나의 시임을 갖는 공동으로의 개구 주위에 연속 단일 외부면을 확정할 수 있다. 이것은 운동 활동 중 지지 및 일반적인 신발 성능을 개선하도록 신발이 착용자의 발에 더 꼭 맞도록 도울 수 있다.
갑피부는 신발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발 또는 발목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도록 된 커프 영역을 확정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마찰, 이동 또는 불량한 맞춤과 연관된 기타 문제점을 감소시킴으로써 신발의 맞춤 및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은 개구의 주변부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부가적으로, 커프 영역은 개구 및/또는 주변부를 확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은 개구의 주변부의 전체 둘레에 연장된다. 커프 영역에 대한 직물 특성은 편안함, 내구성, 및 다른 직물 특징을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프 영역은 갑피부의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가요성, 탄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커프 영역은, 착용자가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을 할 때 발에 대한 신발에 의한 이동을 감소시키는 더 꼭 맞음을 신발에 제공할 수 있다. 커프 영역은 커프 영역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따라 리브를 확정하는 리브가 있는 편직 패턴을 사용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탄성"은 인가된 응력 하에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재료 또는 재료 조합의 능력 또는 경향 척도를 지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어 "탄성 변형"은 인가된 응력(예컨대, 힘) 하에 크기 또는 형상을 변화시키고 인가된 응력이 제거된 후 실질적으로 초기 크기 또는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재료의 능력 또는 경향을 지칭할 수 있다.
갑피부는 사용 중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 상부에 연장되는 영역에서 굴곡 영역을 확정할 수 있다. 굴곡 영역은 갑피부의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가요성, 탄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커프 영역은 신발을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도록 하나의 굴곡 영역 및/또는 힐 리테이너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프 영역 및 굴곡 영역은 신장되어 착용자의 발이 신발로 들어간 후, 신발을 발에 유지하도록 수축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 중 향상된 지지 및 운동 능력을 제공하도록 신발의 사용 중 착용자의 발에 추가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신발은 갑피부의 내부면을 따라 힐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는 공동으로 돌출할 수 있고, 힐 리테이너와 안창 사이에 리세스를 확정할 수 있다. 리세스와 힐 리테이너는 공동에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고/하거나 갑피부의 내부면에 대해 착용자의 발이 미끄러지거나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착용자의 발(예컨대, 착용자의 발뒤꿈치 및/또는 종골)의 형상에 맞출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착용자의 발뒤꿈치는 힐 리테이너 아래에 끼워질 수 있어서, 힐 리테이너는 착용자가 달리거나 격렬한 운동 활동을 할 때 발뒤꿈치를 제자리에 유지하거나 발뒤꿈치 움직임을 감소시킨다.
힐 리테이너는 커프 영역을 포함해 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유지하도록 신발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커프 영역은 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착용자의 발에 대해 힐 리테이너를 당기는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는 커프 영역과 아킬레스 건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의 민감한 부분 사이에 패딩을 제공하여 신발의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착용자에게 탄성력을 가하는 커프 영역으로 인한 착용자의 불편함을 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가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운동 활동에 참여할 때 착용자에게 향상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갑피부는 신발의 측면을 따르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을 확정할 수 있다. 주변 영역은, 예를 들어,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 중 착용자에게 향상된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더 뻣뻣하거나 더 두꺼울 수 있다. 갑피부는 사용 중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발가락 위에 있는 영역에 발가락 영역을 확정할 수 있다. 발가락 영역은 예를 들어 주변 영역과 같은 다른 영역보다 더 적은 힘을 부여받기 때문에 손상 또는 변형에 덜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가락 영역에 대한 직물 특성은 편안함 및 다른 직물 특징을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 영역은 주변 영역 및/또는 다른 영역에 비해 증가된 통기성 및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영역과 비교해 커프 영역 및/또는 굴곡 영역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은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커프 영역 및/또는 굴곡 영역은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을 돕도록 개구를 공동으로 확장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신발 신고 벗기 및 신발의 일반 사용(예컨대, 착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변형을 포함해, 변형된 후 갑피부를 그것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커프 영역 및/또는 굴곡 영역의 증가된 탄성은 신발의 편안함 및/또는 내구성을 부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것은 그렇지 않으면 신발의 성능 및 편안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커프 영역 및/또는 굴곡 영역에서 갑피부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신발은 (예컨대,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갑피부의 외부에 위치된 아일릿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각각의 아일릿은 갑피부의 완전히 외부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임의의 아일릿의 어떤 부분도 갑피부의 외부면의 임의의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되거나 그 아래에 위치되지 않는다. 이것은 갑피부에 큰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신발이 제조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것은 신발의 편안함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신발은 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유지하도록 아일릿 내 개구를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끈은 굴곡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굴곡 영역의 대향한 측면 상의 하나 이상의 아일릿을 통과함으로써 갑피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신발끈은 아일릿을 함께 당겨서, 착용자의 발 상부에 굴곡 영역을 압축하고 신발의 측면(예컨대, 주변 영역)을 변형시킨다. 이것은 신발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에 추가 장력을 제공하여, 걷기, 달리기,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신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이오 기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용어 "바이오 기반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살아있거나 한때 살아있던 유기체에서 유래된 물질로 제조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갑피부는 바이오 기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신발의 다른 구성요소는 바이오 기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밑창은 사탕수수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바이오 기반의 폼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신발의 안창은 파마자유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바이오 기반의 폼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신발의 아일릿은 파마자유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신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활용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의 신발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 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원에 설명된 신발에서 사용된 바이오 기반의 재활용 재료는 통상적인 신발에 비해 상당한 환경적 이점을 제공한다. 합성 재료의 대체품으로서 바이오 기반 재료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합성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석유 제품과 같은 유해 화학물질의 가공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신발 제조와 연관된 유해 배출물을 더 줄일 수 있다. 유사하게, 바이오 기반 재료는 비재생성 자원(예컨대, 석유 제품)보다는 재생 가능 자원(예컨대, 식물 섬유, 사탕수수, 옥수수당)에서 유래되기 때문에 많은 합성 재료보다 더 생태학적으로 지속가능하다. 유칼립투스 나무는 전형적으로 관개 또는 살충제를 요구하지 않고 다른 농업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에서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유칼립투스 섬유는 특히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하다. 유사하게, 새로운 재료 대신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면 매립지 및 소각로로 보내지는 폐기물을 줄이고 천연 자원을 보존하고, 오염을 방지하며, 새로운 원료의 수집 및 처리와 관련된 에너지를 절약한다.
바이오 기반의 재활용 재료를 사용해, 본원에 설명된 신발은 신발 재활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은 재활용 공정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연속 직물로 형성되는 갑피부로 인해 서로 분리할 구성요소가 더 적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신발은 착용자가 양말 없이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발은 양말 없이 착용될 때 신발의 성능을 개선하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부는 특히 양말이 없을 때 착용자를 자극할 수 있는 시임을 감소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신발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갑피부는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제2 대향한 측면에서, 트레드 표면을 확정하는 밑창의 제1 측면에 부착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밑창은 트레드 표면을 확정하고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상이한 재료 특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해 갑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직물" 또는 "패브릭"은, 제직, 편직, 스프레딩, 코바늘 뜨개질, 매듭 매기, 펠팅, 본딩, 편조, 및 카펫팅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공정에 의해 형성된 천연 및/또는 인조 섬유(예컨대, 시트로 형성된 얀 또는 실)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가요성 재료로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직물 특성"은 섬유 특성(예컨대, 섬유 유형, 크기, 및 길이), 얀 특성(예컨대, 얀 직경, 꼬임, 중량, 크기, 카운트, 섬유 함량 또는 섬유 비율, 겹, 및 합사에서의 스트랜드 카운트), 중량, 두께, 패브릭 구조, 패브릭 밀도, 제직 특성(예컨대, 제직 유형, 경사 및 필링 얀 카운트), 편직 특성 (예컨대, 편직 유형, 웨일 및 코스 카운트), 가공 또는 코팅(예컨대, 화학물질, 수지, 전분, 및 왁스), 및 기계적 효과(예컨대, 캘린더링, 내핑, 플로킹, 및 브러싱)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직물의 치수 및 특징을 확정하는 특성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직물 특징"은 강성(예컨대, 내신축성 또는 내굽힘성), 가요성(예컨대, 감소된 강성), 통기성(예컨대, 공기 투과성), 내수성, 수분 흡수, 소취성, 내구성 특징, 시각적 특징(예컨대, 직물 외관), 및 촉각적 특징(예컨대, 직물 촉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직물의 성능 척도를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내수성"은 신발의 공동 및/또는 신발의 다른 부분으로 물, 다른 액체, 또는 다른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신발의 능력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내구성"은 마모, 변형, 및/또는 손상에 견디고/견디거나 직물 특성, 구조, 시각적 특징, 및/또는 촉각적 특징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예컨대, 직물) 또는 물체(예컨대, 신발)의 능력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내구성 특징"은 마모 강도(예컨대, 내마모성), 파열 강도(예컨대, 패브릭의 평면에 직각으로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는 능력), 및 인장 강도(예컨대, 패브릭의 평면을 따라 가해지는 힘을 견딜 수 있는 능력)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직물의 내구성 척도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편직물 갑피부(110)를 가지는 예시적인 신발(100)을 도시한다. 갑피부(110)는 신발(100)의 형상 또는 구조를 확정할 수 있고, 신발(100)을 착용한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편안하게 하고/하거나 보호하도록 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신발(100)은 내구성 및 편안함을 포함한 신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상이한 직물 특성을 갖는 다수의 영역을 확정하는 연속 직물(예컨대, 편직물)로 구성된 갑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직물 특성은 원하는 신발 성능을 달성하도록 각각의 영역에 대해 원하는 직물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서 갑피부(110)의 상이한 영역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다중 영역 갑피부(110)는 더 높은 인가된 힘을 받기 쉬운 위치에서 손상 또는 변형에 덜 민감한, 예를 들어 더 두껍거나 더 딱딱한 영역을 가짐으로써 신발(100)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영역 갑피부(110)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을 더 잘 지지하거나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상이한 영역에 걸쳐 두께 및/또는 가요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갑피부(110)의 영역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검토된다.
많은 통상적인 신발이 다수의 상이한 부품 또는 구성요소로 형성된 갑피부를 포함하는 반면,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는 연속 직물로 형성된다. 연속 직물은 단일, 유니터리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속 직물을 사용해 갑피부(110)를 형성하는 것은, 착용자에게 자극을 줄 수 있는 시임을 제거하여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하고, 신발의 전체 구성요소 개수를 감소시켜 제조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갑피부(110)는 많은 통상적인 신발에서 사용되는 재료보다 더 지속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재료인 유칼립투스 섬유와 같은 바이오 기반 재료를 사용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연속 직물로 구성된 갑피부(110)는 신발(100)에 사용되는 접착제와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줄인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는 운동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도록 향상된 강성을 제공하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부는 달리기, 운동, 또는 다른 운동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고/하거나 안정화시킬 수 있는 신발(100)의 능력을 개선하도록 핫 멜트 얀과 같은 보강 재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갑피부(110)는 달리기, 운동, 또는 다른 운동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고/하거나 안정화시킬 수 있는 신발(100)의 능력을 개선하도록 증가된 패브릭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갑피부(1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연속 직물은 제직, 편직, 스프레딩, 코바늘 뜨개질, 매듭 매기, 펠팅, 본딩, 편조, 및 카펫팅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공정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연속 직물은 편직물이다. 편직물은 특정 형상(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갑피부(110)의 형상)으로 편직 또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연속 직물은 3차원 형상(예컨대, 비평면 형상)으로 편직된다. 경우에 따라서, 연속 직물은 그것이 구성된 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다르게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영역은 상이한 직물 특징을 달성하도록 상이한 직물 특성을 갖는다.
갑피부(110)는 신발의 외부면의 제1 부분을 확정할 수 있고, 밑창(120)은 신발의 외부면의 제2 부분을 확정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착용자의 발(도 1에 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160)을 확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부가적 신발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갑피부(110)는 신발(100)의 내부면의 제1 부분을 확정할 수 있다. 갑피부(110)는 함께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다수의 층은 편직 공정의 일부로서 함께 형성된다. 제1 및 제2 층은 서로 인터레이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의 편직 구조는 예를 들어 루프 전달 기술을 사용해 제2 층의 편직 구조와 인터레이스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의 외층은 갑피부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고, 갑피부의 내층은 갑피부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한다. 경우에 따라서, 직물 특징은 원하는 신발 성능을 달성하도록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은 제1 직물 특성을 가지는 제1 편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2 층은 제2 직물 특성을 가지는 제2 편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직물 특징 및 재료는 내부면을 따라 상이한 위치에서 변할 수 있다.
연속 직물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직물 또는 편직물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얀은 함께 꼬이거나 다르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천연 또는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예컨대, 유칼립투스 섬유, 대나무 섬유, 레이온, 및 모달), 양모, 면, 실크,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얀은 2가지 이상의 섬유의 블렌드를 사용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얀은 유칼립투스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얀은 함께 꼬이거나 편조된 얀의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합사이다.
경우에 따라서, 신발(100)은 아일릿(140) 및 아일릿을 통과하는 신발끈(150)을 포함한다. 아일릿과 신발끈은 함께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100)을 죄어줌으로써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유지할 수 있다. 신발끈(150)은 아일릿(140)을 함께 당겨서, 착용자의 발 상부 위 신발(100) 부분(예컨대, 굴곡 영역)을 압축하고 신발의 측면(예컨대, 주변 영역)을 변형시키거나 장력 하에 둘 수 있다. 이는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에 추가 장력을 제공하여서, 걷기, 달리기,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의 하나 이상의 층의 가요성은 신발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 위의 영역은 더 큰 가요성을 가질 수 있어서 아일릿(140)과 신발끈(150)에 의한 압축이 향상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 위 영역에 더 집중될 수 있다. 아일릿(140) 및 신발끈(150)은 도 5a를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검토된다.
신발(100)은 또한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지면이나 다른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트레드 표면을 확정하는 밑창(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밑창(120)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해 갑피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밑창(120)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검토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신발(1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위에서 검토한 대로, 갑피부(110)는 내구성 및 편안함을 포함한 신발(100)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다른 직물 특성을 가지고,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 직물(예컨대, 편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인 신발(100)의 갑피부(110)는 4개의 영역, 주변 영역(210a), 굴곡 영역(210b), 발가락 영역(210c), 및 커프 영역(210d)을 포함한다. 4개의 영역(210a 내지 210d) 각각은 다른 직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은 내구성, 편안함, 및 운동 능력을 포함한 신발(100)의 향상된 성능을 전체적으로 제공하도록 협동작용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중 영역 갑피부(110)는 신발(100)의 내구성, 신발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고/있거나 착용자가 양말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편안하게 신발을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직물 두께 또는 가요성을 포함한 직물 특성 및/또는 직물 특징은 원하는 신발 성능을 달성하도록 다른 영역(210a 내지 210d)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영역(210a 내지 210d)의 위치, 크기, 및 직물 특성은 착용자의 발에 대한 위치 및/또는 신발(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주변 영역(210a)은 다른 영역(210b 내지 210d)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해 증가된 강성 및/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굴곡 영역(210b) 및 커프 영역(210d)은 주변 영역(210a) 및/또는 발가락 영역(210c)과 비교해 증가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달리기 및 운동과 같은 운동 활동 중 신발(100)에 의해 착용자에게 제공되는 안정성 및 지지를 개선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신발(100)의 측면을 따르는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210a)을 확정할 수 있다. 주변 영역(210a)은 예를 들어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 중 착용자에게 향상된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다른 영역보다 더 딱딱하거나 두꺼울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주변 영역(210a)은 예를 들어 다른 영역보다 큰 힘을 부여받기 때문에 손상 또는 변형에 더 취약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부의 주변 영역(210a)은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높은 강성, 파열 강도, 인장 강도, 또는 마모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변 영역(210a)은 갑피부가 밑창(120)과 만나는 갑피부(110)의 주변부(212)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주변부(212)에 가까운 갑피부(110)의 영역은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보다 손상 또는 변형에 더 취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212)에 가까운 영역은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보다 지면에 더 가깝다. 유사하게, 주변부(212)에 가까운 영역은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보다 신발(100)의 외부 가장자리에 더 가깝고, 따라서 물체는 착용하는 동안 이 영역과 접촉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착용자의 발은 갑피부(110)가 주변부(212)에 가까운 영역에서 밑창(120)에 대해 당겨지거나 꼬여지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영역은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보다 더 높은 강성, 마모 강도, 파열 강도 및/또는 인장 강도를 요구한다. 갑피부(110)는 주변 영역(210a)의 강성, 마모 강도, 파열 강도, 및/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주변 영역(210a)에 보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210a)을 위한 얀 혼합물은 주변 영역(210a)의 강성, 마모 강도, 파열 강도, 및/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핫 멜트 얀(예컨대, 열가소성 나일론 얀)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210a)은 주변부(212)를 따라 신발(100) 주위에 완전히 연장되도록 협동작용한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210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영역(210b), 발가락 영역(210c), 및/또는 커프 영역(210d)을 둘러싼다.
갑피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 중 착용자의 발 상부 위에 연장되는 영역에 굴곡 영역(210b)을 확정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주변 영역(210a)보다 손상 또는 변형에 덜 민감할 수 있고, 굴곡 영역(210b)을 위한 직물 특성은 편안함, 내구성, 및 다른 직물 특징을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 영역(210b)은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가요성, 탄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예를 들어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격렬하거나 빠른 활동 중 향상된 지지 및 운동 능력을 제공하도록 신발(100)의 사용 중 착용자의 발에 추가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다른 영역에 비해 증가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유지하고/하거나 착용자의 발이 공동(160) 밖으로 부주의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착용자의 발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는 신발의 편안함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착용자의 발 상부 위에서 신장되어서, 신발(100)의 측면(예컨대, 주변 영역(210a))을 변형시키거나 장력 하에 둘 수 있다. 이는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에 추가 장력을 제공하여서, 걷기, 달리기,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굴곡 영역(210b)은 주변 영역(210a)이 착용자의 발과 더 단단히 맞물려서 측방향 안정성을 제공하면서 신발(100)이 달리기 또는 운동과 같은 운동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착용자의 능력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영역과 비교해 굴곡 영역(210b)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은 착용자가 신발(100)을 신고 벗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착용자가 신발(100)을 신고 벗는 것을 돕도록 개구(170)를 공동(160)으로 확장시키도록 신장할 수 있다. 이것은 커프 영역(210d)의 신장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영역과 비교해 굴곡 영역(210b)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은 예를 들어 사용 중 갑피부(110)의 형상을 착용자의 발에 보다 효과적으로 맞춤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의 증가된 탄성은, 부가적으로, 신발 신고 벗기 및 신발의 정상 사용(예컨대, 착용) 결과로 발생하는 변형을 포함한 변형된 후 갑피부가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허용함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것은 굴곡 영역(210b)에서 갑피부(11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신발(100)의 성능 및 편안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갑피부(110)는 굴곡 영역(210b)의 탄성 및/또는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굴곡 영역(210b)에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 영역(210b)을 위한 얀 혼합물은 굴곡 영역(210b)의 탄성 및/또는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탄성 중합체(예컨대, 엘라스테인)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 또는 그것의 일부는 신발(100) 양측의 아일릿(140) 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굴곡 영역(210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 영역(210a), 발가락 영역(210c), 및/또는 커프 영역(210d)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 주변 영역(210a), 발가락 영역(210c), 및 커프 영역(210d)은 도 2에 도시된 대로 굴곡 영역(210b)을 완전히 포위하도록 협동작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층의 제직 밀도는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굴곡 영역의 능력을 개선하도록 굴곡 영역이 더 가요성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의 외층은 주변 영역(210a)을 포함한 다른 영역보다 더 많이 신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더 낮은 제직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갑피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 중 착용자의 발가락 위에 위치되는 영역에 발가락 영역(210c)을 확정할 수 있다. 발가락 영역(210c)은, 예를 들어 주변 영역(210a)과 같은 다른 영역보다 더 적은 힘을 부여받기 때문에 손상 또는 변형에 덜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가락 영역(210c)의 직물 특성은 편안함과 다른 직물 특징을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 영역(210c)은 주변 영역(210a) 및/또는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통기성 및 가요성을 갖는다. 착용자의 발가락 위 발가락 영역(210c)의 위치는, 그 위치가 다른 위치보다 손상 또는 변형에 덜 취약하다는 사실과 결합되어 착용자를 더욱 편안하게 만들도록 착용자의 발로부터 열을 발산하기 위해 더 통기성이 좋도록 굴곡 영역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가락 영역(210c)은 주변 영역(210a)에 존재하는 보강 재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발가락 영역이 주변 영역(210a)보다 더 통기성이 있도록 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170) 둘레에서 공동(160) 내로 연장되는 커프 영역(210d)을 확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은 전부 개구(170) 둘레에 연장된다. 커프 영역(210d)은 운동 활동 등을 하는 동안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사용 중 착용자의 발 또는 발목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찰, 이동, 또는 불량한 맞춤과 연관된 기타 문제점을 감소시킴으로써 신발의 맞춤 및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고, 가요성을 허용하면서 안정성 및 지지를 개선함으로써 운동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움직임에 지나치게 제한적이지 않으면서 향상된 측방향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목과 맞물릴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을 위한 직물 특성은 편안함, 내구성, 및 다른 직물 특징을 증가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프 영역(210d)은 주변 영역(210a) 및 발가락 영역(210c)을 포함한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가요성, 탄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고/하거나 착용자의 발이 공동(160) 밖으로 부주의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프 영역이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에 압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커프 영역(210d)은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신발의 편안함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움직임에 지나치게 제한적이지 않으면서 향상된 측방향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목 둘레에서 착용자의 다리와 맞물릴 수 있다.
굴곡 영역(210b)과 유사하게, 다른 영역과 비교해 커프 영역(210d)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은 착용자가 신발(100)을 신고 벗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착용자가 신발(100)을 신고 벗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개구(170)를 공동(160)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신장할 수 있다. 이것은 굴곡 영역(210b)의 신장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영역과 비교해 커프 영역(210d)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은 예를 들어 사용 중 갑피부(110)의 형상을 착용자의 발에 보다 효과적으로 맞춤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의 증가된 탄성은, 부가적으로, 신발 신고 벗기 및 신발의 정상 사용(예컨대, 착용) 결과로 발생하는 변형을 포함한 변형된 후 갑피부가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허용함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것은 커프 영역(210d)에서 갑피부(11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그렇지 않으면 신발(100)의 성능 및 편안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커프 영역(210d)의 탄성 및/또는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커프 영역(210d)에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프 영역은 전부 편물 탄성 중합체(예컨대, 엘라스테인)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프 영역(210d)을 위한 얀 혼합물은 재활용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다른 재료와 함께 커프 영역(210d)의 탄성 및/또는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탄성 중합체(예컨대, 엘라스테인) 또는 다른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발(100)은 착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된 공동(160)을 확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안창(220)은 공동 안에 위치될 수 있고, 공동(160)을 포위하는 신발(100)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창(220)은 착용자의 발의 바닥면을 수용하고 접촉하도록 구성된 풋 베드(foot bed)를 확정할 수 있다. 안창(220)은 착용 중 착용자의 발을 쿠셔닝하도록 착용자의 발과 밑창(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될 수 있다. 안창(220)은 신발(100)의 내부면을 확정하도록 갑피부(110) 및 신발(100)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안창(220)은 신발(100)의 내부면의 일부를 확정하는 상단면 및 착용자의 발에 쿠셔닝을 제공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면은 유칼립투스 섬유, 폴리에스테르, 양모, 면, 나일론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단면은 유칼립투스 섬유와 재활용 폴리에스테르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바닥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닥부는 파마자유와 같은 바이오 기반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이오 기반 재료를 사용하면 배출물 감소 및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환경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신발(100)은 갑피부(110)의 내부면을 따라 힐 리테이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공동(160)으로 돌출할 수 있고, 힐 리테이너(230)와 안창(220) 사이에 리세스를 확정할 수 있다. 리세스와 힐 리테이너(230)는 공동(160)에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고/하거나 갑피부(110)의 내부면에 대해 착용자의 발이 미끄러지거나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착용자의 발(예컨대, 착용자의 발뒤꿈치 및/또는 종골)의 형상에 맞출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착용자의 발에 신발을 유지하도록 커프 영역(210d)을 포함한 신발(100)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더 상세히 검토된다.
위에서 검토한 대로, 갑피부(110)는 연속 직물로 형성될 수 있고, 갑피부(110)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예비 조립 구성에서 연속 직물로서 예시적인 편직물 갑피부(110)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a는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210a 내지 210d)을 보여준다. 도 3은 갑피부(110)의 외부면(320)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갑피부(110)의 외층(310)을 도시한다. 도 4a는 갑피부(110)의 내부면(420)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갑피부(110)의 내층(41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요성, 강성, 탄성, 통기성, 파열 강도, 인장 강도, 및 마모 강도를 포함한, 각각의 영역에 대한 바람직한 직물 특징은 원하는 직물 특징을 가져오는 직물 특성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물 특성은 갑피부(110)의 다른 층에서 및/또는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영역 및 각각의 층에서 사용된 얀의 유형 및 양은 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층(310)에서 주변 영역(210a)은 인조 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및 바이오 기반 섬유(예컨대, 유칼립투스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얀 및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 외층(310)에서 주변 영역(210a)은 폴리에스테르와 유칼립투스 섬유(예컨대, TENCEL)를 포함하는 3개의 스트랜드를 가지는 합사 또는 예비 꼬임 얀인 제1 얀 및 열가소성 나일론으로 형성된 제2 얀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얀의 함량은 60% 내지 80% 유칼립투스 섬유(예컨대, TENCEL) 및 20% 내지 40%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얀의 함량은 70% 유칼립투스 섬유와 30%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얀에서 이런 섬유 블렌드는 원하는 직물 촉감, 파열 강도, 마모 강도를 포함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섬유 블렌드는 수분 흡수 및 분배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증가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향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유칼립투스 섬유는 직물 영역에 걸쳐 수분을 흡수하거나 분배시킬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는 수분을 흡수하여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열가소성 나일론은 외층(310)에서의 주변 영역(210a)의 강성 및/또는 마모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외층(310)에서의 굴곡 영역(210b) 및 발가락 영역(210c)은 위에서 검토한 제1 얀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 및 발가락 영역(210c)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이는 주변 영역(210a)과 비교하여 증가된 가요성(감소된 강성) 및 통기성에 기여한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역(210a 내지 210d)은 갑피부(110)의 내부면(420)과 외부면(320) 양자를 확정하는 단일 층만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은 편물 탄성 재료(예컨대, 엘라스테인)를 포함하는 제3 얀으로 형성된 단일 층만 포함할 수 있다. 제3 얀은 커프 영역(210d)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에 기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3 얀은 편물 탄성 재료에 부가하여 나일론 또는 다른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외층(310) 또는 내층(410) 중 하나 또는 양자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은 굴곡 영역(210b) 및/또는 주변 영역(210a)과 연속적으로 편직된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층의 제직 밀도는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굴곡 영역의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굴곡 영역이 더 가요성이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의 외층은 주변 영역(210a)을 포함한 다른 영역보다 더 많이 신장 및/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더 낮은 제직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내층(410)에서 주변 영역(210a)과 발가락 영역(210c)은 위에서 검토한 제1 얀 및 폴리에스테르 및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는 솔리드 얀의 2개의 스트랜드를 가지는 제4 얀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3 얀은 위에서 검토한 제1 얀과 동일한 함량의 유칼립투스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내층(410)에서 굴곡 영역(210b)은 제1 얀, 제3 얀, 및 제4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얀은 커프 영역(210d)의 증가된 가요성 및/또는 탄성에 기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곡 영역(210b)의 외층(310) 및/또는 내층(410)은 갑피부의 다른 영역과 상이한 편직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편직 패턴은 굴곡 영역(210b)이 주변 영역(210a) 또는 발가락 영역(210c)보다 더 신장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원하는 직물 특징을 달성하는 데 상이한 재료와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이한 영역에 걸쳐 갑피부(110)의 두께(예컨대, 내부면(420)으로부터 외부면(320)까지 거리) 및/또는 밀도(예컨대, 면적당 얀의 양)를 가변시키는 것은 원하는 직물 특징을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 제1 두께를 갖는 갑피부(110)의 제1 영역(예컨대, 주변 영역(210a))은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영역(예컨대, 발가락 영역(210c))과 비교해 증가된 강성, 더 높은 파열 강도, 더 높은 인장 강도, 및/또는 더 높은 마모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경우에 따라서, 제1 밀도를 갖는 갑피부(110)의 제1 영역(예컨대, 주변 영역(210a))은 제1 밀도보다 작은 제2 밀도를 가지는 제2 영역(예컨대, 발가락 영역(210c))과 비교해 증가된 강성, 더 높은 파열 강도, 더 높은 인장 강도, 및/또는 더 높은 마모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갑피부(110) 영역의 두께 및/또는 밀도는 그 영역에서 사용된 얀에서의 섬유 두께, 그 영역에서 사용된 얀의 스트랜드 두께, 합사에서의 겹쳐지거나 편조된 얀 스트랜드 수, 그 영역에서 편직 패턴의 밀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두께를 가지는 갑피부(110)의 제1 영역은 덜 두꺼운 제2 영역과 비교해 더 두꺼운 섬유, 더 두꺼운 얀, 및/또는 더 높은 밀도의 편직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밀도를 가지는 갑피부(110)의 제1 영역은 덜 밀도가 높은 제2 영역과 비교해 더 두꺼운 섬유, 더 두꺼운 얀, 및/또는 더 높은 밀도의 편직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갑피부(110)의 더 두껍고/두껍거나 더 밀도가 높은 영역은 더 강성이고, 더 높은 파열 강도, 더 높은 인장 강도, 및/또는 더 높은 마모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반면, 갑피부(110)의 더 얇고/얇거나 더 밀도가 낮은 영역은 더 통기성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더 높은 공기 투과성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더 가요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갑피부(110)의 일부 영역은 가요성 및 통기성을 달성하도록 더 얇고/얇거나 더 밀도가 낮을 수 있고, 이는 착용자의 발로부터 수분 증발을 허용함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얀 및/또는 얀 유형에서 섬유 유형 및 섬유 비율(예컨대, 다른 섬유의 비율)은 두께를 변화시키고/시키거나 촉각적 특징과 내구성 특징을 포함한 원하는 직물 특징을 달성하도록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을 가로질러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제1 비율로 제1 섬유 블렌드를 가지는 제1 얀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영역은 제2 비율로 제2 섬유 블렌드를 가지는 제2 얀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사 및/또는 다수의 얀이 동일한 영역에서 사용된다. 합사는 더 두꺼운 얀을 생성하도록 함께 꼬이거나 편조되는 다수의 얀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의 하나 이상의 영역(예컨대, 주변 영역(210a))은 그 영역 내 직물 특징을 바꾸도록 제조 공정 중 가열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사용된 얀은 코팅(예컨대, 수지)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은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영역에 적용된다. 상기 영역은 영역의 직물 특징을 변화시키도록 제조 공정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갑피부가 구성된 후 가열될 수 있다. 영역은 제조 공정 중 가열되어서 열가소성 재료를 활성화시켜 (예컨대, 용융시켜) 열가소성 재료를 영역 내 다른 재료에 본딩하고 영역의 직물 특징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그것이 적용되는 영역(들)의 강성, 마모 강도, 파열 강도, 및/또는 인장 강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경우에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주변 영역(210a)의 신장을 감소시키도록 신발끈(150)에 의해 인가된 힘을 견디도록 도울 수 있다. 예시적 열가소성 재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재료는, 용융시, 갑피부(110)의 편직 패턴 내 루프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열가소성 재료는, 용융시, 편직물을 형성하는 얀 및/또는 섬유에 코팅되고/되거나 흡수될 수 있다. 일단 편직물이 냉각되면, 열가소성 재료를 함유한 영역(들)의 직물 특성은 신발(100)의 다른 영역의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는 재료의 강성, 인장 강도, 및/또는 파열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편직물의 굽힘 또는 신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열가소성 재료는 마모 또는 다른 손상을 방지하도록 직물 및/또는 직물 내 얀 또는 섬유 둘레에서 장벽에 본딩, 코팅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재료는 편직물의 외관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재료는 편직물로 용융되기만 하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는 정상 환경 온도보다 높지만 갑피부(110) 내 다른 재료를 태우거나 연소시키는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되거나 유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는 예를 들어 스팀 다리미를 사용해 열가소성 재료를 활성화(예컨대, 용융)시키도록 220 ℃ 내지 300 ℃의 온도로 가열된다. 일단 갑피부(110)가 150 ℃ 내지 220 ℃의 온도로 냉각되면, 열가소성 재료는 갑피부로 일체화되고 열가소성 재료를 재용융시키거나 갑피부의 직물 특성이 추가로 변화되지 않도록 하면서 갑피부는 200 ℃ 내지 220 ℃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이한 직물 특성을 가지는 영역 사이 경계는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예컨대, 0.5mm ~ 1 mm)에 걸쳐 직물 특성이 전환되는 별개의 경계이거나 상대적으로 긴 거리(예컨대, 1mm ~ 10 mm)에 걸쳐 직물 특성이 변화되는 점진적 경계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경계는 보일 수도 있고 또는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다른 직물 특성은 경계 위치 또는 다른 요인에 따라 상이한 거리에 걸쳐 바뀔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갑피부(110)는 내층(410) 및/또는 외층(310)에 부착되고/되거나 층(310, 41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신발(100)의 편안함, 구조적 안정성, 및/또는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b는 구성요소가 갑피부의 내부면(420)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내층(410)에 부착된 갑피부(110)의 내층(410)을 도시한다. 구성요소는 발뒤꿈치 라이닝(462),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 중족부 라이닝(466a, 466b), 및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를 포함할 수 있다.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갑피부(110)의 내부면(420)의 후방부 둘레에 연장될 수 있다.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착용 중 신발 안에 착용자의 발을 유지하도록 마찰을 제공하고/하거나 갑피부(11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하도록 갑피부(110)를 그 자체에 부착하는 시임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시임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착용자가 양말 없이 신발(100)을 착용한 것을 포함해, 시임이 착용자의 발을 마찰하거나 다르게 자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본원에 검토된 힐 리테이너(2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힐 리테이너(230)의 형상을 형성하는 발뒤꿈치 패딩은 발뒤꿈치 라이닝(462)과 내층(4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발뒤꿈치 라이너(426)는 패딩을 커버할 수 있다. 발뒤꿈치 라이닝(462)은 갑피부(110)의 내부면(420)에 부착된 (예컨대, 재봉되거나 접착된) 내마모성 재료(예컨대, 양모, 폴리에스테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는 갑피부(110)의 측면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신발(100)의 착용자를 위한 측방향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갑피부(110)의 이 영역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는 신발(100)의 착용자의 중족부의 내측 및 측방향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는 신발(100)의 발가락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신발의 앞심을 확정하고/하거나 내층(410)과 접촉하는 착용자의 발가락에 의해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내층(410)을 보호하는 것을 돕도록 갑피부(110)의 이 영역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는 아일릿(140)으로부터 갑피부(110)의 주변부로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주변 영역(210a)의 신장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신발(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갑피부(110)의 형상 및/또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신발 내 착용자의 발에 대한 종방향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는 착용 중 신발(100)의 전방을 향해 또는 후방을 향해 착용자의 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적절한 달리기 기술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부가적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것은 예를 들어 영역을 형성하는 얀의 피로 파괴 또는 파열을 유발할 수 있는 갑피부의 발가락 영역에 대한 반복적인 힘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함으로써 신발(10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 및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에 의해 내층(410)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 및/또는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는 내층(410)에 적층된다.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 및/또는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는, 천연 재료 및 인조 재료를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측방향 보강 구성요소(464a, 464b) 및/또는 발가락 보강 구성요소(468)는, 양말 없이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를 포함해, 신발(100)의 착용자에게 편안하면서 본원에 검토된 기능을 제공하는 microsuede 또는 유사한 재료(들)로 형성된다.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갑피부(11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갑피부(110)의 마모를 감소시키고/시키거나 양말 없이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를 위한 것을 포함해 신발(100)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도 5a를 참조하여 이하 검토되는 바와 같이 아일릿(140)을 갑피부(110)에 부착하는 스티치를 포함해 내층(410)을 따라 스티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임의의 적절한 기술에 의해 내층(410)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내층(410)에 스티칭되거나, 접착되거나 적층된다.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천연 재료 및 인조 재료를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중족부 라이닝(466a, 466b)은, 양말 없이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를 포함해, 신발(100)의 착용자에게 편안하면서 본원에 검토된 기능을 제공하는 양모, 나일론, 및/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도 5a는 예시적인 신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대로, 신발(100)은 (예컨대, 갑피부(110)의 외부면(320)을 따라) 갑피부(110)의 외부에 위치된 아일릿(14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각각의 아일릿(140)은 갑피부(110)의 완전히 외부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아일릿(140)의 어떤 부분도 갑피부(110)의 외부면(320)의 임의의 부분 아래에 위치되지 않는다. 각각의 아일릿(140)은 아일릿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갑피부(110)의 적어도 일부에 스티칭되거나 다르게 부착되는 실(542)을 사용해 갑피부(110)에 부착(예컨대 재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실(542)은 갑피부(110)의 외층에 스티칭된다. 이것은 갑피부(110)에 큰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신발이 제조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이는 신발의 편안함 및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아일릿(140)을 신발(100)에 재봉하는 것은 환경에 유해할 수 있는 접착제 또는 부착을 위한 다른 재료의 사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신발을 재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부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아일릿(140)은 접착제, 열 처리, 고주파 용접,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사용해 갑피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위에서 검토한 대로, 신발(100)은 착용자의 발에 신발(100)을 유지하도록 아일릿(140) 내 개구를 통과하는 신발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끈(150)은 굴곡 영역(210b)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굴곡 영역의 양측에서 하나 이상의 아일릿(140)을 통과함으로써 갑피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발끈(150)을 조이는 것은 대향하는 아일릿(140)을 서로를 향해 딩겨서, 착용자의 발에 갑피부(110)를 조일 수 있다. 유사하게, 신발끈(150)을 풀어주는 것은 대향하는 아일릿(140)을 서로 멀어지게 당겨서, 착용자의 발에서 갑피부(110)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신발끈(150)은 아일릿(140)을 함께 당겨서, 착용자의 발 상부 위 신발(100) 부분(예컨대, 굴곡 영역(210b))을 압축하고 신발의 측면(예컨대, 주변 영역(210a))을 변형시키거나 장력 하에 둘 수 있다. 이는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에 추가 장력을 제공하여서, 걷기, 달리기, 운동 등과 같은 활동 중 착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갑피부(110)의 하나 이상의 층의 가요성은 신발이 착용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발 위의 영역은 더 큰 가요성을 가질 수 있어서 아일릿(140)과 신발끈(150)에 의한 압축이 향상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 위 영역에 더 집중될 수 있다.
아일릿(14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아일릿(140)은 식물 기반 중합체, 천연 오일 폴리올 등을 포함한 바이오 기반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아일릿(140)은 파마자유를 이용해 만들어진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이오 기반 재료를 사용하면 배출물 감소 및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환경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아일릿(140)은 중합체 재료(예컨대, 나일론)로 형성된다. 중합체 재료는 파마자유에서 유래된 폴리올과 같은 바이오 기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이오 기반 재료는 중합체 재료의 60% 이상을 구성할 수 있다. 아일릿(140)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환형 링 형상으로 형성(예컨대, 성형, 절삭 등)될 수 있다. 중합체 재료는 아일릿(140)을 형성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아일릿(140)을 착색하기 위해서 염료가 중합체 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일릿(140)은 실(542)을 사용해 갑피부(110)에 재봉될 수 있다. 이것은 갑피부(110)에 대한 아일릿(140)의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고, 각각의 아일릿과 갑피부(110)에 걸쳐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서, 아일릿이 갑피로부터 또는 갑피를 통해 찢어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발끈(150)이 아일릿(140)을 통하여 연장되어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신발끈(150)은 관형 외부 부분 및 내부 충전부를 포함한다. 신발끈(150)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면,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사용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외부 부분 및/또는 내부 충전부는 재활용 재료, 예로 플라스틱 병으로부터의 재활용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새로운 재료 대신에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면 매립지 및 소각로로 보내지는 폐기물을 줄이고 천연 자원을 보존하고, 오염을 방지하며, 새로운 원료의 수집 및 처리와 관련된 에너지를 절약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갑피부(110)는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발 또는 발목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커프 영역(210d)을 확정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마찰, 이동 또는 불량한 맞춤과 연관된 기타 문제점을 감소시킴으로써 신발의 맞춤 및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공동(160)으로 개구(170)의 주변부(572)를 확정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커프 영역(210d)의 탄성 및/또는 가요성을 증가시키도록 커프 영역(210d)에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편물 탄성 중합체(예컨대, 엘라스테인) 및 하나 이상의 부가적 재료, 예로 재활용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커프 영역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따라 일 세트의 리브를 확정하는 리브가 있는 편직 패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단면 1-1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b에 도시된 대로, 커프 영역(210d)은 리브(580)와 리브 사이의 함몰부(58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80)는 함몰부(582)에 대해 상승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함몰부(582)는 리브(580)에 대해 함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대로, 리브(580)는 갑피부(110)의 다른 영역(510)(예컨대, 주변 영역(210a), 굴곡 영역(210b), 등)과 커프 영역(210d) 사이 경계(518)로부터 개구(170)의 주변부(572)로 연장된다. 경우에 따라서, 리브(58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경계(518)로부터 주변부(572)를 향해 연장되지만, 주변부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리브(580)의 일부는 주변부(572)까지 연장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경계(518)로부터 주변부(572)를 향해 연장되는) 리브(580)의 배향은 착용자의 발에 대한 신발(100)의 편안함 증가를 포함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580)는 리브의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예컨대, 일반적으로 도 5b에서 좌우로) 신장을 허용한다. 리브(580)의 횡방향 신장은 커프 영역(210d)이 착용자의 발을 너무 조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의 폭(예컨대, 리브(580)의 길이)은 커프 영역이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도록 꼭 맞게 유지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리브(580)의 횡방향 신장은 다른 크기의 발(예컨대, 다른 폭을 갖는 발)을 수용하도록 개구(17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경우에 따라서, 리브(580)는 커프 영역(210d)에 의해 커버된 착용자의 발 부분에서 대부분의 혈관과 실질적으로 평행한데, 이는 리브(580)가 혈관에 교차하여 잠재적으로 혈관을 통한 혈류를 억제하는 경우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리브(580)는 리브의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 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신장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580)는 리브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예컨대, 일반적으로 도 5b에서 상하로) 신장을 허용할 수 있다. 이것은 신발(100)의 편안함 및 지지 증가를 포함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커프 영역(210d)의 폭(예컨대, 주변부(572)로부터 경계(518)까지 거리)은 신발(100)의 편안함에 기여한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의 폭은 약 1cm보다 크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의 폭은 약 2cm보다 크다. 리브(580)와 유사하게, 커프 영역의 폭은 착용자의 발에 대한 신발(100)의 편안함 증가를 포함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프 영역(210d)은 신발(100)을 착용자의 발에 고정하는 데 충분한 탄성력을 착용자의 발에 적용할 수 있고, 커프 영역의 폭은 착용자의 피부 변형, 순환 억제 등과 같은 착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넓은 면적에 상기 탄성력을 분배한다.
경우에 따라서, 리브(580) 및 함몰부(582)는 편물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리브(580) 및 함몰부(582)는 편직 패턴, 예로 1x1 리브가 있는 패턴, 2x2 리브가 있는 패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리브(580) 및 함몰부(582)의 예시적 형상 및 배열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리브(580) 및 함몰부(582)의 특정 형상 및 세부사항은 도 5b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580) 및/또는 함몰부(582)는 편물 섬유로 형성된 결과로서 질감 또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커프 영역(210d)은 딤플과 같은 상이하거나 부가적인 특징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검토한 대로, 신발(100)은 신발의 편안함 및 성능을 개선하도록 힐 리테이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힐 리테이너(230)를 포함한 예시적인 신발(100)의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힐 리테이너(230)는 갑피부(110)의 내부면을 따라 위치되거나 이를 확정할 수 있고, 공동(160)으로 돌출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힐 리테이너(230)와 안창(220) 사이에 리세스(232)를 확정할 수 있다. 리세스와 힐 리테이너(230)는 공동(160)에 착용자의 발에 유지하고/하거나 갑피부(110)의 내부면에 대해 착용자의 발이 미끄러지거나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착용자의 발(예컨대, 착용자의 발뒤꿈치 및/또는 종골)의 형상에 맞출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착용자의 발뒤꿈치는 힐 리테이너(230) 아래에 끼워질 수 있어서, 힐 리테이너는 착용자가 달리거나 격렬한 운동 활동을 할 때 발뒤꿈치를 제자리에 유지하거나 발뒤꿈치 움직임을 감소시킨다.
힐 리테이너(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갑피부(110)의 층 및/또는 구성요소 사이에 바이오 기반 및/또는 합성 패딩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힐 리테이너(230)를 위한 패딩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힐 리테이너(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갑피부(110)와 신발(100)의 라이닝 사이에 바이오 기반 및/또는 합성 패딩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갑피부(110) 또는 라이닝의 다른 영역과 비교해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신발(100)의 갑피부(110) 또는 라이닝의 하나 이상의 층의 결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신발 성능과 편안함을 개선하도록 커프 영역(210d)을 포함한 신발(100)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할 수 있다. 커프 영역(210d)은 착용자의 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신발(100)을 유지하도록 착용자의 발에 대해 힐 리테이너(230)를 당기는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힐 리테이너(230)는, 아킬레스 건 둘레 영역을 포함한, 착용자의 발 또는 다리의 민감한 부분과 커프 영역(210d) 사이에 패딩을 제공함으로써 신발(100)의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착용자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는 커프 영역(210d)으로부터 기인한 착용자의 불편함을 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신발(100)은 아일릿(140)을 갑피부(110)에 부착하고 예를 들어 몰드를 사용해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갑피부(110)를 형성하여 조립될 수 있다. 갑피부(110)는 시임에서 그 자체에 부착되어 갑피부(110)의 형상을 유지하고 신발(10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시임(710)에서 그 자체에 부착된 갑피부(110)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신발(100)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갑피부(110)는 접착제, 스티칭, 본딩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체결 기술을 사용해 그 자체에 부착될 수 있다.
밑창(120)은, 신발을 착용하는 동안 지면 또는 다른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트레드 표면을 확정할 수 있다. 도 8은 밑창(120)에서 예시적 트레드 표면(890a 내지 890c)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신발(1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트레드 표면(890a 내지 890c)은 신발(100)의 정지 마찰력(traction)을 개선하도록 하나 이상의 패턴 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트레드 표면(890a 내지 890c)은 정지 마찰력을 개선하기 위한 패턴 또는 특징부를 확정하는 만입부 및/또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밑창(120)은 정지 마찰력 및 가요성을 포함한 상이한 특성 및 특징을 가지는 상이한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표면(890a)을 확정하는 밑창(120) 부분은 밑창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부분보다 더 가요성이 있을 수 있어서 착용자가 걷거나 달리 움직임에 따라 밑창이 구부러지거나 달리 변형될 수 있다. 트레드 표면(890b, 890c)을 확정하는 밑창(120) 부분은 밑창(120)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는 재료로 형성되고/되거나 다른 질감(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밑창(12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올, 천연 및 합성 고무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밑창(1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마자유와 같은 바이오 기반 재료(들)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밑창(120)은 천연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이오 기반 재료를 사용하면 배출물 감소 및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포함한 환경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많은 실시예는 편물 갑피부를 갖는 신발을 참조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다른 배열, 구현 및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양한 원리 및 작동 방법(및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의 관점에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가 위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방법 및 기술과 관련하여 제시된 동작 및 단계는 예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대해 대안적인 단계 순서 또는 더 적거나 추가의 동작이 필요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음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대로, 임의의 항목을 구분하는 용어 "및" 또는 "또는"과 일련의 항목에 선행하는 구 "적어도 하나"는 목록의 각 멤버가 아니라 전체로서 목록을 수식한다. 구 "적어도 하나"는 나열된 각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이 구는 임의의 항목 중 최소 하나, 및/또는 항목의 임의 조합 중 최소 하나, 및/또는 각 항목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를 허용한다. 예로서, 구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단지 A, 단지 B, 또는 단지 C; A, B, 및 C 중 임의의 조합; 및/또는 각각의 A, B, 및 C의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본원에 제공된 접속적 또는 이접적 목록에 대해 제시된 요소들의 순서는 본 개시 내용을 제공된 순서로만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구현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개별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 양태 및 기능성은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제한되지 않고, 대신에 이러한 실시예가 설명되는지 여부와 이러한 특징부가 설명된 실시예의 일부로서 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대신에 본원에 제시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20)

  1. 신발로서,
    트레드 표면 및 상기 트레드 표면에 대향한 상단면을 확정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단면에 부착되고 공동을 확정하도록 상기 신발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 구성요소와 협동작용하는 갑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갑피부는:
    상기 공동으로의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개구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커프 영역으로서, 상기 커프 영역은 제1 탄성을 가지는, 상기 커프 영역;
    제2 탄성을 가지는 굴곡 영역으로서, 상기 굴곡 영역 및 상기 커프 영역은 상기 개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신장하도록 구성된, 상기 굴곡 영역;
    상기 커프 영역과 상기 굴곡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영역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은 제1 탄성 및 제2 탄성보다 적은 제3 탄성을 가지는, 상기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영역은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착용자의 발에 대해 상기 주변 영역을 당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갑피부는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는 연속 직물로 형성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공동 안에 위치된 안창; 및
    상기 갑피부의 내부면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힐 리테이너와 상기 안창 사이에 리세스를 확정하는 힐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힐 리테이너 및 상기 커프 영역은 상기 공동 안에 착용자의 발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갑피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아일릿;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일릿을 통하여 연장되는 신발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일릿 및 상기 신발끈은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을 조여주기 위해서 협동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일릿은:
    상기 굴곡 영역의 제1 측면을 따라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한 상기 굴곡 영역의 제2 측면을 따라 제2 세트의 아일릿을 포함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고 제1 가요성을 가지는 발가락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제1 가요성보다 적은 제2 가요성을 가지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직물은: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외층; 및
    상기 갑피부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신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및 상기 내층 각각은 상기 갑피부의 전체를 따라 연장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은 유칼립투스 섬유 및 상기 유칼립투스 섬유에 본딩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영역은 유칼립투스 섬유 및 엘라스테인을 포함하는, 신발.
  10. 신발로서,
    트레드 표면을 확정하는 밑창;
    상기 밑창에 부착되고 공동을 확정하는 편물 갑피부로서, 상기 편물 갑피부는 상기 공동으로의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개구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확정하는 커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프 영역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편물 갑피부; 및
    상기 편물 갑피부의 내부면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공동으로 돌출한 힐 리테이너로서, 상기 힐 리테이너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구성된, 상기 힐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커프 영역은 착용자에게 신발을 유지하도록 상기 착용자에 대해 상기 힐 리테이너를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편물 갑피부는 단일 유니터리 조각으로 편직되는, 신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공동 안에 위치된 안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힐 리테이너는 상기 개구의 주변부와 상기 안창 사이에 리세스를 확정하고;
    상기 힐 리테이너 및 상기 리세스는 착용자에게 맞도록 구성된, 신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갑피부는 상기 커프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굴곡 영역을 더 포함하는, 신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갑피부 및 상기 굴곡 영역은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커프 영역은 상기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신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 영역은 일 세트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 세트의 각각의 리브는 상기 개구의 주변부로부터 상기 커프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 사이 제1 경계 또는 상기 커프 영역과 상기 굴곡 영역 사이 제2 경계 중 적어도 하나로 연장되는, 신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갑피부는 상기 커프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 사이에 경계를 확정하고;
    상기 개구의 주변부와 상기 경계 사이 거리는 1cm보다 큰, 신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 갑피부는:
    상기 편물 갑피부의 제1 표면을 확정하는 외층;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한 상기 편물 갑피부의 제2 표면을 확정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신발.
  17. 신발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을 확정하는 갑피부로서, 상기 갑피부는:
    상기 갑피부의 주변부 둘레에 연장되고 유칼립투스 섬유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유칼립투스 섬유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굴곡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갑피부;
    상기 굴곡 영역의 제1 측면에서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위치된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한 상기 굴곡 영역의 제2 측면에서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을 따라 위치된 제2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중 하나 이상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 중 하나 이상의 아일릿을 통하여 연장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부의 외부면은 연속 편직물에 의해 확정되고;
    상기 굴곡 영역, 상기 신발끈,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은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을 조여주기 위해서 협동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지 않는, 신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는 상기 공동으로의 개구를 둘러싸고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커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프 영역은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을 조여주기 위해서 상기 굴곡 영역, 상기 신발끈,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과 협동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상기 갑피부의 내부면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공동으로 연장되는 힐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힐 리테이너는 착용자의 발 둘레에 신발을 조여주기 위해서 상기 굴곡 영역, 상기 신발끈, 상기 제1 세트의 아일릿, 및 상기 제2 세트의 아일릿과 협동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KR1020227040840A 2020-04-27 2021-02-01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KR202300029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59,807 2020-04-27
US16/859,807 US11849804B2 (en) 2020-04-27 2020-04-27 Knit athletic shoes with continuous upper portion
PCT/US2021/016084 WO2021221747A1 (en) 2020-04-27 2021-02-01 Knit athletic shoes with continuous upper po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971A true KR20230002971A (ko) 2023-01-05

Family

ID=7822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840A KR20230002971A (ko) 2020-04-27 2021-02-01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9804B2 (ko)
KR (1) KR20230002971A (ko)
CN (1) CN115734720A (ko)
WO (1) WO2021221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0280S1 (en) * 2020-04-27 2024-01-09 Allbirds, Inc. Shoe
USD972829S1 (en) * 2020-08-10 2022-12-20 Allbirds, Inc. Footwear
US20220264994A1 (en) * 2021-02-24 2022-08-25 Anna NIKITINA Multilayer inso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5397A (en) * 1925-12-15 1928-01-03 Miller Herman Shoe
US10085516B2 (en) 2013-02-26 2018-10-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reinforced elastic upper
BR202013013342U2 (pt) * 2013-05-29 2015-01-06 Margot Goncalves Tênis ergonômico multiesportivo
US10383388B2 (en) * 2014-03-07 2019-08-20 Nike, Inc. Article of footware with upper incorporating knitted component providing variable compression
EP3124665B1 (en) * 2015-07-31 2017-10-04 EcoPeople ApS Nonwoven fabric, articles made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US9888742B2 (en) 2015-09-11 2018-02-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plurality of graduated projections
CN106913006A (zh) 2015-12-25 2017-07-04 邬汝源 一种保健编织鞋
WO2018204631A1 (en) * 2017-05-05 2018-11-08 Nike Innovate C.V. Knitted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two or more material compositions
CN112567085B (zh) 2018-08-08 2022-07-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轻质针织鞋面以及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1747A1 (en) 2021-11-04
US20210330032A1 (en) 2021-10-28
CN115734720A (zh) 2023-03-03
US11849804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796B2 (en) Flat weft-knitted upper for sports shoes
KR102253968B1 (ko) 인레이된 인장 요소를 갖는 편직 구성요소를 통합한 신발류 물품 및 조립 방법
TWI660689B (zh) 用於包含一全單絲鞋面之鞋類物件之編織組件、及鞋類物件
KR101921397B1 (ko) 가용성 스트랜드를 갖는 모노필라멘트 니트 요소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TWI601487B (zh) 包含一具有周圍編織部分之單絲編織元件的鞋類物件及其製造方法
TWI652998B (zh) 含內部層特徵之具有編織組件之鞋類物件
US11659893B2 (en) Shoe with knit upper portion
KR20230002971A (ko) 연속 갑피부를 구비한 편물 운동화
TW202027638A (zh) 具有防滑構件之編織組件及製造用於一鞋類物件之一鞋底系統之方法
US11206899B2 (en) Knit shoes with elastic region
US20210076775A1 (en) Shoes with water-resistant membranes and coating
US20210401106A1 (en) Woven shoe upper with pockets and fillings
US11896076B1 (en) Footwear upper having a unitary kni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