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414A -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414A
KR20230001414A KR1020210084223A KR20210084223A KR20230001414A KR 20230001414 A KR20230001414 A KR 20230001414A KR 1020210084223 A KR1020210084223 A KR 1020210084223A KR 20210084223 A KR20210084223 A KR 20210084223A KR 20230001414 A KR20230001414 A KR 2023000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mou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든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든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든팜
Priority to KR102021008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414A/ko
Publication of KR2023000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AI 마우스를 실행시킨 후, 사용자 단말
의 초기 화면에서 핸드라이트를 이용하기 위한 버튼을 클릭하는 단계; 핸드라이트에 의해 그림을 그릴 수 있는UI를 생성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핸드라이트
에 의해 특정 그림을 그림으로써, 새로운 그림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새로운 그림 정보를 바탕
으로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핸드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새로 입력된 그림 정보와 기저장된 그림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새로 입력된 그림 정보와 기저장된 그림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메시
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에 의해 클라우드 컴퓨터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버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에서 수기 인식 화면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인식하여, PC와 스마트 카 등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매크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환경하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mobile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에서 수기 인식
화면(handwriting recognition view)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인식하여, PC와 스마트 카등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매크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인터넷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들(예를 들면, 각종 서버들, 개인용 PC, 모바일 장치 등)을 연결하여, 그러한 장치
들 상호 간에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에는, 일반적인 컴퓨팅 장치들뿐만 아니라 컴퓨팅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물들, 예를 들어, 센서들, 가
전기기들, 미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와 같이 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메커니즘은 통상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라고 지칭된다.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기들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의 확립, 기기들 간의 통신, 데이터의
수집 등에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되어 인터넷을 통한 기
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7383호(특허문헌 1)에는 "사람과 기계 간의 [0005]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해
주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 시스템은 각각의 자산이 입력 기준에 매핑되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갖는 복
수의 자산의 발생을 용이하게 해주는 저작/분석 컴포넌트(authoring/analysis component)와, 상기 입력 기준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입력 기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산을 렌더링하는 추론 컴포넌트
(reasoning component)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분석 컴포넌트는 상기 입력 및 상기 렌더링된 자산에 적어도 부
분적으로 기초하여 피드백을 수집하여, 그 피드백으로부터 학습을 하고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의도를 추론하며, 상기 추론 컴포넌트는 상기 사용자 의도의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자산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모바일에서 수기 인식 화면(handwriting
recognition view)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인식하여, PC와 스마트 카 등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매크로 기능을 수행하고, 보안을 위한 사물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수기 인식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자신만의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바일 마우스(이하 'AI 마우스'라 함) 앱
(application)이 탑재되며, AI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수행을 위한 메시지
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물 인터넷
을 구성하는 해당 전자기기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및
PC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거나 사물 인터넷상에서 구동되며,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
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점
에 그 특징이 있다.
]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상기 AI 마우스 앱은 핸드라이트 (handwrite)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인식
하는 핸드라이트 인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라이트 인식기는 인공지능 매크로(macro) 기능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은 핸드라이팅된 다양한 문자, 기호, [0016] 아이콘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의 자이로 센서의 센서값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스마
트폰)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 놓여 있으면 AI 마우스의 사용 여부를 상기시켜주는 알림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설정해 주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로그인을 통해 PC 및 사물 인터넷에 통신 채널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마우스 클릭을 통해 PC에서 모바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인공지능 매크로를 통해
모바일에서 모바일 또는 모바일에서 PC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는 사용자가 핸드라이트로 자기만의 그림을 그린 후 그 그림이 수행할 이벤트를 설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자신만의 아이콘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터 및 서버(프로그램)를 구비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 단말에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바일 마우스(이
하 'AI 마우스'라 함) 앱(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한 상태하에서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실행
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AI 마우스를 실행시킨 후, 사용자 단말의 초기 화면에서 핸드라이트
(handwrite)를 이용하기 위한 버튼을 클릭하는 단계;
b) 핸드라이트에 의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그림을 그릴 수 있
는 환경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핸드라이트에 의해 특정 그림을 그림으로써, 새로운 그림 정보를 입력 및 저장
하는 단계;
d) 상기 입력된 새로운 그림 정보를 바탕으로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는 핸드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 새로 입
력된 그림 정보와 기저장된 그림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판별에서, 새로 입력된 그림 정보와 기저장된 그림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서
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버에 의해 클라우드 컴퓨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UI 화면을 통해 핸드라이트에 의해 특정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그리는 것이
멈추어질 경우, 그리는 것을 멈춘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별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림이 계속 그려지고 있는 중으로 판단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새로운 그림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이후 상기 단계 d)를 실행하기 전에, 그림이 그려진 핸드라이트 UI 화면을 리셋(reset)하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에서 수기 인식 화면(handwriting recognition view)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인식하여, PC와 스마트 카 등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매크로 기능을 수행함으로
써, 사물 인터넷 환경하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안을 위한 사물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수기 인식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자신만의 문자, 기호,아이콘 등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안용 사물 인터넷의 사용에서의 보안성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 AI 마우스 실행 시의 로그인 후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4는 도 3의 초기 화면에서 키보드 버튼의 터치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키보드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
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
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
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서버"라는 용어는 하드웨어적인 의미와 소프트웨어적인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다. 즉, "서버"라고 표현했을 때, 이는 하드웨어로서의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서의 서버 프로
그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클라우드 컴퓨
터(120) 및 서버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그 내부에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바일 마우스(이
하 'AI 마우스'라 함) 앱(application)이 탑재되며, AI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수행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로는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
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창을 구비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PDA,
태블릿 PC, 넷북 PC, 노트북 PC 등)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또한 사용자 단말(110)에 탑재되는 상
기 AI 마우스 앱은 핸드라이트(handwrite)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인식하는 핸드라이트 인식기(핸드라이팅에 의
해 그려진 그림이나 문자, 기호 등을 인식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
은 핸드라이트 인식기는 인공지능 매크로(macro) 기능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
은 핸드라이팅된 다양한 문자, 기호, 아이콘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AI 마우스 앱은 사용자 단말(스마트폰)의 자이로 [0048] 센서의 센서값을 모니터링하여, 사용
자 단말(스마트폰)이 소정 시간 동안(예컨대, 3분 또는 5분 동안)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 놓여 있으면 AI 마우스
의 사용 여부를 상기시켜주는 알림(예를 들면, "AI 마우스를 사용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알림)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AI 마우스 앱은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사용할 수 있
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설정해 주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로그인을 통해 PC 및 사물 인터넷에 통신 채널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
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마우스 클릭을 통해 PC에서 모바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인공지능 매크로를 통해
모바일에서 모바일 또는 모바일에서 PC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AI 마우스(앱)는 PC나
사물 인터넷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PC에서 모바일 폰으로, 모바일 폰에서 모바일 폰으로, 모바일
폰에서 PC로 마우스 클릭이나 인공지능 매크로 입력(수기 입력)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이동 및 저장을 위해 이미지 다운샘플링(downsampling)과 초고해상도(super-resolution) 기법을
이용하여 PC와 PC, PC와 모바일, 모바일과 모바일 사이의 데이터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I 마우스 앱은 PC나 사물 인터넷의 패턴(예를 들어, 워드를 실행시켜 확인된 메일 중 중요한 메일
을 1일 1회 회사의 대표나 직장 상사에게 전달해야 하는 반복적인 상황)을 수기 인식으로(예를 들면, Hi!로) 명
령을 부여하여 일정 기간 동안 자동으로 수행되는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수
기 인식(handwriting recognition)을 이용한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10)과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110)로부
터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해당 전자기기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클라
우드 컴퓨터(120)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에서의 컴퓨터를 의미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인터넷상의 서
버를 통해 데이터의 저장,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T 관련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말한다.
이상과 같은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사용자가 핸드라이트로 자기만의 그림(아이콘, 기호, 문자 등)을 그
린 후 그 그림이 수행할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해 그려진 그림(아이콘, 기호, 알파벳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려진 그림
에 대해 설정한 이벤트 정보까지 저장해 둔다. 이와 같이, 설정된 이벤트를 클라우드 컴퓨터(120)에 저장해 두
고 있기 때문에 로그인된 사용자가 자기만의 아이콘을 그리면, 서버 프로그램에서 그것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수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자신만의 아이콘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저장해 둔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사용자 단말(110)의 AI 마우스와 PC 또는 사물 인터넷 채널을 로그인을 통해 항
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여, 사용자가 AI 마우스를 항상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터
(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기입력 방식 인공지능 매크로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해서 저장하고
있다.
상기 서버 프로그램은 PC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거나 사물 인터넷상에서 구동되며, 클라우드 컴퓨터(120)를 경
유하여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버 프로그램은 PC나 사물 인터넷 등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실행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30a 내지 130e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물(전자기기)을 나타낸 것으로서, 130a는 스마트 차량, 130b는 개인용 PC, 130c는 스마트
TV, 130d는 냉장고, 130e는 전등/스탠드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의 [0060]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
자 단말(스마트폰)(110), 클라우드 컴퓨터(120) 및 서버(프로그램)를 구비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
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 단말에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바일 마
우스(이하 'AI 마우스'라 함) 앱(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한 상태하에서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를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110)(여기서는 사용자 단말로 스마트폰이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든다)에 의해 상기 AI 마우스(AI 마우스 앱)를 실행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
플레이 창에 표시된 초기 화면에서 핸드라이트 (handwrite)를 이용하기 위한 버튼(113)을 클릭한다(단계 S201)
[0062] 그러면, AI 마우스(AI 마우스 앱)는 핸드라이트에 의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스마트폰 화면에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을 그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단계
S202)
이상에 의해 스마트폰 화면에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을 그릴 수 있는 환경(UI 환경)이 제공되면,
사용자에 의해 그 제공된 UI 화면을 통해 핸드라이트에 의해 특정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을 그림으
로써(단계 S203), 새로운 그림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한다(단계 S205)
여기서, 상기 단계 S203에서 상기 UI 화면을 통해 핸드라이트에 의해 특정 그림이 그려지는 과정에서 그리는 것
이 잠시 멈추어질 경우, 그리는 것을 멈춘 후 소정 시간(예컨대, 3초)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S204의 판별에서 소정 시간(3초)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그림이 계속 그려지
고 있는 중으로 판단하여 상기 단계 S203으로 회귀하고, 소정 시간(3초)이 경과되었으면 새로운 그림 정보를 입
력 및 저장하도록(즉, 상기 단계 S205로 진행하도록) 프로세스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상기 단계 S205 이후 후술되는 단계 S207을 실행하기 전에, 그림이 그려진 핸드라이트 UI 화면을
리셋(reset)하는 단계(S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 S205에 의해 그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었다
면, 핸드라이트에 의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매크로 화면(110m)(도 5 참조) 상에 그려진 그림(문자, 기호 등)을
제거하고 깨끗한 화면(그림이 그려지기 전의 상태)으로 돌아가는 리셋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단계 S205에서 입력된 새로운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 정보를 바탕으로 메모리에 기저장
되어 있는 핸드라이트 정보를 검색하여(단계 S207), 새로 입력된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 정보와 기
저장된 그림(그림, 문자, 기호, 아이콘 등) 정보 간의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08)
상기 단계 S208의 판별에서, 새로 입력된 그림 정보와 기저장된 그림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메
시지를 서버(서버 프로그램)로 전송한다(단계 S209)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서버 프로그램은 PC
나 사물 인터넷 등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 실행되며, 본 발명에서
는 이러한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 단말(스마트폰)(11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서버(프로그램)에 의해 클라우드 컴퓨
터(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210)
그런 후, 상기 서버(프로그램)에 의해 수신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한다(단계 S211, S212)
여기서, 이상과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 AI 마우스 실행 시의 로그인 후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에 탑재되어 있는 AI 마우스 앱을 실행시킨 후 로그인하여 들
어가면 표시되는 초기 화면으로, 도 3에서 참조번호 111은 AI(인공지능) 마우스에서의 일종의 커서 기능을 수행
하는 포인트 커서, 112는 도 4에서와 같은 키보드 패드(110k)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 버튼,
113은 핸드라이트(handwrite)를 이용하기 위한 인공지능(AI) 매크로 버튼, 114 및 115는 확대 및 축소 버튼,
116 및 117은 일반 마우스에서의 좌측 및 우측 버튼, 118 및 119는 일반 마우스에서의 상,하 스크롤 휠 기능을
갖는 스크롤 버튼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110)의 초기 화면에서 인공지능 매크로 버튼(113)을 터치했
을 때 나타나는 AI 매크로 화면(110m)을 나타낸 것이다. 이 AI 매크로 화면(110m)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알파벳 "P"자를 핸드라이팅에 의해 쓸 경우, 핸드라이트 인식기에 의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도 1
에서의 개인용 PC(130b)의 셧 다운(Shut down)이 될 수 있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물론 PC에
서버 프로그램이 있고,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6은 영어 알파벳 "L"자를 핸드라이팅에 의해 쓴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0074] 이때 핸드라이트 인식기에 의해 이
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PC의 로그오프(Logoff)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7은 영어 알파벳 "R"자를 핸드라이팅에 의해 쓴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때 핸드라이트 인식기에 의해 이
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PC의 재시작(Restart)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각 이벤트 수행 관련 메시지가 전송되면,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대응하
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서버 프로그램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터(120)를 매개로 이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
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벤트를 설정하기 위해 그려진 그림(아이콘,
기호, 알파벳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그려진 그림에 대해 설정한 이벤트 정보까지 저장해 두고 있기 때문
에, 로그인된 사용자가 자기만의 아이콘을 그리면, 서버 프로그램에서 그것에 대응하는(맞는)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가 PC의 셧 다운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을 "W"를
그려서 PC가 셧 다운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및 방법은 모바일에서 수기 인식 화면
(handwriting recognition view)을 통해 입력된 문자나 기호 또는 아이콘 등을 인식하여, PC와 스마트 카 등을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을 위한 매크로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물 인터넷
사용 과정을 분석하여 자동으로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추천해 줌으로써, 사물 인터넷 환경하에서 사용자에게 다
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안을 위한 사물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수기 인식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자신만의 문자, 기호,
아이콘 등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안용 사물 인터넷의 사용에서의 보안성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
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110k: 키보드 패드
110m: AI 매크로 화면 120: 클라우드 컴퓨터
130a: 스마트 차량 130b: 개인용 PC
130c: 스마트 TV 130d: 냉장고
130e: 전등/스탠드

Claims (1)

  1.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바일 마우스(이하 'AI 마우스'라 함) 앱
    (application)이 탑재되며, AI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수행을 위한 메시지
    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물 인터넷
    을 구성하는 해당 전자기기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클라우드 컴퓨터; 및
    PC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되거나 사물 인터넷상에서 구동되며, 상기 클라우드 컴퓨터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따른 이벤트를 출력 및 수행하는 서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20210084223A 2021-06-28 2021-06-28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KR20230001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23A KR20230001414A (ko) 2021-06-28 2021-06-28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23A KR20230001414A (ko) 2021-06-28 2021-06-28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14A true KR20230001414A (ko) 2023-01-04

Family

ID=8492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23A KR20230001414A (ko) 2021-06-28 2021-06-28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4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2706B (zh) 多模态虚拟人的应用数据处理方法和系统
EP3126978B1 (en) Hybrid client/server architecture for parallel processing
CN107609092B (zh) 智能应答方法和装置
CN108292304B (zh) 跨应用数字墨水库
CN107193476B (zh) 信息输入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与可读介质
US20180107279A1 (en)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motional gesture-based communications
JP200318661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状態に基づく自動的なソフトウェア入力パネル選択
US201502295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able customized contextual user interfaces
KR20160016532A (ko)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가 컨텐트 제공하는 방법
US11681760B2 (en) Cross-application ingestion and restructuring of content
US10175883B2 (en) Techniques for predicting user input on touch screen devices
US103725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rocessing of service requests on an electronic device
WO2015200618A1 (en) Light dismiss manager
CN111565143A (zh) 即时通信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13750A (ko) 대화 스레드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20027943A1 (en)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logic for cross-application ingestion and restructuring of content
US20200042587A1 (en) Cross-application ingestion and restructuring of spreadsheet content
CN103412704B (zh) 用于通过姿势或触摸控制用户界面的优化方案
CN108615158B (zh) 风险检测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12652304B (zh) 智能设备的语音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010248A (zh) 操作引导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000766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介质
CN111934985A (zh) 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92282B2 (ja) スキルサービスの更新方法、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可読記憶媒体
KR20230001414A (ko) 광고를 위한 인공지능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플랫폼 개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