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94A -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94A
KR20230000894A KR1020210111000A KR20210111000A KR20230000894A KR 20230000894 A KR20230000894 A KR 20230000894A KR 1020210111000 A KR1020210111000 A KR 1020210111000A KR 20210111000 A KR20210111000 A KR 20210111000A KR 20230000894 A KR20230000894 A KR 2023000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ventilation
unit
ai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수
이동근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ublication of KR2023000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압축기, 팽창장치,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컨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되는 환기부; 및 상기 에어컨부 및 환기부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부는 실외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외 유입부, 실내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내 유입부,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외 유출부, 및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내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외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외 유입부,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내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내 유입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환기 실외 유출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환기 실내 유출부, 및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와 환기 실내 유출부를 흐르는 제 1 공기 흐름과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와 환기 실외 유출부를 흐르는 제 2 공기 흐름이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와 에어컨부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Window Air Conditioner Comprising Ventilation Part}
본 발명은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에 대한 것이다.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 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오염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에 따라, 창틀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창틀형 환기장치(공기조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창틀형 환기장치는 배출되는 내부 공기와 들어오는 외부 공기 사이에 열교환기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지만, 외기가 뜨겁거나, 추운 경우에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에어컨 중 창문에 설치하는 방식의 창문형 에어컨이 알려져 있으며, 특허문헌 1 에서는 창문형 에어컨에서 상측에 2종 혹은 3종 환기를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창문형 에어컨의 경우에 환기가 부수적으로 구성되어 실질적 환기가 잘 수행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21-0063065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기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원활한 실내 공기 흐름을 가져올 수 있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압축기, 팽창장치,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컨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되는 환기부; 및 상기 에어컨부 및 환기부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부는 실외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외 유입부, 실내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내 유입부,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외 유출부, 및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내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외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외 유입부,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내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내 유입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환기 실외 유출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환기 실내 유출부, 및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와 환기 실내 유출부를 흐르는 제 1 공기 흐름과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와 환기 실외 유출부를 흐르는 제 2 공기 흐름이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와 에어컨부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환기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원활한 실내 공기 흐름을 가져올 수 있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된 창문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된 방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환기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에어컨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환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된 창문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1)이 창(W) 에 설치된다. 창문형 에어컨(1)은 창문(W)을 일부 개방한 상태에서 창문(W)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창문형 에어컨(1)은 케이스(10) 내에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가 배치된다. 즉, 하나의 케이스(1)에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가 같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창문형 에어컨(1)은 에어컨부(200)와 함께 환기부(100)를 포함하며, 에어컨부(200)의 동작과 무관하게 환기부(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환기부(100)는 단순히 외기를 유입시킬수 있는 통로를 포함하는 개념이 아닌, 열교환기(130; 도 5 참고)를 포함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실내로 유입하는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발생시켜, 열손실을 저감시켜 여름철 뿐만 아니라, 사시 사철 사용할 수 있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부(100)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1)이 설치된 방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뒤에서 자세히 다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는 도 2 에서 보이듯이,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방향으로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며, 이는 방안에서 일정한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환기가 있는 경우에 차가워진 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 열교환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에너지 낭비가 따라올 수 밖에 없으나, 환기 공기와 냉각 공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에서는 각 공기 흐름이 서로 마주쳐 형성되는 난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실내를 충분히 냉각한 공기를 환기에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100)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1)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환기부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에어컨부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 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100)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1)의 외관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4 에서 보이듯이, 창문형 에어컨(1)은 하나의 케이스(10) 내에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가 상하로 구분되어 위치된다. 창문형 에어컨(1)의 경우에 창문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정사각형태를 가진다. 제 1 실시예에서, 창문형 에어컨(1)은 하나의 케이스(10)에서 상부에는 환기부(100)가 위치되며, 환기부(100) 아래에 공기 흐름이 분리된 공간에 에어컨부(200)가 위치한다. 환기부(100)는 케이스(10)의 실내측으로 환기 실내 유출부(150)가 위치하며, 에어컨부(200)는 케이스(10) 실내측으로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와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가 위치한다.
한편, 케이스(10)에서 창문에 끼워지며 실외를 향하는 위치에 환기부(100)의 환기 실외 유출부(180) 및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와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가 위치한다. 도 3 밀 4 에서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서,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의 실내 유출부(150, 250)는 상하 방향으로, 즉, 환기부(100)의 환기 실내 유출부(150) 수직 하방에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가 위치하며, 이는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실내 공기를 토출하여 한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환기부(100)의 높이, 즉 환기 실내 유출부(150)의 높이는 에어컨부(200)의 높이,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의 높이보다 작다. 즉, 유로가 형성되는 높이가 에어컨부(200)가 환기부(100)보다 크다. 이는, 환기에 필요한 풍량보다 에어컨을 구동하기 위한, 즉 냉동 사이클을 돌리기 위한 풍량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응축에 많은 공기가 필요하므로, 응축을 위한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가 가장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반면에, 환기의 경우에 동일한 면적을 환기시키기 위한 풍량은 냉각을 시키기 위한 풍량보다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환기 실외 유출부(180)의 크기는 크지 않다.
이 실시예의 도 3 및 도 4 에서도 보이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에어컨부(200)는 수평 공기 흐름을 가진다. 따라서, 에어컨부(200)의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며,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와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의 상부/하부 위치가 동일하며,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의 상부/하부 위치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수평 공기 흐름이라는 것은 유입부와 유출부가 높이 상에서 중첩되는 영역을 가져서 에어컨부(200)에서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대략 수평하게 흐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환기부(100)는 환기 실내 유출부(150) 및 환기 실외 유출부(180)가 동일 높이에 위치하나, 환기부(100)는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환기부(100)로 올라와서 환기 실외 유출부(280)로 유출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는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의 측면에 상기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는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 에는 제 1 실시예의 구성이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도 5 내지 7 을 가지고 제 1 실시예를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10)는 전면 케이스(11), 후면 케이스(12), 상면 케이스(13) 및 하면 케이스(15)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11), 후면 케이스(12), 상면 케이스(13) 및 환기부 바디(140)에 의해서 환기부(100)의 유로가 형성되며, 전면 케이스(11), 후면 케이스(12), 상면 케이스(13) 및 에어컨부 바디(201)에 의해서 에어컨부(200)의 유로가 형성된다.
전면 케이스(11)는 실내를 향하여 볼록한 구조를 가지며, 실내공기가 환기부(100)로 유입되는 환기 실내 유입부(160), 환기부(100)의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환기 실내 유출부(150), 실내공기가 에어컨부(200)로 유입되는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 에어컨부(200)의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가 형성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실내로 공기가 유출되는 환기 실내 유출부(150)와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즉,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서 봤을 때 상기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와 상기 환기 실내 유출부(150)가 겹쳐지게 배치된다.
후면 케이스(11)는 창문형 에어컨(1) 설치 시 창 내에 위치되며, 환기부(100)의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환기 실외 유출부(180), 실외공기가 에어컨부(200)로 유입되는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 에어컨부(200)의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가 형성된다. 환기 실외 유출부(180),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가 실외와 연통하는 관통공(180a, 270a, 280a)이 후면 케이스(11)에 형성된다.
상면 케이스(13)는 상기 환기부(100)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환기부 바디(140)와 함께 유로를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환기부 바디(140)에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상면 케이스(13)가 덮음으로써 유로가 형성되어 커버 역할을 수행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면 케이스(13)에 돌부/홈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부/홈부와 상기 환기부 바디(140)가 협력하여 유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면 케이스(15)는 에어컨부(200)의 아래에서 에어컨부(200)의 압축기(245)가 배치되는 공간 및 응축수를 처리하는 공간등을 형성한다. 통상 하면 케이스(15)는 에어컨부 바디(201)의 하면과 협력해서 에어컨부(200)의 유로와는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 공간에 압축기(245)가 배치될 수 있다.
환기부(100)는 환기(RA)의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로부터 환기 실내 유입부(160)를 지나 배기(EA)인 환기 실외 유출부(180)까지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 유로와 외기(OA)인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로부터 환기 실외 유입부(170)를 지나 급기(SA)인 환기 실내 유출부(150)까지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급기 유로가 상기 환기부 바디(140), 전면 케이스(11), 후면 케이스(12), 상면 케이스(13)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는 열교환기(130)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환기부 바디(140)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4 내벽(140a~d)과 하부 바닥(145)를 포함한다. 제 1 내벽(140a)은 후면 케이스(12)로부터 열교환기(130)로 연장하며 환기 실외 유출부(180)와 환기 실외 유입부(170)를 구분하며, 제 2 내벽(140b)은 전면 케이스(11)로부터 열교환기(130)로 연장하여 환기 실외 유출부(180)와 환기 실내 유출부(150)를 구분하며, 제 3 내벽(140c)은 상기 제 2 내벽(140b)과 평행하며 전면 케이스(11)로부터 열교환기(130)로 연장하여 상기 환기 실내 유출부(150)와 환기 실내 유입부(160)를 구분하며, 제 4 내벽(140d)은 전면 케이스(11)로부터 열교환기(130)로 연장하여 환기 실내 유입부(160)와 환기 실외 유입부(170)를 구분한다.
상기 하부 바닥(145)은 상기 에어컨부(200)와 환기부(100)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정상적인 상황에서 에어컨부(200)와 환기부(100)의 공기가 통하지 않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160)의 하부 바닥(145)에는 하부 바닥(145)에 형성된 제 1 관통공을 커버하게 구성되는 제 1 댐퍼(190)가 구비되며,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170)의 하부 바닥(145)에 형성된 제 2 관통공을 커버하게 구성되는 제 2 댐퍼(195)가 구비된다. 환기 실내 유입부(160)는 실내와 직접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제 1 댐퍼(190)를 통하여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와 연통하고, 환기 실외 유입부(170)도 실외와 직접 연통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댐퍼(195)를 통하여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와 연통한다.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환기 실내 유출부(150)에는 제 3 댐퍼(15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댐퍼(195)와 열교환기(130) 사이에는 필터(F)가 배치되며, 환기부(100)에는 별도의 팬이 구비되지 않으며, 환기부(100)에서의 공기 흐름은 에어컨부(200)의 제 1 및 제 2 팬(210, 22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와 상기 제 3 댐퍼(151)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에어컨부(200)의 경우에 종래의 냉동 사이클을 모두 포함한다. 즉, 에어컨부(200)는 증발기(230), 응축기(240), 압축기(245) 및 팽장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냉동 사이클의 각 구성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에어컨부(200)의 경우에 전면 케이스(11), 후면 케이스(12), 하면 케이스(15) 및 에어컨부 바디(201)에 의해서 환기(RA)인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에서 급기(SA)인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로 흐르는 실내 유로와 외기(OA)인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에서 배기(EA)인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로 흐르는 실외 유로가 형성된다. 실내 유로와 실외 유로는 서로 연통하지 않는다. 실내 유로의 경로 상에는 증발기(230), 제 1 팬(210)이 배치되며, 실외 유로의 경로 상에는 응축기(240), 제 2 팬(220)이 배치된다. 에어컨부(200)의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에는 제 4 댐퍼(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 4 댐퍼(251)는 모터에 연결되어 방향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에어컨부(200)의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에도 제 5 댐퍼(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 5 댐퍼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를 통하여 에어컨부(200)로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에어컨부(200)의 냉동 사이클, 제 4, 5 댐퍼(251), 제 1 및 제 2 팬(210, 220)은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냉동 사이클, 댐퍼(251) 및 제 1 팬(210)과 제 2 팬(2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컨부(200)의 제 4 댐퍼(251)와 상기 환기부(100)의 제 3 댐퍼(151)가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부(200)와 환기부(100)가 동일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제어하여 실내 공기 흐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에어컨의 구동은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팬(210, 220)를 구동하고, 에어컨부(200)의 댐퍼(251)를 개방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 에어컨부(200)의 제 4 및 제 5 댐퍼(251)는 닫은 상태에서 하부 바닥(145)의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는 개방하고, 제 1 및 제 2 팬(210, 220)을 구동시킨다. 이 경우에 에어컨부(200)의 제 4 및 제 5 댐퍼(251)가 닫혀있기 때문에, 에어컨부(20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팬(210, 220)에 의해서 형성된 공기 흐름은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통하여 환기부(100)로 올라오게 되며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후 실내/실외로 토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팬(210)에 의해서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로 실내 공기가 유입되며,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댐퍼(190)를 통하여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160)로 밀려 올라간다.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후 환기 실외 유출부(180)로 배출된다. 상기 제 2 팬(220)에 의해서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며,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댐퍼(195)를 통하여 상기 실외 공기가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170)로 밀려 올라간다.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17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F),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후 환기 실내 유출부(150)로 배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환기부(100)는 별도의 팬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환기부(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에어컨의 경우에 환기보다 더 많은 풍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로가 길어져 유로 저항이 증가하더라도 환기부(100)에서 필요한 풍량은 에어컨부(200)의 팬으로 제공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서 열교환기(1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후면 케이스(1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급기 유로와 배기 유로는 열교환기(130)에서 직각 방향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창문형 에어컨(1)의 경우에 케이스(10)에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가 모두 구비되기 때문에, 환기와 에어컨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창문형 에어컨(1)을 여름에만 설치해서 쓰지 않고, 일년 동안 설치해 놓고 쓸 수 있다. 창문형 에어컨(1)을 설치하는 경우에 창문을 열기 곤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 환기부(100)를 구비하여, 창문형 에어컨(1)의 설치로 창문을 열기 곤란하더라도 실내 환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창문을 열어 환기하는 경우에 더운 실외 공기가 바로 들어오게 되지만, 환기부(100)는 열교환기(130)를 포함하여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공기가 들어와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필터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들어오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많은 경우에도 환기가 용이하다.
도 8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컨부(20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환기부(100)의 구조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환기부(100)가 환기 실내 유입부(160), 환기 실내 유출부(150), 환기 실외 유입부(170), 환기 실외 유출부(180), 열교환기(130), 및 필터(F),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가진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만, 제 2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는 제 1 및 제 2 팬(210, 220) 이후에 배치된다. 즉, 환기부(100)와 에어컨부(200)를 연통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관통공이 제 1 및 제 2 팬(210, 220) 이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댐퍼(190)의 경우에 에어컨부(200)의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팬(210)를 통과한 후 제 1 댐퍼(190)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즉, 제 1 댐퍼(190)는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의 상부 벽, 환기부(100)의 하부 바닥(145)에 형성된다. 제 2 댐퍼(195)의 경우에 에어컨부(200)의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로 유입된 공기가 제 2 팬(220)를 통과한 후 제 2 댐퍼(195)가 배치되게 구성된다. 즉, 제 2 댐퍼(195)는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의 상부 벽, 환기부(100)의 하부 바닥(145)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댐퍼(190)가 환기 실내 유입부(160)에 위치하며, 제 2 댐퍼(195)가 환기 실외 유입부(170)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컨 실내 유출부(250)의 상부에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160)가 위치하며, 상기 에어컨 실외 유출부(280)의 상부에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170)가 위치한다. 또한, 에어컨 실내 유입부(260)의 상부에는 상기 환기 실내 유출부(150)가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270)의 상부에는 환기 실외 유출부(180)가 위치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가 제 1 및 제 2 팬(210, 220) 이후에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컨부(200)에서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통하여 환기부(100)로 공기가 유입되기에 유리하다. 따라서, 환기부(100)를 통한 환기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환기를 위하여 제 1 및 제 2 팬(210, 220)에 큰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어 전력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환기실 제 1 및 제 2 팬(210, 220)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량도 작아질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어부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닫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팬(210, 220) 및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켜 에어컨부(200)만 동작하게 하는 냉방 모드,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열고 제 4 및 제 5 댐퍼(251)를 닫고 냉동 사이클을 정지시킨 후 제 1 및 제 2 팬(210, 220)을 동작시키는 환기 모드 및 제 1 내지 제 5 댐퍼(190, 195, 151, 251)를 열고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키면서 제 1 및 제 2 팬(210, 220)를 동작시키는 냉방 환기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가 제 1 및 제 2 팬(210, 220) 이후에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컨부(200)에서 제 1 및 제 2 댐퍼(190, 195)를 통하여 환기부(100)로 공기가 유입되기에 유리하여 냉방과 환기가 동시에 수행되는 냉방 환기 모드가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 창문형 에어컨 10: 케이스
11: 전면 케이스 12: 후면 케이스
13: 상면 케이스 100: 환기부
110: 급기 팬 110': 환기 팬
120: 배기 팬 130: 열교환기
140: 환기부 바디 145: 하부 바닥
150: 환기 실내 유출부 160: 환기 실내 유입부
170: 환기 실외 유입부 180: 환기 실외 유출부
190, 195: 댐퍼 200: 에어컨부
201: 에어컨부 바디 210: 제 1 팬
220: 제 2 팬 230: 증발기
240: 응축기 245: 압축기
250: 에어컨 실내 유출부 260: 에어컨 실내 유입부
270: 에어컨 실외 유입부 280: 에어컨 실외 유출부

Claims (7)

  1.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 압축기, 팽창장치,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컨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연결되는 환기부; 및
    상기 에어컨부 및 환기부에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컨부는
    실외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외 유입부,
    실내 공기가 에어컨부 내부로 들어오는 에어컨 실내 유입부,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외 유출부, 및
    에어컨부 내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에어컨 실내 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외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외 유입부,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를 통하여 들어온 실내 공기가 환기부 내부로 들어오는 환기 실내 유입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환기 실외 유출부,
    환기부 내부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환기 실내 유출부, 및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와 환기 실내 유출부를 흐르는 제 1 공기 흐름과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와 환기 실외 유출부를 흐르는 제 2 공기 흐름이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와 에어컨부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실내 유입부는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 및 상기 제 1 관통공을 통과한 공기만 유입되게 유로가 구성되며,
    상기 환기 실외 유입부는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 및 상기 제 2 관통공을 통과한 공기만 유입되게 유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 1 팬과, 실외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에는 상기 에어컨부와 상기 환기부 사이의 공기 흐름을 허용 혹은 차단하는 제 1 및 제 2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은 상기 에어컨부에서 상기 에어컨 실내 유입부와 상기 에어컨 실내 유출부 사이에, 상기 제 2 팬은 상기 에어컨부에서 상기 에어컨 실외 유입부와 상기 에어컨 실외 유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에어컨부에서 상기 제 1 팬을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위치에,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에어컨부에서 상기 제 2 팬을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부와 상기 환기부에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팬은 상기 에어컨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팬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11000A 2021-06-25 2021-08-23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20230000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3371 2021-06-25
KR1020210083371 2021-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94A true KR20230000894A (ko) 2023-01-03

Family

ID=849245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71A KR20230000889A (ko) 2021-06-25 2021-07-30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09674A KR20230000892A (ko) 2021-06-25 2021-08-19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11000A KR20230000894A (ko) 2021-06-25 2021-08-23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771A KR20230000889A (ko) 2021-06-25 2021-07-30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20210109674A KR20230000892A (ko) 2021-06-25 2021-08-19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00088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92A (ko) 2023-01-03
KR20230000889A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65593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WO2015182461A1 (ja) エアコン室内機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CN212511502U (zh) 窗式空调器
JP2004116859A (ja) 空気調和機
KR101295311B1 (ko) 빌트업 항온기
WO2021244097A1 (zh) 窗式空调器
CN212511503U (zh) 窗式空调器
KR20230000894A (ko) 환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11059A (ko) 공기조화기
KR100596244B1 (ko) 공조기
CN111288545B (zh) 一种空调式吸油烟机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256354A (zh) 一种新型厨房用换气系统
CN111140934A (zh) 一种厨房用冷空调设备
KR20110087894A (ko) 열교환 환기 장치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CN212005916U (zh) 厨房空气调节系统
US11480347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with make-up air module
JP3222954U (ja) 通風路可変な空調除湿両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