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085U -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 Google Patents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085U
KR20230001085U KR2020210003523U KR20210003523U KR20230001085U KR 20230001085 U KR20230001085 U KR 20230001085U KR 2020210003523 U KR2020210003523 U KR 2020210003523U KR 20210003523 U KR20210003523 U KR 20210003523U KR 20230001085 U KR20230001085 U KR 20230001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residue
disposable urine
cleaner
residue cleaner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현
Original Assignee
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현 filed Critical 정상현
Priority to KR2020210003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085U/ko
Publication of KR20230001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0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4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urine col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 A61F2013/456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cup-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량의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는 뇨잔여물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을 위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면이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면(110); 일면에 대응하는 면이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상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면(150); 상면(110)과 하면(150)이 적층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20); 및 접합부(120) 중 일측이 개방되어 음경(1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Disposable urine residue cleaner}
본 고안은 소량의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는 뇨잔여물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을 위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생관념에 대한 기본적 척도가 높아지면서, 남성의 청결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남성의 신체적인 구조의 특성상 소변을 본 다음에는 별도의 뒤처리 없이 그대로 옷을 입었다. 이로 인해 소량의 소변, 소변방울 등이 팬티에 묻곤 하였다.
또한, 노인들의 경우,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소변이 나오는 요실금 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는 사례가 많았다. 종래에는 성인용 기저귀를 착용하였으나 경증인 경우에는 성인용 기저귀의 착용이 부담스러웠고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이 컸다.
특히, 여성용 위생용품은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고 있는데 반해, 남성용 위생용품은 구입과 사용이 쉽지 않았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3-0135474호(의료에서 사용되는 남성용 일회용 눈금 뇨잔여물백).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34025호(남성용 기능성 패드).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 20-2008-0004941호(남성환자뇨잔여물전용기저귀).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남성이 소변을 본 후, 간편하여 뇨잔여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남성을 위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요실금 증세가 있는 남성의 경우, 성인용 기저귀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소변이나 뇨잔여물을 흡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남성을 위한 일회용 뇨잔여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면이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면(110); 일면에 대응하는 면이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상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면(150); 상면(110)과 하면(150)이 적층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20); 및 접합부(120) 중 일측이 개방되어 음경(1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면(110)과 하면(150)은 시트 형상이다.
또한, 접합부(120)는 상면(110)과 하면(150)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채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쌍의 걸림부(1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면(110)과 하면(150)은 종이, 면, 펄프, 스펀지, 부직포, 직물, 및 흡수젤, 흡수겔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면(110)의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접착층(170); 및 접착층(170)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면테이프(14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접합부(120) 중 타측은 원형의 자유단이다.
또한, 입구(130)는 신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한다.
또한, 하면(150)은 입구(130)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부(190)를 더 형성한다. 절개부(190)의 소정길이는 하면(150) 길이의 1/4 ~ 1/2이다.
또한, 절개부(190)는 원형의 일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클리너는 화장실에 일회용 종이컵 형태로 적층하여 배치하거나 사용자의 지갑속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남성이 소변을 본 후, 화장실에 비치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를 뽑아서 뇨잔여물을 흡수시킬 수 있고, 사용된 클리너는 휴지통에 버림으로써 간편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경증 요실금 증세가 있는 남성의 경우, 성인용 기저귀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소변이나 뇨잔여물을 흡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요한 경우에만 착용과 폐기가 가능하고, 성인용 기저귀처럼 계속적으로 착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의 성인용 기저귀와 같이, 좌변기가 있는 독립공간에 들어가 바지를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소변기 앞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팬티에 부착하여 착용하더라도 성인용 기저귀와 달리 착용상태가 겉으로 들어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뇨잔여물이란 소량의 소변, 소변 방울, 잔뇨 분비물, 정액, 전립선염이나 성병 등과 같은 각종 질환으로 인해 요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의 일면은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음경(180) 이상의 길이(예 : 5 ~ 10cm)를 갖는다. 상면(110)은 시트 형상이며, 액체를 흡수하기 용이하도록 종이, 면, 펄프, 스펀지, 부직포, 직물, 및 흡수젤, 흡수겔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한다. 상면(110)의 길이는 음경(180)의 귀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길이(예 : 5cm)면 족하고, 충분한 뇨분비물의 흡수량을 위해 최대 10cm면 된다. 상면(110)의 일단은 입구(130)를 형성하며, 신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한다. 상면(110)의 타단은 밀폐된 원형의 형상이다.
하면(150)은 상면과 동일한 구성이다. 사용전 상태일 때, 상면(110)과 하면(150)은 밀착되어 시트 형상을 유지하며, 두께 방향으로 다수가 적층되어 화장실에 비치될 수 있다.
접합부(120)는 상면(110)과 하면(150)이 겹쳐진 상태에서 입구(130)를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접합부(120)는 뇨잔여물의 누수를 방지한다. 접합부(120)는 상면(110)과 하면(150)의 가장자리를 따라 5 mm ~ 10 mm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합부(120) 중 일측은 입구(130)로 개방되어 있고, 타측은 원형의 자유단이다. 접합부(120)는 융착, 압착, 초음파 접합, 본딩, 재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입구(130)는 사용전에 상면(110)과 하면(150)이 밀착되어 있고, 손으로 벌리면 음경(180)이 삽입될 수 있는 입구(130)를 형성한다.
한쌍의 걸림부(160)상면(110)과 하면(150)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채로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걸림부(160)는 음경(180)의 귀두 부분이 통과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걸림 작용을 한다. 걸림부(16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접합부(120)를 확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걸림부(160)는 생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의 상면에 접착층(170)과 이면테이프(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사용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공중 화장실에 비치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뽑는다. 그 다음 소변기 앞에서 소변을 본 후,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의 입구(130)를 벌린다. 그 다음, 입구(130)에 음경(180)을 삽입한다. 이때, 음경(180)의 귀두 부분이 걸림부(160)에 걸리는 느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뇨잔여물이나 소변 방울이 상면(110)과 하면(150)의 내부로 흡수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빼서 휴지통에 버린다. 이로 인해, 남성은 소변을 본 후 간편하고 신속하게 마무리를 할 수 있다. 공중 화장실에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가 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지갑에 2 ~ 3 장을 넣어서 휴대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중복 설명을 생략하면서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층(170)이 형성되고, 접착층(170)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면테이프(140)가 포함된다. 접착층(170)은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팬티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면테이프(140)는 사용 직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접착층(170)은 팬티에 부착됨으로써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착용후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절개부(190)는 하면(150) 중 입구(130)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절개되어 구성된다. 절개부(190)는 원형의 일부를 포함하여 음경(180)과 음낭(200)의 경계가 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절개부(190)는 하면(150) 길이의 1/4 ~ 1/2이고, 3 ~ 5cm의 폭을 가진다.
제 2 실시예의 사용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증 요실금이 있는 사용자나 고령자는 먼저, 이면테이프(140)를 박리하고, 접착층(170)을 팬티에 부착한다. 그 다음,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의 입구(130)를 벌린 후, 입구(130)에 음경(180)을 삽입한다. 이때, 절개부(190)가 음낭(200)에 닿을 수 있도록 충분히 삽입하거나 걸림부(160)에 귀두가 걸리도록 충분히 삽입한다.
그러면, 보행중 또는 생활 중 뇨잔여물이나 소량의 소변이 상면(110)과 하면(150)의 내부로 흡수된다. 필요한 경우,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10cm 이상의 길이로 만들거나 원형 단부를 더 크게 형성하여 충분한 양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이 끝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는 빼서 휴지통에 버린다. 이로 인해, 남성은 소변기 앞에서 간편하게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를 착용, 교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지갑에 2 ~ 3 장을 넣어서 휴대할 수도 있다.
또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100)가 바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별도의 보정속옷이 불필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
본원발명의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는 외면에 방수용 비닐을 더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외면에 광고를 인쇄할 수도 있다.
또한,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의 내부에 남성용 향수, 냄새 제거용 탈취제나 방향제(예 : 민트향), 남성 청결제(예 : 멘톨 성분)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110 : 상면,
120 : 접합부,
130 : 입구,
140 : 이면테이프,
150 : 하면,
160 : 걸림부,
170 : 접착층,
180 : 음경,
190 : 절개부,
200 : 음낭.

Claims (10)

  1. 일면이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면(110);
    상기 일면에 대응하는 면이 상기 뇨잔여물을 흡수할 수 있고, 상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하면(150);
    상기 상면(110)과 상기 하면(150)이 적층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접합부(120); 및
    상기 접합부(120) 중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음경(1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입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0)과 상기 하면(150)은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20)는 상기 상면(110)과 상기 하면(150)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채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쌍의 걸림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0)과 상기 하면(150)은 종이, 면, 펄프, 스펀지, 부직포, 직물, 및 흡수젤, 흡수겔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110)의 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접착층(170); 및
    상기 접착층(170)에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면테이프(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20) 중 타측은 원형의 자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30)는 신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150)은 상기 입구(130)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만큼 절개된 절개부(19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90)의 상기 소정길이는 상기 하면(150) 길이의 1/4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90)는 원형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KR2020210003523U 2021-11-22 2021-11-22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KR20230001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523U KR20230001085U (ko) 2021-11-22 2021-11-22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523U KR20230001085U (ko) 2021-11-22 2021-11-22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085U true KR20230001085U (ko) 2023-05-31

Family

ID=8654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523U KR20230001085U (ko) 2021-11-22 2021-11-22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085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41U (ko) 2007-04-23 2008-10-28 지은희 남성환자소변전용기저귀
KR20130135474A (ko) 2012-06-01 2013-12-11 변주영 의료에서 사용되는 남성용 일회용 눈금 소변백
KR20160034025A (ko) 2014-09-19 2016-03-29 정용주 남성용 기능성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941U (ko) 2007-04-23 2008-10-28 지은희 남성환자소변전용기저귀
KR20130135474A (ko) 2012-06-01 2013-12-11 변주영 의료에서 사용되는 남성용 일회용 눈금 소변백
KR20160034025A (ko) 2014-09-19 2016-03-29 정용주 남성용 기능성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3482B1 (en) Faecal collector having breathable skin attachment means
JP3406201B2 (ja) 使い捨ておむつ
EP0887061A1 (en) Faecal collector
US20020013566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moval aid and a method for removing the absorbent article
JP3971229B2 (ja) 使い捨てパンツ
US20170202714A1 (en) Human wearable and detachable incontinence device
US20040111073A1 (en) Fixing of male incontinence pad in undergarments
US6951552B2 (en) Diapering system: diaper and integral collector
KR102034738B1 (ko) 면생리대 커버
KR101580875B1 (ko) 남성용 위생팬티
JP6493905B2 (ja) 排尿用具
KR200240666Y1 (ko) 환자용 기저귀
US20050222548A1 (en) Disposable excreta management device
KR20230001085U (ko) 일회용 뇨잔여물 클리너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TW418085B (en) Applicator, faecal management device having the applicator, and method for a caretaker or a wearer for the placement of a faecal management device
JP6446703B2 (ja) 吸収性物品
JP7099694B2 (ja) 排尿用具
EP1539075B1 (en) Fixing of male incontinence pad in undergarments
JP7018894B2 (ja) 尿吸収パッド
KR20170006682A (ko) 밀착력 강화용 생리대
GB2436291A (en) Diposable and biodegradeable absorbant article
JP2003527202A (ja) 多構成要素による失禁ケアシステム
KR20200007442A (ko) 입체형 생리대
EP0887062A1 (en) Faecal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