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53A -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53A
KR20230001953A KR1020210085104A KR20210085104A KR20230001953A KR 20230001953 A KR20230001953 A KR 20230001953A KR 1020210085104 A KR1020210085104 A KR 1020210085104A KR 20210085104 A KR20210085104 A KR 20210085104A KR 20230001953 A KR20230001953 A KR 2023000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nterruptible
working device
displacement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039B1 (ko
Inventor
이기종
김영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0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8Gearboxes for accommodating bevel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전작업의 전 공정이 간접활선 방식으로 시공되게 하여 작업자의 안전확보가 가능한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는 전주에 설치되는 지지아암, 상기 지지아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커넥팅아암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승강바아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이패스 케이블을 장착하는 연결용 금구, 및 상기 연결용 금구에 대해 연장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고 활선 케이블에 대해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용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Uninterruptible working device by means of indirect live wire for standing cable}
본 발명은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전작업의 전 공정이 간접활선 방식으로 시공되어 작업자의 안전확보가 가능한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위한 표준공법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배전공사시 종래에는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작업을 위해서는 반드시 휴전이 선행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휴전에 따른 고객의 민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휴전작업이 불가할 경우에는 비표준 직접활선 방식의 작업이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가중되는 실정이고, 간접활선 공법에 대한 전면적인 확대 추진을 시행하는 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특고압 입상주의 경우에는 다양한 설비의 충전부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직접활선 방식의 작업을 수행할 때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대용량 고객 특성상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력 공급처의 사유로 인한 정전 작업시에는 많은 민원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안전확보 및 민원예방을 위해 특고압 입상주의 경우에는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1799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전작업의 전 공정이 간접활선 방식으로 시공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확보가 가능한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아암, 상기 지지아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커넥팅아암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승강바아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이패스 케이블을 장착하는 연결용 금구, 및 상기 연결용 금구에 대해 연장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선 케이블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용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는 상기 지지아암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는 상기 승강바아에 치합되는 스레드바아, 상기 스레드바아와 축결합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2베벨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연결용 금구는 상기 승강바아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용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체, 및 상기 제1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장착하는 제2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접속용 클램프는 상기 활선 케이블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어 나사봉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우, 및 상기 조우에 부착되어 상기 활선 케이블의 피복부를 뚫고 도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나사봉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는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전작업의 전 공정이 간접활선 방식으로 시공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접활선 방식이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간접활선 방식의 작업을 전면적으로 확대 실시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특고압 대용량 고객에 대해 작업정전의 예방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 민원 및 전기사용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에 대한 사용상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중에서 상하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중에서 좌우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중에서 연결용 금구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중에서 접속용 클램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속용 클램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및 조우의 돌기부가 케이블의 피복부를 뚫고 도체부에 접촉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는 특고압 입상주와 같은 전주(1)에 대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아암(10), 상기 지지아암(10)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지지아암(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에 대해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커넥팅아암(2)에 설치되고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커넥팅아암(2)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에 대해 승강바아(3)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이패스 케이블(4)을 장착하는 연결용 금구(40), 및 상기 연결용 금구(40)에 대해 연장 케이블(5)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활선 케이블(6)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용 클램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아암(10)은 전주(1)에 대해 결속밴드(7)를 매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에 있어,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 상기 연결용 금구(40), 및 상기 접속용 클램프(50)는 각각 상기 활선 케이블(6)이 가지는 각 상별로 독립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해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됨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는 상기 지지아암(10)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랙기어(1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1), 상기 피니언기어(2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전축(21a)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1a)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22), 및 상기 피니언기어(21)와 회전축(21a)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피니언기어(21)와 회전축(21a)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는 상기 피니언기어(21)의 회전축(21a)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미도시)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는 상기 승강바아(3)의 내부에 치합되게 설치되는 스레드바아(31), 상기 스레드바아(3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스레드바아(31)의 자유단부에 축결합되는 제1베벨기어(32), 상기 제1베벨기어(32)에 대해 대략 90도 방향으로 틀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제1베벨기어(32)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3), 상기 제2베벨기어(33)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전축(33a)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33a)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34), 및 상기 제1베벨기어(32)와 제2베벨기어(33) 및 회전축(33a)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1베벨기어(32)와 제2베벨기어(33)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3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는 상기 제2베벨기어(33)의 회전축(33a)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연결용 금구(40)는 상기 승강바아(3)의 자유단부에 대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몸체(41), 상기 몸체(41)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용 클램프(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1접속체(42), 및 상기 몸체(41)의 내부에서 상기 제1접속체(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을 장착하는 제2접속체(4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4)은 공사용 개폐기(G/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5와 도 6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접속용 클램프(50)는 상기 활선 케이블(6)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는 그립부(51), 상기 그립부(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52), 상기 나사봉(52)에 결합되어 나사봉(52)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우(53), 및 상기 조우(53)에 부착되어 상기 활선 케이블(6)의 피복부(6a)를 뚫고 내부에 위치한 도체부(6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돌기부(5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접속용 클램프(50)는 상기 나사봉(52)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5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를 이용한 일련의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상기 전주(1)에 대해 지지아암(10)을 수평한 위치에서 고정시킨 다음, 상기 지지아암(10)의 랙기어(11)에 대해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의 피니언기어(21)를 치합상태로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에 대한 수평방향 위치는 피니언기어(21)의 회전축(21a)에 설치된 손잡이(22)를 작업자가 고소위치에서 직접 돌려 회전시키거나, 지상에서 조정스틱을 이용하여 육각소켓(24)을 돌려 피니언기어(21)의 회전축(21a)을 회전시킴으로써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의 기어박스(23)에 연결된 커넥팅아암(2)을 매개로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의 제1베벨기어(32)와 축결합되는 스레드바아(31)는 상기 승강바아(3)의 내부로 치합되게 조립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바아(3)의 상단부에 위치한 연결용 금구(40)는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의 기어박스(35)에 대해 수직하게 기립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에 대한 수직방향 위치는 제2베벨기어(33)의 회전축(33a)에 설치된 손잡이(34)를 작업자가 고소위치에서 직접 돌려 회전시키거나, 지상에서 조정스틱을 이용하여 육각소켓(36)을 돌려 제2베벨기어(33)와 제1베벨기어(32)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연결용 금구(40)에서는 바이패스 케이블(4)이 전주(1)의 하부에 위치한 공사용 개폐기(G/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접속용 클램프(50)와는 연장 케이블(5)을 매개로 연결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접속용 클램프(50)에서는 활선 케이블(6)을 감싸도록 그립부(51)를 설치한 다음, 나사봉(52)을 회전시켜 활선 케이블(6)을 향해 조우(53)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조우(53)에 부착된 돌기부(54)는 상기 활선 케이블(6)의 피복부(6a)를 뚫고 도체부(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접속용 클램프(50)를 이용한 활선 케이블(6)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그립부(51)에 치합된 나사봉(52)을 작업자가 고소위치에서 직접 돌려 회전시키거나, 지상에서 조정스틱을 이용하여 육각소켓(55)을 돌려 나사봉(52)을 회전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바이패스 케이블(4)과 연결되는 공사용 개폐기(G/S)에서는 상별 검상 후 기존 공급선로와 병렬로 연계된 계통에 대해 전원측 전원을 투입하게 된다. 또한, 공사가 완료된 다음에는 설치의 역순으로 본 발명의 무정전 작업장치를 철거하면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는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배전작업의 전 공정을 간접활선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는 배전공사시 지중케이블의 입상설비에 대한 무정전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좌우방향 변위조절부(20)와 상하방향 변위조절부(30), 및 접속용 클램프(50)에 대한 조작을 고소작업 차량의 버켓이나 사다리 등을 이용한 고소작업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방식으로 직접 수행하거나, 지상에서 조정스틱을 이용하여 고공에 위치한 육각소켓(24,36)과 육각소켓(55)을 각각 회전시키는 간접 조작의 방식으로도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전주 2-커넥팅아암
3-승강바아 4-바이패스 케이블
5-연장 케이블 6-활선 케이블
7-결속밴드
10-지지아암 11-랙기어
20-좌우방향 변위조절부 21-피니언기어
22-손잡이 23-기어박스
24-육각소켓
30-상하방향 변위조절부 31-스레드바아
32-제1베벨기어 33-제2베벨기어
34-손잡이 35-기어박스
36-육각소켓
40-연결용 금구 41-몸체
42-제1접속체 43-제2접속체
50-접속용 클램프 51-그립부
52-나사봉 53-조우
54-돌기부 55-육각소켓

Claims (8)

  1. 전주에 설치되는 지지아암;
    상기 지지아암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커넥팅아암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변위조절부;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에 대해 승강바아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이패스 케이블을 장착하는 연결용 금구; 및
    상기 연결용 금구에 대해 연장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고 활선 케이블에 대해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속용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변위조절부는
    상기 지지아암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변위조절부는
    상기 승강바아에 치합되는 스레드바아;
    상기 스레드바아와 축결합되는 제1베벨기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제2베벨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베벨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금구는
    상기 승강바아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용 클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체; 및
    상기 제1접속체와 연결되게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장착하는 제2접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클램프는
    상기 활선 케이블의 외부를 감싸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결합되어 나사봉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는 조우; 및
    상기 조우에 부착되어 상기 활선 케이블의 피복부를 뚫고 도체부와 접속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에 설치되어 원거리 조작을 위한 조정스틱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육각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KR1020210085104A 2021-06-29 2021-06-29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KR10258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04A KR102582039B1 (ko) 2021-06-29 2021-06-29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04A KR102582039B1 (ko) 2021-06-29 2021-06-29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53A true KR20230001953A (ko) 2023-01-05
KR102582039B1 KR102582039B1 (ko) 2023-09-25

Family

ID=8492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04A KR102582039B1 (ko) 2021-06-29 2021-06-29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0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398A (ko) * 2012-04-27 2013-11-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777080B1 (ko) *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KR20200071557A (ko) * 2018-12-11 2020-06-19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2232560B1 (ko) *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1398A (ko) * 2012-04-27 2013-11-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777080B1 (ko) *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KR20200071557A (ko) * 2018-12-11 2020-06-19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2179905B1 (ko) 2018-12-11 2020-11-17 한국전력공사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2232560B1 (ko) *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039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1335B (zh) 快速插拔电缆分支箱
CN104377049B (zh) 多功能智能开关控制器操作装置
CN110233369A (zh) 架空高压线路电动接地棒
CN115097168A (zh) 避雷器带电测试多功能接线装置
CN108155501A (zh) 10kv出线电缆与架空线路搭接作业用杆式消弧装置
KR20230001953A (ko)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CN205985893U (zh) 10kV线路绝缘杆间接旁路带电更换柱上开关专用设备
CN205429192U (zh) 一种新型低压接地线装置
CN217385785U (zh) 一种用于配电网的接地故障诊断装置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CN201994433U (zh) 电力电缆接线端子固定夹
CN212137110U (zh) 一种绝缘支撑式跌落开关负荷旁路装置
CN112510386B (zh) 一种接地线装置
CN210693026U (zh) 一种便于排线的环网柜
CN207542424U (zh) 基于实现快速夹紧的接地装置
CN205303738U (zh) 电网接地线
BR112014030223B1 (pt) Sistema de derivação para linhas de potência aéreas, e, método para operar a derivação de uma seção de uma linha elétrica possuindo uma extremidade aérea
CN203707596U (zh) 一种配网自动化柜
CN203826594U (zh) 一种可转向接地棒线夹
CN112636028A (zh) 一种便携式可拆卸的高压电缆对接箱接地线及使用方法
KR102549097B1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CN213125070U (zh) 一种配电控制柜用外接排线架
CN210200968U (zh) 一种方便更换的电器控制箱接地装置
CN205141588U (zh) 一种三线搭挂支架
CN209626457U (zh) 一种使用方便的验电操作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