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648A -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648A
KR20230000648A KR1020210083012A KR20210083012A KR20230000648A KR 20230000648 A KR20230000648 A KR 20230000648A KR 1020210083012 A KR1020210083012 A KR 1020210083012A KR 20210083012 A KR20210083012 A KR 20210083012A KR 20230000648 A KR20230000648 A KR 2023000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air
frame
for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넥스트
Priority to KR102021008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648A/ko
Publication of KR2023000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유닛(100)과 마감 유닛(300)이 연결 유닛(2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러한 연결 유닛(200)에 의하여 이웃한 다른 벽체 유닛(100)이 연결되는 구조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가든 타입의 구조물을 통한 심신 안정의 힐링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STRUCTURE FOR SMART MOBILITY GARDEN AND THE SMART MOBILITY GARDEN SYSTEM USING THIS}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가든 타입의 구조물을 통한 심신 안정의 힐링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주 생활이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다세대 주택이 위주를 이룸에 따라 정원이나 야외 공간에서의 생활과 체험을 갈망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최근 공동 주택 문화가 보편적인 현대 사회에서 거주자 전용의 정원을 가지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등록특허 제10-1305406호의 "옥상용 식물재배 하우스"나 등록특허 제10-1816565호의 "스마트 무빙 가든의 광량 제어 시스템 및 그 광량 제어 방법" 등과 같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가드닝 또는 재배의 효율적인 관리에 촛점을 맞춘 것들이지만, 도시 생활자들 중에서 가드닝이나 재배 등의 작업은 꺼려하지만, 가꿔진 정원이나 야외 환경 속에서 느긋하게 감상하고 즐기고자 하는 수요 또한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 환경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속에 노출되어 있다는 느낌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힐링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마련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05406호 등록특허 제10-18165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가든 타입의 구조물을 통한 심신 안정의 힐링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마감 패널과,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제1 모듈 프레임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유닛; 상기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모듈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벽체와 별개인 단위 벽체 또는 차양 패널이 직교 또는 교차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모서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제2 모듈 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와, 상기 단위 벽체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보강 각재와, 상하 양단으로 관통된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을 포함하는 마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듈 프레임은, 상기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골조 바와,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1 결합간극)만큼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 상기 제1 홈 형성 바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홈 형성 바의 양측에 상기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모듈 프레임은, 상기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골조 바와,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2 결합간극)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 상기 제2 홈 형성 바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홈 형성 바의 일측에 상기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홈 형성 바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2 패널 안착 홈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중 상기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가 배치된 쪽과, 제2 골조 바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강 각재가 끼움 결합되는 각재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프레임은, 부채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의 제1 바와, 상기 부채꼴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한 지점을 지나며 부채꼴의 원호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한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2 바와,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3 바를 포함하는 상하 양단 관통의 코어 바와, 상기 코어 바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바의 양단부 각각과 직교되게 상기 제1 바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보강 리브와, 상기 제1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3 바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양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윙 리브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외측 윙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윙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윙 리브와 상기 내측 윙 리브 사이에 상기 보강 각재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 바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코어 바와 상기 외측 윙 리브 및 상기 내측 윙 리브를 마감하는 상기 모서리 마감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각재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와 내측 윙 리브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 프레임과 직교하는 지지 각재와, 한 쌍의 상기 지지 각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단위 벽체가 고정 설치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상기 차양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1 각재와,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2 각재와,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좌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각재의 좌우 단부 하면 및 상기 제2 각재의 좌우 단부 상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3 각재와,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상기 단위 벽체가 결합되는 패턴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턴의 최외곽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모서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도어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벽체와 상기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상기 차양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벽체와 모서리 프레임 및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부스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에 진입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에 진입하면, 자연의 음향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심신안정 모듈;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부스 모듈의 밖으로 나가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산소를 상기 수용 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공기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복수의 마감 패널과,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모듈 프레임과, 제1 모듈 프레임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의 마감 패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유닛;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제2 모듈 프레임과 결합되며, 단위 벽체와 별개인 단위 벽체 또는 차양 패널이 직교 또는 교차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모서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결 유닛; 및 제2 모듈 프레임과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와, 단위 벽체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보강 각재와, 상하 양단으로 관통된 모서리 프레임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합되어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을 포함하는 마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 환경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속에 노출되어 있다는 느낌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힐링 공간이 가능하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각 부재를 모듈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운반과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하며, 사용자 직관적인 형태의 제품을 통한 조립과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듈 프레임은,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골조 바와,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1 결합간극)만큼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 바와,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 제1 홈 형성 바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1 홈 형성 바의 양측에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 리브를 포함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대소에 관계없이 작고 아담한 규모의 부스로부터 대규모의 수용 시설에 이르기까지 벽체 크기의 확장성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수용 공간을 조성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듈 프레임은,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골조 바와,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2 결합간극)만큼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바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 제2 홈 형성 바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어 제2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2 홈 형성 바의 일측에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 리브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와 제2 홈 형성 바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면서 제2 패널 안착 홈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 중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가 배치된 쪽과, 제2 골조 바에 의하여 형성되며, 보강 각재가 끼움 결합되는 각재 고정홈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시 착오에 따른 오조립의 우려가 없이 사용자 직관적으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프레임은, 부채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의 제1 바와, 부채꼴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한 지점을 지나며 부채꼴의 원호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한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2 바와, 제1 바와 제2 바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3 바를 포함하는 상하 양단 관통의 코어 바와, 코어 바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바의 양단부 각각과 직교되게 제1 바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보강 리브와, 제1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제3 바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의 양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윙 리브와, 제2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 윙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의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윙 리브를 포함하며, 외측 윙 리브와 내측 윙 리브 사이에 보강 각재가 결합되고, 코어 바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코어 바와 외측 윙 리브 및 내측 윙 리브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 벽체간의 교차 또는 직교 결합을 위한 간편하고 직관적인 구조물의 제공에 따른 설치 및 시공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각재와 별도로 구비되며, 모서리 프레임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와 내측 윙 리브 사이에 고정되어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모서리 프레임과 직교하는 지지 각재와, 한 쌍의 지지 각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단위 벽체가 고정 설치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을 더 포함함으로써, 차양대나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은 임시 구조물의 설치 또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1 각재와,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2 각재와,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의 좌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모듈 프레임 및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제1 각재의 좌우 단부 하면 및 제2 각재의 좌우 단부 상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3 각재와, 모서리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단위 벽체가 결합되는 패턴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패턴의 최외곽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모서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도어부와, 복수의 단위 벽체와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하게 보호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벽체와 모서리 프레임 및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부스 모듈; 사용자가 수용 공간에 진입하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에 진입하면, 자연의 음향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심신안정 모듈; 및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부스 모듈의 밖으로 나가면, 수용 공간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산소를 수용 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수용 공간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공기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하게 보호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실내 공기질 또한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또한 고려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벽체 유닛에 구비된 제1 모듈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벽체 유닛에 구비된 제2 모듈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5는 도 2의 va 및 v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연결 유닛에 구비된 모서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설치한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설치한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벽체 유닛(100)에 구비된 제1 모듈 프레임(11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v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벽체 유닛(100)에 구비된 제2 모듈 프레임(12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va 및 v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중 주요부인 연결 유닛(200)에 구비된 모서리 프레임(21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설치한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설치한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유닛(100)과 마감 유닛(300)이 연결 유닛(2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러한 연결 유닛(200)에 의하여 이웃한 다른 벽체 유닛(100)이 연결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벽체 유닛(100)은 복수의 마감 패널(130)과,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모듈 프레임(110)과, 제1 모듈 프레임(110)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의 마감 패널(13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모듈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 유닛(200)은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제2 모듈 프레임(120)과 결합되며, 단위 벽체(101)와 별개인 단위 벽체(101) 또는 차양 패널(400)이 직교 또는 교차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모서리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마감 유닛(300)은 제2 모듈 프레임(120)과 모서리 프레임(210)의 사이와, 단위 벽체(101)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보강 각재(310)와, 상하 양단으로 관통된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합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320, 이하 도 2 참조)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모듈 프레임(110)은, 도 3과 같이 제1 골조 바(112)에 의하여 제1 커버 바(111)가 H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홈 형성 바(113)는 제1 간극 형성 리브(114)에 의하여 제1 커버 바(111)에 고정되어 제1 패널 안착 홈(115)을 형성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제1 커버 바(111)는 단위 벽체(101)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제1 골조 바(112)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이다.
제1 홈 형성 바(113)는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1 결합간극)만큼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패널 안착 홈(115)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 간극 형성 리브(114)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과 제1 홈 형성 바(11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1 홈 형성 바(113)의 양측에 제1 패널 안착 홈(115)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감 패널(130)은 각각 제1 간극 형성 리브(114)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커버 바(111)와 제1 홈 형성 바(113)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제1 패널 안착 홈(115)에 고정 안착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내측 및 외측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제2 모듈 프레임(120)은, 도 4와 같이 제2 골조 바(122)에 의하여 제2 커버 바(121)가 H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홈 형성 바(123)는 제2 간극 형성 리브(124)에 의하여 제2 커버 바(121)에 고정되어 제2 패널 안착 홈(125)을 형성하고,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127)와 제2 골조 바(122)에 의하여 각재 고정홈(128)이 형성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제2 커버 바(121)는 단위 벽체(101)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부재이다.
그리고, 제2 골조 바(122)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제2 홈 형성 바(123)는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2 결합간극(126))만큼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2 패널 안착 홈(125)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간극 형성 리브(124)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과 제2 홈 형성 바(123)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어 제2 결합간극(126)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2 홈 형성 바(123)의 일측에 제2 패널 안착 홈(125)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127)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와 제2 홈 형성 바(123)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면서 제2 패널 안착 홈(125)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각재 고정홈(128)은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중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127)가 배치된 쪽과, 제2 골조 바(122)에 의하여 형성되며, 보강 각재(310)가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모서리 프레임(210)은, 도 5와 같이 한 쌍의 보강 리브(212)가 구비된 코어 바(211)를 중심으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가 양측에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코어 바(211)는 중심부가 일부 절개된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제1, 2, 3 바(211a, 211b, 211c)를 포함하는 상하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제1 바(211a)는 부채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으로 상하 연장 형성된 것이다.
제2 바(211b)는 부채꼴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한 지점을 지나며 부채꼴의 원호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도 5(b)의 일점쇄선 참조)과 평행한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제3 바(211c)는 제1 바(211a)와 제2 바(211b)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보강 리브(212)는 코어 바(211)의 내부에 한 쌍씩 형성되며, 제2 바(211b)의 양단부 각각과 직교되게 제1 바(211a)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재로, 상하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비틀림 응력에 강도를 유지하고 하중 또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보강 골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외측 윙 리브(213)는 제1 바(211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제3 바(211c)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양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내측 윙 리브(214)는 제2 바(211b)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 윙 리브(213)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보강 각재(310)는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코어 바(211)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코어 바(211)와 외측 윙 리브(213) 및 내측 윙 리브(214)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3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모서리 프레임(210)은, 도 5(a)와 같은 일체형 구조도 가능하며, 제2 바(211b)에 탈착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내측보강 바(215)를 더 구비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 가능하되, 내측 윙 리브(214)는 내측보강 바(215)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구조는 도 5(b)와 같이 코어 바(211)에 대하여 분리되게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에 의한 보강 각재(310)의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보강 각재(310)와 별도로 구비되며, 모서리 프레임(210)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사이에 고정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모서리 프레임(210)과 직교하는 지지 각재(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각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단위 벽체(101)가 고정 설치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단위 벽체(101)의 내측면에는 도 7(b)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31)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수단(31)은, 광고 홍보물이나 그림 또는 사진이 인쇄되어 시각적 효과를 도모하는 필름 또는 패널 형태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LCD나 LED 또는 OLED나 QLED 등 최근 각광받는 저전력 고휘도의 디스플레이 수단(31)이 채용된 디지털 스크린의 형태로 단위 벽체(101)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보강 각재(310)는 다시 도 2와 함께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1, 2, 3 각재(311, 312,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각재(311)는 단위 벽체(10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제2 각재(312)는 단위 벽체(10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한 쌍의 제3 각재(313)는 단위 벽체(101)의 좌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모듈 프레임(120) 및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제1 각재(311)의 좌우 단부 하면 및 제2 각재(312)의 좌우 단부 상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모서리 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단위 벽체(101)가 결합되는 패턴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11, 이하 도 8(a) 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 공간(11)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패턴의 최외곽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모서리 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도어부(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벽체(101)와 출입 도어부(6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11)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4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 각재(311)의 양단부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프레임(210)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각각의 상단부 사이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각재(312)의 양단부는,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 프레임(210)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각각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한 쌍의 제3 각재(313)는, 로 마주보는 모서리 프레임(210)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각각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부스 모듈(10)에 구비된 센서(20)가 사용자(이하 미도시)의 출입 상황이나 부재를 감지하여 심신안정 모듈(30) 및 공기관리 모듈(40)이 가동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부스 모듈(10)은 복수의 단위 벽체(101)와 모서리 프레임(210) 및 출입 도어부(6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11)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서(20)는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에 진입하거나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심신안정 모듈(30)은 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에 진입하면, 자연의 음향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부스 모듈(10)의 밖으로 나가면, 수용 공간(11)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산소를 수용 공간(11)에 주입함으로써, 수용 공간(11)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센서(20)는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고 부재 여부를 감지하기 용이하도록, 출입 도어부(60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심신안정 모듈(30)은, 크게 디스플레이 수단(31)과 향기분사 수단(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수단(31)은 복수의 단위 벽체(101) 중 일측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11)에 배치되고, 센서(20)에 의하여 사용자의 수용 공간(11) 내부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작동되어 자연의 소리와 영상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화면을 구비한 것이다.
이때, 향기분사 수단(32)은 수용 공간(11)에 배치되고, 센서(20)에 의하여 사용자의 수용 공간(11) 내부로의 진입이 감지되면 작동되어 피톤치드 또는 아로마 향을 수용 공간(11) 내부에 분사하는 것이다.
한편,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11) 내부의 실시간 온도 및 습도와 함께 산소 및 미세먼지 농도를 디스플레이 수단(31)상에 출력하는 공기질 모니터링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 공간(11)에 정화된 압축 산소를 일정 시간동안 분사하는 산소분사 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 공간(1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수용 공간(11)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난방 수단(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 공간(11)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수용 공간(11)에 일정량의 수분을 분사하는 가습 수단(4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관리 모듈(40)은,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 공간(11) 내부의 미세먼지를 흡착 또는 배출시켜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는 공기정화 수단(4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부스 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심신안정 모듈(30) 및 공기관리 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심신안정 모듈(30) 및 공기관리 모듈(4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 대체에너지 공급원(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대체에너지 공급원(50)은 소형 솔라셀이나 소형 풍력터빈 등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
대체에너지 공급원(50)은 경우에 따라, 차양 패널(40) 자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솔라셀로 제작하여 발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대체에너지 공급원(50)과, 센서(20)와 디스플레이 수단(31)과 심신안정 모듈(30) 및 공기관리 모듈(4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대체에너지 공급원(50)으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충방전 회로(이하 미도시)가 포함된 축전 모듈(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복수의 마감 패널(130)과,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모듈 프레임(110)과, 제1 모듈 프레임(110)에 의하여 연결된 복수의 마감 패널(13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모듈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벽체 유닛(100); 단위 벽체(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제2 모듈 프레임(120)과 결합되며, 단위 벽체(101)와 별개인 단위 벽체(101) 또는 차양 패널(400)이 직교 또는 교차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모서리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연결 유닛(200); 및 제2 모듈 프레임(120)과 모서리 프레임(210)의 사이와, 단위 벽체(101)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보강 각재(310)와, 상하 양단으로 관통된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합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320)을 포함하는 마감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설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자연 환경 또는 이와 유사한 환경속에 노출되어 있다는 느낌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힐링 공간이 가능하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각 부재를 모듈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운반과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하며, 사용자 직관적인 형태의 제품을 통한 조립과 설치 및 시공상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듈 프레임(110)은, 단위 벽체(101)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와,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골조 바(112)와,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1 결합간극)만큼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패널 안착 홈(115)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 바(113)와,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과 제1 홈 형성 바(11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1 커버 바(111)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1 홈 형성 바(113)의 양측에 제1 패널 안착 홈(115)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 리브(114)를 포함함으로써, 설치 공간의 대소에 관계없이 작고 아담한 규모의 부스로부터 대규모의 수용 시설에 이르기까지 벽체 크기의 확장성을 극대화하여 다양한 수용 공간을 조성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듈 프레임(120)은, 단위 벽체(101)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골조 바(122)와,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2 결합간극(126))만큼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마감 패널(13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2 패널 안착 홈(125)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바(123)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과 제2 홈 형성 바(123)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어 제2 결합간극(126)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과의 사이에서 제2 홈 형성 바(123)의 일측에 제2 패널 안착 홈(125)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 리브(124)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와 제2 홈 형성 바(123)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면서 제2 패널 안착 홈(125)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127)와, 한 쌍의 제2 커버 바(121) 중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127)가 배치된 쪽과, 제2 골조 바(122)에 의하여 형성되며, 보강 각재(310)가 끼움 결합되는 각재 고정홈(128)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시 착오에 따른 오조립의 우려가 없이 사용자 직관적으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프레임(210)은, 부채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의 제1 바(211a)와, 부채꼴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한 지점을 지나며 부채꼴의 원호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한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2 바(211b)와, 제1 바(211a)와 제2 바(211b)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3 바(211c)를 포함하는 상하 양단 관통의 코어 바(211)와, 코어 바(211)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 바(211b)의 양단부 각각과 직교되게 제1 바(211a)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보강 리브(212)와, 제1 바(211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제3 바(211c)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양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윙 리브(213)와, 제2 바(211b)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외측 윙 리브(213)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윙 리브(214)를 포함하며,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사이에 보강 각재(310)가 결합되고, 코어 바(211)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코어 바(211)와 외측 윙 리브(213) 및 내측 윙 리브(214)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32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 벽체간의 교차 또는 직교 결합을 위한 간편하고 직관적인 구조물의 제공에 따른 설치 및 시공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각재(310)와 별도로 구비되며, 모서리 프레임(210)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213)와 내측 윙 리브(214) 사이에 고정되어 모서리 프레임(210)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모서리 프레임(210)과 직교하는 지지 각재(500)와, 한 쌍의 지지 각재(500)에 의하여 결합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단위 벽체(101)가 고정 설치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400)을 더 포함함으로써, 차양대나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은 임시 구조물의 설치 또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범용성의 측면에서 우수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각재(310)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10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1 각재(311)와, 보강 각재(310)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101)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2 각재(312)와, 보강 각재(310)를 구성하는 것으로, 단위 벽체(101)의 좌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모듈 프레임(120) 및 모서리 프레임(210)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제1 각재(311)의 좌우 단부 하면 및 제2 각재(312)의 좌우 단부 상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3 각재(313)와, 모서리 프레임(210)의 좌우 양측에 단위 벽체(101)가 결합되는 패턴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11, 이하 도 8(a) 참조)이 형성되며, 수용 공간(11)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패턴의 최외곽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모서리 프레임(210)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도어부(600)와, 복수의 단위 벽체(101)와 출입 도어부(6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11)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차양 패널(4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하게 보호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벽체(101)와 모서리 프레임(210) 및 출입 도어부(600)에 의하여 사용자(이하 미도시)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11)이 형성되는 부스 모듈(10);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에 진입하거나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20); 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에 진입하면, 자연의 음향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심신안정 모듈(30); 및 센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용 공간(11)으로부터 부스 모듈(10)의 밖으로 나가면, 수용 공간(11)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산소를 수용 공간(11)에 주입함으로써, 수용 공간(11)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공기관리 모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락하게 보호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실내 공기질 또한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또한 고려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내가든 타입의 구조물을 통한 심신 안정의 힐링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부스 모듈
11...수용 공간
20...센서
30...심신안정 모듈
31...디스플레이 수단
32...향기분사 수단
40...공기관리 모듈
41...공기질 모니터링부
42...산소분사 수단
43...냉난방 수단
44...가습 수단
45...공기정화 수단
50...대체에너지 공급원
60...축전 모듈
100...벽체 유닛
101...단위 벽체
110...제1 모듈 프레임
111...제1 커버 바
112...제1 골조 바
113...제1 홈 형성 바
114...제1 간극 형성 리브
115...제1 패널 안착 홈
116...제1 결합간극
120...제2 모듈 프레임
121...제2 커버 바
122...제2 골조 바
123...제2 홈 형성 바
124...제2 간극 형성 리브
125...제2 패널 안착 홈
126...제2 결합간극
127...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
128...각재 고정홈
130...마감 패널
200...연결 유닛
210...모서리 프레임
211...코어 바
211a...제1 바
211b...제2 바
211c...제3 바
212...보강 리브
213...외측 윙 리브
214...내측 윙 리브
215...내측보강 바
300...마감 유닛
310...보강 각재
311...제1 각재
312...제2 각재
313...제3 각재
320...모서리 마감편
400...차양 패널
500...지지 각재
600...출입 도어부

Claims (7)

  1. 복수의 마감 패널과,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제1 모듈 프레임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유닛;
    상기 단위 벽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모듈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단위 벽체와 별개인 단위 벽체 또는 차양 패널이 직교 또는 교차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모서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결 유닛; 및
    상기 제2 모듈 프레임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와, 상기 단위 벽체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보강 각재와, 상하 양단으로 관통된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편을 포함하는 마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프레임은,
    상기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골조 바와,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1 결합간극)만큼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홈 형성 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 상기 제1 홈 형성 바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1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홈 형성 바의 양측에 상기 제1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1 간극 형성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프레임은,
    상기 단위 벽체의 내측 및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마주보는 대향면을 상호 직교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골조 바와,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이하 제2 결합간극)만큼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와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마감 패널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안착 고정시키는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홈 형성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 상기 제2 홈 형성 바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결합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홈 형성 바의 일측에 상기 제2 패널 안착 홈을 형성하는 제2 간극 형성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각각의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홈 형성 바의 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제2 패널 안착 홈과 반대쪽에 배치되는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바 중 상기 각재 고정홈 형성 리브가 배치된 쪽과, 제2 골조 바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보강 각재가 끼움 결합되는 각재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은,
    부채꼴의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의 제1 바와, 상기 부채꼴의 중심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한 지점을 지나며 부채꼴의 원호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평행한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2 바와,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 각각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평판 형상의 제3 바를 포함하는 상하 양단 관통의 코어 바와,
    상기 코어 바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바의 양단부 각각과 직교되게 상기 제1 바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보강 리브와,
    상기 제1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3 바와 직교되게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양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윙 리브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외측 윙 리브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양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측 윙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윙 리브와 상기 내측 윙 리브 사이에 상기 보강 각재가 결합되고,
    상기 코어 바의 상하 양단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 코어 바와 상기 외측 윙 리브 및 상기 내측 윙 리브를 마감하는 상기 모서리 마감편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각재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구비된 외측 윙 리브와 내측 윙 리브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 프레임과 직교하는 지지 각재와,
    한 쌍의 상기 지지 각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양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단위 벽체가 고정 설치된 지면 또는 설치 대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상기 차양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1 각재와,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좌우 양단부를 가지는 제2 각재와,
    상기 보강 각재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 벽체의 좌우 양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모듈 프레임 및 상기 모서리 프레임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각재의 좌우 단부 하면 및 상기 제2 각재의 좌우 단부 상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제3 각재와,
    상기 모서리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상기 단위 벽체가 결합되는 패턴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턴의 최외곽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모서리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출입 도어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벽체와 상기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된 상면을 마감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의 상기 차양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
  7. 복수의 단위 벽체와 모서리 프레임 및 출입 도어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부스 모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에 진입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밖으로 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에 진입하면, 자연의 음향과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심신안정 모듈; 및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상기 부스 모듈의 밖으로 나가면,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산소를 상기 수용 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질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공기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KR1020210083012A 2021-06-25 2021-06-25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KR20230000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012A KR20230000648A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012A KR20230000648A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48A true KR20230000648A (ko) 2023-01-03

Family

ID=8492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012A KR20230000648A (ko) 2021-06-25 2021-06-25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6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06B1 (ko) 2013-04-12 2013-09-06 주식회사 스마트무빙팜 옥상용 식물재배 하우스
KR101816565B1 (ko) 2016-11-25 2018-01-09 대한민국 스마트 무빙 가든의 광량 제어 시스템 및 그 광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06B1 (ko) 2013-04-12 2013-09-06 주식회사 스마트무빙팜 옥상용 식물재배 하우스
KR101816565B1 (ko) 2016-11-25 2018-01-09 대한민국 스마트 무빙 가든의 광량 제어 시스템 및 그 광량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aack et al. Façades: principles of construction
CN109518854B (zh) 多功能单元式玻璃幕墙
Friedman Innovative houses: Concepts for sustainable living
KR20230000648A (ko)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용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가든 시스템
JP2008150858A (ja) 手摺壁及び建物
KR102308307B1 (ko) 새시 프레임과 기능성 패널이 조합된 조립식 흡연부스
Kotsopoulos et al. A building system for connected sustainability
Luther et al. Natural and environmentally responsive building envelopes
JP3218854U (ja) 複合機能性桐板材からなる構造体。
JP2009108623A (ja) サンルーム
US20140283465A1 (en) Building system
CN220022668U (zh) 中空型光伏噪声屏蔽装置
KR200316743Y1 (ko) 다층형 이동식 간편조립 방음부스
CN220978973U (zh) 一种动态声景增强现实装置
McCollum Lessons from the solar decathlon
Masseck LOW3: a Mediterranean net zero energy building
JP2004137859A (ja) 木造移動建築物
KR102262546B1 (ko) 기능성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흡연부스
García Marín et al. Self-sufficient prefabricated modular housing: Passive systems integrated
JP2022177520A (ja) ユニットルーム
Caamano-Martın et al. Spanish participation in the “Solar Decathlon 2005” competition: new proposals for zero-energy houses
Gallagher et al. Forging Vertical Neighborhoods.
Salman Design standard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efficient buildings
CN111851733A (zh) 一种模块化组装式房屋
JP3924053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