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83A -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1283A KR20230001283A KR1020210084002A KR20210084002A KR20230001283A KR 20230001283 A KR20230001283 A KR 20230001283A KR 1020210084002 A KR1020210084002 A KR 1020210084002A KR 20210084002 A KR20210084002 A KR 20210084002A KR 20230001283 A KR20230001283 A KR 20230001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arer
- unit
- shoulder
- auxiliary
- spine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17445 musculoskelet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8000023178 Musculoskele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489861 Maxi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은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고정부; 상기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메인 탄성부; 착용자의 가슴 부위 상에 배치되어져 상기 어깨 고정부의 양측 간을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어깨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체스트 벨트; 착용자의 무릎 부위 각각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지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상지 착용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지 고정부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동시에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상기 메인 탄성부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탄성부는 상단이 상기 어깨 고정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지 착용부에 연결되어 척추의 근력을 보조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탄성밴드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에,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을 교체 가능한 메인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상지 착용부와 무릎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하지 착용부 간을 보조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 근력이 약한 노인 및 근력이 저하된 환자, 장애인 등의 보행을 원활하게 할수 있는 보행보조기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도 활발해지는 추세에 있다. 시골이나 서민주택가에서는 보행보조기 대행으로 유모차를 끌고 다니시는 할머니들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유모차와 유사한 형태의 바퀴 달린 보조기구들은 보조기구에 의지해 보행을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의지해야 할 사람이 그 보행기구를 밀어서 이동시켜야 하며 도로의 상태가 나쁜 곳이나 장소가 협소한 곳 등에서의 이동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몸에 착용하는 형태로써 동력으로 작동되는 보행보조기구의 경우에는 구동모터, 배터리 등으로 인해 무게가 무거워져서 취급과 사용이 어려울 수 있으며, 그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손수레 형태의 바퀴가 달린 주행체에 장착하거나, 그 동력을 몸에 부착된 기구에 전달해 사용토록 한 보행보조기구의 경우에는, 그 이용자가 상기 주행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행동할 수 없고 도로상태가 나쁜 곳이나 협소한 장소에서의 이동과 행동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을 교체 가능한 메인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상지 착용부와 무릎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하지 착용부 간을 보조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은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고정부; 상기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메인 탄성부; 착용자의 가슴 부위 상에 배치되어져 상기 어깨 고정부의 양측 간을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어깨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체스트 벨트; 착용자의 무릎 부위 각각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지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상지 착용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지 고정부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동시에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상기 메인 탄성부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탄성부는 상단이 상기 어깨 고정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지 착용부에 연결되어 척추의 근력을 보조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은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을 교체 가능한 메인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동시에 상지 착용부와 무릎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하지 착용부 간을 보조 탄성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켜 줌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자유 상태에서는 힘을 받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중량물을 들기 위해 허리를 숙이는 만큼 탄성 밴드가 늘어나 장력을 발생시켜 허리를 펼 때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덜 들게 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전체적으로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며, 착용 및 사용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아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후방 사진이다.
도 3은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이루는 메인 탄성부의 예시적인 모습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전후면 사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상체 후면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후방 사진이다.
도 3은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이루는 메인 탄성부의 예시적인 모습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전후면 사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한 상태의 상체 후면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은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110),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고정부(120), 상지 착용부(110)와 어깨 고정부(120) 간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메인 탄성부(130), 착용자의 가슴 부위 상에 배치되어져 어깨 고정부(120)의 양측 간을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어깨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체스트 벨트(140), 착용자의 무릎 부위 각각에 고정되는 하지 고정부(150), 일단이 상지 착용부(110)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지 고정부(150)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동시에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메인 탄성부(130)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160) 및 상지 착용부(110)의 후면 상에 부착되는 야광 조명부(170)를 포함한다.
상지 착용부(110)는 착용자의 복부 및 허리 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성이 있는 직물 소재를 갖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 및 허리 부분을 직접적으로 감싸는 형태를 갖는 상지 착용 본체(111), 상지 착용 본체(111)의 양측부 상에 찍찍이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지 벨크로(112), 상지 착용 본체(111)의 양측을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길이 조절 버클부(113)를 갖는다. 상지 착용 본체(111)는 전체적으로는 중앙 상단이 약간 돌출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지 착용부(110)를 착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길이 조절 버클부(113)를 구비하는데, 길이 조절 버클부(113) 통해서 착용자의 허리에 견고하게 착용되도록 하여 신체에 작용하는 힘의 밸런스가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지 착용 본체(111)는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심전도 센서(210)와 사용자 단말기(M)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어깨 고정부(120)는 등중앙띠(121)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등중앙띠(121)는 착용자의 목 뒷부분을 감싸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 연결부 및 탄성부 연결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어깨부위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어깨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등중앙띠(121)는 중앙부 일단이 메인 탄성부(130)의 상부단에 결합되어진다.
등중앙띠(121)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보다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있어서,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중앙띠(121)는 관성센서(2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등중앙띠(121)의 양단은 착용자의 좌, 우측 어깨를 감싼 상태에서 가슴부위를 통해 상지 착용부(1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보조띠(122)를 통해 양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된 보조띠(122)의 끝단은 상지 착용 본체(111)에 고정되며, 착용자의 어깨에 따라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 고정부(150)는 착용자의 무릎 각각에 고정된다. 하지 고정부(150)는 착용자의 무릎에 독립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각각 벨크로로 형성되는 허벅지고정띠(15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지 고정부(150)에는 근전도센서(230)를 구비될 수 있다.
하지 고정부(150)는 착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부분은 쿠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쿠션재질의 바깥측에는 플라스틱재질의 연결보조구가 결합되어 보조 탄성부(16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메인 탄성부(130)는 상단이 어깨 고정부(120)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지 착용부(110)에 연결되어 척추의 근력을 보조한다. 이때, 메인 탄성부(130)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들을 고려해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착용 및 하지 근력 보조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메인 탄성부(130)는 요추 부분의 탄성밴드를 사용자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교체하는 것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신장, 체격조건, 근력에 따라 사용자의 조건에 따른 스마트 작업복이 가능하다. 메인 탄성부(130)는 예를 들어 탄성 밴드의 개수에 따라 탄성력이 다른 3가지 타입의 허리 밴드를 제작하여 사용자의 개별 근력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메인 탄성부(130)는 탄성밴드 15cm, 길이 조절 웨빙 27cm를 통해 요추 부위의 밴드 총 길이 42cm를 구현 가능하다.
메인 탄성부(130)는 공압 인공 근육(Mckibben-type pneumatic artificial muscle) 방식을 적용하여 근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메인 탄성부(130)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면, 고무 튜브에 압축 공기가 공급될 때 인공 근육은 반경 방향으로 팽창하는 동시에 고무 튜브 슬리브의 메시 구조로 인하여 축 방향을 따라 수축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작은 압력 조절기를 갖고 다니면서 공기 압축기와 공기 압력을 제어하게 한다.
보조탄성부(160)는 상지 착용부(110)와 하지 고정부(150)를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메인 탄성부(130)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때, 보조탄성부(160)는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중앙에 납작한 코일로 형성되고, 납작한 코일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결다리가 형성되어 각각 상지 착용부(110)와 하지 고정부(150) 각각에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에 불편함을 최소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작업에 따른 움직임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탄성부(16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탄성부(160)는 상지 착용부(110)와 하지 고정부(150)에 강도조절부를 통해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다리와 납작한 코일을 따라 전체적으로 광센서(240)가 결합될 수 있다. 광센서(240)를 통해 보조탄성부(160)의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확인되면, 연결다리고정구를 통해 보조탄성부(160)를 분리하여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메인 탄성부(130) 및 보조탄성부(160)는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그 복원력을 통해 착용자가 들어 올리려는 물건의 무게를 경감시켜 힘을 들이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와 같이 힘이 부족한 사람들도 중량의 무게를 안전하게 들어 올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스트 벨트(140)를 통해 어깨끈 흘러내림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 상지 착용부(110)를 복대 형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키고 허리 교정에 도움을 준다는 점, 요추 부분의 탄성밴드인 메인 탄성부(130)를 사용자에 따라 여러 타입으로 교체하는 것과 동시에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신장, 체격조건 및 근력에 따라 사용자의 조건에 따른 스마트 작업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 요추 부분과 대둔근에서 무릎 뒤까지 이어지는 부분의 메인 탄성부(130)를 통하여 척추와 하지 근력 보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 및 하지를 무릎 보호대인 하지 고정부(150)로 고정함으로써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는 점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을 이루는 등중앙띠(121)의 중앙부 상에는 메인 탄성부(130)와 분리 결합을 가능하게 한 버클 구조를 갖는데, 상기 버클 구조에 끼울 수 있도록 슬링 고리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슬링 고리와 작업복 간을 연결하여 재활 훈련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중량물 들기 작업 시에 허리와 다리를 굽히고 펼 때 탄성밴드의 장력을 통해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하여 힘을 덜 들게 함으로서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전체적인 재질이 천재질로 형성되어 산업용에 비해서 가볍고, 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의 블록도를 보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조 작업복은 제동 센서부(201), 심전도 센서(210), 관성센서(220), 근전도센서(230), 광센서(240), 프로세서(250) 및 전자 섬유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동 센서부(201)는 메인 탄성부(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탄성밴드를 제동해 줄 수 있는 제동기능을 담당한다. 탄성밴드인 메인 탄성부(130)의 구동을 위한 방법으로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밴드 리트랙션장치 내지 래칫 기어를 이용한 제동장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심전도 센서(210)는 착용자의 등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심전도를 센싱할 수 있다.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되는 착용자의 심전도는 실시간으로 센싱된다. 프로세서(250)는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된 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부(260)를 통해 알람을 형성하여 작업을 중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심전도 센서(210)를 통해 센싱되는 값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90)로 전달될 수 있다.
관성센서(220)는 착용자의 기울어진 등의 각도 및 움직임을 센싱한다. 상기 관성센서(220)는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 시에 구동기 내부의 무게추 또는 3축센서가 기울기를 감지하여 공압근육을 작동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착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릴 때에, 잘못된 자세로 들어 올리게 되면 허리를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50)는 착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어올릴 때에, 착용자의 허리각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진동부(260)를 통해 진동을 형성하고, 더불어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것을 요구하는 경고메세지를 사용자 단말기(290)를 통해서 추가로 제공하여 착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진동부(260)는 상지 착용부(110)에 구비되는 패드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근전도센서(230)는 하지 고정부(150)에 배치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무릎 근처의 허벅지 근육량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근전도센서(230)를 통해 획득되는 근육량 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착용자의 허벅지 근육량이 기설정된 범위 이하로 감소한 상태에서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하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알람을 형성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광센서(240)는 보조탄성부(160)가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서 탄성범위를 초과한 소성상태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센싱한다. 만약, 프로세서(250)는 광센서(240)를 통해 보조탄성부(160)가 탄성범위를 벗어나 그 기능을 상실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람을 형성하여 보조탄성부(160)의 교체를 유도하여 사용 중에 부상을 당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광센서(240)는 변형률게이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고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코일형태로 형성되면서 길게 형성되는 보조탄성부(160)의 상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심전도 센서(210), 관성센서(220), 근전도센서(230), 광센서(240) 각각이 IoT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사전 획득 및 저장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미리 저장된 착용자 정보와 현재 착용자의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250)는 현재 작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기기에 구비되는 진동부(260)를 통해 경고 알람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50)는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 및 근육량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IoT 카메라(270)와 연동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프로세서(250)는 주위에 있는 IoT 카메라(270)와 네트워크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동작을 촬영하면서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만약, 착용자가 부적절한 자세로 들어 올리는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IoT 카메라(270)는 실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80)를 활성화시켜 정확한 자세를 착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중량의 물건을 들어올릴 때에 사용자가 부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착용자가 스마트 보조 작업복을 착용하게 되면, 관성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이때, 관성센서(220)를 통해 사용자가 준비운동을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준비운동의 판단은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준비운동 범위의 움직임일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250)는 착용자가 준비운동이 없는 상태에서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활성화시켜 준비운동 동작이 제공되는 영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중량의 물건을 들어 올리기 전에 준비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250)는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구비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되고,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 보조 작업복에 구비되는 IoT로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네트워크 통신하며 상기 설명한 내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상지 착용부
120 : 어깨 고정부
130 : 메인 탄성부
140 : 체스트 벨트
150 : 하지 고정부
160 : 보조 탄성부
170 : 야광 조명부
120 : 어깨 고정부
130 : 메인 탄성부
140 : 체스트 벨트
150 : 하지 고정부
160 : 보조 탄성부
170 : 야광 조명부
Claims (1)
- 복대 형식으로 요추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지 착용부;
착용자의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 고정부;
상기 상지 착용부와 어깨 고정부 간에 교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메인 탄성부;
착용자의 가슴 부위 상에 배치되어져 상기 어깨 고정부의 양측 간을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어깨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체스트 벨트;
착용자의 무릎 부위 각각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지 고정부; 및
일단이 상기 상지 착용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지 고정부에 연결되어 척추와 하지의 근력을 보조하는 동시에 연결하여 착용자가 앉았다가 일어날 때에 상기 메인 탄성부와 함께 추가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탄성부는 상단이 상기 어깨 고정부의 하측 좌우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지 착용부에 연결되어 척추의 근력을 보조하며, 길이조정이 가능한 밸크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002A KR20230001283A (ko) | 2021-06-28 | 2021-06-28 |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002A KR20230001283A (ko) | 2021-06-28 | 2021-06-28 |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283A true KR20230001283A (ko) | 2023-01-04 |
Family
ID=8492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002A KR20230001283A (ko) | 2021-06-28 | 2021-06-28 |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128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976B1 (ko) | 2015-04-08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근력 보조 장치 |
-
2021
- 2021-06-28 KR KR1020210084002A patent/KR2023000128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976B1 (ko) | 2015-04-08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근력 보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7942B1 (ko) | 연질 웨어러블 근육 보조 장치 | |
US2021024499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ve exosuit system | |
US12070406B2 (en) | Patch systems for use with assistive exosuit | |
US7780616B2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KR102583289B1 (ko) | 인체 굴 신 보조장치 | |
US5466214A (en) | Dynamic harness for human spine | |
US9420832B2 (en) | Progressive mobility assistance garment for rehabilitation | |
EP3545917B1 (en) | Device for assisting human body bending/stretching using elastic body | |
KR101913187B1 (ko) | 편마비 환자용 보행 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0835407B2 (en) | Orthotic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 |
US11135124B2 (en) |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 |
KR20190133607A (ko) | 상체 보조력 제공 장치 | |
US9585770B2 (en) | Orthotic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 |
CN113195175A (zh) | 屈伸动作辅助装置 | |
WO2019156002A1 (ja) | 歩行補助具、歩行補助方法 | |
AU2013302326B2 (en) | Thoracic stabilizer | |
KR20230001283A (ko) | 교체 가능한 탄성부를 이용한 보조 작업복 | |
KR20190043907A (ko) |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 |
KR101927638B1 (ko) | 밴드를 이용한 힙업기구 | |
CN106726373A (zh) | 一种临时行走辅助机器人 | |
KR102478017B1 (ko) | 스마트 보조 작업복 | |
WO2016043973A1 (en) | Orthotic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 |
CN212326877U (zh) | 一种用于康复训练的盘式电机外骨骼 | |
JP4979139B2 (ja) | 腰部負担軽減用具 | |
US20080208096A1 (en) | Mobility Ai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