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91A -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91A
KR20230001991A KR1020210085176A KR20210085176A KR20230001991A KR 20230001991 A KR20230001991 A KR 20230001991A KR 1020210085176 A KR1020210085176 A KR 1020210085176A KR 20210085176 A KR20210085176 A KR 20210085176A KR 20230001991 A KR20230001991 A KR 2023000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ire
fire extinguishing
sensor
preven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938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21008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9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연기 및 가스를 센싱하는 복합 센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1 소화액 공급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2 소화액 공급부,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1 소화부,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2 소화부 및 상기 복합 센서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소화액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COMPLEX HAZARDOUS GAS LEAK DETECTION AND FIR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기 뿐만 아니라 가스를 검출하여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스사고는 많은 사상자를 내고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오는데 그 대부분은 화재 또는 폭발 형태로 발생한다. 요식업소, 식당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누설 자동차단장치는 가스누설시에만 가스를 감지한 후 가스를 자동차단하여 화재, 폭팔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도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가스렌지 상의 조리기 가열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화재시 가스가 자동으로 차단되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그리하여 가스렌지 상부나 렌지후드내에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가스렌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도중 조리기가 과열 또는 파열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한 후 가스배관의 밸브를 차단함으로써 가스사고를 방지하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식당 내 조리기로부터 먼거리에서 화재발생시 온도센서에 감지 전에 화재가 가스렌즈, 연결호스 등 가스 사용시설에 전파하여 과열, 파열로 가스가 누설될 수 있고, 이 누설된 가스가 감지전에 발화되어 화재확산, 폭발 등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대부분의 가스사고는 화재와 폭발형태로 발생되고 있다.
종래에는 주방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기술로, 주방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화재 경보기나 또는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는 기술 등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화재 소화 장비로 스프링 쿨러만이 설치되어 있어, 물로 소화가 되지 않은 가연성 가스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스프링쿨러를 이용해서는 화재 진압이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7935호
본 발명은 복합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연기 뿐만 아니라 가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 센서에 의해 생성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센서에 서로 다른 동작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공기 중의 가스의 종류를 판단한 후 해당 가스를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한 가스사고를 예방하여 사용자와 이용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연기 및 가스를 센싱하는 복합 센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1 소화액 공급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2 소화액 공급부,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1 소화부,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2 소화부 및 상기 복합 센서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소화액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연기 뿐만 아니라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 센서에 의해 생성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센서에 서로 다른 동작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공기 중의 가스의 종류를 판단한 후 해당 가스를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로 인한 가스사고를 예방하여 사용자와 이용객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1 소화액” 및 “제2 소화액”은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재 원인을 소화시킬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소화액은 불을 제거하기 위한 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소화액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가스 소화액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종류의 가스는 화재 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복합 센서(100), 제1 소화부(130a, 130b), 제2 소화부(150a, 150b), 제1 소화액 공급부(160), 제2 소화액 공급부(170), 공기 정화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소화액 공급부(160)는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부(130a, 130b)와 연결되고, 제2 소화액 공급부(160)는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 제2 소화부(150a, 150b)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소화부(130a, 130b)는 기존의 수도관으로 구현되는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부(130a, 130b)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제2 소화부(150a, 150b)는 제2 소화액 공급부(160)와 연결되는 별도의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이 사전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복합 센서(100)는 지정된 권역의 공간에 화재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원격지에서 화재 발생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화재 감지 신호는 복합 센서(100) 중 화재 센서(110)에 의해 생성된 연기 감지 신호 및 복합 센서(100) 중 가스 센서(120)에 의해 생성된 가스 감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센서(100)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센서(110) 및 서로 다른 종류의 가연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120)를 포함한다.
복합 센서(100) 중 화재 센서(110)는 공기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이거나 연기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화재 센서(110)는 공기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이거나 연기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복합 센서(100) 중 가스 센서(120)는 공기 중에 분자로 존재하는 각종 가스의 농도를 판별한다. 가스 센서(120)는 서로 다른 동작 농도가 설정되어 있어 서로 다른 속도로 동작되며, 공기 중의 가스의 농도에 따라 동작하면 가스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복합 센서(100) 중 가스 센서(120)는 서로 다른 동작 농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센서(120)가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 감지 센서를 제어부(190)에 제공하는 시간은 상이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복합 센서(100) 중 가스 센서(120)로부터 가스 감지 센서를 수신하면 가스 감지 센서를 제공한 가스 센서(120)에 미리 설정된 동작 농도에 따라 가스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복합 센서(100)는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가 가정, 음식점 등일 경우 복합 센서(100)는 가스 렌지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화부(130a, 130b)는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액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받은 제1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제1 소화부(130a, 130b)는 수도관으로 구현되는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액 공급부(160)로부터 공급받은 제1 화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화부(130a, 130b)는 스프링클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 소화부(130a, 130b)는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가 가정, 음식점 등일 경우 제1 소화부(130a, 130b)는 가스 렌지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화부(150a, 150b)는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 제2 소화액 공급부(170)로부터 공급받은 제2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이때, 제2 소화부(150a, 150b)는 제2 소화액 공급부(160)와 연결되는 별도의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이 사전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소화부(150a, 150b)는 가스 분사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제2 소화부(150a, 150b)는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가 가정, 음식점 등일 경우 제2 소화부(150a, 150b)는 가스 렌지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화액 공급부(160)는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부(130a, 130b)와 연결되며,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화재 소화액을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부(130a, 130b)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소화액 공급부(160)는 일반적으로 구비된 스프링쿨러에 연결된 수도 공급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 제2 소화부(150a, 150b)와 연결되며, 제어부(19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 제2 화재 소화액을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 제2 소화부(150a, 150b)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위치하거나 중앙 관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가 개별 가정인 경우 LPG 가스통과 같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화재 예방 시스템의 설치 장소가 공동주택이나 공동 사무실의 경우, 중앙 관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대규모의 가스 소화액 저장통이 있는 경우 가스 소화액이 각 가정 또는 사무실로 연결된 가스 공급관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가스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제2 화재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는 소화액 공급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제어부(19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소화액 저장 장치 중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소화액 공급통에 저장된 제2 화재 소화액을 제2 소화부(150a, 150b)에 공급함으로써 제2 소화부(150a, 150b)를 통해 제2 화재 소화액이 분사하여 화재가 진화되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복합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소화부(130a, 130b), 제2 소화부(150a, 150b) 및 공기 정화부(180) 중 적어도 하나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복합 센서(10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화재 감지 신호가 화재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지 또는 가스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화재 감지 신호가 가스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한다고 판단되면,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가스 센서(120)에 미리 설정된 동작 농도에 따라 유입된 가스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스 센서(120)에는 서로 다른 동작 농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공간으로 유입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에 동작하여 가스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가스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에는 가스 종류 별로 동작되는 가스 센서(120)의 식별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미리 저장된 가스 종류 별로 동작되는 가스 센서(120)의 식별 번호를 기초로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한 가스 센서의 식별 번호를 결정한 후 해당 가스 센서가 검출 가능한 가스 종류를 추출하여 현재 발생된 가스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90)는 가스 종류가 판단된 후 가스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의 공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2 소화액 공급부(170)에 제공한다.
따라서, 제2 소화액 공급부(170)는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가스 종류에 해당하는 소화액 공급통에 저장된 제2 화재 소화액이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b)을 통해제2 소화부(150a, 150b)에 제공하여 제2 소화부가 제2 화재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복합 센서(100) 중 가스 센서(120)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화재 센서(110)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공기 정화부(18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공기 정화부(180)에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을 확인한다. 그 후, 제어부(190)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제어부(190)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한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및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단계 S445),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의 공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제공하여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이 상기 제2 소화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90)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및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하이면(단계 S445),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복합 센서(100) 중 화재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연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연기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 소화액 공급부(160)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소화액 공급부(160)는 제1 소화액을 제1 소화액 공급관(a)을 통해 제1 소화부(130a, 130b)에 제공하여 제1 소화부(130a, 130b)가 제1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가스가 감지되면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복합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310), 화재 감지 신호가 연기 감지 신호 및 가스 감지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5).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재 감지 신호가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단계 S320),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가스 센서 각각에 미리 설정된 동작 농도에 따라 가스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S325).
단계 S325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재 감지 신호가 가스 센서로부터 수신된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한다고 판단되면,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가스 센서(120)에 미리 설정된 동작 농도에 따라 유입된 가스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스 센서에는 서로 다른 동작 농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공간으로 유입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에 동작하여 가스 감지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 예방 시스템은 가스 센서(120) 각각으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재 예방 시스템에는 가스 종류 별로 동작되는 가스 센서의 식별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재 예방 시스템는 미리 저장된 가스 종류 별로 동작되는 가스 센서의 식별 번호를 기초로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한 가스 센서의 식별 번호를 결정한 후 해당 가스 센서가 검출 가능한 가스 종류를 추출하여 현재 발생된 가스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화재 예방 시스템은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의 공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제공하여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이 상기 제2 소화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3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연기가 감지되지 않고 가스가 감지되면 가스의 종류에 따라 공기 정화기만을 동작시키거나 제2 화재 소화액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복합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410), 화재 감지 신호가 연기 감지 신호 및 가스 감지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5).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재 감지 신호가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단계 S420),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공기 정화기에 제공하여 가스의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단계 S425).
화재 예방 시스템은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을 확인한다(단계 S430). 화재 예방 시스템은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435).
화재 예방 시스템은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가스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한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을 확인한다(단계 S430).
화재 예방 시스템은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및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면(단계 S440),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의 공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제공하여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이 상기 제2 소화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445).
한편, 화재 예방 시스템은 제1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및 제2 가스 센서에 미리 설정된 동작 시간 사이의 차이 시간이 특정 시간 이하이면(단계 S440), 공기 정화기의 동작을 유지시킨다(단계 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예방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가스가 감지되지 않고 연기가 감지되면 제1 화재 소화액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복합 센서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510), 화재 감지 신호가 연기 감지 신호 및 가스 감지 신호 중 어느 신호를 지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5).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은 화재 감지 신호가 연기 감지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단계 S320), 제1 소화액 공급부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제1 소화액 공급부는 제1 소화액을 제1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소화부에 제공하여 제1 소화부가 제1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복합 센서
110: 연기 센서
120: 가스 센서
130a, 130b: 제1 소화부,
150a, 150b: 제2 소화부,
160: 제1 소화액 공급부
170: 제2 소화액 공급부
180: 공기 정화부
190: 제어부

Claims (7)

  1.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으로서,
    연기 및 가스를 센싱하는 복합 센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1 소화액 공급부;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화재 소화액을 공급하는 제2 소화액 공급부;
    제1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1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1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1 소화부;
    제2 화재 소화액 공급관을 통해 제2 소화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제2 화재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2 소화부; 및
    상기 복합 센서로부터 수신된 화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소화액 공급부 또는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가스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제2 화재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는 소화액 공급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면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연기 센서; 및
    서로 다른 동작 농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공기 중의 가스의 농도에 따라 동작하면 가스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중 가스 센서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스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가스 센서 각각에 미리 설정된 동작 농도에 따라 가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의 공급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소화액 공급부에 제공하여 상기 가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제2 화재 소화액이 상기 제2 소화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중 연기 센서로부터 연기 감시 신호를 수신되지 않고 상기 복합 센서 중 가스 센서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공기 정화부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공기 정화기에 제공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중 연기 센서로부터 연기 감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소화액 공급부에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1 화재 소화액이 상기 제1 소화부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0210085176A 2021-06-29 2021-06-29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56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76A KR102563938B1 (ko) 2021-06-29 2021-06-29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76A KR102563938B1 (ko) 2021-06-29 2021-06-29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91A true KR20230001991A (ko) 2023-01-05
KR102563938B1 KR102563938B1 (ko) 2023-08-03

Family

ID=8492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76A KR102563938B1 (ko) 2021-06-29 2021-06-29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9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537A (ja) * 1998-09-18 2000-04-04 Bunka Shutter Co Ltd 消火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5169603A (zh) * 2015-11-02 2015-12-23 润泰救援装备科技河北有限公司 远红外综合气体分析消防车
KR101697935B1 (ko)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2097774B1 (ko) * 2019-07-31 2020-05-26 한국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98317A (ko) * 2019-02-12 2020-08-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537A (ja) * 1998-09-18 2000-04-04 Bunka Shutter Co Ltd 消火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5169603A (zh) * 2015-11-02 2015-12-23 润泰救援装备科技河北有限公司 远红外综合气体分析消防车
KR101697935B1 (ko) 2016-07-22 2017-02-01 주식회사 예람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20200098317A (ko) * 2019-02-12 2020-08-20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2097774B1 (ko) * 2019-07-31 2020-05-26 한국교통안전공단 차량의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938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101679231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시스템
Dew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on LPG gas leak detection and automatic gas regulator system using Arduino
WO2017022914A1 (ko) 가스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차단방법
CN211863660U (zh) 一种应用于地下综合管廊的自动化报警装置
CN107233686A (zh) 一种灭火系统防误喷控制方法
CN105650690A (zh) 厨房防火系统
CN113570831B (zh) 一种一体化无线蓝牙燃气泄漏报警与安全联动装置
KR102563938B1 (ko) 복합 유해 가스 누설 감지 및 화재 예방 시스템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CN205140165U (zh) 一种可燃性气体报警系统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9154Y1 (ko) 자동 소화 장치
KR101460707B1 (ko) 상업용 주방화재 소화장치
CN205402812U (zh) 厨房防火系统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AU2018101519A4 (en) Innotech device (innovative technology) is used for gas and fire smoke detection in house, commercial, and industrial and send notification to the user mobile app. when device detect the gas and fire smoke send signal to turn off the house outside gas pipe line. it tells the location of all innotech devices, where are they installed.
WO2011025383A1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on of a habitat on installations.
CN2595405Y (zh) 家居厨房灭火装置
CN216824599U (zh) 一种排风柜全氟己酮灭火系统
JP2008267774A (ja) ガス器具誤使用防止自動遮断装置
KR20140070779A (ko) 선박의 통합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26610A1 (en) Gas and water leak detecting system with human presence detector
KR101584793B1 (ko) 렌지 구동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 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예방 방법
KR20130098790A (ko) 자동식 소화장치의 후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