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87A -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87A
KR20230001287A KR1020210084006A KR20210084006A KR20230001287A KR 20230001287 A KR20230001287 A KR 20230001287A KR 1020210084006 A KR1020210084006 A KR 1020210084006A KR 20210084006 A KR20210084006 A KR 20210084006A KR 20230001287 A KR20230001287 A KR 2023000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on
course
remote contro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수
김정철
정상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87A/ko
Priority to CN202280046521.3A priority patent/CN117580987A/zh
Priority to EP22833566.7A priority patent/EP4363648A1/en
Priority to AU2022300773A priority patent/AU2022300773A1/en
Priority to PCT/KR2022/009200 priority patent/WO2023277510A1/en
Publication of KR2023000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엄격한 절차를 따라야만 원격제어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제어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사용자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가 필수적이다.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
한편, 상기 종래 노브 등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놉을 회전하여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하였다. 상기 놉이 회전하면 순차적으로, 상기 놉과 대응되는 코스 및 옵션이 선택될 수 있었고, 사용자는 상기 놉이 자신이 원하는 코스 및 옵션에 배치되면 그제서야 실행버튼 눌러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노브와 같은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 및 옵션이 후순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항상 놉을 반복적으로 회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 뿐만 아니라 옵션을 선택할 때 특정 옵션을 설정하기 위해 컨트롤패널을 반복적으로 기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코스와 옵션의 바로가기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놉과 같은 형태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놉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 또는 옵션이 선택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놉과 같은 형태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서, 특정 코스 및 옵션이 선택될 수 있는 놉의 회전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엄격한 절차를 따라야만 원격제어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제어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사용자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절차를 따르지 않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가 유지되도록 하여 원격제어 사용자의 의사를 더 우선할 수 있고, 엄격한 절차가 수행될 경우,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우선할 수 있다. 이로써, 원격제어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조작하는 사용자간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중일때는 원격제어의 해제설정이 엄격한 절차를 따라야 하지만,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전일 때는 원격제어 해제가 더 쉽게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중일 때는 원격제어 사용자의 의사를 더 우선할 수 있고, 세탁 또는 건조가 수행되는 의류의 처리를 무리없이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전일때는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더 우선하여 의류처리장치가 무한정 대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엄격한 절차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설명 문구 일수 있고, QR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는 설명문구를 먼저 표시한 다음, 사용자가 여전히 엄격한 절차를 숙지하지 못하면 QR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영상으로 상기 절차를 습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조작부의 입력이 불활성화되되, 상기 원격제어 상태라도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는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설정부와 이격되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이면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변경되면,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변경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 보다 상기 조작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작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원형핸들과, 상기 원형핸들 내부에 구비되어 선택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결정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입력 중에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조작부와 이격되어 상기 옵션을 변경하는 옵션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설정부와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어도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이드가 표시되어도 상기 조작부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원격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시연하는 영상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원형핸들과, 상기 원형핸들 내부에 구비되어 선택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결정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 중이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 전일 때보다, 입력부가 더 많이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전이면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중이면 상기 설정부 또는 수행부가 입력되고,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캐비닛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외부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제어되는 원격제어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받되,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명령이 가변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불활성화 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이면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활성화 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 보다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원형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선택부는 상기 원형핸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중에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조작부와 이격되어 상기 옵션을 변경하는 옵션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설정부와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이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원격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시연하는 영상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만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어도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코스와 옵션의 바로가기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터리 놉과 같은 형태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놉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 또는 옵션이 선택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로터리 놉과 같은 형태의 컨트롤패널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서, 특정 코스 및 옵션이 선택될 수 있는 놉의 회전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가전시스템 및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세탁장치(10)와 미니장치(20)의 내부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중 건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열교환부(4), 세척부(6) 등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건조장치(20) 내부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보조장치(60)를 포함할 경우에,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컨트롤패널(P)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컨트롤패널이 전방패널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은 컨트롤패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는 인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는 조작부와 표시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활용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었을 때의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외부단말로 원격제어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코스 선택 전에 해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코스 수행 중에 해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안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가전시스템 및 온라인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세탁코스 또는 세탁옵션을 수행하는 세탁장치(10)와, 상기 세탁장치의 인근 또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임의의 세탁코스 또는 세탁옵션을 수행하는 미니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는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미니장치(60)는 상부로 의류가 투입되는 탑로드 (top load)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니장치(60)는 상기 세탁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장치(10)의 투입구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니장치(60)는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노출되도록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장치(60)는 상기 세탁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미니장치(60)에 사용자가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탁장치(10) 또는 상기 미니장치(60)에서 세탁이 완료되어 수분을 함유한 의류를 건조하는 임의의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수행하는 건조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중 실내에 상기 세탁장치(10) 및 상기 건조장치(20)를 함께 배치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미니장치(60)까지 전부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속옷, 아기옷과 같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으며 세탁이 잦은 의류는 미니장치(60)가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바지 및 이불과 같이 부피가 크며 세탁이 뜸한 의류는 상기 세탁장치(10)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건조장치(20) 및 미니장치(60) 중 하나 이상은 공유기(AP, 30)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 중 하나 이상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공유기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생산한 생산자가 제공한 서버(50)는 상기 공유기(30)의 포트정보를 통해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를 인지하여 등록 및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모듈을 구비한 외부단말(40)을 소지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단말(40)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세탁장치(10) ,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외부단말(40)을 통하여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서버(5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50)는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림정보가 있거나 코스 또는 옵션 등의 업데이트 사항이 있을 때에는 상기 외부단말(40)로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는 서로 통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공유기(30)와 상기 서버(50)를 통하여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 중 나머지 둘과 통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는 WIFI 등의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는 상기 서버(50)를 통하지 않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는 서로 통신가능하게 구비되어, 서로의 상태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서로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상기 세탁장치(10)를 통해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장치(20)와 상기 미니장치(60)가 상기 세탁장치(10)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상기 세탁장치(10)를 바라볼 때 시야에 사라지는 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사용자는 세탁장치(10)를 통해서 상기 건조장치(20)와, 상기 미니장치(6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는 각자의 코스 또는 옵션의 명칭, 각자의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상태, 각자의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상태, 각자의 코스 또는 옵션의 완료상태, 각자의 에러 또는 알림 상태를 서로 공유하거나 서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는 중 어느 하나는 명령을 입력받는 각자의 조작부로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 중 나머지 다른 두개의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는 각자의 통신모듈 또는 서버(10) 통하여 서로 제어명령을 송신하도록 전달할 수 있고, 제어명령을 수신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가 서로 이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장치로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2는 세탁장치(10)와 미니장치(20)의 내부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미니장치(20)는 분리가 가능하게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캐비닛(1)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2), 상기 터브(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드럼(3)과, 상기 터브(2)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2), 상기 터브(2)에 물을 급수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부(23)와, 상기 터브(2)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비되는 배수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와 상기 드럼(3)은 전방에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2)의 후방에 결합되는 스테이터(321)와, 상기 스테이터(321)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와, 상기 로터(322)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3)는 외부급수원과 터브(2)를 연통하는 급수관(231)과, 상기 급수관(23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23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터브(2)에 세제를 투입하도록 구비되는 세제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관(231)은 세제박스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관(251)과, 상기 배수관(252)에 결합되어 물을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는 상기 터브(2)를 상기 캐비닛(1)에 지지하는 지지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히터(H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10)는 상기 터브(2)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Ha)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P) 또는 세탁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캐비닛(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구동부(32), 급수밸브(232), 배수펌프(252), 히터(H1), 열풍공급부(H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임의의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니장치(60)는 외관을 형성하는 미니 캐비닛(1C)과, 미니캐비닛(1C)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는 미니터브(2C), 상기 미니터브(2C)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미니드럼(3C)과, 상기 미니터브(2C)에 결합되어 상기 미니드럼(3C)을 회전시키는 미니구동부(32C), 상기 미니터브(2C)에 물을 급수하도록 구비되는 미니급수부(23C)와, 상기 미니터브(2C)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비되는 미니배수부(2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캐비닛(1C)은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미니캐비닛이 상기 캐비닛(1)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니캐비닛은 상기 캐비닛(1)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니터브(2C)와 상기 미니드럼(3C)은 상부에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니캐비닛(1C)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미니도어(1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구동부(32C)는 상기 미니터브(2C)의 하부에 결합되는 미니스테이터(321C)와, 상기 미니스테이터(321C)에 의해 회전하는 미니로터(322C)와, 상기 미니로터(322C)에 결합되어 상기 미니드럼(3C)을 회전시키는 미니회전축(32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급수부(23C)는 외부급수원과 미니터브(2C)를 연통하는 미니급수관(231C)과, 상기 미니급수관(231C)을 개폐하는 미니급수밸브(232C)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미니급수부(23C)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미니터브(2C)에 세제를 투입하도록 구비되는 미니세제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니급수관(231C)은 세제박스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니배수부(25C)는 상기 미니터브(2C)의 하부에 구비되는 미니배수관(251C)과, 상기 미니배수관(252C)에 결합되어 물을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미니배수펌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세탁장치(60C)는 상기 미니터브(2C)를 상기 미니캐비닛(1C)에 지지하는 미니지지부(22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니터브(2C)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미니가열히터(H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세탁장치(60)는 상기 미니터브(2C)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Ha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미니세탁장치(6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미니컨트롤패널(PC) 또는 미니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은 상기 미니캐비닛(1C)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은 상기 미니구동부(32C), 미니급수밸브(232C), 미니배수펌프(252C), 미니히터(H2), 미니열풍공급부(Ha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작동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임의의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 및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니장치(60)는 상기 미니캐비닛(1c)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미니터브(2c)를 수용하는 드로워(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D)는 전방에 전방커버(DC)를 포함하여 상기 미니캐비닛(1C)에서 드로워(D)가 인출되는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DC)에는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이 배치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중 건조장치(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건조장치(20)는 건조캐비닛(1A), 상기 건조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드럼(2A), 상기 건조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건조드럼(2A)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3A), 상기 순환유로(3A)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건조드럼(2A)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드럼(2A)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A)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A),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A)는 상기 건조캐비닛(1A)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A)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건조건조드럼바디(21A)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건조건조드럼바디(21A)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순환유로(3A)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건조건조드럼바디(21A)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유로(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A)는 상기 캐비닛(1A)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A)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A)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구동부가 건조캐비닛(1A) 내부에 고정된 모터(82),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85), 상기 풀리(8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8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건조구동부는 상기 건조드럼(2A)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A)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28)의 회전축이 상기 드럼(2A)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건조드럼(2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19A)에는 상기 건조구동부를 상기 건조드럼(2A)의 배면 또는 중심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구동부(28A)와 상기 건조드럼(2) 사이에는 별도의 감속기(28a)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감속기(28a)에서 나온 회전축이 상기 드럼(2)의 배면 중앙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감속기(28a)가 상기 제2지지부(19)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건조구동부(28A)가 상기 드럼(2A)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A)에는 상기 드럼 바디(21A)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3A)는 상기 드럼(2)에 연통되어 구비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3A)는 상기 건조드럼(2A)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드럼에서 토출된 공기가 열교환부(4)를 지나 상기 드럼(2A)에 재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덕트(3A)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A),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A),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A)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열교환부(4)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A)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A)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A)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는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43)는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A)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4 참조)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A), 연결덕트(35A), 및 공급덕트(33A)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A)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A)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A)에서 상기 공급덕트(33A)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A)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A)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A)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건조장치(2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에 수집되는 물은 상기 저수부(7)에 수집되어 추후에 일괄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수탱크(72), 상기 저수탱크(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수탱크(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수탱크(72)가 삽입되는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수탱크(72)의 전방면에는 저수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부 장착홀 또는 탱크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A)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패널(71)은 상기 저수탱크(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A)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저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수탱크(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수탱크 (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수탱크 (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흡열부(41)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는 상기 드럼(2A)을 순환하더라도 상기 흡열부(41)에서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드럼(2A) 내부의 의류를 지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에서 응축된 수분은 집수부(37)에 1차 수집된 후 상기 저수부(7)로 2차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7)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35)와 이격된 공간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집수부(37)와 상기 열교환부(4), 세척부(6) 등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집수부(37A)는 상기 연결덕트(35A)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상기 집수바디(371A)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A)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A)는 상기 흡열부(41)와 발열부(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A),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A)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A), 및 상기 지지판(37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A)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A)은 상기 지지판(373A)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A)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A)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A)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
상기 건조드럼바디(21A)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건조장치(2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건조드럼바디(21A)에서 상기 배기덕트(31A)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A)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단면(Y-Z 평면, 및 X-Z 평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는 상기 여과부 바디가 육면체에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여과부 바디는 상기 덕트 관통홀(34)을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전방면(51), 상기 전방면과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후방면(53), 상기 전방면과 후방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바닥면(55), 상기 여과부 바디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57) 및 제2측면(5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51)에는 캐비닛에 구비된 락 체결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락(513, lock)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513)은 상기 여과부 바디의 전방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바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513)은 상기 전방면(51)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락 체결부(16)는 상기 필터장착혹(113)의 마주보는 양측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부 바디를 상기 연결덕트(35)에 삽입하거나, 상기 연결덕트(35)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방면(51)에는 핸들(5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과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공기 및 물)을 여과하는 제1필터(531) 및 제2필터(5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53)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상기 덕트(3A)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후방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후방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55)에는 상기 여과부 바디 내부를 덕트(3A)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바닥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바닥면 관통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흡열부(41)로 공급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수단이되고,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집수바디(371)로 공급되는 유체를 여과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1측면(57)과 제2측면(58)은 상기 전방면(51), 후방면(53) 및 바닥면(55)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바닥면(55)을 기준으로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을 향해 90도 내지 100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세척부(6)를 통해 상기 제1필터(531)에 물이 분사될 경우, 제1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상기 바닥면(55)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필터(551)는 상기 전방면(51)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10도 내지 20도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제2필터는 제1필터의 하단에서 필터장착홀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10 내지 20도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551)가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제1여과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될 것이므로, 제1여과부(5)의 이물질은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될 수 있다.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집중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의 이물을 보다 쉽게 제거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제1필터(531)와 제2필터(551)의 연결점에 이물질이 집중되면, 상기 세척부(6)를 통해 분사된 물이 집수바디(371)로 배출되는데 긴 시간이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측면(57)에는 상기 제1여과부(5) 내부를 상기 집부바디(371)에 연통시키는 바이패스홀 및 상기 바이패스홀에 구비된 제3필터(5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홀 및 제3필터(571)는 상기 상기 제2필터(551)의 최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1필터(531)의 최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된 물이 상기 집수바디(371)로 회수되지 못하는 현상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조장치(20)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수부(7)로 따로 수집될 수도 있고, 상기 세척부(6)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A)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세척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세척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저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건조장치(2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세척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저수부(7)는 저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저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장치(2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저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장치(2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A)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건조장치(2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A)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건조장치(2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A)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20)에는 상기 덕트(3A)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건조장치(20) 내부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건조드럼(2A)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부(28)가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28)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드럼(2A)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28)는 상기 제2지지부(19)에 지지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및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구동부(28)는 감속기(28A)에 따로 결합되고, 상기 감속기(28A)가 상기 건조드럼(2A)의 배면 중앙(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건조드럼(2A)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감속기(28A)는 상기 회전축의 RPM은 감소시키면서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공간활용도를 위해, 상기 전방패널(11) 또는 상기 드럼(2)을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캐비닛(1)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420)와, 상기 물탱크(4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물펌프(430)와, 상기 물펌프(430)와 상기 물탱크(4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물펌프(430)가 상기 캐비닛(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물탱크(420)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물펌프(430)가 장착될 수 있는 펌프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는 리세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420) 또는 상기 물펌프(430)에서 누수된 물이 상기 건조드럼(2A)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를 구획하는 격벽(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탱크하우징(410)이 상기 물탱크(420)가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잔수나, 상기 펌프장착부(412) 상의 잔수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격벽(413)에는 상기 물탱크(420)와 상기 물펌프(4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장관(4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에는 밸브 구조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물탱크(420)가 상기 탱크장착부(411)에서 분리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416)는 상기 격벽(413)에서 상기 물펌프(430) 또는 상기 물탱크(42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보다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스팀부(200)와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42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공급되는 유로가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탱크장착부(411)와 상기 펌프장착부(412)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30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캐비닛(1) 내부에는 회전하는 건조드럼(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 내부에 배치된 구성은 상기 건조드럼(2A)과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물공급부(30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드럼(2)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부(200)에서 스팀을 드럼(2)에 공급하는 스팀안내관(230) 또는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하는 상기 직수관(510) 등은 상기 건조드럼(2A)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
한편, 물탱크(420) 및 물펌프(430)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물의 하중까지 지지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를 지지하여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가 상기 드럼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스팀부(200)와 상기 물공급부(300)을 상기 건조캐비닛 내부에 지지하는 지지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스팀부(20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물공급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을 상기 건조캐비닛에 고정 또는 지지할 수 도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상기 건조전방패널(11)과 상기 건조배면패널(12)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건조전방패널(11)과 상기 건조배면패널(12)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건조측면패널(14)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건조전방패널(11) 및 상기 건조배면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바(440)는 양단이 캐비닛(1)에 결합되되 그 외 부분은 상기 캐비닛(1)의 측면 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440)가 상기 상부패널(13)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패널(13)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상부패널(13) 사이에 상기 물공급부(300) 및 상기 스팀부(2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로 인해 상기 탱크하우징(410)의 너비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면에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의 경중 까지 분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센서는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420)의 장착여부 및 상기 물탱크(420)에 수용된 수량에 대한 정보까지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상기 펌프하우징(430)에서 상기 스팀부(200)로 물을 배출하는 펌프배출관(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상기 제2지지부(19A) 또는 상기 건조배면패널(12) 상에 안착되는 직수밸브(520)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스팀부(20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직수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건조배면패널(12)에서 상기 스팀부(200)까지 연장되고,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직수관(510)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수관(510)은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지지바(440)를 가로질러 상기 스팀발생기(2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수관(5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바(440)에 지지되어 건조드럼(2A)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직수밸브(520)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수밸브(520)는 상기 건조배면패널(12) 또는 제2지지부(19A)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510)이 상기 직수밸브(520)에서 상기 스팀부(20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급수원에서 직수방식으로 상기 스팀부(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에서 물을 각각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부(200)가 각각의 관으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면, 별도의 스팀부(200) 형상이 제조되어야 하며, 유로 및 제어방법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이 합지되도록 결합시키는 합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내부공급부(40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외부공급부(500)에서 직수방식으로 공급되는 물이 모두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부(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는 3방밸브로 구비될 수 있고, 3개의 관이 결합된 합지관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공급부(500)와 상기 내부공급부(400)는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수관(510)에는 상기 직수관(510)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직수체크밸브(511)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에는 상기 펌프배출관(433)을 일방향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체크밸브(43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배출관(433)과 상기 직수관(510)에 각각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공급부(500)는 외부체크밸브를 구비하고, 내부공급부(400)는 내부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직수관(510)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물펌프(43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펌프배출관(4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직수밸브(51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지부(600)는 밸브 또는 합지관으로 구비되면 상당한 자중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합지부(600)에 물이 통과되면 상기 합지부(600)에 상당한 무게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지부(600)는 상기 지지바(440) 상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와 상기 지지바(400)는 별도의 고정부재로 서로 결합되어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합지부(600)가 상기 지지바(400)에 안착됨으로 인해, 상기 직수관(510)과 상기 펌프배출관(433)의 위치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합지부(600)에 연결되어 물공급부(300)의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물안내관(220)과, 상기 물안내관(22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210)와, 상기 스팀발생기(210)에서 발생된 스팀을 상기 건조드럼(2A) 또는 덕트(3A)로 안내할 수 있는 스팀안내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210)는 상기 건조드럼(2A) 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물공급부(300)로부터 물을 중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생성된 스팀을 밀도 차이에 의해 상기 건조드럼(2A)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안내관(230)은 상기 건조드럼(2A)의 전방에 구비되는 가스켓이나, 상기 제1지지부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안내관(230)이 상기 건조드럼(2A)에 접촉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건조드럼(2A)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10)은 상기 물탱크(42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착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착센서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위센서는 무게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센서 또는 상기 수위센서도 상기 제어패널(8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어패널(82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물펌프(430)를 일시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물펌프(430)에 부가되는 부하를 감지함을 통해, 상기 물탱크(420)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물탱크(430) 보다 상당히 부피가 더 크게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430)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4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와 상기 스팀부(200)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는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타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30)는 상기 탱크장착부(411)에 결합되므로, 상기 탱크장착부(411)도 상기 지지바(440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바(440)는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스팀발생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저수탱크(72)와 상기 물탱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보조장치(60)를 포함할 경우에,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세탁장치(10)는 사용자와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세탁컨트롤패널(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컨트롤패널(P)은 상기 세탁장치(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P8)와, 상기 세탁장치(1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P9)와, 상기 세탁장치(10)에서 발생하는 알림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세탁스피커(K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탁장치(10)의 구동부, 급수부, 배수부 등을 포함하는 세탁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M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M1)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M1)가 사용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S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P9)는 후술하는 조작부(P4), 전원부(P46), 수행부(P47), 설정부(P2)등 상기 세탁장치(10)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10)는 통신모듈(T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T1)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통신모뎀(T11)과, 상기 통신모뎀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통신제어부(T12)와, 상기 제어부(M1)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M1)에 수신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통신제어부(T1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통신저장부(T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T1)은 상기 세탁장치(10)의 컨트롤패널(P)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도,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단말(40), 상기 서버(50)와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T1)은 후술하는 건조통신모듈(T2)과, 미니통신모듈(T31)과 직접 페어링(pairng) 되어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T1)이 상기 컨트롤패널(p)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공급받으면 상기 컨트롤패널(P)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20)는 사용자와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건조컨트롤패널(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은 상기 건조장치(2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건조표시부(P8A)와, 상기 건조장치(2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건조입력부(P9A)와, 상기 건조장치(20)에서 발생하는 알림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건조스피커(K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조장치(20)의 구동부 등을 작동하는 건조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제어부(M2)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제어부(M2)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건조제어부(M2)가 사용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건조저장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입력부(P9A)는 후술하는 조작부(P4), 전원부(P46), 수행부(P47), 설정부(P2)등 상기 세탁장치(10)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20)는 건조통신모듈(T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신모듈(T2)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건조통신모뎀(T21)과, 상기 건조통신모뎀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건조통신제어부(T22)와, 상기 건조제어부(M2)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건조제어부(M2)에 수신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건조통신제어부(T2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건조통신저장부(T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통신모듈(T2)은 상기 건조장치(20)의 컨트롤패널(PA)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도,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단말(40), 상기 서버(50)와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통신모듈(T2)은 후술하는 통신모듈(T1)과, 미니통신모듈(T3)과 직접 페어링(pairng) 되어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통신모듈(T2)이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공급받으면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미니장치(60)는 사용자와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미니컨트롤패널(P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은 상기 미니장치(6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미니표시부(P8C)와, 상기 미니장치(6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미니입력부(P9C)와, 상기 미니장치(60)에서 발생하는 알림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미니스피커(K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니장치(60)의 구동부, 급수부, 배수부 등을 작동하는 세탁코스 및 옵션을 수행할 수 있는 미니제어부(M3)를 포함하고, 상기 미니제어부(M3)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미니제어부(M3)가 사용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미니저장부(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입력부(P9C)는 후술하는 조작부(P4), 전원부(P46), 수행부(P47), 설정부(P2)등 상기 세탁장치(10)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장치(60)는 미니통신모듈(T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니통신모듈(T3)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미니통신모뎀(T31)과, 상기 미니통신모뎀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미니통신제어부(T32)와, 상기 미니제어부(M3)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미니제어부(M3)에 수신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미니통신제어부(T32)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미니통신저장부(T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니통신모듈(T3)은 상기 미니장치(60)의 컨트롤패널(PC)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도,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단말(40), 상기 서버(50)와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통신모듈(T3)은 후술하는 통신모듈(T1)과, 건조통신모듈(T2)과 직접 페어링(pairng) 되어 통신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통신모듈(T3)이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명령을 공급받으면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외부단말(40)은 상기 세탁장치(10), 상기 건조장치(20), 상기 미니장치(60)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모듈(40b)과, 상기 서버(50)와 통신하도록 구비되는 원거리통신모듈(40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단말(40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표시부(42)와, 상기 세탁장치(10) 등의 가전제품이나 상기 서버(50)에 명령을 전달하는 단말입력부(44)와, 상기 단말표시부(42) 및 단말입력부(44),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40)은 단말저장부(48)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단말제어부(46)를 제어할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
상기 서버(50)는 상기 외부단말(40),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5)와, 상기 외부단말(40),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에 수신된 정보를 연산하거나 전달할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처리장치(52)와, 상기 외부단말(40),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세탁장치(10), 건조장치(20), 미니장치(6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저장되는 저장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컨트롤패널(P)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세탁장치(10)의 상기 컨트롤패널(P)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세탁장치(10)와 상기 건조장치(20)에 동일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니장치(60)에도 적용될 수 있다 .
다시말해, 상기 컨트롤패널(p)과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과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는 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1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컨트롤패널(P)을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컨트롤패널(P)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명령,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는 실행명령, 수행되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중단하는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것은 의류의 이물질을 물과 세제를 통하여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상기 의류에 함유된 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에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원명령, 선택명령, 실행명령, 수행명령,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한 문제상황을 표시하는 에러정보나, 사용자가 취해야 될 조치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과, 상기 전방패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상부패널(13)은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강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전방패널(1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방패널(11)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패널(11)의 전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은 단순한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전방패널(11)의 배면에 단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방패널(11)이 상기 캐비닛(1)의 전면 대부분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전방패널(11)의 일체감이 강화되어 심미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패널(11)을 제작하는 과정이 간소화되며, 상기 전방패널(11)과 상기 컨트롤패널(P)을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을 상기 전방패널(11)에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 등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P7)와, 상기 조작부(P7)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P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P7)는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액정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와 후술하는 선택부(R)가 상기 조작부(P7) 내부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은 전체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가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p7)는 회전하며 상기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조작부(p7)가 회전할 때마다 대응되는 코스 또는 옵션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후술하는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일정영역에서 문자, 안내문구 등으로 표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P)이 상기 전방패널(11)에서 차지하는 면적 또는 면적비율을 크게 축소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1)에는 별도의 문자 등이나 안내문구가 부착되지 않아 심미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의 디스플레이(P84)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영역(D1)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전원명령, 선택명령, 실행명령, 수행명령, 중단명령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태 또는 에러정보나, 사용자가 취해야 될 조치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내용표시영역(D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표시영역(D1)은 상기 도어(113)가 캐비닛에 잠금여부를 설명하는 잠금상태(D11), 상기 통신모듈(T)의 활성화 상태(D12),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상태(D13), 사용자에게 알림정보가 있음을 표시하는 알림상태(D14)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영역(D2)는 상기 표시부(P8)에서 가장 면적이 크게 표시되는 영역으로 코스 또는 옵션의 선택상태, 수행상태, 중단상태, 완료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후술하는 다른 가전제품의 상태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표시부(P8)에서 표시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하는 선택부(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조작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패널(P)이 차지하는 영역을 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상기 표시부(P8)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표시부(D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물리버튼이나 터치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P84)는 상기 선택부(R)와 대응되는 지점에 상기 선택부(R)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는 입력영역(D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역(D3)은 상기 선택부(R)가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도록 활성화될 수 있을 때 빛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P7)와 표시부(P8)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상기 조작부(P7) 및 표시부 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명령을 입력하는 전원부(P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P46)를 입력하여 상기 조작부(P7)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전원부(P46)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 장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선택된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거나 중단하는 수행명령이 입력되는 수행부(P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부(P47)은 상기 조작부(P7)와 상기 표시부(P8)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확실한 수행 또는 중단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P7) 및 상기 표시부(p8)의 기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수행부(P47)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 장착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 수행부(P47), 상기 조작부(P7), 상기 표시부(p8)은 하나의 제어박스(P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코스에 옵션을 부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설정부(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부(P2)를 통해 상기 코스가 수행되는 강도, 지속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케이스(P1)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전방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별도의 액정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옵션을 기입할 수 있는 터치패널 이나 물리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P46), 수행부(P47), 상기 조작부(P7), 상기 설정부(P2)를 통칭하여 입력부(P8)로 정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도어(112)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도어(112)를 상기 전방패널(11)에 고정시키는 잠금부(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드럼이 회전하는 등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12)를 상기 전방패널(11)에 잠금(lock)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도어(112)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L)는 상기 도어(112)를 상기 캐비닛(1)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에서 돌출된 후크를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후크를 파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척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13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세제박스(45)가 인출되는 세제홀(P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도어(112)를 개방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도어(112)가 상기 캐비닛(1)에 잠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도어(112)의 외주면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상기 도어(112)에 결합되는 제한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0b)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부(10c)에 상기 도어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도어의 제한부(10b)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드럼(2) 내부를 건조하거나 환기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P)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P9),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P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M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P9)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P46),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P7),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수행부(P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컨트롤패널이 전방패널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장치(10)에는 세제공급부(P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P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세제박스 하우징(241),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결관(242), 및 상기 전방패널(11)에 구비된 세제박스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세제박스(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세탁처리장치(1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세제박스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243)의 전방면에는 세제박스 패널(24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 패널(248)은 상기 세제박스 투입구(133)를 폐쇄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제박스 패널(248)에는 세제박스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전방패널(11)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세제박스(243)가 관통하는 세제박스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상기 컨트롤패널(P)가 고정되는 인터페이스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3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3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6)와 상기 제2입력부(47)는 상기 표시부(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건조장치(20)로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세제박스에 관련된 구성이 저수조(7)로 변경되는 것 외에는 나머지는 동일할 수 있다.
도9은 컨트롤패널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어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P4, 제1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P5, encoder),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P5)에 연결된 조작부(P7),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 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는 표시부(P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상기 구동부(23,27,25), 상기 스팀부(200), 상기 물공급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P41)를 통해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는 일면(패널 지지부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P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위치를 설정하는 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제1보스(411) 및 제2보스(41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제1보스(411)가 관통하는 기판 관통홀(P42), 및 상기 제2보스(412)가 관통하는 보스 삽입홀(P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스(412)는 상기 제1보스(411)의 좌우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보스(411)의 상하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P8)에는 와이어(822)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P8)가 상기 제1회로기판(P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의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411)에는 제1보스 관통홀(413)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 지지부(12)에는 와이어 관통홀(123, 도 4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2)는 상기 제1보스 관통홀(413) 및 상기 와이어 관통홀(1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전원부(P46)와 수행부(P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표시부(P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와 수행부(P47)는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1버튼(46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1감지센서(464), 및 상기 제1버튼과 상기 제1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463, 제1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제2버튼(471),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된 제2감지센서(474), 및 상기 제2버튼과 상기 제2감지센서를 연결하는 전도체(미도시, 제2터치 스프링)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제1버튼 장착부(136) 및 제2버튼 장착부(117)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버튼(461)은 상기 제1버튼 장착부(116)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버튼(471)은 상기 제2버튼 장착부(117)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P46)와 상기 수행부(P47)는 상기 표시부(P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치 스프링(463)과 제2터치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제1버튼(461)과 제2버튼(471)이 각 버튼 장착부(116, 11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46)에는 제1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462)가 구비되고, 상기 수행부(47)에는 제2버튼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조작부(P7)를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조작부(P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는 상기 컨트롤패널(P)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도 상기 컨트롤패널(P)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10는 인코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코더(P5)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P8)가 고정되는 고정부(P51), 상기 고정부(P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P7)가 고정되는 회전부(P52), 및 상기 회전부(P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P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P51)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는 고정바디(P512), 상기 고정바디(512)에서 연장되며 상기 회전부(P5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디(511),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기판 관통홀(P42)에 연결(제1보스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1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512)의 원주면 또는 상기 고정바디의 일면(제1회로기판을 향하는 면)에는 기판 체결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513)가 삽입되는 인코더 고정홀(P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513) 및 상기 인코더 고정홀(P44)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고정홀들(P44)은 상기 기판 관통홀(P42)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관통홀(514) 내부에는 상기 표시부(P8)를 상기 고정부(51)에 체결하는 체결바디 고정부(531), 및 상기 표시부(P8)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표시부(8)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표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설정홈(5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는 상기 지지바디(511)와 고정바디(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가 지지바디(5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을 형성하는 상기 고정부(P51)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바디 관통홀(5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P52)는 상기 지지바디(5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디(5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지지바디(511)가 관통하는 회전바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바디(521)에는 상기 조작부(P7)가 체결되는 샤프트 체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체결부(522)는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관통하는 체결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P54)는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바디(512)나 지지바디(51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미치 상기 센서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바디(521)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P5)가 조립된 상기 제1회로기판(P4)은 절연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P4)으로 물이 공급되어 회로가 단락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일면(프론트 패널을 향하는 면)에 코팅될 때 상기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회전바디(521)가 상기 지지바디(511)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P)에는 인코더 커버(P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 커버(P7)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P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바디(512)를 감싸는 고정바디 커버(P61), 및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P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는 기판 체결부(6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P4)에는 상기 기판 체결부(611)가 고정되는 인코더 커버 고정홀(P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체결부(611) 및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P45)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인코더 커버 고정홀들(P45)은 상기 기판 체결부(51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 내부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위해,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의 원주면에는 커버 배출구(6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구(612)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61)의 원주면 중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절연물질은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상기 인코더(P5) 및 인코더 커버(P6)가 모두 결합된 뒤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도포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P4)의 일부 영역(인코더 커버의 외부 공간)에 분사된 절연물질은 상기 커버 배출구(612)를 통해 상기 인코더 커버(P6)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절연물질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고정바디(5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1)는 상기 제1회로기판에서 상기 커버 배출구(612)의 최상단까지의 거리(L2)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코더 커버(P6)는 상기 고정바디 커버(P61)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디(521)를 감싸는(지지바디를 감싸는) 지지바디 커버(P6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커버(P63)는 상기 조작부(P7)가 상기 커버 관통홀(6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디 커버(63)는 상기 조작부(P7)가 상기 회전바디(5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는 조작부와 표시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작부(P7)는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형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전방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P71)는 내부에 샤프트 관통홀(711)이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회전바디(521)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P7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바디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바디에 구비된 샤프트 체결부(52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P71)는 상기 회전바디 체결부(712) 및 샤프트 체결부(522)를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에 고정된다.
상기 핸들(P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P71)에 고정되고, 사용자는 상기 핸들(P73)을 통해 상기 회전바디(521)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상기 샤프트(P71)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핸들(P73)에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에 연통하도록 상기 핸들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731), 및 상기 핸들(P73)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P73)의 지름이 상기 샤프트(P71)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경우, 상기 샤프트(P71)에는 상기 핸들(P73)이 고정되는 베이스(7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713)는 상기 샤프트(P71)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disk)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P73)과 베이스(713)는 상기 원형핸들(73)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734) 및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된 핸들 체결부(714)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체결부(734)는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고정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핸들 체결부(714)는 상기 베이스(71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P73)과 베이스(71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핸들(P73)에는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와 다른 하나의 베이스 체결부(734)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 가이드(73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713)에는 상기 체결 가이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상기 베이스(713)의 원주면이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바디(512)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P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P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P84)를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P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P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바디(512)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b), 및 상기 체결바디(8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수용바디(81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용바디(81a)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81a)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1)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811)은 수용바디 관통홀(812)을 통해 상기 핸들에 구비된 수용공간(731)에 연통한다(수용바디 관통홀은 핸들 관통홀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은 상기 수용바디(81a)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1)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바디(81b)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b)에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연결되는 체결바디 관통홀(815)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는 상기 하우징(P81)을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나아가, 상기 체결바디(81b)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위치설정 돌기(8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체결바디(81b)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81a)는 상기 체결바디(81b)의 말단에서 상기 체결바디(81b)보다 직경이 더 크게 연장되어 상기 장착공간(8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수용바디(81a)에 완전히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표시부(P8)의 전방과 후방이 실링됨으로서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형상은 상기 인코더에 구비된 위치설정홈(53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의 위치는 상기 위치설정홈(532)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설정 돌기(817)와 위치설정홈(532)은 상기 체결바디(81b)가 상기 바디 관통홀(51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바디 체결부(816)가 상기 체결바디 고정부(531)에 결합되지 못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고정바디 체결부와 체결바디 고정부의 결합을 담보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 연결된 와이어(822)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5)을 통해 상기 하우징(P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는 다수의 램프(8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은 상기 핸들(P73)의 회전 시 상기 신호발생부(54)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P8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과 상기 디스플레이(P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와 상기 제2회로기판(P82) 사이에 위치하는 장착부(P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는 상기 장착공간(81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84)가 고정되는 안착홈(8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홈(832)에는 커넥터 관통홀(83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구비된 커넥터(841, flexible PCB 등)는 상기 커넥터 관통홀(83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P8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램프(821)가 삽입되는 램프 관통홀(8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관통홀(835)은 상기 램프(821)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램프 관통홀(835)의 위치는 상기 안착홈(832)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 또는 상기 안착홈(832)의 하부에 위치된 장착바디의 공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이 상기 램프 관통홀(835)을 통해 상기 하우징(P81)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수용바디(81a)에 구비된 장착바디 체결부(813) 및 상기 장착바디(831)에 구비된 수용바디 체결부(833)를 통해 하우징(P81)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돌기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장착바디(831)의 원주면(수용바디에 접촉하는 장착바디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가 고정되는 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개수는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장착바디 체결부(813)와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장착바디(831)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83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상부 체결부, 및 상기 안착면(832)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하부 체결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용바디 체결부(833)는 상기 안착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P84)와 제2회로기판(P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바디(81a)에는 윈도우(P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P85)는 상기 수용바디(81a)와 상기 장착바디(8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 관통홀(812)를 폐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P85)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된 정보 및 상기 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윈도우(P85)가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윈도우(P85)에는 상기 장착바디(831)를 향해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851)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851)가 결합하는 고정돌기 체결부(8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P82) 역시 상기 장착바디(8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P83)는 상기 장착바디(831)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82)을 향해 돌출된 돌기(8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는 상기 돌기(838)가 삽입되는 돌기 관통홀(82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윈도우(P85)에는 상기 커버의 투명도를 낮추는 커버시트(8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시트의 투명도는 상기 장착공간(811) 내부가 외부에서 확인 하기 어려운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커버시트의 투명도가 커버의 투명도보다 낮게 설정). 상기 커버시트(853)는 상기 커버(85)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커버시트 중 상기 램프 관통홀(835)이 투영된 영역에는 문자나 기호(H)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P83)에서 상기 램프관통홀(835) 중 입력영역(D3)에 대응되는 램프관통홀(835)은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영역(D3)을 가압하라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상기 표시부(P8)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택부(R)는 상기 표시부(P8)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P8)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P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된 상태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받는 상기 선택부(R)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부(R)가 결정하는 결정명령이 달라지므로 상기 선택부(R)는 가변형 입력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코스 및 옵션의 선택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안내문이 표시되면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안내문을 확인하는 결정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택부(R)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윈도우(P85)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구비되어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R3), 및 상기 센서(R3)와 상기 윈도우(P85)를 연결하는 전도체(R2) 또는 물리버튼(R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윈도우(P85)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수신부(R1)와, 일단은 상기 수신부(R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R3)에 연결된 전달부(R2)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바디(831)에는 상기 전달부(R2)가 삽입되는 전도체 관통홀(837)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수신부(R1)는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제어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상기 윈도우(P85)의 상부공간에 표시영역(D1)이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P85)의 하부공간에 입력영역(D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R1)의 넓이를 넓게 설정하면, 상기 입력영역(D3)의 넓이가 확장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R1)의 넓이는 상기 윈도우(P85) 넓이의 1/4 내지 1/2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R2)와 상기 수신부(R1)는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 전류가 대전되거나 전달되어 상기 센서(R3)로 상기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R2)와 상기 수신부(R1)는 물리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체가 상기 수신부(R1)을 가압하면 상기 센서(R3)로 상기 신체의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R1)는 상기 윈도우(P85)의 배면에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카본계열의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P)는 상기 선택부(R)를 사용자가 가압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8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선택부(R)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수신부(R1)의 위치와 대응되는 램프(821)와 상기 램프 관통홀(8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부(839)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의 하부에 배치된 램프관통홀(835)과 상기 램프관통홀(835) 내부에 설치된 램프(8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839)를 구성하는 램프관통홀(835)와 상기 램프(821)는 상기 디스플레이(P84)의 하부에서 상기 장착부(83)를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도부(839)에서 상기 램프(821)가 빛을 발산하면 상기 선택부(R) 또는 상기 선택부(R)에 인접한 영역이 밝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830)의 램프(821)는 LED 소자 등으로 구비되어 별도의 문자나 문구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구조의 컨트롤패널(P)는 상기 표시부(P8) 및 조작부(P7)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단이 필요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컨트롤패널(P)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P73)을 돌릴 때 마다(인코더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때 마다), 기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제어명령의 검색 및 변경).
원하는 제어명령이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R)를 통해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부(R)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수행부(P47)를 통해 실행명령을 입력한 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P73)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결합된 반면 상기 표시부의 하우징(P81)은 상기 제1회로기판(P4)에 고정되므로, 상기 핸들(P73)과 하우징(P8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핸들(P73)과 하우징(P8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핸들(7P3)의 회전이 구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P81)에서 베이스(
도12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활용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P8)의 상태표시영역(D1)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여부, 통신모듈의 활성화 여부, 코스 또는 옵션의 동작 여부, 안내문구 발생여부 등이 아이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영역(D1)에는 상기 조작부(P7)를 회전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표시내용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복수의 점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점 중 하나가 빛을 발산하면서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 표시된 내용의 개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는 코스 및 옵션의 내용,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상태, 사용자에게 필요한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내용표시영역(D2)은 상기 상태표시영역(D1)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영역(D3)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도록 빛을 발산할 수 있고, 어떤 내용을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지 안내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의 왼쪽에는 전원부(P46)가 구비될 수 있고, 오른쪽에는 수행부(P 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P7)는 상기 표시부(P8)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
상기 임의의 코스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행정(drying cycle)을 수행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P7)가 회전되면,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부(P8)의 내용표시영역(D2)에 해당 코스의 명칭 및 간단한 옵션명칭이 표시될 수 있고, 코스 또는 옵션의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옵션은 상기 설정부(P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임의의 옵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옵션은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스를 수행하는 각 행정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물의 온도, 물의 양,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임의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램프 및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전도체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코스에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옵션선택부(B)와, 상기 옵션선택부(B)와 대응되는 옵션정보가 표시되는 옵션표시부(B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옵션선택부(B)는 상기 코스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 및 지속시간, 물의 양, 헹굼횟수와 관련된 헹굼력을 조절하는 헹굼부(B1)와, 상기 코스가 탈수행정을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 지속시간과 관련된 탈수력 탈수부(B2)와, 상기 코스가 세탁행정을 수행할대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부(B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표시부(B4)는 상기 헹굼력, 탈수력, 온도를 객관화, 단위화하여 보여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부(P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기능을 활용하는 활용명령을 입력받는 활용부(C)를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활용부(C)는 기능성의류, 연질의 의류, 통세척과 같은 특수세탁행정을 입력할 수 있는 세탁부(C1)와, 특정 시간에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예약명령을 입력하는 예약부(C2)와, 상기 코스 행정 중의류에 스팀을 부가하여 살균을 도모할 수 있는 살균부(C)와, 다른 기기와의 패어링 등의 추가적인 부가기능을 활용하는 부가기능부(C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P2)는 상기 건조장치(20) 또는 미니장치(60)와 통신하는 연결명령을 입력받는 전환부(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부(P2)는 현 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기능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은 점등되고, 실행될 수 없거나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는 기능은 소등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보조디스플레이(P19)를 통해 상기 내용들을 전부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장치(10)의 컨트롤패널(P)로 건조장치(20) 또는 미니장치(60)를 표시하고 제어하는 실시예와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반복적인 설명을 제거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건조컨트롤패널(PA)로 세탁장치(10) 또는 미니장치(60)를 제어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컨트롤패널(PC)로 세탁장치(10) 또는 건조장치(20)를 제어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전원부(P46)가 입력되어 부팅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의 디스플레이(P84)는 조작부(P7)로 선택가능한 코스 또는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단말(40)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단말(40)을 이용하여 AP(30)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AP(30)에 접속된 통신모듈은 상기 외부단말(40)을 통해 상기 서버(50)에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서버(50)는 상기 AP(30)의 포트정보를 상기 외부단말(4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한번, 외부단말(40)을 통해 상기 서버(50)에 등록된 통신모듈은 상기 서버(50)와 지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부단말(40)은 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명령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서버(50)는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모듈(T) 통해 의류처리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 또는 외부단말(40)에서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20,60)은 외부단말(40)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될 수 있다.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제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부(P2)의 보조디스플레이(P19)에서 상기 부가기능부(C4)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P8)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여러 부가기능이 표시될 수 잇다.
상기 부가기능에는 통신모듈(T)와 AP(30)를 연결하는 WIFI 연결기능, 상기 서버(50)에서 제공받은 프로그램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0)의 성능을 진단하는 스마트 진단 기능, 상기 컨트롤패널(P)의 입력을 불활성화 하는 버튼 잠금 기능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외부단말(40)로 원격제어가 되도록 설정하는 원격제어기능(D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P)에 표시된 여러 부가 기능은 상기 조작부(P7)가 회전하면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능(D22)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여 원격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원격제어를 설정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설정부(P2), 조작부(P7), 선택부(R)를 입력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원격제어를 신중하기 설정하도록 하여, 임의로 외부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었을 때의 컨트롤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외부단말(40)을 통해 전부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단말(40)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P7)와 상기 설정부(p2)와, 수행부(p47), 전원부(p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단말(40)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도 on/off 할 수 있다.
또한, 외부단말(40)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코스 및 옵션을 선택하고, 실행시킬 수도 있고, 옵션도 선택할 수 있으며, 부가기능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인접한 다른 사용자도 의류처리장치를 컨트롤패널(P)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를 직접 제어하는 사용자 간의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의류처리장치(10)의 제어권 및 주도권은 외부단말(40)을 소유한 사용자가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조작을 통해 원격제어가 설정되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을 원격에서 제어하려는 강력한 의사가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P)은 입력이 불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P7), 상기 수행부(P46), 상기 설정부(P2)의 입력이 불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의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P7), 상기 수행부(P46), 상기 설정부(P2)의 입력은 감지할 수 있지만, 상기 입력에 반응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는 빛이 하나도 발산되지 않게 되어 모든 버튼이 불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P7)의 원형핸들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될 수 있지만, 상기 표시부(P8)에 어떠한 반응도 없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정부(P2)의 경우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는 부가기능부(C4)는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는 부가기능부(C4)를 통해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은 허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해제할 강력한 의사가 있다면, 상기 원격제어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P46)는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때, 컨트롤패널(P)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P8)는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상태라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 상기 원격제어가 설정되었다는 원격제어의 명칭(D2a)을 표기할 수 있고, 상기 원격제어 중이므로 컨트롤패널(P)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문(D2b)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영역(D1)에 버튼이 잠금되어 불활성화 되었다는 잠금아이콘(D11)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p)이 조작불가능하게 되어도 원격제어 중이라는 것을 인지하여 추가조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표시영역(D3)에는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선택부(R)가 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선택부(R)의 입력이 활성화 되어 빛이 발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여 원격제어를 쉽게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부(R)는 불활성화 되어 입력을 받지 못하게 되면, 상기 선택부(R)로는 원격제어를 해제하지 못할 수 있다.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선택부(R)를 활성화시키는 기준은 후술한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외부단말로 원격제어 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제어 설정은 상기 외부단말(40)에서도 수행될 수 잇다.
상기 외부단말(40)에서 원격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상기 원격제어가 가능한 원격명령(41)이 등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명령(41)을 눌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화면을 등장시킬 수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15(b)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단말(40)에 의해서 원격제어가 설정되면, 상기 부가기능부(E4)를 통해 원격제어를 설정한 것과 같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입력이 불활성화 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간의 혼선이 방지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코스 선택 전에 해제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원격제어가 설정되어 입력이 불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에는 원격제어명칭(D2a)과 안내문(D2b)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상태인 것과, 입력이 불가능한 상태라는 것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설정하였다고 하더라도, 코스 및 옵션을 수행하기 전이라면, 원격제어 사용자가 당장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의사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P)을 조작하는 상황이라면, 다른 사용자에게 원격제어를 해제할 의사가 있다고 볼 여지도 있다. 그러나,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P)을 단순 조작한 것만으로 원격제어 설정을 해제해버리면, 어린아이 등이나 애완동물이 컨트롤패널(P)을 조작하였을 때 원격제어가 해제될 수 있어서, 원격제어를 설정한 사용자의 의사에 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전 이라면, 상기 선택부(R)는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선택부(R)는 상기 컨트롤패널(P) 중에서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핸들 내부 및 표시부(P8)에 위치한다. 나아가, 상기 표시부(P8) 중에서도 디스플레이(P84) 보다 더 작은 면적을 차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면적이 매우 작은 상기 선택부(R)를 정확히 입력하였다는 것은 원격제어를 해제할 확실한 의사가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R)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R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도문은 “원격제어 해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도문(R1)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할 수 있다.
도16(b)를 참조하면, 상기 선택부(R)가 입력되면, 원격제어 설정이 곧바로 해제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설정부(P2)와 원형핸들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단순하게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처리장치가 무한정 대기하는 것을 방지하고, 당장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에게 제어권을 넘길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컨트롤패널(P)은 입력이 가능하도록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설정부(P2)의 보조디스플레이(P19)도 점등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조작부(p7)로 선택될 수 있는 코스명칭(D21)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수행부(P46) 보다 상기 조작부(P7)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선택부(R)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P7) 내부에 표시부(P8) 및 선택부(R)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p7)는 상기 수행부(p47)와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행부(P46)를 입력한 사용자는 상기 수행부와 멀리 이격된 표시부(P8)를 확인한 뒤 선택부(R)를 입력해야만,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다.
다시말해, 서로 이격된 컨트롤패널(P)의 구성을 정확한 순서로 조작해야만 원격제어가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패널(P)은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된 컨트롤패널(P)의 구성을 정확한 순서로 조작되지 않으면, 원격제어 해제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서, 원격제어를 설정한 사용자를 더 우선시 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를 해제할 의사가 없는 사용자의 조작에서 의류처리장치를 독립시킬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원격제어가 코스 수행 중에 해제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가 설정되어 외부단말(4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패널(P)은 입력이 불활성화된 상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부단말(40)에 의해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 중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외부단말(40)에 원격제어 중이라는 안내문(211)과,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상태(D21)를 디스플레이(P84)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P8)에는 상기 선택부(R)의 입력이 불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선택부(R)의 입력으로 상기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패널(P)은 설정부(P2)의 보조디스플레이(P19)도 모두 소등되어 입력이 불활성화되고, 상기 조작부(P7)도 입력이 불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P)은 상기 표시부(P8), 조작부(P7), 설정부(P47)의 입력으로는 원격제어 설정을 해제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수행부(P46)를 입력하거나, 상기 전원부(p47)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수행부(P46)와 , 상기 전원부(p46)가 입력되면, 상기 코스 및 옵션은 일시정지될 수도 있으나 코스 및 옵션의 수행이 해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원격제어 상태는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도17(C)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는 유도문(R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도문(R1)을 확인하여,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고 상기 원격제어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문(R1)은 원격제어 취소 라고 기재될 수 있으나, 세탁장치(10)인 경우 세탁취소, 건조장치(20)인 경우 건조취소 라고 기재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중에 상기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은 진행 중인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을 취소하는 다소 강력한 행위라는 것을 인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코스 및 옵션의 수행중에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은 원격으로 진행 중인 코스 및 옵션의 수행을 원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문은 원격제어를 취소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보다 명확히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가 상기 선택부(R)의 입력으로 상기 설정부(P2)의 보조디스플레이(P19)는 점등되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진행 중일 때는 상기 코스 및 옵션이 진행 전일 때보다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다시말해, 코스 또는 옵션의 진행중일 경우에는 코스 및 옵션이 진행 전일 때보다 상기 컨트롤패널(p)의 입력부(P9)를 더 많이 누르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중일때는 상기 수행부(P46), 선택부(R) 등 서로 이격된 구성을 사용자가 순서에 맞게 누르도록 함으로써, 더 엄격하게 원격제어 해제의사를 확인할 수 있고, 코스 및 옵션을 수행 중인 원격제어 사용자의 의사를 더 존중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및 옵션의 수행 중인 의류의 처리를 더 우선시 할 수 있다.
도1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원격제어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안내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8(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가 설정되어, 컨트롤패널(P)이 불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P8)의 디스플레이(P84)는 원격제어의 명칭(D2a)을 표기할 수 있고, 상기 원격제어 중이므로 컨트롤패널(P)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문(D2b)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코스가 진행 전인 상태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부(R)에 유도문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코스 진행 중인 상태일 경우, 상기 선택부(R)는 입력이 불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사용자는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절차를 따르지 않고, 임의로 상기 컨트롤패널(P)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코스 및 옵션이 진행 전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부(R)를 입력하여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부(P7)의 원형핸들이나, 설정부(P2), 표시부(p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코스 및 옵션의 진행 중 일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수행부(p47)를 입력하고, 선택부(R)를 입력하여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조작부(P7)의 원형핸들이나, 설정부(P2), 표시부(p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가 원격제어 해제 방식을 모른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P84)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원격제어 해제시에는 선택부를 입력하세요” 또는 “원격제어 해재시에는 일시정지 하고, 선택부를 입력하세요” 등의 설명문구 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내용표시영역(D2)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또 다시 조작부(P7)의 원형핸들이나, 설정부(P2), 표시부(p8) 등을 입력하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가 가이드를 정독하지 못했거나 이해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18(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P8)에 가이드가 표시되었음에도, 반복적으로 원격제어 해제 절차와 무관한 컨트롤패널(P)의 입력이 있다면,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에게 상기 원격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시연하는 영상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Q)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P8)는 상기 QR코드의 설명문구(Q1)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QR코드를 외부단말(40)로 촬영하여 원격제어를 해제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컨트롤패널(P)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원격제어 해제방식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및 QR코드를 표시했음에도 제대로 조치하지 못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해제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해제를 허용해서는 안된다고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P)을 조작하는 주체가 원격제어를 설정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을 금지한 심약자 또는 어린이, 애완동물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를 유지함으로서 사용자간의 혼선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 : 세탁장치 10, 건조장치 20, 미니장치 60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패널 지지부 13: 프론트 패널 134: 패널 관통홀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급수부
24: 세제공급부 25: 배수부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2: 기판 관통홀 44: 인코더 고정홀 45: 인코더 커버 고정홀
46: 제1입력부 461: 제1버튼 462: 제1스토퍼
464: 제1감지센서 47: 제2입력부 471: 제2버튼
5: 인코더 51: 고정부 511: 지지바디
512: 고정바디 513: 기판 체결부 514: 바디 관통홀
52: 회전부 521: 회전바디 522: 샤프트 체결부
531: 체결바디 고정부 532: 위치설정홈 54: 신호발생부
6: 인코더 커버 61: 고정바디 커버 611: 기판 체결부
612: 커버 배출구 62: 커버 관통홀 63: 지지바디 커버
7: 액추에이터 71: 샤프트 711: 샤프트 관통홀
712: 회전바디 체결부 713: 베이스 714: 핸들 체결부
715: 가이드 홈 73: 핸들 731: 수용공간
732: 핸들 관통홀 734: 베이스 체결부 735: 체결 가이드
74: 핸들 배출구 75: 실링부 751: 실링바디
752: 실링바디 관통홀 553: 제1절개면 754: 제2절개면
755: 절개홈 756: 제1접촉돌기 757: 제2접촉돌기
758: 제3접촉돌기 8: 표시부 81: 하우징
81a: 수용바디 811: 장착공간 812: 수용바디 관통홀
813: 장착바디 체결부 814: 스페이서 81b: 체결바디
815: 체결바디 관통홀 816: 고정바디 체결부 817: 위치설정 돌기
82: 제2회로기판 821: 램프 822: 와이어
823: 돌기 관통홀 83: 장착부 831: 장착바디
832: 안착홈 833: 수용바디 체결부 834: 고정돌기 체결부
835: 램프 관통홀 836: 커넥터 관통홀 837: 전도체 관통홀
84: 디스플레이 841: 커넥터 85: 커버
851: 커버 고정돌기 852: 커버 실링부 853: 커버시트
9: 선택부 91: 제1전도체 92: 제2전도체
93: 센서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캐비닛과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외부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신모듈;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제어되는 원격제어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상태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명령을 입력받되,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명령이 가변되는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중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불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이면 상기 수행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의 입력이 활성화 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행부 보다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를 수용하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원형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선택부는 상기 원형핸들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중에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이격되어 상기 옵션을 변경하는 옵션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설정부와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이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선택부가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원격상태를 해제하는 방법을 시연하는 영상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만 상기 선택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원격제어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선택부의 입력을 유도하는 유도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어도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중단,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외부단말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를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상태에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 중이면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이 수행 전일 때보다, 상기 입력부가 더 많이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이격되어 상기 옵션을 변경하거나 상기 원격제어를 설정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설정부;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을 실행시키거나 중단시키는 수행명령을 입력받는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전이면 상기 설정부, 상기 수행부 또는 상기 조작부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되,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중이면 상기 설정부 또는 수행부가 입력되고,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어야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또는 옵션의 수행 전이면 상기 조작부가 입력되면 상기 원격제어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84006A 2021-06-28 2021-06-28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06A KR20230001287A (ko) 2021-06-28 2021-06-28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N202280046521.3A CN117580987A (zh) 2021-06-28 2022-06-28 接口和具有该接口的衣物处理设备
EP22833566.7A EP4363648A1 (en) 2021-06-28 2022-06-28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U2022300773A AU2022300773A1 (en) 2021-06-28 2022-06-28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22/009200 WO2023277510A1 (en) 2021-06-28 2022-06-28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006A KR20230001287A (ko) 2021-06-28 2021-06-28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87A true KR20230001287A (ko) 2023-01-04

Family

ID=8469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006A KR20230001287A (ko) 2021-06-28 2021-06-28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3648A1 (ko)
KR (1) KR20230001287A (ko)
CN (1) CN117580987A (ko)
AU (1) AU2022300773A1 (ko)
WO (1) WO20232775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0252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32262A (ko) * 2012-09-06 2014-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N209958088U (zh) * 2019-03-25 2020-01-1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操作面板、衣物处理装置
CN112227000B (zh) * 2019-06-27 2023-01-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控制方法
CN112430977A (zh) * 2020-11-17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筒洗衣机的控制方法、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00773A1 (en) 2024-01-18
CN117580987A (zh) 2024-02-20
EP4363648A1 (en) 2024-05-08
WO2023277510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8358B1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TW200928041A (en) Drum washing machine
KR10259816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01287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8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177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90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4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5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6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055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8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
KR2023000129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
KR20230004053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054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056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057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4052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AU20212010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171045B2 (ja) ウォータサー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01237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8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01239A (ko)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74A (ko) 의류처리장치
JPH057690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