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835B1 -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 Google Patents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835B1
KR102484835B1 KR1020200101982A KR20200101982A KR102484835B1 KR 102484835 B1 KR102484835 B1 KR 102484835B1 KR 1020200101982 A KR1020200101982 A KR 1020200101982A KR 20200101982 A KR20200101982 A KR 20200101982A KR 102484835 B1 KR102484835 B1 KR 10248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ipe
diameter
injection
hole
incli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294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더블유소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 약제가 통과하는 제1 분사관; 상기 제1 분사관 내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사관;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될 때, 상기 제2 분사관이 자동적으로 상기 제1 분사관내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Injection Nozzle Structure for Fire Extinguisher with Variable Length}
본 발명은 화재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화기에는 소화 분말이 분사되는 분사 노즐이 장착되어 있고, 분사 노즐은 소화기와 호스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소화기의 분사 노즐은 일정한 고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분사 노즐을 잡고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하여 소화 분말이 분사하게 된다.
그런데, 분사 노즐을 잡고 화재 진압을 위한 분사 동작을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위치가 높은 곳이나 또는 멀리까지 소화 분말을 분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그에 따라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 약제의 분사시 분사 노즐의 길이가 늘어나서 멀리까지 분사할 수 있고 보다 강력하게 분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 약제가 통과하는 제1 분사관; 상기 제1 분사관 내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사관;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될 때, 상기 제2 분사관이 자동적으로 상기 제1 분사관내에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 진화 작업을 위해 소화기의 사용시 분사 노즐 구조체의 길이가 자동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분사관 및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길이가 연장되도록 인출되는 제 2분사관과, 제2 분사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 노즐로 이루어지고, 제2 분사관의 한쪽 단부측에 형성된 제1 경사공, 반대편 단부측에 형성된 제2 경사공, 제1 경사공과 제2 경사공 사이에 형성되는 직선공에서, 제1 경사공의 입구측 직경을 제1 직경, 제2 경사공의 출구측 직경을 제2 직경, 직선공의 직경을 제3 직경이라고 할때, 제2 경사공의 출구측 제2 직경이 가장 적게 형성되어서 소화 약제의 분사 압력이 증대되고, 강한 힘으로 분사되는 소화 분말의 분사 압력에 의해 제2 분사관은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면서 길이가 자동적으로 연장되므로, 멀리 있는 화재 발생 대상물을 완벽히 진압할 수 있는 최적의 방사 범위로 방사됨으로써, 긴급한 화재 발생 상황 속에서도 빠른 대응에 의한 초기 진압 내지 실효적인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다.
2) 제2 분사관이 인출되면 제1 분사관의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분사관은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강한 힘으로 인출되어서 제2 분사관의 단부가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확실하게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걸림이 이루어지고, 더욱이 제2 분사관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밀폐링에 의해 2차로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소화 약제의 발사시 소화 약제가 제1 분사관과 제2 분사관과의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 특히, 공장 등에서 화재 발생시, 길이가 가변된 분사 노즐 구조체를 이용하여 멀리 있는 화재 진압 대상물을 완벽히 진압할 수 있는 최적의 방사 범위로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한 화재 상황 속에서도 빠른 대응에 의한 초기 진압 내지 실효적인 화재진압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서 제2 분사관이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분사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 노즐 구조체(10)는 제1 분사관(100), 제1 분사관(100)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사관(200), 제2 분사대(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 노즐(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분사관(100)에는 소화기와 연결되는 호스(20)가 마련될 수 있고, 소화기안에 마련된 소화 약제의 분사를 위한 발사 스위치(110)(방아쇠)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화 약제로서는 소화 분말, 소화 가스, 소화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소화 분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소화기에는 분사 노즐 구조체(10)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마련되고, 거치대의 일면에는 호스(20)를 권취할 수 있는 호스 걸이대와, 소화기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사 노즐 구조체(10)가 설치되는 소화기는 용량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대형 용량에 사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사되는 소화 분말의 분사 압력에 의해 제2 분사관(200)은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제2 분사관이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따른 분사 노즐 구조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분사관(200)이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면서 길이가 늘어나면,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가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01)의 일측에는 제2 분사관(200)이 인출시 걸림되도록 경사면(10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02)은 소화 분말이 발사되는 방향으로 관통공(101)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의 외주면은 제1 분사관(100) 안에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로 인출되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1)은 소화 분말이 발사되는 방향으로 단부(210)의 외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사관(200)의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통과공(220)은 3군데의 구간(L1)(L2)(L3)로 구분되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분사관(200)의 양측 단부 내부는 경사공인 제1 경사공(221)과 제2 경사공(222)이 형성되는 제1 구간(L1)과 제2 구간(L2)으로 형성되고, 양측의 제1 경사공(221)과 제2 경사공(222)의 사이에는 직선공(223)이 형성되는 제3 구간(L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제1 경사공(221)의 입구측 직경을 제1 직경(d1), 제2 경사공(222)의 출구측 직경을 제2 직경(d2), 직선공(223)의 제3 직경(d3)을 대비해볼 때, 제2 직경(d2)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공(221)은 입구측에서 직선공(223)과 만나는 지점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지만, 직선공(223)과 만나는 지점의 직경은 직선공(223)의 제3 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직경(d1), 제2 직경(d2), 제3 직경(d3)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제2 직경(d2)의 크기는 너무 크게 하면, 제2 분사관(200)의 통과공(220)을 통과하는 소화 분말의 분사 압력이 작아질 수 있고, 너무 작게하면, 소화 분말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11 ~ 13mm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직경 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분사관(200)의 인출 동작시, 소화 분말이 소화기로부터 토출되면,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에 형성된 제1 경사공(221)을 통과하고, 이어서 직선공(223)을 통과하여 제2 경사공(222)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1 경사공(221)은 소화 분말의 발사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구조이므로, 분사 압력이 증대될 수 있고, 직선공(223)을 통과하여 제2 경사공(22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화 분말의 분사 압력이 더욱 증대됨과 동시에 제2 분사관(200)을 인출시키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 분말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증대된 힘으로 제2 분사관(200)을 밀게 되기 때문에, 제2 분사관(200)은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출되며,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는 제1 분사관(100)의 끝단부쪽에 형성된 경사면(102)을 만나면서 밀착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경사공(221)은 소화 분말의 분사시 분사 압력이 높아지는 역할을 하고, 제2 경사공(222)은 소화 분말의 분사 압력이 더욱 높아지면서 제2 분사관(200)을 확실하게 인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일, 제2 분사관(200)이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강한 힘으로 인출되지 못하면,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는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102)에 확실하게 밀착되지 못할 수 있고, 그러면 기밀이 누설되어 소화 분말이 새어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제2 분사관(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부(210)쪽에서 반대편 단부측까지 내부 통과공을 경사진 경사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제작상 제2 분사관(200)의 규격을 고려하면, 제2 경사공(222)의 직경(d2)이 너무 작아질 수 있고, 그러면 소화 분말의 분사시 지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관(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소화 분말의 발사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 외주면에는 제2 분사관(200)의 인출시,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01)의 경사면(102)에 밀착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폐링(230)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링(230)에 의해 제1 분사관(100)과 제2 분사관(200)의 사이에 틈새를 제거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소화 분말의 분사시 분사 압력이 누출되면서 소화 분말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사관(200)은 제1 분사관(100)내에서 인출되면, 밀폐링(23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압력이 감소하지 않고 소화 분말을 소정의 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화 분말이 제2 분사관(200)의 제2 경사공(222)을 통과하면서 증대된 분사 압력에 의해 제2 분사관(200)은 제1 분사관(100)의 내부에서 인출되면서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가 제1 분사관(100)의 경사면(102)에 확실하게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더욱이 밀폐링(230)에 의해 2차로 기밀이 유지되므로, 소화 분말이 누설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분사관(200)이 인출되면, 제2 분사관(200)의 단부(210)는 제1 분사관(100)의 경사공(221)에서 이동에 따른 직경 차이로 인한 걸림이 이루어지고, 이때, 단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폐링(230)이 경사공(2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소화 분말이 소량이라도 새는 경우에는 소화기 장비로서 사용할 수 없고, 소정의 법규에 의거 승인받을 수 없다.
제2 분사관(200)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는 분사 노즐(30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분사관(200)과 분사 노즐(300)은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착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분사 노즐(300)의 내부에는 끝단부로 갈 수록 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분사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 구조체(10)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발사 스위치(110)를 누르면, 소화기안의 소화 분말이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제1 분사관(100)의 내부를 통과할때, 자동적으로 제2 분사관(200)이 인출되면서 소화 분말이 이동하고, 제2 분사관(200)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 노즐(30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화 분말이 짧은 길이이고 고정된 상태의 분사 노즐 구조체(10)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경우에 비해, 발사 스위치(110)의 작동에 의해 소화 분말의 분사시, 길이가 더 늘어난 분사 노즐 구조체(10)를 통과하는 경우, 소화 분말의 발사 속도는 분사 노즐 구조체(10)의 내부 발사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에, 분사 노즐(300)을 통과하여 더욱 멀리까지 소화 분말을 분사시킬 수 있다.
발사 스위치(110)를 누르면 발사 스위치(110)의 상부 내부에서 밸브가 개방되면서 소화기안의 소화 분말이 호스(20)를 통해 분사 노즐 구조체(10)의 내부를 통과하여 분사될 수 있다.
더욱이, 분사 노즐 구조체(10)의 길이가 늘어나면, 소화 분말의 분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조준하여 발사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분사관(100)의 길이와 인출된 제2 분사관(200)의 길이가 더해져서 처음 상태보다 길어진 길이를 가지는 분사 노즐 구조체로 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소화 분말이 분사되면 더욱 멀리까지 분사될 수 있다.
공장 등과 같은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공장의 규모가 일반 건물보다 크고, 천장도 높기 때문에 화재 진압을 위해 비치된 통상의 소화기로는 높은 천장쪽이나 먼 위치로 소화 분말을 발사하지 못하여 초기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지만, 본 발명의 분사 노즐 구조체(10)는 멀리까지 소화 분말의 발사가 가능하므로, 특히 공장 등의 화재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발사 방향도 종래의 소화기에 비해 더 정확하게 발사할 수 있으므로, 화재 위치에 정확하게 조준하여 진화할 수 있다.
10... 분사 노즐 구조체 20...호스
100...제1 분사관 101... 관통공
102... 경사면 110...발사 스위치
200...제2 분사관 210... 단부
211... 경사면 220...통과공
221... 제1 경사공 222... 제2 경사공
223... 직선공 230...밀폐링
300...분사 노즐 310... 분사공
L1... 제1 구간 L2... 제2 구간
L3... 제3 구간

Claims (5)

  1. 소화 약제가 통과하는 제1 분사관;
    상기 제1 분사관 내부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분사관;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분사공을 가지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일측에는 상기 소화 약제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 외주면은 소화 약제가 발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의 외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분사관이 제1 분사관으로부터 인출되면, 제2 분사관의 단부는 제1 분사관의 경사면에 걸림이 이루어지고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며,
    상기 제2 분사관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과공은,
    상기 제2 분사관의 양측 단부 내부 형성되는 제1 경사공과 제2 경사공,
    상기 제1 경사공과 제2 경사공의 사이에 형성되는 직선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경사공과 상기 제2 경사공은 분사 압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소화 약제의 발사 방향으로 좁아지게 경사지고,
    상기 제1 경사공 및 상기 직선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경사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화 약제의 분사 압력이 증대되며,
    상기 분사 압력은 상기 소화 약제의 분사와 함께 상기 제2 분사관을 인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며,
    상기 제1 경사공의 입구측 직경을 제1 직경, 상기 제2 경사공의 출구측 직경을 제2 직경, 상기 직선공의 직경을 제3 직경이라고 할 때, 상기 제2 경사공의 상기 제2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고,
    상기 분사 노즐의 내부에는 끝단부로 갈 수록 면적이 확대되는 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소화 약제가 상기 제2 경사공의 통과시 상기 제2 분사관이 상기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인출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관의 단부 외주면에는 밀폐링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분사관이 상기 제1 분사관의 내부에서 인출시, 상기 제1 분사관의 단부의 경사면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밀폐링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지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KR1020200101982A 2020-08-13 2020-08-13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KR10248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82A KR102484835B1 (ko) 2020-08-13 2020-08-13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982A KR102484835B1 (ko) 2020-08-13 2020-08-13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94A KR20220021294A (ko) 2022-02-22
KR102484835B1 true KR102484835B1 (ko) 2023-01-06

Family

ID=8049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982A KR102484835B1 (ko) 2020-08-13 2020-08-13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8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40Y1 (ko) *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CN210543015U (zh) * 2019-07-09 2020-05-19 安阳猎鹰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喷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040Y1 (ko) * 2001-11-27 2002-02-21 김승범 에어건
CN210543015U (zh) * 2019-07-09 2020-05-19 安阳猎鹰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喷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94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JP2016165496A5 (ja) 消火ガス噴射装置の施工方法
KR102484835B1 (ko) 길이가 가변되는 소화기용 분사 노즐 구조체
US20130186655A1 (en) Fire extinguisher and discharge nozzle assembly
KR101252223B1 (ko) 다방향 방사노즐이 구비된 소화기
KR101695853B1 (ko) 소방관창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JP5456207B2 (ja) 複数の作用物質放出能力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作用物質放出システム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2406197B1 (ko) 분사 범위 조절이 용이한 소화기
KR102128021B1 (ko) 터널의 내부 화재 진압을 위한 연기배출 방법 및 장치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356018B1 (ko)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102384070B1 (ko) 유체 진동 분사를 이용한 소화기
CN102114313A (zh) 高层建筑外墙消防水枪
RU26888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и способ
KR20210114126A (ko) 소화기의 소화액 확산과 집중성이 향상되는 분사노즐
JP2007268006A (ja) 火源注入式消火装置
KR20190003146U (ko) 화재 진압용 권총형 스프레이건 소화기
KR102168394B1 (ko) 소화기용 약제 분사노즐
CN220459806U (zh) 温度活性水枪
KR1021468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CN220125410U (zh) 一种灭火剂式灭火管
WO2020053495A3 (fr) Chandelle sèche pour réseau sous vide d'extinction d'incen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