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468U - 소화기용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468U
KR20230002468U KR2020220001519U KR20220001519U KR20230002468U KR 20230002468 U KR20230002468 U KR 20230002468U KR 2020220001519 U KR2020220001519 U KR 2020220001519U KR 20220001519 U KR20220001519 U KR 20220001519U KR 20230002468 U KR20230002468 U KR 20230002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extinguishing agent
inlet
fire extinguish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구
성주경
박재환
오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Priority to KR2020220001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468U/ko
Publication of KR2023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468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용 분사노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약제를 먼 거리에서 넒게 확산시켜 화재 지역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화기용 분사노즐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용 분사노즐은 노즐본체와, 노즐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본체는 유입부와, 노즐부와, 분사부를 구비하여 소화기의 호스에 장착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소화기의 호스에서 배출되는 소화약제가 유입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소화약제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유입부와 연결되어 단면적이 작아진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어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가속된 소화약제가 분사된다. 상기 노즐베인은 분리판과,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유입부의 축방향 단면을 제1공간과 제2공간의 두개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판은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일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상기 분리판의 타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노즐베인은 분리판과,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을 구비하여 소화약제를 노즐본체의 내주면으로 안내한다. 이 경우, 소화약제는 노즐베인에 의하여 분사부의 내주면으로 안내되어 소용돌이 치면서 분사된다. 그래서 소화약제를 직경이 커지는 분사부의 경사면의 시작부위에서 소용돌이치면서 확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으므로 먼 거리에서 넓게 확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호스가 연결된 어댑터가 노즐본체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소화기 본체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거리를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기용 분사노즐{A spray nozzle for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용 분사노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약제를 먼 거리에서 넒게 확산시켜 화재 지역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화기용 분사노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의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수동 조작으로 작동시켜, 분말 형태의 소화약제를 화재 지역에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 소화기에 결합된 노즐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호스에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확장된다. 이 경우, 소화약제는 노즐의 확장된 경사면을 따라 확산되면서 분사된다. 이때, 소화약제는 압력에 의해 직진성을 가지므로, 경사면의 시작부위에서 곧바로 확산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소화약제가 노즐에서 분사될 때, 방사거리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화약제가 확산되면서 고르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4303호 (등록일 2004.02.27)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화약제를 고르게 분포시키고, 먼 거리에서 넒게 확산시켜 화재 지역으로 분사할 수 있는 소화기용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용 분사노즐은 노즐본체와, 노즐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본체는 유입부와, 노즐부와, 분사부를 구비하여 소화기의 호스에 장착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소화기의 호스에서 배출되는 소화약제가 유입된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소화약제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유입부와 연결되어 단면적이 작아진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어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가속된 소화약제가 분사된다. 상기 노즐베인은 분리판과,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부에 장착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유입부의 축방향 단면을 제1공간과 제2공간의 두개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판은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일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경사판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상기 분리판의 타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의 소화기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는 외주면에 호스가 결합된 어댑터가 탈착하게 장착될 수 있게 결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노즐베인은 분리판과,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을 구비하여 소화약제를 노즐본체의 내주면으로 안내한다. 이 경우, 소화약제는 노즐베인에 의하여 분사부의 내주면으로 안내되어 소용돌이 치면서 분사된다. 그래서 소화약제를 직경이 커지는 분사부의 경사면의 시작부위에서 소용돌이치면서 확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으므로 먼 거리에서 넓게 확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호스가 연결된 어댑터가 노즐본체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소화기 본체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용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노즐베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분사된 소화약제의 분사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예가 적용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어댑터가 장착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용 분사노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사노즐(1)은 화재발생시 개인이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100)의 호스(120)에 장착되어 화재를 향해 소화약제를 분사하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소화기(100)는 용기(110)와, 호스(120)와, 레버(130)를 구비한다. 용기(110)는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진되어 있다. 호스(120)는 소화약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분이고, 레버(130)는 용기(110) 내의 소화약제가 호스(1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고압의 용기(110)를 개폐시키는 부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사노즐(1)은 노즐본체(10)와, 노즐베인(20)을 포함한다.
노즐본체(10)는 유입부(11)와, 노즐부(15)와, 분사부(17)를 구비하고, 외주면에 결합홈(19)이 형성되어 소화기(100)의 호스(103)에 장착된다.
유입부(11)는 소화기(100)의 호스(120)에서 배출되는 소화약제가 유입도록 호스(120)에 결합된다.
노즐부(15)는 유입부(11)로 유입되는 소화약제를 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노즐부(15)는 유입부(11)와 연결되어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유입부(11)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는 노즐부(15)에서 속도가 상승된다.
분사부(17)는 노즐부(15)에서 가속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부분으로, 노즐부(15)와 연결되어 화재 진압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직경이 커진다.
결합홈(19)은 호스가 결합된 어댑터(200)가 탈착하게 장착될 수 있게 노즐본체(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화재로 인하여 소화기(100)의 호스(120)를 연장해야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가 결합된 어댑터(200)를 분사노즐(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소화기(100) 본체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노즐베인(20)은 소화약제를 유입부(11)에서 공급될 때 내주면(12)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노즐베인(20)은 분리판(21)과, 제1경사판(23)과, 제2경사판(25)을 구비하여 유입부(11)에 장착된다.
분리판(21)은 유입부(11)의 축방향 단면을 두개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리판(21)은 판형상으로, 양단이 미세한 간격을 가지고 유입부(11)의 내주면(12)을 접촉하도록 유입부(11)의 축 중심을 지난다. 그래서 유입부(11)는 분리판(21)에 의하여 양측으로 제1공간(13)과 제2공간(14)으로 분리된다.
제1경사판(23)은 분리판(21)의 일단(21a)에서 축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리판(21)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1경사판(23)은 제1공간(13)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분리판(21)의 타단(21b)측에서 배출될 수 있는 제1이동통로(13a)가 형성되도록 경사진다. 그래서 제1공간(13)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제1경사판(2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제1이동통로(13a)를 통해 유입부(11)의 내주면(12a)으로 배출된다.
제2경사판(25)은 분리판(21)의 타단(21b)에서 축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리판(21)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제2경사판(25)은 제2공간(14)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분리판(21)의 일단(21a)측에서 배출될 수 있는 제2이동통로(14a)가 형성되도록 경사진다. 그래서 제2공간(14)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제2경사판(25)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제2이동통로(14a)를 통해 유입부(11)의 내주면(12b)으로 배출된다.
노즐베인(20)을 통과하는 소화약제는 유입부(11)의 내주면(12a,12b)으로만 배출되므로 소용돌이 치면서 노즐부(15)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의 분사노즐(1)은 노즐본체(10)의 유입부(11)의 체결부(11a)에 소화기(100)의 호스(120)가 삽입체결되어 소화기(100)에 설치된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화기(100)의 레버(130)를 작동하여 용기(110)를 개방시켜서 호스(120)에서 소화약제를 배출시킨다. 그러면 소화약제는 노즐본체(10)의 유입부(11)로 유입되어 분리판(21)에 의해 나누어진 유입부(11)의 제1공간(13)과 제2공간(14)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공간(13)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제1경사판(23)의 경사면을 따라 제1이동통로(13a)를 통해 유입부(11)의 내주면(12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공간(14)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제2경사판(25)의 경사면을 따라 제2이동통로(14a)를 통해 유입부(11)의 내주면(12b)으로 배출된다. 이때, 노즐베인(20)을 통과한 소화약제는 유입부(11)의 전체가 아닌 유입부(11)의 내주면(12)을 따라 소용돌이 치면서 분사된다.
유입구(11)의 내주면(12)으로 배출된 소화약제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부(15)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소화약제는 노즐부(15)의 내주면을 따라 통과하면서 이동하는 속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소화약제는 노즐부(15)를 통과하면서 직경이 커지는 분사부(17)의 내주면으로 안내되어 화재 지역으로 분사된다. 이때, 소화약제는 분사부(17)의 경사면의 시작부위에서 소용돌이치면서 확산되어 분사되어 진다. 이 경우, 소화약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를 따라 이동되어 확산되어 분사되며, 그 분사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 실시예의 노즐베인(20)은 소화약제를 유입부(11)의 내주면(12)으로 이동시키고, 분사부(15)의 경사면의 시작부위에서 수용돌이 치면서 확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다. 그래서 먼 거리에서도 넓게 확산시켜 분사시킬 수 있다.
1 : 분사노즐 10 : 노즐본체
11 : 유입부 11a: 체결부
12(12a,12b) : 내주면 13 : 제1공간
13a : 제1이동통로 14 : 제2공간
14a : 제2이동통로 15 : 노즐부
17 : 분사부 19 : 결합홈
20 : 노즐베인 21 : 분리판
21a : 일단 21b : 타단
23 : 제1경사판 25 : 제2경사판
100 : 소화기 110 : 용기
120 : 호스 130 : 레버
200 : 어댑터

Claims (2)

  1. 소화기의 호스에서 배출되는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소화약제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와 연결되어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에서 가속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화기의 호스에 장착되는 노즐본체와,
    상기 유입부의 축방향 단면을 제1공간과 제2공간의 두개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판과,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일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분리판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일측에 결합된 제1경사판과, 상기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약제가 상기 분리판의 타단과 접촉하는 상기 유입부의 내주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안내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일단에서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분리판의 타측에 결합된 제2경사판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부에 장착된 노즐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는 외주면에 호스가 결합된 어댑터가 탈착하게 장착될 수 있게 결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20220001519U 2022-06-21 2022-06-21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230002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19U KR20230002468U (ko) 2022-06-21 2022-06-21 소화기용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19U KR20230002468U (ko) 2022-06-21 2022-06-21 소화기용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468U true KR20230002468U (ko) 2023-12-28

Family

ID=893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519U KR20230002468U (ko) 2022-06-21 2022-06-21 소화기용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46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03Y1 (ko)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303Y1 (ko)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소화기용 분사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294C2 (ru) Головка, производящая водяной туман
US8636232B2 (en) Method for spraying a medium and spraying nozzle
RU2478409C1 (ru) Способ модуль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01357255B (zh) 渐开线弧形喷口消防灭火喷洒头
KR101869853B1 (ko) 소방용 관창
KR20070024449A (ko) 소화용 이중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무화 유닛
US10933265B2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RU245156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с вихревым распылителем
JP2012080961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20160263411A1 (en)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adjustable in foam expansion ratio
KR20230002468U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EP0738174B1 (en) Nozzle for spreading water fog
RU2513174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вихревого типа
KR200420209Y1 (ko)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 어셈블리
US20040256118A1 (en) Fire extinguisher discharge method and apparatus
RU2232647C2 (ru) Пневмоакустически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KR102540259B1 (ko) 소화기의 분사노즐 구조
KR102278497B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RU192065U1 (ru) Лафетный ствол с генератором воздушномеханической пены средней и низкой кратности
RU18137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учной пожарный ствол
JP2002095767A (ja) 消火用ヘッド
KR20160137193A (ko) 소방용 관창
KR102484835B1 (ko)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KR101951570B1 (ko) 미분무 노즐
US20220355315A1 (en) Spray mist nozzle for fire-fighting systems, and fire-fighting systems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