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42U - Clamp for pipe - Google Patents

Clamp fo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42U
KR20230001642U KR2020220000361U KR20220000361U KR20230001642U KR 20230001642 U KR20230001642 U KR 20230001642U KR 2020220000361 U KR2020220000361 U KR 2020220000361U KR 20220000361 U KR20220000361 U KR 20220000361U KR 20230001642 U KR20230001642 U KR 20230001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ting groove
pipes
presen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원
Original Assignee
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원 filed Critical 강성원
Priority to KR2020220000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42U/en
Publication of KR20230001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42U/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교차하여 강제로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파이프를 조립하면서 파이프끼리 서로 눌러주게 해서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파이프를 강제로 끼우는 안착 홈의 바닥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우면 파이프가 안착 홈의 양단을 누르면서 다른 파이프를 조여주는 효과를 통해 더욱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착 홈 바닥의 중앙에 보강 돌기를 돌출 성형함으로, 두 개의 파이프를 교차하게 설치했을 때 교차하는 지점에서 마찰이 집중하는 것을 보완하게 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can be assembled firmly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or separated by pressing each other while assembling the pipes easily and conveniently just by crossing and forcibly fitting the pip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forcibly fitting the pipe to form a concave deformation portion toward the middle, so that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pipe presses both ends of the seating groove and tightens the other pipe. This allows for a more robust assembl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a reinforcing protrus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to compensate for the concentration of friction at the point where two pipes intersect when installed to prevent damage, making it safe and convenient to use for a long time. can

Description

파이프용 클램프{CLAMP FOR PIPE}Clamp for pipe {CLAMP FOR PIPE}

본 고안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파이프가 교차하게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안착 홈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 홈은 파이프를 삽입함에 따라 양단이 바깥으로 벌어지게 구성함으로써, 클램프를 통해 두 개의 파이프를 서로 조여주는 효과로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 홈은 바닥 부분이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울 때 안착 홈의 양단이 파이프에 눌리면서 다른 쪽의 안착 홈이 조여지게 하여 조이는 힘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각 안착 홈의 바닥 중앙에는 보강 돌기가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마찰이 집중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for a pipe, and more specifically, a sea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wo pipes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eating groove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diverge outward as the pipe is inserted, Through the clamp, the effect of tightening the two pipes together made it possible to fix them more firmly. 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part is concave toward the middle, so that both ends of the seating groove are pressed against the pipe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nd the other seating groove is tightened so that the tightening force can be easily obtained. . In addition, by forming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of each seating groove, even if friction is concentr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pipes intersect, it is not easily damaged and can be firmly supported and fixed.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이 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제작할 때는 두 개의 파이프가 교차하는 위치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조립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In general, when manufacturing a frame using pipes, such as a greenhouse, two pipes are assembled to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using a clamp at a position where they intersect. These clamps are produced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below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055240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5240

원터치로 고정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서로 교차시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가 상기 고정구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구와, 일단은 상기 지지구의 중앙에서 회동되도록 축 결합하고 상기 제2파이프를 향해 돌출되어 있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상기 고정구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relates to a pipe cross connection device for a vinyl house that can be fixed with one touch, and a fixture formed so that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can be inserted by crossing each other, and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so that the first pipe and the first pipe and th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cond pipe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one end of the support is pivotally coupl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and protrudes toward the second pipe, thereby separat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by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sing tool for fixing by pres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er.

(특허문헌 2) (Patent Document 2) 한국등록실용Korean Registered Utility 제20-0452681호 No. 20-0452681

농작물 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 골조를 조립, 설치함에서 파이프 결합 시 횡으로 이어진 곡형 파이프와 지지 파이프가 십자형으로 교착되는 지점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강으로만 구성되어있는 기존의 고정구의 표면에 내식성을 가진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등 수지분말에 산화 방지제를 첨가, 열처리 후 코팅하여 온실 내부의 어떠한 습기에도 부식되지 않기에 비닐을 보호하고 결속 후 미끄럼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수지 코팅된 비닐하우스 파이프 고정구이다. 온실 내부의 많은 습기로 인한 부식으로 항상 비닐과 접촉되어있는 부분이 찢기어져 강한 바람에는 전체 파손으로 이어져 농작물 피해를 막아줄 수 있을뿐더러 열융착 코팅 전 열처리 과정으로 탄성을 높여주고 외부의 수지분말 융착으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져 온다.When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lastic greenhouse frame for crop cultivation, it is for firmly connecting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ly curved pipe and the support pipe intersect in a cross shape when the pipes are connected, and the surface of the existing fixture made only of spring steel Antioxidants are added to resin powders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which have corrosion resistance, and coated after heat treatment to protect the vinyl so that it is not corroded by any moisture inside the greenhouse, and to prevent slipping after binding, so that it can be fixed more efficiently. It is a plastic greenhouse pipe fixture coated with resin. Corrosion caused by high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always tears the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vinyl, leading to total damage in strong wind, which can prevent damage to crops, as well as increase elasticity through heat treatment before heat-sealing coating and fusion of external resin powder can prolong its lifespan, resulting in a reusable effect.

(특허문헌 3) (Patent Document 3) 한국공개실용Korean public utility 제20-2012-0003407호 No. 20-2012-0003407

비닐하우스의 구조에 사용되는 구조 파이프의 조립할 때 사용하는 파이프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와 파이프를 직각으로 결속할 때, 또는 45도로 결속할 때 건축용 자재인 작업용 발판기둥(아시바) 조립재인 pt 클램프를 사용하므로 파이프 외경인 48.1mm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를 막을 수 없고, 또한 작업량이 늘어 인건비의 손실이 있다. 이러한 손실을 줄이고 조립이 편리하게 하기 위해 각기 파이프 구조에 맞는 클램프를 만들고 이들의 결속 할 수 있는 볼트 구멍은 동일하게 만들어 파이프 규격과 관계없이 결속하게 하기 위한 파이프클램프를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다.It is about a pipe clamp used when assembling structural pipes used in the structure of a greenhouse. When binding pipes to pipes at right angles or at 45 degrees, pt clamps, which are construction materials, scaffolding pillars (Ashiba) assemblies, Therefore, only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48.1mm, cannot be used, so unnecessary waste of materials cannot be prevented, and the amount of work increases, resulting in loss of labor cost. In order to reduce this loss and make assembly convenient, it is about making clamps suitable for each pipe structure and making the same bolt holes to bind them regardless of pipe specifications.

한국등록특허 제10-2055240호 (등록일: 2019.12.06)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55240 (registration date: 2019.12.06) 한국등록실용 제20-0452681호 (등록일: 2011.03.04)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452681 (registration date: 2011.03.04) 한국공개실용 제20-2012-0003407호 (공개일: 2012.05.16)Korean Public Utility No. 20-2012-0003407 (Public date: 2012.05.16)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파이프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pipe clamp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1)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 공정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많이 필요하다.(1) Not only does the structure become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es, but also requir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2) 교차하는 파이프를 클램프로 고정할 때,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조임 동작과 같은 클램프로 파이프를 고정해야 하는 조립 과정이 필요하여 클램프를 조립하는 시간이 길어진다.(2) When fixing intersecting pipes with clamps, an assembling process of fixing the pipes with clamps, such as a tightening operation, is required to firmly fix the pipes, which increases the time required to assemble the clamps.

(3) 이는, 하나의 클램프를 조립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파이프를 골조로 이용하는 하우스 등의 시공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3) This increases the time required to assemble one clamp, and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time of a house using a pipe as a frame increases.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교차하여 강제로 끼우는 동작만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파이프를 조립하면서 파이프끼리 서로 눌러주게 해서 쉽게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aken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t is easy and convenient to assemble the pipes by simply crossing and forcibly inserting the pipes, so that the pip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or separat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lamp for pipes that can be assembled.

특히, 본 고안은 이처럼 파이프를 강제로 끼우는 안착 홈의 바닥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우면 파이프가 안착 홈의 양단을 누르면서 다른 파이프를 조여주는 효과를 통해 더욱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forcibly fitting the pipe is formed with a concave deformation part toward the middle, so that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pipe presses both ends of the seating groove and tightens the other pip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lamp for a pipe that can be assembled more firmly through.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안착 홈 바닥의 중앙에 각각 보강 돌기를 돌출 성형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를 교차하게 설치했을 때 교차하는 지점에서 마찰이 집중하는 것을 보완하게 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afe and convenient for a long time by protruding and molding reinforcing protrusions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thereby supplementing the concentration of friction at the intersection point when two pipes are installed crosswise to prevent damag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clamp for pipes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서로 교차하게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안착 홈(110)이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안착 홈(110)의 바닥에는, 길이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seating groove 110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seating grooves 110, a deformable portion 111 is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middle of the length.

특히, 상기 각 안착 홈(110)에는, 상기 변형 부분(111)의 중간 위치에 오도록 보강 돌기(1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in each of the seating grooves 110, a reinforcing protrusion 112 is formed protrudingly so as to come to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eformable portion 111.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안착 홈(110)에 강제로 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forcibly insert the pipe into the seating groove 110.

마지막으로, 상기 두 개의 안착 홈(110)은, 직교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two seating grooves 110 are formed orthogonally.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하나의 본체에 교차하게 형성된 두 개의 안착 홈에 각각 파이프를 강제로 끼움에 따라 두 개의 파이프가 교차 상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1) By forcibly inserting the pipes into the two mounting grooves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one main body, the two pipes can be firmly assembled in a crossed state.

(2) 이에, 파이프를 쉽고 편리하게 교차하여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이용하여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을 쉽고 조립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2) Accordingly, not only can pipes be cross-assembled easily and conveniently, but also various desired frames can be easily assembled and safely used using pipes.

(3) 특히, 상기 안착 홈에는 바닥에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우면 파이프가 안착 홈의 양단을 누름에 따라 다른 안착 홈이 오므라들게 하여 다른 안착 홈에 끼운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3) In particular, as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with a deformed portion that is concave toward the center of the floor, when a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pipe presses both ends of the seating groove to cause other seating grooves to shrink and to fit into other seating grooves. It can be assembled and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by firmly fixing the inserted pipe.

(4) 또한, 안착 홈의 바닥 중앙에 보강 돌기가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가 교차하는 지점에 가해지는 마찰 등으로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용 클램프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4) In addition, by forming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the pipe clamp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applied to the point where two pipes intersect.

(5) 이러한 안착 홈은 두 개가 교차하게 형성하여 파이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으나, 두 개의 파이프가 직교하게 형성함으로써, 격자 형태로 파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5) Two such seating grooves can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o produce various types of frames using pipes, but by forming the two pipes orthogonally, the pi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ssembled in a lattice form and used safely.

(6)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는 합성수지와 같은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상기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울 때 안착 홈이 강제로 벌어지면서 다른 안착 홈이 강제로 조여지면서 다른 파이프를 견고하게 조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6) As 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when a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the seating groove is forcibly widened and the other seating groove is forcibly tightened to make the other pipe rigid. Tighten it up and use it safe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로 두 개의 파이프를 직교하게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로 두 개의 파이프를 직교하게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려고 파이프를 투명하게 도시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에서 위의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울 때 아래의 안착 홈이 조여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에서 위의 안착 홈에 파이프를 끼울 때 아래의 안착 홈이 조여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pipes are orthogonally fixed with a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ransparently showing a pipe to show a state in which two pipes are orthogonally fixed with a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lower seating groove is tightened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eating groove in 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lower seating groove is tightened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eating groove in 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contribu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her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파이프용 클램프의 구성][Configuration of clamps for pipes]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서로 교차하게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안착 홈(110)이 형성된 본체(100)가 포함된다.In the pip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the main body 100 having a seating groove 110 formed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is included

특히, 상기 각 안착 홈(110)에는 바닥 부분이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안으로 오목하도록 변형 부분(111)이 구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안착 홈(110)에 어느 하나의 파이프(P1)를 강제로 끼울 때 파이프(P1)가 이 다른 안착 홈(110)이 조여지게 하여 다른 파이프(P2)를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particular, as the deformable part 111 is configured in each seating groove 110 so that the bottom portion is gradually concave toward the center, any one pipe P1 can be forcibly inserted into any one seating groove 110. When the pipe (P1) tightens the other seating groove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assemble the other pipe (P2) and fix it more firmly.

또한, 상기 안착 홈(110)에는 바닥 중간 부분에 보강 돌기(112)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교차하게 설치되면서 마찰이나 부하가 중심 부분에 집중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하여 파손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ttom,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are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even if friction or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enter portion, it can sufficiently withstan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breaking.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안착 홈(110)은 직교하게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직교하여 격자 형태로 파이프를 쉽게 조립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two seating grooves 110 at right angles, the two pipes P1 and P2 are orthogonal to easily assemble the pipes in a lattice form so that they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used.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와 같이 안착 홈(110)에 파이프(P1, P2)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안착 홈(110)이 파이프(P1, P2)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Finally, the main body 100 uses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to some extent when assembling by forcibly inserting the pipes P1 and P2 into the seating groove 110, such as synthetic resin, so that the seating groove 110 is installed in the pipes P1 and P2. )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and fixed.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P1'과 'P2'는 하우스 등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파이프를 지름이 같은 파이프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도면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reference numerals 'P1' and 'P2' refer to pipes used when assembling a house, etc. having the same diameter, but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re used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가. 본체go. main body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서로 교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The main body 10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to [FIG. 6].

특히, 상기 본체(100)는 합성수지와 같은 유연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파이프(P1, P2) 조립을 위해 이 본체(100)에 형성된 안착 홈(110) 부분이 어느 정도 힘을 받으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연한 재질로는 합성수지 이외에도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 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body 100 uses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so that the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for assembling the pipes P1 and P2 can be deformed when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o make As such a flexible material, silicone or polyurethane foam may be used in addition to synthetic resin.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10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의 파이프(P1, P2)를 교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안착 홈(110)이 형성된다.In the main body 100 mad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2] to [5], two seating grooves 110 are formed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assembled crosswise.

나. 안착 홈me. home

안착 홈(11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체(100)에 두 개가 서로 교차하게 형성되어 각 안착 홈(110)에 파이프(P1, P2)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wo seating grooves 110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on the main body 100, and the pipes P1 and P2 can be forcibly inserted into each seating groove 110 to assemble.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안착 홈(110)은 두 개가 수직으로 직교하지 않고 교차하도록 형성하여 원하는 각도로 두 개의 파이프(P1, P2)를 교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안착 홈(110)은 직교하게 형성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격자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wo seating grooves 110 may be formed so as to intersect rather than perpendicularly,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assembled crosswise at a desired angle, but preferably, the two seating grooves (11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two pipes (P1, P2) can be assembled in a lattice form by forming orthogonally.

또한, 이러한 상기 안착 홈(11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변형 부분(111)과 보강 돌기(112)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eformable part 111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ar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2] to [FIG. 5].

1. 변형 부분1. Deformation part

변형 부분(111)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안착 홈(110)의 바닥에 형성된다.The deformable part 11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2] to [FIG. 5].

이때, 상기 변형 부분(111)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안착 홈(110)의 양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착 홈(110)에 하나의 파이프(P1)를 장착할 때 이 파이프(P1)가 안착 홈(110)에 안착하면서 이 안착 홈(11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다른 안착 홈(110)이 좁아지면서 이 안착 홈(110)에 삽입되는 다른 파이프(P2)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deformable part 111 is formed concavely toward the center from both sides of the seat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2] to [FIG. 4], so that one pipe (P1) ), as the pipe (P1) presses both edges of the seating groove 110 whil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0 when mounting the seating groove 110, the other seating groove 110 narrows to the seating groove 110. It makes it possible to firmly assemble another pipe (P2) to be inserted.

즉, [도 4]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를 위에 있는 안착 홈(110)에 끼울 때는, 파이프가 도면부호 '1'로 표시된 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본체(100)를 구성하는 아래의 안착 홈(110)이 도면부호 '2'로 표시된 것처럼 안으로 오므라들게 되면서 이 안착 홈(110)에 삽입된 파이프를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one pip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eating groove 110, the pipe presses the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 to the lower seating groove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 110) is shrunk inwar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 and the pip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0 is pressurized and firmly fixed.

동시에, [도 5]와 같이, 다른 파이프를 아래에 있는 안착 홈(110)에 끼울 때도 상술한 것과 같이 파이프가 도면부호 '1'과 같이 안착 홈의 양단을 누름에 따라 위에 형성된 안착 홈(110)이 도면부호 '2'와 같이 조여들면서 삽입된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5], when another pip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10 below, as described above, as the pipe presses both ends of the seating groove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1', the seating groove 110 formed above ) is tighten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2' to firmly fix the inserted pipe.

2. 보강 돌기2. Reinforcing protrusion

보강 돌기(112)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안착 홈(110)의 바닥에 형성된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bove-described seating groove 110, as shown in [FIG. 2] to [FIG. 5].

이때, 상기 보강 돌기(11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바닥 중앙에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안착 홈(110)에 파이프(P1, P2)가 강제로 끼워져서 안착할 때 교차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과 마찰로부터 본체(100)와 안착 홈(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floor, as shown in [Fig. 3] and [Fig. 4], so that the pipes P1 and P2 are forcibly inserted into each seating groove 110 and seated. When the main body 100 and the seating groove 110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from the load and friction applied to the intersection point, it can be used safely and conveniently.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돌기(112)는 상기 안착 홈(110)에 파이프(P1, P2)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이 파이프(P1, P2)가 안착 홈(110)의 양쪽 가장자리를 눌러 다른 쪽의 안착 홈(110)이 조여들게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is assembled by forcibly fitting the pipes P1 and P2 into the seating groove 110, the pipes P1 and P2 are both edges of the seating groove 110.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o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pressing the other seating groove 110 to be tighten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두 개의 파이프를 교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에 두 개의 안착 홈을 형성하되, 각 안착 홈에는 바닥에 양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안착 홈에 파이프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이 안착 홈의 양단이 파이프의 조립 방향으로 눌림에 따라 반대쪽에 있는 안착 홈이 조여지게 하여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전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wo seating grooves on the main body so that the two pipes can be installed crosswise, but each seating groove has a concave deformation part formed on the floor from both sides to the center, so that the pipe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assembling by forcibly inserting, as both ends of this seating groove are pressed in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pipe, the seating groove on the opposite side is tightened so that the pipe can be assembled more firmly, safely, easily and conveniently.

100: 본체
110: 안착 홈
111: 변형 부분
112: 보강 돌기
100: body
110: seating groove
111: deformation part
112: reinforcement protrusion

Claims (4)

두 개의 파이프(P1, P2)가 서로 교차하게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안착 홈(110)이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안착 홈(110)의 바닥에는,
길이 중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변형 부분(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It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seating groove 110 so that the two pipes P1 and P2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assembled to cross each other,
At the bottom of each seating groove 110,
A clamp for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ormable portion 111 is formed concavely toward the middle of the length.
제1항에서,
상기 각 안착 홈(110)에는,
상기 변형 부분(111)의 중간 위치에 오도록 보강 돌기(1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In paragraph 1,
In each of the seating grooves 110,
A clamp for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 112 protrudes to come to the middle position of the deformable part 111.
제1항에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안착 홈(110)에 강제로 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In paragraph 1,
The main body 100,
A clamp for a pip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forcibly insert the pipe into the seating groove (1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두 개의 안착 홈(110)은,
직교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In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wo seating grooves 110,
A clamp for pip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rthogonally.
KR2020220000361U 2022-02-04 2022-02-04 Clamp for pipe KR2023000164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61U KR20230001642U (en) 2022-02-04 2022-02-04 Clamp fo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61U KR20230001642U (en) 2022-02-04 2022-02-04 Clamp for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42U true KR20230001642U (en) 2023-08-11

Family

ID=8756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61U KR20230001642U (en) 2022-02-04 2022-02-04 Clamp for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642U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81Y1 (en) 2008-09-17 2011-03-14 이종갑 Pipe fastner for greenhouse
KR20120003407U (en) 2010-11-08 2012-05-16 양승운 vinyl house construction of the cross pipe clamp
KR102055240B1 (en) 2018-03-16 2020-01-22 주식회사은성기업 a greenhouse pipe cross connector for fixing one-tou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81Y1 (en) 2008-09-17 2011-03-14 이종갑 Pipe fastner for greenhouse
KR20120003407U (en) 2010-11-08 2012-05-16 양승운 vinyl house construction of the cross pipe clamp
KR102055240B1 (en) 2018-03-16 2020-01-22 주식회사은성기업 a greenhouse pipe cross connector for fixing one-tou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921B1 (en) Two-pipe clamp
US10100950B2 (en) Pipe clamp
US8806829B2 (en) Anchoring device
KR101163668B1 (en) Coupling pipe of round bar for anti-unlock bolts and nuts
US20060291952A1 (en) Structural member connector
KR20230001642U (en) Clamp for pipe
US20030173777A1 (en) Clamp used in branching a soft hose
KR200196205Y1 (en) A joint struction of roof
JP5222868B2 (en) Roof mounting fixture
JPH10205507A (en) Joint structure of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pipe
KR101300824B1 (en) Hose clamp
JP5520554B2 (en) Roof mounting fixture
KR20190004575A (en) Magic steel reinforcement coupling and its coupling method
KR101998573B1 (en) U-Type Bolts
KR101997168B1 (en) Pipe connecting device for vinyl house
JP5443202B2 (en) Roof mounting fixture
JPS5822470Y2 (en) Synthetic resin saddle fitting
KR20150007567A (en) Connecting bracket of vinyl house frame
JP6148877B2 (en) Connecting structure using restraints
JP3511377B2 (en) Wood connection fittings for connection
JP3670077B2 (en) Wedge-shaped fasteners
JP7097553B2 (en) Roof mounting bracket
JPH0644369Y2 (en) Structural material for greenhouses
JPH0246580Y2 (en)
JP3021449U (en) Sheet receiv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