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773U -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773U
KR20230000773U KR2020210003072U KR20210003072U KR20230000773U KR 20230000773 U KR20230000773 U KR 20230000773U KR 2020210003072 U KR2020210003072 U KR 2020210003072U KR 20210003072 U KR20210003072 U KR 20210003072U KR 20230000773 U KR20230000773 U KR 20230000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aluminum
sealing material
bras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영
Original Assignee
김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영 filed Critical 김환영
Priority to KR2020210003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773U/ko
Publication of KR20230000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7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냉매관(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을 말함)을 확관 방식에 의해 실링상태로 이음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는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의 냉매관;
단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황동재의 서비스밸브;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상단에 형성되는 황동재의 제1압축링;
상기 확관부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 상부로 수용측벽이 연장형성되는 황동재의 제2압축링
상기 제1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나사부가 내주연 입구측에 형성되고, 제1,2압축링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2나사부 밑으로 형성되는 체결너트;
상기 확관부에 안착되는 제3경사면이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축링에 결합되는 결합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질의 실링재;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밸브의 연결포트에 상기 체결너트를 체결할 경우 상기 체결너트의 안착부에 안착된 황동재의 상기 제1,2압축링의 접촉면이 밀착되어 상기 실링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확관부의 상면 및 경사면이 상기 실링재와 상호 밀착되어 실링처리되고, 상기 황동재의 제1,2압축링에 알루미늄재의 상기 냉매관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면이 코팅처리된 상기 실링재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refrigerant pipe connector for air conditioner of outdoor fan}
본 명세서는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외기의 서비스밸브에 냉매관(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을 말함)을 확관 방식에 의해 실링상태로 이음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냉매 배관, 가스 배관 등 각종 배관을 소정의 기계적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연결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의 연결구조는 기본적으로 내부의 유체 누수 또는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완되지 않아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된다.
일 예로서, 배관의 연결구조는 배관의 단부를 나팔관처럼 확관시키되, 확관부를 중간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와 볼트를 상호 결합하여 조임에 따라 확관부가 볼트의 선단부에 밀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배관(에어컨의 냉매 배관)의 확관부와 볼트 사이에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되는 슬리브를 게재시켜 이음연결하게 되는 데, 배관을 이음연결하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너트와 볼트를 상호 결합하여 체결시 필요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볼트 선단부와 접촉되는 슬리브가 필요이상의 외력을 받아 형상 변형(크랙 또는 찌끄러짐 발생)이 발생될 경우에 형상 변형으로 인해 틈새가 발생되고, 틈새를 통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094921호에 배관의 연결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서비스밸브와 냉매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체결시킬경우, 서비스밸브에 이음연결되는 압축링과, 냉매관의 확관부사이에 게재되는 실링재(코팅처리된 Al재가 사용됨)의 내구성 확보로 인해 체결시 형상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종 재질의 서비스밸브, 압축링에 대해 냉매관의 확관부가 직접 접촉되어 갈바닉(galvanic)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의 냉매관;
단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황동재의 서비스밸브;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상단에 형성되는 황동재의 제1압축링;
상기 확관부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 상부로 수용측벽이 연장형성되는 황동재의 제2압축링
상기 제1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나사부가 내주연 입구측에 형성되고, 제1,2압축링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2나사부 밑으로 형성되는 체결너트;
상기 확관부에 안착되는 제3경사면이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축링에 결합되는 결합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질의 실링재;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밸브의 연결포트에 상기 체결너트를 체결할 경우 상기 체결너트의 안착부에 안착된 황동재의 상기 제1,2압축링의 접촉면이 밀착되어 상기 실링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확관부의 상면 및 경사면이 상기 실링재와 상호 밀착되어 실링처리되고, 상기 황동재의 제1,2압축링에 알루미늄재의 상기 냉매관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면이 코팅처리된 상기 실링재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서비스밸브와 냉매관을 이음연결하기 위해 체결시킬경우, 서비스밸브에 이음연결되는 압축링과, 냉매관의 확관부사이에 게재되는 실링재의 내구성(코팅처리된 Al재가 사용되고, 종래의 테프론재보다 온도 변화에 대해 반응이 상대적으로 적고 진동에 대해 강한 이점을 갖는다) 확보로 인해 체결시 냉매관의 형상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종 재질의 서비스밸브(황동재), 압축링(황동재)에 대해 냉매관(알루미늄재)의 확관부가 직접 접촉되어 갈바닉(galvanic)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는
단부에 확관부(10)가 형성되는 알루미늄(Al)재의 냉매관(11);
단부에 제1경사면(12)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1나사부(13)(숫나사)가 형성되는 연결포트(14)를 포함하는 황동재의 서비스밸브(15);
제1경사면(12)에 대응되는 경사면(16)이 상단에 형성되는 황동(黃銅)재의 제1압축링(17);
확관부(10)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8)이 내측에 형성되고, 제2경사면(18) 상부로 수용측벽(19)이 연장형성되는 황동(黃銅)재의 제2압축링(20);
제1나사부(13)에 대응되는 제2나사부(21)(나사공)가 내주연 입구측에 형성되고, 제1,2압축링(17,20)이 안착되는 안착부(22)가 제2나사부(21) 밑으로 형성되는 황동재의 체결너트(23);
확관부(10)에 안착되는 제3경사면(24)이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제1압축링(17)에 결합되는 결합턱(25)이 상단에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질의 실링재(26);를 구비함에 따라,
서비스밸브(15)의 연결포트(14)에 체결너트(23)를 나사결합시켜 체결할 경우, 체결너트(23)의 안착부(22)에 안착된 황동재의 제1,2압축링(17,20)의 접촉면이 밀착되어 실링재(26)를 가압함에 따라 확관부(10)의 상면(10a) 및 경사면(10b)이 실링재(26)와 상호 밀착되어 실링처리되고, 황동재의 제1,2압축링(17,20)에 알루미늄재의 냉매관(11)의 확관부(10) 상면(10a) 및 경사면(10b)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면이 코팅처리된 실링재(26)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황동재의 서비스밸브(15) 및 제1,2압축링(17,20)에 대해 알루미늄재의 냉매관(11)의 확관부(10)의 상면(10a) 및 경사면(10b)이 직접 접촉시 이종재질 접촉으로 인해 갈바닉 부식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실링재(26)의 제3경사면(24)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7);을 구비함에 따라,
체결너트(23)의 안착부(22)에 제1,2압축링(17,20) 및 실링재(26)를 수용하여 서비스밸브(15)에 이음연결하기 위해 체결시킬 경우, 걸림턱(27)의 압착에 의해 냉매관(11)의 탄성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확관부(10)가 단부에 형성된 냉매관(11)을 제1,2압축링(17,20) 및 실링재(26)가 안착부(22)에 안착된 체결너트(23)를 이용하여 실외기용 서비스밸브(15)에 기밀상태로 이음연결시킬 경우, 이종 재질로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냉매관(11)의 확관부(10) 상면과, 황동재의 연결포트(14) 및 제1,2압축링(17,20)이 외측면이 코팅처리된 실링재(26)에 의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킴에 따라 이종재질 접촉으로 인한 갈바닉(galvanic)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확관부(10)가 단부에 형성된 냉매관(11)을 체결너트(23)를 관통시켜 확관부(10)를 제2압축링(20)의 제2경사면(18)에 밀착시키고, 제2압축링(20)을 체결너트(23)의 안착부(22)에 안착시킨다.
서비스밸브(15)의 연결포트(14) 단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12)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제1압축링(17)의 경사면(16)을 밀착시키고, 실링재(26)에 형성된 결합턱(25)에 제1압축링(17)을 안착시킨다.
실링재(26)가 결합된 제1압축링(17)을 체결너트(23)의 안착부(22)에 안착시킬 경우 실링재(26)의 하단은 제2압축링(20)의 수용측벽(19)에 수용된다.
따라서, 서비스밸브(15)의 제1나사부(13)에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너트(23)의 제2나사부(21)를 나사결합시켜 체결할 경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실링재(26)가 탄성변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밸브(15)의 제1나사부(13)에 이와 대응되는 체결너트(23)의 제2나사부(21)를 나사결합시켜 서비스밸브(15)의 연결포트(14)에 냉매관(11)을 기밀상태로 이음연결할 경우, 알루미늄재의 실링재(26)에 의해 제1압축링(17)과 이와 밀착되는 실링재(26)사이의 틈새와, 실링재(26)와 이와 밀착되는 냉매관(11)의 확관부(10)의 상면(10a) 및 경사면(10b) 사이의 틈새를 실링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압축링(17,20)이 수용된 체결너트(23)를 서비스밸브(15)에 나사결합시켜 체결할 경우, 제1,2압축링(17,20)의 상호 밀착으로 인해 알루미늄재의 냉매관(11)의 확관부(10)를 압착시킬 경우 실링재(26)에 형성된 걸림턱(27)의 압착기능에 의해 확관부(10)의 탄성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서비스밸브(15)의 연결포트(14)에 체결너트(23)를 나사결합시켜 체결할 경우, 체결너트(23)의 안착부(22)에 안착된 황동재의 제1,2압축링(17,20)의 접촉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냉매관(11)의 확관부(10)에 압축력이 필요이상으로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링재(26)에 의해 제1,2압축링(17,20)과 냉매관(11)의 확관부(10) 상면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즉 황동재의 제1,2압축링(17,20)과 알루미늄재의 냉매관(11)의 확관부(10)의 상면(10a) 및 경사면(10b)이 실링재(26)에 의해 직접 접촉이 차단되므로 이종 재질의 접촉으로 인한 갈바닉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확관부
11; 냉매관
12; 제1경사면
13; 제1나사부
14; 연결포트
15; 서비스밸브
16; 경사면
17; 제1압축링
18; 제2경사면
19; 수용측벽
20; 제2압축링
21; 제2나사부
22; 안착부
23; 체결너트
24; 제3경사면
25; 결합턱
26; 실링재
27; 걸림턱

Claims (2)

  1.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의 냉매관;
    단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황동재의 서비스밸브;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상단에 형성되는 황동재의 제1압축링;
    상기 확관부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 상부로 수용측벽이 연장형성되는 황동재의 제2압축링
    상기 제1나사부에 대응되는 제2나사부가 내주연 입구측에 형성되고, 제1,2압축링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제2나사부 밑으로 형성되는 체결너트;
    상기 확관부에 안착되는 제3경사면이 외측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압축링에 결합되는 결합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질의 실링재;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밸브의 연결포트에 상기 체결너트를 체결할 경우, 상기 체결너트의 안착부에 안착된 황동재의 상기 제1,2압축링의 접촉면이 밀착되어 상기 실링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확관부의 상면 및 경사면이 상기 실링재와 상호 밀착되어 실링처리되고, 상기 황동재의 제1,2압축링에 알루미늄재의 상기 냉매관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면이 코팅처리된 상기 실링재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의 제3경사면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체결너트에 상기 제1,2압축링 및 실링재를 수용하여 상기 서비스밸브에 이음연결하기 위해 체결할 경우, 상기 걸림턱의 압착에 의해 상기 냉매관의 탄성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KR2020210003072U 2021-10-13 2021-10-13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KR202300007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72U KR20230000773U (ko) 2021-10-13 2021-10-13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72U KR20230000773U (ko) 2021-10-13 2021-10-13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773U true KR20230000773U (ko) 2023-04-20

Family

ID=8609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72U KR20230000773U (ko) 2021-10-13 2021-10-13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7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2158368B1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 연결구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US20120279601A1 (en) Pipe Repair Device
US3917324A (en) Pipe joint
JP2006518833A (ja) 直線ネジの設けられた調整可能なポート端部
JP2007192270A (ja) 管継手構造
JPH04214972A (ja) チューブをハウジング部材に連結するためのシール及びその形成方法
KR20230000773U (ko) 에어컨 실외기용 알루미늄 배관 연결장치
KR20170124072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US6019558A (en) Nut and bolt securing device
US20060103132A1 (en) Tube seal
KR101889960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1949436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20210123468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연결장치
JP6896314B2 (ja) エアコン室外機用樹脂コーティングアルミニウム配管連結具
US5649797A (en) Nut and bolt securing device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2001254878A (ja) 蛇腹管用管継手
KR102062153B1 (ko)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JPS609496Y2 (ja) セラミツク製ボ−ルバルブ
CN216479432U (zh) 一种可以多次重复使用的卡套结构
KR102179713B1 (ko) 액화가스 배관용 카플링 아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