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318U - 중경 제초기 - Google Patents

중경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318U
KR20230002318U KR2020220001322U KR20220001322U KR20230002318U KR 20230002318 U KR20230002318 U KR 20230002318U KR 2020220001322 U KR2020220001322 U KR 2020220001322U KR 20220001322 U KR20220001322 U KR 20220001322U KR 20230002318 U KR20230002318 U KR 20230002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weeder
work
paragraph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김영근
최용
장성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220001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318U/ko
Publication of KR20230002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3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9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motor driven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잡초를 절단하는 제초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굴림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무거운 제초기의 헤드부를 작업자가 들고 있지 않더라도 제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중경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경 제초기{MIDDLE CULTIVATION WEEDING MACHINE}
본 고안은 중경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잡초를 절단하는 제초기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무거운 제초기를 작업자가 들고 있지 않더라도 제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중경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 및 제초기는 경작지에 자라는 잡초를 절단하여 제초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대의 회전축 하단에 회전칼날을 장착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도중 회전칼날이 지면의 물체와 충돌할 경우 칼날이 회전되는 속도에 의해 지면상의 돌 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튕겨 나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제초 작업 시 작업자는 제초기를 든 상태로 제초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제초기의 중량이 무거워 오랜 시간 작업하면 작업자가 육체적 피로를 느끼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체력이 소진될수록 회전칼날이 지면으로 처지는 경향이 있어 앞서 언급한 안전사고가 반복될 위험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6510호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는 절단되는 풀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별모양안전판(300)과 지면롤링부재(500)를 설치하여 예초기의 칼날(S)과 지면 사이를 이격시켜 무거운 예초기의 헤드부를 작업자가 손으로 들지 않더라도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종래 예초기의 경우 예초기를 이동시킬 때는 여전히 예초기를 들어서 이동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아울러 칼날(S)을 보호하기 위한 별모양안전판(300)이 칼날(S)을 회전시키는 헤드부의 구동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연결지점에서 파손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또한 상기 예초기는 지면 위에 있는 초목만을 제거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6510호(공개일자: 2021.12.06)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초기의 작업봉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면서 굴림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잡초를 절단하는 헤드부와 지면 사이를 소정 높이로 유지시켜 무거운 제초기를 작업자가 들고 있지 않더라도 제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중경 제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파지부가 구비된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된 제초날로 구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보호커버부, 상기 보호커버부에 부착되어 상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헤드부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해주는 이격조절부 및 상기 작업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대한 굴림 운동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한쪽에는 상기 작업봉이 체결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헤드부가 체결되어 상기 작업봉과 상기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관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부의 후방에는, 상기 제초날로 인해 절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가 가려지도록 착탈 가능한 연질의 흙받이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보호커버부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조절부는, 상기 보호커버부에 구비된 높이조절구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맞닿는 바닥면의 가장자리가 위쪽을 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격조절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와 완충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의 내경에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하부지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주에 대해 상기 하부지주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의 방향전환 및 이동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캐스터가 더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는, 제초기의 작업봉과 헤드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무거운 제초기를 들고 있지 않더라도 제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는 저감시키고 작업의 능률은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헤드부 부분을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보호커버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받이부재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이격조절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조절부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지지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경 제초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할 일 실시예에 따른 중경 제초기(A)는 경작지에 자라는 잡초를 절단하여 제초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파지부(101)가 구비된 작업봉(100)과 상기 작업봉(100)의 일단에 장착되는 모터(210)와 제초날(220)로 구성된 헤드부(200), 상기 제초날(22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부(300), 상기 헤드부(200)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해주는 이격조절부(400) 및 상기 작업봉(1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해주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봉(100)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축 가능하도록 외관에 출입이 자유로운 내관을 설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작업봉(100)의 도중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01)가 구비되고 그러한 파지부(1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손잡이 바(10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한 손은 파지부(101)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손잡이 바(102)를 파지하여 제초기(A)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초기(A)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110)는 작업봉(100)의 상단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배부식 형태로 제작되어 작업자의 등에 메고 다닐 수도 있다.
작업봉(100)의 상단에는 앞서 언급한 전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초기(A)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가 회로기판 형태로 구현된다.
아울러 파지부(101) 또는 손잡이 바(102)에는 뒤에서 설명하게 될 제초날(220)의 회전속도를 가변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120)에 신호를 전달해주는 작동레버(103)가 구비될 수 있다.
작동레버(103)에는 작업자가 파지부(101)에서 손을 떼는 것과 동시에 작동이 멈추도록 안전장치(미도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레버(103)의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작업봉(100)의 하단에는 관절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절부재(130)의 양단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도가 조절되고 조절된 위치를 고정해주는 고정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관절부재(130)의 한쪽에 작업봉(100)을 결합하고 다른 한쪽에는 헤드부(200)를 결합하여 작업봉(100)과 헤드부(200)의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헤드부(200)는,
앞서 설명한 작업봉(100)의 하단에 관절부재(1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0)와 모터(210)의 구동축(도면부호 미도시)과 결합된 제초날(220)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10)는 작동레버(103)의 명령에 따라 회전 속도가 가변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제초날(220)은 원판 형태의 회전판(221)과 회전판(22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절단돌기(222)를 복수 개 부착하여 지면을 파헤침으로써 잡초(1)의 초목은 물론 뿌리까지 절단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제초날(220)의 형상과 모양을 어느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잡초(1)의 절단 내지는 지면을 파헤치기가 용이한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보호커버부(300)는,
앞서 설명한 헤드부(200)에 장착되고 제초날(22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제초날(220)을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보호커버부(300)의 상면 중심부에는 관통홀(301)이 형성되고, 관통홀(301)에 모터(210)의 구동축을 관통시켜줌으로써 구동축의 회전력에 간섭 없이 모터(210)와 제초날(220)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보호커버부(300)는 제초기(A)가 진행하는 방향 즉, 보호커버부(300)의 전방 내지는 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인입구(30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 위치하는 소정 크기의 잡초(A)를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300)의 후방 내지는 측면을 일부 절개하여 배출구(30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초날(220)로 인해 절단된 이물질 내지는 파헤쳐진 흙더미가 배출구(303)를 통해 원활히 통과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커버부(300)의 후방에는 배출구(303)가 가려지도록 부드러운 성질의 흙받이부재(31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흙받이부재(31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또는 합성직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어느 하나로 특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흙받이부재(310)에는 다수의 절개라인(311)을 형성하여 소정의 힘이 가해질 경우 전후 방향으로 팔랑거림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초날(220)의 회전력에 의해 강한 힘으로 튕겨나가는 이물질을 완충 역할하는 흙받이부재(310)가 막아 줌으로써 보호커버부(300)의 외부로 이물질이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조절부(400)는,
앞서 설명한 보호커버부(300)에 부착되어 상하 높이 조절을 통해 헤드부(200)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이격조절부(400)는 보호커버부(300)에 구비된 높이조절구(304)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수직프레임(401)과 수직프레임(401)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면의 위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수평프레임(4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프레임(402)은 지면과 맞닿는 바닥면의 전방과 후방 내지는 바닥면의 가장자리 모두가 위쪽을 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조절부(4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격조절부(400')의 수직프레임(401)과 수평프레임(402) 사이에는 소정의 기울기와 완충력을 부여해주는 완충재(403)가 개재될 수 있으며 그러한 완충재(403)는 네 모서리 부분이 각각 신축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프레임(401)에 대해 수평프레임(402)은 불균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높낮이의 완급 조절을 통해 평탄하지 못한 지면을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작업봉(100)의 도중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작업봉(100)을 지지하고, 지면에 대한 굴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500)는 상부지주(501)와 그러한 상부지주(501)의 내경에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하부지주(502)로 구성되며 상부지주(501)에 대해 하부지주(50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고정부재(5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체형에 맞춰 작업봉(10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500)의 하단에는 지면에 대해 굴림 운동을 수행하는 캐스터(50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캐스터(504)는 지지부(500)의 방향전환 및 이동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통상의 회전형 캐스터(504)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경작지에 자라는 잡초(1)를 제초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무거운 중경 제초기(A)를 들고 있지 않더라도 제초기(A)를 굴림 이동시켜 제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시켜 제초 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잡초 A : 중경 제초기
100 : 작업봉 101 : 파지부
102 : 손잡이바 103 : 작동레버
110 : 전원부 120 : 제어부
130 : 관절부재 200 : 헤드부
210 : 모터 220 : 제초날
221 : 회전판 222 : 절단돌기
300 : 보호커버부 301 : 관통홀
302 : 인입구 303 : 배출구
304 : 높이조절구 310 : 흙받이부재
311 : 절개라인 400, 400' : 이격조절부
401 : 수직프레임 402 : 수평프레임
403 : 완충재 500 : 지지부
501 : 상부지주 502 : 하부지주
503 : 고정부재 504 : 캐스터

Claims (7)

  1. 파지부가 구비된 작업봉과, 상기 작업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된 제초날로 구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보호커버부;
    상기 보호커버부에 부착되어 상하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헤드부와 지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해주는 이격조절부; 및
    상기 작업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대한 굴림 운동이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중경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에는 상기 작업봉이 체결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헤드부가 체결되어 상기 작업봉과 상기 헤드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관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경 제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부의 후방에는, 상기 제초날로 인해 절단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가 가려지도록 착탈 가능한 연질의 흙받이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보호커버부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중경 제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조절부는,
    상기 보호커버부에 구비된 높이조절구에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맞닿는 바닥면의 가장자리가 위쪽을 향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중경 제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조절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와 완충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경 제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의 내경에 삽입되어 신축 가능한 하부지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주에 대해 상기 하부지주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경 제초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방향전환 및 이동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캐스터;가 더 설치되는 것인, 중경 제초기.
KR2020220001322U 2022-05-31 2022-05-31 중경 제초기 KR202300023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22U KR20230002318U (ko) 2022-05-31 2022-05-31 중경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322U KR20230002318U (ko) 2022-05-31 2022-05-31 중경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318U true KR20230002318U (ko) 2023-12-07

Family

ID=8912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322U KR20230002318U (ko) 2022-05-31 2022-05-31 중경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31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10A (ko) 2020-05-27 2021-12-06 박정태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510A (ko) 2020-05-27 2021-12-06 박정태 예초기 칼날 안전장치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755A (en) Trimmer wheels
US4718221A (en) Lawnmower edger and trimmer
US5477665A (en) Support strut assembly for rotating flexible line-type vegetation trimmer
US5697453A (en) Subsurface cutting tool
DK165959B (da) Slaamaskine med ny udformning af skiven og fastgoerelse af knivene
GB1559991A (en) Lawn mower
US4979573A (en) Lawn edger apparatus
JP6719744B2 (ja) 自走草刈機
US20140260839A1 (en) Powered grounds tool supporting handle
KR20090038384A (ko) 예취기
JP6699021B2 (ja) 草刈機用の刈刃部
CA1103465A (en) Device, especially for the use on grassed areas and the like
KR20230002318U (ko) 중경 제초기
HU209851B (en) Cultivator
US3126968A (en) Lawn edger
US5402627A (en) Line trimmer support ski
KR20200029947A (ko) 중경 예초기
US20080230240A1 (en) Front suspension for a yard tool
AU2020100005A4 (en) Line trimmer assembly
KR20160092268A (ko) 자주식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초 장치
KR200404883Y1 (ko) 예초기
JP3141500U (ja) 草刈機用回転刃の高さ保持部材
KR20050028231A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AU2021200001A1 (en) Line trimmer assembly
US20190069481A1 (en)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walk behind trimmers with third whe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