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55U -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55U
KR20230000555U KR2020210002779U KR20210002779U KR20230000555U KR 20230000555 U KR20230000555 U KR 20230000555U KR 2020210002779 U KR2020210002779 U KR 2020210002779U KR 20210002779 U KR20210002779 U KR 20210002779U KR 20230000555 U KR20230000555 U KR 202300005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ousing
cover
light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935Y1 (ko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시스 filed Critical (주)인시스
Priority to KR2020210002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3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부 내부로 투과광 및 반사광을 조사하여 피부 밝기, 붉은기, 노란기, 기타 피부색, 멜라닌 색소침착 여부, 피부투명도, 유분, 수분 등과 같이 다양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CONDITIONS OF SKIN USING CONTACT LIGHT AND NON-CONTACT LIGHT}
본 고안은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내부로 투과광 및 반사광을 조사하여 피부 밝기, 붉은기, 노란기, 기타 피부색, 멜라닌 색소침착 여부, 피부투명도, 유분, 수분 등과 같이 다양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인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인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멜라닌 색소침착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측정하였는데, 측정된 이미지 분석을 위하여 전용 ISP(Image Sensor Processor)가 필요하며 전력소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 경우 배터리 소모전력이 과다 발생하였다.
또한,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고성능 프로세서가 필요함에 따라 제품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수집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고성능 전송방식이 필요하였으며,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서는 이미지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8893호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피부 내부로 투과광 및 반사광을 조사하여 피부 밝기, 붉은기, 노란기, 기타 피부색, 멜라닌 색소침착 여부, 피부투명도, 유분, 수분 등과 같이 다양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제1 및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 및 각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격벽(120),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피부의 외부로 투과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피부의 내부로 반사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투과광 및 반사광을 통해 피부 상태를 센싱하는 RGB 수광센서(15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160)에는 상기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 홀(161)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짐에 따라, 상측 말단부가 상기 커버(160)의 상기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에 있어서, 상기 격벽(120)의 일측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내측 모서리 영역을 커버하는 한 쌍의 삼각형 형상의 날개부(121)가 상기 커버(16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121)에 의해, 상기 제1 수용공간 내 투과광이 상기 내측 모서리 영역을 통해 상기 커버(160)로 전달되지 않고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되 헤드(171)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일부 높이로 돌출되고, 몸체(172)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110) 내 PCB와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수분센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171)의 하측이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헤드(171)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분센서(17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압력을 산출 후 산출된 압력을 토대로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력센서는 상기 압력에 의해 피부 색상이 변하는 경우 해당 피부의 측정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압력에 상응하도록 기 측정된 피부 탄력도를 보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부 내부로 투과광 및 반사광을 조사하여 피부 밝기, 붉은기, 노란기, 기타 피부색, 멜라닌 색소침착 여부, 피부투명도, 유분, 수분 등과 같이 다양한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본 고안은 측정된 이미지 분석을 위한 전용 ISP(Image Sensor Processor)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배터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저전력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1회 배터리 충전만으로도 적어도 2개월 내지 3개월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고성능 프로세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품 원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8bit의 저가 MCU를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수집된 데이터의 양이 적어 Bluetooth를 활용한 통신에서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내 수용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하는 격벽의 말단부가 커버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각 수용공간이 보다 완벽하게 차폐됨으로써 조사광을 통한 피부상태 측정의 정밀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경우 이에 따라 측정되는 압력을 토대로 피부 측정값이 변경되는 것을 반영하여 피부 탄력도 측정의 정밀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격벽(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커버(16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가 커버(160)의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격벽(120)이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끼움 결합 홀(161)의 양측 말단부가 불투명하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수분센서(170)와 PCB가 서로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격벽(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커버(16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10), 격벽(120),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광원(130, 140), RGB 수광센서(150) 및 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수분센서(170) 및 탄력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내측에 격벽(120), 제1 및 제2 광원(130, 140), RGB 수광센서(15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광원(130, 140)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개방면이 피부의 측정 위치로 접촉한 상태에서 피부의 내부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선택적으로 일측에 조사되도록 광이 발광되는 위치를 각각 차폐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개방면에는 후술되는 커버(160)가 결합되는데, 이때 커버(160)는 제1 및 제2 광원(130, 14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피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은 내측에 수용된 제1 및 제2 광원(130, 140)을 통해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완벽히 차폐 가능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격벽(12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제1 및 제2 수용공간으로 각각 구획함과 동시에, 각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격벽(12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수용공간에는 피부의 외부로 투과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이 위치될 수 있고, 제2 수용공간에는 피부의 내부로 반사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이 위치될 수 있다.
격벽(120)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말단부가 하우징(110)의 높이보다 더욱 높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돌출높이는 커버(160)의 두께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격벽(120)의 말단부는 커버(160)에 형성된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피부 밀착 시 격벽(120)의 말단부가 피부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완벽히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격벽(120)의 일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 영역 중에서, 특히 커버(160)와 인접한 영역에는 한 쌍의 삼각형 형상의 날개부(121)가 커버(16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날개부(121)는 상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커버(160)의 내측면에 접하되, 격벽(120)의 일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 영역에서 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 수용공간에 위치된 제1 광원(130)을 통해 조사되는 투과광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16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120)의 일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면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 영역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16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영역이기 때문에, 제1 광원(130)을 통해 조사되는 투과광이 직접적으로 커버(16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120)의 날개부(121)는 이러한 영역을 차폐함으로써 RGB 수광센서(150)에서 피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은 제1 수용공간의 PCB 상에 실장되며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은 제2 수용공간의 PCB 상에 실장되며 가시광선, 자외선 및 적외선을 각각 조사하는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공간 측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은 PCB 상에서 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은 중앙에 위치된 RGB 수광센서(150)를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사광선, 자외선 및 적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 및 제2 광원(130, 140)을 통해 투과광과 반사광이 순차적으로 번갈아 조사되도록 조사 타이밍을 스케줄링하여 복수의 광원에 대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RGB 수광센서(150)는 제2 수용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반사광 및 투과광에 의한 반사광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피부 상태를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RGB 수광센서(150)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광원(130, 14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면서 복수위치에 설치된 서로 다른 파장의 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면서 피부 상태를 센싱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RGB 수광센서(150)는 PCB 상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피부에 근접한 상태에서 피부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RGB 수광센서(150)는 유분측정센서, 수분측정센서, 탄력측정센서 및 pH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센서로 구비된다.
커버(16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하우징(110)에 결합되되, 일측에는 격벽(120)의 말단부가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 홀(161)이 형성된다. 끼움 결합 홀(161)은 일종의 끼움 슬롯(slot)의 역할을 하며, 피부 밀착 시 격벽(120)의 말단부가 끼움 결합 홀(161)에 의해 피부에 완벽히 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수용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이때, 커버(160)는 투명한 재질이 적용됨에 따라, 제1 수용공간 내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을 통해 조사되는 광이 커버(160)를 통해 피부로 전달된 후, 다시 피부를 통해 전달된 광이 커버(160)를 통해 제2 수용공간 내 RGB 수광센서(150)로 도달할 수 있다.
도 5는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가 커버(160)의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격벽(120)이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피부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끼움 결합 홀(161)의 양측 말단부가 불투명하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격벽(120)의 말단부는 끼움 결합 홀(161)을 통해 커버(160)를 관통하여 피부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이 격벽(120)을 통해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만약, 격벽(120)의 말단부가 피부에 완벽히 밀착되지 않고 커버(160)의 두께만큼 피부로부터 이격될 경우, 제1 수용공간 내 제1 광원(13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투명한 재질에 해당하는 커버(160)를 통해 곧바로 제2 수용공간으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격벽(120)의 말단부가 커버(160)의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되어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제1 광원(13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커버(160)를 통해 곧바로 제2 수용공간으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끼움 결합 홀(161)의 양측 말단부는 불투명한 재질이 적용됨에 따라커버(160)의 두께를 통해 광이 제2 수용공간으로 전달되지 않고 차폐될 수 있다.
수분센서(170)는 피부에 밀착되는 서로 다른 전극을 통해 미소 전류를 도통한 후 전류 변화값을 토대로 피부 내 수분값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수분센서(170)와 PCB가 서로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분센서(17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이때 헤드(171)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몸체(172)가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말단부가 하우징(110) 내 PCB에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헤드(171)의 하측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헤드(171)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예를 들어, 피부 수분측정을 위해 수분센서(170)가 피부 방향으로 강하게 밀착되는 경우)에도 수분센서(170)가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거나 인입되지 않게 된다. 특히, 수분센서(170)의 말단부는 PCB와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만약 헤드(171)의 하측이 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수분센서(170)가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들어가면서 PCB가 휘어지는 등 피부상태 측정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헤드(171)가 하우징(11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방지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고안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압력을 산출 후 산출된 압력을 토대로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력센서는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압력을 토대로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는데, 이때 압력에 의해 피부 색상이 변하는 경우 피부 측정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압력에 상응하도록 기 측정된 피부 탄력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경우 눌린 부위는 붉은색으로 흰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피부 속 혈관이 눌리면서 혈액이 주위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탄력센서는 피부 고유의 측정값이 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경우 정확한 피부 탄력도 측정을 위하여, 해당 탄력센서에서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계산한 후 이를 토대로 기 측정된 피부 탄력도를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피부 탄력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수분센서(170)의 하측에는 외압에 의해 수분센서(170)가 눌리는 압력을 산출 후, 산출된 압력을 탄력센서로 전달함으로써, 탄력센서의 피부 탄력도 보정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110: 하우징
120: 격벽 121: 날개부
130: 제1 광원
140: 제2 광원
150: RGB 수광센서
160: 커버 161: 끼움 결합 홀
170: 수분센서
171: 헤드
172: 몸체

Claims (7)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제1 및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 및 각 수용공간을 차폐하는 격벽(120);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피부의 외부로 투과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광원(130);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피부의 내부로 반사광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광원(140)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반사광 및 투과광을 통해 피부 상태를 센싱하는 RGB 수광센서(15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커버(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에는,
    상기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 홀(161);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짐에 따라, 상측 말단부가 상기 커버(160)의 상기 끼움 결합 홀(16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20)의 상측 말단부에 있어서,
    상기 격벽(120)의 일측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내측 모서리 영역을 커버하는 한 쌍의 삼각형 형상의 날개부(121)가 상기 커버(16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날개부(121)에 의해, 상기 제1 수용공간 내 투과광이 상기 내측 모서리 영역을 통해 상기 커버(160)로 전달되지 않고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되 헤드(171)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일부 높이로 돌출되고, 몸체(172)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110) 내 PCB와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수분센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171)의 하측이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됨에 따라, 상기 헤드(171)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분센서(17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외압에 의해 피부가 눌리는 압력을 산출 후 산출된 압력을 토대로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는 탄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력센서는 상기 압력에 의해 피부 색상이 변하는 경우 해당 피부의 측정값이 변경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압력에 상응하도록 기 측정된 피부 탄력도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60)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기 끼움 결합 홀(161)의 양측 말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불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센서(170)의 하측에는,
    외압에 의해 상기 수분센서(170)가 눌리는 압력을 산출 후 산출된 압력을 상기 탄력센서로 전달하여, 상기 탄력센서의 피부 탄력도 보정 과정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KR2020210002779U 2021-09-09 2021-09-09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KR200497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79U KR200497935Y1 (ko) 2021-09-09 2021-09-09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79U KR200497935Y1 (ko) 2021-09-09 2021-09-09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55U true KR20230000555U (ko) 2023-03-16
KR200497935Y1 KR200497935Y1 (ko) 2024-04-17

Family

ID=8572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779U KR200497935Y1 (ko) 2021-09-09 2021-09-09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93A (ko) 2017-02-27 2018-09-05 울산과학기술원 광간섭 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한 피부 주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6392A (ko) * 2018-05-30 2019-12-10 (주)아모레퍼시픽 유수분 센서를 구비한 탄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1864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5058A (ko) * 2020-01-15 2020-10-07 (주)인시스 접촉광 및 비접촉광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893A (ko) 2017-02-27 2018-09-05 울산과학기술원 광간섭 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한 피부 주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6392A (ko) * 2018-05-30 2019-12-10 (주)아모레퍼시픽 유수분 센서를 구비한 탄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61864A (ko) * 2018-11-26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5058A (ko) * 2020-01-15 2020-10-07 (주)인시스 접촉광 및 비접촉광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35Y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512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optical reflectance measurements
US6362887B1 (en) Device for measuring changes in parameters within transparent objects
CN103328953B (zh) 光学测量系统、光学测量装置、校正用构件以及校正方法
BR112017001407A2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varredura óssea em carne
US8605284B2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ES2943291T3 (es) Sensor de hemolisis desechable
US8821809B2 (en) Test strip reader for detecting bioreaction changes
US20060268262A1 (en) Photo radiation intensity sensor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CN105044087A (zh) 尿检快速检测装置及方法
JP2008175760A (ja) 穀物の品質評価装置
KR20230000555U (ko) 피부측정 소형 모듈 및 피부 측정 장치
KR20240015283A (ko) 피부 상태 측정 센서
US20200041343A1 (en) Spectroscopic measuremen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spectroscopic measurement method
JP2011133467A (ja) 放射線強度分布又は吸収線量分布を測定する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93548B2 (en) Calibration methods for blood content sensors
CN2844906Y (zh) 测量化学元素浓度的色度读取器
CN111141388A (zh) 一种环带测色仪和颜色测量方法
JP7022963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のプローブ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20200115058A (ko) 접촉광 및 비접촉광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동작 방법
CN215799528U (zh) 血培养检测机构
CN212275719U (zh) 一种鸡蛋新鲜度检测装置
US202201964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r classifying the surface colour of at least partly translucent materials
CN219720685U (zh) 手指模拟结构及反射式血氧设备
EP3191818B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ntact lens within a receptacle
JP6474148B2 (ja) 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