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463U - 조립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조립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463U
KR20230002463U KR2020230002375U KR20230002375U KR20230002463U KR 20230002463 U KR20230002463 U KR 20230002463U KR 2020230002375 U KR2020230002375 U KR 2020230002375U KR 20230002375 U KR20230002375 U KR 20230002375U KR 20230002463 U KR20230002463 U KR 20230002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oupled
frame
suppor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화명
Original Assignee
서화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화명 filed Critical 서화명
Priority to KR2020230002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463U/ko
Publication of KR20230002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46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 A47B2230/0022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with tightening devic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임의의 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은, 인접한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장부; 연장부 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거치부; 한 쌍의 연장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한 쌍의 연결부 각각에 양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거치부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테이블{ASSEMBLY TYPE TABLE}
본 발명은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camping)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캠핑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캠핑용품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캠핑의 편의 및 유의를 돕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캠핑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시중에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캠핑용품 중 캠핑용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음식을 준비 및 조리하거나 야외에서의 식탁대용으로 음식을 편리한 환경에서 먹고 즐길 수 있게 제작되며, 나아가 음식물의 적재는 물론 야외로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게 조립식 또는 접이식으로 제작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캠핑용 테이블은 음식물이나 물통을 거치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물통이나 음식물을 바닥이나 지면에 올려 두거나 별도의 보관 구조물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캠핑시 휴대장비의 부피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닥에 두는 경우에는 매번 바닥에 배치된 물통이나 음식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테이블과 함께 구비하는 다양한 캠핑장비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보관시 적은 부피로 휴대할 수 있는 테이블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388392 호 (2022. 04. 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휴대성이 증대되고, 조립시에 다양한 용품들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마련하며, 구조물의 증설이 용이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의의 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은, 인접한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장부; 연장부 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거치부; 한 쌍의 연장부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한 쌍의 연결부 각각에 양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거치부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이 제공된다.
그리고, 연장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거치부 및 스토퍼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자중방향으로 연결부를 관통하고,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거치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방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지지프레임은, 결합부재에 의해 연장부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수평프레임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지지하는 하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단프레임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접촉되는 구간 내에서 분리가능하며, 양단에 위치형성되고, 분리된 각 중공부와 삽입결합되는 삽입고정부; 및 삽입고정부 간이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수평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부와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케이블공이 형성되는 케이블연결부, 결합부재와 연결되고 케이블연결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케이블공과 케이블연결공을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이 관통되며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 및 한 쌍의 연결링을 양단으로 하고 연장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연장프레임은 양단은 각각 수평프레임 및 지지부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는 스토퍼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내에서 분리가능하고, 분리되는 양측의 단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의 표면에 널링(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휴대성이 증대되고, 조립시에 다양한 용품들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마련하며, 구조물의 증설이 용이한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이 결합한 테이블 형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 상에 상판이 안착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의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고정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을 결합한 테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로드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임의의 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00)은 한 쌍의 연장부(110), 거치부(120), 연결부(101) 및 스토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장부(110), 연장부(110) 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거치부(120), 한 쌍의 연장부(110)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101) 및 스토퍼(1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한 쌍의 연결부(101) 각각에 양단이 각각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적어도 거치부(12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0)는 바람직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조립에 의해 테이블이 구성되는 상태가 지면이 수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도가 적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지면이 수평면인 경우를 가정할 때 연장부(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10)는 거치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120)의 양단이 상기 연장부(110) 각각과 연결되어 연장부(110) 사이에서 연장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구간은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스토퍼(130)는 이에 대응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형성됨으로써, 거치부(120)와 스토퍼(130)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130)는 자중방향으로 연결부(101)를 관통하고,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거치부(120)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방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방지지되는 것은 거치부(120)와의 접촉에 의해 직접적으로 상방지지되는 경우 및 거치부(120)와 스토퍼(130) 사이에 용품을 개재하여 용품과의 접촉을 통해 거치부(120)로부터 상방지지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롤 타입의 휴지가 거치부(120)에 걸린 경우 스토퍼(130)와 거치부(120) 사이에 휴지를 개재함으로써 거치부(120)에 의해 스토퍼(130)는 상방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롤 타입의 휴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스토퍼(130)가 휴지의 회전을 상시 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30)는 자중을 통한 하중을 롤 타입의 휴지에 전달하여 상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롤 타입의 휴지가 사용됨으로써 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스토퍼(130)는 하중에 의해 휴지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거치부(120)는 스토퍼(1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즉, 코어부(122) 내에서 분리가능하고, 분리되는 양측의 단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롤타입의 휴지를 장착하기 위한 목적이기도 하며, 코어부(122)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중간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간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130)는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의 표면에 널링(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스토퍼(130)의 기능을 보다 증진하기 위한 일 수단으로써 휴지의 표면과 스토퍼(130)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토퍼(130)의 표면거칠기를 증가시키거나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중에 의해서도 롤 타입의 휴지가 회전되는 것에 대하여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는 선택적인 사항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20)는 연장부(1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거치부(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10)의 일단에 단부가 삽입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연장부(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거치부(120)의 단부도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부구간 연장될 수 있다. 롤 타입의 휴지가 자중에 의해 코어부에 걸려있을 수 있도록 거치부(120)는 연장부(110)와 결합된 단부로부터 하방경사되어 연장되는 구간이 마련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발행하는 하중을 코어부(122)가 상방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이며 동시에 코어부(122)로부터 지지되는 롤타입의 휴지가 코어부(122)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방경사되어 연장(롤타입의 휴지가 상방을 따라 이동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되는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스토퍼(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부(1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존재하고, 이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휴지를 자중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중은 휴지가 바람이나 사용자의 의도를 초과한 견인력에 의해 회전이 되며 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스토퍼(130)도 연결부(10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지속적인 하중이 발생하면 상기 하중에 의해 코어부(122)에 걸린 롤타입의 휴지가 가압되는 것이다. 코어부(130)도 연결부(101)를 관통하는 단부가 양단에 한 쌍 마련될 수 있고, 이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각도이격되어 절곡 또는 만곡되어 연장될수 있고, 이어서 코어부(1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또는 만곡되어 연장되는 구간은 거치부와 같이 하방경사가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코어부(1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은 수직방향으로부터 동일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스토퍼(130)는 하중을 통해 롤타입의 휴지를 하방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가하면 족한다.
상술한 도 1(a)와 같은 실시예와 다소 다른 도 1(b)와 같은 실시예도 구현가능하다. 도 1(b)는 연결부(101)에 삽입되는 스토퍼(130)에 형성된 삽입부(132)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결합너트(132a)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삽입부(132)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목적 및 연결부(101)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32)의 길이에 제한을 두기 위한 목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0)의 하단부에는 고정볼트(142)가 연장부(110)에 결합되는 볼트삽입부(141)에 결합될 수 있다. 볼트삽입부(141)는 조립부(141a)를 통해 연장부(110)와 결합이 가능한데 이러한 결합을 통해 볼트삽입부(141)가 지면에 직접 닿을 수도 있다. 물론, 타 프레임과의 결합에 의해 설계변경은 자유로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하의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0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101)는 결합공(101a)과 가이드홀(10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101a)은 거치부(120)의 일부가 관통되면서 연결부(10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된 연결부(101)는 가이드홀(101b)을 통해 스토퍼(130)의 삽입부(131)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131)가 가이드홀(101b)에 삽입되면 삽입에 의해 고정되거나 마찰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13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01b)은 수직방향을 향해 관통된 구멍일 수 있다.
여기서 겨치부(120)와 결합되는 결합공(101a)은 본 예시에서는 원형인 관통공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의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거치부(120)와의 결합에 의해 나머지 결합공(101b)이 스토퍼(130)와의 결합을 위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설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과 지지프레임(200)이 결합한 테이블 형태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테이블은 메인프레임(100)에 지지프레임(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은 결합부재(105)에 의해 연장부(110)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10), 수평프레임(21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0) 및 지지부(220)를 지면으로부터 상방지지하는 하단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05)는 동일선 상에서 연장부(110)와 지지부(2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수평프레임(210)은 그와 직교하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05)는 연장부(110)에 삽입결합되는 제1수직삽입부(105b), 지지부(220)에 삽입결합되는 제2수직삽입부(105c) 및 수평프레임(210)에 삽입결합되는 수평삽입부(105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의 경우 총 네 개의 지지부(220)가 마련되고, 두 개의 지지부(220)는 결합부재(105)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두 개의 지지부(220)는 수평프레임(210)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220)는 하단프레임(230)과 결합될 수 있는데, 수평지지부(24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부(220)와 하나의 하단프레임(230)이 결합되고, 결합부재(105)와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20)가 나머지 하단프레임(2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수평프레임(210)과 하단프레임(230)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보강구조의 일 수단으로서 양단에 삽입고정부(242)가 형성된 수평지지부(241)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하단프레임(230)은 지면에 접촉되는 구간 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하단프레임(230)은 삽입공(230a)이 노출되는데 마주하는 삽입공(230a) 각각에 삽입고정부(242)가 삽입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200)에 걸이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수평프레임(210)이 관통되며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링(251) 및 한 쌍의 연결링(251)을 양단으로 하고 연장되는 걸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250)는 구비된 다양한 용품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링(251)은 수평프레임(210)과 고정결합될 수도 있고,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200) 상에 상판(T)이 안착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의 연결부재(106)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107)고정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대 상에 상판(T)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T)은 평면의 플레이트일 수 있고, 화구 등의 조리기구가 될 수도 있다. 이는 한정된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테이블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강도개선을 위해 케이블(107)이 특정 지점 간을 연결하여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구조는 케이블(107)의 양끝이 하단프레임(230) 및 수평프레임(210)의 일지점을 연결하되 소정의 장력이 발생하도록 연결하여 지지부(220), 케이블(107) 및 하단프레임(230)으로 구성되는 삼각형 형태의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평면상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하는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241)와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케이블공(243a, 243b)이 형성되는 케이블연결부(106B), 결합부재(105)와 연결되고 케이블연결공(106b)이 형성되는 연결부재(106) 및 케이블공(243a, 243b)과 케이블연결공(106b)을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며 연결시키는 케이블(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b)는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연결부재(106)는 적어도 프레임연결부(106A) 및 케이블연결부(106B)의 면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연결부(106A)에는 프레임연결공(106a)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210)이 관통하여 연결부재(106)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은 수평프레임(210)의 축방향으로의 고정을 의미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여부는 선택적이다. 한편, 케이블연결부(106B)에는 케이블연결공(106b)이 형성되어 케이블(107)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107)의 일단은 케이블연결공(106b)을 통해 관통되면서 매듭을 형성하여 케이블(107)과 연결부재(106)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107)의 타단은 케이블연결부(106B)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106B)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본 예시에는 두 개의 케이블공(243a, 243b)이 형성되었다. 케이블공(243a, 243b) 중 하나에 케이블(107)의 타단이 관통 및 매듭이 형성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양단이 연결된 케이블(107)은 소정의 장력이 발생하도록 연결되어 트러스 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수평방향으로는 수평지지부(241), 수평프레임(210)가 지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제2수평방향으로는 하단프레임(230)이 지지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수평방향과 제2수평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1수평방향 및 제2수평방향을 제외한 방향으로의 비틀림 및 하중에 대해서는 상기 트러스 구조가 대응지지될 수 있도록 텐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107)은 소정의 장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긴장될 수 있다.
케이블(107)은 연결부재(106) 및 케이블연결부(243)와 연결되어 장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연결부재(106)와 결합된 축이 수평삽입부(105)일 경우 수평프레임(210)은 물론이고, 지지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연결부(243)와 연결된 수평지지부(241)는 케이블(107)의 장력에 의해 연결부재(106) 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러스 구조의 형성과 함께 결합부재(105)를 포함한 그 이하에 위치된 구조물들로 압축력이 발생되어 보다 견고하게 서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케이블(107)을 제외한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중공형 금속재로 형성되어 경량성을 띄고 삽입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 구성의 양단부에는 삽입을 할 수 있는 돌출부가 마련되거나 삽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중공형의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 지지프레임(200) 및 연장프레임(300)을 결합한 테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연장프레임(300)을 더 포함하고, 연장프레임(300)의 양단은 각각 수평프레임(210) 및 지지부(220)와 연결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대(310)를 포함한다. 수직연장대(310)는 상판(T)이 지면으로부터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도록 중간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일부는 수평프레임(210)과 지지부(22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지지부(220)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지지부(220)와 연장부(1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프레임(300)은 수평연장대(320)도 포함할 수 있다. 수직연장대(31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면, 걸이부(250)가 연결링(251)을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연장대(3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220)와 연장프레임(300) 사이 및 연장부(110)와 연장프레임(300) 사이에 결합부재(105)가 각각 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부재(105)의 수평삽입부(105a)가 수평프레임(210)과 수평연장대(32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로드(221)를 더 포함하는 테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프레임(200)은 보강로드(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로드(221)는 지지부(220)간을 연결하여 지지부(220) 간의 거리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테이블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다. 지지부(220)는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본 예시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러한 경우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보강로드(221)가 지지부(220) 간에 하나 이상이 배치됨으로써 보강로드(221)의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에 강성을 일부 의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로드(221)가 배치됨으로써 지지부(220)의 기립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개선시켜줄 수 있고 이러한 효과는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로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지부(220)와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로드결합부(22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로드결합부(222)는 두 개의 조립공(222a)이 형성되고, 이 중 하나의 조립공(222a)은 수평프레임(210) 또는 지지부(220)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수평프레임(210)과 지지부(220) 간의 결합구조가 관통되며 조립되는 것으로서 이를 만족하면 다양한 실시예라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나머지 조립공(222a)은 보강로드(221)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결합가능하다. 즉, 조립공(222a)은 양 지지부(220) 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보강로드(221)의 단부가 각각 적어도 일부 삽입됨으로써 결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은 조립과정에서 형상을 유지하거나 조립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가압의 의한 조임, 잠금구조 및 반영구적인 체결구조 등이 적용되지 않고, 수직 또는 수평방향(직선방향)으로의 장력, 자중, 구조물간의 긴장 등으로 결합상태의 유지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100a : 메인프레임
101 : 연결부
101a : 결합공
101b : 가이드홀
105 : 결합부재
105a : 수평삽입부
105b : 제1수직삽입부
105c : 제2수직삽입부
106 : 연결부재
106A : 프레임연결부
106a : 프레임연결공
106B : 케이블연결부
106b : 케이블연결공
107 : 케이블
110 : 연장부
120 : 거치부
122 : 코어부
130 : 스토퍼
131, 132 : 삽입부
132a : 결합너트
141 : 볼트삽입부
141a : 조립부
142 : 고정볼트
200 : 지지프레임
210 : 수평프레임
211 : 고리부
220 : 지지부
221 : 보강로드
222 : 로드결합부
222a : 조립공
230 : 하단프레임
230a : 삽입공
231 : 체결부
241 : 수평지지부
242 : 삽입고정부
243 : 케이블연결부
243a, 243b : 케이블공
250 : 걸이부
251 : 연결링
300 : 연장프레임
310 : 수직연장대
320 : 수평연장대
T : 상판

Claims (5)

  1. 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메인프레임(100)에 있어서,
    인접한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연장부(110); 및
    상기 연장부(110) 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는 거치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11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연장부(110)와 결합된 단부로부터 하방경사되어 연장되는 구간이 마련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부(122)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연장부(11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12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연장부(110)의 일단에 단부가 삽입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거치부(120)의 단부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부구간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코어부(122) 구간 내에서 분리가능하고, 분리되는 양측의 단면은 서로 상이한, 메인프레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장부(110)에 결합되는 볼트삽입부(141)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삽입부(141)는 조립부(141a)를 통해 연장부(110)와 결합이 가능한, 메인프레임.

KR2020230002375U 2022-06-09 2023-11-21 조립식 테이블 KR20230002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375U KR20230002463U (ko) 2022-06-09 2023-11-21 조립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04 2022-06-09
KR2020230002375U KR20230002463U (ko) 2022-06-09 2023-11-21 조립식 테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404 Division 2022-06-09 2022-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463U true KR20230002463U (ko) 2023-12-27

Family

ID=89309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375U KR20230002463U (ko) 2022-06-09 2023-11-21 조립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46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92B1 (ko) 2020-09-04 2022-04-18 김기복 캠핑용 조립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92B1 (ko) 2020-09-04 2022-04-18 김기복 캠핑용 조립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3976T3 (es) Mensula de soporte de ajuste por interferencia para una silla plegable portatil.
US7363664B2 (en) T-shaped side rails for bed frame
US8322784B2 (en) Collapsible chair
US20070013211A1 (en) Collapsible portable platform
US20090189419A1 (en) Folding Chair
US20130117931A1 (en) Hammock
JP7189999B2 (ja) 折り畳み可能な椅子
US20140008149A1 (en) Tree stand
US20070051858A1 (en) Hanging chair stand
US8931840B2 (en) Composite frame
KR20230002463U (ko) 조립식 테이블
US20160278586A1 (en) Collapsible toilet with enhanced stability and strength
US4146269A (en) Knockdown furniture structure
US6457683B1 (en) Portable shelter lantern and heater stand
US6725523B2 (en) Knockdown chair
US20070107170A1 (en) Shaft clamp assembly
US7798454B2 (en) Structural supports
US6912744B2 (en) Suspended furniture assembly
US6848368B2 (en) Stand device
JP4146474B2 (ja) トランポリン
US6428101B1 (en) Suspended furniture apparatus
US7627914B2 (en) Hammock stand
KR200467595Y1 (ko) 야전침대용 받침대
CN213696352U (zh) 一种座椅的支撑结构及座椅
KR200474342Y1 (ko) 해먹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