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73A -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 Google Patents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73A
KR20230001973A KR1020210085146A KR20210085146A KR20230001973A KR 20230001973 A KR20230001973 A KR 20230001973A KR 1020210085146 A KR1020210085146 A KR 1020210085146A KR 20210085146 A KR20210085146 A KR 20210085146A KR 20230001973 A KR20230001973 A KR 2023000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r body
housing
van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4989B1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앤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앤스카이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앤스카이
Priority to KR102021008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989B1/en
Publication of KR2023000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diffuser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The air diffuser equipped with the washing means comprises: a housing forming an outer frame; vanes erected perpendicular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and a cleaning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vane.

Description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Air outlet equipped with washing means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본 발명은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취출구를 탈거하지 않고도 설치된 상태에서 취출구의 격자형 베인에 고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capable of easily removing and cleaning dust adhering to grid-shaped vanes of the air outlet in an installed state without removing the air outlet. It's about the outle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의 공기조화(空氣調和)를 행한다라고 하는 것은 실내의 공기를 그 용도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및 청정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각종 먼지나 유해가스 등은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에어컨디셔닝(Air-conditioning)이라고도 하며, 특히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을 통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사계절에 걸쳐 사용자의 생활에 적당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 난방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In general, air conditioning in a room such as a home or office means that the indoor air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humidity, and cleanliness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dusts and harmful gases are excluded. It is also called air-conditioning, and in particular, it is recognized as meaning both cooling and heating to maintain the indoor atmosphere in a state suitable for the user's life throughout the four seasons through cooling in summer and heating in winter. It is becoming.

상기와 같은 실내의 공기조화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공기의 상태를 그 필요에 따라 냉, 온 공기로 조성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지하실과 같은 장소에 구비되는 기계실에 설치한 다음, 각종 송풍장치를 사용하여 공기조화기에서 조성된 냉, 온 공기를 덕트(Duct)를 통하여 해당 실내로 송풍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실내를 통한 냉, 온 공기의 송풍을 위하여 벽체나 천장 또는 바닥면에는 덕트와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취출구가 설치되어 있다.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indoor air conditioning as described above is to install an air conditioner that can change the air condition into cold or hot air according to the ne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in a place such as a basement, A blower is used to blow cold and warm air generated by an air conditioner into the relevant room through a duct. To blow cold and warm air through the room, a duct is installed on the wall, ceiling, or floor. Various types of outlets connected to are installed.

이러한 취출구는 공기조화기에서 조화공기를 덕트에서 실내에 반출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취부 위치는 천장이나 벽·창틀·마루바닥 등이며, 그 외에 조명기구에 조립한 것이 있다. 이때, 기류방향과 형태에 의해 축류 취출구와 복류 취출구로 구분하며 전자에는 노즐, 우목판격자 취출구, 슬롯 취출구, 다공판 취출구가 있고, 후자에는 판형 취출구, 천장 디퓨저가 있다.These air outlets are openings for taking the conditioned air out of the duct into the room in the air conditioner, and are attached to ceilings, walls, window frames, floors, etc., and there are also some that are assembled to lighting fixtures. At this time, it is divided into an axial flow outlet and a double flow outl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hape of the air flow. The former includes a nozzle, a right wood panel outlet, a slot outlet, and a perforated plate outlet, and the latter includes a plate outlet and a ceiling diffuser.

한편,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취출구로서 베인격자형 취출구가 있다. 베인격자형 취출구는 4각형의 프레임에 베인(날개)를 붙인 것으로 베인을 붙인 방향에 따라 가로형, 세로형, 가로세로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ane lattice type outlet as the most frequently used outlet. The vane lattice outlet is a rectangular frame with vanes (wings) attached, and there are horizontal, vertical, and vertical typ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anes are attached.

이러한 베인격자형 취출구는 베인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과 베인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형이 있으며, 베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바람의 양 및 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The vane lattice type air outlet includes a fixed type in which the vane is fixed and an angle adjustable type in which the angle of the vane is adjusted, and the amount and angle of the discharged wind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vane.

한편, 베인격자형 취출구는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냉, 온 조화공기가 통과되는 과정에서 덕트를 통해 먼지가 유입되거나 실내 측에서 흡착된 먼지가 쌓이게 되어 유분과 먼지가 함께 고착되어 세척이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면 취출구의 베인에 쌓인 먼지로 인해 공기 배출에 방해가 되거나 오염된 공기 및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위생적으로도 좋지않은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ane lattice type air outlet is used for a long time, dust flows in through the duct in the process of passing cold and warm air, or dust adsorbed from the room accumulates, and oil and dust adhere together, making it difficult to clean. When this situation persists for a long period of time, dust accumulated on the vane of the air outlet obstructs air discharge or polluted air and fine dust are introduced into the room, resulting in a sanitary problem.

이렇게 취출구의 베인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베인이 설치된 프레임 자체를 탈거하여 세척 후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취출구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고 세척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In order to remove the dust accumulated on the vanes of the outlet, washing is performed while they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or the frame itself in which the vanes are installed is removed, cleaned, and then reassembled. As such, it is difficult to remove dust accumulated in the outlet and clean it.

종래에는 이렇게 취출구 등 베인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고 세척하기 용이한 '탈착식 루버(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8113)'가 제안된 바 있다.Conventionally, a 'detachable louv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668113)', which is easy to clean and remove dust accumulated in vanes such as an air outlet, has been proposed.

상기 종래의 탈착식 루버는 블레이드(베인)를 비스듬히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이며 채광·인공조명·일조조정(日照調整)·통풍·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블레이드의 용이한 세척을 위해 착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detachable louvers are arranged horizontally with blades (vanes) obliqu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e used for purposes such as lighting, artificial lighting, solar adjustment, ventilation, ventilation, etc., and easy cleaning of the blad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detachable structure for.

하지만, 상기 종래의 탈착식 루버는 세척을 위해 블레이드 각각을 분리한 후 세착이 완료된 후 다시 재조립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블레이드를 세척하고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etachable louver has a problem in that each blade is separated for cleaning and then reassembled again after cleaning is complet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reduced because a lot of time is taken to clean and assemble the blad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8113Korean registered patent 10-066811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취출구 및 베인을 탈거하지 않고도 설치된 상태에서 취출구의 격자형 베인에 고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provide an air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capable of easily removing and cleaning dust adhering to grid-shaped vanes of the air outlet in an installed state without removing the air outlet and vanes. is to do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는, 외형 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직각되게 세워지는 베인;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베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forming an outer frame; vane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and cleaning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vane.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상기 베인 외측으로 배치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 몸체; 및 상기 베인을 향해 상기 바 몸체 일측에 일정간격마다 돌출되게 설치되고, 각각이 중심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며, 두 갈래 사이의 삽입홈에 상기 베인이 삽입되는 밀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means may include a bar body disposed outside the vane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r body towards the vanes at regular intervals, each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split into two branches, and a close contact protrusion into which the van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between the two branches; can include

또한,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 몸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도록 레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측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rail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e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rail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and the rail projections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The bar body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ar body may slide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바 몸체는, 양측에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탄성지지부가 설치되고, 양측의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에는 상기 레일홈에 끼움되는 레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r body may have elastic support portions formed to be bent to have elasticity on both sides thereof, and rail protrusions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may be formed outside the elastic support portions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밀착돌출부는, 삽입홈에 상기 베인 양측을 가압하여 밀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having elasticity to be in close contact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vane into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밀착돌출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양측에 중심부분이 서로 맞닿게 각각 설치되되, 위쪽과 아래쪽은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서로 맞닿는 중심부분 위쪽과 아래쪽에 'V'자 형태의 V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d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wo protrusions split into two,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ral portion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V' shaped V groove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탄성패드는, 서로 맞닿는 각각의 양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d may have saw-toothed irregulariti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astic pad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탄성패드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우레탄 또는 고무계 소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베이스 탄성재; 상기 베이스 탄성재에 외부에 도포되며, 아연과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과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무기 성분의 염 4 내지 8중량%, 및 부식 억제제로서의 알칼리성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 염 2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내식성 코팅재; 및 상기 내식성 코팅재 외부층에 형성되며, 중합체성 수지를 포함하는 잔여물에 상기 무기 성분의 염, 및 상기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염을 현탁시킨 방청 코팅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d may include a base elastic material selected from silicone, urethane or rubber-based materials having elasticity; 4 to 8% by weight of a salt of an inorganic component applied externally to the base elastic material and formed from a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and calcium and an an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te, phosphate, carbonate and oxide, and alkalinity as a corrosion inhibitor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containing 2 to 15% by weight of a poly(3-ammoniumpropylalkoxysiloxane)carboxylic acid salt; and a rust-preventive coating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layer of the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and in which the salt of the inorganic component and the poly(3-ammoniumpropylalkoxysiloxane)carboxylate are suspended in a residue containing a polymeric resin.

또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베인과 상기 탄성패드가 마찰 시 향을 발산하도록 상기 베인과 접촉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살균소독제를 포함하는 발향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pad may include a fragrance release agent including a disinfectant and disinfectant provided on one side contacting the vane to emit fragrance when the vane and the elastic pad rub against each other.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일측은 상기 스프링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바 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위치복원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위치복원수단을 통해, 상기 바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한 뒤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전 최초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spring installed therein to provide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and a wire having one side installed on one end of the spring and the other si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r body; a position restoring means including a wire is further installed, and after the bar body slides through the position restoring means, the spring It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efore the sliding movement by the restoring force of .

또한, 상기 하우징 전·후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바 몸체 양측에는 레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전·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전·후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rail members having rail grooves formed opposite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and rail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of the rail member. The bar body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by fitting the rail protrusion into the rail groove, and the bar body may slide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레일홈에는, 상기 바 몸체가 상기 레일홈의 특정 위치에서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stopper may be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so that the bar body can be caught and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rail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는, 취출구 및 베인을 탈거하지 않고도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단을 통해 필요시 취출구의 격자형 베인에 고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 outlet equipped with th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and clean dust adhering to the lattice-shaped vanes of the air outlet through the cleaning means in the installed state without removing the air outlet and vanes, if necessary, thus increasing the speed of opera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도 2는 바 몸체에 탄성지지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도 3은 탄성패드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도 4는 탄성패드에 요철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도 5는 위치복원수단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도 6은 레일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astic support is installed in a bar body.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n elastic pad and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unevenness is formed on an elastic pa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sition restoring means is install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rail memb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member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는 취출구 및 베인을 탈거하지 않고도 설치된 상태에서 취출구의 격자형 베인에 고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leaning means that can easily remove and clean dust adhering to the lattice-shaped vanes of the outlet without removing the outlet and vanes. It's about the out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1)는 크게 하우징(10), 베인(20) 및 세척수단(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outlet 1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housing 10, a vane 20, and a washing means 100.

먼저, 하우징(10)은 전체 외형 틀을 이루는 부분으로, 수직 및 수평 프레임들의 조합으로 사각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housing 10 is a part constituting the overall outer frame, and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quare frame structure with a combin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상기 하우징(10)은 배기 덕트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천장, 벽면 등에 타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각 프레임은 횡단면이 'L'자형 또는 'C'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설치공간의 구조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exhaust duct, and may be installed by perforating a ceiling or a wall surface. In addition, each frame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n 'L' shape or a 'C' shape in cross section, and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다음으로, 베인(20)은 덕트를 통해 유통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부피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능과 더불어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마찰을 저감시키고, 송풍기의 토출 공기의 유동을 안정시켜 기류 발생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분이다.Next, the vane 20 has a function of filtering bulky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duct, reducing the flow velocity friction of the incoming air, and stabilizing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hereby part to reduce noise.

상기 베인(20)은 상기 하우징(10) 내측면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직각되게 세워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 전·후면에 각각 수직 또는 수평되게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vanes 20 are erected at right angles in the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vanes 20 are erec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can be installed

다음으로, 세척수단(100)은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베인(20)의 양측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분이다.Next, the cleaning means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vane 20 .

상기 세척수단(100)은 상기 하우징(10)의 대향된 내측면 사이에 상기 베인(20) 외측으로 배치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 몸체(110) 및 상기 베인(20)을 향해 상기 바 몸체(110) 일측에 일정간격마다 일측면의 상기 베인(2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되고, 각각이 중심에 삽입홈(121)이 형성되어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며, 두 갈래 사이의 삽입홈(121)에 상기 베인(20)이 삽입되는 밀착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eans 100 is disposed outside the vane 20 between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10 toward the bar body 110 and the vane 20 extend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It is installed to protrude to correspond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vanes 20 on one side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bar body 110, and each has an insertion groove 121 formed in the center to split into two branches, , It may include a close contact protrusion 120 into which the van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1 between the two prongs.

상기 바 몸체(110)는 일측의 상기 베인(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는 막대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바 몸체(110)의 길이는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또는 상하 사이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r body 110 has a bar-shaped body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0 on one side, and the length of the bar body 110 is opposite to both sides or up and down of the housing 10.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between them.

상기 밀착돌출부(120)는 상기 바 몸체(1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인(20)의 각각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베인(20)을 중심으로 두 갈래 부분이 밀착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lose contact protrusion 120 is a part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ar body 110, and corresponds to each of the vanes 20, and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two prong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vane 20 as the center. can

이때, 상기 밀착돌출부(120)에서 상기 삽입홈(121) 부분은 외측에서 바 몸체(11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홈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21 portion of the close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groove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bar body 110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하우징(10) 내측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바 몸체(110)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11)에 대응하도록 레일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111)가 상기 레일홈(11)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하우징(10)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하우징(10) 내측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rail grooves 11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rail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110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11. ) is formed, and the rail protrusion 111 i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11 so that the bar body 11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bar body 11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 can be made slidable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즉, 상기 레일돌기(111)가 상기 레일홈(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 몸체(110)는 상기 하우징(10)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세척수단(100)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베인(20)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protrusion 111 is coupled to the rail groove 11, the bar body 110 is capable of sliding movement on the housing 10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coupled to the cleaning The means 100 is install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so that the vane 20 can be cleaned.

예를 들어,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하우징(10) 일측, 즉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돌출부(120)의 삽입홈(121)이 상기 베인(20)에 삽입된 상태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바 몸체(110)를 이동시키면 상기 베인(20)에 고착된 먼지 등 이물질이 상기 세척수단(100)에 의해 제거되어 용이하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bar body 11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top or bottom, the insertion groove 121 of the close protrusion 120 is inserted into the vane 20 When the bar body 110 is mov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dhering to the vane 20 are removed by the cleaning means 100 so that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이때,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레일홈(11)의 특정 위치(상부 또는 하부)에서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홈(11)상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113)에 상기 레일돌기(111)가 걸림되면서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레일홈(11)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topper 113 protruding from the rail groove 1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bar body 110 can be caught and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top or bottom) of the rail groove 11. That is, while the rail protrusion 111 is caught on the stopper 113, the bar body 110 may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rail groove 11.

이 경우, 상기 스토퍼(113)는 상기 레일돌기(111)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여 걸림되도록 하되, 사용자가 바 몸체(110)를 슬라이딩 시키고자 할 때 설정 이상의 힘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레일돌기(111)가 상기 스토퍼(113)의 걸림된 저항보다 크게 힘이 작용하여 스토퍼(113)를 타고 넘어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113)는 양측의 대향된 레일홈(11) 양측에 형성되되, 양측 각각의 높이는 다르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레일홈(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pper 113 restrict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ail protrusion 111 so that it is caught, but when the user wants to slide the bar body 110 and slides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set amount, the rail protrusion 111 ) is applied with a greater force than the resistance of the stopper 113, so that the stopper 113 is crossed and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toppers 1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rail grooves 11 on both sides, and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on both sides so that the bar body 11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rail grooves 11 in a coupled state. can do.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113)는 상기 바 몸체(110)가 쉽게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세척작업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 몸체(110)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topper 113 can keep the bar body 110 in a stopped state so that it is not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the movement of the bar body 110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xed state by limiting it.

도 2는 바 몸체에 탄성지지부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lastic support is installed in a bar body.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바 몸체(110)는 양측에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탄성지지부(112)가 설치되고, 양측의 상기 탄성지지부(112) 외측에는 상기 레일홈(11)에 끼움되는 레일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s another embodiment, the bar body 110 has elastic support parts 112 formed to be bent to have elasticity on both sides, and the rail grooves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supports 112 on both sides. 11) may be formed with rail protrusions 111'.

상기 탄성지지부(112)는 바 몸체(110)의 양단부에서 베인(20) 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중심부분이 절곡되어 접혀진 상태로 이루어지지되, 절곡된 중심부분에 설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롤 형성됨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판형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part 112 is formed in a folded state by bending the center portion in a stat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r body 110 toward the side of the vane 20, and forming rolls spaced apart from the bent center portion by a set interval. As a result, it may have a plate-shaped spring shape having elasticity.

즉, 상기 탄성지지부(112)는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바 몸체(110)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삽입될 경우 탄성에 의해 상기 레일돌기(111')가 레일홈(11)에 걸림되면서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되, 결합된 이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바 몸체(11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탄성지지부(112)의 양측을 잡고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지지부(112)가 압축됨으로써 상기 레일홈(11)에 삽입된 레일돌기(111')가 쉽게 분리되어 용이하게 바 몸체(11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elastic support part 112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when the bar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rail protrusion 111' is moved to the rail by elasticity. Doedoe is easily inserted and coupled while being caught in the groove 11, but may not be easily separated by elastic force after being coupled. Conversely, when the bar body 1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pressing both sides of the elastic support part 112 compresses the elastic support part 112 and inserts it into the rail groove 11. The rail protrusions 111' ar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bar body 110 can be easily separated.

도 3은 탄성패드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equipped with an elastic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밀착돌출부(120)는 삽입홈(121)에 상기 베인(20) 양측을 가압하여 밀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패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another embodiment,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12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130 having elasticity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vane 20 into the insertion groove 121 .

상기 탄성패드(130)는 상기 밀착돌출부(120)의 두 갈래로 갈라진 양측에 중심부분이 서로 맞닿게 각각 설치되되, 위쪽과 아래쪽은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서로 맞닿는 중심부분 위쪽과 아래쪽에 'V'자 형태의 V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ad 13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art 120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V' shaped V groove 13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상기 탄성패드(1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베인(20)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베인(20)에 고착된 먼지 등 이물질 제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세척작업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패드(130)가 균열 및 이물질 고착이 발생할 경우 쉽게 밀착돌출부(120)에서 상기 탄성패드(130)만 분리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다.The elastic pad 1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orms a contact area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vane 20 to improve the abilit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dhering to the vane 20 . In addition, when the elastic pad 130 is cracked or adhered to by foreign matter as a result of repeated washing operations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remove only the elastic pad 130 from the close contact protrusion 120 and replace it.

도 4는 탄성패드에 요철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unevenness is formed on an elastic pad.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패드(130)는 서로 맞닿는 각각의 양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13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s another embodiment, the elastic pad 130 may have saw-toothed irregularities 132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elastic pad 130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요철(132)은 상기 탄성패드(130) 양측부분 사이에 베인(20)이 위치되어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세척되는 과정에서 밀착성은 유지한 채 먼지 등 이물질 제거능력은 유지한 상태로 밀착되는 부분의 접촉면은 최소화하여 마찰저항을 줄여 바 몸체(110)가 슬라이딩 동작 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nevenness 132 is the part where the vane 20 is loca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d 1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maintaining the abilit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while maintaining the adhesion in the process of washing according to the sliding motion. By minimizing the contact surface, it is possible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and prevent noise caused by friction when the bar body 110 slides.

이때, 상기 양측의 요철은 서로 돌출된 부분이 정확히 맞닿게 형성되지 않고 서로 어긋난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rregularities on both sides may be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parts do not exactly contact each other, but protrude at positions shif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탄성패드(130)는 반복적인 마찰저항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elastic pad 130 may be coated to improve durability against repeated frictional resistance.

이 경우, 상기 탄성패드(130)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우레탄 또는 고무계 소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베이스 탄성재(미도시), 상기 베이스 탄성재에 외부에 도포되며, 아연과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과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무기 성분의 염 4 내지 8중량%, 및 부식 억제제로서의 알칼리성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 염 2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내식성 코팅재(미도시) 및 상기 내식성 코팅재 외부층에 형성되며, 중합체성 수지를 포함하는 잔여물에 상기 무기 성분의 염, 및 상기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염을 현탁시킨 방청 코팅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pad 130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a base elastic material (not shown) in which any one of silicone, urethane or rubber-based materials having elasticity is selected, and the base elastic material,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and calcium 4 to 8% by weight of a salt of an inorganic component formed from a selected cation and an an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te, phosphate, carbonate and oxide, and 2 to 15% by weight of an alkaline poly(3-ammoniumpropylalkoxysiloxane)carboxylic acid salt as a corrosion inhibitor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not shown) comprising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and formed on the outer layer of the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wherein the salt of the inorganic component and the poly(3-ammoniumpropylalkoxysiloxane)carboxylate are suspended in a residue containing a polymeric resin to prevent corrosion. A co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included.

즉, 상기 탄성패드(13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탄성재 외부에 내식성 코팅재가 도포되고, 내식성 코팅재 외부에 방청 코팅재가 도포됨으로써, 내식성 및 방청 성능을 추가하여 반복적인 마찰저항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elastic pad 130, a corrosion resistant coat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elastic material, which is basically a base, and an anticorrosive coat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corrosion resistant coating material, thereby adding corrosion resistance and antirust performance to withstand repeated frictional resistance. dur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탄성패드(130)는 상기와 같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상기 베인(20)과 상기 탄성패드(130)가 마찰 시 향을 발산하도록 상기 베인(20)과 접촉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살균소독제(미도시)를 포함하는 발향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ad 130, in addition to improving durability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vane 20 so as to emit fragrance when the vane 20 and the elastic pad 130 rub against each other. A flavoring agent (not shown) including a disinfectant (not shown) may be included.

즉, 상기 탄성패드(130) 일측에는 발향제가 액상 또는 고체 상태로 수용되어 베인(20)과 접촉되어 마찰되는 경우 발향제가 베인(20)에 묻어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척수단(100)은 세척과정 시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패드(130)가 상기 베인(20)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베인(20)에 살균소독제가 포함된 발향제가 도포될 수 있어 세척, 살균 및 발향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cent diffuser is accommodated in a liquid or solid state on one side of the elastic pad 130 and is rubbed in contact with the vane 20, the scent diffuser may be smeared on the vane 20. Accordingly, in the cleaning means 100,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elastic pad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vane 20 according to the sliding mo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vane 20 contains a disinfectant. Since the fragrance agent can be applied, cleaning, sterilization and fragrance effects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도 5는 위치복원수단이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osition restoring means is installed.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세척수단(100)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행하여 세척작업이 이루어진 이후 바 몸체(110)가 자동으로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위치복원수단(140)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s another embodiment, the washing means 100 is a position restoration means 140 so that the bar body 110 is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the was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manually sliding the operator. ) may be made to include

즉, 상기 하우징(10)에는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1) 및 일측은 상기 스프링(141)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바 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14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a spring 141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provide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and one side installed on one end of the spring 141, and the other si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r body 142 can include

이러한 상기 위치복원수단(140)을 통해, 상기 바 몸체(110)가 슬라이딩 이동한 뒤 상기 스프링(141)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전 최초 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position restoring means 140, after the bar body 110 slides, it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efore the sliding movemen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41.

도 6은 레일부재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a rail member.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홈(11)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형성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별도로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s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rail groove 11 may not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bu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in a different form.

상기 하우징(10) 전·후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151)이 형성된 레일부재(15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재(150)의 레일홈(151)과 대응되도록 상기 바 몸체(110) 양측에는 레일돌기(111")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111")가 상기 레일홈(151)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하우징(10) 전·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110)가 상기 하우징(10) 전·후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10, rail members 150 having rail grooves 151 formed opposite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and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151 of the rail member 150. Rail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110 as much as possible, and the rail protrusions 111"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151, so that the bar body 110 moves in front and behind the housing 10. I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he bar body 110 can slide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10.

이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150)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지 않고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세척수단(100)이 구비되지 않은 기존에 사용하던 취출구(1)에도 상기 레일부재(150)를 부착하고 상기 세척수단(100)을 설치함으로써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로 사용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rail member 150 can be install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without being formed in the housing 10, so that the outlet 1 that is not equipped with the cleaning means 100 can also use the same By attaching the rail member 150 and installing the washing means 100, it can be used as an outlet equipped with the washing means.

한편,상기 본 발명의 세척수단(100)은 일 예로서 취출구(1)의 전면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취출구(1)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베인(2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측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mean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being install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outlet 1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utlet 1. there is. That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20, one side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1)는 취출구(1) 및 베인(20)을 탈거하지 않고도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단(100)을 통해 필요시 취출구(1)의 격자형 베인(20)에 고착된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outlet 1 equipped with th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thout removing the outlet 1 and the vane 20 through the cleaning means 100 when necessary. Dust adhering to the lattice-shaped vanes 20 of (1) can be easily removed and washed,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speed of work and user convenie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um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취출구 10: 하우징
11: 레일홈 20: 베인
100: 세척수단 110: 바 몸체
111, 111', 111": 레일돌기 112: 탄성지지부
113: 스토퍼 120: 밀착돌출부
121: 삽입홈 130: 탄성패드
131: V홈 132: 요철
140: 위치복원수단 141: 스프링
142: 와이어 150: 레일부재
151: 레일홈
1: outlet 10: housing
11: rail home 20: vane
100: washing means 110: bar body
111, 111', 111 ": rail protrusion 112: elastic support
113: stopper 120: contact protrusion
121: insertion groove 130: elastic pad
131: V groove 132: unevenness
140: position restoration means 141: spring
142: wire 150: rail member
151: rail home

Claims (12)

외형 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직각되게 세워지는 베인;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베인의 양측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 housing forming an outer frame;
vane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and
and a washing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an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va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에 상기 베인 외측으로 배치되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바 몸체; 및
상기 베인을 향해 상기 바 몸체 일측에 일정간격마다 돌출되게 설치되고, 각각이 중심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되며, 두 갈래 사이의 삽입홈에 상기 베인이 삽입되는 밀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means,
a bar body disposed outside the vane between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A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r body towards the vane at regular intervals, each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o split into two branches, and the van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between the two branches; 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 몸체 양측에는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도록 레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측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2,
Rail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e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Rail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When the rai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the bar body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ar body is slidable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 몸체는,
양측에 탄성을 가지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탄성지지부가 설치되고,
양측의 상기 탄성지지부 외측에는 상기 레일홈에 끼움되는 레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3,
The bar body,
An elastic support formed to be bent to have elasticity is installed on both sides,
Rail protrusions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are formed outside the elastic supports on both sid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출부는,
삽입홈에 상기 베인 양측을 가압하여 밀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2,
The close protrusion,
The outlet with washing mean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ad having elasticity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vane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밀착돌출부의 두 갈래로 갈라진 양측에 중심부분이 서로 맞닿게 각각 설치되되, 위쪽과 아래쪽은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져 서로 맞닿는 중심부분 위쪽과 아래쪽에 'V'자 형태의 V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5,
The elastic pad,
The central par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wo protrusions split into two, respectively, so that the center par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gradually narrowed in width toward the center part.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서로 맞닿는 각각의 양측면에 톱니 모양의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6,
The elastic pad,
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saw-toothed concavo-convex surfa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contacting each oth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우레탄 또는 고무계 소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베이스 탄성재;
상기 베이스 탄성재에 외부에 도포되며, 아연과 칼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과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으로부터 형성된 무기 성분의 염 4 내지 8중량%, 및 부식 억제제로서의 알칼리성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 염 2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내식성 코팅재; 및
상기 내식성 코팅재 외부층에 형성되며, 중합체성 수지를 포함하는 잔여물에 상기 무기 성분의 염, 및 상기 폴리(3-암모늄프로필알콕시실록산)카복실산염을 현탁시킨 방청 코팅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5,
The elastic pad,
A base elastic material selected from silicone, urethane or rubber-based materials having elasticity;
4 to 8% by weight of a salt of an inorganic component applied externally to the base elastic material and formed from a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and calcium and an an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te, phosphate, carbonate and oxide, and alkalinity as a corrosion inhibitor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containing 2 to 15% by weight of a poly(3-ammoniumpropylalkoxysiloxane)carboxylic acid salt; and
It is formed on the outer layer of the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 and an anticorrosive coating material in which the salt of the inorganic component and the poly (3-ammonium propylalkoxysiloxane) carboxylate are suspended in a residue containing a polymeric res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 outlet equipped with a cleaning mean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베인과 상기 탄성패드가 마찰 시 향을 발산하도록 상기 베인과 접촉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살균소독제를 포함하는 발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8,
The elastic pad,
The air outlet with a cleaning means comprising a fragrance smell agent containing a disinfectant provided on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vane to emit fragrance when the vane and the elastic pad rub against each oth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일측은 상기 스프링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바 몸체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위치복원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위치복원수단을 통해, 상기 바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한 뒤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전 최초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2,
In the housing,
A spring installed inside to provide restoring force by elasticity; and
One side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spring, and the other side is a wi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ar body; a position restoration means including a is further installed,
After the bar body slides through the position restoring means, it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efore the sliding movemen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후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대향되게 레일홈이 형성된 레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홈과 대응되도록 상기 바 몸체 양측에는 레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돌기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전·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바 몸체가 상기 하우징 전·후면상에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ccording to claim 2,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A rail member having rail grooves formed opposite to both sides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Rail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r body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s of the rail member,
When the rai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the bar body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and the bar body can slide vertically or horizontal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에는,
상기 바 몸체가 상기 레일홈의 특정 위치에서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The method of claim 3, 4 or 11,
In the rail groove,
An outle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stopper is installed so that the bar body can be caught and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rail groove.
KR1020210085146A 2021-06-29 2021-06-29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KR102624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46A KR102624989B1 (en) 2021-06-29 2021-06-29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46A KR102624989B1 (en) 2021-06-29 2021-06-29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73A true KR20230001973A (en) 2023-01-05
KR102624989B1 KR102624989B1 (en) 2024-01-15

Family

ID=8492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46A KR102624989B1 (en) 2021-06-29 2021-06-29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98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283A (en) * 1995-11-10 1997-05-20 Komukai Kensou:Kk Blind cleaning instrument
KR19980063827U (en) * 1997-04-21 1998-11-25 구자홍 Display unit 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0668113B1 (en) 2005-08-05 2007-01-11 알루텍 (주) Detachable louver
KR20100079975A (en) *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20014124A (en) * 2009-03-13 2012-02-16 하이-쉬어 코포레이션 Anti-corrosion and low friction coating
KR20160097530A (en)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Filter cleaning device
KR101951602B1 (en) * 2018-10-18 2019-05-21 최광휴 Sequential openning type system louv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1283A (en) * 1995-11-10 1997-05-20 Komukai Kensou:Kk Blind cleaning instrument
KR19980063827U (en) * 1997-04-21 1998-11-25 구자홍 Display unit 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0668113B1 (en) 2005-08-05 2007-01-11 알루텍 (주) Detachable louver
KR20100079975A (en) *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20014124A (en) * 2009-03-13 2012-02-16 하이-쉬어 코포레이션 Anti-corrosion and low friction coating
KR20160097530A (en) * 2015-02-09 2016-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Filter cleaning device
KR101951602B1 (en) * 2018-10-18 2019-05-21 최광휴 Sequential openning type system lou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989B1 (en)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4120B2 (en) Filter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dust
US7971451B2 (en) Air conditioner
KR10055643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cleaning
KR100617081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cleaner
JP2009216250A (en) Air conditioner
JP2011226667A (en) Air conditioner
KR20200058271A (en) Assembly of window type air-conditioner and inflow water proof member for the same
KR20170026865A (en) Air conditioner for deodorization and reducing bacteria, virus
KR101956632B1 (en) Filter of airconditioner
WO2022264721A1 (en) Duct-type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JP2008116139A (en) Air conditioner
JP3912541B2 (en) Air conditioner
KR102065895B1 (en) Cooling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Purushothama Humidification and ventilation management in textile industry
KR20230001973A (en) Air diffuser with washing means
US5564975A (en) Air flow controll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vents
US3474598A (en) Air purifier and humidifier
KR101652212B1 (en) Return Duct And Return Duct Cleaning System
KR102267416B1 (en) filter exchanging type ventilation diffuser
JP7101456B2 (en) A device for adjusting the space
KR100620353B1 (en) Sterilization device of filter for air conditioning
KR102267418B1 (en) cleaning adapter for ventilation diffuser
KR100611881B1 (en) Blowing vane of diffuser for interior air-conditioning
CN219494994U (en) Fresh ai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8116122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