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15U -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15U
KR20230000915U KR2020210003300U KR20210003300U KR20230000915U KR 20230000915 U KR20230000915 U KR 20230000915U KR 2020210003300 U KR2020210003300 U KR 2020210003300U KR 20210003300 U KR20210003300 U KR 20210003300U KR 20230000915 U KR20230000915 U KR 202300009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quipment
locking device
button
cov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210003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915U/ko
Publication of KR20230000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6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 E05B17/185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ck 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는 전기 장비의 몸체에 설치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측부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버튼이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기 회전 레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본 고안은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ACB)는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전력계통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기기이다.
기중차단기(ACB)는 저압 수배전계통의 최상위에 설치되는 차단기로써 높은 사고전류로부터 부하단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기중차단기를 제어할 경우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관계자 외에는 차단기를 제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기중차단기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튼부(온(On)버튼 및 오프(Off) 버튼) 및 투입스프링을 차징하기 위한 회전 레버에 관계자 외의 임의적인 접근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기중차단기 몸체에 설치된 버튼부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버튼 패드락 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버튼 패드락 장치는 버튼부에 대한 접근을 구속하거나 허용할 수 있었고, 기중차단기의 투입스프링을 차징할 수 있는 회전 레버에 대한 임의적인 접근을 방지할 수 없었다.
이 경우, 관계자 외의 사람에 의한 회전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투입스프링이 차징될 수 있었다. 이에 의해, 외부 충격에 의한 버튼부의 오눌림이나 현장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원방 제어 투입이 일어날 수 있어, 기기의 손상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왔다.
따라서, 기중차단기의 임의적인 조작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기중차단기의 버튼부와 회전 레버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할 수 있는 잠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버튼 패드락 장치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취약하여 운반이나 사용중에 외부의 충격을 받을 경우에 파손이 일어날 가능성이 많았다. 따라서, 운반이나 사용시에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잠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기 장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와 회전 레버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할 수 있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 장비나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운반이나 사용시에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장비의 몸체에 설치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측부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버튼이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기 회전 레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기 회전 레버가 회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회전 레버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레버 홈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전기 장비 몸체에 설치된 상기 버튼을 폐쇄한 상태에서, 중앙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면; 및 중앙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을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축홈에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버튼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레버의 맞은 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회전 레버의 제 2 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과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제 2 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과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덮개부의 배면에 접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덮개부의 배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제 1 면에 대응되는 제 3 면; 및 상기 제 2 면에 대응되는 제 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에는 자물쇠가 걸릴 수 있는 제 1 자물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에는 상기 제 1 자물쇠홀에 연결되는 제 2 자물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레버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 장비는 기중차단기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전기 장비의 버튼부 및 회전 레버가 위치하는 버튼홀 및 회전 레버 홈을 폐쇄하거나 개방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버튼부와 회전 레버에 대한 접근을 구속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장비의 버튼부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 부재의 덮개부가 중앙부로부터 전기 장비의 몸체를 향하여 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면 및 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면을 포함하여, 전기 장비 몸체의 정면에서 수직으로 받는 충격에 대해 미끄러짐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장비나 잠금 장치의 운반이나 사용시에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의하여 기중차단기의 버튼 및 레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의하여 기중차단기의 버튼 및 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버튼홀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버튼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의하여 기중차단기의 버튼 및 레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의하여 기중차단기의 버튼 및 레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는 전기 장비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커버 부재가 회동하며 전기 장비의 버튼 및 회전 레버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전기 장비의 버튼 및 회전 레버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조작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장비는 비 제한적인 일 예로서 기중차단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기중차단기는 전력계통의 송수전, 절체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상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로서, 기중차단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기 장비의 작동 버튼은 기중차단기의 몸체에 설치된 온(On) 버튼 또는 오프(Off) 버튼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이 차단 또는 허용될 수 있는 기중 차단기의 작동 버튼은 온 버튼일 수 있다. 기중차단기의 회전 레버는 기중차단기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투입스프링을 차징할 수 있는 레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는 베이스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중차단기 몸체(10)의 전면부에는 투입 및 차단 작동을 위한 온 버튼과 오프 버튼(11) 및 이상전류를 검출하여 트립신호를 전달하는 과부하 계전기(14)가 구비될 수 있다. 기중차단기 몸체의 상부에는 소호부를 이루는 아크 슈트(15)가 일부 노출될 수 있다.
기중차단기 몸체(10)의 전면부의 온 버튼(11)의 측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버튼(11)의 우측에는 기중차단기의 수동 조작을 위하여 투입스프링을 차징할 수 있는 회전 레버(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기중차단기 몸체(10)에는 회전 레버(12)가 기중차단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회전 레버 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레버(12)는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회전축(C2)은 기중차단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레버(12)가 기중차단기 몸체(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는 투입스프링이 차징되지 않아 사용자가 임의로 기중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없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는 기중차단기 몸체(10)의 전면부에 베이스 부재(20)를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커버 부재(30)의 덮개부(32)는 버튼을 커버하고 커버 부재(30)의 걸림부(34)는 회전 레버(12)가 기중차단기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후, 베이스 부재(20) 및 커버 부재(30)의 일측,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자물쇠홀에 자물쇠(19)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버튼(11) 및 회전 레버(12)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투입스프링을 차징한 후 버튼을 눌러 기중차단기를 임의로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는 회전 레버(12)를 잠금으로써 기중차단기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작동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기중차단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서, 커버 부재(30)는 기중차단기의 버튼(11)은 외부로 개방되고, 회전 레버(12)는 기중차단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30)는 베이스 부재(20)의 일측,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회전축(35,C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기중차단기의 버튼(11) 및 회전 레버(12)가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 레버(12)의 일단부를 기중차단기 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회전 레버(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12)의 일단부가 기중차단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회전하면, 투입스프링이 차징되고, 사용자는 기중차단기의 온 버튼 또는 오프 버튼을 누름으로써 임의로 기중차단기를 임의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커버 부재(30)는 덮개부(32), 걸림부(34) 및 제 2 고정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2)는 베이스 부재의 버튼홀(또는, 기중차단기 몸체의 버튼)을 커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되,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절곡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판형 부재를 제 1 플레이트(321)라 하고, 타측에 위치하는 판형 부재를 제 2 플레이트(322)라 규정한다. 즉, 덮개부(32)는 제 1 플레이트(321)와 제 2 플레이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방향은 덮개부(32)가 기중차단기 몸체의 버튼을 커버한 상태에서, 기중차단기 몸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일 방향은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2)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플레이트(321)의 일면에는 덮개부(32)가 기중차단기 몸체의 버튼을 커버한 상태에서, 덮개부(32)의 중앙부로부터 기중차단기의 몸체를 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을 향하여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면(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플레이트(322)의 일면에는 덮개부(32)의 중앙부로부터 기중차단기의 몸체를 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을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면(32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을 향하여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면(3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부는 덮개부(32)가 절곡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중앙부는 덮개부(32)가 기중차단기 몸체의 버튼을 커버한 상태에서 기중차단기 몸체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덮개부(32)의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경사면은 중앙부가 가장 높게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32)는 측면 충격을 적게받을 수 있고, 기중차단기 몸체의 정면에서 수직으로 받는 충격에 대해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의 중앙부는 덮개부(32)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다소 이동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면(32a)과 제 2 면(32b)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경사면의 중앙부의 위치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면(32a)은 제 2 면(32b)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의 중앙부는 덮개부(32)의 중심으로부터 제 2 면(32b)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소 치우쳐져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2)의 일측에는 덮개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 고정부(36)는 덮개부(32)의 상측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36)에는 자물쇠의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제 2 자물쇠홀(36b)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가 제 1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 면(32a)에 있어서 제 2 면(32b)의 반대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1 회전축(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30)의 덮개부(32) 및 걸림부(34)가 제 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버튼(11)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동시에 회전 레버(12)가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허용할 수 있고, 우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버튼(11)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동시에 회전 레버(12)가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회전축(35)은 버튼홀(21)을 중심으로 회전 레버(12)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32)의 중앙부,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는 우측으로 돌출되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32c)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32c)를 파지한 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덮개부(32)를 당김으로써 커버 부재(30)를 제 1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부(34)는 덮개부(32)의 일측에 덮개부(3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걸림부(34)는 회전 레버(12)가 제 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 면(32b)에 회전 레버(1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34)는 회전 레버(12)가 회전하려는 토크에 대하여 강한 저항 토크를 인가할 수 있도록, 회전 레버(12)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부(34)는 제 2 회전축(C2)으로 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는 회전 레버(12)의 일단부에 인접하도록 제 2 면(32b)의 상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4)는 회전 레버(12)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즉, 도 10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두꺼운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34)는 회전 레버(12)를 회전시키는 토크에 저항할 수 있는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 2 고정부(36)의 좌측에는 걸림부(34)에 수직한 평면인 제 6 면(3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서 베이스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22), 제 1 돌출부(24), 제 1 고정부(26) 및 제 2 돌출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의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중앙부에는 기중차단기의 버튼에 대응되도록 버튼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배면에는 결합홈(27)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기중차단기 몸체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결합홈(27)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에 의해 베이스 부재(20)는 기중차단기 몸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좌측에는 제 1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홈(25)은 전후방 방향으로 형성되되, 후방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회전축홈(25)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전면에는 커버 부재의 덮개부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의 덮개부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커버 부재의 덮개부의 배면은 베이스 부재(20)의 제 1 돌출부(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외부 충격에 더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24)는 버튼홀(21)이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버튼홀(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의 경사면이 베이스 부재(20)의 제 1 돌출부(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의 제 2 고정부의 하측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 1 돌출부(24)는 버튼홀(21)의 좌측 및 하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돌출부(24)는 덮개부의 배면과 면접촉하며 덮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덮개부의 제 1 면에 대응되는 제 3 면(24a) 및 덮개부의 제 2 면에 대응되는 제 4 면(2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24)의 상측에는 제 1 돌출부(24)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는 제 2 돌출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돌출부(24)와 제 2 돌출부(28)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28)의 상측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고정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6)에는 제 2 고정부의 제 2 자물쇠홀과 연결될 수 있는 제 1 자물쇠홀(26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6)의 우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수직하는 평면인 제 5 면(2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버튼홀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버튼홀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돌출부(28)는 덮개부(32)의 제 1 면(32a)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제 7 면(28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28)는 제 1 돌출부(24)에 커버 부재(30)의 덮개부(32)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 7 면(28a)과 제 1 면(32a)이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덮개부(32)의 두께만큼 제 1 돌출부(24)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중차단기 몸체의 정면에서 수직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수직 방향 충격은 제 1 면과 제 7 면이 함께 형성하는 평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 1 돌출부보다 제 2 돌출부가 외측으로 더 돌출되며 단차를 형성하므로, 커버 부재의 덮개부는 전술한 단차에 의하여 상측 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 1 돌출부의 전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30)가 제 1 회전축(35)을 중심으로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덮개부(32)에 의해 버튼홀(21)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고, 걸림부(34)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우측(또는, 회전 레버(12)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우측에서 멀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중차단기 버튼(11)에 대한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으며, 회전 레버(12)가 제 2 회전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2)가 버튼홀(21)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 1 고정부(26)의 제 1 자물쇠홀(26b)과 제 2 고정부(36)의 제 2 자물쇠홀(36b)이 연통되어 자물쇠(19)를 설치함으로써, 커버 부재(3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커버 부재(30)가 제 1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배면에는 결합 나사(18)가 기중차단기 몸체의 전면판을 관통하여 결합홈에 결합되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20)는 기중차단기 몸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고정부(26)의 제 5 면(26a)과 제 2 고정부(36)의 제 6 면(36a)은 커버 부재(30)가 버튼홀(21)을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30)가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회동할때 제 1 고정부(26)의 제 5 면(26a)과 제 2 고정부(36)의 제 6 면(36a)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 고정부(26)와 제 2 고정부(36)는 제 1 고정부(26)와 제 2 고정부(36) 사이의 거리(L)가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가 회동하며 제 1 고정부의 제 5 면과 제 2 고정부의 제 6 면이 평행한 상태를 벗어더라도, 제 5 면과 제 6 면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가 접촉하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30)가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회동할때 제 1 고정부(26)와 제 2 고정부(36)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 1 회전축홈(25)은 제 1 회전축(35)에 수직한 방향, 예를 들어 도 6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제 1 회전축(35)의 직경(d)보다 더 큰 깊이(D)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축홈(25)의 폭(W)은 제 1 회전축(35)의 직경(d)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회전축(35) 및 커버 부재(30)는 제 1 회전축홈(25)의 깊이(D) 및 폭(W) 방향으로 다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30)는 제 1 고정부(26)와 제 2 고정부(36)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 1 회전축홈(25)의 깊이(D) 및 폭(W) 방향으로 다소 이동하며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배면(또는, 기중차단기 몸체의 외면)과 평행한 직선(I)과 제 1 면(32a)이 이루는 각도(α)는 직선 I와 제 2 면(32b)이 이루는 각도(β)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덮개부(32)에서 우측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손잡이(32c)가 제 1 회전축(35)으로 부터 먼 거리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커버 부재(30)를 제 1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면(32b)으로 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34)의 상단부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기중차단기 버튼 및 회전 레버에 대한 접근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임의적인 작동을 막을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기중차단기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회전 레버가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 또는 사용자에에 의한 버튼의 오눌림이나 오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주변 기기의 손상이나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의 덮개부가 국부적인 돌출부로 형성되지 않고, 완만한 경사면을 갖도록 하여 운반이나 사용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장금 장치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기중차단기 몸체 11 버튼
12 회전 레버 13 회전 레버홈
14 과부하 계전기 15 아크 슈트
18 결합 나사 19 자물쇠
20 베이스 부재 21 버튼홀
22 베이스 플레이트 24 제 1 돌출부
24a 제 3 면 24b 제 4 면
25 제 1 회전축 홈 26 제 1 고정부
26a 제 5 면 26b 제 1 자물쇠홀
27 결합홈 28 제 2 돌출부
28a 제 7 면 30 커버 부재
32 덮개부 32a 제 1 면
32b 제 2 면 32c 손잡이
34 걸림부 35 제 1 회전축
36 제 2 고정부 36a 제 6 면
36b 제 2 자물쇠홀 321 제 1 플레이트
322 제 2 플레이트

Claims (15)

  1. 전기 장비의 몸체에 설치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측부에 설치되는 회전 레버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버튼이 노출될 수 있도록 버튼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홀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로부터 상기 회전 레버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회전 레버가 회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회전 레버 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레버 홈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전기 장비의 몸체에 설치된 상기 버튼을 폐쇄한 상태에서, 중앙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을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면; 및
    중앙부로부터 상기 몸체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을 향하는 제 2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커버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홈에 결합될 수 있는 제 1 회전축이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버튼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 레버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회전 레버의 제 2 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과 이루는 제 1 각도는 상기 제 2 면이 상기 몸체의 외면과 이루는 제 2 각도보다 작은,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덮개부의 배면에 접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덮개부의 배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제 1 면에 대응되는 제 3 면; 및 상기 제 2 면에 대응되는 제 4 면을 포함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에는 자물쇠가 걸릴 수 있는 제 1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덮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부에는 상기 제 1 자물쇠홀에 연결되는 제 2 자물쇠홀이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회전 레버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몸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비는 기중차단기인,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KR2020210003300U 2021-10-29 2021-10-29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KR202300009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00U KR20230000915U (ko) 2021-10-29 2021-10-29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00U KR20230000915U (ko) 2021-10-29 2021-10-29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15U true KR20230000915U (ko) 2023-05-09

Family

ID=8631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00U KR20230000915U (ko) 2021-10-29 2021-10-29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9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873B2 (en) Circuit breaker with locking mechanism
JP2011108648A (ja) 回路遮断器のロック装置
US6396008B1 (en) Handle lock device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5467622A (en) Handle lock for reciprocally movable operator handle
EP2472547B1 (en) Locking device for use with a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assembly
US20100065406A1 (en) Interlock system and method for rotary disconnect switches
KR101993450B1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해제 장치
EP3594986B1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US5831503A (en) Trip disabling mechanism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6334660B2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482658Y1 (ko) 링메인유닛의 개폐기 인터록 장치
KR20230000915U (ko) 전기 장비용 잠금 장치
EP3196908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20090073785A (ko) 가스절연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US2806098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operating mechanisms
EP2736064B1 (en)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JP6842999B2 (ja) 回路遮断器および回路遮断器の安全装置ユニット
KR102034893B1 (ko) 배전반
KR200441576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장치
JP7302498B2 (ja) 回路遮断器
EP1724804B1 (en) Reset module for an electrical safety device
KR200469030Y1 (ko) 차단기의 핸들 인터록 장치
KR200486691Y1 (ko) 기중차단기의 버튼 패드락 장치
US11795729B2 (en) Handle for a compartment of a low,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KR101198971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